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479A -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479A
KR20080057479A KR1020060130820A KR20060130820A KR20080057479A KR 20080057479 A KR20080057479 A KR 20080057479A KR 1020060130820 A KR1020060130820 A KR 1020060130820A KR 20060130820 A KR20060130820 A KR 20060130820A KR 20080057479 A KR20080057479 A KR 20080057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sliding
slide member
sliding structure
magne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순
안종기
조세훈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0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7479A/ko
Publication of KR20080057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인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고,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이 적은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봉을 구비하는 제 1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지지봉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지지봉에 고정되고, 자기극의 배열방향이 슬라이딩 방향에 직교하면서 상기 지지봉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 대칭인 제 1 자석부;와,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자석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2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제 1 자석부와 상호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고, 자기극의 배열방향이 슬라이딩 방향에 직교하면서 상기 지지봉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 대칭인 제 2 자석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Slid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도 1은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휴대전화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투시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의 상호 배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2 슬라이드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2 슬라이드 부재가 중간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2 슬라이드 부재가 최종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Π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로서, 지지봉과 제 1 자석부를 둘러싼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가이드부를 채용한 슬라이딩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슬라이딩 구조체 110: 제 1 슬라이드 부재
111: 지지부 112: 수용홈
113: 지지봉 120: 제 1 슬라이드 부재
121: 기저부 122: 수용부
130: 제 1 자석부 140: 제 2 자석부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정적인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고,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이 적은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간편한 조작성과 높은 디자인 선호성 등의 이유로, 휴대전화,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슬라이딩 구조가 많이 도입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전화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휴대전화의 개략적인 부분 투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의 휴대전화(10)는 표시부(2)가 형성되어 있는 수화부(20)와, 번호키 등의 조작부(3)가 형성되어 있는 송화부(30)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한 종래의 휴대전화(10)는 통화나 메시지등의 송수신을 위해 수화부(20)를 밀어 올려 사용하는데, 사용시 슬라이딩 작용을 위해 슬라이딩 구조체(40)를 구비하고 있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37649호에 개시된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40)는, 제1 슬라이더 부재(41)와, 제 1 슬라이더 부재(41)에 슬라이딩이 가능한 제 2 슬라이더 부재(42)를 구비하고 있었다.
여기서, 제 1 슬라이더 부재(41)는 제 1 자력발생수단(43)을 구비하고 있으며,제 2 슬라이더 부재(42)는 한 쌍의 제 2 자력발생수단(44a)(44b)을 구비함으로써, 자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작동을 보조하고 있었다.
상기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40)는, 슬라이딩 작동시 종종 제1 슬라이더 부재(41)와 제2 슬라이더 부재(42)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슬라이딩 작동이 어렵게 되어 조작감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슬라이딩 작동 중에, 제1 자력발생수단(43)과 제2 자력발생수단(44a)(44b)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마찰력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조작력이 많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슬라이딩 작용이 더욱 어려워지고, 조작감이 더욱 나빠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3에는, 종래의 휴대전화에 사용되는 슬라이딩 구조체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89584호에 개시된 슬라이딩 구조체(50)가 도시되어 있는데, 슬라이딩 구조체(50)는, 제1 슬라이더 부재(51)와, 제1 슬라이더 부재(51)에 슬라이딩이 가능한 제 2 슬라이더 부재(5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슬라이더 부재(51)는 말굽 자석 형상의 제 1 자기부재(53)를 구비하고, 제 2 슬라이더 부재(52)도 말굽 자석 형상의 제 2 자기부재(54)를 구비하며, 제 1 자기부재(53)와 제 2 자기부재(54)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됨으로써, 슬라이딩 작동을 돕고 있다.
그러한 슬라이딩 구조체(50)는, 슬라이딩 작동 중에, 제 1 자기부재(53)의 N극과 제 2 자기부재(54)의 N극 사이와, 제 1 자기부재(53)의 S극과 제 2 자기부재(54)의 S극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나, 그와 동시에, 제 1 자기부재(53)의 S극과 제 2 자기부재(54)의 N극 사이에는 인력도 작용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슬라이딩 과정 중에 작용하는 인력의 존재로 인하여 조작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슬라이딩이 매끄럽게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러한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50)는, 두 개의 말굽 자석 형상의 제 1 자기부재(53) 및 제 2 자기부재(54)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됨으로써, 배치 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어, 전체 슬라이딩 구조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제 1 자기부재(53) 및 제 2 자기부재(54)의 부분 중 직접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지 않는 굴곡 부분에서는, 상호간의 척력이 저하됨으로써, 슬라이딩 작용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안정적인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고,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이 적은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봉을 구비하는 제 1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지지봉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지지봉에 고정되고, 자기극의 배열방향이 슬라이딩 방향에 직교하면서 상기 지지봉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 대칭인 제 1 자석부;와,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자석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2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제 1 자석부와 상호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고, 자기극의 배열방향이 슬라이딩 방향에 직교하면서 상기 지지봉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 대칭인 제 2 자석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자석부의 단면의 형상은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동축원이고, 상기 지지봉은 상기 제 1 자석부의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2 자석부의 단면의 형상은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동축원이고, 상기 제 2 자석부의 동축원의 내경은 상기 제 1 자석부의 동축원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2 자석부의 자기극의 배열방향이 형성하는 수직 가상선은, 상기 슬라이딩 구조체의 전체 슬라이딩 과정 중에 상기 제 1 자석부의 적어도 일부를 항상 지나가도록 상기 제 1 자석부와 상기 제 2 자석 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딩 구조체의 슬라이딩 작동시, 상기 제 1 자석부와 상기 제 2 자석부 사이의 거리가 최대로 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 1 자석부와 상기 제 2 자석부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 1 자석부와 상기 제 2 자석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자석부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는 자력선 차폐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2 자석부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는 자력선 차폐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자력선 차폐제는 강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봉과 상기 제 1 자석부를 둘러싸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2 자석부는 제 1 슬라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제 1 자석부 및 제 2 자석부의 상호 배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제 1 슬라이더 부재(110), 제 2 슬라이더 부재(120), 제 1 석부(130) 및 제 2 자석부(140)를 포함한다.
제 1 슬라이드 부재(110)는 비자성체인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데, 지지부(111), 수용홈(112) 및 지지봉(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지지부(111)는 전체적으로 판상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양측부에는 후술할 제 2 슬라이드 부재(120)를 수용하는 수용부(123)가 슬라이딩하는 통로인 수용홈(112)이 형성된다.
수용홈(112)에는 제 1 자석부(1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봉(113)이 수용홈(112)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봉(113)은 제 1 자석부(130)를 지탱하고 슬라이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봉(113)은 제 1 슬라이드 부재(110)의 수용홈(112)의 단부(112a)에 고정되어야 하는데, 수용홈의 단부(112a)와 지지봉(113) 사이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하거나, 수용홈의 단부(112a)에 지지봉(113)을 수용할 수 있는 보스나 홈을 형성하여 여기에 지지봉(113)을 끼워 고정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제 2 슬라이드 부재(120)는 비자성체인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데, 기저부(121) 및 수용부(122)를 포함하고 있다.
기저부(121)는 전제적으로 판상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양측부에는 수용부(122)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수용부(122) 후술할 제 2 자석부(140)를 수용하도록 기저부(12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슬라이딩 작동시, 제 1 슬라이드 부재(110)의 수용홈(112)을 따라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슬라이드 부재(110) 및 제 2 슬라이드 부재(120)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슬라이드 부재(110) 및 제 2 슬라이드 부재(120)의 소재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 1 슬라이드 부재(110) 및 제 2 슬라이드 부재(12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제 1 슬라이드 부재(110) 및 제 2 슬라이드 부재(120)는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자석부(130)는 지지봉(113) 주위를 둘러싸며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제 1 자석부(130)를 이루는 자석들은 모두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제 1 자석부(130)들은 영구자석 외에 전자석 등으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 1 자석부(130)는 자기극의 배열 방향이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 방향이 되면서 동시에 지지봉(113)을 중심으로 방사상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자석부(130)는 상기와 같은 자기극 배열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 1 자석부(130)는 중심에 관통공(131)을 가진 동축 실린더 형상을 구비한다. 즉 그 단면이 가운데 공동이 형성된 동축원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제 1 자석부(130)의 동축원의 내면(132) 측에 S극이, 동축원의 외면(133) 측에 N극이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 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자석부(130)의 자기극의 배열 형태는 동축원의 내면(132) 측에 N극이, 동축원의 외면(133) 측에 S극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그 경우는, 대응하는 제 2 자석부(140)의 자기극의 배열 형태를 변경되는 제 1 자석부(130)의 자기극들의 배열 형태에 맞추어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관한 제 1 자석부(130)의 형상은 상술한 본 실시예의 형상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제 1 자석부(130)의 자기극의 배열 방향이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 방향이 되면서 동시에 지지봉(113)을 중심으로 방사상 대칭적되는 조건을 만족한다면, 다양한 형태의 자석부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 자석부(130)의 동축원의 내주면에는 자력선 차폐제(134)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력선 차폐제(134)의 배치는 제 1 자석부(130)의 동축원의 내면(132)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력선 차폐제(134)는 추가로 제 1 자석부(130)의 동축원의 외면(132)을 둘러싸도록 동축원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동축원의 가장자리를 더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자석의 형태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자석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자석의 형상을 만들고 착자를 함에 있어서 적어도 착자되는 면이 있어야 산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석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력선 차폐제(134)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제 1 자석부(130)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선을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AD-MU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력선 차폐제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 되지 않으며, 자력선 차폐제(134)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제 2 자석부는 수용부(122)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제 2 자석부(140)를 이루는 자석들은 모두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제 2 자석부(140)들은 영구자석 외에 전자석 등으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 2 자석부(140)는 자기극의 배열 방향이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 방향이 되면서 동시에 지지봉(113)을 중심으로 방사상 대칭적으로 배치되면서, 제 1 자석부(130)와 상호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자석부(140)는 상기와 같은 자기극 배열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 2 자석부(140)는 중심에 관통공(141)을 가진 동축 실린더 형상을 구비한다. 즉 그 단면이 가운데 공동이 형성된 동축원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2 자석부의 관통공(141)은 지지봉(113)을 포함한 제 1 자석부(130)가 관통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즉, 제 2 자석부(140)의 동축원의 내경은 제 1 자석부의 동축원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제 1 자석부(130)의 동축원의 내면(132)에 S극이 형성되고, 동축원의 외면(133)에 N극이 형성될 경우, 제 2 자석부(140)의 동축원의 내면(142) 측에 S극이, 제 2 자석부(140)의 동축원의 외면(143) 측에 N극이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자석부(130)에 형성되는 자기극의 배열이 변경됨에 따라, 제 2 자석부(140)의 자기극의 배열이 상술한 경우와 반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관한 제 2 자석부(140)의 형상은 상술한 본 실시예의 형상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제 2 자석부(140)의 자기극의 배열 방향이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 방향이 되면서 동시에 지지봉(113)을 중심으로 방사상 대칭되고, 제 1 자석부(130)와 상호 척력이 작용되는 조건을 만족한다면, 다양한 형태의 자석부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 2 자석부(140)의 동축원의 외주면에는 자력선 차폐제(144)가 배치된다.
자력선 차폐제(144)의 재질 및 기능은 전술한 제 1 자석부(130)의 표면에 배치되는 자력선 차폐제(134)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력선 차폐제(144)의 배치는 제 2 자석부(140)의 동축원의 외면(143)을 둘러싸도록 동축원의 외주면에 배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력선 차폐제(144)는 추가로 제 2 자석부(140)의 동축원의 내면(14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동축원의 가장자리를 더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자석부(130)는 지지봉(113)에 전체적인 슬라이딩 행정 거리의 중간 부분에 배치됨으로써, 슬라이딩 작용을 돕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자석부(130)의 길이(L1)는 제 2 자석부(140)의 길이(L2)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자석부(130)의 길이(L1)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은 없다.
한편, 슬라이딩 작동의 전 과정을 통하여, 제 2 자석부(140)의 자기극의 배열 방향이 형성하는 수직 가상선이 제 1 자석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항상 지나가도록 제 1 자석부(130)와 제 2 자석부(140)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게 되면, 제 1 자석부(130)와 제 2 자석부(140) 상호간에는 항상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자석부(140)를 구비한 제 2 슬라이더 부재(120)가 제 1 자석부(130)를 구비한 제 1 슬라이드 부재(110)에 슬라이딩하는 하는 경우, 이러한 척력에 의해 제 2 슬라이드 부재(120)가 제 1 슬라이드 부재(110)로부터 부상(浮上)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 1 슬라이드 부재(110)와 제 2 슬라이드 부재(120) 사이의 마찰이 최소화된다. 이 경우 부상(浮上)의 정도는 작용하는 각 자석부를 구성하는 자석의 크기와 성질에 따라 조절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제 1 슬라이드 부재(110) 및 제 2 슬라이드 부재(120) 중 하나가 휴대전화, 카메라, PMP 등의 전자기기의 메인 칩셋, 배터리 등의 전자부품이 집중되어 있는 메인 바디(main body)에 장착되고, 나머지 하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서브 바디(subbody)에 장착됨으로써, 슬라이딩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 구조체(100)를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시키게 되면, 설치 공간 및 설치 비용 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메인 바디를 직접 가공하여 직접 제 1 슬라이드 부재(110)나 제 2 슬라이드 부재(120)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서브 바디를 직접 가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데, 그 경우에는 설치에 필요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한 박형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내부 구조를 참고로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100)가 작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제 2 슬라이드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9는 제 2 슬라이드 부재가 중간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제 2 슬라이드 부재가 최종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Π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7 및 도 8은 2 슬라이드 부재(120)가 초기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 2 슬라이드 부재(120)는 제 1 슬라이드 부재(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제 2 자석부(140)의 N극이 형성된 동축원의 내면(142) 사이에는 N극이 형성된 제 1 자석부(130)의 동축원의 외면(133)의 일부분이 위치하고 있다. 그 경우 제 2 자석부(140)와 제 1 자석부(130)의 자기극의 배열 형태에 의해 제 2 자석부(140)와 제 1 자석부(130)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제 2 슬라이드 부재(120)가 안정적으로 초기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제 2 슬라이드 부재(120)가 제 1 슬라이드 부재(110)로부터 어느 정도 부상함으로써, 추후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을 적게 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도 7 및 도 8의 상태에서 제 2 슬라이드 부재(120)를 위로 밀어올리게 되면, 점차로 제 2 자석부(130) 사이에는 제 1 자석부(130)의 전체 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제 2 자석부(140)들과 제 1 자석부(130)들 사이의 척력이 점차 크게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만약 사용자가 빠른 속도로 제 2 슬라이드 부재를 밀어 올리게 되더라도 제 2 자석부(140)와 제 1 자석부(130)간의 척력이 작용하게 되어, 제 2 슬라이드 부재(120)의 급격한 이동이 방지됨으로써 슬라이딩 구조체(100)에 작용하는 충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제 2 슬라이드 부재(120)가 제 1 슬라이드 부재(110)로부터 부상함으로써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계속하여 제 2 슬라이드 부재(120)를 위로 밀어 올리게 되면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도 9 및 도 10의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제 2 자석부(140)의 동축원의 외면(143)에 형성된 N극 사이에는 제 1 자석부(130)의 동축원의 내면(132)에 형성된 N극의 대부분이 위치하게 되어 제 2 자석부(140)와 제 1 자석부(130) 사이에는 강한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
사용자가 계속하여 제 2 슬라이드 부재(120)를 밀어올리면 제 2 자석부(140)와 제 1 자석부(130) 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사용자는 적은 힘을 주거나 힘을 주지 않고도 제 2 슬라이드 부재(120)를 밀어 올릴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 2 슬라이드 부재(120)를 밀어 올리는데 있어서 특별히 힘을 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슬라이딩 구조 체(100)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제 2 슬라이드 부재(120)로부터 부상함으로써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계속하여 제 2 슬라이드 부재(120)를 밀어 올리면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도 11 및 도 12의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이 경우,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제 2 슬라이드 부재(120)는 안정적으로 최종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제 2 슬라이드 부재(120)가 제 1 슬라이드 부재(110)로부터 어느 정도 부상함으로써 추후 사용자가 다시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하는 경우 마찰을 적게 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슬라이드 부재(120)를 밀어 올리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1 및 도 12의 최종 위치에 위치한 제 2 슬라이드 부재(120)를 아래로 밀어 내리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슬라이딩 작동의 내용 중 방향만 바뀌어 그대로 적용되게 된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에 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이 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구조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3은 지지봉(213)과 제 1 자석부(230)를 둘러싼 가이드부(214)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가이드부(214)를 채용한 슬라이딩 구조체(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 가이드부(214)는 제 1 자석부(230)과 제 1 자석부(230)의 관 통공(231)이 관통하며 그 일부를 둘러싸는 지지봉(213)을 둘러싼다. 이때, 제 2 자석부(240)는 제 1 슬라이드 부재(2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부(222)가 상기 가이드부(214)를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위와 같은 변형예에서, 상기 가이드부(214)가 지지봉(213)과 제 1 자석부(230)를 둘러쌈으로써, 제 1 자석부(230)가 고정된 지지봉(213)의 취급이 용이해지며, 지지봉(213)을 제 1 슬라이드 부재(210)의 수용홈의 단부(212a)에 고정시키기가 용이하다.
이러한 가이드부(214)는 수용홈의 단부(212a)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하거나, 수용홈의 단부(212a)에 가이드부(214)을 수용할 수 있는 보스나 홈을 형성하여 여기에 가이드부(214)을 끼워 고정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214)는 또한 내부에 강성프레임을 가지고 외주면에는 차폐제로 구성이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슬라이딩이 될 때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강성프레임을 부가적으로 지지하고 원활한 슬라이딩이 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200)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딩 운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200)는, 메인 바디를 직접 가공하여 직접 제 1 슬라이드 부재(210)나 제 2 슬라이드 부재(220)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의 구조는 상기 서브 바디를 직접 가공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에 필요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박형의 전자기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200)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부상이 가능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을 줄여 조작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는, 박형의 전자기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슬라이딩 작동시 상호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조작력을 줄임으로써 조작감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지지봉을 구비하는 제 1 슬라이드 부재;
    상기 지지봉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지지봉에 고정되고, 자기극의 배열방향이 슬라이딩 방향에 직교하면서 상기 지지봉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 대칭인 제 1 자석부;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자석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2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제 1 자석부와 상호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고, 자기극의 배열방향이 슬라이딩 방향에 직교하면서 상기 지지봉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 대칭인 제 2 자석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부의 단면의 형상은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동축원이고,
    상기 지지봉은 상기 제 1 자석부의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석부의 단면의 형상은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동축원이고, 상기 제 2 자석부의 동축원의 내경은 상기 제 1 자석부의 동축원의 외경보다 큰 전자 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석부의 자기극의 배열방향이 형성하는 수직 가상선은, 상기 슬라이딩 구조체의 전체 슬라이딩 과정 중에 상기 제 1 자석부의 적어도 일부를 항상 지나가도록 상기 제 1 자석부와 상기 제 2 자석부가 배치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구조체의 슬라이딩 작동시, 상기 제 1 자석부와 상기 제 2 자석부 사이의 거리가 최대로 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 1 자석부와 상기 제 2 자석부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 1 자석부와 상기 제 2 자석부가 배치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부의 내주면 일부 표면에는 자력선 차폐제가 배치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석부의 외주면 일부 표면에는 자력선 차폐제가 배치되는 전자기 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8. 제 6 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선 차폐제는 강자성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과 상기 제 1 자석부를 둘러싸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석부는 제 1 슬라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20060130820A 2006-12-20 2006-12-20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20080057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820A KR20080057479A (ko) 2006-12-20 2006-12-20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820A KR20080057479A (ko) 2006-12-20 2006-12-20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479A true KR20080057479A (ko) 2008-06-25

Family

ID=3980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820A KR20080057479A (ko) 2006-12-20 2006-12-20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74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2195B1 (en) 2020-04-09 2021-06-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2195B1 (en) 2020-04-09 2021-06-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21206193A1 (ko) * 2020-04-09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854B1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64607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0781165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81385B1 (ko) 자기부상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14211B1 (ko) 자기부상 슬라이딩 구조체
US20180241292A1 (en) Vibrating motor and electronic device
JP5359574B2 (ja) 携帯端末
KR20080057479A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0819814B1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70750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87895B1 (ko) 자기부상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41714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091915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0833945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0833946B1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20080057480A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70751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43831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87896B1 (ko) 자기부상 슬라이딩 구조체
KR20080078247A (ko) 슬라이딩 구조체
KR101091917B1 (ko) 자기부상 슬라이딩 구조체
KR20080041313A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20080067542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구조체
KR20080057096A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20080075754A (ko) 자기부상 슬라이딩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