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889A - 가로등장치 - Google Patents

가로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889A
KR20080067889A KR1020070005360A KR20070005360A KR20080067889A KR 20080067889 A KR20080067889 A KR 20080067889A KR 1020070005360 A KR1020070005360 A KR 1020070005360A KR 20070005360 A KR20070005360 A KR 20070005360A KR 20080067889 A KR20080067889 A KR 20080067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socket
cover
heigh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성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성조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성조명
Priority to KR1020070005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7889A/ko
Publication of KR20080067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내의 램프를 설치위치의 사방 조정 또는 높낮이의 조절 고정이 가능함으로 일반 도로의 가로수보다 낮은 높이에서도 조명효과를 최대한 높힐 수 있는 경제적인 가로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종래 등주의 길이보다 낮은 3 - 5 m 길이의 등주에 전면의 내부 안쪽 오목렌즈와 후면의 덮개가 설치되는 몸체를 구성하여; 상기 몸체 내에는 하부의 소켓을 통해 램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는 열고 닫을 때 사용되는 상부의 경첩과 하부의 클립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경첩측에는 실리콘 패킹이 설치되어 완전 밀폐시키며, 이 덮개의 안쪽 중앙으로는 반사판이 설치되어 상기 소켓상의 램프를 뒤쪽에서 간격을 두고 감싸주고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가로등, 조명효과, 가로수, 소켓, 램프높낮이, 가로등장치

Description

가로등장치{STREET LIGHT APPARATU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로등장치를 도시해 놓은 설치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가로등장치에서 덮개가 열려져 있는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가로등장치에서 소켓내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가로등장치가 설치되어져 있는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로등장치를 도시해 놓은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가로등장치에서 조정판을 도시해 놓은 상태도,
도 7 은 본 발명의 가로등장치가 설치되어져 있는 상태도,
도 8 은 종래의 가로등장치가 설치되여져 있는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20 : 렌즈
30 : 덮개 40 : 등주(POLE)
50 : 조정판
본 발명은 몸체내의 램프를 설치위치의 사방 조정 또는 높낮이의 조절 고정이 가능함으로 일반 도로의 가로수보다 낮은 높이에서도 조명효과를 최대한 높힐 수 있는 개량된 경제적인 가로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통 조명기구의 배치 및 배열, 조명기구 설치간격 및 높이, 소정의 조명연출법, 그리고 공간에 적합한 조명기구의 선택에 따라 정량적 조도계획과 정성적 조도계획에 의해 설계된 것을 옥외 건강조명이라고 한다. 이와 더불어 정량적 조도계획은 신체적, 생리적 측면을 기준으로 물리적인 밝기 계획을 의미하며, 정성적 조도계획은 정신적,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을 기준으로 연출적인 조명 계획을 의미한다.
한편, 가로등을 이용한 가로조명은 차량, 보행자, 자연물 및 설치물 등을 위한 것으로, 도로의 이용자로 하여금 신속, 정확하고 편리한 시각을 유도할 수 있는 야간 환경을 조성함에 따라 어두운 조건 하에서 안전한 이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하에 계획되고 있다. 상기 가로조명의 계획은 공간 전체 조명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 공간들과의 조명 밸런스를 잘 파악하여 조명계획을 세워야 한다.
따라서, 정성적 조도계획은 이용자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조명기구, 기구의 설치 높이, 배치, 배열 방법 및 광원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가로조명의 현황을 살펴보면, 밝기만을 고려한 정량적 조도계획에 따라 대부분의 가로등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며, 가로등 배치계획의 미비로 수목에 피해를 주 거나 조명효율이 저하되며, KS 조도기준 이하의 밝기 부여로 잠재적인 장애물을 숨겨 이용자들의 신체적 위협 가능성이 높은 형편이다.
가로등의 높이가 적절하지 않을 경우 이용자들에게 빛공해가 발생될 수 있다. 주택건설기준 등의 규정에서 설치간격 50m 이내로 보안등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고, 가로등의 등주는 일직선상에 설치 및 배열되어 있다. 종래의 가로등은 벽체 등과 같은 조형물이나 나무 등과 같은 자연물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지만, 적절한 가로등 배치계획에 의하지 않고 단순히 설치기준만을 만족하도록 되어 있다.
도 8 은 종래의 가로등장치가 설치되여져 있는 상태도이다. 종래의 가로등장치는 등주가 10 - 12 m 가로수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설치됨으로, 배광의 특성 및 형태를 고려하지 않고 상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무분별하게 방사되는 단 하나의 고정 광원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어둠과 밝음의 패턴이 주변 조형물에 간섭을 받아 보행자 또는 이용자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몸체내의 램프를 설치위치의 사방 조정 또는 높낮이의 조절 고정이 가능함으로 몸체 전면의 렌즈를 통해 빛의 확산을 충분히 넓혀주어 일반 도로의 가로수보다 낮은 높이에서도 조명효과를 최대한 높힐 수 있는 개량된 가로등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낮은 전주에서도 램프를 위치 조정하여 몸체의 렌즈와의 조사 중앙 또는 그 주변을 조절해줌으로 조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경제적인 가로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내 램프의 조사를 내부 오목한 전면의 렌즈를 통해 필요한 지점에서 빛을 조사하여 균조도가 좋아지고, 이 렌즈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램프를 좌우 상하로 조절하여 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로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 등주의 길이보다 낮은 3 - 5 m 길이의 등주에 전면의 내부안쪽 오목렌즈와 후면의 덮개가 설치되는 몸체를 구성하여; 상기 몸체 내에는 하부의 소켓을 통해 램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는 열고 닫을 때 사용되는 상부의 경첩과 하부의 클립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경첩측에는 실리콘 패킹이 설치되어 완전 밀폐시키며, 이 덮개의 안쪽 중앙으로는 반사판이 설치되어 상기 소켓상의 램프를 뒤쪽에서 간격을 두고 감싸주고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특징은, 종래 등주의 길이보다 낮은 3 - 5 m 길이의 등주에 전면의 내부안쪽 오목렌즈와 후면의 덮개가 설치되는 몸체를 구성하여; 상기 몸체 내에는 하부의 소켓을 통해 램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는 열고 닫을 때 사용되는 상부의 경첩과 하부의 클립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경첩측에는 실리 콘 패킹이 설치되어 완전 밀폐시키며, 이 덮개의 안쪽 중앙으로는 반사판이 설치되어 상기 소켓상의 램프를 뒤쪽에서 간격을 두고 감싸주고; 상기 소켓에는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다수의 구멍이 나있는 고정봉과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소켓 타측으로 2 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중앙 구멍을 통해 상하로 배열된 구멍들에 해당 부위로 결합 고정시켜 사방으로 조정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로등장치를 도시해 놓은 설치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몸체(10)내의 램프(14)의 높낮이를 조절 고정시켜 렌즈(20)와의 조사 센터를 조절하게 됨으로 일반 도로의 가로수보다 낮은 높이에서도 조명효과를 최대한 높힐 수 있는 경제적인 가로등장치인 것이다.
종래 10 - 12 m 가로등의 등주보다 낮은 예컨데 3 - 5 m 등주(40)의 높이에서도 몸체(10)내 램프(14)의 조사를 내부 오목한 전면의 렌즈(20)를 통해 사방으로 잘 퍼지게 된다. 상기 렌즈(20)가 설치된 몸체(10)에는 하부의 소켓(16)을 통해 램프(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등주(40)와 결합되어 일정한 각도로 기울러져 있도록 고정플랜지(12)로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등주(40)내로 통과하는 전선(18)은 상기 소켓(16)을 통해 램프(14)로 해당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몸체(10)의 뒤쪽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후면의 덮개(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30)는 열고 닫을 때 사용되는 상부의 경첩(34)과 하부의 클립(36) 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경첩(34)측에는 실리콘 패킹(32)이 설치되어 완전 밀폐시키게 된다. 이 덮개(30)의 안쪽 중앙으로는 반사판(38)이 설치되어, 전술한 소켓(16)상의 램프(16)를 뒤쪽에서 간격을 두고 감싸주고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가로등장치에서 덮개가 열려져 있는 상태도이고, 본 발명의 가로등장치에서 몸체(10)내의 램프(14)를 교체할 경우나, 상기 램프(14)의 소켓(16)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몸체(10)로부터 클립(36)을 분리하면 경첩(34)을 일축으로 덮개(30)가 열려져서 차후 조치들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10)내 램프(14)의 조사를 내부 오목한 전면의 렌즈(20)를 통해 사방으로 잘 퍼지게 되어 균조도가 좋아지게 되는 바, 이는 상기 렌즈(20)를 통하여 필요한 지점에서 빛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게 되고, 이 렌즈(20)의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램프(14)를 상하로 조절하여 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렌즈(20)는 중앙 부위(a)가 바깥부위(b)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깥부위(a)가 중앙 부위(a)의 상하 좌우로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몸체(10)의 램프(14) 위치에 따라 필요한 빛이 충분히 조사되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가로등장치에서 소켓내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상태도이다. 몸체내에 설치되는 램프(14)가 소켓(16)상에 놓여지게 되고, 이런 소켓(16)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다수의 구멍(13)이 나있는 고정봉(11)과 볼트(15)를 이용하게 된다.
즉, 램프(14)의 소켓(16)내에는 일정한 간격의 구멍(13)이 배열된 고정봉(11)이 결합되어 있고, 이 고정봉(11)으로부터 밑으로 소켓(16)의 최저부위로 설 정한 다음 볼트(15)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소켓(16)의 램프(14)는 몸체의 안쪽 오목렌즈에서 아래 부분과 중심부분을 향해 투사하게 됨으로 차도 사방으로 조사하여 균조도로 주변을 밟혀주게 된다(도 3(a) 참조).
이와 달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14)의 소켓(16)을 상부로 이동하여 볼트(15)로 고정봉(11)의 해당 구멍(13)에 결합하면 상기 램프(14)는 몸체의 안쪽 오목렌즈에서 윗 부분과 중심부분을 향해 투사하게 됨으로 차도 사방으로 조사하여 주변을 밟혀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낮은 전주에서도 소켓(14)상의 램프(14)를 위치 조정하여 몸체의 렌즈와의 조사중앙을 조절해줌으로 조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가로등장치인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가로등장치가 설치되어져 있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가로등장치는 종래 10 - 12 m 의 등주와 달리 3 - 5 m 의 등주(40)가 차도의 가로수보다 낮은 높이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된 등주(40)상에는 수평상을 기준으로 하향 15 - 40 도를 향하게 몸체(10)가 설치되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등주(40)상의 몸체(10)내 램프는 도 3 와 같이 설치된 소켓(14)을 높낮이함으로, 상기 몸체(10)의 렌즈(20)로 방사되는 빛이 주변 조형물에 간섭을 받지 않게 되어 보행자 또는 이용자가 혼란스럽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보다 등주의 높이가 낮으므로 유지 보수시 별도의 고가 특수장비 등이 불필요하고, 램프의 조사거리 단축으로 광원의 조도가 훨씬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조명이 필요한 곳 이외의 장 소에는 불필요한 조명이 닿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로등장치를 도시해 놓은 상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가로등장치에서 조정판을 도시해 놓은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가로등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가로등장치에 램프설치용 조정판(50)을 설치하여 몸체(10)내 램프(14) 설치위치의 사방 조정을 추가한 것이다. 즉, 종래 등주의 길이보다 낮은 3 - 5 m 길이의 등주에 전면의 내부안쪽 오목렌즈(20)와 후면의 덮개(30)가 설치되는 상기 몸체(10)를 구성한다.
상기 몸체(10) 내에는 하부의 소켓(16)을 통해 상기 램프(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30)는 열고 닫을 때 사용되는 상부의 경첩(34)과 하부의 클립(36)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경첩(34)측에는 실리콘 패킹(32)이 설치되어 완전 밀폐시키게 된다. 이 덮개(30)의 안쪽 중앙으로는 반사판(38)이 설치되어 상기 소켓(16)상의 램프(14)를 뒤쪽에서 간격을 두고 감싸주고 있다.
상기 소켓(16)에는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다수의 구멍(13)이 나있는 고정봉(11)과 볼트(15)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소켓(16)의 타측으로 2 개의 고정돌기(17)가 형성되어 중앙 구멍(52)을 통해 상하로 배열된 구멍(54. 56)에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또는 B 부위로 결합 고정시켜 사방으로 다양한 조정을 도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몸체(10)내의 램프(14)를 설치위치의 사방 조정 또는 높낮이의 조절 고정이 가능함으로 일반 도로의 가로수보다 낮은 높이에서도 렌즈(20)를 통한 조명효과를 최대한 높힐 수 있는 개량된 경제적인 가로등장치를 완성품으 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렌즈(20)는 중앙 부위가 바깥부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깥부위가 중앙 부위의 상하 좌우로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몸체(10)의 램프(14) 위치에 따라 필요한 빛이 충분하고 균일하게 조사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가로등장치가 설치되어져 있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가로등장치를 낮은 높이의 등주(40)에서 몸체(10)의 렌즈(20)를 통해 필요한 각도로 램프의 빛을 좋아진 균조도로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낮은 등주(40)가 3 - 5 m 길이로 작아서 종래보다 제작비가 절약되고, 상기 등주(40)의 높이가 낮아 유지 보수비용이 절약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가로수에 장애 받지 않으며, 등주(40)의 높이가 줄어 빛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광원의 크기가 1/2로 줄어 에너지가 절약되고 있고, 빛이 필요한 부위에 조사됨으로 빛의 확산으로 인한 빛의 공해가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2 차선 내지 8 차선의 거리 차선에 균등하게 조사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눈부심이 없을 뿐만 아니라 가로등의 등주로 인한 도로 경관에 피해를 줄여 쾌적한 도로가 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가로등장치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 실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내의 램프를 설치위치의 사방 조정 또는 높낮이의 조절 고정이 가능함으로 몸체 전면의 렌즈를 통해 빛의 확산을 충분히 넓혀주어 일반 도로의 가로수보다 낮은 높이에서도 조명효과를 최대한 높힐 수 있는 개량된 가로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종래 등주의 길이보다 낮은 3 - 5 m 길이의 등주에 전면의 내부안쪽 오목렌즈와 후면의 덮개가 설치되는 몸체를 구성하여;
    상기 몸체 내에는 하부의 소켓을 통해 램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는 열고 닫을 때 사용되는 상부의 경첩과 하부의 클립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경첩측에는 실리콘 패킹이 설치되어 완전 밀폐시키며, 이 덮개의 안쪽 중앙으로는 반사판이 설치되어 상기 소켓상의 램프를 뒤쪽에서 간격을 두고 감싸주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의 소켓은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다수의 구멍이 나있는 고정봉과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등주에서 수평상을 기준으로 하향 15 - 40 도를 향하게 몸체가 설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내 렌즈는 중앙 부위가 바깥부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이 바깥부위가 중앙 부위의 상하 좌우로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장치.
  5. 종래 등주의 길이보다 낮은 3 - 5 m 길이의 등주에 전면의 내부안쪽 오목렌즈와 후면의 덮개가 설치되는 몸체를 구성하여;
    상기 몸체 내에는 하부의 소켓을 통해 램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는 열고 닫을 때 사용되는 상부의 경첩과 하부의 클립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경첩측에는 실리콘 패킹이 설치되어 완전 밀폐시키며, 이 덮개의 안쪽 중앙으로는 반사판이 설치되어 상기 소켓상의 램프를 뒤쪽에서 간격을 두고 감싸주고;
    상기 소켓에는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다수의 구멍이 나있는 고정봉과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소켓 타측으로 2 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중앙 구멍을 통해 상하로 배열된 구멍들에 해당 부위로 결합 고정시켜 사방으로 조정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내 렌즈는 중앙 부위가 바깥부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이 바깥부위가 중앙 부위의 상하 좌우로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장치.
KR1020070005360A 2007-01-17 2007-01-17 가로등장치 KR20080067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360A KR20080067889A (ko) 2007-01-17 2007-01-17 가로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360A KR20080067889A (ko) 2007-01-17 2007-01-17 가로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889A true KR20080067889A (ko) 2008-07-22

Family

ID=3982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360A KR20080067889A (ko) 2007-01-17 2007-01-17 가로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78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102A (ko) * 2019-01-16 2020-07-24 박수조 가로수 친화형 가로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102A (ko) * 2019-01-16 2020-07-24 박수조 가로수 친화형 가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47738B2 (en) Lighting apparatus using light emitting diode
CN102047036B (zh) Led照明灯
KR100986736B1 (ko) 배광분포 가변형가로등기구
KR101425515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101004786B1 (ko)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조명 장치
KR100921633B1 (ko) 엘이디 가로등
KR20100108797A (ko) 엘이디를 이용한 가로등
KR101760116B1 (ko) 등기구용 빛가림 장치
CN206130779U (zh) 一种防眩光led高杆灯透镜
KR101425516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20080067889A (ko) 가로등장치
JP6555475B2 (ja) 照明方法および照明システム
KR101425520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JP3216147U (ja) 光照射方向の選択が自由な室外灯
JP3160414U (ja) 照明装置及び街路灯
KR102114055B1 (ko) 빛 공해방지를 위한 led기판의 후사광 제어장치
KR101547270B1 (ko) 조사방향 선택이 자유로운 엘이디램프 등기구
KR102078256B1 (ko) 빛 공해 방지용 옥외 조명모듈
KR101049834B1 (ko) 눈부심 방지 및 배광조절이 용이한 엘이디조명기구 및 엘이디조명기구를 가지는 엘이디가로등
KR101103816B1 (ko) Led 조명장치
JP6563772B2 (ja) 照明器具
KR101075506B1 (ko) 횡단 보도 겸용 가로등
AU2013270465A1 (en) Light Spill Controller
KR101693968B1 (ko)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가로등
KR101235622B1 (ko) 감성 및 안전조명 기능 일체형 도로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