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485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485A
KR20080068485A KR1020070006324A KR20070006324A KR20080068485A KR 20080068485 A KR20080068485 A KR 20080068485A KR 1020070006324 A KR1020070006324 A KR 1020070006324A KR 20070006324 A KR20070006324 A KR 20070006324A KR 20080068485 A KR20080068485 A KR 20080068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hortcut
f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6315B1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6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315B1/ko
Priority to US12/014,622 priority patent/US20080171580A1/en
Priority to EP08000777A priority patent/EP1947828A1/en
Priority to CN2008100046832A priority patent/CN101242605B/zh
Publication of KR20080068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6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pictorial or graphical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5Methods of retrieving data using interactive graphical means or pictorial represen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컨텐츠 설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매핑할 단축번호 선택을 위한 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단축번호에 폴더를 연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METHOD FOR SETTING AN ABBREVIATED FOLD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PLAYING CONTENT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단축 폴더 설정방법에 따라 단축 폴더가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단축 폴더 설정방법에 따라 단축 폴더가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방법 중 일례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입력부
120: 음향 출력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160: 무선 송수신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컨텐츠를 단축번호와 연계시키는 방법 및 단축번호와 연계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 안을 임의로 이동하면서 기지국(BS: Base Station)을 통해 일반전화 가입자 또는 다른 이동통신 전화기와 통화를 수행하거나, 휴대하면서 개인 정보관리,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의 정보교류를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근래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화상이나 동영상의 송수신, 가상 3차원 음향 및 스테레오 사운드 구현, MP3 플레이어 기능, 사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내장등 하루가 다르게 그 성능이 향상된 이동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모리의 증가가 요구되고 있고, 증가된 메모리를 이용하여 데이터나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컨텐츠를 단축번호와 연계시키는 단축 컨텐츠 설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축번호와 연계된 단축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매핑할 단축번호 선택을 위한 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단축번호에 폴더를 연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키 신호 입력을 위한 입력부; 단축번호와 연계된 폴더가 구비된 저장부;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에 존재하는 음악파일 또는 벨소리 파일 재생을 위한 음향 출력부;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에 존재하는 이미지 파일 재생을 위한 표시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1단축번호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제1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 존재하는 컨텐츠 재생에 대한 명령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및 무선 신호 송수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통신을 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터 등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컨텐츠 설정방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로서,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입력부(110), 음향 출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 및 무선 송수신부(16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컨텐츠 설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단축 컨텐츠 설정방법에 따라 단축 컨텐츠가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단축 컨텐츠 설정방법에 따라 단축 컨텐츠가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축 컨텐츠"는 단축번호와 연계된 컨텐츠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단축번호와 연계되는 컨텐츠는 상기 단축번호와 연계된 폴더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단축번호와 연계되는 컨텐츠가 상기 단축번호와 연계된 폴더 내에 존재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컨텐츠 설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 기술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를 말하는 것으로, 하기의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먼저, 제어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0) 조작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단축번호 관리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110). 이와 같이, 단축번호 관리 모드로 진입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단축번호 관리 화면은 테이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단축번호 관리 화면을 통해 컨텐츠와 매핑할 단축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S120). 상기의 단축번호 관리 화면은 표시부(130)에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부(110)를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성하여, 터치에 의해 매핑할 단축번호를 선택할 수 있지만, 입력부(110)의 구성이 터치 스크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종류에 따라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다만, 입력부(11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는 입력부(110)는 표시부(13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 경우는 표시부(130)의 터치를 통해 키 신호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컨텐츠 탐색기를 통해 선택된 단축번호에 매핑될 컨텐츠를 검색한다(S130). 컨텐츠 검색은 컨텐츠 탐색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화면에서 "단축폴더"선택하면 컨텐츠 탐색기 화면으로 변환되고, 컨텐츠 탐색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폴더를 선택할 수 있다. 원하는 폴더를 선택한 후에 "설정" 키가 입력되면, 선택된 폴더가 선택된 단축번호에 매핑 된다(S140). 도 5는 "김태희 폴더"가 단축번호 1에 매핑된 것을 나타낸다.
다음은 단축 컨텐츠 설정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 1,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먼저, 사용자는 입력부(110) 조작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컨텐츠 검색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210). 이와 같이, 컨텐츠 검색 모드로 진입한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컨텐츠 검색모드에서 단축번호와 연계시키기 원하는 폴더를 선택한다(S220). 그리고 "메뉴"를 선택한 후 선택된 폴더에 지정될 단축번호를 선택한다(S230). 그리고 "확인"에 대응되는 키를 선택하여 지정된 단축번호와 선택된 폴더를 연계시킬 수 있다(S240).
예를 들어, 도 6에서는 "김태희 폴더"를 선택하여 단축번호 1에 연계시켜 단축 컨텐츠를 설정하는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음은 상술한 방법으로 설정된 단축 컨텐츠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술한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방법으로 설정된 단축 폴더는 폰북과 연동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을 도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150)는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S310).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신호는 사용자의 입력부(110) 조작에 의해 입력받을 수도 있고, 무선 송수신부(110)를 통해 다른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자동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물론, 상기한 방법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신호는 다른 키 신호와 함께 제어부(150)에 입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신호들(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신호와 다른 키 신호)이 동시에 입력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를 검색한다(S320).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는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종류에 맞게 재생한다(S330). 상술한 컨텐츠 재생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재생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에 저장된 컨텐츠는 폰북과 연동되어 재생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발신 및 수신 시에 컨텐츠가 재생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축번호 1이 "김태희 폴더"와 연계되면서, 동시에 폰북의 김태희 이름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와 연계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김태희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표시부(130)를 통해 김태희 폴더 내에 존재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의 디스플레이는 김태희 폴더 내의 디폴트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저장된 영상의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저장된 영상의 랜덤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는 콜(call) 신호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단축번호 1은 "김태희 폴더" 및 "폰북의 김태희 이름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와 연계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단축번호 1에 해당하는 김태희의 전화번호로 발신할 경우, 김태희 폴더 내에 존재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의 디스플레이는 김태희 폴더 내의 디폴트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저장된 영상의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저장된 영상의 랜덤(random)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단축번호 1에 연계된 김태희 폴더 음악파일 또는 벨소리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음악 또는 벨소리가 음향 출력부(120)를 재생될 수도 있다. 상기 음악 또는 벨소리 재생은 김태희 폴더 내 디폴트된 음악 또는 벨소리의 재생일 수도 있고, 상기 김태희 폴더 내 저장된 음악 또는 벨소리의 순차적 재생 또는 랜덤(random) 재생일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음악 또는 벨소리가 재생되면서, 동시에 상술한 영상이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메시지 작성시에 컨텐츠가 재생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번호 1에 해당하는 김태희의 전화번호로 메시 지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메시지 작성 중 김태희 폴더 내에 존재하는 영상이 배경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정지영상일 수 있다.
또한, 도 9에 단축번호 1에 해당하는 김태희의 전화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메시지 작성 중 김태희 폴더 내에 존재하는 음악 파일이 재생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메시지 작성 중에 확장자가 "mp3"인 파일이 재생될 수 있다. 상기 재생은 디폴트된 "mp3"파일의 재생, 저장된 "mp3"파일의 순차적 재생 또는 랜덤 재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재생은 폰북 연동과 무관하게 재생될 수도 있다.
도 10은 음악재생 모드에 해당하는 키 신호와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신호를 함께 입력받은 경우 컨텐츠가 재생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번호 1에 해당하는 신호와 음악재생 모드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함께 입력받은 경우, 제어부(150)는 단축번호 1과 연계된 김태희 폴더 내에 존재하는 음악파일만을 선별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에 저장된 컨텐츠는 입력부(110) 키 조작을 통해 다른 폴더로 상의 이동 또는 복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컨텐츠 설정방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단축번호와 연계시켜 저장함으로써, 컨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축번호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존재하는 컨텐츠와 폰북을 연동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 및 재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1)

  1. 매핑할 단축번호 선택을 위한 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단축번호에 폴더를 연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할 단축번호 입력단계는
    단축번호 관리 모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할 단축번호 입력단계는
    컨텐츠 검색모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는
    폰북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는
    폰북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 법.
  6.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은
    상기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부터 무선 신호 수신시,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은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전호번호로 발신시,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은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전호번호로 메시지 작성시,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10.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는
    이미지 파일, 벨소리 파일 및 음악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은
    제1컨텐츠 재생 모드에 대응되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에 존재하는 제1컨텐츠와 동일한 종류의 컨텐츠만을 선별하여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텐츠 재생 모드는
    음악 재생 모드, 벨소리 재생 모드, 영상 재생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은
    디폴트된 컨텐츠 파일의 재생, 상기 제1컨텐츠와 동일한 종류의 컨텐츠의 순차적 재생 및 랜덤 재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는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로부터 다른 폴더로 복사 또는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15. 키 신호 입력을 위한 입력부;
    단축번호와 연계된 폴더가 구비된 저장부;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에 존재하는 음악파일 또는 벨소리 파일 재생을 위한 음향 출력부;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에 존재하는 이미지 파일 재생을 위한 표시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1단축번호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제1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 존재하는 컨텐츠 재생에 대한 명령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및
    무선 신호 송수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발신시, 상기 제1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 존재하는 컨텐츠 재생에 대한 명령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메시지 작성시, 상기 제1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 존재하는 컨텐츠 재생에 대한 명령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부터 무선 신호 수신시, 상기 제1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 존재하는 컨텐츠 재생에 대한 명령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컨텐츠 재생 모드에 대응되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 내에 존재하는 제1컨텐츠와 동일한 종류의 컨텐츠만을 선별하여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텐츠 재생 모드는
    음악 재생 모드, 벨소리 재생 모드, 영상 재생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은
    디폴트된 컨텐츠 파일의 재생, 상기 제1컨텐츠와 동일한 종류의 컨텐츠의 순차적 재생 및 랜덤 재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006324A 2007-01-16 2007-01-1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 KR101366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324A KR101366315B1 (ko) 2007-01-19 2007-01-1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
US12/014,622 US20080171580A1 (en) 2007-01-16 2008-01-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of interconnecting specific content to abbreviated number thereof and method of playing abbreviated number interconnected content thereof
EP08000777A EP1947828A1 (en) 2007-01-19 2008-01-1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of interconnecting specific content to abbreviated number thereof and method for playing abbreviated number interconnected content thereof
CN2008100046832A CN101242605B (zh) 2007-01-19 2008-01-21 移动通信终端、将特定内容关联到简略号码的方法、以及播放与简略号码关联的内容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324A KR101366315B1 (ko) 2007-01-19 2007-01-1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485A true KR20080068485A (ko) 2008-07-23
KR101366315B1 KR101366315B1 (ko) 2014-02-20

Family

ID=3947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324A KR101366315B1 (ko) 2007-01-16 2007-01-1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171580A1 (ko)
EP (1) EP1947828A1 (ko)
KR (1) KR101366315B1 (ko)
CN (1) CN1012426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16893B (zh) * 2013-09-27 2017-11-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信息存储方法、装置和通讯终端
CN105630293A (zh) * 2015-12-29 2016-06-01 黄邦宏 企业识别系统生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4027B2 (en) * 2000-08-24 2004-03-0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Portable terminal
US7096010B2 (en) * 2000-11-30 2006-08-22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and executing features in a personal wireless handset
JP2002176679A (ja) * 2000-12-07 2002-06-21 Toshiba Corp 移動無線端末装置
US7735021B2 (en) 2001-02-16 2010-06-08 Microsoft Corporation Shortcut system for use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JP3731525B2 (ja) * 2001-11-09 2006-01-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547792B1 (ko) * 2002-10-24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경화면의 이미지파일을 변경할 수 있는 무선 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배경화면의 이미지파일 표시방법
DE10326807A1 (de) 2003-06-13 2005-01-13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bilteils sowie Mobilteil
WO2005052804A1 (ja) * 2003-11-27 2005-06-0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通信機器
KR100664112B1 (ko) * 2004-02-20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핫키 실행 방법
KR100644033B1 (ko) * 2004-09-13 2006-11-10 주식회사 팬택 메시지 작성시 이미지 검색에 의한 수신자 확인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99039A (ko) * 2005-03-10 2006-09-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실행 장치 및 방법
US20070154009A1 (en) * 2006-01-05 2007-07-05 Kirk Cameron Systems and methods for audibly indicating incoming telephone calls
US7606554B1 (en) * 2006-06-29 2009-10-20 At&T Mobility Ii Llc Systems for providing wireless account feature notifications to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20080095078A1 (en) * 2006-10-23 2008-04-24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alling-party-designated ring announcement to a called party terminal
US20080108386A1 (en) * 2006-11-03 2008-05-08 John Har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47828A1 (en) 2008-07-23
US20080171580A1 (en) 2008-07-17
CN101242605B (zh) 2013-03-06
KR101366315B1 (ko) 2014-02-20
CN101242605A (zh)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539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ata input method
US7822318B2 (en) Smart random media object playback
JP5688061B2 (ja) 携帯端末内でメッセージを管理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並びに電子装置
JP5696857B2 (ja) 関連情報の表示方法、及び携帯通信端末
JP2010219824A (ja) モバイル通信端末及びモバイル通信システム
KR1013969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방법
KR20090013259A (ko) 유비쿼터스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20014295A1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8866932B2 (en) Voice recordable terminal and its image processing method
JP2011147019A (ja) 携帯端末装置
CN100479615C (zh) 在移动通信终端中处理数据的方法
KR1013663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48165B1 (ko) 휴대전화 및 그 데이터 검색방법
KR20020050290A (ko) 무선 전화를 위한 주변 메모리 디바이스 및 이들을구현하고 사용하는 방법
KR1013564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1635967B1 (ko) 터치스크린 휴대기기 및 상기 터치스크린 휴대기기에서 수행되는 메시지 전송 방법
CN106303084A (zh) 一种信息记录的方法及装置
KR2008009373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볼륨 제어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21340B1 (ko) 작업 상태 저장/재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작업 상태 저장/재생 방법
KR101098462B1 (ko) 무작위적인 착신음 출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KR1006019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KR20070100504A (ko) 단축 번호를 이용한 음악 재생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장치 및 방법
JP2006174044A (ja) サーバー、サーバー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携帯電話機の着信メロディー・動画再生プログラム、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5174214A (ja) 通信端末装置
KR2008005375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데이터 이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