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514A - The key pad - Google Patents

The key 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514A
KR20080066514A KR1020070023864A KR20070023864A KR20080066514A KR 20080066514 A KR20080066514 A KR 20080066514A KR 1020070023864 A KR1020070023864 A KR 1020070023864A KR 20070023864 A KR20070023864 A KR 20070023864A KR 20080066514 A KR20080066514 A KR 20080066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vowel
keys
divided
hang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8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92856B1 (en
Inventor
김예은
Original Assignee
김예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예은 filed Critical 김예은
Publication of KR2008006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5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8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A Hangul input terminal is provided to shorten input time and minimize the number of input strokes by enabling a user to input any letter at one touch, without modifying an existing arrangement. Each numeric key and each special character key are divided into two portions. A Hangul consonant or vowel is allocated to each of the divided keys. If one of the divided keys of a numeric key is pushed, an associated letter allocated to the pushed key is inputted. If the divided keys are pushed at the same time, an associated vowel or consonant cluster is inputted at a time. Three divided keys to shape an arbitrary vowel are pushed at the same time, the arbitrary vowel is inputted at a time. Four divided keys to shape an arbitrary vowel are pushed at the same time, the arbitrary vowel is inputted at a time. In numeric mode, an associated number is inputted as an associated numeric key is pushed.

Description

한글입력단말기{THE KEY PAD}Hangul Input Terminal {THE KEY PAD}

도 1은 일반적인 한글자판의 일 예이다.    1 is an example of a typical Korean keyboard.

도 2는 본 발명을 이용한 자판의 일 실시 예이다.    2 is an embodiment of a keyboar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입력방법의 일 실시 예이다.    3 is an embodiment of an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글자배열의 일 실시 예이다.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a letter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입력방법의 일 실시 예이다.    5 is an embodiment of an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이다.    6 is an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을 이용한 입력의 일 실시 예이다.    7 is an embodiment of an input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8는 본 발명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이다.    8 is an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은 본 발명을 이용한 입력의 일 실시 예이다.    9 is an embodiment of an input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모음의 형상이 되도록 배치한 일 실시 예이다.    Figure 10 is an embodiment arranged to be in the shape of a vowel.

*용어의 설명   * Explanation of terms

1. 분할키(분할된 키): 한 숫자키 안에 배열된 글자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원터치입력 될 수 있도록 숫자키 자체를 나눈 키. 1. Split Key (Divided Key): A key that divides the numeric key itself so that the letters arranged in one numeric key can be inputted independently.

1.종래의 일반적인 한글 입력방식은 9-12개의 숫자키 위에 한글 자모를 나열 하고 배열 순서의 횟수만큼 조작하여 입력하거나 특수키를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1. Conventional Korean input method has been able to input Hangul alphabet on 9-12 numeric keys and manipulate it as many times as the order of arrangement or input using special keys.

이는 조작횟수가 많은 만큼만큼 입력 시간도 더 들고 기계적인 내구성에도 영향을 주었다.    This increases input time and affects mechanical durability as the number of operations is high.

대개 일반적인 한글 입력방식은 9-12개의 숫자키에 인쇄된 한글을 순서의 횟수만큼 조작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글자씩 배열한 경우에 있어서 2번째 글자는 2회 조작하고 맨 뒤에 인쇄된 글자의 경우는 3회를 조작해야 입력이 된다.   In general, the Hangul input method is to be able to input the Hangul printed on the 9-12 numeric keys by the number of times of the sequence. In the case of arranging three letters, the second letter is operated twice, and the last printed letter is operated three times to input.

따라서 현재의 방식으로는 한글 26자의 경우 맨 앞에 배열된 한글 9자는 1회 조작으로 입력할 수 있지만 2번째 배열된 한글 9자는 2회 조작으로 입력하거나 특수문자 등의 조작으로 입력하게 된다.    Therefore, in the current method, the first 9 Hangul characters can be input by one operation in the case of 26 Hangul characters, but the second Hangul 9 characters are input by two operations or by special characters.

KR 10-0226206의 경우에는 모음을 구성하는 l . ㅡ 등의 획수를 필기 순으로 조합하여 눌러 입력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는 일반적인 입력방식이 모음글자를 한번에 입력시키는 것에 비하여 획소로 나누어 입력하게 되므로 2배 이상의 입력 획수가 많아지게된다.     In the case of KR 10-0226206, l. Combination of stroke numbers such as ㅡ is used in the order of handwriting, but the input method is used, but this is more than twice as many input strokes because the common input method is divided into the input to enter the vowels at a time.

이점은 입력의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기계적인 내구성이 줄어들고 입력시간이 더 걸리게하는 결정적인 흠이었다.     This was a crucial flaw that, despite the ease of input, reduced mechanical durability and increased input time.

도1은 기존 삼성전자의 휴대폰 한글자판이다. 삼성의 자판은 대표적인 "티 나인(T9)" 방식 자판의 하나이다.      1 is a mobile phone Korean keyboard of Samsung Electronics. Samsung's keyboard is one of the typical "Tine" (T9) type keyboards.

이것 역시 일명 천지인 자판으로 불리는 유명한 자판이다. 삼성 자판의 특징은 한글 모음을 필기순으로 "l" "." "ㅡ" 의 모음을 구성하는 구분기호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장점은 입력 방법이 이해하기 쉽다는 것이고 단점은 모음을 기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조작횟수가 많아진다는 것이다.     This is also a famous keyboard called a celestial keyboard. The characteristic of Samsung keyboard is "l" "." It is entered using the delimiters that make up the collection of "ㅡ". The advantage is that the input method is easy to understand, and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vowel uses symbols to increase the number of operations.

아래 표가 천지인이라 불리는 모음입력방식의 배열이다.    The table below shows an array of vowel input methods called Cheonjiin.

1 ㅣ   1 ㅣ 2 .   2 . 3 ㅡ   3 ㅡ

위의 자판에서는 "ㅏ"를 입력한다면 1번 숫자키와 2번 숫자키를 차례로 조작하지만 그러나 본 발명을 천지인과 비교 시킨다면 모음구분기호의 위치배열에서 숫자1키와 숫자2 키의 배열에서 한눈에 "ㅏ"의 형상을 생각하면서 양키의 경계 부분을 원터치하면 "ㅏ"가 입력 되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In the above keyboard, if you input "ㅏ", the number 1 and number 2 keys are operated one after the other. However, if you compare the present invention with Cheonjiin, the arrangement of the number 1 key and the number 2 key at a glance Considering the shape of "ㅏ", one touch of the Yankee's border allows "ㅏ" to be entered.

그러므로 본 발명의 대표적 실시 예인 도2의 자판을 종래의 기술에 비하면 구성과 효율성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erefore, the keyboard of FIG. 2, which is a represent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a remarkable difference in construction and efficiency compared to the prior art.

또한 본인의 다른 발명인 KR 10-0679696 에서는 자음은 아라비아 숫자와 한글과의 유사성 모음은 획수에 따라 해당 숫자키에서 입력( 예를 들어 "ㅏ"는 2획이므로 2에서 입력)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자음 입력의 편리성에 비해 모음입력방식은 대부분의 모음 획수가 2-3획에 몰려있으므로 후미에 배열된 모음의 경우 조작횟수가 수배에 이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my other invention, KR 10-0679696, consonants can be input from Arabic numerals and Hangul similarity vowels on the corresponding number keys (for example, "ㅏ" is 2 strok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strokes). Compared to the convenience of input, the vowel input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vowels arranged in the rear reaches several times because most vowel strokes are collected in 2-3 strokes.

1.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한 점들을 개선하여 어떤 자판이든지 기존의 배열이나 숫자 입력기능 등을 유지 한채 단 한 번의 조작으로 정확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모음을 구성하는 획수나 자음의 복 자음 받침 등을 동시입력을 가능하게 해서 입력시간과 획수를 줄일 수 있는 자판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inconveniences of the prior art to input any Hangul correctly by a single operation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arrangement or number input function of any keyboard, and the consonants of the consonants of the number of strokes or consonants constituting the vowel 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develop a keyboard that can simultaneously input and the like to reduce the input time and the number of strokes.

2.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자판에서는 키를 분할하지만 전화 걸기 모드 (숫자 모드)에서는 하나의 숫자키 안에서는 좌우 어느 곳을 눌러도 하나의 숫자만 입력되도록 하였다.       2. To this end, in the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s divided, but in the dialing mode (number mode), only one number is inputted by pressing either left or right within one number key.

3.특히 모음의 경우 "l" " . ( 。 - + 등으로 대치가능) " "ㅡ" 등의 구분기호를 복수로 배열하여 조합시 쉽게 기본 모음의 형태를 반영하여 입력하도록 하면서도 하나의 구분기호를 입력의 최소단위로 사용하지않고 모음의 형상을 감안한 둘 이상의 구분기호가 최소입력단위로 보아 키와 키의 중간 부분을 누르거나 두개 이상을 동시에 누르면 한번에 입력처리 되도록 하므로서 조작횟수를 절반 이하로 줄이고자 하였다.      3. Particularly in case of vowels,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m with "l" ". (。-+). Since the two or more delimiters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vowel are considered as the minimum input unit without pressing as the minimum unit of input, pressing the middle part of the key or pressing two or more keys at the same time allows the input to be processed at the same time. Now.

따라서 본원은 일반적인 모음 입력 방식의 다음 두가지 단점을 극복하여 단순하면서도 조작 효율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 올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application overcomes the following two disadvantages of the general vowel input method, resulting in a simple and improved operation efficiency.

1) "ㅏ" "ㅓ" 등 기본적인 모음글자를 그대로 입력시키는 ( 일반적인 )방식은 기계조작 획수를 줄지만 키의 숫자가 많아지고 복잡해지는 단점. 1) The basic method of inputting basic vowel letters such as "ㅏ" and "ㅓ" reduces the number of strokes, but increases the number of keys and complicates them.

2)획소인 "l" "." "ㅡ" 3개를 이용한 모음 구분기호 입력방식은 단순하고 편리하지만 조작횟수가 많아지는 단점. 2) "l" "." The vowel delimiter input method using three "ㅡ" is simple and convenient, but the number of operation times increases.

4.키가 작아지는데 따른 오작동을 줄이기 위하여 숫자키 중심의 자판을 유지하되 하나의 숫자키 안에서 좌우의 키를 높이가 다르도록 만들어 낮은 키는 높은 키가 경계가 되어 손가락이 걸리므로 낮은 키만 조작이 가능하게 하고 높은 키는 위치가 높으므로 역시 다른 키를 건드리지않고 키를 분할 조작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4. In order to reduce the malfunction caused by the decrease of the key, keep the keyboard of the numeric key in the center, but make the left and right keys different in height in one numeric key. And the high key has high position, so it is also possible to divide the key without touching other keys.

5. 기존의 입력방식에 익숙해진 사용자들을 위하여 숫자 입력기능이나 배열을 유지하도록 한 채 어떤 한글 입력방식에도 업그레이드 적용할 수 있게 하여 기존고객들의 불편이 거의 없도록 하였다.    5. For users who are familiar with the existing input method, it is possible to upgrade to any Korean input method while maintaining the numeric input function or arrangement so that existing customers have little inconvenience.

6. 또한 시장 진입을 위하여 새로운 입력방식을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기존 기술과 목적과 구성에 있어 상이하고 효과에 있어서도 현저한 차이가 있는 신개념의 자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방식에는 "l" "." "." "l" "." "ㅡ" "." 등을 이용한 모음 원터치 입력뿐 아니라 자음에도 동시입력이 가능하도록 복 자음 받침 등으로 쓰이는 ㄹㄱ, ㅂㅅ, ㄹㅂ, ㄱㅅ, ㄴㅎ, ㄴㅈ, ㄹㅎ, ㄹㅁ 등도 모음처럼 동시입력하여 획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형상을 보고 키와 키의 중간 부분을 눌러 (또는 키를 설치 하여) 양쪽을 함께 입력시키는 구성은 상기 인용발명들의 어느 곳에도 없는 입력방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것이다.    6. It also aimed to provide a new concept keyboard for those who want a new input method to enter the market, which differs in the existing technology, purpose and composition, and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This method includes "l" "." "." "l" "." "ㅡ" "." As well as vowel one-touch input using the vowel, simultaneous input to consonant consonants such as ㄹ ㄱ, ㅂㅅ, ㄹㅂ, ㄱㅅ, ㅎㅎ, ㄴㅈ, ㄹㅎ, ㄹㅁ, etc. can be simultaneously inputted to reduce the number of strokes. In particular, the configuration of looking at the shape and pressing the key and the middle part of the key (or installing the key) together will be a new paradigm of the input method which is not present in any of the above cited inventions.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일반적인 자판으로 현재 삼성전자에서 사용하고 있다.    1 is a general keyboard currently used by Samsung Electronics.

도2는 본 발명의 일시 예로서     2 is a temporary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한글 순서대로 나열하는 "티 나인" 방식의 어떠한 자판이든 자판 배열은 바꾸지않고 어떤 글자이든지 조작횟수를 줄여 원터치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 방식이다. 삼성의 자판의 배열을 그대로 적용할 수도 있고 엘지의 자판 배열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type of keyboards in the order of Hangul alphabets can be input in one-touch by reducing the number of operations without changing the keyboard layout. Samsung's keyboard layout can be applied as it is, or LG's keyboard layout can be used as it is.

이 방식에서 숫자키를 키를 한글별로 분할하여 숫자키의 배열상 맨 뒤에 배치 된 두번째 한글도 1회 조작으로 입력할 수 있다.      In this method, the second Hangul placed at the end of the arrangement of the numeric keys by dividing the number keys by Hangul can also be input in one operation.

키를 분할하는 방법은 기존 숫자키의 형태를 유지한 채 독립적으로 조작되는 버튼들로 구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The method of dividing a key may be composed of buttons that are operated independently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an existing numeric key.

예를 들면 도1의 삼성전자의 휴대폰에 적용했을 때 숫자키 '4'에 한글 'ㄱㅋ' 2개가 배열되어 있는 경우 기존의 자판은 한글 입력 모드에서 제일 앞의 'ㄱ'자는 1회, 둘째 글자인 'ㅋ'는 2회 조작하여 입력하게 되어있다.    For example, when two Korean letters 'ㄱㅋ' are arranged on the numeric key '4' when applied to the mobile phone of Samsung Electronics in FIG. 1, the first letter 'a' is one time and the second letter in the Korean input mode. 'ㅋ' is supposed to be entered twice.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숫자키 자체를 2개로 분할하여 입력시 분할된 키들 을 1회씩 만 조작하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dividing the numeric key itself into two, it is possible to input characters by only operating the divided keys once.

이 경우 숫자 모드에서는 분할키 'ㄱ'이나 'ㅋ' 중 어느 키를 눌러도 원래 4번 숫자키에 배열된 숫자이므로 하나로 된 4번 숫자키를 누른 것과 같이 동일한 숫자 '4'가 입력되게 된다.     In this case, in the number mode, the same number '4' is input as if the user presses any of the split keys 'ㄱ' or 'ㅋ', since the numbers are arranged on the number 4 key.

일부에서 시도되는 한글 26자를 독립적인 키로 배치하는 방식은 좁은 공간에 숫자키와 별도로 추가 한글 키를 배치하기 때문에 숫자키의 규격이 너무 적어지므로 문자입력시 조작이 힘들 수 있고 기존 배열과 완전히 다른 것이 흠이다.     The method of arranging 26 Hangul characters as an independent key, which is tried in some cases, places additional Hangul keys apart from the numeric keys in a narrow space, so the specification of the numeric keys becomes too small, which makes it difficult to operate the characters and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arrangement. Hmm.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키 배열 구조를 그대로 쓰면서숫자키 안에서 한글 키를 분할하는 방식을 택했다.    Howev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adopted a method of dividing a Hangul key in a numeric key while using an existing key arrangement structure.

따라서 독립적으로 입력 가능하면서도 전체 키의 수는 늘어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비교적 공간의 여유가 있으므로 키를 약간만 크게 구성하면 오조작의 가능성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put independently but the number of keys is not increased. Since there i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space, configuring the keys slightly larger can also solve the possibility of misoperation.

특히 사람이 곧 하늘이라고 하는 "인내천" 처럼 두 개를 하나로 만들어 입력하므로 "인내천 한글" 이라고 부를 수도 있는 모음 입력방식은 삼성입력방식과 목적과 구성과 그 효과에 있어 완전히 다른 발명이면서 이를 사용하던 고객들이 쉽게 적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In particular, the vowel input method, which can be called "Innaecheon Hangul", is a completely different invention in terms of Samsung input method and its purpose, composition, and effect. There are features that they can easily adapt to.

따라서 동시에 입력하는 입력방식을 이해하기 쉽게 하늘을 상징하되 " 。" 사람을 품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작은 원형의 기호 " 。" (인내천 마크) 를 l ㅡ 와 함께 모음구분기호의 하나로 정하였다.    Therefore, at the same time, a small circular symbol "。" (In-cheon mark), which symbolizes the sky and forms a space for human beings, is defined as one of the vowel delimiters with l ㅡ. It was.

일반적으로 동그라미는 기독교 원불교 등에서 하나를 나타내는 친근한 상징으로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the circle is used as a friendly symbol of one in Christian circle Buddhism.

흔히 점 ( . ) 형태로 표시되는 모음 구분 기호는 오래전부터 사용해오던 한글 모음의 하나이므로 모음 ㅏ, ㅓ, ㅡ, l 처럼 누구라도 글자 그 자체에 대한 독점적인 권리를 주장할 수는 없을 것이므로 주지 관용의 기술로 보아 " . " 을 사용할수도 있을 것이고 " - " 또는 " 。" 아니면 " + " 중 어느 것을 표시해도 좋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일반적인 점과 구분하기 위해 원의 축소 형태이면서 획소로 알아 보기도 쉬운 " 。" 의 기호를 쓰기를 권장한다. 이하에서는 모음 구분기호 . 과 。을 특별히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기로 한다..   The vowel delimiter, which is often expressed in the form of dots (.), Is one of the Korean vowels that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so no one can claim exclusive rights to the letter itself, such as vowel ㅏ, ㅓ, ㅡ, l. The technique of "." Could be used, and either "-" or "." Or "+" could be us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recommended to write a symbol of ".", Which is easy to recognize as a reduced form of a circle and distinguishes from a general point. The vowel delimiter below. We will use and without special distinction.

그러나 도2의 실시 예는 다른 방식을 이용하지않고 본 발명만을 이용한 자판으로 천지인 자판이나 비슷한 유형의 자판과는 완전히 다른 목적과 구성과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However, the embodiment of FIG. 2 is a keyboard using onl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using any other method, and shows a completely different object, composition, and effect from a keyboard or a similar type.

본 발명은 "l" "ㅡ" 등의 모음의 구분기호를 사용하는 것은 "ㅏ" "ㅓ" 등을 이용하는 것처럼 입력방법 구성시에 필수로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라고 할 수 있지만 도2의 실시 예는 목적에 있어서 모음 구분기호나 자음의 동시입력을 통한 간 편한 입력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라든지 그 구성에 있어서 모음 구분기호를 구분기호의 배열 형상을 따라 모음이나 복 자음 받침을 동시에 원터치로 입력하도록 한 것, 그 효과에 있어서도 한글 입력의 조작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특히 복 자음 받침에 쓰이는 자음 등을 이웃에 배열하고 두 키를 동시에 눌러 복 자음 받침을 입력 하게 한것, 그러면서도 그러면서 글자 배열에서 기업 고유의 정체성과 소망을 고객들에게 전달하도록 것은 어느 자판에도 유례가 없는 도2의 실시 예 만의 독특한 특징인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a delimiter in a vowel such as "l", "-", etc. may be referred to as a well-known technique used in the input method configuration, such as using "것처럼", "ㅓ", etc. For the purpose of simple input through simultaneous input of vowel separators or consonants, or vowel separato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separators, one-touch input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number of operations of Hangul input can be drastically reduced in the effects of the Hangul input. Especially, the consonants used for the consonant consonants are arranged in the neighborhood, and the two consonants can be pressed simultaneously to input the consonant consonan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 of Fig. 2, which is unprecedented in any keyboard, to convey the company's unique identity and desire to customers. It is gong.

또한 자음 입력방식은 기업별로 현재 배열을 쓰거나 본 발명의 독특한 실시예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동시 입력이 가능하도록 자음 배열에 있어서도 복 자음 받침을 배열한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sonant input method may use a current arrangement for each company or use a uniqu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onant receiver is arranged in the consonant array so that simultaneous input is possible.

예를 들면 표1은 ㄹㄱ,ㅂㅅ, ㄹㅂ, ㄱㅅ, ㄴㅎ, ㄴㅈ,ㄹㅎ,ㄹㅁ등의 8개 복 자음 받침을 원 터치로 동시입력 가능하도록 배열한 것이다.   For example, Table 1 is arranged to enable the simultaneous input of eight B consonants, such as ㄱㄱ, ㅂㅅ, ㄹㅂ, ㄱㅅ, ㅎㅎ, ㄴㅈ, ㄹㅎ, ㅁ, with one touch.

(표1)                  Table 1

1 One 2  2 3 3 4 4  D 5 ㄱ 5 a  N 6ㅎ 6 ㅎ 7 7  ㅂ 8 ㅅ 8 ㅅ  ㅈ 9  9 0 ㅁ 0 ㅁ

상세히 설명하면 가로 방향인 숫자키 4의 작은 키와 숫자키 5의 큰 키를 한 손가락으로 동시에 누르면 "ㄹㄱ"이 입력되고 세로 방향인 숫자키 4의 작은 키와 숫자키 7의 작은 키를 한 손가락으로 동시에 누르면 "ㄹㄱ"이 입력되고 표2에 예 시한 것처럼 복 자음 받침에 해당하는 두 글자를 동시에 누르면 ㅂㅅ, ㄹㅂ, ㄱㅅ, ㄴㅎ, ㄴㅈ, ㄹㅎ, ㄹㅁ, ㄹㄱ 등이 입력된다. "ㄹㅁ" 과 "ㄹㅎ" 은 떨어져 있지만 제외한 다른 "ㄹㄱ, ㅂㅅ, ㄹㅂ, ㄱㅅ, ㄴㅎ, ㄴㅈ" 의 6개의 복 자음 받침은 가로나 세로로 인접해 있어 한 손가락으로 원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물론 "ㄲ" "ㅃ" "ㅉ" "ㄸ" "ㅆ" 등을 입력해야 한다면 해당키로 소정의 시간안에 두번 입력하면 된다.      In detail, press the small key of the numeric key 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arge key of the numeric key 5 at the same time with one finger to enter “ㄹㄱ”. By pressing the button at the same time, "ㄹㄱ" is input, and as shown in Table 2, pressing two letters corresponding to the B consonant consonants at the same time enters ㅂㅅ, ㄹㅂ, ㄱㅅ, ㅎ, ㄴㅈ, ㄹㅎ, ㄹㅁ, ㄹㄱ, etc. "ㄹㅁ" and "ㄹㅎ" are separated, but the six other consonant feet of "ㄹㄱ, ㅂㅅ, ㄹㅂ, ㄱㅅ, ㅎㅎ, ㄴㅈ" are adjacent horizontally or vertically, allowing one-touch input with one finger. Of course, if you need to enter "ㄲ" "ㅃ" "ㅉ" "ㄸ" "ㅆ", etc., enter the key twi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원터치로 입력시 두 개의 숫자키를 동시에 누르므로 이론적으로 한 개는 빠르고 한 개는 늦을 수가 있으므로 일정시간 안에는 동시입력 처리되도록 하여야할 것이다. 참고로 성인 남자가 다른 생각 없이 오로지 숫자키만 조작할 때 1초에 4개 (0.25초 / 숫자키 1개당)정도 누를 수 있다.물론 현실적인 문자 입력상황에서는 존재하기 힘든 수치다.     Since two numbers are pressed at the same time for one-touch input, theoretically one can be fast and one can be late, so it should be processed simultaneously in a certain time. Note that when an adult man operates only the numeric keys, he can press four (0.25 seconds / per numeric key) a second without any thought, which is hard to exist in realistic character input.

따라서 입력시 그 정도의 소요 시간을 감안하여 입력시 복 자음 받침으로 입력처리되는 최소한의 시간은 두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required for input, it is natural to set a minimum time for input processing as a consonant receiver during input.

한편 일반 자판에서는 동시에 누를 경우 한 개만 입력되고 한 개는 작동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다시 누르면 순차적으로 입력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엉뚱하게 입력처리된다.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pressing at the same time, only one is input and one does not work. And if you press it again, the input is not processed sequentially, but actually it is processed incorrectly.

(표2)Table 2

복 자음 받침  Happy Consonant Stand 입력방법                      Input method 일반적인 조작횟수General operation count 본발명 조작 횟수Number of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ㄹㄱ  ㄹㄱ 4작은 숫자키, 5 큰숫자키를 한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One touch operation of 4 small number keys and 5 large number keys with one finger 2회   Episode 2 1회   1 time ㅂㅅ  ㅂㅅ 7작은 숫자키, 8 큰숫자키를 한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One touch operation of 7 small number keys and 8 large number keys with one finger 2회   Episode 2 1회   1 time ㄹㅂ  ㄹㅂ 4작은 숫자키, 7 작은숫자키를 한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One touch of 4 small number keys and 7 small number keys with one finger 2회   Episode 2 1회   1 time ㄱㅅ  ㄱㅅ 5큰 숫자키, 8 큰숫자키를 한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One touch operation of 5 large number keys and 8 large number keys with one finger 2회   Episode 2 1회   1 time ㄴㅎ  ㅎㅎ 5작은 숫자키, 6 큰숫자키를 한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One-touch operation with 5 small number keys and 6 large number keys 2회   Episode 2 1회   1 time ㄴㅈ  B 5작은 숫자키, 8 작은숫자키를 한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One touch operation with five small number keys and eight small number keys 2회   Episode 2 1회   1 time ㄹㅎ  ㅎㅎ 4작은 숫자키, 6 큰숫자키를 한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4작은 숫자키, 6 큰숫자키를 두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One-touch operation of 4 small number keys and 6 large number keys One-touch operation of 4 small number keys and 6 large number keys 2회    Episode 2 1회또는 2회  1 or 2 times ㄹㅁ  ㄹㅁ 4작은 숫자키, 0 큰숫자키를 한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4작은 숫자키, 0 큰숫자키를 두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One-touch operation of 4 small number keys and 0 large number keys One-touch operation of 4 small number keys and 0 large number keys 2회    Episode 2 1회또는 2회  1 or 2 times

멀리 떨어져 있는 ㄹㅎ 과 ㄹㅁ의 경우는 처음에는 따로 따로 입력 해도 좋을 것이다. 따로 입력도 가능하지만 그럴 필요가 없을 것이다. For distant ㄹ and ㄹㅁ, you may enter them separately at first. You can enter it separately, but you won't have to.

(표3)    Table 3

1 lOne l   . 2 。   2 . l l 3 3 .

표3은 숫자키를 분할한 자판에 모음의 획수를 6개에 배열하여 모음을 동시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2의 실시예에서 모음 부분만 발췌)Table 3 shows the number of vowel strokes arranged in six on the keyboard where the numeric keys are divided so that the vowels can be entered simultaneously. (Excerpt only the vowel part in the example of FIG. 2)

기존의 모음의 구성요소 즉 모음의 자획 즉 모음의 자획 즉 모음의 자획 즉 모음의 자획을 이용한 기존의 방식들은 3개의 자판에 필기 순으로만 입력하도록 하였지만 표3에 나타난 본 발명의 입력방식은 필기 순 보다는 배치된 위치와 모양에 자획의 2-4개를 동시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숫자키 조작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인 것이다.     Existing methods using the components of the existing vowel, that is, the vowels of the vowels, the vowels of the vowels, the vowels of the vowels, that is, the vowels of the vowels, are to be entered only in the order of handwriting on the three keyboards. The number of keystrokes has been drastically reduced by allowing two to four strokes at the same time to be placed and shaped rather than in order.

즉 기존의 자판은 모음 "ㅏ" 만들기 위해서 필기순에 따라 먼저 "l" 를 입력하고 "." 를 입력하여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방식으로"ㅏ"를 입력 하였지만 본 발명은 자판의 자획을 배열한 분할 자판의 배열된 위치의 모양에서 한눈에 "ㅏ"를 알아 볼 수 있으므로 분할된 1번 숫자키의 큰 버튼과 작은 버튼을 동시에 중간 부분을 눌러 한번에 ㅏ를 입력하도록 한 것이다. 아래 그림(500)을 참고해 볼수 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make the vowel “ㅏ”, input “l” first in order of writing. "." By inputting "ㅏ" in a sequential manner by input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e "의" at a glance in the shape of the arranged position of the split keyboard arranged the stroke of the keyboard. You can enter 버튼 at a time by pressing the middle part of the big and small buttons at the same time. See Figure 500 below.

Figure 112007019686988-PAT00001
Figure 112007019686988-PAT00001

ㅓ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분할된 2번 숫자키의 큰 버튼과 작은 버튼을 동시에 중간 부분을 눌러 한번에 ㅓ를 입력하도록 한 것이다.    To input, push the middle part of the large and small buttons of the divided number 2 key at the same time to input ㅓ at once.

ㅑ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분할된 1번 숫자키의 큰 버튼과 작은 버튼, 숫자키 2의 큰 버튼을 동시에 중간 부분을 눌러 한번에 ㅑ를 입력하도록 한 것이다.    To input 입력, press the middle button on the large and small buttons of the number 1 key, and the large button on the numeric key 2 at the same time to enter ㅑ at the same time.

ㅕ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분할된 1번 숫자키의 작은 버튼과 2번 숫자키의 큰 버튼 2번 숫자키의 버튼을 동시에 중간 부분을 눌러 한번에 ㅕ를 입력하도록 한 것이다.    To input, press the small button of the number 1 key divided by the big button of the number 2 key and press the button of the number 2 key at the same time to enter 키 at the same time.

1번 숫자키와 2번 숫자키의 큰 버튼과 작은 버튼을 한꺼번에 누르면 ㅒ를 입력할수있다.    You can enter ㅒ by pressing the big and small buttons of number 1 and number 2 keys at the same time.

3번 숫자키의 큰 버튼과 작은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ㅜ가 입력 처리된다.    Pressing the big and small buttons of number 3 key simultaneously inputs TT.

이상은 대표적인 모음 입력 처리 방식이고 그외의 모음도 동시 입력 후에 부가하는 방식으로 입력한다.     The above is a typical vowel input processing method, and other vowels are input in a manner of adding after simultaneous input.

예를 들어 ㅖ를 입력하려면 동시 입력하는 방식으로 ㅕ를 입력하고 l 를 부가하는 것이다.     For example, to enter ㅖ, enter 으로 and add l to enter it at the same time.

이렇게 하면 자획을 일일히 입력하는 것( 4회조작)의 절반인 2획이면 입력할 수 있 는 것이다. 모음을 조합하는데 있어는 복수의 방법도 가능하다.This way, you can enter two strokes, which is half of typing strokes (four times). Multiple methods are also possible for combining vowels.

모음조합이 가능한한 2-4개를 동시에 누르면 모음이 입력처리되지만 2개 자판을 나누어 누르는 것이 편하리라고 생각된다.    When vowel combination is possible, pressing 2-4 at the same time will process vowels, but I think it would be convenient to divide the two keyboards.

문자 입력의 방법상 어느 자판이든 필기 순의 입력을 기본으로 하지만 본 자판의 기술적 특징은 2~4의 자획을 동시에 입력하되 자획 배열의 형상을 참고하므로 특히 모음입력의 경우 필기순을 생각하지 않고도 입력할 수 있어 단순한 필기 순 입력보다 효율을 배가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In the method of character input, any keyboard is based on writing order, but the technical feature of this keyboard is to input 2 ~ 4 strokes at the same time, but refer to the shape of the stroke arrangement. It can be said that it is significant that the efficiency is more than the simple handwriting order input.

다음 표4는 위에서 설명한 도2에 의한 모음의 입력방법의 실시예이다.     Table 4 below is an embodiment of the vowel input method of FIG.

입력 방법을 설명하고 천지인과 조작횟수를 비교하였다.  We explained the input method and compared the operation count with Cheonjiin.

(표4)Table 4

모음   collection 동시 입력방법     Simultaneous input method 천지인의 조작횟수Cheonjiin's operation count 본 발명의조작 획수 Operation stroke number of this invention l 。 l。 22 1One ㅣ 。。ㅣ 。。 33 1One 。l  。L 22 1One 。。l 。。L 33 1One 。ㅡ 。 ㅡ 22 1One 。。ㅡ。。 ㅡ 33 22 TT ㅡ。ㅡ。 22 1One ㅡ。。ㅡ 。。 33 22 1One 1One ll 1One 1One l。ll。l 33 22 l。。ll。。l 44 22 。llLl 33 22 。。ll。。Ll 44 33 。ㅡㅣ。。 ㅡ ㅣ。 44 22 。ㅡl。l。 ㅡ l。l 55 33 。ㅡㅣ。 ㅡ ㅣ 33 22 ㅡ。。ㅣㅡ 。。 ㅣ 44 22 ㅡ。。ㅣㅣㅡ 。。 ㅣ ㅣ 55 33 ㅡ。ㅣㅡ。 ㅣ 33 22 ㅡㅣㅡ ㅣ 22 22 모음을 1회 입력시 조작합계  Total operation when entering a vowel once 62 회 62 times 37 회 37 times

도2의 모음의 구성요소를 표시한 표3의 각키 "l" "." "." "l" "." "ㅡ" "." 에 번호를 붙여 설명한 것이 표5 이다.  Each key "l" "." In Table 3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vowel of FIG. "." "l" "." "ㅡ" "." Table 5 lists the numbers.

(표5)             Table 5

1 l    1 l 1-1 。 1-1。 2 。     2 . 2-1 l 2-1 l 3 。    3。 3-1 ㅡ 3-1 6-1 。 6-1。

표5의 맨 윗줄의 1 과 1-1 그리고 2 와 2-1 그리고 3과 3-1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숫자키에 임의로 번호를 표시한 것이다. 1과 1-1은 숫자키 1을 분할한 것이고 2와 2-1은 숫자키 2가 두개로 분할된 것을 표시한 것이다. 3과 3-1은 숫자키3을 분할한 것이다.      1 and 1-1, 2 and 2-1 and 3 and 3-1 in the top row of Table 5 are randomly numbered on the numeric keys for better understanding. 1 and 1-1 indicate that the numeric key 1 is divided, and 2 and 2-1 indicate that the numeric key 2 is divided into two. 3 and 3-1 are the numeric key 3 divisions.

숫자키 1은 모음 "l" 숫자키 1-1은 모음을 구성하는 요소" . " 를 표시한 것이다.    Numeric key 1 represents the vowel "l" Numeric keys 1-1 represent the elements "." That make up the vowel.

2번키, 2-1키, 3번키, 3-1키도 모음의 구성요소 즉 모음의 자획 가운데 하나를 배열한 것이다. 6-1은 모음 ㅜ를 입력하기 위한 배열이다.Keys 2, 2-1, 3, and 3-1 are also arranged one of the elements of a vowel, that is, the vowel strokes. 6-1 is an array for inputting vowels.

(표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이다.    Table 6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표6)                       Table 6

1 l 1 l  . 2 。 2 . l  l 3 ㅡ 3 ㅡ  . 4 o 4 o  D 5 ㄱ 5 a  N 6ㅎ 6 ㅎ  ㅡ 7 ㅅ 7 ㅅ  ㅂ 8 ㅅ 8 ㅅ  ㅈ 9ㅍ 9  ㅌ    N *ㅋ* Haha 0 ㅁ 0 ㅁ  C  H # #

표6는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하나로 도2와 동일하다. 모음 동시입력기능과 자음 동시 입력기능을 함께 구현한 자판이다. 이때 숫자를 적어 넣지않은 작은 버튼의 높이를 큰 버튼의 높이 차이를 두면 작은 버튼입력시 작은 버튼만 살짝 누를 수 있고 큰 버튼 누를 때는 작은버튼이 경계 역할을 손가락 끝이 걸리므로 (도8의 801참조) 오작동이 없어진다.두 개의 버튼을 동시에 누를 때는 두 키에 손가락을 걸치고 중간 부분을 누르면(도5의 500 참조) 쉬울 것이다.      Table 6 is the same as FIG. 2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keyboard that implements simultaneous vowel input function and simultaneous consonant input function. At this time, if the height of the small button without the number is set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big button, only the small button can be pressed slightly when the small button is input, and when the large button is pressed, the small button takes the edge of the finger (see 801 of FIG. When two buttons are pressed at the same time, it will be easy to put your fingers on both keys and press the middle part (see 500 in Figure 5).

표7은 표5즉 도2의 실시예에 대한 문장입력시 조작 효율비교이다.    Table 7 compares Table 5, that is, operational efficiency in sentence input for the embodiment of FIG.

(표7) Table 7

문장    sentence 입력방법       Input method 천지인의 조작횟수 Cheonjiin's operation count 본발명의 조작횟수Operation c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안녕하세요Hi ㅇㅏㄴㄴㅕㅇㅎㅏㅅㅓ l ㅇㅛㅇㅏ ㄴㄴ ㅕㅇ ㅎㅏ ㅅㅓ l ㅇㅛ 2121 1313 맑은 하늘Clear sky ㅁㅏ ㄹㄱ ㅇㅡㄴㅎㅏㄴㅡㄹㅁㅏ ㄹㄱ ㅇ ㅡ ㄴ ㅎㅏㄴ ㅡ ㄹ 1818 1111 강원도Gangwon-do ㄱㅏㅇㅇㅜㅓㄴㄷㅗㄱㅏㅇ ㅇㅜㅓㄴ ㄷ ㅗ 1212 99 합계          Sum 5151 3333

또한 휴대폰의 경우 다양한 기능(TV,게임,네비게이션 등)의 탑재로 말미암아 단말기가 약간씩 커지는 경향이다. 숫자키가 커질수록 한개의 숫자키를 몇 개로 나누어야 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가 용이해 지는 것이다.    In addition, mobile phones tend to be slightly larger due to the various functions (TV, games, navigation, etc.). As the numeric keys become larger, it becomes easier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quires dividing one numeric key into several.

그리고 문자 메세지를 주로 보내는 고객층인 청소년들은 성인에 비해 손가락이 작은 것도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adolescents, who mainly send text messages, have smaller fingers than adults,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은 한글이 편리하게 원터치로 입력되는 외에는 현재의 메이커 별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배열을 사용할 수 있고 동일한 숫자 입력 기능이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the same arrangement as that used by the current makers, except that Hangul is conveniently input by one touch, and has the same number input function.

다만 한 개의 숫자키가 2-3개의 한글 키로 분할 구성 된다고 할 때 한부분의 키는 눈을 감고도 구분할 수 있도록 높이 차이를 두어 구성하면 좋을 것이다.    However, when one numeric key is divided into 2-3 Korean keys, one key can be divided with height so that it can be distinguished even with eyes closed.

2007년 현재의 삼성전자 휴대폰의 2번 숫자키 "4ㄱㅋ" 키에 본 발명을 적용한다면 한글 대문자 모드에서 좌측의 큰 키 를 누르면 한글 'ㄱ'가 입력될 것이고,우측의 작고 높은 키를 누르면 ㅋ이 입력될 것이다.    If you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number 2 key "4 ㄱㅋ" key of Samsung's mobile phone as of 2007, pressing the large key on the left in Korean capital letters mode will input the Korean 'ㄱ', Will be entered.

역시 한 숫자키에 접점이 여러 개이므로 문자입력시 오조작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입력시 작은 버튼은 작지만 숫자키의 키의 높이가 약간 높으므로 다른 키를 건드리지 않고 접촉할 수 있어 오작동을 막을 수 있고 큰 버튼은 작은 버튼에 손이 걸리므로 오히려 높이 차이가 없는 이전 방식보다 오작동이 적을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re are many contacts on one numeric key, there may be a possibility of incorrect operation when inputting characters. However, the small button at the time of input is small, but the height of the numeric key is slightly higher, so it can be touched without touching other keys, which can prevent malfunctions. This will be less.

물론 '전화 걸기 모드'에서는 하나의 숫자키 안에 있는 분할키 어느 곳을 눌러도 동일한 숫자가 입력되므로 좌를 누르든지 우를 누르든지 두 개가 한번에 눌러지든지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다.      Of course, in 'dial mode', there is no problem whether you press left / right or two at once because the same number is entered when you press the split key in one number key.

따라서 음성통화를 주로 하는 성인들은 평소 상태인 전화걸기 모드에서는 한 숫자키 안에 있는 어떤 키를 눌러도 숫자만이 입력되므로 이전과 달라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Therefore, adults who use voice calls usually do not change anything from the previous dialing mode because only numbers are entered by pressing any key within a numeric key.

혹 손가락이 큰 경우 문자입력이 불편하게 느껴진다면 전화자판 설정 선택기능 에서 분할자판이나 일판 자판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If you have a large finger and you feel that you are uncomfortable with text input, you may be able to select a split keyboard or a single keyboard in the phone keyboard setting selection function.

일반자판을 선택하였다면 이전과 같이 1회 조작하면 앞의 글자가 2회 조작하면 뒤의 글자가 입력되는 식이 될 것이다. 따로 선택하지 않아도 2회 조작하면 자동으로 전과 같이 입력되게 할 수 있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는 2회 조작으로 ㄲ,ㅃㅉ,ㅆ,ㄸ의 입력을 못하게 되므로 특수문자,조작횟수,시간 조절등 으로 쌍자음의 입력방법을 별도로 정해야하는 부담이 있다. 기존 자판을 업그레이드 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기존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면 될 것이다.)이 경우는 메이커든 고객이든 새로운 입력방식에 대한 부담을 전혀 느끼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그냥 편리한 대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역시 전화 걸기 모드에서 처럼 한 숫자키 안에서라면 좌를 누르든지 우를 누르든지 한꺼번에 누르든지 이전과 동일하게 입력될 것이다.    If you select the normal keyboard, as in the previous operation, the previous character will be operated twice, and the latter character will be entered. Even if you do not select it separately, you may be able to automatically input the same as before (in this case, you will not be able to input ㄲ, ㅃㅉ, ㅆ, 으로 by 2 operations, so you can use special characters, number of operations, time adjustment, etc.) If you upgrade the existing keyboard, you will have to apply the existing method.) In this case, you will not have to feel the burden on the new input method whether you are a manufacturer or a customer. . Just use it as you see fit. Again, as in dialing mode, if you press the left key, the right key, or the same key at the same time, the input will be the same as before.

본 발명은 새로운 방식에 적응 잘하는 고객이나 못하는 고객 모두 환영할만한 방식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lcome method for both customers who are good at adapting to new ways or who are not.

게임, 인터넷, 텔레비젼, 영화시청 기능 등이 활성화됨에 따라 휴대폰이 약간은 커질 수 있겠지만 무한정 커질 수는 없다.     As games, the Internet, television, and movie watching become active, cell phones can grow slightly, but not indefinitely.

숫자키가 약간만 커져도 본 발명의 방식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고 기존 방식과 새로운 입력 방식의 절충이라고 할 수 있는 본 발명은 유용한 입력 방식이 될 가능성이 크다.     Even if the number keys are slightly increased,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ompromise between the existing method and the new input method, is likely to be a useful input method.

도3은     3 is

본 발명을 이용한 입력의 일 실시 예이다.    One embodiment of the input using the present invention.

'삼성' 을 입력하려면    To enter 'Samsung'

(S 301) 문자입력 모드로 초기화 시키는 1단계.   (S 301) Step 1 to initialize the character input mode.

(S 302) 한글 대문자 모드 선택하는 2단계.   (S 302) Step 2 to select the Hangul uppercase mode.

(S 303) " ㅅ " 을 1회 조작하는 3단계.   (S 303) Step 3 for operating "s" once.

(S 304) " l - " 을 동시에 1회 조작하여 ㅏ를 입력하는 4단계.   (S 304) Step 4 to input ㅏ by operating "l-" at the same time once.

(S 305) " o " 을 1회 조작하는 5단계.   (S 305) Five steps of operating "o" once.

(S 306) " ㅅ " 를 1회 조작하는 1회 조작하는 6단계.   (S 306) Step 6 of single operation of "s" operation once.

(S 307) " - l " 을 동시에 1회 조작하여 ㅓ 를 입력하는 7단계.   (S 307) Step 7 for inputting ㅓ by operating “-l” at once simultaneously.

(S 308) " o "을 입력을 확인하는 8단계.   (S 308) Step 8 to confirm input of "o".

(S 309) 문자를 전송하는 9단계.   (S 309) Step 9 of transmitting the text.

이상으로 입력이 완료된다.           This completes the input.

도4는 본 발명을 이용한 문자 배열의 일 실시 예이다.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a character arra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한글자음 ㅇ (401) 한글자음 ㄱ (402) 한글자음 ㅎ(403)을 가로로 연결하여 대표, 개발자 등 사람의 이름이나 사물의 이름을 만들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angul consonants ㅇ (401) Hangul consonants a (402) Hangul consonants ㅎ (403) by connecting the names of people or things, such as representatives, developers.

위의 예를 들면 첫 글자를 연결하면 사람이름 "이건ㅎ"(특정인의 이름이 되므로 세번째 글자 모음생략, 이하 같이 처리함) 가 되는 것이고        For example, if you connect the first letter, it becomes the person's name "This thing" (because it becomes the name of a specific person)

같은 방식으로 한글자음 ㅅ (404) 한글자음 ㅅ(405) 한글자음 ㅍ(406)을 가로로 연결하여 역시, 대표, 개발자 ,제품명 등 사람의 이름이나 사물의 이름을 만들 수 있다. 이 실시 예의 경우는 이을 가로로 연결하면 "삼ㅅ폰"의 첫글자가 되는 것이다.          In the same way, Hangul consonants ㅅ (404) Hangul consonants ㅅ (405) Hangul consonants 402 by connecting horizontally, can also create the name of the person or things such as representative, developer, product name. In this embodiment, when it is connected horizontally, it is the first letter of "three phones".

또는 한글자음 ㄴ (407)은 "노키ㅇ"의 첫글자이고 한글자음 ㅁ(408)은 "모 토로ㄹ"의 첫 글자가 되는 것이다. 한글자음 ㅊ(409)은 "추월한다" 또는 대표 이름의 첫 글자" 최 지 ㅅ" 등의 첫 글자 등으로 기업의 각오와 염원을 구성원이나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Or Hangul consonant b (407) is the first letter of "Noki" and Hangul consonant ㅁ (408) is to be the first letter of "Motororo." The Hangul consonant (409) can convey the company's determination and aspirations to members or consumers with the first letter such as "overtake" or the first letter of the name of the representative ".

이를 전체적으로 연결하여 역시, 대표, 개발자 ,제품명 등 사람의 이름이나 사물의 이름을 만들 수 있다. 기업의 염원이나 정체성을 담을 수도 있다. 나머지 글자에는 예를 들면 ㅌ은 약간 다르게 인쇄해서 명예의 전당처럼 이동통신의 공로자의 이름인 " 이 기 ㅌ" 사장의 이니셜을 헌정한것으로 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은 고객의 감성에 전달되어 호기심으로 그 이름을 기억할 것이고 결과적으로 자판 암기가 쉬워지고 입력이 빨라지는 것이다. 구성원들의 자부심과 사기도 높아질 것이다. 특정업체뿐 아니고 어느 기업이라도 가능한 것이다.      By connecting them as a whole, you can also create names of people or things, such as representatives, developers, and product names. It can also contain corporate aspirations or identity. The rest of the letters could, for example, be printed a little differently and dedicated to the initials of the president, Lee Ki-gi, the name of the merit of mobile communications, such as the Hall of Fame. This is conveyed to the customer's emotions, and the curiosity will remember the name, resulting in easier memorization and faster typing. Their pride and morale will also increase. Any company, not just a specific company, is possible.

도5는 본 발명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이다.     5 is an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도5의 (501)-(503)은 입력 편의를 위해 배열된 글자의 형상을 보고 글자를 원터치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핀 스타일의 키를 더 설치한 실시 예이다. 핀 스타일의 키는 면적을 최대한 적게 차지하기 위해 핀 모양 일뿐 기능은 일반 키와 동일하다.    5 and 503 of FIG. 5 are exemplary embodiments in which a pin style key is further installed so that the characters can be input with one touch by looking at the shapes of the characters arranged for convenience of input. Pin-style keys are pin-shaped, in order to occupy the smallest area possible, and the functionality is the same as ordinary keys.

각 핀 스타일의 키는 키는 ㅏ(501), ㅓ(503), ㅜ(504), ㅗ(505) 가 원터치로 입력된다.     The key of each pin-style key is 501, 503, 504, 505 which are input by one touch.

(506)-(511)은 ㄹㄱ(506),ㅂㅅ(508), ㄹㅂ(509), ㄱㅅ(510), ㄴㅎ(507), ㄴㅈ(511),ㄹㅁ(509)등의 6개 복 자음 받침을 원 터치로 동시입력 가능하도록 배열한 것이다.    (506)-(511) are six B consonants, such as d (506), d (508), d (509), d (510), b (507), b (511), d (509) It is arranged to allow simultaneous input with one touch.

도6는 본 발명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이다.    Figure 6 is an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손가락(601)은 ㄹㄱ을 단번에 입력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Finger 601 shows entering R at once.

도7은 본 발명을 이용한 입력의 일 실시 예이다.    7 is an embodiment of an input using the present invention.

손가락(701)은 ㄹㅂ을 단번에 입력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Finger 701 shows inputting r ㅂ at once.

도8는 본 발명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이다.    8 is an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손가락은 높이가 낮은 키를 누르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e finger is showing pressing a low key.

도9은 본 발명을 이용한 입력의 일 실시 예이다.    9 is an embodiment of an input using the present invention.

손가락이 높은 키를 누르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인접한 키보다 높이가 높기 때문에 규격이 작아도 다른키를 건드리지않아 정확한 입력이 가능하다.            Demonstrating a finger pressing a high key. Since the height is higher than other adjacent keys, even if the size is small, accurate input is possible without touching other keys.

도10은 모음의 형상이 되도록 배치한 일 실시 예이다.    Figure 10 is an embodiment arranged to be in the shape of a vowel.

위에서도 설명했지만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Although described above,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 예는 ㅏ 의 형상을 이루게 하기 위하여 l 와 . 키를 좌우에 배열한 것을 보여준다(1001).         In this embodiment, l and. The key is arranged left and right (1001).

ㅓ 의 형상을 이루게 하기 위하여 . 와 l 키를 좌우에 배열한 것을 보여준다(1002).       In order to make the image of It shows that the and keys are arranged left and right (1002).

ㅗ 의 형상을 이루게 하기 위하여 . 와 ㅡ 키를 좌우에 배열한 것을 보여준다(1003).       In order to make the image of It shows that the and keys are arranged left and right (1003).

ㅜ 의 형상을 이루게 하기 위하여 ㅡ 와 . 키를 좌우에 배열한 것을 보여준다(1008).      To achieve the image of. The key is arranged left and right (1008).

ㅑ의 형상(1007)을 보여준다. 실제 입력시에 l . . 를 모두 누르면 모음 ㅑ 가 입력 처리될 것이고 모음 구분요소 . . 와 l, 를 동시에 누르면 모음 ㅕ 가 입력되고 . . 와 ㅡ를 동시에 누르면 모음 ㅛ가 입력되고 . . 과 ㅡ을 동시에 누르면 모음 ㅠ 가 각각 입력 처리된다. 그외에 중 모음은 형상 또는 필기 순으로 입력처리된다.      Show shape 1007 of the fin. L on actual input. . Pressing both will input the vowel 것이고 and enter the vowel delimiter. . Pressing l and l at the same time enters the vowel 되고. . Pressing and simultaneously will enter the vowel ㅛ. . Press and at the same time to input the vowels ㅠ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vowels are inputted in shape or handwriting order.

그이 도4 의 가 1004-1006은 가로로 복자음 받침을 배열한 것이다. 도4의 나 1009-1011은 세로로 복자음 받침을 배열한 실시예이다.     In Fig. 4, 1004-1006 of Fig. 4 is a horizontal arrangement of the consonant support. 4B, 1009-1011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BJ consonants are vertically arranged.

본 발명을 등록특허10-0679696에 적용해 자음키 배열을 구성해도 유용할 것이다. 모음 입력방법이나 원터치 입력은 본 발명의 내용이지만 인용발명의 고유한 자음 배열 방법은 인용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 내용이므로 본 출원에 속한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의 활용 예를 보여 주고자 하는 것이다.     It may be useful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Patent No. 10-0679696 to construct a consonant key arrangement. The vowel input method or one-touch input is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unique consonant arrangement method of the cited invention does not belo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because it belongs to the claims of the cited invention. It is just to show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인용발명의 자음 배열은 아라비아 숫자와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찾기 쉽게 배열되어 있지만 모음을 획수로 배열하여 특히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음 입력방식을 활용하면 효율은 배가 될 것이다.    The consonant arrangement of the cited invention is arranged to be easy to find based on similarity with Arabic numerals, but it is particularly inconvenient because the vowels are arranged in stroke numbers. Therefore, the efficiency will be doubled by utilizing the vowel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은 각 입력 방식별로 적용가능하며 다양한 한글입력방식에서 사용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each input method and can be used in various Hangul input methods.

또 한 숫자키를 분할하는 방식은 터치스크린 방식에서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사용범위로는 전화기,전자사전 등을 물론하고 문자입력을 필요로 하는 모든 기기에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dividing the numeric key may be applicable to the touch screen method. It can be used for all devices that require text input, as well as telephones and electronic dictionaries.

상기 실시 예는 설명을 위하여 예를 든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실시 예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권리의 보호범위는 이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for descrip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claims below.

1. 본 발명은 어느 글자나 모두 원터치로 입력할 수 있다.    1. In the present invention, any letter can be input with one touch.

2. 한글 모음의 경우 모음의 형상을 보고 동시입력할 수 있고 ㄴㅎ, ㄴㅈ 등의 복 자음 받침도 한번에 입력할 수 있다.    2. In case of Hangul vowel, you can see the shape of the vowel and input it simultaneously.

3. 본 발명은 기존 한글 입력방식의 배열을 바꾸지 않고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이커 측에서 비교적 위험부담 없이 적용할 수 있다.    3.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thout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existing Hangul input method, it can be applied relatively without risk on the maker side.

4. 휴대폰 문자 멧세지 기능 이용자라면 자신이 사용하는 기종의 자판을 거의 외우고 있을 것이다. 입력 방식을 바꾸면 새로 자판을 외우는 것이 당연하고 그 부담 때문에 고객은 휴대폰 바꾸기를 망설이게 된다. 그러나 새로운 자판을 외우는 불편 없이 입력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Mobile phone text message function If you are a user, you will almost memorize the keyboard you use. If you change the input method, it is natural to memorize a new keyboard, and the burden is hesitant to change the phone. However, the input efficiency can be improved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memorizing the new keyboard.

5.좌우 버튼과 확연이 구별되므로 한글 문자 멧세지 입력방식의 주 사용자들인 청소년의 작은 손가락에 사용이 편리하다.   5. The left and right buttons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so it is convenient to use for the small finger of adolescents who are the main users of the Hangul text message input method.

6.음성통화를 주로 하는 성인들은 평소 상태인 전화 걸기 모드에서는 한 숫자키 안에 있는 어떤 키를 눌러도 숫자만이 입력되므로 이전과 달라지는 것은 없다.또한 문자를 누를 때도 종전과 같이 연속 조작으로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6.In the normal dialing mode, adults who use voice calls do not change the previous number because any number within a single number key is pressed.Also, when you press a letter, you can use it with continuous operation as before. No problem.

7.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면 입력이 간편해지고 특히 조작횟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input and in particular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f operations.

Claims (5)

문자와 숫자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수의 숫자키들로 이루어져 있는 단말기에 한글을 입력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숫자키에는 숫자와 한글들이 배열되어 있으며, 분할은 상기 각 숫자 키 안에서 한글의 별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각 숫자키를 나눈 것인데, 상기 분할된 키에서 한글과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a method for inputting Hangul into a termina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numeric keys to enable letters and numbers to be input, the numeric keys are arranged with numbers and Korean characters, and the division is performed to enable separate input of Korean characters within the respective numeric keys. In the divided key, in the method for inputting the Hangul and numbers in the divided key, 분할된 1 번 숫자키에 배열된 글자를 분할된 키별로 조작하여 해당 한글 자모를 입력하는 과정,Process of inputting the Hangul alphabet by manipulating the letters arranged in the divided number 1 key for each partitioned key, 분할된 2 번 숫자키에 배열된 글자를 분할된 키별로 조작하여 해당 한글자모를 입력하는 과정,The process of inputting the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by manipulating the letters arranged in the divided number 2 key for each divided key, 분할된 3 번 숫자키에 배열된 글자를 분할된 키별로 조작하여 해당 한글자모를 입력하는 과정,The process of inputting the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by manipulating the letters arranged in the divided number 3 key by the divided keys, 분할된 4 번 숫자키에 배열된 글자를 분할된 키별로 조작하여 해당 한글자모를 입력하는 과정,The process of inputting the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by manipulating the letters arranged in the divided number 4 key by the divided keys, 분할된 5 번 숫자키에 배열된 글자를 분할된 키별로 조작하여 해당 한글자모를 입력하는 과정,The process of inputting the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by manipulating the letters arranged on the divided number 5 key by the divided keys, 분할된 6 번 숫자키에 배열된 글자를 분할된 키별로 조작하여 해당 한글자모를 입력하는 과정,The process of inputting the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by manipulating the letters arranged in the divided number 6 key for each partitioned key, 분할된 7 번 숫자키에 배열된 글자를 분할된 키별로 조작하여 해당 한글자모를 입력하는 과정,The process of inputting the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by manipulating the letters arranged in the divided number 7 key for each divided key, 분할된 8 번 숫자키에 배열된 글자를 분할된 키별로 조작하여 해당 한글자 모를 입력하는 과정,The process of inputting the corresponding Hangul character by manipulating the letters arranged in the divided number 8 key by the divided keys, 분할된 9 번 숫자키에 배열된 글자를 분할된 키별로 조작하여 해당 한글자모를 입력하는 과정,The process of inputting the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by manipulating the letters arranged in the divided number 9 key by the divided keys, 분할된 0 번 숫자키에 배열된 글자를 분할된 키별로 조작하여 해당 한글자모를 입력하는 과정,The process of inputting the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by manipulating the letters arranged in the partitioned number 0 key for each partitioned key; 분할된 * 특수문자 키에 배열된 글자를 분할된 키별로 조작하여 해당 한글자모를 입력하는 과정,The process of inputting the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by manipulating the letters arranged in the partitioned * special character key for each partitioned key, 분할된 # 특수문자 키에 배열된 글자를 분할된 키별로 조작하여 해당 한글자모를 입력하는 과정 중에서In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by manipulating the letters arranged in the partitioned # special character key for each partitioned key 필요한 과정을 이용하여 한글이나 특수문자 별로 분할된 버튼을 눌러 입력하되 소정의 횟수 누를 때 해당키의 한글이나 특수문자가 입력되고, Using the necessary process, press the button divided by Hangul or special characters, and enter. 숫자 모드 일 때는 해당 숫자키 안에서는 분할 돤 어느 키를 눌러도 해당 숫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와 한글과 문자의 입력방법. In the numeric mode, the number and the Hangul and characters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sponding number is entered by pressing any key within the number keys. 문자와 숫자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수의 숫자키들로 이루어져 있는 단말기에서, 상기 숫자키에는 모음을 구성하는 단위인 모음 구분기호가 동시 입력시 모음의 형상을 알아보게 배열되어 있으며, 분할은 상기 각 숫자 키 안에서 한글의 별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2개의 키로 나눈 것인데,상기 분할된 키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In a termina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numeric keys so that letters and numbers can be input, the numeric keys are arranged to recognize the shape of the vowels at the same time the vowel delimiter, which is a unit constituting the vowel, is divided into the respective numeric keys It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keys to enable the separate input of Hangul in, In the terminal for inputting Hangul from the divided key, 적어도 2개의 한글을 분할된 키 별로 할당한 1번 숫자키; No. 1 numeric key for assigning at least two Korean characters to each partitioned key; 적어도 2개의 한글을 분할된 키 별로 할당한 2번 숫자키; A second number key for allocating at least two Korean characters for each partitioned key; 적어도 2개의 한글을 분할된 키 별로 할당한 3번 숫자키; A third number key for assigning at least two Hangul characters to each of the divided keys; 적어도 2개의 한글을 분할된 키 별로 할당한 4번 숫자키; A number 4 key that assigns at least two Korean characters to each partitioned key; 적어도 2개의 한글을 분할된 키 별로 할당한 5번 숫자키; A numeric key 5 which allocates at least two Korean characters to each partitioned key; 적어도 2개의 한글을 분할된 키 별로 할당한 6번 숫자키; A sixth number key for assigning at least two Korean characters to each of the divided keys; 적어도 2개의 한글을 분할된 키 별로 할당한 7번 숫자키; A seventh number key for assigning at least two Korean characters to each of the divided keys; 적어도 2개의 한글을 분할된 키 별로 할당한 8번 숫자키; An eighth number key assigned at least two Hangul characters for each of the divided keys; 적어도 2개의 한글을 분할된 키 별로 할당한 9번 숫자키; Nine number key for assigning at least two Hangul characters for each partitioned key; 적어도 2개의 문자를 분할된 키 별로 할당한 0번 숫자키; A zero number key for allocating at least two characters for each partitioned key; 적어도 2개의 문자를 분할된 키 별로 할당한 특수문자키를 구비하고 Has a special character key assigned at least two characters for each partitioned key; 상기 분할된 숫자키 중 하나의 키를 소정횟수 누르면 해당 글자가 입력 처리되고, 해당 모음 형상이 되도록 분할된 2개의 키를 동시에 누르면 모음구분기호가 조합되어 해당 모음이나 복자음받침이 단번에 입력되고, 해당 모음의 형상이 되도록 분할된 3개의 키를 동시에 누르면 모음구분기호가 조합되어 해당 모음이 단번에 입력되고, 해당 모음이 되도록 분할된 4개의 키를 동시에 누르면 모음구분기호가 조합되어 해당 모음이 단번에 입력되고, 숫자 모드 일 때는 해당 숫자키 안에서는 분할 돤 어느 키를 눌러도 해당 숫자가 입력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문자 입력 단말기.   When one of the divided numeric keys is press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inputted, and pressing two divided keys at the same time to form a corresponding vowel form combines the vowel delimiters and inputs the vowel or fuzzy sound at once. If you press the three divided keys to form the vowel at the same time, the vowel delimiter is combined and the vowel is entered at the same time. If you press the four divided keys to be the vowel at the same time, the vowel delimiter is combined and the vowel is entered at once. In the numeric mode, a character input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sponding number is input by pressing any key. 문자와 숫자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수의 숫자키들로 이루어져 있는 단말기에서,   In a termina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numeric keys so that letters and numbers can be entered, 상기 숫자키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한글이 배열되어 있으며, 모음 구분기호를 배열하는 기준은 배열된 모음 구분기호를 조합하면 모음의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고, 자음을 배열하는 기준은 각 키의 일정한 위치의 글자를 연결했을 때 어떤 의미가 이루어져서 소비자에게 전달되거나 암기가 쉽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키에서 에 숫자와 한글 글자들을 배열하는 방법에 있어Arabic numerals and Korean characters are arranged on the numeric keys, and the criteria for arranging vowel delimiters is to form a vowel when the arranged vowel delimiters are combined, and the criterion for arranging consonants is a letter of a certain position of each key. When it is connected to a certain meaning, it is made to be easily conveyed or memorized to the consumer. 서, book, 모음 구분기호를 각 숫자 키에 배열하되 각 모음의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하는 과정과,Arranging the vowel delimiters on each numeric key to form the shape of each vowel, 각 숫자키에 배열된 일정한 위치의 한글들이 의미를 갖도록 가로로 배열하는 과정과, The process of arranging horizontally so that Korean characters at a certain position arranged on each numeric key have meaning; 각 숫자 키에 배열된 일정한 위치의 한글들이 의미를 갖도록 세로로 배열하는 과정과, The process of arranging vertically so that the Hangul in a certain position arranged on each numeric key has meaning 필요한 경우 각 숫자키에 전체 한글 글자들의 이니셜이 의미를 갖도록 배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구분기호와 한글 자음을 배열하는 방법.       If necessary, a method of arranging Korean vowel delimiters and Korean consonants in a character input terminal comprising a process of arranging initials of all Korean characters to have meanings in each numeric key. 제 3항에서     In paragraph 3 상기키에서 숫자와 한글 모음구분기호와 자음을 배열하는 방법에 있어서, 분할된 1 번 숫자키에는 한글 모음 구분기호 l 와 . 를 배열하여 단모음 ㅏ의 형상이 되게하는 과정과,      In the method of arranging numbers, Hangul vowel delimiters, and consonants in the above key, the Hangul vowel delimiters l and. Arranging to form a single vowel ㅏ, 분할된 2 번 숫자키에는 한글 모음 구분기호 . 와 l 를 배열하여 단모음 ㅓ의 형상이 되게하는 과정과, Hangul vowel delimiter on number 2 key. Arranging and l to form a single vowel 과, 분할된 3 번 숫자키에 한글 모음 구분기호 ㅡ 와 . 를 배열하여 단모음 ㅜ의 형상이 되게하는 과정과, Hangul vowel delimiter ㅡ and.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shape of a single vowel TT, 분할된 6 번 숫자키에는 한글 모음 구분기호ㅡ 를 배열하여 상기 3번 숫자키 의 . 과 함께 단모음 ㅗ의 형상이 되게하는 과정과,Hangul vowel delimiter ㅡ is arranged on the 6th numbered key. And the process of forming a short vowel 4번 숫자키에는 ㅇ 과 ㄹ을 배열하고 , 5번 숫자키에는 ㄱ ㄴ 을 배열하고,  Arrange ㅇ and ㄹ with number 4 key, and ㄱ a with number 5 key. 6번 숫자키에는 ㅎ 을 배열하고, 7번 숫자키에는 ㅅ ㅂ을 배열하고,  Arrange ㅎ on number 6 key, ㅅ 에는 on number 7 key, 8번 숫자키에는 ㅅ ㅈ 을 배열하여 가로로 보면 ㄹㄱ, ㄴㅎ, ㅂㅅ, 복자음 받침이 인접하고 세로로 보면 ㄹㅂ, ㄱㅅ, ㄴㅈ 복자음 받침이 인접하도록 배열하는 과정과,  In the 8th number key, arrange ㅅ ㅈ to arrange horizontally so that the r, ㅎ, ㅂㅅ, and Blessed consonant feet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o view vertically ㄹ ㅂ, ㄱㅅ, ㅈ B complexed consonant feet, 4번 키와 5번 키와 6번 키의 첫 글자가 의미 있는 이름의 이니셜이 되게 배열하고,Arrange the first letters of keys 4, 5 and 6 to be initials of meaningful names, 7번 키와 8번 키와 9번 키의 첫 글자가 의미 있는 이름의 이니셜이 되게 배열하고,Arrange the first letters of keys 7 and 8 and 9 to be initials of meaningful names, * 키와 0 번 키와 # 키의 첫 글자가 노키아, 모토로라. 추월한다(최지성)의 의미를 갖는 이니셜이 되게 배열하는 과정과,* The first letter of the key, the 0 key and the # key is Nokia, Motorola. The process of arranging initials with the meaning of overtaking 9번 숫자 키에는 ㅍ ㅌ 을 배열하고,ㅍ 키 is arranged for number 9 key, *특수문자 키에는 ㄴ ㅋ을 배열하여 가로로 보면 ㄹㄱ, ㄴㅎ, ㅂㅅ 의 복자음 받침이 인접하고 세로로 보면 ㄹㅂ, ㄱㅅ, ㄴㅈ 의 복자음 받침이 인접하도록 배열하는 과정과,* The special character keys are arranged so that the B consonant feet of ㄹㄱ, ㅎ, ㅂㅅ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B7 consonants of ㄹㅂ, ㄱㅅ, ㄴ 0번 숫자키에는 ㅁ ㄷ 을 배열하는 과정과 In number 0 key, the process of arranging ㅁ ㄷ and # 특수 문자키에는 ㅊ 을 배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구분기호와 한글 자음을 배열하는 방법. # Special character key is a method of arranging Hangul vowel delimiters and Hangul consonants in a character inpu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arranging g. 문자와 숫자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수의 숫자키들로 이루어져 있는 문자입력 단말기에서, 상기 숫자키에는 모음을 구성하는 단위인 모음 구분기호가 동시 입력시 모음의 형상을 알아보게 배열되어 있으며, 분할은 상기 각 숫자 키 안에서 한글의 별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2개의 키로 나눈 것인데,상기 분할된 키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In a character input termina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numeric keys so that letters and numbers can be input, the numeric keys are arranged to recognize the shape of the vowels at the same time, the vowel delimiter which is a unit constituting the vowels, the division is It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keys to enable the separate input of Hangul within the numeric key, In the terminal for inputting Hangul from the divided key, 분할된 키 l 와 . 사이에 원터치로 ㅏ를 입력시키는 키;   Partitioned key l and. A key for inputting ㅏ with one touch in between; 분할된 키 . 와 l 사이에 원터치로 ㅓ를 입력시키는 키;Partitioned key. A key to input ㅓ with one touch between and l; 분할된 키 . 와 . 사이에 원터치로 ..를 입력시키는 키;Partitioned key. Wow . One-touch key to enter .. between; 분할된 키 . 와 ㅡ 사이에 원터치로 ㅗ를 입력시키는 키;Partitioned key. A key to input ㅗ with one touch between and; 분할된 키 ㅡ와 . 사이에 원터치로 ㅡ를 입력시키는 키;Partitioned key-and. A key for inputting a- with one touch in between; 복자음 받침 ㄹㄱ, ㄴㅎ, ㅂㅅ, ㄹㅂ, ㄱㅅ, ㄴㅈ이 각각 원터치로 입력되는 키들을 구비하고,Blessed consonant bases ㄱㄱ, ㅎㅎ, ㅂㅅ, ㄹㅂ, ㄱㅅ, ㄴㅈ each have keys that are input by one touch, 상기 분할된 숫자키 중 모음 입력 키를 1회 누르면 해당 글자가 입력 처리되고, 해당 복자음 입력 키를 1회 누르면 해당 복자음 받침이 단번에 입력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 입력 단말기.     When the vowel input key is pressed once among the divided numeric key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inputted, and when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nput key is pressed once, the Hangul character input terminal is inputted at once.
KR1020070023864A 2007-01-12 2007-03-12 The key pad KR10089285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799 2007-01-12
KR20070006799 2007-01-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851A Division KR20080066636A (en) 2008-05-18 2008-05-18 The key p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514A true KR20080066514A (en) 2008-07-16
KR100892856B1 KR100892856B1 (en) 2009-04-15

Family

ID=3982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864A KR100892856B1 (en) 2007-01-12 2007-03-12 The key 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85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419B1 (en) * 2013-01-31 2014-08-26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Based On Dre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7685B1 (en) * 1999-04-23 2002-04-23 Ravi C. Krishnan Cluster key arrangement
KR20050055845A (en) * 2003-12-09 2005-06-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Input key structur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30116B1 (en) 2004-09-09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Data inputting key for portable apparatus and key array thereof
KR101111632B1 (en) * 2005-06-14 2012-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419B1 (en) * 2013-01-31 2014-08-26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Based On Dre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856B1 (en) 200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6755B1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entering data employing a toggle input control
JP2012513058A (en) System and method for text input for touch-enabled devices
KR20060101367A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number key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KR101808774B1 (en) Virtual keyboard strucutre for mobile device,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virtual keyboard for mobile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100937971B1 (en) Alphabet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JPWO2003107632A1 (en) Electronics
KR100892856B1 (en) The key pad
KR20100007041A (en) The input system
CN102422621A (en) Alphabet input method and apparatus
KR100348630B1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066636A (en) The key pad
KR20090007270A (en) The input system
KR20090007269A (en) The input system
KR20100007033A (en) The input system
KR100860837B1 (en) Display conversion type keypa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JP2001356872A (en) Device for inputting key and method for the same
KR20060107646A (en) Hangeul inputting system for digital terminal
JP5522425B1 (en) Japanese input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00008719A (en) The input system
KR100983727B1 (en) English alphabet inputting method for mobile phone
KR20140133790A (en) The input system
KR100556839B1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40133791A (en) The input system
KR200289579Y1 (en) Supplementary Keybuttons Installation Using Blank Space Between the Neumeric Keybuttons in Small Keypad and Letter Array System
KR20140132312A (en) The inpu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