KR20080069011A - Apparatus for load effect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load effect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011A
KR20080069011A KR1020070006577A KR20070006577A KR20080069011A KR 20080069011 A KR20080069011 A KR 20080069011A KR 1020070006577 A KR1020070006577 A KR 1020070006577A KR 20070006577 A KR20070006577 A KR 20070006577A KR 20080069011 A KR20080069011 A KR 20080069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effect
average value
frame
subfiel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5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규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6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9011A/en
Publication of KR20080069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0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 E01F15/065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the barrier members being made of essentially non-metallic materials, e.g. natural or synthetic fibres or web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a load effect are provided to enhance reliability by using an average value of loads on respective sub-fields comprising a previous frame as a reference value that prevents the load effect of a current frame.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load effect includes a gray scale unit(10) and a compensation unit(20). The gray scale unit represents gradation of a frame using plural sub-fields in a still screen. The compensation unit obtains an average value of loads on respective sub-fields of a previous field and adjusts a gray scale of a frame, which is represented by the gray scale unit so as to compensate for the load effect with respect to the average value. The number of sub-fields for forming the frame is 10 to 12.

Description

로드 이펙트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load effect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Apparatus for load effect prevention and method

도 1은 PDP에서의 하나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다수의 서브 필드를 관념적으로 나타낸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number of subfields forming one frame in a PDP.

도 2는 도 1의 프레임의 구동 예를 나타낸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riving the frame of FIG.

도 3은 로드에 따른 밝기와 이에 대한 로드 이펙트의 방지 방식을 나타낸 그래프.3 is a graph showing the brightness according to the load and the prevention method of the load effect thereto.

도 4는 종래의 로드 이펙트 방지에 사용되는 기준을 나타낸 그래프.4 is a graph showing a criterion used for preventing a conventional road effect.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로드 이펙트 방지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load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서 사용되는 이전 프레임 및 서브 필드를 나타낸 개략도.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revious frame and subfields used in FIG.

도 7은 도 5 및 6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7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FIGS. 5 and 6;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계조부 20...보정부10 ... Grandfather 20 ... Ministry of Government

본 발명은 로드 이펙트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과 같이 한 프레임의 계조를 다수의 서브 필드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에서 발생되는 로드 이펙트를 방지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 load effect,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a load effect generated in a display implementing a gray level of one frame using a plurality of subfields, such as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이하 'PDP'라 칭함)은 기체방전(플라즈마) 현상을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이다. Plasma Display Panels (PDP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DPs') are flat panel displays using gas discharge (plasma) phenomenon.

PDP는 그 특성상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는 다르게 계조(階調, gradation)를 직접 구현하기가 난이하다.PDPs, unlike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are difficult to directly implement gradation.

이러한 이유로, PDP에서는 하나의 프레임(frame)을 다수의 서브 필드(sub field)로 나누어 구동하고 있다.For this reason, the PDP is driven by dividing one frame into a plurality of subfields.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을 여러장(다수)의 서브 필드로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이 수행된다. 하나의 프레임을 8개의 서브 필드로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8개의 서브 필드가 시간별로 순서에 따라 상기 프레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 one frame is formed of several (multiple) subfields, and the operation as shown in FIG. 2 is performed internally. An example in which one frame consists of eight subfields is show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eight subfields affect the frames in order by time.

상기 각 서브 필드는 어드레스(address) 구간과 서스테인(sustain) 구간의 동작 구간을 필요로 하는데, 상기 어드레스 구간에서는 화면 상에 어떤 셀에서 발광이 이루어지는지를 정하게 되며, 상기 서스테인 구간에서는 상기 어드레스 구간에서 정해진 셀의 밝기를 발광 유지 시간에 의하여 조절하게 된다.Each of the subfields requires an operation section of an address section and a sustain section. The address section determines which cell on the screen emits light. In the sustain section, the subfield is defined in the address section. The brightness of the cell is controlled by the emission sustain time.

PDP에서는 상기 발광 유지 시간을 수치화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해당하 는 것이 서스테인 개수이다. 여기서, 서스테인 개수, 즉 서스테인 수가 클수록 발광 유지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In the PDP, the light emission holding time is numerically used, and this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sustains. Here, as the number of sustains, that is, the number of sustains, the light emission sustaining time increases.

전체 화면은 다수의 셀(cell)로 구성이 되는데, 이들 셀 중에서 빛을 발광시키기 위하여 선택된 셀의 비율을 로드(load)라 한다. 따라서, 발광되도록 선택된 셀들이 많아질수록 로드는 증가하게 되며, 선택된 셀들이 적을수록 로드는 감소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서브 필드의 로드는 서로 다르다.The entire scree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ells, and the ratio of cells selected to emit light among these cells is called a load. Therefore, as the number of cells selected to emit light increases, the load increases, and as the number of selected cells decreases, the load decreases. In general, the load of each subfield constituting one frame is different.

앞에서 살펴봤듯이, 상기 선택된 셀들의 밝기는 서스테인 개수의 조정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실제로는 똑같은 서스테인 개수일지라도 로드에 따라 그 밝기가 달라진다.As described above, the brightness of the selected cells is determin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sustains. In reality, the brightness varies depending on the load even if the number of sustains is the same.

이는 로드가 클수록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하게 되고, 그 전력 차이에 의해서 밝기가 감소하기 때문으로, 이러한 현상을 로드 이펙트(load effect)라 한다.This is called a load effect because the larger the load, the more power is consumed and the brightness is reduced by the difference in power.

PDP를 동작시킬 경우, 특정 서브 필드에 대해서 원하는 밝기 레벨이 있는 경우, 그 밝기 레벨에 대응되는 서스테인 개수를 정의해 그 밝기를 표현한다.When the PDP is operated, when there is a desired brightness level for a specific subfield, the number of sustains corresponding to the brightness level is defined to express the brightness.

그러나, 상기 로드 이펙트로 인하여 로드에 따라서 같은 서스테인 개수를 정의했음에도 불구하도 다른 밝기가 표현되는, 즉 계조의 왜곡 현상이 나타내게 된다.However, even though the same sustain number is defined according to the load due to the load effect, different brightness is expressed, that is, a gradation distortion phenomenon is displayed.

이와 같은 로드 이펙트는 화질의 저하 문제에 직결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로드의 증감에 따라 서스테인 개수를 추가로 증감시켜 로드 변화에 따른 계조의 왜곡 현상을 보상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Since such a load effect is directly connected to a problem of deterioration in image quality, a technique of compensating for the distortion phenomenon of gradation due to a load change is used by furthe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number of sustains as the load increases or decreases.

여기서, 문제되는 것이 상기 서스테인 개수의 추가적인 증감을 어느 정도로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Here, the problem is that the additional increase or decrease of the number of sustains to some extent, a criterion for this is necessary.

도 3에 로드에 따른 밝기와 이에 대한 로드 이펙트의 방지 방식을 나타낸 그래프를 개시하였다.3 is a graph illustrating brightness according to a load and a method of preventing a load effect thereof.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밝기 기준 레벨이 되는 특정 로드값 Lref를 설정하고, 상기 Lref의 밝기에 맞추어 다른 로드 L1, L2, L3, L4의 밝기를 증감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a specific load value L ref which becomes the brightness reference level is set, and the brightness of other loads L 1 , L 2 , L 3 , and L 4 is increased or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brightness of the L ref . have.

즉, 모든 로드에 걸쳐 원하는 밝기 기준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 레벨의 밝기에 맞추어 다른 로드일 경우의 밝기를 조정하는 것이다.That is, the desired brightness reference level is set over all loads, and the brightness of the other loads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reference level.

이상의 내용을 정리해보자.Let's summarize the above.

① 동일 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수의 서브 필드는 서로 다른 로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① A plurality of subfields constituting the same frame generally have different loads.

② ①에서의 로드 차이로 인하여 로드 이펙트가 발생된다.② The load difference occurs due to the load difference in ①.

③ 로드 이펙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준을 정하여 상기 기준에 맞추어 밝기 조절을 수행한다.③ Set the standard to prevent the load effect and perform brightness adjustment according to the standard.

이상의 과정에 의하여 로드 이펙트를 방지할 수 있는데,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이 상기 기준에 대한 신뢰성이다.By the above process, the load effect can be prevented, and the problem is reliability of the above criteria.

예를 들어, PDP에서는 상기 기준으로서, 연속된 영상에 사용되는 계산된 값(테이블화되어 있음)을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계산된 값(이하 '계산값'이라 칭함)을 정지 화면에 기준으로 적용시 로드 이펙트 보상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For example, the PDP uses a calculated value (tabled) used for a series of images as the reference, and applies the calculated val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lculated value') as a reference to a still picture. The following problems are encountered with sea load effect compensation.

상기 계산값은 연속된 화면의 구현에 사용되는 값으로서, 그 값이 변경되는 특징이 있다. 이는 연속된 화면의 구현에 필요한 것으로, 문제는 이와 같은 값의 변경으로 인하여, 정지 화면에서 기준으로 사용시 그 신뢰성이 감소된다는 것이다.The calculated value is a value used to implement a continuous screen, and the value is changed. This is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continuous screens, and the problem is that due to such a change in value, its reliability is reduced when used as a reference in still pictures.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점선 부분)으로 설정된 계산값은 시간에 따라 계속 변경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값의 변경에 따라 상기 기준에 맞추어 로드 이펙트 보상을 수행한 정지 화면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수의 서브 필드간의 밝기 차(상기 변경되는 기준에 맞추어 로드 이펙트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밝기 차가 발생)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사용자에게 깜빡꺼림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게 되며, 이는 제품 전체에 대한 신뢰성 감소라는 문제점을 도출하게 되다.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calculated value set as a reference (dotted line) is continuously changed according to time, an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value, a frame of a still picture that has performed load effect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reference is configured. The brightness dif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ubfields (the brightness difference is generated by performing the load effect correction according to the changed criterion) is generated. This phenomenon appears to the user in the form of flickering, which leads to a problem of reduced reliability of the entire produ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다수의 서브 필드로 하나의 프레임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에서 정지화면시 고정된 기준값을 제시하여 로드 이펙트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로드 이펙트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load effect prevention devic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load effect by presenting a fixed reference value for the still picture in the display in which one fram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ub-field an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method.

이를 통하여, 정지 화면에 있어서의 깜빡꺼림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제품 전체에 신뢰성을 만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flicker in the still picture and to satisfy the reliability of the entire product for the user.

이와 같은, 로드 이펙트 방지 장치 및 방법은 PDP에 적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PDP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Such a load effect preventing device and method is effective to be applied to the PDP, and theref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pplicable to the PDP.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지 화면에서 다수의 서브 필드(sub field)로 한 프레임(frame)의 계조(階調, gradation)를 표현하는 계조부; 및 이전 프레임의 서브 필드 각각에 대한 로드(load)들의 평균값을 별도로 구하고,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로드 이펙트(load effect) 보정이 되도록 상기 계조부에 의해 표현되는 프레임의 계조를 조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adation unit for expressing gradation of one frame as a plurality of subfields in a still picture; And a correction unit for separately obtaining an average value of loads for each of the subfields of the previous frame, and adjusting a gray level of the frame represented by the gray level unit to perform a load effect correction based on the average value. Characterized in that made.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10개 내지 12개의 서브 필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계조부는 각 서브 필드에 대해서In this case, the frame is preferably composed of 10 to 12 subfields, and the gradation unit is configured for each subfield.

발광시킬 셀(cell)을 선택하는 어드레스부와; 상기 어드레스부에서 선택된 셀의 발광 지속(서스테인, sustain)시간을 서스테인 개수에 의하여 결정짓는 서스테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address unit for selecting a cell to emit ligh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ustain section which determines the light emission sustain time of the cell selected in the address section by the number of sustains.

또한, 상기 보정부는 이전 프레임의 각 서브 필드에 대한 로드들의 평균값을 구하는 평균값 추출부와; 상기 평균값 추출부에서 추출된 평균값을 기준으로 현재 프레임의 각 서브 필드의 로드 이펙트 보정을 서스테인 개수 조정에 의하여 수행하는 서스테인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r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verage value extracting unit obtaining an average value of loads for each subfield of a previous fram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ustain adjusting unit which performs load effect correction of each subfield of the current frame by adjusting the number of sustains based on the average value extracted by the average value extracting unit.

한편, 이상의 구성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에 적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to the plasma display panel (PDP).

위의 구성의 동작을 살펴보면,Looking at the behavior of the above configura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지 화면 표현시 발생되는 로드 이펙트를 방지 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전 프레임을 형성하는 다수의 서브 필드 각각에 대한 로드들의 평균값을 별도로 구하는 단계와;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정지 화면에 해당하는 현재 프레임의 서브 필드에 대한 로드 이펙트의 보정을 상기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개수 조정에 의하여 수행하는 단계로 동작이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서브 필드는 10개 내지 12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서스테인 개수는 0 내지 12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method of preventing a load effect generated when a still picture is displayed on a plasma display panel, the method comprising: separately obtaining an average value of loads for each of a plurality of subfields forming a previous frame; And performing a correction of the load effect on the subfield of the current frame corresponding to the still picture based on the average value by adjusting the number of sustains of the subfield, wherein the subfields include 10 to 12 subfields. It is preferable to be composed of dogs, and the number of sustain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 to 1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로드 이펙트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load effec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PDP와 같이 한 프레임의 계조 구현을 위하여 다수의 서브 필드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display that uses a plurality of subfields to implement gradation of one frame, such as a PDP, is targeted.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로드 이펙트 방지 장치는 정지 화면에서 다수의 서브 필드(sub field)로 한 프레임(frame)의 계조(階調, gradation)를 표현하는 계조부(10); 및 이전 프레임의 서브 필드 각각에 대한 로드(load)들의 평균값을 별도로 구하고,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정지 화면에 해당하는 현재 프레임의 각 서브 필드에 대한 로드 이펙트를 보정하는 보정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a load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gradation unit 10 for expressing gradation of one frame in a plurality of sub fields in a still picture; And a correction unit 20 for separately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of loads for each subfield of a previous frame and correcting a load effect for each subfield of a current frame corresponding to a still picture based on the average value. consist of.

상기 계조부(10)는 PDP와 같은 기기에서 한 프레임의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요소로, 도 5에서는 상기 계조의 구현이 직접 반영되는 각 서브 필드와 별도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서브 필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gradation unit 10 is an element for implementing gradation of one frame in a device such as a PDP. Although the gradation unit 10 is illustrated separately from each subfield in which the gradation is directly reflected, it is a concept including the subfield. May be used.

한편, 상기 프레임은 10개 내지 12개의 서브 필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 서브 필드에 대해서, 발광시킬 셀(cell)을 선택하는 어드레스부와; 상기 어드레스부에서 선택된 셀의 발광 지속(서스테인, sustain)시간을 서스테인 개수에 의하여 결정짓는 서스테인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rame is preferably composed of 10 to 12 sub-fields, and as shown in Figure 2, for each sub-field, an address unit for selecting a cell to emit ligh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ustain section which determines the light emission sustain time of the cell selected by the address section by the number of sustains.

참고로, 계조(階調, gradation)란 이미지 화상에서 농도가 가장 짙은 부분에서 가장 옅은 유효농도부까지의 농도 이행단계를 뜻하는 용어로서, 고름새(고른 상태나 모양)의 변화를 지각적으로 나타내는 말이다. 고농도부에서 중간조부(하프 톤)와 저농도부까지의 고름새가 잘 갖추어져 있으면 계조가 풍부하다고 하며, 농담의 단계가 점진적이면 연조(軟調), 그것이 급격하면 경조(硬調)라 한다.For reference, gradation is a term that refers to the concentration transition stage from the highest concentration to the lightest effective concentration in an image image. I mean. If there are well-balanced pus from the high concentration to the middle tone (half tone) and low concentration, gradation is said to be abundant.

상기 보정부(20)는 로드 이펙트를 방지하는 요소로서, 이전 프레임의 서브 필드 각각에 대한 로드들의 평균값(Lref)을 별도로 도출하여 로드 이펙트 방지 작업시의 기준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전 프레임의 로드값을 사용하는 것은 연속된 프레임간에서 인접한 두개의 프레임간의 변화가 크지 않으며, 평균값 자체가 계산 대상 데이터의 전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The correction unit 20 is a factor for preventing a load effect, and separately derives an average value L ref of loads for each subfield of a previous frame and serves as a reference for a load effect prevention operation. This use of the load value of the previous frame is because the change between two adjacent frames between successive frames is not large, and the average value itself requires the entire calculation target data.

현재 프레임을 대상으로 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반영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이미 현재 프레임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 상태에서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반영하여 로드 이펙트 방지를 위한 밝기 보정을 하게 된다면 밝기가 새롭게 조정될 것이므로, 밝기의 변화가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전 프레임의 서브 필드 각각에 대한 로드들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이며, 실질적으로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간에는 큰 차이가 없으므로, 이전 프레임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기준값을 설정하는 것에 무리는 없다.Assuming that the average value is obtained from the current frame and reflects it, the current frame is already displayed. Therefore, if the average value is obtained from this state and the brightness correction is performed to prevent the load effect, the brightness is newly adjusted. Therefore, a change in brightness may occur, which may cause discomfort to the user. Therefore, the average value of the loads for each subfield of the previous frame is used as a reference, and since there is substantially no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frame and the current frame, it is not unreasonable to set the reference value of the current frame using the previous fram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전 프레임을 인접한 바로 이전의 프레임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1초당 60프레임 정도가 사용되는 현실에서 몇 단계 이전 프레임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서 그 이전의 프레임이 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previous frame is described as the immediately preceding frame. However, since the previous frame may be used in a situation in which about 60 frames per second are used, the previous frame may be used. have.

도 6에 이전 프레임을 형성하는 각 서브 필드의 로드값을 나타내었으며, 현재 프레임이 정지 화면인 경우 로드 이펙트 보정의 기준으로 상기 도 6의 각 서브 필드의 로드의 평균값을 사용한다.In FIG. 6, the load values of the respective subfields forming the previous frame are shown. When the current frame is a still picture, the load value of each subfield of FIG. 6 is used as a reference for the load effect correction.

상기 이전 프레임의 서브 필드 로드의 평균값 Lref는 일 예로서, 아래의 식The average value L ref of the subfield load of the previous frame is an example,

Lref = (L1 + L2 + L3 + … + Ln)/n L ref = (L 1 + L 2 + L 3 +… + L n ) / n

n : 서브 필드의 수n: number of subfields

Ln : 서브 필드의 로드L n : Load of subfields

에 의하여 구하여질 수 있다.Can be obtained.

본 실시예에서의 요점은 정지 화면의 로드 이펙트의 방지를 위한 기준을 별도로 마련하고, 이때 마련되는 기준은 변동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도록 설정하는 것 이므로, 상기 이전 프레임의 서브 필드의 로드 L1, L2, L3,…, Ln에서 하나의 로드를 선택하여 이를 상기 평균값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The point of this embodiment is to provide a separate reference for preventing the load effect of the still picture, and the reference is set so that it is fixed without being changed, so that the load L 1 , L of the subfield of the previous frame is fixed. 2 , L 3 ,.. One load may be selected from L n and used instead of the average value.

그러나, 이전 프레임의 서브 필드의 로드 L1, L2, L3,…, Ln의 평균값인 Lref는 현재의 서브 필드의 로드들의 평균값과 근사할 것이므로, 로드 이펙트 보정시 수행되는 밝기 조정의 정도(폭)가 다른 기준을 선택했을 경우보다 적게 된다. 이를 통하여 로드 이펙트의 방지가 수행된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간의 이질감 등이 감소되어 사용자에게 쾌적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평균값 Lref를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load L 1 , L 2 , L 3 ,... Of the subfield of the previous frame. Since L ref, which is an average value of L n , will approximate an average value of the loads of the current subfield, the degree (width) of brightness adjustment performed at the time of the load effect correction is less than that of selecting another criterion. Since the heterogeneity between the current frame and the previous frame where the prevention of the load effect is performed can be reduced to provide a comfortable screen to the user, it is preferable to use the average value L ref as a reference.

상기 보정부(20)는 이렇게 구해진 평균값 Lref를 기준으로 정지 화면에 해당하는 현재 프레임의 각 서브 필드에 대한 로드 이펙트를 보정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PDP에서는 각 서브 필드의 밝기를 결정하는 서스테인 개수를 증감시켜 수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서스테인 개수는 0 ~ 12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rection unit 20 corrects the load effect for each subfield of the current frame corresponding to the still picture based on the average value L ref obtain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n the PDP, the number of sustains for determining the brightness of each subfield is determined. It will be perform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At this time, the number of sustain used preferably has a range of 0 to 12.

이상에서 살펴본 상기 보정부(2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전 프레임의 각 서브 필드에 대한 로드들의 평균값을 구하는 평균값 추출부와; 상기 평균값 추출부에서 추출된 평균값을 기준으로 현재 프레임의 각 서브 필드의 로드 이펙트 보정을 서스테인 개수 조정에 의하여 수행하는 서스테인 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의 로드 이펙트 방지 장치의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이전 프레임을 형성하는 다수의 서브 필드 각각에 대한 로드 L1, L2, L3,…, Ln의 평균값 Lref를 상기 평균값 추출부를 통하여 별도로 구하고(S 110), 상기 평균값 Lref를 기준으로 정지 화면에 해당하는 현재 프레임의 서브 필드에 대한 로드 이펙트의 보정을 상기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개수 조정에 의하여 수행하게 된다(S 120).Looking at the correction unit 20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the average value extraction unit for obtaining the average value of the load for each sub-field of the previous fram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ustain adjustment unit for performing a load effect correction of each sub-field of the current frame by adjusting the number of sustains based on the average value extracted by the average value extraction unit, the operation of the load effect prevention device of such a configuration Referring to FIG. 7, first, the loads L 1 , L 2 , L 3 ,...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forming the previous frame. In addition, the average value L ref of L n is separately obtained through the average value extracting unit (S 110), and the load effect correction for the sub field of the current frame corresponding to the still picture based on the average value L ref is performed. It is performed by the adjustment (S 120).

앞에서, 상기 평균값 추출부 및 서스테인 조정부를 보정부의 요소로 하였으나, 상기 서스테인 조정부는 계조부와 연관이 되어 구성이 될 수 있으며, 그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거나 이를 변경시켜 구성 가능하다. 즉, 계조부의 서스테인부와 보정부의 서스테인 조정부의 기능이 같으므로, 상기 두 요소를 하나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보정부는 결국 이전 프레임의 서브 필드 각각에 대한 로드(load)들의 평균값을 별도로 구하고,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로드 이펙트(load effect) 보정이 되도록 상기 계조부에 의해 표현되는 프레임의 계조(각 서브 필드의 밝기-서스테인 개수-로 결정)를 조정하는 것이 된다.In the above, although the average value extracting section and the sustain adjusting section are elements of the correcting section, the sustain adjusting section may be configured in association with the gray scale section, and the configuration may be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or may be changed. That is, since the sustain part of the gradation part and the sustain adjustment part of the correction part have the same function, the two elements can be combined and used as one. In this case, the correction unit separately obtains an average value of loads for each of the subfields of the previous frame, and adjusts the gray level of the frame represented by the grayscale unit so that load effect correc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average value. The brightness of each subfield-determined by the number of sustains.

이상에서 살펴본 본 실시예에 따른 로드 이펙트 방지 장치를 정리해 보면,In summary, the load effect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① 이전 프레임을 형성하는 각 서브 필드에 대한 로드들의 평균값을 구함① Obtain average value of loads for each subfield forming the previous frame

② 상기 평균값(고정)을 현재 프레임의 로드 이펙트 방지를 위한 기준으로 사용② The average value (fixed) is used as a reference for preventing the load effect of the current frame.

하는 것으로, 결국은 로드 이펙트 제거를 위한 기준으로 고정된 별도의 평균값을 제시하는 것이며, 상기 평균값은 PDP의 경우 연속된 영상에 사용되는 계산된 값(테이블화되어 있음)과는 구별되는 값이 된다.In the end, a fixed average value is presented as a reference for removing the load effect, and the average value is a value that is different from the calculated value (tabled) used in the continuous image in the case of the PDP. .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이펙트 방지 장치 및 방법은 이전 프레임을 형성하는 각각의 서브 필드에 대한 로드들의 값을 평균낸 별도의 값을 현재 프레임의 로드 이펙트 방지 시의 기준으로 사용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 load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eparate value obtained by averaging values of loads for each subfield forming a previous frame as a reference for preventing a load effect of a current frame. do.

이를 통하여, 종래 문제시되던 정지 화면에 있어서의 깜빡꺼림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제품 전체에 대한 신뢰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flicker in the still image, which has been a problem in the past, can be prevented, and the user can satisfy the reliability of the entire product.

Claims (8)

정지 화면에서 다수의 서브 필드(sub field)로 한 프레임(frame)의 계조(階調, gradation)를 표현하는 계조부; 및A gradation unit for expressing gradation of one frame in a plurality of sub fields in a still picture; And 이전 프레임의 서브 필드 각각에 대한 로드(load)들의 평균값을 별도로 구하고,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로드 이펙트(load effect) 보정이 되도록 상기 계조부에 의해 표현되는 프레임의 계조를 조정하는 보정부A correction unit for separately obtaining an average value of loads for each of the subfields of the previous frame, and adjusting the gray level of the frame represented by the gray level unit to perform a load effect correction based on the average value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드 이펙트 방지 장치.Load effect prevention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 필드의 수는 10개 내지 1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이펙트 방지 장치.And 10 to 12 subfields constituting th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계조부는 각 서브 필드에 대해서The gradation unit for each subfield 발광시킬 셀(cell)을 선택하는 어드레스부와;An address unit for selecting a cell to emit light; 상기 어드레스부에서 선택된 셀의 발광 지속(서스테인, sustain)시간을 서스테인 개수에 의하여 결정짓는 서스테인부Sustain section which determines the light emission sustain time of the cell selected in the address section by the number of sustain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이펙트 방지 장치.Load effect prevention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정부는 이전 프레임의 각 서브 필드에 대한 로드들의 평균값을 구하는 평균값 추출부와;The corrector comprises: an average value extractor for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of loads for each subfield of a previous frame; 상기 평균값 추출부에서 추출된 평균값을 기준으로 현재 프레임의 각 서브 필드의 로드 이펙트 보정을 서스테인 개수 조정에 의하여 수행하는 서스테인 조정부A sustain adjusting unit which performs load effect correction of each subfield of the current frame by adjusting the number of sustains based on the average value extracted by the average value extracting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이펙트 방지 장치.Load effect prevention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로드 이펙트 방지 장치가 구비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Plasma display panel (PDP) equipped with the load effect prevention apparatus of any one of Claims 1-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지 화면 표현시 발생되는 로드 이펙트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eventing a load effect generated when the still pictur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s represented, 이전 프레임을 형성하는 다수의 서브 필드 각각에 대한 로드들의 평균값을 별도로 구하는 단계와;Separately obtaining an average value of load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forming the previous frame;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정지 화면에 해당하는 현재 프레임의 서브 필드에 대한 로드 이펙트의 보정을 상기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개수 조정에 의하여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a correction of a load effect on a subfield of a current frame corresponding to a still picture based on the average value by adjusting the number of sustains of the subfiel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이펙트 방지 방법.Load effect prevention method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서브 필드는 10개 내지 12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이펙트 방지 방법.The sub-field is 10 to 12, characterized in that the load effect prevention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서스테인 개수는 0 내지 12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이펙트 방지 방법.The sustain number is a load effect preven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ange of 0 to 12.
KR1020070006577A 2007-01-22 2007-01-22 Apparatus for load effect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KR200800690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577A KR20080069011A (en) 2007-01-22 2007-01-22 Apparatus for load effect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577A KR20080069011A (en) 2007-01-22 2007-01-22 Apparatus for load effect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011A true KR20080069011A (en) 2008-07-25

Family

ID=3982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577A KR20080069011A (en) 2007-01-22 2007-01-22 Apparatus for load effect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901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377B1 (en) Displaying method for plasma display device
JP4799890B2 (en) Display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441528B1 (en) Apparatus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to enhance expression of gray scale and color, and method thereof
US7515120B2 (en) Apparatus for removing load effect in plasma display panel
JP4165710B2 (en)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plasma display panel
JP2005024717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US71421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rayscale of plasma display panel
JP5049445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67279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s on a matrix display device
JP2004045886A (en) Display device
US20080266213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automatic power control method for generating address data of plasma display device
JP2006268046A (en) Plasma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fo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for plasma display panel
JP2006195461A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US20060125723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80069011A (en) Apparatus for load effect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US20090179889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050096082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lasma display panel
KR20080112908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JP2002006794A (en) Display device
JP2004191610A (en)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JP51288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ow load effect
KR100684728B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of
KR101431620B1 (en) Method for reverse-gamma compensation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536248B1 (en) A plasma display panel, a luminanc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060093232A (en) Apparatus of removing flicker for plasma display panels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