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575A -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575A
KR20080063575A KR1020070000145A KR20070000145A KR20080063575A KR 20080063575 A KR20080063575 A KR 20080063575A KR 1020070000145 A KR1020070000145 A KR 1020070000145A KR 20070000145 A KR20070000145 A KR 20070000145A KR 20080063575 A KR20080063575 A KR 20080063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conditioning
air conditioner
power suppl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심지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3575A/ko
Publication of KR20080063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5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영상 패널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결합되는 공기조화유닛; 상기 영상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수신된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패널로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전원부와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조화 유닛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영상패널로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영상패널을 구동하는 전원부가 공기조화유닛 측에 배치되어 전면패널의 두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공기조화기의 감성품질이 현저히 뛰어나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having display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이 공기조화유닛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유닛의 컨트롤 박스의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유닛의 컨트롤 박스의 개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공기조화기 150: 디스플레이유닛
200: 전면패널 210: 백커버
220: 케이스 240: 인버터부
250: 영상패널 260: 신호처리부
270: 광주사부 280: 전원부
300: 공기조화유닛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한다.
최근에는 실내 벽면에 액자와 같이 장착될 수 있도록 터보팬을 내장하여 캐비닛의 두께를 최소화한 공기조화기가 개발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이 일반 브라운관 표시장치를 구비하도록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실내 공간에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에 일반 브라운관 표시장치를 구비하면, 그 영상패널의 두께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상기 브라운관 표시장치의 배면에 배치되어 전면 패널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이 두꺼워 지면, 실내 공간의 벽에 부착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특성상 감성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 패널 내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디스플레이유닛의 구동을 위한 전장부품을 공기조화유닛의 컨트롤 박스에 내장시킨 공기조화기를 제공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공기조화유닛의 컨트롤 박스가 자체 방열 및 방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영상 패널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결합되는 공기조화유닛; 상기 영상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수신된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패널로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전원부와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유닛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영상패널로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가 공기조화유닛 측에 배치되어 전면패널의 두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공기조화기의 감성품질이 현저히 뛰어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TV 또는 모니터가 형성 되는 전면패널(200) 및 상기 전면패널과 연결되어 실내 공기를 공기조화시키는 공기조화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패널(200)에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패널(250)이 구비되며, 상기 영상패널(250)은 공기조화유닛(300)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조화유닛(300)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영상패널(250)은 외부의 공중파 TV영상, 위성/지상 DMB 영상 등의 동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에 의해 신호를 수신받아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유닛(300)의 내부에 열교환기와 송풍팬 등의 구성요소가 수용되며, 상기 공기 조화유닛은 실내 공기의 냉/난방, 제습, 공기청정 등의 공기조화를 수행한다.
상기 공기조화유닛(300)은 상부 또는 하부에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유닛(90)을 통해 측면 또는 하부로 공기조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유닛(300)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공기를 송풍시키는 실외송풍기와, 액체상태로 응축된 냉매를 분무상태의 액체로 분사시키는 팽창밸브와, 실내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공기를 송풍함과 아울러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송풍기와, 상기 압축기의 토출압력 및 온도, 실내열교환기 또는 실외열교환기의 온도, 실내의 온도 또는 실외의 온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부가 포함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 및 공기조화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00)의 전면패널(200)의 구조를 상세히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면패널(200)은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패널(250)이 수용되는 케이스(220) 및 백커버(210)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패널(200)은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유닛(300)에 연결수단으로 연결된다. 상기 공기조화유닛(300)에는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30),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실내 송풍팬(30)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오리피스(40)와, 상기 오리피스(40)의 전방에 제공되어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실내 열교환기(50)와, 상기 공기조화유닛(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70)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50) 표면에 응축된 응축수가 포집되도록 하는 드레인팬(80) 및 상기 캐비닛(20)의 전면에 제공되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60)가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필터(60)는 상기 전면패널(200)의 백커버(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흡입구(25)를 덮는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유닛(300)의 케이스(20)에는 다수의 토출구(26, 2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0)에는 상기 토출구들(26, 28)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토출유닛(90)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유닛(90)은 상기 토출구들(26, 28)을 개폐하는 베인(92)과 상기 베인(92)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실내 송풍기(30)는 공기가 축방향으로 흡입되어 반경 방향으로 토출되는 원심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0)에 복수 개의 송풍기가 장착되는 경우 토출되는 공기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20) 내부는 격벽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50)의 전면에는 플라즈마 필터(110)가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2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포집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유닛(300)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패널(200)에는 디스플레이유닛(150)을 수용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50)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영상 패널(250)과, 상기 영상 패널(250)이 안착되는 케이스(22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22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스피커(206)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유닛(300)에는 디스플레이유닛(1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8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디스플레이유닛(150)만의 구동을 위해 별도로 전면패널(2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전면패널(200)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전원부와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패널(250)로 전송하는 신호처리부(260)는 공기조화유닛 내의 컨트롤 박스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이 공기조화유닛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면패널(200)의 케이스(220)의 배면에는 영상패널(250)이 안착된다.
상기 전면패널(200)에는 디스플레이유닛(150)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50)에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패널(250), 상기 영상패널(250)을 백라이팅하는 광주사부(270) 및 상기 광주사부(270)에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부(240)이 포함된다.
상기 광주사부(270) 및 상기 인버터부(240)는 PCB 기판으로 제공되며, 각종 신호처리 등을 위해 배선처리된다.
상기 인버터부(240)는 영상패널(250)의 측부에 제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5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광주사부(270)는 상기 인버터(240)가 배치되는 방향의 영상패널(250)의 배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유닛의 컨트롤 박스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조화유닛(300)의 케이스(20)와 결합되는 지지부재(24) 내에 컨트롤 박스(7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 박스(70)의 위치는 배선이 노출되지 않는 곳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 박스(70)는 공기조화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4), 외부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패널로 전송하는 신호처리부(260) 및 공기조화유닛(300)을 구동하며, 상기 영상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0)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74)에는 공기조화유닛(300) 만을 구동할 때 상기 공기조화유닛(30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6)가 구비된다.
물론 공기조화유닛(30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6)는 영상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70)는 상기 전원부(240)와 신호 처리부가 각각 수용되도록 구획하는 구획판(72)이 구비되어 배선정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260)는 외부신호를 입력받도록 외부입력단자(예를 들어, DVI, RGB, 컴포넌트, S-Video, 컴포지트, AV단자, HDMI 등)설치된다. 외부신호를 입력받아 신호를 변환하여 영상패널로 보내어 영상을 구동한다.
상기와 같이 신호처리부(260) 및 전원부(240)를 공기조화유닛(300)으로 배치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200)의 두께는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유닛의 컨트롤 박스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재(24)는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냉기가 토출될 때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컨트롤 박스(70)에 이슬맺힘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상기 이슬맺힘 현상은 컨트롤 박스(70)의 기능을 저하하여, 공기조화기의 신뢰성에 문제가 생길 뿐만 아니라 전기가 흘러 감전 등의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컨트롤 박스(70)를 이슬맺힘 현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70)를 금속 판재로 둘러쌓을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70)의 외주면에 히트 싱크(heat sink, 80)을 부착하여 컨트롤 박스(7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LCD 또는 PDP 등의 영상패널을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실내공기를 공기조화시키는 공기조화유닛이 일체로 설치되므로, 실내 공간의 설치공간을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신된 영상 신호를 영상패널로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 및 영상패널을 구동하는 전원부가 공기조화유닛 측에 배치되어 전면패널의 두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공기조화기의 감성품질이 현저히 뛰어나게 된다.
또한, 공기조화유닛에서 컨트롤 박스가 적절히 방열 및 방습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이슬맺힘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Claims (7)

  1. 영상 패널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결합되는 공기조화유닛;
    상기 영상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수신된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패널로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전원부와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조화 유닛 측에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와 신호 처리부는 단일의 컨트롤 박스에 수용되는 공기 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전원부와 신호 처리부가 각각 수용되도록 구획되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 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의 외주면에는 방열을 위한 히트 싱크(heat sink)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 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내부에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하는 금속 판재로 둘러쌓인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 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공기 조화 유닛으로의 전원 공급을 동시에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 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의 전원 공급을 위한 별도의 전원부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 조화기.
KR1020070000145A 2007-01-02 2007-01-02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KR20080063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145A KR20080063575A (ko) 2007-01-02 2007-01-02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145A KR20080063575A (ko) 2007-01-02 2007-01-02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575A true KR20080063575A (ko) 2008-07-07

Family

ID=3981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145A KR20080063575A (ko) 2007-01-02 2007-01-02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35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1738B2 (en) Wire fixing structure, electrical equipment mount device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KR20080006757A (ko)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WO2016067817A1 (ja) 空気調和機
WO2016067818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WO2012099062A1 (ja) 空気調和機
KR101280368B1 (ko)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KR20080063574A (ko)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및 이의 조립방법
KR20080006758A (ko)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JP2004003869A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換気空調ユニット
KR20080063575A (ko)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JP2016161206A (ja) 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KR101280367B1 (ko) 공기조화기
EP3730854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6331935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EP1878977A2 (en) Air conditioner having image display function
KR20050019444A (ko) 공기조화기
KR20080063573A (ko)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JP5316508B2 (ja) 空気調和機の床置き室内機
JP2016161205A (ja) 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KR101280369B1 (ko)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JP2012102889A (ja) 床置き室内機
KR101245254B1 (ko)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KR100596258B1 (ko) 공기조화기
JP2005083703A (ja) 空気調和機
JPS60181526A (ja) テレビジョン映像装置組込型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