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2148A -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2148A
KR20080062148A KR1020060137575A KR20060137575A KR20080062148A KR 20080062148 A KR20080062148 A KR 20080062148A KR 1020060137575 A KR1020060137575 A KR 1020060137575A KR 20060137575 A KR20060137575 A KR 20060137575A KR 20080062148 A KR20080062148 A KR 20080062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uner
broadcast channel
broadcast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7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2148A/ko
Publication of KR20080062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HDD)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데이터 방송(Data Broadcasting)을 녹화하고 재생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을 제어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수신 중에 채널 전환동작이 발생되면, 녹화 및 재생 상태와 데이터 버퍼링 상태 등을 안내하는 바(Bar) 형태의 안내 화면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타임 시프트 동작에 의한 녹화 및 재생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안내 화면을 통해 현재의 데이터 버퍼링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데이터의 끊김 현상없이 채널 변경 시점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데이터 방송 수신기, 타임 시프트 동작, 안내 화면, 녹화 및 재생 상태, 버퍼링 상태, 채널 전환

Description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hannel in data broadcasting receiver}
도 1,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타임 시프트 상태가 표시되는 안내 화면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타임 시프트 상태 표시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전환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 : 튜너 11 : 디먹스
12 : 마이컴 13 : 메모리
14 : 오디오 디코더 15 : 비디오 디코더
16 : 데이터 디코더 17 : 오디오 프로세서
18 : 비디오 프로세서 19 : 버퍼 메모리
20 : HDR 시스템 21 : 하드디스크 22 : 오에스디 생성부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HDD)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데이터 방송(Data Broadcasting)을 녹화하고 재생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을 제어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전파를 통해 음성(Audio)과 영상(Video)이 아닌 JaVa application, HTML application 또는 XML data를 이진데이터로 코딩한 데이터 형태로 다양한 콘텐츠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방송이 실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텔레비전(D-TV) 또는 셋탑 박스(STB: Set Top Box) 등과 같은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는, 상기 이진 데이터 형태의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게 되면, 에스램(SDRAM)과 같은 버퍼 메모리 내에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일련의 버퍼링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퍼 메모리에 버퍼링된 데이터를 디코딩 및 신호 처리하여, 오디오(Audio)와 비디오(Video), 그리고 텍스트(Text) 등으로 출력 표시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데이터 방송 화면에는, 동영상의 비디오와 다양한 텍스트 정보,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가능한 아이콘 등의 메뉴 화면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데이터 방송은, 이진 데이터 형태로 전송되기 때문에, 이를 수신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는, 자체적으로 오디오와 비디오, 그리고 텍스트 등의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해야만 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반 음성 및 영상을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시청하다가, 이진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방송 채널로 절환하게 되면, 그 채널 절환 시점에서부터 상기 버퍼 메모리 내에 일정량의 이진 데이터가 버퍼링될 때까지, 자체적인 디코딩 및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되므로, 대기 화면을 출력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버퍼 메모리 내에 이진 데이터를 버퍼링하던 도중, 사용자가, 일반 방송 채널로 절환하게 되면, 이전까지 버퍼링된 데이터를 모두 클리어(Clear)하기 때문에, 다시 이전의 데이터 방송 채널로 복귀하더라도, 그 채널 복귀 시점에서부터, 상기 버퍼 메모리에 일정량의 데이터가 버퍼링될 때까지, 대기 화면을 출력 표시하게 되므로, 사용자 대기 시간이 장시간 동안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튜너를 내장하고 있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가 어느 하나의 튜너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 또는 특수한 목적을 위하여 수신 튜너를 변경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튜너의 채널 절환동작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의 불연속상태가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의 불연속상태는 사용자에게 화면 끊김현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HDD)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데이터 방송을 녹화하고 재생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데이터의 끊김 현상없이 채널 전환을 제어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방법은, 두개 이상의 튜너를 구비한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제 1 튜너의 설정값, 제 2 튜너의 설정값을 저장하는 제 1 단계; 제 2 튜너의 설정값과 같아지도록 제 1 튜너를 제어하는 제 2 단계; 제 1 튜너와 제 2 튜너를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3 단계; 상기 저장된 두 데이터를 비교하고, 같아지는 시점에서 제 2 튜너의 데이터 수신을 종료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3 단계는, 버퍼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3 단계는, 디코딩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2 튜너는 다른 디지털 방송 채널에 포함되는 데이터 방 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는, 두개 이상의 튜너를 구비한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다른 디지털 방송 채널에 포함되는 서비스 방송 채널을 각각 수신하는 제 1,2 튜너; 상기 제 1,2 튜너를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및 요청된 서비스 방송 채널이 제 2 튜너를 통해서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 1 튜너의 설정값을 제 2 튜너와 동일하게 제어하고,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가 같아지는 시점을 판단해서 제 2 튜너의 수신을 종료시키는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을 임시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제 1,2 튜너의 수신 데이터가 같아지는 시점에서부터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을 기록매체에 녹화 및 재생하기 위한 녹화 및 재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녹화 및 재생수단은,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을 하드디스에 녹화하면서, 소정 시간 이전에 녹화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하는 하드디스크레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D-TV) 또는 셋탑 박스(STB)와 같은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는, 튜너(10a), 디먹스(11), 마이컴(12), 메모리(13), 오디오 디코더(14), 비디오 디코더(15), 데이터 디코더(16), 오디오 프로세서(17), 비디오 프로세서(18), 버퍼 메모리(19), HDR(HDD Recorder) 시스템(20), 하드디스크(21), 그리고 오에스디 생성부(22) 등이 포함 구성된다.
한편, 상기 마이컴(12)에서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임의의 한 방송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튜너(10a)를 동작 제어하여, 해당 방송 채널을 선국하게 되고, 상기 디먹스(11)에서는, 상기 튜너(10a)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 스트림, 예를 들어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의 전송 패킷(Transport Packet)의 헤더(Header)에 포함된 패킷 아이디(PID: Packet ID)를 검색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확인된 패킷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전송 패킷의 유료 부하(Payload)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오디오 디코더(14)로 출력하고,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15)로 출력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현재 선국된 방송 채널이 데이터 방송 채널이면, 상기 디먹스(11)에서는, 상기 전송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패킷 아이디를 참조하여, 이진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디코더(16)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 디코더(16)에서는, 상기 이진 데이터를, 상기 버퍼 메모리(19)에 버퍼링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버퍼 메모리(19)는, 32MB 또는 64MB 기록 크기의 에스디램(SDRAM)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버퍼 메모리(19) 내에 일정량의 데이터가 버퍼링되면, 상기 데이터 디코더(16)에서는,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디코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17)로 출력하고,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 중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18)로 출력하게 되며,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 중 텍스트 또는 사용자 선택 아이콘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 데이터는, 상기 마이컴(12)으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컴(12)에서는,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22)를 동작 제어하여, 상기 텍스트 또는 사용자 선택 아이콘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의 메뉴 화면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오디오 프로세서와 비디오 프로세서에 의해 자체적으로 신호 처리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를 시청함과 동시에, 상기 텍스트 또는 사용자 선택 아이콘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의 메뉴 화면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12)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타임 시프트(Time Shift)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HDR 시스템(20)을 동작 제어하여, 상기 버퍼 메모리(19) 내에 버퍼링되는 이진 데이터를 하드디스크(21)에 녹화하면서, 소정 시간 이전에 녹화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일련의 타임 시프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12)은, 상기 데이터 디코더(16)를 제어하여 데이터 방송의 출력을 제어하는 가운데, 사용자의 키신호 입력에 의하여 채널 전환 요청이 확 인되면 채널 전환을 위한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시청 중인 데이터 방송에 대한 현재 수신된 데이터(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저장매체(하드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의 상태를 표시하는 타임 시프트 상태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타임 시프트 상태 표시에 기초해서 채널 전환이 이루어졌다가 다시 현재의 데이터 방송 채널로 전환될 경우 복귀가 가능한 위치, 복귀 불가능한 위치에 대한 경고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마이컴(12)의 제어하에 데이터 방송 중에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는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타임 시프트 동작을 수행하던 도중, 사용자에 의해 타임 시프트 상태 표시 동작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하드디스크(21)의 데이터 녹화 및 재생 상태와, 상기 버퍼 메모리(19)의 데이터 버퍼링 상태를 검색한 후,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22)를 동작 제어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의 녹화 및 재생 상태와 데이터 버퍼링 상태를 나타내는 안내 화면을 생성 출력하게 되는 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타임 시프트 상태 표시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데이터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던 도중(S10a),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타임 시프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 상기 마이컴(12)에서는, 상기 데이터 디코더(16)와 HDR 시스템(20)을 동작 제어하여, 상기 버퍼 메모리(19)에 임시 저장되는 이진 데이터를, 상기 하드디스 크(21)에 녹화한 후, 소정 시간 이전에 녹화된 데이터를 독출 및 재생하는 일련의 타임 시프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1).
한편, 상기 마이컴(12)에서는, 상기와 같은 타임 시프트 동작을 수행하던 도중, 사용자에 의해 타임 시프트 상태 표시가 요청되는 경우(S12), 현재 수신되고 있는 데이터 방송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검색하게 된다(S13).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을 통해 간헐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에는, 방송 프로그램 명, 방송 프로그램 시작 및 끝 시간 등과 같은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들이 포함되므로, 상기 마이컴(12)에서는, 이전에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메모리(13) 내에서 검색하여, 현재 수신되고 있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및 끝 시간을 검색 확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12)에서는, 상기 하드디스크(21)에 녹화되고 있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분량을 검색한 후, 녹화 비율 계산하게 되는 데(S14),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이 '100분'분량이고, 상기 하드디스크에 '75분'분량의 데이터가 녹화된 경우, 녹화 비율을 '75%'로 계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12)에서는, 상기 버퍼 메모리(19)의 기록 용량과, 현재 버퍼링된 데이터 분량을 검색하게 되는 데(S15), 예를 들어, 버퍼 메모리의 기록 용량이 64MB이면서, 현재 버퍼링된 데이터가 21MB이면, 약 1/3 분량이 버퍼링되었다고 판단하게 되며, 또한 현재 독출 재생되고 있는 하드디스크의 데이터 기록위치를 디스플레이 위치로서 검색 확인하게 된다(S16).
한편, 상기 마이컴(12)에서는,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오에스디 생성 부(22)를 동작 제어하여, 현재의 타임 시프트 상태를 나타내는 오에스디 영상의 안내 메뉴 화면을 생성 출력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Bar) 형태의 안내 메뉴 화면이 생성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 형태의 안내 메뉴 화면에는, 해당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및 끝(Program Start/End), 그리고 하드디스크의 녹화 엔드(Record) 및 녹화 비율(예: Record = 75%)이 구분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버퍼 메모리의 기록 용량을 나타내는 버퍼 엔드(Buffer_End)와, 실제 버퍼링(Buffering) 상태가 포함 표시된다.
또한, 상기 안내 메뉴 화면에 표시된 실제 버퍼링(Buffering) 상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일정 시간이 되면, 영(Zero)의 값으로 초기화되므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표시되는 안내 메뉴 화면을 통해 현재 시청하고 있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및 재생 상태와, 데이터 버퍼링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버퍼링 상태를 참조하여, 채널 변경 시점을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안내 메뉴 화면에 표시된 버퍼링 상태가, 영(Zero)의 값으로 초기화될 때까지 채널 변경을 대기함으로써, 상기 버퍼 메모리(19) 내에 소정 시간 동안 버퍼링되는 데이터가, 상기 하드디스크에 녹화되기 이전에, 채널 변경으로 인해 아무런 의미 없이 클리어(Clear)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12)에서는, 이후 사용자가 요청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S18), 예를 들어 일반 방송 채널로 절환한 후, 다시 이전의 데이터 방송 채널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하드디스크(21)에 녹화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기 화면 없이, 데이터 방송 화면을 신속하게 출력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도 1에서는 하나의 튜너를 구비한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두개 이상의 튜너를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전환시에 제어되는 동작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두개 이상의 튜너를 구비한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두개의 튜너를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되고 있는 실시예의 도 2의 데이터 방송 수신기는 도 1의 구성과 제어 과정이 동일하다.
단지 도시되고 있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는, 두개의 튜너(10a,10b)와 상기 튜너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부(30a,30b)를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30a,30b)는, 도 1에 도시되고 있는 디먹스, 오디오 디코더, 비디오 디코더, 데이터 디코더, 오디오 신호처리부, 비디오 신호처리부, 그리고 버퍼의 구성을 포함한다.
그리고 마이컴(12)을 포함한 하드디스크레코더(20,21)의 구성, 그리고 오에스디 생성부(22) 등은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두개의 신호처리부(30a,30b)의 신호 처리를 제어하거나 저장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두개의 튜너를 구비한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및 동작은 도 1, 도 3, 그리고 도 4를 기본으로 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두개 이상의 튜너를 구비한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의 수신 중에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서 채널 전환이 발생하였을 때 제어되는 동작과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질 때, 제어되는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튜너(10a)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데이터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고, 디먹스(11)에서는 상기 데이터 방송 스트림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추출하여 데이터 디코더(16)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디코더(16)에서는 이진 데이터를 상기 버퍼 메모리(19)에 버퍼링하고, 상기 버퍼 메모리(19)에 일정량의 데이터가 버퍼링되면, 상기 데이터 디코더(16)에서는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디코딩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디코딩된 데이터가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이 출력되어진다(S30,S31).
이와 같은 동작 제어가 기본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마이컴(12)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디먹스(11)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성 및 영상을 제공하는 일반 방송 프로그램과, 이진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을 동시에 선 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 또는 사용자들은 시청할 방송을 선택하기에 앞서 여러개의 방송채널들을 검색하고 원하는 방송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시청하게 된다. 이때 시청자 또는 사용자들은 방송채널을 여러횟수에 걸쳐 전환하게 되고, 상기 채널 전환동작시마다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방송신호가 변화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디지털 방송 채널에는 다수개의 방송 프로그램들(예 : 8개의 서비스 방송 프로그램)이 멀티플렉싱된 상태로 수신되어진다. 따라서 시청자 또는 사용자들이 리모콘(원격제어장치)을 통해서 변경하는 방송채널이 동일 디지털방송채널에 포함되고 있는 서비스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에서는 디먹스(11)의 출력신호에 변화가 발생되지만, 시청자 또는 사용자들이 리모콘을 통해서 변경하는 방송채널이 동일 디지털 방송채널에 포함되고 있는 서비스 방송 프로그램이 아닌 경우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튜너를 이용해서 해당 서비스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튜너를 통해서 선국되는 것을 디지털 방송 채널이라 하고, 디먹스(11)를 통해서 출력되는 신호를 서비스 방송 채널이라고 한다.
따라서 상기 S30, S31 단계에서 데이터 방송에 해당하는 서비스 방송 채널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도중,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서비스 방송 채널 변경을 수행하 게 되는 경우(S32), 상기 마이컴(12)에서는 상기 S32 단계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 방송 채널이 상기 S31 단계에서 출력상태에 있는 데이터 방송에 해당하는 서비스 방송 채널과 동일한 디지털 방송 채널에 포함되고 있는 서비스 방송채널인지를 판단한다(S33).
상기 S33 단계는, 앞서 언급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디지털 방송 채널에는 다수개의 서비스 방송 프로그램들이 멀티플렉싱된 상태로 수신되어지므로, 상기 변경 요청한 서비스 방송채널이 동일한 디지털 방송 채널에 포함되는 경우에서는 다른 튜너를 통한 방송 채널을 수신하는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고, 단지 디먹스(11)의 출력신호에 변경이 발생되어진다.
즉, 상기 S32 단계에서 선택된 서비스 방송 채널이, 튜너(10a)에서 수신 중인 디지털 방송 채널에 포함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12)은 디먹스(11)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S31 단계에서 출력 중이던 데이터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서비스 방송 채널신호와, 상기 S32 단계에서 선택된 서비스 방송 채널신호가 같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S32 단계에서 선택된 서비스 방송 채널은, 데이터 방송이 아닌 일반 방송에 해당하는 서비스 방송 채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데이터 디코더(16)는 디먹스(11)의 출력신호를 제공받아서, 상기 S31 단계에서 출력 중이던 데이터 방송에 해당하는 서비스 방송 채널의 신호를 계속해서 하드 디스크(21)에 녹화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오디오 디코더(14)와 비디오 디코더(15)는 상기 디먹스(11)의 출력신호, 즉 일반방송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공받고, 디코딩하여 출력하게 된다(S34).
그러나 상기 S32 단계에서 선택된 서비스 방송 채널이, 튜너(10a)에서 수신 중인 디지털 방송 채널에 포함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12)은 상기 S32 단계에서 요청된 서비스 방송 채널로 변경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제어를 먼저 수행하게 된다.
우선, 마이컴(12)은 상기 S31 단계에서 수신 출력되고 있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채널에 대해서 제 1 튜너(10a)의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계속해서 유지한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고 있던 제 2 튜너(10b)를 이용하여 상기 S32 단계에서 요청한 서비스 방송 채널이 포함된 디지털 방송 채널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S35).
상기와 같은 제어가 이루어지면 제 1 신호처리부(30a)는 데이터 방송에 대한 신호를 계속해서 처리하게 된다. 즉, 데이터 방송의 하드 디스크에 녹화 및 재생이 계속해서 이루어지는 상태가 된다. 또한 제 2 신호처리부(30b)는 새로이 요청한 서비스 방송 채널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새로이 요청한 서비스 방송 채널이 데이터 방송이던지 또는 일반방송이던지 아무런 상관이 없다. 이것은 상기 제 1,2 신호처리부 각각에 데이터 방송 처리를 위한 데이터 디코더의 구성, 그리고 일반방송 처리를 위한 오디오/비디오 디코더의 구성이 포함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 1,2 신호처리부(30a,30b)에서 신호처리된 방송신호는 믹싱되어져서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출력되어진다. 이때 제 1 신호처리부의 신호는 메인화면신호로 출력되고, 제 2 신호처리부의 신호는 서브화면신호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다음, 마이컴(12)은 S31 단계에서 수신 중이던 데이터 방송 채널에 대한 현재의 수신상태를 타임 시프트 표시 동작으로 표시한다. 즉, 하드 디스크(21)의 데이터 녹화 및 재생상태와, 상기 버퍼 메모리(19)의 데이터 버퍼링 상태를 검색한 후,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22)를 동작 제어하여,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현재의 녹화 및 재생상태와 데이터 버퍼링 상태를 나타내는 안내 화면을 생성 출력하게 된다. 상기 표시 상태 제어는 이미 표시 중인 경우에서는 생략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도 3에 도시되고 있는 표시 데이터 중에서 버퍼링 데이터가 현재시점에서 채널 변경이 이루어지면 클리어 되어버림을 표시시켜 준다(S36). 상기 S36 단계는 오에스디 생성부(22)를 통해서 경고 메시지 형태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즉 마이컴(12)의 제어하에 타임 시프트 표시 데이터 중에서 버퍼링 데이터가 현재 시점에서 채널 전환이 수행되면 클리어 되어버린다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S36 단계는, 다양하게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점에서 채널 전환할 경우 일정시간 이내에 추후 다시 현위치로 복귀가 불가능함을 알리고, 최종 수신된 데이터가 어디까지 마무리되었는지도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일정시간 이내라고 함은, 다시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고, 버퍼 메모리(19)에 버퍼링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S36 단계는 채널 전환되는 시점이 도 3에 도시되고 있는 첫번째와 두번 째 상태와 같이 버퍼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서는 상기 버퍼링 데이터가 클리어되어버림을 나타낸다. 그러나 채널 전환되는 시점이 도 3에 도시되고 있는 세번째 상태와 같이 버퍼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서는 수신 데이터의 손실이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마이컴(12)은 사용자에게 채널 전환시점을 수신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는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S36 단계와 같은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이컴(12)는 상기 버퍼링 데이터가 처리될 수 있는 대기시간을 버퍼 메모리의 일반적인 버퍼링 데이터 처리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하고, 그 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S36 단계에서와 같은 채널 전환에 따른 경고 메시지 출력 후, 마이컴(12)은 상기 S32 단계에서 선택된 서비스 방송 채널로 채널 전환을 수행할 것인지를 확인한다(S37). 상기 S37 단계는, 상기 S31 단계에서 전송 중이던 데이터 방송에 대한 전송 중 데이터를 취소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로도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37 단계의 확인 후, 사용자가 서비스 방송 채널의 채널 전환을 요청하면, 마이컴(12)은 제 1 튜너(10a) 또는 제 2 튜너(10b)에서 상기 제 32 단계에서 요청된 서비스 방송 채널이 수신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상기 새로이 요청된 서비스 방송 채널신호만이 표시장치에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S38). 이때 S31 단계에서 수신 중 또는 전송 중이던 데이터 방송에 대한 데이터는 클리어되어버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 S37 단계의 확인 후, 사용자가 서비스 방송 채널의 채널 전환을 취소 시키면, 마이컴(12)은 서비스 방송 채널 전환동작을 일시 대기상태로 제어하게 된다(S39). 상기 S39 단계는 현재 수신 중인 데이터 방송 채널을 그대로 유지하는 상태가 된다. 즉, S31 단계에서 수신 중이던 데이터 방송 채널의 전송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다음, 상기 S38 단계에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질 때,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 끊김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상기 S38 단계에서 특별한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S32 단계에서 요청한 서비스 방송 채널로 채널 전환을 수행해버리면, 해당 서비스 방송 채널의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에 끊김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마이컴(12)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의 끊김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채널 전환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질 때, 데이터 끊김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마이컴(12)은, S31 단계에 해당하는 서비스 방송 채널이 포함된 디지털 방송 채널을 제 1 튜너(10a)를 통해서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튜너(10a)의 선국 제어를 위한 설정값을 저장하고 있다(S20).
또한 S35 단계에서 제 2 튜너(10b)를 S32 단계에서 요청된 서비스 방송 채널이 포함된 디지털 방송 채널을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마이컴(12)은 상기 제 2 튜너(10b)의 선국 제어를 위한 설정값을 저장하고 있다(S21).
상기와 같이 제 1 튜너(10a)와 제 2 튜너(10b)의 선국이 제어되고 있는 상태에서, S38 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S32 단계에서 요청된 서비스 방송 채널이 포함된 디지털 방송 채널을 제 1 튜너(10a)를 통해서 수신하도록 하는 채널 전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S31 단계에 해당하는 서비스 방송 채널은 클리어(Clear)되어도 상관없지만, S32 단계에 해당하는 서비스 방송 채널은 데이터 끊김 현상 없이 녹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마이컴(12)은 제 2 튜너(10b)를 통해서 S32 단계에서 요청된 서비스 방송 채널이 포함된 디지털 방송 채널을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 1 튜너(10a)를 S32 단계에서 요청된 서비스 방송 채널이 포함된 디지털 방송 채널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S22).
상기 S22 단계는 제 1 튜너(10a) 그리고 제 2 튜너(10b) 모두 S32 단계에서 요청된 서비스 방송 채널이 포함된 디지털 방송 채널을 수신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 튜너를 통해서 수신되는 방송 채널신호는 각 신호처리부(30a,30b) 내부의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S23).
마이컴은 상기 S23 단계에서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두개의 튜너의 수신 데이터를 비교한다. 그리고 두 데이터가 같아지는 시점에 도달하기까지 제 1,2 튜 너(10a,10b)를 통해서 동일한 데이터 방송의 서비스 방송 채널을 수신한다(S24).
그리고 상기 S24 단계에서 두 튜너의 수신 데이터가 동일한 시점에서 제 1 튜너(10a)를 통해서만 S32 단계에서 요청된 데이터 방송에 해당하는 서비스 방송 채널이 포함된 디지털 방송 채널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S25). 그리고 상기 버퍼 메모리의 값은 일정량에 다다르면, 상기 제 1 튜너(10a)를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가 데이터 디코더에서 버퍼링되어 하드 디스크(21)에 저장되어진다. 상기 S25 단계는, 제 2 튜너(10b)를 통해서 S32 단계에서 요청된 서비스 방송 채널이 포함된 디지털 방송 채널의 수신이 종료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 S24 단계는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량을 비교하고 있으나, 데이터 디코더에서 디코딩되어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교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안내 메뉴 화면을 통해 일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타임 시프트 동작 상태와,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타임 시프트 동작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채널 변경 시점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 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HDD)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데이터 방송을 녹화하면서 소정 시간 이전에 녹화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타임 시프트(Time Shift) 동작을 수행하던 도중, 타임 시프트 상태 표시가 요청되면, 녹화 및 재생 상태와 데이터 버퍼링 상태 등을 안내하는 바(Bar) 형태의 안내 화면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타임 시프트 동작에 의한 녹화 및 재생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안내 화면을 통해 현재의 데이터 버퍼링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데이터의 끊김 현상 없이 채널 변경 시점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8)

  1. 두개 이상의 튜너를 구비한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제 1 튜너의 설정값, 제 2 튜너의 설정값을 저장하는 제 1 단계;
    제 2 튜너의 설정값과 같아지도록 제 1 튜너를 제어하는 제 2 단계;
    제 1 튜너와 제 2 튜너를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3 단계;
    상기 저장된 두 데이터를 비교하고, 같아지는 시점에서 제 2 튜너의 데이터 수신을 종료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버퍼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디코딩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튜너는 다른 디지털 방송 채널에 포함되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 램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방법.
  5. 두개 이상의 튜너를 구비한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다른 디지털 방송 채널에 포함되는 서비스 방송 채널을 각각 수신하는 제 1,2 튜너;
    상기 제 1,2 튜너를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및
    요청된 서비스 방송 채널이 제 2 튜너를 통해서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 1 튜너의 설정값을 제 2 튜너와 동일하게 제어하고,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가 같아지는 시점을 판단해서 제 2 튜너의 수신을 종료시키는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을 임시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제 1,2 튜너의 수신 데이터가 같아지는 시점에서부터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을 기록매체에 녹화 및 재생하기 위한 녹화 및 재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및 재생수단은,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을 하드디스에 녹화하면서, 소정 시간 이전에 녹화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하는 하드디스크레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KR1020060137575A 2006-12-29 2006-12-29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 KR20080062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575A KR20080062148A (ko) 2006-12-29 2006-12-29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575A KR20080062148A (ko) 2006-12-29 2006-12-29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148A true KR20080062148A (ko) 2008-07-03

Family

ID=3981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575A KR20080062148A (ko) 2006-12-29 2006-12-29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21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047B1 (ko)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 표시방법 및 장치
US8984560B2 (en)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in processing broadcast program reserved for viewing and method thereof
KR101391752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23240A (ko) 방송 프로그램 저장방법 및 장치
KR100763385B1 (ko) 방송신호 출력방법 및 장치
US200602630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non-recorded part of broadcast program
KR100777282B1 (ko) 방송 프로그램 저장방법 및 장치
KR20080062148A (ko)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
KR20060129654A (ko) 방송 프로그램 녹화 및 재생 제어방법
KR20080062150A (ko)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
KR100831796B1 (ko) 타임 쉬프트 기능을 내장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재생 방법
KR20080062152A (ko)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
KR20030040602A (ko) 디지탈 티브이 시스템의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재생장치및 그 방법
KR20080062151A (ko)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
KR20080062156A (ko)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
KR100785991B1 (ko) Hdd가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타임쉬프트를이용한 메모 편집 방법
KR20100047729A (ko) 영상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20090037753A (ko) 시리즈물 연속 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79013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타임 시프트 녹화 제어장치 및방법
KR101386820B1 (ko) 방송수신기에서의 방송녹화 및 재생 제어 방법
KR20070033813A (ko) 방송 수신기에서의 타임 시프트 제어방법
KR20080061455A (ko)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의 타임 시프트 상태 표시 제어장치및 방법
JP2007201766A (ja) データ放送受信装置
KR100793788B1 (ko)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및 재생방법 및 장치
KR100903432B1 (ko)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실행되는 최종 재생위치 탐색을 통한 재생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