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542A -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542A
KR20080067542A KR1020070004961A KR20070004961A KR20080067542A KR 20080067542 A KR20080067542 A KR 20080067542A KR 1020070004961 A KR1020070004961 A KR 1020070004961A KR 20070004961 A KR20070004961 A KR 20070004961A KR 20080067542 A KR20080067542 A KR 20080067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member
sliding structure
magnet
dispos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순
조현준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4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7542A/ko
Publication of KR2008006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4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agnetic or electric supporting means
    • F16C32/0406Magnetic bearings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제1 슬라이더 부재와,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제1 슬라이더 부재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슬라이더 부재와,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제1 자석부와, 가이드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제1 자석부에 대해 자기력을 작용하는 제2 자석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흡착하는 이물질 흡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Sliding structur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도 1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휴대 전화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구조체의 Ⅳ-Ⅳ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딩 구조체의 Ⅴ-Ⅴ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슬라이딩 구조체의 자석부들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슬라이딩 구조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슬라이딩 구조체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슬라이딩 구조체가 슬라이딩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작동상태 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1 슬라이더 부재 122: 수용부
111: 지지부 123: 제2 수용홈
112: 가이드부 130: 제1 자석부
113: 보조 수용부 130a, 140a: 자력선 차폐제
114: 제1 수용홈 140: 제2 자석부
120: 제2 슬라이더 부재 150: 이물질 흡착부
121: 기저부 151: 그루브
100: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슬라이딩 구조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하여 자기력에 의한 슬라이딩 작동이 원활하게 유지되는 휴대용 전가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고 미려한 디자인이 구현될 수 있음을 이유로, 휴대 전화,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슬라이딩 구조가 많이 도입되고 있다.
도 1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휴대 전화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휴대 전화(10)는 표시부(2)가 형성되어 있는 수화부(20)와, 번호키 등의 조작부(3)가 형성되어 있는 송화부(3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전화(10)를 사용하여 통화나 메시지 등을 송수신할 때에는 수화부(20)를 밀어 올려 사용하는데, 휴대 전화(10)에는 슬라이딩 작동을 위해 슬라이딩 구조체(40)가 구비된다.
도 3의 슬라이딩 구조체(50)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89584호에 개시된 것으로, 제1 슬라이더 부재(51)와, 제1 슬라이더 부재(51)에 대해 슬라이딩이 가능한 제2 슬라이더 부재(52)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슬라이더 부재(51)는 말굽 자석 형상의 제1 자기부재(53)를 구비하고, 제2 슬라이더 부재(52)도 말굽 자석 형상의 제2 자기부재(54)를 구비하며, 제1 자기부재(53)와 제2 자기부재(54)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됨으로써, 슬라이딩 작동을 돕는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슬라이딩 구조체(50)에 따르면, 슬라이딩 작동 중에 제1 슬라이더 부재(51)와 제2 슬라이더 부재(52)의 사이에 존재하는 유격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1 슬라이더 부재(51)와 제2 슬라이더 부재(52)의 사이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경우, 슬라이딩 구조체(50)의 슬라이딩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슬라이딩 작동으로 인해 슬라이딩 구조체(50)가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별히 슬라이딩 구조체(50)로 유입된 이물질이 자기력의 영향을 받는 금속 성분인 경우에는 제1 슬라이더 부재(51)와 제2 슬라이더 부재(52)의 표면에 붙어 슬라이딩 작동이 현저하게 불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슬라이딩 구조체(50)의 원활한 작동상태를 유지하고, 이물질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딩 구조체(50)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하여 슬라이딩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흡착하는 이물질 흡착부를 구비하며 자기력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제1 슬라이더 부재와,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제1 슬라이더 부재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슬라이더 부재와, 가이드부 에 배치되는 제1 자석부와, 가이드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제1 자석부에 대해 자기력을 작용하는 제2 자석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흡착하는 이물질 흡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용부는 그 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자석부는 그 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흡착부는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접착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흡착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슬라이딩 방향에서의 양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흡착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배치되고, 상기 이물질 흡착부의 일표면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구조체의 Ⅳ-Ⅳ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딩 구조체의 Ⅴ-Ⅴ 선을 따라 취한 단면 도이고, 도 6은 도 3의 슬라이딩 구조체의 자석부들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제1 슬라이더 부재(110)와, 제2 슬라이더 부재(120)와, 제1 자석부(130)와, 제2 자석부(140)와, 이물질 흡착부(150)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더 부재(110)는 비자성체인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지지부(111), 가이드부(112) 및 보조 수용부(113)를 포함한다. 지지부(111)는 전체적으로 판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의 양측에 가이드부(112)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가이드부(112)는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제1 슬라이더 부재(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슬라이더 부재(120)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가이드부(112)는 제1 슬라이더 부재(110)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이동 시의 균형을 위해 제1 슬라이더 부재(110)의 양측에 형성되었다.
지지부(111)의 하부의 양측면에는 보조 수용부(113)가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수용부(113)는 후술하는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1 슬라이더 부재(110)에 대한 제2 슬라이더 부재(12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이다. 보조 수용부(113)는 가이드부(11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형성되며, 단면 형상이「L」자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보조 수용부(113)의 형상에 의해, 보조 수용부(113)와 가이드부(112)의 사이에 제1 수용홈(114)이 형성된다.
지지부(111), 가이드부(112) 및 보조 수용부(113)의 형상의 가공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다이캐스팅 방법이나 판상의 소재를 절곡하는 소성 가공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더 부재(120)는 비자성체인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제1 슬라이더 부재(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슬라이더 부재(120)는 기저부(121) 및 수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슬라이더 부재(110) 및 제2 슬라이더 부재(120)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제1 슬라이더 부재(110) 및 제2 슬라이더 부재(12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제1 슬라이더 부재(110) 및 제2 슬라이더 부재(120)는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저부(121)는 전체적으로 판상으로 형성된다. 기저부(121)의 양측에는 가이드부(1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122)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수용부(122)는 그 단면이 「ㄷ」자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수용부(122)의 내측에는 가이드부(11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제2 수용홈(12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2 수용홈(123)에 가이드부(112)가 결합되고 수용부(122)의 일부분이 제1 수용홈(114)에 끼워짐으로써,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제1 슬라이더 부재(1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안내된다. 수용부(122)가 가이드부(112)에 결합되면, 보조 수용부(113)가 수용부(122)의 외측 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한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제2 슬라이더 부재(120)와 제1 슬라이더 부재(11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기저부(121) 및 수용부(122)의 형상 가공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다이캐스팅 방법이나, 판상의 소재를 절곡하는 소성 가공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부(112)의 수용부(122)를 향하는 면상에는 휴대용 전자기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흡착하는 이물질 흡착부(150)가 배치된다. 이물질 흡착부(150)는 가이드부(112)의 슬라이딩 방향에서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물질 흡착부(150)은 보조 수용부(113)을 향하는 가이드부(112)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12)의 양측 단부는 가이드부(112)가 수용부(122)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에도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므로, 이와 같이 이물질 흡착부(150)가 가이드부(112)의 단부에 배치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흡착하여 효과적으로 이물질의 유일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물질 흡착부(150)는 수용부(122)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물질 흡착부는 가이드부(112)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물질 흡착부(150)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접착성분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22)와 가이드부(112)의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가이드부(112)에는 제1 자석부(130)가 배치되는데, 제1 자석부(130)는 마찰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이드부(112)의 내측에 매립될 수 있다. 이를 변형하여 제1 자석부(130)는 가이드부(112)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자석부(130)는 하나의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나, 이를 변형 하여 전자석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러 개의 영구자석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자석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작용을 돕도록 가이드부(112)의 부분 중 전체적인 슬라이딩 행정 거리의 중간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석부(130)의 길이(L1)는 제2 자석부(140)의 길이(L2)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제1 자석부(130)의 길이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제1 자석부(130)는 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극의 배열 방향이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 방향이 되도록 배치된다. 제1 자석부(130)의 자기극은 N극이 상부에 있고, S극이 하부에 있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자석부(130)의 자기극의 배열 형태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제1 자석부의 자기극은 S극이 상부에 있고, N극이 하부에 있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그 경우는 제1 자석부에 대응하는 제2 자석부의 자기극의 배열 형태를, 변경되는 제1 자석부의 자기극들의 배열 형태에 맞추어 변경해야 할 것이다.
제1 자석부(13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자력선 차폐제(130a)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력선 차폐제(130a)는 제1 자석부(130)의 상면과 하면에만 배치되나, 이를 변형하여 제1 자석부(130)의 측면에도 자력선 차폐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자력선 차폐제는 제1 자석부(130)의 표면에 직접 배치되지 않고, 가이드부(112)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먼저 가이드부(112)의 적절한 위 치에 자력선 차폐제를 배치한 후, 가이드부에 제1 자석부(130)를 배치한다.
자력선 차폐제(130a)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져 제1 자석부(130)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선을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재로는 AD-MU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력선 차폐제(130a)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지지만, 이를 변형하여 비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자석부(140)는 그 단면 형상이 「ㄷ」자로 형성되어 수용부(122)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2 자석부(140)를 이루는 자석들은 모두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나, 이를 변형하여 제2 자석부(140)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제2 자석부(140)는 수용부(122)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되나, 이를 변형하여 제2 자석부(140)는 수용부(122)의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자석부(140)의 표면에는 자력선 차폐제(140a)가 배치된다. 자력선 차폐제는 제2 자석부(140)의 표면에 직접 배치되지 않고 수용부(122)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먼저 수용부(122)에 자력선 차폐제를 배치한 후, 수용부(122)에 제2 자석부(140)를 배치한다.
수용부(122)와 가이드부(112)가 결합되면, 단면 형상이 「ㄷ」자로 형성되는 제2 자석부(140)의 안쪽 공간에 제1 자석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자석부(140)와 제1 자석부(130)의 사이에 자기력이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제2 자석부(140)는 제1 자석부(130)를 사이에 두고 반대되는 자기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수용부(122)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부(112)를 기준으로 제2 자석부(140)의 상측이 N극이고, 하측이 S극이다. 이와 같은 자기극의 배치에 의해 제2 자석부(140)와 제1 자석부(130)의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함으로써, 제2 슬라이더 부재(120)와 제1 슬라이더 부재(110)의 사이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자석부(140)의 상측과 하측이 연결됨으로써 단면 형상이 「ㄷ」자로 형성되면, 얇은 두께를 유지하며 원하는 자기극의 배열을 구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제2 자석부는 상측과 하측에 서로 분리된 막대 자석을 배치하고, 제1 자석부(130)에 대해 척력을 작용하도록 상측과 하측의 막대 자석의 자기극의 배열을 조정할 수도 있다.
제1 자석부(130)와 제2 자석부(140)의 상호간에는 항상 척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제2 자석부(140)를 구비한 제2 슬라이더 부재(120)는 제1 자석부(130)를 구비한 제1 슬라이더 부재(110)에 대해 슬라이딩 작동 시 마찰이 최소화된다. 이는 척력에 의해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제1 슬라이더 부재(110)로부터 부상(浮上)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부상(浮上)의 정도는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와 관련이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적용되는 자석의 크기 및 성질에 관련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의 사이에 서로 척력이 작용하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자석부들의 자기극의 배열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슬라이더 부재와 제2 슬라이더 부재가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작용으로 인해 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면 되므로, 본 실시예를 본형하여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의 사이에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기극을 배열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는 각각 한 개씩의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는 복수 개의 자석들로 이루어지는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를 구비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제1 슬라이더 부재(110) 및 제2 슬라이더 부재(120) 중 하나가 휴대전화, 카메라, PMP 등의 전자기기의 메인 칩셋, 배터리 등의 전자부품이 집중되어 있는 메인 바디(main body)에 장착되고, 나머지 하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서브 바디(sub body)에 장착됨으로써, 슬라이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100)를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하면, 설치 공간 및 설치 비용 면에서 더욱 유리하게 된다.
또한 메인 바디를 직접 가공하여 직접 제1 슬라이더 부재(110)나 제2 슬라이더 부재(120)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서브 바디를 직접 가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설치에 필요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한 박형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슬라이딩 구조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초기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제1 슬라이더 부재(110)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2 자석부(140)의 N극과 S극 사이에는 제1 자석부(130)의 일부분이 위치한 다. 이 경우, 제2 자석부(140)와 제1 자석부(130)의 자기극의 배열 형태에 의해, 제2 자석부(140)와 제1 자석부(130)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한다. 제2 슬라이더 부재(120)는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초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제1 슬라이더 부재(110)에 대해 부상된 상태에 있으므로, 이후의 슬라이딩 작동 중의 마찰을 적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초기위치에서 제2 슬라이더 부재(120)를 위로 밀어 올리면, 제2 자석부(140)의 N극과 S극 사이에는 제1 자석부(130)의 전체 부분이 점차로 위치한다. 이로 인해 제2 자석부(140)와 제1 자석부(130)의 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의 크기도 증가한다.
사용자가 빠른 속도로 제2 슬라이더 부재(120)를 밀어 올리더라도, 제2 자석부(140)와 제1 자석부(130)의 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급격한 이동하는 작용이 방지되므로 슬라이딩 구조체(100)에 작용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제1 슬라이더 부재(110)로부터 부상함으로써,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계속하여 제2 슬라이더 부재(120)를 위로 밀어 올리면,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도 9 및 도 10의 상태에 도달한다.
도 9는 도 3의 슬라이딩 구조체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중간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2 자석부(140)의 N극과 S극 사이에는 제1 자석부(130)의 대부분이 위치하여 제2 자석부(140)와 제1 자석부(130) 사이에는 척력이 강하게 작용한다.
사용자가 계속하여 도 9 및 도 10의 상태에서 제2 슬라이더 부재(120)를 위로 밀어 올리면, 제2 자석부(140)와 제1 자석부(130) 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사용자는 적은 힘을 주거나 힘을 주지 않고도 제2 슬라이더 부재(120)를 밀어 올릴 수 있다.
즉 이 경우, 사용자가 제2 슬라이더 부재(120)를 밀어 올리는 동안 특별히 힘을 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밀어 올리는 힘에 의해 슬라이딩 구조체(100)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척력의 작용에 의해 제1 슬라이더 부재(110)로부터 부상함으로써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계속하여 제2 슬라이더 부재(120)를 위로 밀어 올리면,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도 11 및 도 12의 상태에 도달한다.
도 11은 도 3의 슬라이딩 구조체가 슬라이딩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의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상태에서, 제2 자석부(140)와 제1 자석부(130)의 자기극의 배열 형태에 의해 제1 자석부(130)와 제2 자석부(140)의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제2 슬라이더 부재(120)는 척력의 작용으로 인해 안정적으로 최종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척력의 작용으로 인해 제1 슬라이더 부재(110)로부터 부상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후 사용자가 다시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조작을 할 경우, 작용하는 마찰력이 줄어든다.
슬라이딩 구조체(100)가 초기 위치로부터 중간 위치를 거쳐 최종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최종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가이드부(112)의 양측 단부에 배치된 이물질 흡착부(150)가 수용부(122)의 표면에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접착성분을 포함하는 이물질 흡착부(150)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외부로부터 제1 슬라이더 부재(110)와 제2 슬라이더 부재(120)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흡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는, 제1 슬라이더 부재(110)와, 제2 슬라이더 부재(120)와, 제1 자석부(130)와, 제2 자석부(140)와, 이물질 흡착부(150)와, 그루브(groove)(15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슬라이딩 구조체는 가이드부(112)의 수용부(122)를 향하는 면에서 그루브(151)가 형성되며 이물질 흡착부(150)가 그루브(151)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와 다르다.
가이드부(112)와 수용부(122)의 사이에 존재하는 유격에 따라 그루브(151)의 깊이를 달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 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는, 제1 슬라이더 부재에 배치되는 제1 자석부가 제2 슬라이더 부재에 배치되는 제2 자석부에 자기력을 작용하여 제1 슬라이더 부재와 제2 슬라이더 부재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하므로, 슬라이딩 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이물질 흡착부가 가이드부와 수용부의 사이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흡착하므로, 슬라이딩 구조체가 오랜 시간 동안 작동되어도 슬라이딩 구조체가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아 제1 슬라이더 부재와 제2 슬라이더 부재의 슬라이딩 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제1 슬라이더 부재;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슬라이더 부재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슬라이더 부재;
    상기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제1 자석부;
    상기 가이드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자석부에 대해 자기력을 작용하는 제2 자석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흡착하는 이물질 흡착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그 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석부는 그 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흡착부는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접착성분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흡착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슬라이딩 방향에서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흡착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배치되고, 상기 이물질 흡착부의 일표면이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흡착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표면에 배치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
KR1020070004961A 2007-01-16 2007-01-16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 KR20080067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961A KR20080067542A (ko) 2007-01-16 2007-01-16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961A KR20080067542A (ko) 2007-01-16 2007-01-16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542A true KR20080067542A (ko) 2008-07-21

Family

ID=3982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961A KR20080067542A (ko) 2007-01-16 2007-01-16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75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165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050854B1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64607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81385B1 (ko) 자기부상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14211B1 (ko) 자기부상 슬라이딩 구조체
US9483082B2 (en) Portable electronic module
US8423098B2 (en) Sliding mechanism
KR20080067542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70750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091917B1 (ko) 자기부상 슬라이딩 구조체
KR100819814B1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41714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0833945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091915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64594B1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70751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43831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20080057479A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0833946B1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20080041313A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091918B1 (ko) 자기부상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87895B1 (ko) 자기부상 슬라이딩 구조체
KR20080073149A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84055B1 (ko) 자기부상 슬라이딩 구조체
KR20080075754A (ko) 자기부상 슬라이딩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