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4480A -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서비스 시스템 및 장치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서비스 시스템 및 장치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4480A
KR20080064480A KR20070001453A KR20070001453A KR20080064480A KR 20080064480 A KR20080064480 A KR 20080064480A KR 20070001453 A KR20070001453 A KR 20070001453A KR 20070001453 A KR20070001453 A KR 20070001453A KR 20080064480 A KR20080064480 A KR 20080064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keyword
terminal
guidance messag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01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6033B1 (ko
Inventor
천희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001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033B1/ko
Publication of KR20080064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03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성인식 플러그인을 구동하고, 음성 검색할 음성 키워드를 입력하여 녹음하며, 녹음된 음성 키워드를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로부터 음성키워드와 매핑되어 전달되는 URL에 접속하여 확인되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단말 브라우저 기반 음성재생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재생하는 단말기 단말기로부터 녹음된 음성 키워드가 전달되면 단말 브라우저 기반 음성인식 플러그인에 의하여 인식하고 텍스트로 변환하며, 멀티모달 플랫폼에 의하여 작성되고 음성 키워드에 매핑되어 관리되는 음성안내 메시지의 URL을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편의성을 제공하고, 통신 서비스 사업자에게는 새로운 광고 채널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본 서비스 제공 업체에는 광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음성 광고, 멀티모달 플러그인, 이동통신, 멀티모달 플랫폼

Description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장치치 및 방법{SYSTEM AND TERMINAL AND METHODS FOR VOICE KEYWORD GUIDENCE MESSAJE USING THE MULTI-MODAL PLUG-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키 입력부 12 : 음성 입력부
20 : 제어부 30 : 송수신부
40 : 통신 모듈부 50 : 메모리
60 : 기능부 70 : 표시부
72 : 음성 출력부 10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네트워크 300 : 서버
본 발명은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작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URL과 음성 키워드를 매핑하고 멀티모달 플랫폼으로 서버에 저장하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키워드에 의하여 해당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전달하는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선 및 무선 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칭함)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단말기의 작은 화면, 불편한 키 입력에도 불구하고 그 효용성이 매우 높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작은 기기이기 때문에 이동성이 뛰어나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즉시 취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작은 화면과 불편한 키 입력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장벽처럼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단말기 제조사와 통신 서비스 사업자는 멀티모 달이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 및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모달(Multimodal)은 사용자와 단말기간의 인터페이스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기존의 인터넷 서비스는 화면 출력과 키 입력이라는 하나의 입출력을 제공하였으나, 여기에 음성 입출력을 부가하고, 이를 화면 입출력과 동기화 시켜서 하나의 통합된 인터페이스로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모달 서비스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음성 키워드를 입력하면, 해당키워드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작하고, 제작된 음성 안내 메시지의 특성에 적합한 음성 키워드를 매핑 상태로 등록하여 멀티모달 서버에 저장한 후, 인터넷 상에서 단말기 기반의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음성 키워드에 의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음성인식 플러그인을 구동하고, 음성 검색할 음성 키워드를 입력하여 녹음하며, 녹음된 음성 키워드를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로부터 음성키워드와 매핑되어 전달되는 URL에 접속하여 확인되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단말 브라우저 기반 음성재생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재 생하는 단말기 단말기로부터 녹음된 음성 키워드가 전달되면 단말 브라우저 기반 음성인식 플러그인에 의하여 인식하고 텍스트로 변환하며, 멀티모달 플랫폼에 의하여 작성되고 음성 키워드에 매핑되어 관리되는 음성안내 메시지의 URL을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 가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서버에 의하여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음성 안내 메시지와 해당 음성 키워드를 매핑하는 과정 음성 키워드와 매핑된 음성 안내 메시지의 URL을 멀티모달 플랫폼에 등록하는 과정 단말기에 의하여 음성키워드로 음성안내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음성키워드를 입력 녹음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서버에 의하여 음성 키워드를 인식하고 텍스트로 변환하며, 검색된 URL을 단말기에 제공하고, 단말기에 의하여 URL에 접속하여 음성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이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확인하고자 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에 해당되는 음성 키워드를 입력하는 음성 입력부 입력된 음성 키워드를 멀티모달 서버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멀티모달 서버로부터 텍스트와 URL 주소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URL 주소에 접속하고, 상기 키워드에 해당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 수신된 음성키워드의 텍스트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출력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수신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가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의 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음성 키워드를 입력할 음성인식 플러그인을 호출하는 과정 음성인식 플러그에 의하여 음성 키워드를 입력하고 녹음하는 과정 입력되고 녹음된 음성 키워드를 멀티모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멀티모달 서버로부터 음성 키워드를 음성인식하고 변환한 텍스트와 URL 주소를 수신하는 과정 수신된 URL 주소에 접속하는 과정 접속된 URL 주소로부터 음성 키워드에 해당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수신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재생 플러그인으로 재생하는 과정 이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달 플 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은, 음성인식 플러그인을 구동하고, 음성 검색할 음성 키워드를 입력하여 녹음하며, 녹음된 음성 키워드를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로부터 음성키워드와 매핑되어 전달되는 URL에 접속하여 확인되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단말 브라우저 기반 음성재생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재생하는 단말기(100); 단말기와 서버의 통신경로를 설정하여 제공하는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에 의한 네트워크(200); 단말기로부터 녹음된 음성 키워드가 전달되면 단말 브라우저 기반 음성인식 플러그인에 의하여 인식하고 텍스트로 변환하며, 멀티모달 플랫폼에 의하여 작성되고 음성 키워드에 매핑되어 관리되는 음성안내 메시지의 URL을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100)에 구비된 음성인식 플러그인을 활성화 상태로 구동하고, 음성으로 검색할 음성 키워드를 입력하여 녹음한다. 이와 같이 녹음된 음성 키워드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서버(300)에 제공된다.
서버(300)는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키워드를 음성인식 플러그 인으로 인식하고, 텍스트로 변환하며, 해당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텍스트로 변환된 음성 키워드에 해당 하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검색한다.
서버(300)에 의하여 검색이 성공되면, 해당 URL 주소를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단말기(100)에 전달한다.
단말기(100)는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URL 주소에 인터넷으로 접속하므로 확인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단말 브라우저 기반의 음성재생 플러그 인으로 재생한다.
이와 같이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안내 메시지는, 단말기 사용자 또는 SKT, KTF, LGT와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하여 제작 가능하며,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작하는 방법은 전용 툴이 구비되어 있어서 제작 가능하거나, 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작한 후, 음성 키워드와 매핑하므로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음성안내 메시지는, 광고 메시지, 음성 메시지, 영상 메시지, 홍보 메시지 등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음성 안내 메시지의 제작이 완료되면, 제작된음성 안내 메시지를지적 또는 검출할 수 있는 음성 키워드를 입력한다. 이러한, 음성 안내 메시지는 추후 사용자가 다운로드하여 확인할 경우, 요금 절감, 다양한 서비스 제공과 같은 혜택을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음성 안내 메시지의 다운로드는, 스트리밍 방식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작성된 음성 안내 메시지는 URL 주소에 기록되고, 이러한 URL 주소는 음성 키워드와 함께 매핑되며, 멀티모달 플랫폼(300)에 의하여 서버에 등록하고, 멀티모달 플랫폼(300)은 음성 키워드 및 URL을 Grammar에 등록 및 추가한다.
이후, 단말기(100) 사용자가 음성 키워드를 이용하여, 등록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하면,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고, 단말기 브라우저에서 멀티모달 플러그인의 음성인식 플러그 인을 호출한다. 단말기(100)에 음성인식 플러그 인이 호출되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키워드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단말기(100)에 구비된 멀티모달 플러그인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키워드를 녹음하고, 유선또는 무선의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서버(300)의 멀티모달 플랫폼으로 전송한다.
서버(300)의 멀티모달 플랫폼은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된 음성 키워드가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되면, 이를 음성인식 플러그인에 의하여 인식하고, 입력된 음성 키워드를 텍스트로 변환하며, 해당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한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 검색에 의하여 확인된 것으로, 음성 안내 메시지가 기록되어 있는URL 주소를 확인하고, 확인된 URL 주소와 음성 키워드로부터 변환된 텍스트를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단말기(100)는 텍스트와 URL이 수신되면, 텍스트를 표시부(70)에 출력하고, 단말기 브라우저는 URL 주소에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하므로, 음성 안내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에 접속하여 음성 안내 메시지를 다운로드 한다.
이때 음성 안내 메시지는, 다운로드 방식 대신에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안내 메시지의 제공이 완료되면, 단말기는 재생 플러그 인을 활성화 상태로 동작시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재생하고, 서버(300)는 소정 음성 안내 메시지를 수신 및 확인하는 단말기(100)의 정보를 서비스 사업자에게 제공하므로, 요금 절감 등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운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작하고, 제작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음성 키워드와 매핑하는 과정 음성 키워드가 매핑된 음성 안내 메시지의 URL을 서버의 멀티모달 플랫폼에 등록하는 과정 단말기에 의하여 음성 키워드로 음성 안내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인터넷으로 서버에 접속하고 입력된 음성 키워드를 녹음하여 전송하는 과정 서버에 의하여 음성 키워드를 인식하고 텍스트로 변환하며 검색된 URL 주소를 단말기에 제공하므로, 단말기가 URL주소에 접속하여 음성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단말기가 수신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재생하여 확인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버에 의하여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구비된 음성 안내 메시지 제작을 위한 툴을 통해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작하고, 제작된 음성 안내 메시지에 해당되는 음성 키워드를 매핑하여 등록한다(S100, S102). 음성 키워드는 제작된 음성 안내 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대표적 단어나 음성 안내 메시지의 취지, 목적에 대응되는 단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음성 키워드와 음성 안내 메시지를 멀티모달 플랫폼에 등록하고, 멀티모달 플랫폼에 등록된 키워드와 음성 안내 메시지가 기록된 URL 주소는 매핑된 상태로 서버에 저장된다(S104).
이후, 사용자가 서버에 저장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음성 키워드를 입력한다(S106-S110). 입력된 음성 키워드는 서버로 전송되고, 서버는 수신된 음성 키워드를 음성인식 플러그인으로 인식하며, 인식된 음성 키워드를 텍스트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변환된 텍스트에 해당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URL 주소를 검색하여 단말기로 전송한다(S112-S114). 텍스트와 URL 주소를 수신한 단말기는 수신된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하고, 수신된URL 주소에 접속하여 음성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다(S116).
음성 안내 메시지는, 단말기에 의하여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고, 이러한 수신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재생 플러그인을 활성화 하여, 음성 안내 메시지를 재생한다(S118).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작하거나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 또는 광고회사 등 다양한 업체에서 제작가능하며, 제작된 음성 안내 메시지는 해당 서버에 저장되어 인터넷에 접속되는 사용자에게 URL 주소로 제공된다. 이러한 음성 안내 메시지는, 광고 메시지, 홍보 메시지, 음성 메시지, 영상 메시지 등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안내 메시지를 제작 또는 확인하기 위한 명령신호를 입력받는 키 입력부(10)와 기능부(60)에 구비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작 또는 확인하기 위한 툴을 활성화하고,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활성화된 툴을 이용해 안내 메시지의 제작 또는 확인을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제작된 안내 메시지에 적용하기 위한 음성 키워드를 입력 받는 음성 입력부(12)와 음성 키워드와 음성 안내 메시지를 멀티모달 플랫폼에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부(30)와 이후, 음성 안내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인터넷에 접속하고, 음성 안내 메시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수의 통신 모듈이 구비된 통신 모듈부(40)와 음성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된 음성 키워드를 멀티모달 서버로 전송한 후, 서버로부터 음성 키워드를 변환한 텍스트와 URL 주소가 수신되면, 수신된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70)와, URL 주소를 통해 해당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서버로부터 음성 안내 메시지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으로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는 메모리(50)와, 저장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에 의하여 음성 키워드가 적용되는 안내 메시지를 제작하거나 확인하고자 하면, 제어부(20)는 기능부(60)에 구비된 안내 메시지 제작 툴 또는 확인 툴을 활성화 하고, 키입력부(10)의 다수 키를 입력하여 안내 메시지 제작 또는 확인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작 또는 확인이 완료되면 메모리(50)에 저장하고, 마이크와 같은 음성을 입력 받는 음성 입력부(12)를 통해 사용자가 제작하거나 확인하고자 하는 안내 메시지의 키워드에 해당되는 음성을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상기 입력된 음성 키워드와 저장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송수신부(30)를 통해 서버에 전달하고, 멀티모달 플랫폼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한다.
이후에, 단말기가 음성 안내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하면, 제어부(20)는 통신 모듈부(40)에 구비된 해당 통신 모듈 또는 프로토콜을 활성화 하고, 이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다. 또한, 음성 입력부(12)를 활성화 하여 사용자로부터 확인하고자 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의 키워드를 음성으로 입력 받는다.
제어부(20)는 입력된 음성 키워드를 멀티모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텍스트와 URL 주소를 수신하며, 단말기는 표시부(70)에 수신된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하고, 수신된URL 주소에 접속한다.
URL 주소에 접속되어, 확인하고자 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선택 및 전송 요청하고, 수신된 음성 안내 메시지는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 방식으로 단말기로 전송되며, 단말기는 이를 수신하여 메모리(50)에 저장하거나 또는 실시간 재 생한다.
이와 같이 수신된 음성 안내 메시지는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하여, 음성과 영상의 동기화가 이루어지고, 표시부(70)와 음성 출력부(72)에 동기된 상태로 출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의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음성 키워드를 입력할 음성인식 플러그인을 호출하는 과정 음성인식 플러그에 의하여 음성 키워드를 입력하고 녹음하는 과정 입력되고 녹음된 음성 키워드를 멀티모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멀티모달 서버로부터 음성 키워드를 음성인식하고 변환한 텍스트와 URL 주소를 수신하는 과정 수신된 URL 주소에 접속하는 과정 접속된 URL 주소로부터 음성 키워드에 해당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수신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재생 플러그인으로 재생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 사용자가 음성 안내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하면,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고, 단말기 브라우저에서 멀티모달 플러그인의 음성인식 플러그인을 호출한다(S200-S204).
음성인식 플러그인이 호출되면, 확인하고자 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에 해당되는 음성 키워드를 음성 입력부(12)를 통해 입력하고, 입력된 음성을 녹음한 후, 메모리(50)에 저장한다(S206).
제어부(20)는 저장된 음성 키워드를 송수신부(40)를 통해 멀티모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전송된 음성 키워드에 해당되는 텍스트와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의 URL 주소가 수신되어 저장되면, 수신된 텍스트를 표시부(70)에 디스플레이 하고, 저장된URL 주소를 호출하여 접속한다(S208-S212).
이러한 URL 주소에 접속되면, URL 주소를 통해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음성 키워드에 해당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수신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재생하기 위해 단말기의 기능부(60)에 구비된 멀티모달 음성 재생 플러그인을 활성화 동작시켜 수신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재생하고, 표시부(70) 및 음성 출력부(72)를 통하여 출력한다(S214-S216).
음성 안내 메시지를 재생할 경우, 제어부(20)는 수신된 음성 안내 메시지의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의 동기를 일치시킨 후, 음성 출력부(72) 및 표시부(70)에 동기된 상태로 출력한다.
이상에서 일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은 반드시 이러한 일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포탈 사이트의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를 인터넷 상에서 단말 기반의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편의성을 제공하고, 통신 서비스 사업자에게는 새로운 광고 채널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본 서비스 제공 업체에는 광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음성인식 플러그인을 구동하고, 음성 검색할 음성 키워드를 입력하여 녹음하며, 녹음된 음성 키워드를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로부터 음성키워드와 매핑되어 전달되는 URL에 접속하여 확인되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단말 브라우저 기반 음성재생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재생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녹음된 음성 키워드가 전달되면 단말 브라우저 기반 음성인식 플러그인에 의하여 인식하고 텍스트로 변환하며, 멀티모달 플랫폼에 의하여 작성되고 음성 키워드에 매핑되어 관리되는 음성안내 메시지의 URL을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URL에 접속하고, URL에서 제공하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재생하기 위한 다양한 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서버의 통신경로를 설정하여 제공하는 네트워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안내 메시지는,
    상기 서버가 음성키워드와 매핑 상태로 관리하여 제공하는 URL 주소로부터 확인하는 것으로, 광고 메시지, 음성 메시지, 영상 메지시, 홍보 메시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무선인터넷을 활성화하고, 상기 단말 브라우저에 기반한 멀티모달 플러그인의 음성인식 플러그인을 구동하여, 음성 키워드를 입력하고 녹음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인식된 음성 키워드를 텍스트로 전달받아 출력하고, URL을 호출하여 제공되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제작하여 URL에 등록하고, 상기 음성안내 메시지에 매핑할 음성키워드를 등록하며, 음성키워드와 음성안내 메시지의 URL을 각각 멀티모달 플랫폼에 등록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달 플랫폼은,
    상기 음성키워드와 URL을 음성안내 메시지 문법(GRAMMAR)에 등록하고 추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성키워드를 음성인식 플러그인을 활성화 시켜 인식하고, 텍스트로 변환하여 매핑된 URL을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URL과 텍스트로 변환된 음성키워드를 단말기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10.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음성안내 메시지를 멀티모달 플랫폼에 의하여 작성 제작하고 등록된 키워드와 매핑하여 기록 관리하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안내 키워드를 음성인식 플러그인으로 인식하여 변환된 텍스트의 키워드로 검색된 URL을 상기 텍스트와 함께 단말기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통신 네트워크와 무선통신 네트워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12. 서버에 의하여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음성 안내 메시지와 해당 음성 키워드를 매핑하는 과정;
    상기 음성 키워드와 매핑된 음성 안내 메시지의 URL을 멀티모달 플랫폼에 등록하는 과정;
    단말기에 의하여 음성키워드로 음성안내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음성키워드를 입력 녹음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버에 의하여 음성 키워드를 인식하고 텍스트로 변환하며, 검색된 URL을 단말기에 제공하고, 단말기에 의하여 URL에 접속하여 음성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과정은,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제작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확인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는 무선인터넷으로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는 입력되는 음성키워드를 녹음하는 과정;
    상기 입력되어 녹음된 음성 키워드를 멀티모달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음성키워드 녹음은,
    상기 단말기가 호출하고 활성화한 음성인식 플러그인에 의하며 입력되는 음성 키워드를 녹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방법.
  15. 확인하고자 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에 해당되는 음성 키워드를 입력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입력된 음성 키워드를 멀티모달 서버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상기 멀티모달 서버로부터 텍스트와 URL 주소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URL 주소에 접속하고, 상기 키워드에 해당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
    상기 수신된 음성키워드의 텍스트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출력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수신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말기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키워드를 입력하여 녹음하고, 서버로부터 제공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소정 툴이 구비되는 기능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말기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접속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다운로드하거나 스트리밍하여 제공 받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18.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수신된 URL 주소에 접속하고,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공받아 음성출력부가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단말기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19. 단말기에 의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음성 키워드를 입력할 음성인식 플러그인을 호출하는 과정;
    상기 음성인식 플러그에 의하여 음성 키워드를 입력하고 녹음하는 과정;
    상기 입력되고 녹음된 음성 키워드를 멀티모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멀티모달 서버로부터 음성 키워드를 음성인식하고 변환한 텍스트와 URL 주소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URL 주소에 접속하는 과정;
    상기 접속된 URL 주소로부터 음성 키워드에 해당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재생 플러그 인으로 재생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 수신은,
    다운로드이거나 스트리밍 방법으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과정은,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서버와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는,
    상기 서버에서 활성화된 음성인식 플러그 인에 의하여 음성 키워드를 인식하고 변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수신된 음성 안내 메시지의 음성신호와 화면신호의 동기를 이룬 후, 표시부와 음성 출력부에 동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70001453A 2007-01-05 2007-01-05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장치 및 방법 KR101336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1453A KR101336033B1 (ko) 2007-01-05 2007-01-05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1453A KR101336033B1 (ko) 2007-01-05 2007-01-05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480A true KR20080064480A (ko) 2008-07-09
KR101336033B1 KR101336033B1 (ko) 2013-12-03

Family

ID=3981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01453A KR101336033B1 (ko) 2007-01-05 2007-01-05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0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8449A (ko) * 2011-06-15 2012-12-26 엔에이치엔(주) VoIP 기반 음성 통화 시 음성 인식을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3116461A1 (en) * 2012-02-03 2013-08-08 Kexti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guided operations
CN110991175A (zh) * 2019-12-10 2020-04-10 爱驰汽车有限公司 多模态下的文本生成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58311B (zh) * 2015-09-30 2020-11-27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语音内容提示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853A (ko) * 2000-07-03 2000-10-05 황진만 핸드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뉴스를 음성형태로전송하는 방법과 시스템
KR100505090B1 (ko) * 2003-11-19 2005-07-29 주식회사 온세통신 인터넷도메인주소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8449A (ko) * 2011-06-15 2012-12-26 엔에이치엔(주) VoIP 기반 음성 통화 시 음성 인식을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97248B1 (ko) 2011-06-15 2016-02-25 네이버 주식회사 VoIP 기반 음성 통화 시 음성 인식을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3116461A1 (en) * 2012-02-03 2013-08-08 Kexti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guided operations
CN110991175A (zh) * 2019-12-10 2020-04-10 爱驰汽车有限公司 多模态下的文本生成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0991175B (zh) * 2019-12-10 2024-04-09 爱驰汽车有限公司 多模态下的文本生成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033B1 (ko) 201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8529B2 (en) Reusable multimodal application
US7415537B1 (en) Conversational portal for providing conversational browsing and multimedia broadcast on demand
KR102013338B1 (ko) 서비스 페이지 공유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060019699A1 (en) Method of uploading web blo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thereof
KR20050100608A (ko) 통신 시스템용 보이스 브라우저 다이얼로그 인에이블러
US200800520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marking of information items for identifying and activating links to information or processes related to the marked items
KR101336033B1 (ko)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 키워드 안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장치 및 방법
CN103825633A (zh) 在基于车辆的计算系统和远程应用之间通信的方法和设备
CN102065340A (zh) 实现多媒体同步交互的系统和方法
KR20040063436A (ko) 제스처를 하는 아바타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0888340B1 (ko) 단말 브라우저 기반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500134A (zh) 用于访问应用程序的方法和系统
KR20090117335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20070053627A (ko)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음성 입출력이 동시에 가능한방송웹사이트 서비스를 위한 비주얼 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29485A (ko) 음성 재생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시스템
JP2019091444A (ja) スマートインタラクティブの処理方法、装置、設備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JP3712967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100517951B1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인터넷 디스플레이 서비스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101072659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부분 디렉토리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348624B1 (ko) 영상 및 음성 출력 시스템, 및 그의 동작방법
KR100432938B1 (ko) 개인별로 구분된 음성 사서함 배경 음악 구성 방법 및 장치
US20030120845A1 (en) Network device for sound and vision transmission
KR20100099500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KR100650671B1 (ko) 멀티컨텐츠 플레이타임 전송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FI113321B (fi) Informaation välitys vastaanottajalaitteisto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