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419B1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Based On Dre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Based On Dre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419B1
KR101434419B1 KR1020130011035A KR20130011035A KR101434419B1 KR 101434419 B1 KR101434419 B1 KR 101434419B1 KR 1020130011035 A KR1020130011035 A KR 1020130011035A KR 20130011035 A KR20130011035 A KR 20130011035A KR 101434419 B1 KR101434419 B1 KR 101434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nsonant
vowel
buttons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8422A (en
Inventor
정광모
박영충
최광순
안양근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11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419B1/en
Publication of KR20140098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4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4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는 TV나 모바일디바이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편하고 쉬우며 비교적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문자입력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버튼 선택을 위해 비교적 적은 제스처 횟수를 요하며 상대적으로 적은 문자버튼들을 사용하므로, 사용자에게 선택 동작에 대한 피로도를 줄여줌과 동시에 명확한 버튼입력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g-based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and a drag-based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easily input characters in a TV or a mobile device environment with ease and e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venience of inputting characters by the user is improved and the user's fatigue is reduced. In particular, since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gestures are required for button selection and relatively few character buttons are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user and to achieve a clear button input.

Description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Based On Dreg}[0001] DRAG-BASED HANGLE INPUT DEVICE AND METHOD [0002]

본 발명은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TV나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g-based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TV or mobile device environment.

IT 서비스 이용 환경이 PC에서 TV나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으로 점차 바뀌고 있다.IT service usage environment is gradually changing from PC to TV or mobile device environment.

PC는 많은 키 버튼을 구비한 QWERTY 자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으나, TV나 모바일 디바이스는 구조적 특성상 가상 키보드의 QWERTY 자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PC can receive characters from a user through a QWERTY keyboard having many key buttons, but a TV or a mobile device can receive characters from a user through a QWERTY keyboard of a virtual keyboard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그러나, 가상 키보드의 QWERTY 자판을 통해 문자를 입력받을 경우, TV 인터페이스나 모바일 디바이스 인터페이스의 특성으로 인해 사용자는 세세한 컨트롤을 할 수가 없다.However, when characters are input through the QWERTY keyboard of the virtual keyboard, the user can not finely control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V interface or the mobile device interface.

따라서, 최근에는 TV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전용 문자 판들이 하나씩 생겨나는 추세다.Therefore, in recent years, dedicated character plates for TVs and mobile devices have been generated one by one.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키패드는 그 작은 크기로 인해 언어의 모든 자소에 대응되는 충분한 개수의 버튼을 구비할 수 없기 때문에, 한정된 개수의 버튼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특정 언어의 모든 자소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In general, a keypad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an not have a sufficient number of buttons corresponding to all the characters of the language due to its small size, so that a limited number of buttons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input all the characters of a specific language.

따라서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키패드를 사용할 경우, 여러 자소가 하나의 버튼에 동시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해당 자소의 위치를 파악하데 어려움이 있고, 또한 하나의 자소를 입력하기 위해 버튼을 여러 번 눌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Therefore, when using the keypad of su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key point to be input by the user because a plurality of keys are arranged on one button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you have to press it once.

특히 한글의 경우,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따르면 한글의 초성은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ㅎ,ㄲ,ㄸ,ㅃ,ㅆ,ㅉ의 19개이며, 중성은 모음인 ㅏ,ㅑ,ㅓ,ㅕ,ㅗ,ㅛ,ㅜ,ㅠ,ㅡ,l,ㅐ,ㅒ,ㅔ,ㅖ,ㅘ,ㅙ,ㅚ,ㅝ,ㅞ,ㅟ,ㅢ의 21개이며, 종성은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ㅎ,ㄲ,ㄳ,ㄵ, ㄶ, ㄺ, ㄻ, ㄼ, ㄽ, ㄿ, ㄾ, ㅀ, ㅄ, ㅆ의 27개이다.Especially, in the case of Hangul, according to the Hangul Spelling Uniform, the beginning of Hangul is divided into a, b, c, d, ㅁ,,,,,,, ㅋ, ㅌ, ㅎ, ㄲ, ㄸ, ㅃ, ㅆ, 19, and neutral is a vowel, a, ㅑ, ㅓ, ㅕ, ㅗ, ㅛ,,, ㅠ,,, ㅐ, ㅐ, ㅒ,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21, and the seed is a, b, c, d, ㅁ, ㄿ,,,,, ㅋ, ㅌ, ㅎ, ㄲ,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ㄿ, ㄾ, ㅀ, ㅄ, and ㅆ.

그러므로, 초성과 종성을 모두 통틀어 한글에서 쓰이는 자음은 30가지, 모음은 21가지나 되어 한정된 개수의 버튼을 사용하여 이를 모두 표현하기는 매우 어렵다.Therefore, there are 30 kinds of consonants and 21 kinds of vowels in Hangul, and it is very difficult to express all of them using a limited number of buttons.

그러나, 최근 모바일 통신기술이 급격히 발달함에 따라 메일이나 인터넷, 채팅, 은행이나 증권, 각종 비즈니스의 주문이나 결재 등을 휴대폰이나 PDA 등에서 이용하게 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에서의 문자입력의 편의성이 더욱 요구되는 추세이다.However,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recently developed, the mobile phone or the PDA uses the mail, the Internet, the chat, the bank, the securities, and the order or payment of various businesses in the business, Trend.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문자입력체계는 일명 천지인 방식과 EZ 한글방식이 있고, 이러한 방법을 채택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키패드는 모두 버튼의 배열을 3열 4행의 12개 이외의 형태로 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점은 최근 들어 더욱 중요해진 미적 감각과 편리함을 추구하는 휴대폰이나 기타 전자기기의 디자인에 있어서 제약으로 작용하며,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여 종래 PC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는바, 이러한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입력방식은 종래의 입력방식이 아닌 좁은 공간에서도 유효하게 입력할 수 있어야 한다.Currently, the most commonly use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ve a character input system called a skyrocketing system and an EZ Hangul system. All of the keypads of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dopting such a method are arranged in a form other than 12 rows of 3 rows and 4 rows In recent years, this has been a constraint on the design of mobile phone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that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or aesthetic sense and convenience. In recent year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ve evolved into a level comparable to conventional PCs by adding various functions In order to fully utilize these functions, the input method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uld be able to be effectively input in a narrow space instead of the conventional input method.

또한, 종래의 4개의 신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식은 휠마우스 또는 트랙볼 등 길이의 장단을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가 요구되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키보드, 휴대폰 등에 채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다수의 글자를 4개의 키로 입력함으로 인해, 장자음, 단자음 등 자음의 길이에 의해 반음신호를 구성하는 등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며, 입력속도 또한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four signals, a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 length or a length of a wheel mouse or a track ball is required, and it is difficult to adopt a commonly used keyboard, a mobile phone, Are inputted with four keys, the user's convenience such as constituting a semitone signal by the length of a consonant such as a long consonant and a terminal sound is low, and the input speed is also slowed down.

뿐만 아니라, 한글입력의 경우, 자음/모음/받침의 상태를 정해주는 상태변환 키가 별도로 존재해야함으로, 입력횟수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입력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Hangul input, the state change key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consonant / vowel / pedestal must be separately existed, so that the number of input is increased and the input speed is lowered accordingly.

따라서, 최소한의 키를 사용하면서도 종래의 키보드 및 휴대폰 입력 패드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입력횟수를 감소시켜 입력속도를 증가시키는 다른 차원의 입력방식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different-level input method that uses a minimum number of keys and is configured in a manner similar to conventional keyboard and mobile phone input pads,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and reducing the number of inputs and increasing the input spe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TV나 모바일디바이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편하고 쉬우며 비교적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ag-based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which enable a user to input a character relatively easily and easily in a TV or mobile device environmen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는 크기가 동일한 9개의 자음 버튼과,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크기가 3종류로 구분된 10개의 모음 버튼을 화면상에 배치하는 키버튼부; 배치된 상기 9개의 자음 버튼과, 배치된 상기 10개의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토대로 터치된 자음 버튼이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인식되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이 상기 화면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키버튼부를 제어하고,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에서부터 배치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으로 드레그되면, 상기 연관 자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이 상기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버튼부는 한국어의 통계적 모음 사용빈도 수에 따라 '-' 및 'l'의 모음 버튼을 가장 큰 크기로 배치하며, 'ㅗ', 'ㅜ', 'ㅏ' 및 'ㅓ'의 모음 버튼을 중간 크기로 배치하고, 'ㅛ', 'ㅠ', 'ㅑ' 및 'ㅕ'의 모음 버튼을 가장 작은 크기로 배치하며, 상기 9개의 자음 버튼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을 상기 모음 사용빈도 수가 가장 높은 가장 큰 크기의 모음 버튼과 동일한 크기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rag-based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ine consonant buttons having the same size and ten collection buttons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of use, A key button unit disposed in the key button unit; A touch screen for outputting data in accordance with a user's touch or drag o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nine consonant buttons and the arranged ten vowel buttons; And if the consonan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is recognized as a consonant button including a predetermined associated consonant button on the basis of data input from the touch scree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key button unit and displaying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associated consonant sound button recognized as being selected by the associated consonant button when dragged from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The key button part arranges the collection buttons of '-' and 'l' in the largest siz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tatistical collection use of Korean, and 'ㅗ', 't', 'a' and 'ㅓ' And the vowel buttons of 'ㅛ', '' ',' ㅑ 'and' ㅕ 'are arranged in the smallest size, and the nine consonant buttons' , B, and c in, d, Wh, f, oi, o, ㅈ, the collection frequency of use can set of highest largest size button and wherein the arrangement of the same size.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방법은 크기가 동일한 9개의 자음 버튼과,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크기가 3종류로 구분된 10개의 모음 버튼을 화면상에 배치하는 단계; 배치된 상기 9개의 자음 버튼과 상기 10개의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데이터를 토대로 터치된 자음 버튼이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인식되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배치하는 단계; 및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에서부터 배치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연관 자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을 상기 화면상에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상에 배치하는 단계는, 한국어의 통계적 모음 사용빈도 수에 따라 '-' 및 'l'의 모음 버튼을 가장 큰 크기로 배치하는 단계; 'ㅗ', 'ㅜ', 'ㅏ' 및 'ㅓ'의 모음 버튼을 중간 크기로 배치하는 단계; 'ㅛ', 'ㅠ', 'ㅑ' 및 'ㅕ'의 모음 버튼을 가장 작은 크기로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9개의 자음 버튼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을 상기 모음 사용빈도 수가 가장 높은 가장 큰 크기의 모음 버튼과 동일한 크기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ag-based Hangul input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rranging nine consonant buttons having the same size and ten collection buttons each having three siz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of use; Outputting data according to a user's touch or drag o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nine consonant buttons and the ten vowel buttons arranged; Disposing a predetermined associated consonant button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is associated with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on the basis of the output data and is a consonant button including a predetermined associated consonant button; And displaying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sonant sound button on the screen when the dragged consonant button is touched from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to the associated consonant sound button, Arranging the collection buttons of '-' and '1' in the largest size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collection frequency of Korean; Arranging the vowel buttons of 'ㅗ', 'ㅜ', 'a', and 'ㅓ' at a medium size; Arranging the vowel buttons of 'ㅛ', 'ㅠ', 'ㅑ' and 'ㅕ' in the smallest size; And arranging the nine consonant buttons 'a, b, c, d, k, g, o, and i' to the same size as the vowel buttons having the largest vowel frequency .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문자입력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s convenience of inputting characters can be improved and the fatigue of the user can be lowered.

특히 버튼 선택을 위해 비교적 적은 제스처 횟수를 요하며 상대적으로 적은 문자버튼들을 사용하므로, 사용자에게 선택 동작에 대한 피로도를 줄여줌과 동시에 명확한 버튼입력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Particularly, since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gestures are required for selecting a button and relatively few character buttons are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user can reduce fatigue of a selection operation and achieve clear button inp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rag-based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Hangul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ag-based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s intended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readi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 comprises, " or "comprising," as used herein, means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Do not exclude the addition.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Hereinafter, a drag-based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rag-based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Hangul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는 키버튼부(110), 터치스크린(120), 제어부(130) 및 화면(140)을 포함한다.1, the drag-based Hangul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button unit 110, a touch screen 120, a controller 130, and a screen 140.

키버튼부(110)는 크기가 동일한 9개의 자음 버튼과,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크기가 구분된 10개의 모음 버튼을 화면(140)에 배치한다.The key button unit 110 arranges nine consonant buttons having the same size and ten vowel buttons divided in siz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of use in the screen 140.

예컨대, 키버튼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동일한 9개의 자음 버튼, 즉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버튼과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3종류의 크기로 구분된 모음 버튼, 즉 'ㅡ, l, ㅗ, ㅜ, ㅏ, ㅓ, ㅛ, ㅠ, ㅑ, ㅕ' 버튼을 화면(140)에 배치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key button unit 110 includes nine consonant buttons having the same size, i.e., a, b, c, d, k, Buttons arranged in three sizes according to the order of frequency are arranged on the screen 140. The buttons 140,

키버튼부(110)는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3 종류의 크기로 구분된 모음 버튼 중 'ㅡ, l' 버튼을 가장 큰 크기로 형성하여 화면(140)에 배치하고, 'ㅗ, ㅜ, ㅏ, ㅓ' 버튼을 두 번째 큰 크기로 형성하여 화면(140)에 배치하며, 'ㅛ, ㅠ, ㅑ, ㅕ' 버튼을 세 번째 큰 크기로 형성하여 화면(140)에 배치하고, 9개의 자음 버튼을 가장 큰 크기의 모음 버튼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여 화면(140)에 배치한다.The key button unit 110 arranges the 'l, l' button among the three types of collection buttons in the largest size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frequency of use order and arranges it on the screen 140, Buttons are arranged on the screen 140 and the buttons are arranged in a third larger size on the screen 140 and nine consonants Buttons are formed in the same size as the largest-sized vowel buttons, and are arranged on the screen 140.

여기서 사용빈도 순은 통계 데이터를 토대로 기설정된 것이다.Here, the frequency of use is preset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예컨대, 자음 'ㅇ, ㄴ, ㄱ, ㄹ, ㅅ'과 모음 'ㅣ, ㅏ, ㅓ, ㅡ, ㅗ'는 통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자모로서, 대략 74.9%의 사용빈도를 차지하며, 이러한 통계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빈도가 높은 순에 따라 모음 버튼의 크기는 3 종류로 구분된다.For example, consonants 'ㅇ, ㄱ, ㄱ,,, ㅅ' and vowel,,,, ㅓ, ㅡ, ㅗ are statistically most commonly used,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74.9%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the size of the collection button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터치스크린(120)은 표출된 9개의 자음 버튼과 10개의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즉 터치 또는 드래그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한다.The touch screen 120 outputs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nine consonant buttons and the ten vowel buttons, i.e., touch or drag.

예컨대, 터치스크린(120)은 'ㄱ' 버튼이 터치되면, 터치된 'ㄱ' 버튼 영역의 데이터를 제어부(130)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된 상태로 'ㄱ'버튼에서부터 특정 버튼으로 드래그되면, 드래그된 영역의 데이터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For example, when the 'A' button is touched, the touch screen 120 outputs the data of the touched 'A' button area to the controller 130, and when the 'A' button is touched by the user's finger or pen And outputs the data of the dragged area to the control unit 130 when the button is dragged.

제어부(130)는 터치스크린(120)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토대로 터치된 자음 버튼이 터치된 자음 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인식되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이 화면(140)에 배치되도록 키버튼부(110)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된 자음 버튼에서부터 배치된 연관 자음 버튼으로 드래그되면, 연관 자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연관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연관 자음이 화면(140)에 표출되도록 한다.When the controller 130 recognizes that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is related to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based on the data input from the touch screen 120 and is recognized as a consonant button including a predetermined associated consonant button, (110) is controlled to be placed on the associated consonant sound button (140), and when dragged from the consonant button touched by the user's finger or pen to the associated consonant sound button, the associated consonant sound button So that the corresponding associated consona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140.

여기서 기설정된 연관 자음은 'ㅋ, ㄲ, ㅌ, ㄸ, ㅍ, ㅃ, ㅆ, ㅊ, ㅉ, ㅎ'이고, 'ㄱ'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연관 자음은 'ㅋ,ㄲ'이며, 'ㄷ'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연관 자음은 'ㅌ, ㄸ'이고, 'ㅂ'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연관 자음은 'ㅍ,ㅃ'이며, 'ㅅ'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연관 자음은 'ㅊ, ㅉ'이고, 'ㅇ'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연관 자음은 'ㅎ'이다.The predetermined consonant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is 'ㅋ, ㄲ', 'c', '' ',' , The predetermine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is' ㅌ ', the predetermined consonant corresponding to' ㅂ 'is' ψ, ㅃ' and the predetermined consonant corresponding to 'g' is' , And the predetermined associated consonant corresponding to 'o' is 'h'.

예컨대, 제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20)으로부터 'ㄱ'버튼 영역의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ㄱ'버튼 영역의 데이터를 토대로 'ㄱ'버튼이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여 'ㄱ'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 즉 'ㅋ,ㄲ'버튼이 'ㄱ'버튼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도록 키버튼부(110)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된 상태로 'ㄱ'버튼에서부터 'ㄲ'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터치 해제되거나, 터치된 상태로 'ㄱ'버튼에서부터 'ㄲ'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터치된 상태로 다시 ㄲ'버튼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ㄲ'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ㄲ'버튼에 대응되는 자음 'ㄲ"이 화면(140)에 표출되도록 한다.3, when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the data of the 'A' button region from the touch screen 120,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A' button is touched based on the input 'A' And controls the key button unit 110 so that the associated consonant sound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A' button, that is, the 'ㅋ, ㄲ' button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A' button, Or dragged from the 'A' button to the 'ㄲ' button while being touched by the pen, and then the touch is released or is dragged from the 'A' button to the 'ㄲ' button while being touched, Button is selected,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ㄲ' butt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140. In this case,

또한 제어부(130)는 선택된 연관 자음 버튼에서부터 모음 버튼으로 드래그면, 모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연관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과 선택된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구성하고, 구성된 음절이 화면(140)에 표출되도록 한다.Further, the control unit 130 recognizes that the dragged and the vowel buttons are selected from the selected associated consonant buttons to the vowel buttons, constitutes a vowel composed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ssociated consonant buttons and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owel buttons, On the screen (140).

예컨대,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된 상태로 'ㄲ'버튼에서부터 'ㅏ'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터치 해제되면, 'ㅏ'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ㄲ'버튼에 대응되는 자음 'ㄲ'과 선택된 'ㅏ'버튼에 대응되는 모음 'ㅏ'로 이루어진 음절 '까'를 구성하고, 구성된 음절 '까'가 화면(140)에 표출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recognizes that the 'a' button has been selected when the user touches the 'ㄲ' button with the 'a' button while being touched by the user's finger or pen, And a syllable 'C' consisting of a vowel '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 button and a syllable 'C' composed of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 button are displayed on the screen 140.

전술한 바를 다시 정리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ㄱ'버튼이 터치되면, 'ㅋ,ㄲ'버튼이 'ㄱ'버튼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도록 키버튼부(110)를 제어하고, 터치된 상태로 'ㄱ'버튼에서부터 'ㄲ'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터치 해제되거나, 터치된 상태로 'ㄱ'버튼에서부터 'ㄲ'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하측 방향으로 다시 드래그되면, 'ㄲ'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화면(140)에 'ㄲ'이 표출되도록 하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이 터치된 상태로 'ㄲ'버튼에서부터 'ㅏ'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터치 해제되면, 'ㅏ'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ㄲ'버튼에 대응되는 자음 'ㄲ'과 선택된 'ㅏ'버튼에 대응되는 모음 'ㅏ'로 이루어진 음절 '까'를 구성하고, 구성된 음절 '까'가 화면(140)에 표출되도록 하며, 배치된 연관 자음 버튼 'ㅋ,ㄲ'버튼이 화면(140)에 표출되지 않도록 한다.When the 'A' button is touched by the finger or pen of the user,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K' button to b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 button, Button is dragged from the 'A' button to the 'ㄲ' button in the touched state and then is touched or dragged from the 'A' button to the 'ㄲ' button in the touched state,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ㄲ' button is selected and displays 'ㄲ' on the screen 140. When the user's finger or pen is touched and dragged from the 'ㄲ' button to the 'a' button, And a syllable consisting of a vowel '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 button and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ㄲ' butt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140, and the associated consonant sound button Button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140.

또한, 제어부(130)는 터치된 자음 버튼이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인식되면,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이 화면에 표출되도록 하고,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자음 버튼에서부터 모음 버튼이 드래그되면, 모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과 선택된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구성하며, 구성된 음절이 화면에 표출되도록 한다.If it is recognized that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is a consonant button that does not include the associated consonant button, the control unit 130 causes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button that does not include the associated consonant butt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a vowel button is dragged from a consonant button that does not include a consonant button, the vowel button is recognized as being selected, and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consonant button that does not include the associated consonant button and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owel button are constitut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예컨대,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ㅁ'버튼이 터치된 후 터치 해제되거나, 'ㅁ'버튼이 터치된 상태로 하측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ㅁ'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화면(140)에 'ㅁ'이 표출되도록 하고, 터치된 상태로 'ㅁ'버튼에서부터 'ㅏ'버튼으로 드래그되면, 'ㅏ'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화면(140)에 'ㅏ'가 표출되도록 하며, 터치된 상태로 'ㅏ'버튼에서부터 'ㅣ'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터치 해제되면, 'l'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ㅁ'버튼에 대응되는 자음 'ㅁ', 'ㅏ'버튼에 대응되는 모음'ㅏ' 및 'l'버튼에 대응되는 모음'l'로 이루어진 음절 '매'를 구성하고, 구성된 음절 '매'가 화면(140)에 표출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recognizes that the 'ㅁ' button is selected when the 'ㅁ' button is touched or touched by the user's finger or pen, or the ㅁ button is touched while being dragged downward When the user presses the 'ㅁ' button from the 'ㅁ' button in a touched state so that 'ㅁ' is displayed on the screen 140, it is recognized that the 'a' button is selected and 'a' is displayed on the screen 140 When the touch is released from the 'a' button to the 'ㅣ' button and the touch is released, it is recognized that the 'l' button is selected and the consonants 'ㅁ' and 'a' And a syllable 'Ma' consisting of vowel '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vowel 'a' and 'l' buttons, and to display the composed syllable 'Ma' on the screen 140.

한편, 제어부(130)는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6개의 자음 버튼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된 것으로 인식되면, 배치된 연관 자음 버튼의 표출을 중지시키기 위한 자음 입력 취소용 취소버튼이 화면(140)에 배치되도록 키버튼부(110)를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ler 130 recognizes that one of the six consonant buttons including the associated consonant button is touched,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a cancel button for canceling consonant input canceling to stop the display of the associated consonant button And controls the key button unit 110 to be disposed.

예컨대, 제어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20)으로부터 'ㄱ'버튼 영역의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ㄱ'버튼 영역의 데이터를 토대로 'ㄱ'버튼이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여 'ㄱ'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 즉 'ㅋ,ㄲ'버튼이 'ㄱ'버튼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도록 하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된 상태로 'ㄱ'버튼에서부터 배치된 'ㄲ'버튼으로 드래그되고, 터치된 상태로 'ㄲ'버튼에서부터 취소버튼으로 드래그되면, 자음 입력을 취소한 것으로 인식하여 배치된 'ㅋ,ㄲ'버튼이 화면(140)에 표출되지 않도록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the data of the 'A' button area from the touch screen 120, the 'data' button is touched based on the data of the 'A' , And a predetermined related consonant sound button corresponding to the 'A' button is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A' button, and a state of being touched by the user's finger or pen Button is dragged from the 'a' button to the 'ㄲ' button arranged, and when dragging from the 'ㄲ' button to the cancel button while being touched, the 'ㅋ, ㄲ' button arranged to recognize that the consonant input is cancel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140 ).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ㄱ'버튼이 터치되고, 터치된 'ㄱ'버튼에서부터 'ㅏ'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ㅏ'버튼의 터치가 해제되면, 음절 '가'를 화면에 표출한다. 즉, 터치(선택)--> 드래그-->(터치)해제로 이루어진 사용자의 한 동작에 따라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입력받아 화면에 표출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 button is touched by the user's finger or pen, the 'a' button is dragged from the touched 'a' button to the 'a' Quot;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at is, a syllable consisting of a consonant and a vowel is input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a user's action of touch (select) -> drag -> (touch) releas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문자입력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버튼 선택을 위해 비교적 적은 제스처 횟수를 요하며 상대적으로 적은 문자버튼들을 사용하므로, 사용자에게 선택 동작에 대한 피로도를 줄여줌과 동시에 명확한 버튼입력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user's convenience of inputting characters can be improved and fatigue of a user can be lowered. In particular, since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gestures are required for button selection and relatively few character buttons are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selection 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to achieve clear button input.

이상,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를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The drag-based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a drag-based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ag-based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동일한 9개의 자음 버튼과,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크기가 구분된 10개의 모음 버튼을 화면에 표출한다(S500).As shown in FIG. 5, nine consonant buttons having the same size and ten vowel buttons divided in size according to the preset frequency of us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S500).

예컨대, 크기가 동일한 9개의 자음 버튼, 즉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버튼과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3종류의 크기로 구분된 모음 버튼, 즉 'ㅡ, l, ㅗ, ㅜ, ㅏ, ㅓ, ㅛ, ㅠ, ㅑ, ㅕ' 버튼을 화면(140)에 표출하고,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3 종류의 크기로 구분된 모음 버튼 중 'ㅡ, l' 버튼을 가장 큰 크기로 형성하여 화면(140)에 표출하며, 'ㅗ, ㅜ, ㅏ, ㅓ' 버튼을 두 번째 큰 크기로 형성하여 화면(140)에 표출하고, 'ㅛ, ㅠ, ㅑ, ㅕ' 버튼을 세 번째 큰 크기로 형성하여 화면(140)에 표출하며, 9개의 자음 버튼을 가장 큰 크기의 모음 버튼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여 화면(140)에 표출한다.For example, nine consonant buttons having the same size, i.e., a collection button divided into three sizes according to the order of 'a, b, c, d, k, g, Button 140 is displayed on the screen 140, and among the collection buttons divided into three sizes according to the preset frequency of use, '-, -, -, -, -, -, -, , and l 'buttons are formed in the largest size on the screen 140, and the' ㅗ, ㅜ, a, ㅓ 'buttons are formed in the second largest size on the screen 140, Button on the screen 140 and displays nine consonant buttons on the screen 140 in the same size as the largest-sized vowel buttons.

터치스크린(120)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토대로 터치된 자음 버튼이 터치된 자음 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자음 버튼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1).In operation S501,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based on the data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120 is a consonant button including a predetermined associated consonant button.

판단결과, 터치된 자음 버튼이 터치된 자음 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과 취소 버튼을 화면(140)에 배치한다(S502).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corresponds to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and is a consonant button including a predetermined associated consonant button, the predetermined consonant tones button and the cancel button are arranged on the screen 140 (S502).

예컨대, 터치스크린(120)으로부터 'ㄱ'버튼 영역의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ㄱ'버튼 영역의 데이터를 토대로 'ㄱ'버튼이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여 'ㄱ'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 즉 'ㅋ,ㄲ'버튼을 'ㄱ'버튼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배치하고, 취소 버튼을 배치한다.For example, when the data of the 'A' button area is input from the touch screen 120, the 'A' button is recognized as being touched based on the data of the 'A' button area, Place the consonant buttons, ie, 'ㅋ, ㄲ',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 button, and place the cancel button.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된 자음 버튼에서부터 취소버튼으로 드래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3).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ser has been dragged from the consonant button touched by the user's finger or pen to the cancel button (S503).

판단결과, 터치된 자음 버튼에서부터 취소버튼으로 드래그된 경우이면, 배치된 연관 자음 버튼 및 취소 버튼을 화면(140)에 표출하지 않는다(S504).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dragged from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to the cancel button, the associated associated consonant tones button and the cancel button are not displayed on the screen 140 (S504).

그러나, 판단결과, 터치된 자음 버튼에서부터 취소버튼으로 드래그되지 않은 경우이면, 취소 버튼을 제외한 다른 버튼으로 드래그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5).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utton is not dragged from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to the cancel butt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utton is dragged to another button except for the cancel button (S505).

판단결과, 다른 버튼으로 드래그 되지 않은 경우이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6).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not dragged with another butt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ser's finger or pen has released the touch (S506).

판단결과, 터치 해제된 경우이면, 터치 해제된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 또는 모음을 화면(140)에 표출한다(S507).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touch is released, the consonant or vowel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butt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140 (S507).

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된 상태로 'ㄱ'버튼에서부터 'ㄲ'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터치 해제되거나, 터치된 상태로 다시 'ㄲ'버튼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ㄲ'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ㄲ'버튼에 대응되는 자음 'ㄲ'을 화면(140)에 표출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user from the 'A' button to the 'ㄲ' button while being touched by the user's finger or pen and then is touched off or is dragged downward from the ㄲ button in the touched state, And displays the consonant 'ㄲ'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ㄲ' button on the screen 140.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된 상대로 'ㄲ'버튼에서부터 'ㅏ'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터치 해제되면, 'ㅏ'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ㄲ'버튼에 대응되는 자음 'ㄲ'과 선택된 'ㅏ'버튼에 대응되는 모음 'ㅏ'로 이루어진 음절 '까'를 구성하고, 구성된 음절 '까'를 화면(140)에 표출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finger or the pen and then the finger is dragged from the 'ㄲ' button to the 'a' button and is touched, the 'a' button is recognized as selected and the consonant ' A syllable consisting of a vowel '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 button and a syllable 'ca' composed of a vowel '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 button.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10 : 키버튼부 120 : 터치스크린
130 : 제어부 140 : 화면
110: key button section 120: touch screen
130: control unit 140:

Claims (8)

크기가 동일한 9개의 자음 버튼과,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크기가 3종류로 구분된 10개의 모음 버튼을 화면상에 배치하는 키버튼부;
배치된 상기 9개의 자음 버튼과, 배치된 상기 10개의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토대로 터치된 자음 버튼이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인식되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이 상기 화면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키버튼부를 제어하고,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에서부터 배치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으로 드레그되면, 상기 연관 자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이 상기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버튼부는
한국어의 통계적 모음 사용빈도 수에 따라 '-' 및 'l'의 모음 버튼을 가장 큰 크기로 배치하며, 'ㅗ', 'ㅜ', 'ㅏ' 및 'ㅓ'의 모음 버튼을 중간 크기로 배치하고, 'ㅛ', 'ㅠ', 'ㅑ' 및 'ㅕ'의 모음 버튼을 가장 작은 크기로 배치하며,
상기 9개의 자음 버튼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을 상기 모음 사용빈도 수가 가장 높은 가장 큰 크기의 모음 버튼과 동일한 크기로 배치하는 것
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A key button unit for arranging nine consonant buttons having the same size and ten vowel buttons divided into three kinds according to the order of use frequency in advance;
A touch screen for outputting data in accordance with a user's touch or drag o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nine consonant buttons and the arranged ten vowel buttons; And
Wherein when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is recognized as a consonant button including a predetermined associated consonan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on the basis of data input from the touch scree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key button unit and displaying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associated consonant sound button recognized as being selected by the associated consonant button when the selected consonant sound button is dragged from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Including,
The key button portion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collection usage frequency of Korean, '-' and 'l' collection buttons are arranged in the largest size, and the collection buttons of 'ㅗ', 'ㅜ', 'a' and 'ㅓ' , 'ㅛ', 'ㅠ', 'ㅑ', and 'ㅕ' are arranged in the smallest size,
And arranging the nine consonant buttons 'a, b, c, d, k, g, o, and i' in the same size as the largest vowel button having the highest vowel frequency
Drag-based Hangul in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이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인식되면,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이 화면에 표출되도록 하고,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자음 버튼에서부터 모음 버튼이 드래그되면, 상기 모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과 선택된 상기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구성하고, 구성된 상기 음절이 상기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것
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auses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button not including the associated consonant butt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is recognized as a consonant button that does not include the associated consonant button, When the vowel button is dragged from the consonant button, the vowel button is recognized as being selected, and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button not including the associated consonant button and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owel button are constructed, And displaying the constructed syllable on the screen
Drag-based Hangul in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에서부터 모음 버튼이 드래그되면, 상기 모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연관 자음과 선택된 상기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구성하고, 구성된 상기 음절이 상기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것
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at the vowel button is selected when the vowel button is dragged from the selected associated consonant button and constructs a syllable consisting of vowe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owel button and the associate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ssociated consonant button, And displaying the constructed syllable on the screen
Drag-based Hangul in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치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의 표출을 중지시키기 위한 자음 입력 취소용 취소버튼이 상기 화면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키버튼부를 제어하는 것
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key button unit so that a cancel button for canceling consonant input canceling for stopping the display of the associated consonant sound button is arranged on the screen
Drag-based Hangul input device.
크기가 동일한 9개의 자음 버튼과,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크기가 3종류로 구분된 10개의 모음 버튼을 화면상에 배치하는 단계;
배치된 상기 9개의 자음 버튼과 상기 10개의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데이터를 토대로 터치된 자음 버튼이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인식되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배치하는 단계; 및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에서부터 배치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연관 자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을 상기 화면상에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상에 배치하는 단계는,
한국어의 통계적 모음 사용빈도 수에 따라 '-' 및 'l'의 모음 버튼을 가장 큰 크기로 배치하는 단계;
'ㅗ', 'ㅜ', 'ㅏ' 및 'ㅓ'의 모음 버튼을 중간 크기로 배치하는 단계;
'ㅛ', 'ㅠ', 'ㅑ' 및 'ㅕ'의 모음 버튼을 가장 작은 크기로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9개의 자음 버튼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을 상기 모음 사용빈도 수가 가장 높은 가장 큰 크기의 모음 버튼과 동일한 크기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방법.
Arranging nine consonant buttons having the same size on the screen and ten vowel buttons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of use order;
Outputting data according to a user's touch or drag o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nine consonant buttons and the ten vowel buttons arranged;
Disposing a predetermined associated consonant button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is associated with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on the basis of the output data and is a consonant button including a predetermined associated consonant button; And
And displaying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sonant sound button on the screen when the dragged consonant button is touched from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to the associated consonant button,
Wherein the step of arranging on the screen comprises:
Arranging the collection buttons of '-' and 'l' in the largest size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collection usage frequency of Korean;
Arranging the vowel buttons of 'ㅗ', 'ㅜ', 'a', and 'ㅓ' at a medium size;
Arranging the vowel buttons of 'ㅛ', 'ㅠ', 'ㅑ' and 'ㅕ' in the smallest size; And
And arranging the nine consonant buttons 'a, b, c, d, k, f, o, o, and c' to the same size as the largest vowel button having the highest vowel frequency
Drag-based Hangul input method.
제5항에 있어서,
터치된 자음 버튼이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인식되면,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을 화면에 표출하는 단계;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자음 버튼에서부터 모음 버튼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모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과 선택된 상기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구성하는 단계; 및
구성된 상기 음절을 상기 화면상에 표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Displaying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button not including the associated consonant button on the screen when the touched consonant button is recognized as a consonant button not including the associated consonant button;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not dragged from the consonant button to the collection button, it is recognized that the collection button is selected, and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button not including the associated consonant button and a coll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llection button Constructing a syllable; And
Displaying the constructed syllable on the screen
Wherein the drag-based Hangul input method further comprises:
제5항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에서부터 모음 버튼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모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과 선택된 상기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구성하는 단계; 및
구성된 상기 음절을 상기 화면상에 표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Constructing a syllable consisting of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owel button and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sonant button when the vowel button is dragged from the selected associated consonant button to the vowel button; And
Displaying the constructed syllable on the screen
Based on the input data.
제5항에 있어서,
배치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의 표출을 중지시키기 위한 자음 입력 취소용 취소버튼을 상기 화면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disposing a consonant input canceling cancel button for stopping the display of the associated consonant sound buttons on the screen.
KR1020130011035A 2013-01-31 2013-01-31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Based On Dreg KR1014344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035A KR101434419B1 (en) 2013-01-31 2013-01-31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Based On Dre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035A KR101434419B1 (en) 2013-01-31 2013-01-31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Based On Dre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422A KR20140098422A (en) 2014-08-08
KR101434419B1 true KR101434419B1 (en) 2014-08-26

Family

ID=5174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035A KR101434419B1 (en) 2013-01-31 2013-01-31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Based On Dre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4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13B1 (en) * 2019-10-23 2021-06-0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93303B1 (en) 2019-10-23 2021-08-25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514A (en) * 2007-01-12 2008-07-16 김예은 The key pad
KR20100080043A (en) * 2008-12-31 2010-07-08 엔에이치엔(주) Method and system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KR20120056532A (en) * 2010-11-25 2012-06-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touch scre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514A (en) * 2007-01-12 2008-07-16 김예은 The key pad
KR20100080043A (en) * 2008-12-31 2010-07-08 엔에이치엔(주) Method and system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KR20120056532A (en) * 2010-11-25 2012-06-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touch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422A (en) 201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6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US8560974B1 (en) Input method application for a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US9684448B2 (en) Device input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impaired users
KR20140073245A (en) Method for inputting back surfa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100148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 in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US20120162086A1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of terminal
US20130050098A1 (en) User input of diacritical characters
US20150193011A1 (en) Determining Input Associated With One-to-Many Key Mappings
KR201200978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ext in terminal
JP5512379B2 (en)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input program
KR1014344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Based On Dreg
KR20100121218A (en) Method for letter inputting of touch screen
US20150317077A1 (en) Handheld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KR201401310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essage in a portable terminal
US20140215397A1 (en) Apparatus and Method Pertaining to Predicted-Text Derivatives
US9250728B2 (en) Apparatus and method pertaining to predicted-text entry
US20160162099A1 (en) Input device
KR201200741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KR20110082310A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20150347004A1 (en) Indic language keyboard interface
KR20100045617A (en) Korean alphabet input method utilizing a multi-touch sensing touch screen
KR20200126149A (en)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Information Input
KR101269633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using touch input type and method thereof
KR101454896B1 (en) Korean characters input apparatus using touch pannel and method of the same
Banubakode et al. Survey of eye-free text entry techniques of touch screen mobile devices designed for visually impaired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