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385A - 광섬유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385A
KR20080063385A KR1020087010676A KR20087010676A KR20080063385A KR 20080063385 A KR20080063385 A KR 20080063385A KR 1020087010676 A KR1020087010676 A KR 1020087010676A KR 20087010676 A KR20087010676 A KR 20087010676A KR 20080063385 A KR20080063385 A KR 20080063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onnector
housing
c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257B1 (ko
Inventor
샘 리만
에릭 피터스
에르빈 주니우스
산드라 구센스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엔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0520166.0A external-priority patent/GB0520166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610877A external-priority patent/GB0610877D0/en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엔베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엔베
Publication of KR20080063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4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using mechanical means, e.g. pulling or pushing devices
    • G02B6/545Pulling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8Protection from over-extension or over-compre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9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using encapsulation for protection, e.g. adhesive, molding or casting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산없는 다중-부분(101, 103)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100)의 부분(103)을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를 제공하고, 커넥터(100)의 다중-부분(101, 103)은 상호접속가능하며, 부분(103)은 몸체(102)를 포함하고, 몸체(102)는, 광섬유 케이블(106)과의 접속을 위한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105); 다중-부분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100)의 다른 부분(101)과의 접속을 위한 부분 접속 단부(104); 및 커넥터(100)를 위한 장착부(200, 300)의 리테이너(213, 313)와 상호-연동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구성물들(113)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200, 300)는 광섬유 케이블(106)이 몸체(102)의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105)에 접속될 때 광섬유 케이블(106)과 커넥터(100)를 유지시키는데 사용되고, 상기 구성물들(103)은 커넥터(100)가 광섬유 케이블(106)과 커넥터(100)의 다른 부분들(103, 101)에 조립되고 장착부(200, 300)에 장착될 때, 커넥터(100)의 회전 및/또는 축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장착부 리테이너(213, 313)와 상호-연동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광섬유 접속 장치{OPTICAL FIBRE CONNECTION DEVICES}
본 발명은 광섬유 접속들, 특히 종종 "Fibre To The Home"(FTTH)로 지칭되는 광 통신망과 가입자들 사이의 드롭(drop) 케이블 접속들을 형성 및 용이하게 하기 위한 새로운 광섬유 접속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들은 광섬유 전송망에서 광섬유 케이블들의 물리적 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광섬유 접속 장치들은 이에 제한됨이 없이 다음을 포함한다:
(Ⅰ) 공지된 LC 커넥터들 또는 본질적으로 공지된 다른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들의 새로운 파생물, 이러한 커넥터들은 광섬유망에서 접속 단자에 대한 광섬유의 물리적 접속을 용이하게 함;
(Ⅱ) 케이블들이 접속되는 광섬유망의 장치로 리드되는 도관들(ducts)을 통해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들을 당기기 위한 풀링 캡들(pulling caps). 이러한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들은 광섬유 커넥터(예, LC 커넥터들과 같은)에 이미 접속된 광섬유 케이블들이며, 커넥터는 광섬유망에서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을 용이하게 함; 및
(Ⅲ) 광섬유망에 사용되는 밀폐-패킹된(close-packed)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들의 바람직한 처리를 위한 피봇가능한 장착부들(pivotable mountings).
광섬유망들은 데이터 전송 경로들로서 광섬유 케이블들에 포함되는 광섬유들을 사용한다. 그러한 망들은 통신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많은 데이터 전송 애플리케이션들을 갖는다. 그러한 데이터 전송망들은 광섬유 케이블들 및 연동 장치만을 필수적으로 포함할 필요는 없지만, 다른 타입의 비-광섬유 전송 경로들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광섬유 케이블들을 위한 나사산(screw-threaded) 커넥터들 및 풀링 캡들은 Corning Cable Systems의 미국특허 제6,579,014호 및 제6,648,520호에 기재되어 있지만, 이들은 비교적 고가이고 설치하는데 시간이 걸리며, 이는 많은 수의 그러한 접속들이 이루어져야 할 때 심각한 상업적 결함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 및 실시예들은 저비용의 설치하기 용이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다중-부분(multi-part)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의 부분을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커넥터의 다중-부분은 상호-접속가능하며, 상기 부분은 몸체를 포함하고, 몸체는,
광섬유 케이블과의 접속을 위한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
상기 다중-부분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의 다른 부분과의 접속을 위한 부분 접속 단부; 및
상기 커넥터를 위한 장착부(mounting)의 리테이너와 상호-연동(co-operate)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구성물들(formations)을 포함하며, 구성물들은 상기 커넥터가 광섬유 케이블 및 커넥터의 다른 부분들과 조립되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될 때, 상기 커넥터의 회전 및/또는 축 이동을 저지(resist)하기 위해 상기 장착 리테이너와 상호-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후방부(rearward part)와 푸시가능하게 상호접속가능한 전방부(forward part)를 갖는 다중-부분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고, 커넥터의 후방부는 광섬유 케이블과의 접속을 위해 후방 접속 단부를 구비한 몸체의 전방 단부와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부착되며; 상기 몸체는 몸체에 접속시 커넥터와 광섬유 케이블을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착부의 유지 수단과 상호-연동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유지 구성물들을 갖고, 상기 몸체 유지 구성물들은 장착부에서 조립 및 장착될 때 커넥터의 회전 및/또는 축 이동을 저지(resist)하기 위해 장착부 유지 수단과 상호-연동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커넥터는 다중-부분 나사산 없는(screw threadless) 광섬유 커넥터일 수 있고, 이들의 부분들은 다중-부분 커넥터의 부분들의 상대적 회전을 요구함이 없이 해제가능하게 상호접속가능하다.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물들은 실질적으로 평면의 평행 랜드(land)들의 하나 이상의 쌍들, 예를 들어 2개의 쌍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쌍은 일반적으로 라운드형 몸체의 대향 측면들상에 형성된다.
상기 형성물들은 원둘레 몸체 채널 내에 위치된 직경으로 대향되는 정지 부재들의 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광섬유 장치로 리드되는 도관들을 통해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들을 풀링하기 위한 광섬유 케이블 풀링 캡에 의해 결합가능한 풀링 구성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유사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커넥터들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및 근접하게 나란히, 상기 장착부에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도관들을 통해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들을 풀링하기 위한 광섬유 케이블 풀링 캡일 수 있고, 도관들은 광섬유 장치로 리드되며, 하나 이상의 구성물들은 광섬유 케이블 풀링 캡 리테이너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장착부들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를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장착부는 영구적으로 장착된 연동 구성/위치로 커넥터를 풀링하기 위한 임시 장착부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장착부는 연동 구성으로 장착부를 제공하는 영구 장착부일 수 있다. 장착부는 하나 이상의 유사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커넥터들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나란히 근접하게 상기 커넥터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물은 적어도 2개의 다중-부분 커넥터들이 장착되는 장착부에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부들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를 수 있다. 장착 리테이너는 부분 구성물들과 인접하게 배치된 대향 조우(jaw)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분은 2개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커넥터의 하나의 부분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는 LC 커넥터일 수 있다. 커넥터 부분들은 함께 부분들을 홀딩하도록 결합되는 해제가능한 멈춤쇠(detent)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슬라이딩 동작을 이용하여 상호접속가능할 수 있다.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는 광섬유 케이블에 크림핑(crimped)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섬유 접속 단부는 응력 경감을 개선하고 광섬유 케이블의 토션(torsion)을 방지하기 위해, 광섬유 케이블을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에 삽입할 때, 광섬유 케이블의 자켓(jacket)과 맞물리게 굽혀질 수 있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텅(tongue)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텅은 직경상으로 대향하게 배치된 텅 쌍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는 광섬유 케이블 강화 부재들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은 L 형상일 수 있다.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는 열 수축에 의해 광섬유 케이블로의 밀봉가능한 접속을 허용하기 위해 열 수축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는 다중-부분 커넥터의 다른 부분을 향해 외부로 몸체를 통해 광섬유 케이블내에 포함되는 광섬유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된 테이퍼(taper)를 포함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는 사용시 장착 리테이너로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된 다중-부분 광섬유 케이블의 부분일 수 있다. 커넥터는 사용시 장착 리테이너로 스냅-고정(snap-fit)되도록 배치된 다중-부분 광섬유 케이블의 부분일 수 있다. 부분은 전체적으로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는 크림핑가능한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고, 몸체는 크림핑가능하지 않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몸체는 광섬유 케이블의 하나 이상의 외피(sheath)로부터 광섬유 케이블의 광섬유를 개별적으로 하우징하도록 배치된 광섬유관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는 몸체의 내부에 광섬유 케이블의 접착제 부착을 허용하도록 하기 위해, 몸체의 내부에 접착제(glue)의 삽입을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분을 포함하는 다중-부분 커넥터를 제공한다. 다중-부분 커넥터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분의 광섬유 접속 단부 부분에 부착된 열 수축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도관을 통해 광섬유 커넥터를 풀링하기 위한 풀링 캡을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를 제공하고, 풀링 캡은 풀링 케이블이 부착될 수 있는 이에 접속된 풀링 부착 부재를 구비하며, 풀링 부착 부재는 실질적으로 풀링 방향에 놓인 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풀링 캡은 풀링 캡 내에 커넥터를 견고하게 홀딩하기 위해 커넥터의 부분에 인접하도록 구성된 유지 구성물들(retaining forma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풀링 캡은 내부에 커넥터를 포장하기 위해 커넥터 주위에 해제가능한 조립가능한 2개 이상의 쉘들(shells)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의 포장(encasement)은 완전 포장 또는 부분 포장일 수 있다. 2개의 쉘들은 별도의 쉘들일 수 있다. 쉘들은 힌지형으로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장치는 커넥터를 포장하기 위해 서로 쉘들을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커넥터를 포장하기 위해 쉘들을 서로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 부재와 쉘들은 고정 부재가 쉘들로부터 제거가능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장치는 커넥터를 포장하기 위해 쉘들을 해제가능하게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 부재는 풀링 캡이 조립될 때 풀링 부착 부재가 연장되는 개구를 포함한다.
캡의 내부 표면은 쉘들내에서 커넥터의 견고한 홀딩을 촉진시키기 위해 커넥터의 외부 형상과 일치하는 외형일 수 있다.
상기 쉘들 중 하나는 커넥터를 제자리에 견고하게 홀딩하고 커넥터가 쉘 내에 홀딩될 때 쉘에 대해 커넥터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커넥터 외부의 보조(complementary) 구성물들과 맞물리게 배치된 쉘의 내부에 위치되는 직립(upstanding) 유지 구성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LC 커넥터를 포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장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포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는 자켓 및/또는 가요성 인장-저항(flexible tension-resisting) 부재를 갖는 광섬유 케이블에 부착되거나 크림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광섬유 커넥터 장착부를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광섬유 커넥터 장착부는 지지체 및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피봇 운동을 위해 지지체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하우징이 지지체에 근접하게 인접하거나 놓이는 연동 위치이고, 상기 제 2 위치는 광섬유 하우징이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지지체로부터 각도만큼 떨어지게 이동되는 액세스 위치이다.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은 다중-부분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의 부분을 위한 하우징일 수 있다.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은 다중-부분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의 부분의 하우징을 일체형으로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은 다중-부분 광섬유 커넥터의 부분을 착탈식으로(removably) 하우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은 피봇 암에 장착될 수 있고, 피봇 암의 일 단부는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을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체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광섬유 커넥터는 LC 커넥터의 부분을 위한 것일 수 있다.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은 피봇 암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피봇 암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은 피봇 암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제 1 장착 위치에서 피봇 암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다.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은 지지체로부터 이동가능할 수 있다.
지지체는 하우징이 제 1 장착 위치에 있고 하우징이 커넥터를 포함하도록 배치될 때, 커넥터의 회전 및/또는 축 이동을 저지하도록 커넥터를 홀딩하기 위해 광섬유 커넥터상의 하나 이상의 대응 구성물들과 상호-연동되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장착 리테이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는 하우징의 제어되는 제 2 액세스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되는 제 2 액세스 위치는 피봇 접합부(joint)에 가장 근접한 하우징의 단부에 접속된 광섬유의 벤딩을 제어하기 위해, 제 1 위치로부터 떨어진 하우징의 최대 이동 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되는 제 2 액세스 위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피봇 암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된 정지 암(stop arm)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은 피봇 장치(pivot arrangment)에 의해 지지체에 대하여 피봇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피봇 장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피봇가능하게 배치되는 피봇 암 내에서 및 지지체의 연동면 외부로 연장하도록 배치된 곡선형 유지 부재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피봇 장치에 의해 지지체에 대하여 피봇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피봇 장치는 지지체의 연동면 외부로 연장하도록 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된 곡선형 유지 부재를 포함한다.
피봇 장치는 라운드형 피봇 부재 및 대응하는 곡선형 유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라운드형 피봇 부재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피봇 암의 피봇 단부에 위치되며, 곡선형 유지 부재는 지지체의 연동면 외부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하우징은 피봇 장치에 의해 지지체에 대하여 피봇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피봇 장치는 피봇 암이 피봇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는 지지체의 연동면에 형성된 함몰부(depression)를 포함한다.
제 2 액세스 위치는 지지체에 의한 간섭으로부터 방지하는 액세스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장착부는 2개 이상의 인접한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들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인접한 하우징은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장착부는 2개 이상의 인접한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들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으 인접한 하우징은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제 2 위치는 인접한 하우징으로부터의 간섭 없이 하나의 하우징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장착부는 2개 이상의 인접한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들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인접한 하우징은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제 2 위치는 인접한 하우징에 접속된 인접한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로부터의 간섭 없이 하나의 하우징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장착부는 2개 이상의 인접한 광섬유 케이블 하우징들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인접한 하우징은 공통 지지체상의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하우징은 제 1 장착 위치에서 지지체에 스냅-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 1, 제 2 또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를 포함하는 광섬유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 1, 제 2 또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를 이용하여 광섬유 접속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과 실시예들은 다중-부분 나사산 없는 광섬유 커넥터들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커넥터들은 다중-부분 커넥터의 부분들의 상대적 회전을 요구함이 없이 해제가능하게(releasably) 상호접속가능하다.
본 발명은 개별 또는 그 조합으로 구체적으로 언급하거나 청구되는지 여부에 따라 이전에 언급된/후속하여 언급되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성들, 실시예들 및/또는 특징들을 개별적으로 및 모든 다양한 조합들로 포함하고, 이를 이용하여 광섬유 접속들을 형성하는 방법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예로서 보다 상세히 예시된다.
도 1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를 포함하는 다중-부분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2개의 실시예들의 광섬유 접속 장치를 통하는 부분 단면을 도시한다.
도 3, 4 및 5는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들을 각각 도시한다.
도 6은 광섬유 케이블과 맞물릴 때 도 5의 실시예를 통하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열 수축 슬리브 및 내부 테이퍼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의 일 실시예를 통하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내부 테이퍼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의 일 실시예를 통하는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통하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특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의 조립체 컴포넌트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의 광섬유 접속 장치의 조립된 컴포넌트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1의 광섬유 접속 장치의 조립체에 포함된 조립 단계들을 도시하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특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의 광섬유 접속 장치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6은 광섬유 케이블이 삽입된 도 14의 광섬유 접속 장치의 추가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7은 도 14의 광섬유 접속 장치의 2개의 추가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8은 도 14의 광섬유 접속 장치를 통하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도 14의 광섬유 접속 장치를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컴포넌트들을 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4의 광섬유 접속 장치의 조립의 방법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21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풀링 캡을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에 접속된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 및 풀링 캡의 컴포넌트 부분들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풀링 캡의 베이스 컴포넌트에 하우징된 도 21의 커넥터화된 광섬유를 도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풀링 캡의 베이스 컴포넌트를 도시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풀링 캡에 조립된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을 도시한다.
도 25는 도관을 통한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풀링 캡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26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피봇가능한 장착부를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를 도시한다.
도 26은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이 장착된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27은 장착부가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들을 갖는 다수의 인접 하우징을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제 2 액세스 위치에서 하우징에 접속된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의 슬라이드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제 1 장착 위치의 하우징에 접속된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의 슬라이드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하우징의 슬라이드 사시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에 따른 다양한 타입의 광섬유 접속 장치들(103, 200, 300)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103)의 실시예들을 먼저 고려한다(도 1 내지 도 2).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들(103)의 예들은 도 1 내지 도 20에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커넥터화된 드롭 케이블들을 위한 슬림 단자(slim termination) 및 응력 경감 장치에 관련되어 있고, 공지된 다중-부분 LC 커넥터(100, 도 1-20)의 후방부(103)는 몸체(102)를 가지며, 몸체(102)는 임의의 타입의 기계적 설비에 의해 케이블(106)에 접속되거나 크림핑될 수 있는 단면(105)을 갖는다.
다중-부분 LC 커넥터(100)는 전방 단자부(101) 및 후방 케이블 접속부(103)로 이루어지고 해제가능하게 함께 스냅-고정될 수 있다는 것을 도 1로부터 알 수 있다. 전방 단자부(101)는 광섬유 케이블(106)의 베어(bare) 광섬유(178)가 부착된 페럴(ferrule)(191)을 하우징한다. 페럴(191)은 공지된 방식으로 페럴 단부들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광섬유(178)와 다른 광섬유(미도시)의 광학 접속을 허용한다(스프링(190)을 이용하는 2개의 결합(mating) 페럴들 사이에서 접촉이 유지됨).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부분들(101, 103)의 상대적 회전 없이 결합될 수 있는 해제가능하게 스냅-고정된 부분들을 제공하지만, 다른 구성들에서 전방 및 후방부들(101, 103)은 함께 나사-고정되거나, 크림핑되거나, 또는 함께 접착되거나, 그러한 방법들의 결합 또는 변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광섬유 접속 장치로 고려되는 이러한 후방부(103)에 대한 변형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은 후방 케이블 접속부(103)의 세부사항에 초점을 맞추고 전방 단자부(101)의 세부사항들에는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후방 케이블 접속부(103)는 주몸체(102)를 포함한다. 이러한 몸체는 단자부(101)에 해제가능하게 스냅-고정될 수 있는 전방 단자 단부(104)를 포함한다. 후방 케이블 접속부(103)는 또한 전방 단자 단부(104)에 대한 대향 단부를 향해 위치된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105)를 포함한다.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105)는 광섬유 케이블(10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 접속 단부(105)와 단자 접속 단부(104) 사이에서 몸체(102)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후방 케이블 접속부(103)는 완전 금속부(103a)이거나, 금속(103a)과 플라스틱(103b) 부분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도 2). 금속과 플라스틱(또는 비금속) 부분들의 조합물의 경우, 플라스틱 부분은 금속관에 성형(mould)될 수 있고, 금속관은 플라스틱 부분 외부로 연장하며, 크림핑될 수 있는 영역(105)을 형성한다(도 2).
몸체(102)의 케이블 접속 단부(105)는 몸체(102)에 케이블(106)을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클림프 부분을 포함하는 케이블 응력 경감 특징을 포함한다(도 3). 예를 들어 WO 2005/07376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커넥터-커넥터 인터페이스(즉, 부분들(101, 103)간의 인터페이스), 또는 케이블-커넥터 인터페이스,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인터페이스에서, 응력-경감 접속들이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림프는 도시된 것처럼 몸체(102)에 통합될 수 있거나, 광섬유 케이블 의 인장-저항 강도 부재들을 몸체(102)에 크림핑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개별적인 클림프 아이렛(crimp eyelet)(105', 도 11)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102)가 케이블(106)에 크림핑되기 이전에 케이블(106)의 강도 부재들(108)을 수용 및 다시 굽히기 위해 L-형상 슬롯(107, 도 4)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크림핑 장치들에서, 클림프 아이렛(크림핑 링)(105)의 텅(109, 도 5 및 도 6)은 응력 경감을 개선하고 커넥터 몸체의 케이블의 토션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자켓에 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열 수축 슬리브(110, 도 7 및 도 11, 도 12)는 케이블(106)을 커넥터(광섬유 접속 장치) 몸체(102)를 밀봉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고, 열 수축 슬리브(110)는 케이블의 슬라이드 부하 용량들 및 응력 경감을 개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의 화살표들(111)로 도시된 것처럼, 몸체(102)의 내부 설계는 광섬유(112)가 커넥터 몸체(102)의 페럴에 양호하게 가이드되도록 할 수 있다.
커넥터 몸체(102)의 도시된 예는 사용시 광섬유 접속 장치의 보조 부분들과 몸체(102)를 정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라운드형 몸체(102)의 대향 측면들상의 평면 랜드들(113)의 형태의 일체형 고정 및 배향 구성물들/피쳐들(features)을 포함한다. 이러한 설계는 특별한 설치 툴 없이 표준 커넥터 설치 프로시저들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특히 LC 커넥터들을 사용할 때(단독으로 사용되지 않음), 복잡함을 감소시키고 드롭 케이블들의 단자 및 커넥터화를 용이하게 한다.
랜드들(113)은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특징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 들(200, 300)에서 발견되는 것들과 같은, 장착 리테이너들(213, 313)(조우들)에 케이블 접속 부분이 홀딩될 때, 풀링 방향으로 케이블 접속 부분(103)의 이동을 억제하는 리지들(115)에 의해 종단된다. 리지들(115)은 몸체(102)로부터 외부로 정반대로(diametrically) 연장하도록 형성된 디스크들의 형태(도 11 및 도 12)일 수 있다.
광섬유 커넥터 장치(103)의 조립은 도 13에 도시된다. 열수축 슬리브(110) 및 크림프 링(105')은 광섬유 케이블(106)에 대해 슬라이딩된다. 그 다음, 케이블(106)은 광섬유(178) 및 Kevlar(179)를 노출시키기 위해 벗겨진다. 에폭시 접착제가 플라스틱 관(192)을 통하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페럴(191)에 도포되어 광섬유(178)를 페럴(191)에 고정시킨다. 그 다음, 노출된 Kevlar 외장들(179)이 장치(103)의 외부상에 위치되고, 삽입된 크림프 링(105')은 외장들(179)에 대해 슬라이딩된다. 그 다음, 열수축 슬리브(110)가 종래의 방식으로 설치된 이후, 크림프 링(105')이 크림핑된다.
광섬유 접속 장치(103)의 다른 실시예(즉, 후방 케이블 접속부)는 도 14 내지 도 20에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고정 및 배향 구성물들(113)은 커넥터 몸체(102)의 원주 둘레의 정반대로 대향하는 2개의 지점들에 위치된 정지 부재들을 포함한다(하나의 구성물(113)만이 도 14 내지 도 20에 도시됨). 이들은 몸체(102)의 원주 둘레에 형성된 채널(170)에 형성된다. 이들은 장착부(미도시)의 보조적으로 형상화된 리테이너들에 유지될 때 장치(103)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후방 케이블부(103)는 접착제가 후방부(103)의 내부에 공급될 수 있는 개구(173)를 포함한다. 이러한 개구(173)는 광섬유 케이블(106)이 삽입되는 단부에 위치된다(도 16). 후방 케이블부(103)는 광섬유 케이블(106)의 광섬유(178)가 후방부(103) 외부로 돌출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 관(180)을 포함한다. 관(180)은 개구(173)를 통해 삽입되는 임의의 접착제 없이 내부에 삽입되는 광섬유(178)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관(180)은 광섬유 케이블(106)의 광섬유(178)를 하우징하지만, 케이블(106)의 외부 외장들(Kevlar 자켓/섬유들(179))은 하우징하지 않는 크기를 갖는다.
접착제가 후방부(103)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기홀들(175)이 후방부(103)에 제공된다. 후방부(103)의 내부는 후방부(103)에 삽입된 광섬유 케이블(106)(도 17, 18)의 자켓과 인접하게 배치된 인접면(181)을 포함한다. 인접면(181)은 케이블(106)이 후방부(103)로 추가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정지부(cable stop)로서 작용한다.
사용시, 광섬유 케이블(106)의 Kevlar 섬유들(179)은 광섬유(178)와 분리된다. 그 다음, 광섬유(178)는 광섬유(178)를 섬유들(179)과 분리되게 유지하기 위해, 부분(103)의 관(180)에 삽입된다. 따라서, 섬유들(179)은 관(180) 둘레에 위치된다. 그 다음, 섬유들(179)을 후방부(103)에 접착하기 위해 개구(173)를 통해 접착제가 공급된다. 광섬유(178)가 관(180)에 삽입됨에 따라, 접착제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보호된다.
도 14의 실시예의 조립체(assembly)는 도 19 및 20에 도시된다. 페럴(191) 은 도 12와 관련하여 이전에 기술된 종래의 방식을 이용하여 광섬유(178)에 부착된다. 그러나, 크림핑이 아닌, 핫멜트(hotmelt) 접착제가 개구(173)를 통해 도포되고 냉각되도록 허용된다. 개구(173)를 통한 접착제의 도포는 Kevlar 외장들(179)을 관(180)의 외부에 고정시키고 커넥터 몸체(102)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광섬유(178)는 관(180)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로의 노출로부터 보호된다.
이제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200)를 고려한다. 이 경우, 광섬유 접속 장치(200)는 케이블들이 접속되는 광섬유망의 장치로 리드되는 도관들(250)을 통해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들(106)을 풀링하기 위한 풀링 캡이다. 이러한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들(106)은 광섬유 커넥터(예, LC 커넥터들과 같은)에 이미 접속된 광섬유 케이블들이고, 커넥터는 광섬유망에서 광섬유 케이블(106)의 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의 풀링 캡 특징들은 도 21 내지 도 25에 도시된다. 이들은 커넥터화된 드롭 케이블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풀링 아이(pulling eye)(102)를 구비한 슬림 캡 하우징(200)(201a, 201b, 201c)에 관련된다. 캡(200)은 밀봉부를 가진 베이스 쉘(201a), 리드(lid) 쉘(201b) 및 폐쇄 링 클립(201c)으로 구성된다.
하우징의 베이스 쉘(201a)은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접속 장치(103)의 몸체(102)(도 22)상의 숄더들/랜드들에 맞물리는 직립 고정 부재들(213, 도 23)을 구비한다. 따라서, 풀링 아이(202)와 유지 부재들(213)이 동일한 쉘/캐리어상에 있기 때문에, 커넥터화된 케이블(106)은 광섬유(106)를 변형시킴 없이 또는 커넥터 부분들(101, 103)을 방해함이 없이 도관(250)을 통해 풀링될 수 있다. 직립 유지 부재들(213)은 커넥터화된 케이블(106)을 베이스 쉘(210a)에 유지시킨다.
베이스 쉘(201a)과 리드 쉘(201b)은 도 21 내지 도 23에 개별 부분들로서 도시되지만, 내부에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쉘들의 내부가 용이하게 액세스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미도시)에 의해 함께 홀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쉘들(201a, 201b)은 쉘들(201a, 201b)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힌지에 의해 함께 홀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이들은 개별 부분들로서 고려되지 않는다.
또한, 베이스 쉘(201a)은 풀링 아이(202)를 포함한다. 풀링 아이(202)는 하나의 단부에서 베이스 쉘(201a)에 고정되지만,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다른 단부를 갖고, 회전 축은 풀링 캡(200)/광섬유 케이블(106)(도 22, 23)의 종방향 축으로서, 즉 풀링 방향 축에 대한 회전 축이다. 따라서, 도관(250)을 통한 풀링 아이의 풀링 동안(도 25), 풀링 아이의 회전은 베이스 쉘(201a)의 회전(및 이에 따른 풀링 캡(200)의 회전)을 초래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풀링 캡(200)내에 홀딩되는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의 회전은 풀링 캡(200)의 사용 동안 방지된다.
베이스 쉘(201a)은 회전가능한 풀링 아이(202) 및 유지 부재들(213)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풀링 아이(202) 및 유지 부재들(213)은 상이한 쉘들(201a, 201b)상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더욱이, 폐쇄 클립 링(202)이 도시되지만, 2개의 쉘들은 임의의 적절한 메커니즘에 의해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106)을 포장하도록 함께 홀딩될 수 있다. 이는 2개의 쉘들(201a, 201b)을 함께 록킹하 는 해제가능한 래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 부재들(213)은 풀링 방향으로 연장하는 맞물림(engagement) 표면들을 갖는다. 따라서, 맞물림 표면들이 커넥터(100)의 외부의 보조 부분들(113)과 접촉될 때, 풀링 방향으로 대표면적에 걸쳐서 커넥터를 제자리에 견고하게 홀딩한다. 이는 풀링 캡(200)이 도관(250)을 통해 풀링되는 동안 커넥터(100)의 홀딩을 용이하게 한다.
쉘들(201a, 201b)은 캡(200)이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106)에 조립될 때 내부에 삽입된 광섬유 케이블(106) 주위에 안착(snugly) 고정되는 개구를 규정하기 위해 쉘들의 각각의 벽들에 위치된 컷아웃(cut-out)(220)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착 고정에 의해 제공되는 마찰은 풀링의 방향으로 캡(200)의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106)의 상대적 이동을 억제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캡(200)이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블 단부(101, 103)에 제공될 때, 특히 바람직한 겔 밀봉부가 쉘 부분들(201a, 201b) 사이 및 쉘 진입 포트들과 케이블 사이에 제공되는 경우, 단자는 수분, 먼지 및 기계적 손상에 대해 보호되고, 과도한 겔이 캡(200)의 내부 캐비티로 압착될 수 있기 때문에, 겔은 케이블 직경 변화들을 보상한다.
캡(200)은 커넥터/크림프 단자 조립체(100)와 무관하게 공급될 수 있고 재사용가능하며, 드롭 케이블 설치 동안 도관(250)을 통해 케이블을 인출한 이후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착탈식 폐쇄 링 클립(201c)에 의해 함께 해제가능하게 홀딩되는 2개의 결합 쉘(201a, 201b)에 의해 제공된다. 클립(201c)은 2개의 대향 암(205, 206)을 갖고, 각각의 대향 함은 쉘들의 상응하는 외부면상에 상호-연동 구성물들(207)과 해제가능하게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또한, 클립(201c)은 풀링 캡(200)이 조립될 때 베이스 쉘(201a)의 풀링 아이(202)가 연장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한다. 클립(201c)은 나사 드라이버와 같은 통상의 툴을 이용하여 쉘들로부터 해제가능하게 제거될 수 있다. 적절하게 위치된 개구(215)에서 나사 드라이버의 사용은 하나 이상의 대향 암(205, 206)이 상응하는 쉘(201a, 201b)과의 맞물림으로부터 떨어지게 리프트될 수 있도록 한다.
캡은 도관이 150mm 미만의 반경 둘레에 굽혀질 때에도 커넥터화된(종단된) 케이블들(106)이 30mm 직경의 도관(250)을 통해 풀링될 수 있다(도 25). 따라서, 캡(200)은 표준 이용가능한 FO 커넥터들 및 표준 도관들(250)을 이용하여 케이블 단자의 치수들에 맞춰진다. 도시된 캡(200)의 바람직한 피쳐들은 전단 액세스를 갖는 도시된 일체형 록킹 메커니즘; 특수 툴들을 이용함이 없이 설치되는 능력; 및 보호성 풀링 캡(200)의 제거 이후, 풀링을 위해 구체적으로 요구되는 커넥터(100)의 피쳐들이 임의의 부가적인 '부피'를 차지하지 않는 커넥터(100)의 피쳐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를 고려하고, 여기서 광섬유 접속 장치는 피봇가능한 장착부이다. 그러한 특징들은 도 26 내지 도 30에 도시된다.
장착부(300)는 지지 베이스판(301), 및 드롭 케이블(106)에 부착된 커넥터(100)를 유지하기 위한 피봇팅 부분 또는 암(302)으로 구성된다. 피봇팅 부 분(302)은 공지된 LC 광 커넥터(도 1의 101)의 전방 부분을 둘러싸는 공지된 종류의 단방향(simplex) 어댑터(304)를 동반하며, 그의 해제 탭(108)은 도 30의 어댑터(304)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분(302)의 피봇팅은 예를 들어 케이블(106)을 상향하게 풀링함으로써 지지 테이블 또는 베이스판(301)으로부터 떨어지게 상향하게 하며, 커넥터화된 케이블을 어댑터(304)에 밀봉된 커넥터 부분(103)에 접속 및 접속해제시키기 위한 액세스를 개선하며, 이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것처럼 단자들의 어레이 외부로 리프트되기 때문이다. 부분(302)을 아래로 피봇할 때, 조립체는 스냅-고정 클립 또는 다른 유지 캐치(retaining catch)(308)에 의해 지지 테이블(301)에 록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7에서 잘 알 수 있는 것처럼, 장착부(300)는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상에 평면 랜드들(113)에 맞물리는 직립 위치 부재들/장착 리테이너들(313)을 포함한다. 이는 장착부(300)내에 다른 커넥터 부분들에 대해 몸체의 종방향 및 토션 이동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장착부(300)의 피봇팅 부분(302)은 도 28에 나타낸 것처럼, 후면 커넥터로부터 리딩되는 후면 광섬유의 벤딩을 제어하기 위한 벤드 제어 피쳐들(예, 정지 암(3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피봇팅 운동은 병렬 운동으로 대체될 수 있다.
어댑터(304)는 어댑터/커넥터 인터페이스상의 응력들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도 30에 나타낸 것처럼, 축 풀링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 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어댑터(304)는 피봇팅 부분(30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피봇 암(302)은 베이스판(301)에 형성되는(예, 베이스판(301)에 대한 성형 프로세스 동안) 함몰부(350)내에 유지되는 라운드형 단부(349)를 포함한다. 곡선형 유지 부재(351)는 함몰부(350) 상부의 베이스판(301) 외부로 연장하며, 베이스판(301)과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피봇 암(302)의 라운드형 단부(349)를 해제가능하게 피봇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곡선형 유지 부재(35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독점적이지 않으며, 광섬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가입자 광섬유 접속들을 형성,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많은 접속들을 밀봉하는 박스 또는 단자 캐비넷내에 형성하기 위해, 커넥터화된 드롭 케이블들의 설치를 허용 또는 보조하기 위해 특히 적합하다.

Claims (64)

  1. 다중-부분(multi-part)(101, 103)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100)의 부분(103)을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로서,
    상기 커넥터(100)의 다중-부분들(101, 103)은 상호접속가능하고, 상기 부분(103)은 몸체(102)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02)는,
    광섬유 케이블(106)과의 접속을 위한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105);
    상기 다중-부분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100)의 다른 부분(101)과의 접속을 위한 부분 접속 단부(104); 및
    상기 커넥터(100)를 위한 장착부(200, 300)의 리테이너(retainer)(213, 313)와 상호-연동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구성물들(formations)(113) - 상기 장착부(200, 300)는 상기 광섬유 케이블(106)이 상기 몸체(102)의 상기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105)에 접속될 때 상기 광섬유 케이블(106) 및 상기 커넥터(100)를 유지시키는데 사용되고, 상기 구성물들(113)은 상기 커넥터(100)가 상기 광섬유 케이블(106) 및 상기 커넥터(100)의 다른 부분들(101, 103)과 조립되고 상기 장착부(200, 300)에 장착될 때, 상기 커넥터(100)의 회전 및/또는 축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장착부 리테이너(213, 313)와 상호-연동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부분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100)는 후방부(103)와 푸시가능하게(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가능하게) 상호접속가능한 전방부(101)를 갖고,
    상기 커넥터의 후방부(103)는 상기 광섬유 케이블(106)과의 접속을 위한 후방 접속 단부(105)를 갖는 상기 몸체(102)의 전방 단부에 부착되며(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상기 몸체(102)는 상기 몸체(102)에 접속될 때 상기 커넥터 및 상기 광섬유 케이블(106)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장착부(200, 300)의 유지 수단(213, 313)과 상호-연동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유지 구성물들(113)을 갖고,
    상기 몸체 유지 구성물들(113)은 상기 장착부(200, 300)에 조립 및 장착될 때, 상기 커넥터(100)의 회전 및/또는 축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장착부 유지 수단(213, 313)과 상호-연동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나사산없는(screw threadless) 다중-부분 광섬유 커넥터이고, 그 부분들은 상기 다중-부분 커넥터의 부분들의 상대적 회전을 요구함이 없이 해제가능하게 상호접속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물들은 실질적으로 평면 평행 랜드들(lands)의 하나 이상의 쌍들(바람직하게는 2개의 쌍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쌍은 일반적으로 라운드형 몸체의 대향 측면들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광섬유 장치로 리딩되는 도관들을 통해 커넥터화된(connectorised) 광섬유 케이블들을 풀링하기 위한 광섬유 케이블 풀링 캡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풀링 구성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유사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커넥터들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및 근접하게 나란히 상기 장착부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하나 이상의 유사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커넥터들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및 근접하게 나란히 상기 커넥터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LC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부분들은 슬라이딩 동작을 이용하여 상호접속가능하고, 상기 부분들을 함께 홀딩하기 위해 맞물리는 해제가능한 멈춤쇠(detent)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는 광섬유 케이블에 크림핑(crimped)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는 응력 경감을 개선하고 상기 광섬유 케이블의 토션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에 광섬유 케이블을 삽입할 때, 광섬유 케이블의 자켓과 맞물리도록 굽혀질 수 있게(deflectable) 배치된 하나 이상의 텅(tongu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텅은 정반대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텅 쌍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는 광섬유 케이블 강화 부재들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L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를 통해 상기 광섬유 케이블내에 포함되는 광섬유를 상기 다중-부분 커넥터의 다른 부분을 향해 외부로 가이드하도록 배치된 테이퍼(taper)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는 열 수축에 의해 상기 광섬유 케이블에 대한 밀봉가능한 접속을 허용하기 위해 열 수축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은 사용시 상기 장착부 리테이너로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된 다중-부 분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를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은 사용시 상기 장착부 리테이너로 스냅-고정(snap-fitted)되도록 배치된 다중-부분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를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케이블 접속 단부는 크림링가능한(crimpable)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20. 제 1 항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를 포함하는 다중-부분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21. 도관(250)을 통해 광섬유 커넥터(100)를 풀링하기 위한 풀링 캡(200)을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로서,
    상기 풀링 캡은 풀링 케이블이 부착가능한 풀링 부착 부재(202)에 접속되고, 상기 풀링 부착 부재(202)는 실질적으로 풀링 방향에 놓이는 축 둘레에서 상기 캡(2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광섬유 접속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 캡은 상기 풀링 캡내에 커넥터를 견고하게 홀딩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의 부분에 인접하도록 구성된 유지 구성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내부에 커넥터를 포장(encase)하기 위해 커넥터 둘레에 해제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쉘들(shell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쉘들은 개별적인 쉘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쉘들은 서로 힌지로(hingedly)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접속 장치는 커넥터를 포장하도록 상기 쉘들을 서로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접속 장치는 커넥터를 포장하도록 상기 쉘들을 서로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쉘들은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쉘들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접속 장치는 커넥터를 포장하도록 상기 쉘들을 서로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풀링 캡이 조립될 때 상기 풀링 부착 부재가 통과하여 연장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내부 표면은 상기 쉘들내에 상기 커넥터의 견고한 홀딩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커넥터의 외부 형상에 일치하도록 형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쉘들 중 하나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쉘내에 홀딩될 때, 상기 쉘에 대하 여 상기 커넥터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커넥터를 제자리에 견고하게 홀딩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의 외부의 보조 구성물들과 맞물리도록 배치된 상기 쉘의 내부에 위치된 직립 유지 구성물들(upstanding retaining formation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31.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접속 장치는 LC 커넥터를 포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3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접속 장치는 제 1 항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를 포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3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자켓 및/또는 가요성 인장-저항 부재를 구비한 광섬유 케이블에 부착되거나 크림핑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3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나사산없는 다중-부분 광섬유 커넥터의 부분이고, 상기 다중-부분 커넥터는 상기 다중-부분 커넥터의 부분들의 상대적 회전을 요구함이 없이, 해제가능하게 상호접속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35. 광섬유 커넥터 장착부(300)를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로서,
    상기 장착부(300)는 지지체(301) 및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304)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04)은 상기 지지체에 대한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의 피봇 운동을 위해 상기 지지체(301)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하우징(304)이 상기 지지체(301)상에 놓이거나 상기 지지체(301)에 근접하게 인접하는 연동 위치이고,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304)이 상기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304)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상기 지지체(301)로부터 각도상으로 떨어지게 이동된 액세스 위치인, 광섬유 접속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은 다중-부분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의 부분을 위한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은 나사산없는 다중-부분 광섬유 커넥터의 부분을 위한 하우징이고, 상기 다중-부분 커넥터는 상기 다중-부분 커넥터의 부분들의 상대적 회전을 요구함이 없이, 해제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은 다중-부분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의 부분의 하우징을 일체형으로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은 다중-부분 광섬유 커넥터의 부분을 착탈식으로 하우징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40.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은 피봇 암에 장착되고, 상기 피봇 암의 하나의 단부는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체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41.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커넥터는 LC 커넥터의 부분을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42.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은 피봇 암에 장착되고, 상기 피봇 암을 따라 이 동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43.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은 피봇 암에 장착되고, 제 1 장착 위치에서 상기 피봇 암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44.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지지체로부터 제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45.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하우징이 제 1 장착 위치에 있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커넥터를 포함하도록 배치될 때, 상기 커넥터의 회전 및/또는 축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를 홀딩하도록 광섬유 커넥터상의 하나 이상의 대응 구성물들과 상호-연동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장착 리테이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4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제어되는 제 2 액세스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되는 제 2 액세스 위치는 피봇 접합부(pivot joint)에 가장 근접한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접속된 광섬유의 벤딩을 제어하기 위해, 제 1 위치로부터 떨어진 상기 하우징의 최대 이동 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되는 제 2 액세스 위치는 상기 피봇 접합부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된 정지 암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피봇 암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4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피봇 장치(pivot arrangement)에 의해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피봇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봇 장치는 상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피봇 암이 피봇가능하게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체상에 위치된 곡선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4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피봇 장치에 의해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피봇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봇 장치는 상기 지지체의 연동면(operating face) 외부로 연장하도록 상기 지지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곡선형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50.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피봇 장치에 의해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피봇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봇 장치는 라운드형 피봇 부재 및 대응하는 곡선형 유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라운드형 피봇 부재는 상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피봇 암의 피봇팅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곡선형 유지 부재는 상기 지지체의 연동면 외부로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51.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피봇 장치에 의해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피봇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봇 장치는 피봇 암이 피봇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는 상기 지지체의 연동면에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52.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세스 위치는 상기 지지체에 의한 간섭이 없는 액세스 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53.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2개 이상의 인접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인접 하우징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54.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2개 이상의 인접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인접 하우징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위치는 인접 하우징으로부터의 간섭 없이 하나의 하우징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55.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2개 이상의 인접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인접 하우징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위치는 인접 하우징에 접속된 인접 커넥터화된 광섬유 케이블로부터의 간섭 없이 하나의 하우징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5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2개 이상의 인접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인접 하우징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공통 지지체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5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 1 장착 위치에서 상기 지지체에 스냅-고정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58. 제 35 항에 따른 하우징.
  59. 제 35 항에 따른 지지체.
  60. 제 1 항, 제 21 항 또는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를 포함하는 광섬유망.
  61. 제 1 항, 제 21 항 또는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섬유 접속 장치를 이용하여 광섬유 접속을 형성하는 방법.
  6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물들은 원주 몸체 채널내에 위치된 정반대로 대향되는 정지 부재들의 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6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광섬유 케이블의 하나 이상의 외장들로부터 광섬유 케이블 의 광섬유를 개별적으로 하우징하도록 배치된 광섬유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6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상기 광섬유 케이블의 접착제 부착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접착제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장치.
KR1020087010676A 2005-10-05 2006-10-02 광섬유 접속 장치 KR101276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520166.0A GB0520166D0 (en) 2005-10-05 2005-10-05 Optical fibre connection devices
GB0520166.0 2005-10-05
GB0610877A GB0610877D0 (en) 2006-06-02 2006-06-02 Optical fibre connection devices
GB0610877.3 2006-06-02
PCT/EP2006/066949 WO2007039585A1 (en) 2005-10-05 2006-10-02 Optical fibre connection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385A true KR20080063385A (ko) 2008-07-03
KR101276257B1 KR101276257B1 (ko) 2013-06-20

Family

ID=3740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676A KR101276257B1 (ko) 2005-10-05 2006-10-02 광섬유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802926B2 (ko)
EP (1) EP1932037B1 (ko)
KR (1) KR101276257B1 (ko)
AR (1) AR056122A1 (ko)
AU (1) AU2006298709B2 (ko)
BR (1) BRPI0616861A2 (ko)
CA (1) CA2623085A1 (ko)
ES (1) ES2425229T3 (ko)
PE (1) PE20070859A1 (ko)
TW (1) TWI447455B (ko)
WO (1) WO200703958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406B1 (ko) * 2012-08-13 2014-01-13 주식회사 경신 리테이너 체결지그
KR20180003199U (ko) * 2017-05-02 2018-11-12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측정용 어댑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0471B2 (en) * 2005-08-25 2007-12-18 Adc Telecommunications, Inc. Stackable splice chip device
US7534050B2 (en) 2007-04-13 2009-05-19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eld terminatable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US7744287B2 (en) * 2007-09-05 2010-06-29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nnector enclosure
GB0718589D0 (en) * 2007-09-24 2007-10-31 Tyco Electronics Raychem Nv Positioning of adaptors for optical connectors
GB0718588D0 (en) * 2007-09-24 2007-10-31 Tyco Electronics Raychem Nv Cable termination device
AU2007360000B2 (en) * 2007-10-09 2014-03-20 Prysmian Australia Pty Ltd Connector carrier for an optical fibre joint enclosure
CN102066999B (zh) * 2008-04-21 2013-05-29 Adc电信公司 具有通过整体式壳体结合到圆柱形线缆上的连接器主体的硬化光纤连接器
EP2427791B1 (en) * 2009-05-08 2019-09-25 ADC Telecommunications, INC. Cable pulling assembly
CN102428396B (zh) * 2009-05-19 2014-10-29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分光器组件
CN102043201B (zh) * 2009-10-19 2012-10-03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光纤连接装置
WO2011066363A2 (en) * 2009-11-25 2011-06-03 Adc Telecommunications Inc. Cable pulling assembly
EP3490090A1 (en) 2010-01-29 2019-05-29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Cable sealing and retaining device
EP2355283A1 (en) 2010-01-29 2011-08-10 Tyco Electronics Raychem BVBA Cable sealing device, cable termination and attaching device
EP2355285A1 (en) 2010-01-29 2011-08-10 Tyco Electronics Raychem BVBA Cable sealing and retaining device and cable connection
CN103080802B (zh) * 2010-09-06 2016-02-24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带有卡合部件的光缆
US8636425B2 (en) 2011-03-15 2014-01-28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connector
US8774585B2 (en) 2011-04-12 2014-07-08 Adc Telecommunications, Inc. Strain-relief bracket for fiber optic closure
US8953922B1 (en) * 2011-07-26 2015-02-10 Juniper Networks, Inc. Fiber ribbon strain relief clamp
RU2619816C2 (ru) 2012-02-07 2017-05-18 Тайко Электроникс Райхем Бвба Кабельное конц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в сборе и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оптоволоконного кабеля к разъему
US9176285B2 (en) 2012-05-03 2015-11-03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connector
US9684144B2 (en) 2012-09-28 2017-06-20 Commscope Technologies Llc Rapid deployment packaging for optical fiber
US9482826B2 (en) 2013-03-15 2016-11-01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 body for making crimp-less fiber optic cable connections
US8915653B2 (en) * 2013-03-15 2014-12-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Optical connector housing assembly with dual insertion and extraction options
US20150000103A1 (en) * 2013-06-26 2015-01-01 Panduit Corp. Pulling Eye Insert
US9235010B2 (en) 2013-06-28 2016-01-12 Commscope Technologies Llc Robust optical crimp connector
EP3761092A3 (en) 2013-08-24 2021-04-07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Ruggedized fiber optic connectors and connection systems
EP3060948A4 (en) * 2013-10-21 2017-05-31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connector with rotational interlock between connector housing and rear insert
US20170212313A1 (en) * 2014-07-21 2017-07-27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Fiber optic connector and fiber optic cable assembly with fiber optic cable anchored to boot of fiber optic connector
EP3078998A1 (en) * 2015-04-10 2016-10-12 CCS Technology Inc. A plug connector to couple a hybrid cable to a receptacle
US10281005B2 (en) 2015-05-29 2019-05-07 Commscope Technologies Llc Cable pulling assembly
US9482820B1 (en) * 2015-12-29 2016-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necting mid-board optical modules
ES2940350T3 (es) * 2017-06-28 2023-05-05 Corning Res & Dev Corp Conectores de fibra óptica compactos que tienen varias huellas de conector, junto con conjuntos de cables y métodos de fabricación asociados
US11187859B2 (en) 2017-06-28 2021-11-30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connecto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359577B2 (en) 2017-06-28 2019-07-23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Multiports and optical connectors with rotationally discrete locking and keying features
AU2019222724B2 (en) 2018-02-13 2023-06-15 Commscope Technologies Llc Sealed closure with fiber optic organizer
CN112823303A (zh) * 2018-10-10 2021-05-18 扇港元器件股份有限公司 具有双工线缆罩管组件的多极性光纤连接器
US11294133B2 (en) 2019-07-31 2022-04-05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networks using multiports and cable assemblies with cable-to-connector orientation
CN110308525A (zh) * 2019-08-07 2019-10-08 清远市亿源通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牵引式光纤连接器
WO2021119369A1 (en) * 2019-12-10 2021-06-17 Ppc Broadband, Inc. Mechanical connector with cable retention feature
US11536921B2 (en) 2020-02-11 2022-12-27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terminals having one or more loopback assemblies
US11604320B2 (en) 2020-09-30 2023-03-14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ies for telecommunication enclosures
US11994722B2 (en) 2020-11-30 2024-05-28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adapter assemblies including an adapter housing and a locking housing
US11927810B2 (en) 2020-11-30 2024-03-12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adapter assemblies including a conversion housing and a release member
US11686913B2 (en) 2020-11-30 2023-06-27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cable assemblies and connector assemblies having a crimp ring and crimp body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11880076B2 (en) 2020-11-30 2024-01-23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adapter assemblies including a conversion housing and a release housing
IL283017B2 (en) * 2021-05-06 2023-11-01 Fibernet Ltd Fiber optic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7802609A (pt) * 1977-05-10 1978-12-26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Dispositivo de uniao de fibras oticas ou condutores
US4986762A (en) * 1989-08-15 1991-01-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ermination module for use in an array of modules
US5402515A (en) * 1994-03-01 1995-03-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iber distribution frame system, cabinets, trays and fiber optic connector couplings
AU2577197A (en) 1996-05-02 1997-11-26 Takayasu Kanemura Protector used for pulling end of cable connector
DE19748416A1 (de) 1997-11-03 1999-05-06 Cit Alcatel Baugruppe mit Schwenkvorrichtung zur Auslenkung von Steckverbindungen
KR20010041104A (ko) 1998-02-20 2001-05-15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엔베 광섬유 패치 패널
US5938181A (en) 1998-04-30 1999-08-17 Strongarm Designs, Inc. Fish leader for terminated electrical cables
US6266469B1 (en) 1998-12-21 2001-07-24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able pulling device
JP2001141958A (ja) * 1999-11-12 2001-05-25 Seiko Instruments Inc 光コネクタプラグ
US6396993B1 (en) * 1999-12-30 2002-05-28 Corning Cable Systems Llc Optical fiber breakaway apparatus and method
US6409393B1 (en) 2000-02-18 2002-06-25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US6648520B2 (en) * 2001-09-28 2003-11-18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plug
US6412986B1 (en) * 2000-06-30 2002-07-02 Berg Technology, Inc. Adapter for assembling multiple optical connectors
US6543941B1 (en) * 2000-10-18 2003-04-08 Fitel Usa Corp. Jack receptacle having optical and electrical ports
US6579014B2 (en) 2001-09-28 2003-06-17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receptacle
DE60334962D1 (de) 2002-08-08 2010-12-30 Tyco Electronics Corp Faseroptischer Stecker mit Festlegung der radialen Orientierung des Steckerstiftes
US6913392B2 (en) 2003-05-27 2005-07-05 Molex Incorporated Rotationally adjustable fiber optic connector
GB0402187D0 (en) 2004-01-31 2004-03-03 Tyco Electronics Raychem Nv A crimp for an optical cable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406B1 (ko) * 2012-08-13 2014-01-13 주식회사 경신 리테이너 체결지그
KR20180003199U (ko) * 2017-05-02 2018-11-12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측정용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22804A (en) 2007-06-16
TWI447455B (zh) 2014-08-01
AU2006298709B2 (en) 2012-01-12
WO2007039585A1 (en) 2007-04-12
US7802926B2 (en) 2010-09-28
EP1932037A1 (en) 2008-06-18
EP1932037B1 (en) 2013-06-19
CA2623085A1 (en) 2007-04-12
US20080240658A1 (en) 2008-10-02
ES2425229T3 (es) 2013-10-14
AR056122A1 (es) 2007-09-19
KR101276257B1 (ko) 2013-06-20
PE20070859A1 (es) 2007-09-11
AU2006298709A1 (en) 2007-04-12
BRPI0616861A2 (pt) 201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257B1 (ko) 광섬유 접속 장치
AU2006347927B2 (en) System for plugging a fibre optic cable into a fibre optic receptacle and cable adaptor therefor
CN102057308B (zh) 具有接合元件的可现场端接的光纤连接器
JP4317756B2 (ja) 光ファイバプラグ
JP4524277B2 (ja) 耐久化された光ファイバコネクタ組立体
CN202995082U (zh) 用于端接光纤的光纤连接器
EP2841971B1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8814446B2 (en) Splice protection device for optical splices
WO2018194832A1 (en) Optical connection terminals for fiber optic communications networks
CN101278220B (zh) 光纤连接装置
CN109477943B (zh) 带有加固的自支撑系绳的光学终端封装件
US10345529B2 (en) Unitary connector for connecting two bare optical fibers
MX2008004445A (en) Optical fibre connection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