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891A - 엔드 투 엔드의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엔드 투 엔드의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891A
KR20080065891A KR1020070072498A KR20070072498A KR20080065891A KR 20080065891 A KR20080065891 A KR 20080065891A KR 1020070072498 A KR1020070072498 A KR 1020070072498A KR 20070072498 A KR20070072498 A KR 20070072498A KR 20080065891 A KR20080065891 A KR 20080065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handover
information
terminal
network
radio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6323B1 (ko
Inventor
이수원
샤오유 리우
정은선
장희진
이병준
존 윌리암스 플로로이
마리우스 룰리안 코리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984,023 priority Critical patent/US9008668B2/en
Publication of KR20080065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엔드 투 엔드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에서 동작하는 송신 단말기, 수신 단말기 및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 및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70072498
IMS , 서비스 핸드오버, 핸드오버

Description

엔드 투 엔드의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SERVICE HANDOVER OF END-TO-END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비스 핸드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의 관련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간의 엔드 투 엔드(end-to-end)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엔드 투 엔드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IMS(IP Multimedia Subsystem)는 모든 IP 기반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Access Netowrk) 환경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때, IP 기반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 환경은 WLAN(Wireless LAN), WiBro (Wireless Broadband)/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이 될 수 있다.
IMS 기반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는 다양한 무선 접근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무선 접근 네트워크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한다.
IMS 기반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간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가 이루어지 면, 단말기 각각은 단말기가 위치한 무선 접근 네트워크 환경과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한다.
단말기 각각은 통화를 수행하는 중 다른 무선 접근 네트워크 환경으로 이동하게 되면 다른 무선 접근 네트워크 환경으로의 핸드오버(handover)를 통하여 끊김없는 통화를 수행한다.
즉, 종래 핸드오버는 수행중인 통화의 끊김을 방지하는 핸드오버로서, 단말기와 단말기간의 통화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엔드 투 엔드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공할 수 없다.
다시 말해, 통화를 요구하는 송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영상 통화를 요구하더라도 수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무선 접근 네트워크 환경에 위치하지 않으면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없어 음성 통화만을 수행하게 된다.
음성 통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수신 단말기가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무선 접근 네트워크 환경으로 핸드오버하여도 영상 통화를 제공할 수 없다.
즉, 단말기들간 더 좋은 품질의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단말기가 상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초기 연결된 음성 통화 상태를 그대로 수행할 수 밖에 없다.
또한, 대역폭이 높은 무선 접근 네트워크에 위치한 단말기와 대역폭이 낮은 무선 접근 네트워크에 위치한 단말기간의 통화가 이루어지면 대역폭이 높은 무선 접근 네트워크에 위치한 단말기는 불필요한 자원을 낭비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 단말기의 정보를 기초로 엔드 투 엔드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공 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통화가 연결된 단말기들의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엔드 투 엔드 서비스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엔드 투 엔드 서비스 핸드오버를 통해 단말기의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들의 관련 정보를 기초로 송신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조건이 발생한 경우 송신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조건에 대한 통화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에서 동작하는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 및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는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 기의 관련 정보가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업데이트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는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관련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핸드오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판단부 및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가 발생한 경우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 출력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기 각각의 서비스 프로파일 및 네트워크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통화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통화 조건 정보는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된 통화 요청 메시지(INVITE message)의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통화 조건 정보는 통화 미디어 종류, 대역폭(bandwidth) 및 요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은 IMS 기반에서 동작하는 송신 단말 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는 복수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를 이용해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의 상기 복수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간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통화 정보, 상기 단말기가 현재 접속한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단말기가 접속할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은 복수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를 이용해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간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통화정보, 상기 단말기가 현재 접속한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상기 단말기가 접속할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통화가 연결된 단말기들의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엔드 투 엔드 서비스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드 투 엔드 서비스 핸드오버를 통해 단말기의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들의 관련 정보를 기초로 송신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조건이 발생한 경우 송신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조건에 대한 통화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블록도이다.
여기서, 시스템에 구성된 기기들은 IMS 기반으로 동작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송신 단말기(110), 수신 단말기(150),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130),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140) 및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는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120),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130), 및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송신 단말기(110)는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요청하는 단말기이다.
이때, 송신 단말기는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에 구성된 제1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화를 요청할 수 있고,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에 구성된 제2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송신 단말기는 수신 단말기로 통화 요청 메시지(INVITE message) 전송 시 송신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조건 정보를 통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송신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조건 정보는 통화 요청 메시지의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에 포함될 수 있고, 통화 조건 정보는 통화 미디어 종류, 대역폭(bandwidth, BW) 및 요금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송수신 단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기반으로 우선 통화를 연결하게 하기 위하여 기존의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고, 이 절차의 마지막 부분(UPDATE message)에 통화 조건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수신 단말기(150)는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요청받는 단말기이다.
이때, 수신 단말기는 제3 무선 접근 네트워크에 구성된 제3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화를 요청받을 수 있고, 제4 무선 접근 네트워크에 구성된 제4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화를 요청받을 수 있다.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130)는 송신 단말기측의 중심 네트워크(Core Network)에 위치한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서, 송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로 제공하고,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로부터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송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한다.
이때,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130)는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부터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로 제공할 수 있 다.
이때,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130)는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로부터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130)는 송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가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된 정보를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는 단말기 각각의 서비스 프로파일 및 네트워크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일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프로파일 및 네트워크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은 단말기에서 접속 가능한 무선 접근 네트워크,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QoS(Quality of Service), 단말기의 세션 프로파일, 요금 정보,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프로파일 및 단말기 사용자 프로파일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130)는 송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온되어 송신 단말기로부터 등록(register) 요청을 받을 때 등록 요청된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을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130)는 송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 요청 메시지로부터 통화 조건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정보를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140)는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 제공하고,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부터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한다.
이때,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140)는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가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된 정보를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140)는 수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온되어 수신 단말기로부터 등록 요청을 받을 때 등록 요청된 수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을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 및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는 IMS 기반에서 S-CSCF(Serving-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120)는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관련 정보를 기초로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 제공한다.
즉,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120)는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 BW 정보, 단말기의 요금 정보 및 송신 단말기 사용자 조건 정보 등을 기초로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120)는 송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간 통화를 연결할 수 있는 단말기 각각의 수집된 무선 접근 네트워크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단말기에서 수신 단말기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딜레이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딜레이를 기초로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120)는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핸드오버의 수행이 필요한 경우에만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120)는 중심 네트워크에 구비된 라우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될 수 있지만,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도 1에서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가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와 연결되고,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가 구성된 중심 네트워크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었지만, 일 실시예일 뿐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를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가 구성된 중심 네트워크에 구성하여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와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가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 또는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 중 어느 하나에만 연결되지 않고, 두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 및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 각각에 연결된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를 각각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에 대한 일 실시예 상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는 정보 수집부(210), 서비스 핸드오버 판단부(220) 및 서비스 핸드오버 제공부(230)를 포함한다.
정보 수집부(210)는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130)에서 제공된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송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는 송신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수집부(210)는 송신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 및 사용자 요금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수집부(210)는 송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및 수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정보 수집부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온/오프 여부 등과 같은 단말기 자체 정보 및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프로파일 그리고 단말기에 구비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 각각과 연결되는 무선 접근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송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간 연결 경로(route)가 다양해질 수 있다. 따라서, 송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간 딜레이가 무선 접근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서비스 핸드오버 판단부(220)는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송신 단말기 및 수 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핸드오버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서비스 핸드오버 판단부(220)는 송신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조건 정보 또는 수집된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핸드오버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핸드오버 판단부(22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서비스 핸드오버 발생 여부 판단하거나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서비스 핸드오버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핸드오버 제공부(230)는 서비스 핸드오버 판단부의 판단 결과 서비스 핸드오버가 발생한 경우 발생한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에 대한 설명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F1만이 온된 상태라 가정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F2와 연결되는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BW가 IF1과 연결되는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BW보다 더 높다 가정한다.
송신 단말기 사용자가 수신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하고 수신 단말기 사용자가 승인하면 통화가 연결된다.
여기서,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 모두 IF1이 온된 상태이기 때문에 송신 단말기의 IF1과 수신 단말기의 IF1을 통해 통화가 연결된다.
이때, 송신 단말기에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화 요청 메시지는 송신 단말기의 통화 조건 정보를 포함한다.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는 통화 요청 메시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로파일 및 네트워크 정보 등 송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로 제공한다.
이때, 송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인 IF1에 대한 정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무선 접근 네트워크들의 BW, 요금, 송신 단말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통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통화 조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는 통화 승인 메시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로파일 및 네트워크 정보를 통해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를 통해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로 제공한다.
이때, 수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은 IF1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F1을 통해 통화가 연결된다.
송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간 통화가 IF1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수신 단말기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F2와 연결되는 무선 접근 네트워크로 이동하여 IF2가 온되면 IF2에 대한 정보를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 등록(register)한다.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는 수신 단말기의 IF2에 대한 정보를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를 통해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로 제공한다.
수신 단말기의 IF2가 등록된 후 송신 단말기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F2와 연결되는 무선 접근 네트워크로 이동하여 IF2가 온되면 IF2에 대한 정보를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 등록한다.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는 송신 단말기의 IF2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로 제공한다.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는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IF2가 모두 온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구 조건에 근거해 좀 더 나은 품질의 통화를 제공하기 위해 IF2와 연결된 무선 접근 네트워크로 서비스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 제공한다.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는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로부터 제공받은 IF2로 서비스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 출력하고, 제어 신호를 통해 송신 단말기가 IF2로 서비스 핸드오버 되도록 송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한다.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는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를 통해 수신 단말기가 IF2로 서비스 핸드오버 되도록 수신 단말기의 서 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한다.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가 IF2로 서비스 핸드오버되면 IF2를 통해 통화가 이루어진다.
도 3에서 BW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버만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화 중 통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통화 조건 정보에 해당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송신 단말기 또는/및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조건이 분당 요금이 A가격보다 낮고 최소 200[Kbps] 이상의 BW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것이라 가정하면, 송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의 통화 중 송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각각이 접속한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통해 영상 통화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로는 단말기 각각이 접속한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최소 및 최대 BW, 해당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대역을 사용중인 사용자수 및 사용 가능한 BW 등이 될 수 있다.
송신 단말기와 연결된 무선 접근 네트워크 또는 수신 단말기와 연결된 무선 접근 네트워크에서 통화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여 음성 통화만을 수행하다 단말기 각각과 연결된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줄어 가용한 BW 및 요금이 통화 조건에 부합되면 영상을 제공하도록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는 통화가 이루어지는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여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 조건에 따라 서비스 핸드오버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나은 통화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은 통화가 수행되는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S410).
이때,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는 IMS 기반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는 단말기 각각의 서비스 프로파일 및 네트워크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일 수 있다.
이때, 서비스 프로파일 및 네트워크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은 단말기에서 접속 가능한 무선 접근 네트워크,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QoS, 단말기의 세션 프로파일, 요금 정보,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프로파일 및 단말기 사용자 프로파일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송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는 수신 단말기와의 통화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통화 조건 정보는 송신 단말기로부터 수신 단말기로 전송된 통화 요청 메시지의 SDP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통화 조건 정보는 통화 미디어 종류, BW 및 요금 등이 될 수 있다.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핸드오버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420).
서비스 핸드오버 발생 여부 판단 결과(S430), 서비스 핸드오버가 발생하지 않으면 수집된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핸드오버 발생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
물론,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가 업데이트된 경우에는 업데이트된 관련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핸드오버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핸드오버 발생 여부 판단 결과(S430), 서비스 핸드오버가 발생하면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440).
제어 신호를 기초로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한다(S45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에 대한 또 다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간 통화가 연결되면(S510), 통화 조건을 포함하는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S520).
이때, 통화 조건 정보는 미디어 타입 종류, BW 및 요금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통화 조건 정보는 송신 단말기로부터 수신 단말기로 전송된 통화 요청 메시지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기초로 통화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S530).
통화 조건 만족 판단 결과, 통화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관련 정보 업데이 트 여부를 판단하고(S540), 관련 정보가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된 관련 정보를 수집한 후 통화 조건 만족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
통화 조건 만족 판단 결과, 통화 조건이 만족되면 통화 조건에 해당하는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550).
제어신호를 기초로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여 송신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조건에 해당하는 통화를 수행한다(S560).
이때, 통화 조건은 송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은 송신 단말기(610), 수신 단말기(620),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651),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652),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 및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송신 단말기(610)는 제1 이동 통신망(641)을 통하여 제3 이동 통신망(642)에 접속한 수신 단말기(620)와 통신한다. 송신 단말기(610)와 제1 이동 통신망(641)은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631)를 구성하고, 송신 단말기(610)와 제2 이동 통신망(642)은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를 구성한다. 수신 단말기(620)와 제2 이동 통신망(643)은 제3 무선 접근 네트워크(633)를 구성하고, 수신 단말기(620)와 제4 이동 통신망(644)는 제4 무선 접근 네트워크(634)를 구성한다.
송신 단말기(610)와 수신 단말기(620)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680)는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 및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651)를 포함한다.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651)는 송신 단말기(610)의 핸드오버를 제어하고,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652)는 수신 단말기(620)의 핸드오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3 이동 통신망(641, 643)과 제2 및 제 4 이동 통신망(642, 644)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통신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3 이동 통신망(641, 643)은 WCDMA기반의 일반적인 회선 교환 방식의 통신망(circuit switching network)일수 있고, 제2 및 제4 이동 통신망(642, 644)은 IP기반의 패킷 교환 방식의 통신망(packet switching network)일 수 있다.
송신 단말기(610)는 제1 및 제2 이동 통신망(641, 642)에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고, 수신 단말기(620)는 제3 및 제4 이동 통신망(643, 644)에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다.
송신 단말기(610)가 현재 접속한 제1 이동 통신망(641)을 제어하는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651)는 송신 단말기(610)의 통화 정보 및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631)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에 제공한다.
수신 단말기(620)가 현재 접속한 제3 이동 통신망(643)을 제어하는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652)는 수신 단말기(620)의 통화 정보 및 제3 무선 접근 네트워크(633)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 핸드 오버 관리부(660)에 제공한 다.
송신 단말기(610)의 위치가 변동되거나, 이용하는 서비스가 변경되어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경우, 송신 단말기(610)는 현재 접속한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로(631)부터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로 핸드오버 된다.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는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631)와 연관된 무선 접근 네트워크로서, 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인접한 복수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 중의 하나일 수도 있고,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631)의 커버리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리지로 하는 다른 종류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는 송신 단말기(610)의 통화 정보, 수신 단말기(620)의 통화 정보,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631)의 네트워크 정보 및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네트워크 정보에 기반하여 송신 단말기(610)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651)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송신 단말기(610)의 핸드오버를 제어한다.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는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뿐만 아니라, 단말기가 현재 접속한 접근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및 핸드오버 수행 결과 단말기가 접속할 접근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고려하여 핸드오버를 제어하도록 한다.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는 단말기가 핸드오버 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네트워크 정보를 더 고려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상기 최적의 네트워크로 단말기가 핸드오버 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네트워크 정보는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의 요구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670)가 제공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는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651)와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651)는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할 수 없으므로,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은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정보를 더 고려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제2 접근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접근 네트워크의 망사업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은 상기 망사업자 정보에 기반하여, 특정 망사업자가 운용하는 무선 접근 네트워크로 단말기가 핸드오버 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제2 접근 네트워크의 망사업자의 접근 네트워크 중에서, 상기 단말기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현재 이용 가능한 접근 네트워크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핸드 오버 관리부(660)는 상기 이용 가능한 접근 네트워크의 목록에 기반하여, 단말기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접근 네트워크만을 대상으로 핸드오버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가 현재 접속한 무선 접근 네트워크에서 다른 무선 접근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하기 위해서는 현재 접속한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무선 환경과 핸드오버하여 접속할 다른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무선 환경을 측정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는 상기 이용 가능한 접근 네트워크의 목록을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는 접속 가능한 모든 무선 접근 네트워크가 아니라, 단말기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무선 환경만을 측정할 수 있다. 단말기는 무선 환경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이용 가능한 접근 네트워크에 속하는, 특정 기지국 또는 무선 억세스 포인트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기지국은 Wibro/Wimax등의 휴대 인터넷 망을 구성하는 휴대 인터넷 기지국(RAS : Radio Access Station)이 될 수도 있고, 일반적인 셀 방식의 2세대, 3세대 이동 전화망의 기지국이 될 수도 있다. 단말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휴대 인터넷 기지국 또는 무선 억세스 포인트의 목록을 수신하는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로부터 직접 핸드오버 할 기지국, 또는 무선 억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수신하여 핸드오버할 수 있다. 단말기가 핸드오버하기 위해 수행하는 절차가 간단해지고,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670)은 특정 무선 접근 네트워크 주변에 위치한 다른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670)는 IEEE802.21에 정의된 MIIS(Media Independent Information Service) 서버가 될 수 있다.
단말기가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631)에서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로 핸드오버 하는 경우에, 단말기가 직접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로 접속하기 전까지는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므로,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는 최적의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는 단말기가 속한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631)와 연관된 복수의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네트워크 정보를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670)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므로,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정보를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651)를 통하여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최적의 핸드오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는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670)에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네트워크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는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의 요구에 응답하여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네트워크 정보를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670)로부터 수신한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네트워크 정보를 더 고려하여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의 통화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 통화 미디어 종류, 현재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의 대역폭 및 이용 요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631)의 네트워크 정 보 또는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네트워크 정보는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통화 미디어 종류, 각 미디어 종류에 따른 최소 보장 대역폭 및 이용 요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는 복수의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들 중에서, 단말기가 이용하기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목록을 작성하여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는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 중에서, 단말기가 현재 이용하기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접근 네트워크만의 목록을 참조하여 상기 무선 접근 네트워크에 대해서만 무선 채널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단말기가 현재 접속한 무선 접근 네트워크에서 다른 무선 접근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하기 위해서 현재 접속한 무선 접근 네트워크와 다른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무선 환경을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로 전송한다.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는 단말기가 전송한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무선 채널의 변화에 기반하여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제어한다. 단말기는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모든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무선 채널의 변화를 측정하지 않고, 단말기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무선 접근 네트워크 목록 내에 있는 무선 접근 네트워크들의 무선 채널의 변화만을 측정하므로, 무선 채널의 변화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들 중에서, 단말기가 접속할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는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가 제공한 무선 접근 네트워크 목록으로부터 결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S710)에서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단말기의 통화 정보 및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631)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한다.
단계(S720)에서는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670)로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네트워크 정보를 요구한다.
단계(S730)에서는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631)와 연관된 복수의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670)로부터 수신한다.
단계(S740)에서는 단말기의 통화 정보,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631)의 네트워크 정보 및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네트워크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기에 핸드오버가 발생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핸드오버가 발생한 경우에는 단계(S750)에서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단계(S760)에서는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 오버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S810)에서는 송신 단말기의 통화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 단말기가 통화를 승인하고, 그 결과 송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간에 통화가 연결 된다.
단계(S820)에서는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은 송신 단말기의 통화 정보 및 수신 단말기의 통화 정보,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631)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한다.
단계(S830)에서는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는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네트워크 정보를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670)에 요청한다.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670)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네트워크 정보를 서비스 핸드 오버 관리부(660)로 전송한다. 서비스 핸드 오버 관리부(660)가 수신한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네트워크 정보는 최적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단계(S840)에서는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660)가 수신한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632)의 네트워크 정보에 기반하여 최적의 핸드오버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에 대한 일 실시예 상세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에 대한 또 다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 오버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
130: 제1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
140: 제2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
210: 정보 수집부
220: 서비스 핸드오버 판단부
230: 서비스 핸드오버 제공부

Claims (34)

  1.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에서 동작하는 송신 단말기 또는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송신 단말기 또는 상기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 및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송신 단말기 또는 상기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관리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는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가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업데이트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는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관련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핸드오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판단부; 및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부로 출력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기 또는 상기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기 각각의 서비스 프로파일 또는 무선 접근 네트워크(Access Network)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통화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통화 조건 정보는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된 통화 요청 메시지의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통화 조건 정보는
    통화 미디어 종류, 대역폭(bandwidth) 및 요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는,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가 속한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정보 또는 상기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와 연관된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의 요구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수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공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에 대한 통화 미디어 종류, 최소 보장 대역폭 및 요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공 장치.
  11. IMS 기반에서 동작하는 송신 단말기 또는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송신 단말기 또는 상기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송신 단말기 또는 상기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은
    상기 송신 단말기 또는 상기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가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업데이트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관련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핸드오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가 발생한 경우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기 각각의 서비스 프로파일 및 무선 접근 네트워크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기의 관련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기와의 통화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조건 정보는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된 통화 요청 메시지의 SDP 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조건 정보는 통화 미디어 종류, 대역폭 및 요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가 속한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정보 또는 상기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와 연관된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정보를 고려하여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통화 미디어 종류, 최소 보장 대역폭 및 요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공 방법.
  21. 복수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를 이용해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의 상기 복수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간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통화 정보, 상기 단말기가 현재 접속한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단말기가 접속할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 통화 미디어 종류, 대역폭 및 요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각각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통화 미디어 종류, 최소 보장 대역폭 및 요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서비스 핸드오버 관리부의 요청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망사업자 정보, 상기 망사업자의 접근 네트워크 중에서 현재 이용 가능한 접근 네트워크의 목록, 및 상기 이용 가능한 접근 네트워크의 특정 기지국 및 무선 억세스 포인트 목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는 IEEE 802.21 표준에서 정의된 MIIS(Media Independent Information Service)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들 중에서, 상기 단말기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접근 네트워크 목록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는 상기 무선 접근 네트워크 목록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는 상기 목록 내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채널의 변화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29. 복수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를 이용해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간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통화정보, 상기 단말기가 현재 접속한 제1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정보, 상기 단말기가 접속할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 통화 미디어 종류, 대역폭 및 요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각각의 무선 접근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통화 미디어 종류, 최소 보장 대역폭 및 요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제2 무선 접근 네트워크의 망사업자 정보, 상기 망사업자의 접근 네트워크 중에서 현재 이용 가능한 접근 네트워크의 목록, 및 상기 이용 가능한 접근 네트워크의 특정 기지국 및 무선 억세스 포인트 목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방법.
  34. 제11항 내지 제20항, 및 제291?내지 제3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
    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70072498A 2007-01-10 2007-07-19 엔드 투 엔드의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336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84,023 US9008668B2 (en) 2007-01-10 2007-11-13 Service handover control apparatus using an end-to-end service handover and method using th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2915 2007-01-10
KR1020070002915 2007-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891A true KR20080065891A (ko) 2008-07-15
KR101336323B1 KR101336323B1 (ko) 2013-12-03

Family

ID=39816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498A KR101336323B1 (ko) 2007-01-10 2007-07-19 엔드 투 엔드의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839B1 (ko) * 2008-07-25 2015-01-05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호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 및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1545A (ko) * 2003-03-13 200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핸드오버장치 및 방법
KR20060026722A (ko) * 2004-09-21 2006-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의 이동성을 고려한 멀티미디어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의 핸드오버 방법
KR100673202B1 (ko) * 2004-11-05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인터넷과 이기종의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 간핸드오버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839B1 (ko) * 2008-07-25 2015-01-05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호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 및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323B1 (ko) 201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8668B2 (en) Service handover control apparatus using an end-to-end service handover and method using the apparatus
US100342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CN101287014B (zh) 一种实现流媒体业务的方法、系统及装置
US8923852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user equipment decision-making criteria for connectivity and handover
Nguyen-Vuong et al. A user-centric and context-aware solution to interface management and access network selection in heterogeneous wireless environments
KR100691505B1 (ko) 다중 모드 단말 및 다중 모드 단말의 통신 경로 제어 방법
EP1848163A1 (en)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system
CN101917742B (zh) 数据传输方法、设备及系统
US8351393B2 (en) Switching of multimedia sessions from a mobile terminal
US856516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witch of mobile user equipment (UE)
KR100716531B1 (ko) 이동 장치에 의한 무선 채널 선택 방법 및 시스템
Adamopoulou et al. Intelligent access network selec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simulation results
JP2011530904A (ja) 通話のシームレススイッチング方法及び移動端末
KR20100029869A (ko) 이종망간 끊김없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21077630A1 (zh) 一种通信方法、装置、设备及系统
Liu et al. Energy efficient network selection and seamless handovers in mixed networks
Choong et al. SIP-based IEEE802. 21 media independent handover—a BT Intel collaboration
US8719429B2 (en) Communications system
Khattab et al. AS urvey on Media Independent Handover (MIH) and IP Multimedia Subsystem (IMS) in H eterogeneous W ireless N etworks
KR20070072853A (ko) 이종 환경에서의 투명한 서비스 적합화
US20120033583A1 (en) Policy-Based Network and Service Domain Selection for Legacy Non-IP Telecommunication Services Over Heterogeneous Networks
US8554220B2 (en) Mobile terminal and network device for providing handover service
KR101384183B1 (ko) 매체 독립 핸드오버 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336323B1 (ko) 엔드 투 엔드의 서비스 핸드오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outsorodi et al. Terminal management and intelligent access selection in heterogeneous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