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1071A -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 - Google Patents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1071A
KR20080061071A KR1020060135885A KR20060135885A KR20080061071A KR 20080061071 A KR20080061071 A KR 20080061071A KR 1020060135885 A KR1020060135885 A KR 1020060135885A KR 20060135885 A KR20060135885 A KR 20060135885A KR 20080061071 A KR20080061071 A KR 20080061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unit
voice
recording
voice rec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근
Original Assignee
김주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근 filed Critical 김주근
Priority to KR1020060135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1071A/ko
Publication of KR20080061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05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sound or noise making devices, e.g. radio,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1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Abstract

USB 메모리, 보이스 레코더, MP3, 및 펜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이 개시되어 있다. 본체는 상부 펜대 및 하부 펜대로 이루어진다. 필기구는 상기 하부 펜대의 내부에 설치된다. USB 메모리 드라이브는 USB 호스트와 통신하며, 상기 USB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모드 신호 발생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MP3 모드 신호, 재생 모드 신호, 또는 녹음 모드 신호를 발생한다. 보이스 레코더부는 입력 음성 신호를 인코딩 처리하여 음성 녹음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음성 녹음 데이터를 재생한다. MP3 플레이어부는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받고 재생한다. 제어부는 상기 USB 메모리 드라이브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모드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상기 녹음 모드 신호 및 상기 재생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보이스 레코더부의 녹음 및 재생 동작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모드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상기 MP3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MP3 플레이어부의 다운로드 및 재생 동작을 제어한다.
보이스 레코더, MP3

Description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Multi functional voice recorder pe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의 결합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의 상, 하 펜대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4의 USB 메모리 드라이브의 상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상부 펜대 2: 하부 펜대
5: 필기구 100: USB 메모리 드라이브
110: USB 인터페이스 120: 플래쉬 메모리
200: 모드 신호 발생부 300: 보이스 레코더부
310: 녹음부 320: 저장부
330: 재생부 400: MP3 플레이어부
410: 메모리 420: 신호 처리부
500: 제어부 510: 리셋 버튼
520: LED 컨트롤 램프 600: 표시부
610: USB 연결 램프 620: 녹음 램프
630: 재생 램프 640: MP3 램프
본 발명은 다기능 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SB 메모리, 보이스 레코더, MP3, 및 펜 기능을 통합한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모든 이용 가능한 이동 기억 장치에 있어서, 이동의 목적이 실질적으로 달성되지 않았다. 예를 들면, 외부에 장착된 하드 디스크, 외부에 장착된 조각 및 기록 장치, ZIP, MO 등은 메모리의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 불편하다. 이들 장치는 큰 기억 용량을 제공하지만, 이동에는 부적합하다. 이들 장치가 휴대용 메모리, 예를 들어 소프트 디스크로서 사용되는 경우, 특정적으로 활용되는 구동 장치 내의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에너지 소비가 커지며, 잡음이 커지게 된다. 소프트 디스크 드라이브의 동작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기억 공간이 작고, 데이터 기억 장치는 신뢰성이 없다. 기억 매체로서의 자기 매체의 불안정 특성과는 달리, 소프트 디스크는 휴대용 제품으로, 물리적인 충격이 쉽게 발견된다. 그러므로, 존재하는 메모리는 실질적으로 응용되지 않고 있다. 상기한 결점을 극복할 수 있는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휴대용 판독-기록 메모리가 제안되었다.
한편, 보이스 레코더는 음성의 녹음 및 재생에 있어서 테이프 등의 자기 기록 매체가 아닌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하는 기기이다. 또한 보이스 레코더는 소형 펜 모양의 외형을 가지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므로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MP3 플레이어는 MPEG 1에서 규정한 고음질 오디오 압축 기술의 하나로서, 컴팩트 디스크 음반에 가까운 음질을 유지하면서 일반 CD의 50 배로 데이터를 압축하여 고음질 및 다량의 음악을 복제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음반 CD를 컴퓨터의 CD 롬 드라이버에 넣고 저장된 곡들을 추출해낸 후, 한번에 130 내지 150 곡까지 MP3 방식으로 압축하고, PC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면 이용자들은 많은 곡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러한 MP3 플레이어는 카세트 테이프 삽입형의 소형 오디오 기기나 CD 플레이어에 비해 그 크기가 30 내지 70% 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크기가 작다. 또한, MP3 플레이어는 모터를 구동하지 않음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MP3 플레이어는 장시간 재생이 가능하며, 테이프 또는 CD 플레이어와 같은 별도의 매체가 필요없다는 등의 다양한 부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 후 데이터가 휘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MP3 플레이어 내부에는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MP3 플레이어는 컴퓨터와 같은 네크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다운로드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면, 내부 메모리의 용량이 32 바이트로 구형된다고 가정할 때, MP3 플레이어는 약 60 내지 70분간 재생 가능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메모리의 용량이 커지면, 더 많은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는 MP3 플레이에 내장되어 있는 신호 처리부에서 복원되고, 리모콘 조작에 의하여 곡 선택과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MP3 플레이어는 내부 FM/AM 라디오 옵션으로 제공되어 차세대 오디오 기기로서 인기를 얻고 있다. 이와 같이, MP3 플레이어는 장시간 재생이 가능하며, 재 기록이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듣고자 하는 음악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휴대용 판독-기록 메모리, 보이스 레코더, MP3, 및 필기구를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함께 휴대해야 하는 경우에는 각각 별도로 휴대해야 하였기에 불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USB 메모리, 보이스 레코더, MP3, 및 펜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 펜대 및 하부 펜대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하부 펜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기구; USB 호스트와 통신하며, 상기 USB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USB 메모리 드라이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MP3 모드 신호, 재생 모드 신호, 또는 녹음 모드 신호를 발생하는 모드 신호 발생부; 입력 음성 신호를 인코딩 처리하여 음성 녹음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음성 녹음 데이터를 재생하는 보이 스 레코더부;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받고 재생하는 MP3 플레이어부; 및 상기 USB 메모리 드라이브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모드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상기 녹음 모드 신호 및 상기 재생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보이스 레코더부의 녹음 및 재생 동작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모드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상기 MP3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MP3 플레이어부의 다운로드 및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SB 메모리 드라이브는 USB 호스트의 USB 포트에 접속하여 상기 USB 호스트와의 제어 및 사용자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각 구성 요소에 공급하는 USB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플래쉬 메모리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이스 레코더부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인코딩 처리하여 음성 녹음 데이터를 생성하는 녹음부; 상기 녹음부에 의해 생성된 음성 녹음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저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녹음 데이터를 음성으로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MP3 모드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MP3 플레이어부는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드 신호 발생부는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버튼에 의해 모드 변환이 가능하다.
또한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은 상기 본체의 상부 펜대 내부에 위치한 USB 메모리 드라이버 내에 형성되어, 버튼을 제1 이동 방향으로 소정 시간 소정 회수로 밀어서, 불빛 색상이 변함에 따라 모드 변환되도록 하는 LED 컨트롤 램프를 포함한다. 상기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은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상부 펜대와 상기 USB 호스트의 연결 상태를 점멸 표시하는 USB 연결 램프; 상기 보이스 레코더부의 녹음 동작을 점멸 표시하는 녹음 램프; 상기 보이스 레코더부의 재생 동작을 점멸 표시하는 재생 램프; 및 상기 MP3 플레이어부의 동작 상태를 점멸 표시하는 MP3 램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은 본체, 필기구(5), USB 메모리 드라이브(100), 모드 신호 발생부(200), 보이스 레코더부(300), MP3 플레이어부(400), 제어부(500), 및 표시부(600)를 포함한다.
본체는 상부 펜대(1) 및 하부 펜대(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기구(5)는 상기 하부 펜대(2)의 내부에 설치된다.
먼저 펜심(4)을 스프링(5)에 관통시킨 후, 상반부는 하부 펜대 받침대(3)의 펜대 구멍(31)내로 넣을 수 있다. 하부 펜대 받침대(3)의 아래 부분은 볼트 부분(32), 하부 펜대(2) 내부 가장자리에는 볼트 구멍(11)으로 구성되는데, 하부 펜대 받침대(3)의 볼트 부분(32)은 하부 펜대(2)의 볼트 구멍(11) 내를 막아서 고정시킬 수 있다(도 2 참조). 하부 펜대 받침대(3)의 볼트 부분을 아래까지 돌릴 때, 하부 펜대 받침대(3)는 동시에 스프링(5)을 누르게 되고, 펜심(4)은 누르는 압력에 의해 하부 펜대(2)를 나오게 된다(도 3). 만약 하부 펜대 받침대(3)를 돌릴 때는 펜심(4)은 하부 펜대(2) 내에서 다시 작아진다. 하부 펜대 받침대(3)의 상부 테두리에는 내부 나사산(33)이 있는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USB 커넥터(7)와 부싱(6)은 일체로 되어 있으며, 부싱(6)의 아래 테두리는 외부 나사산(61)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 외부 나나산(61)은 하부 펜대 받침대(3)의 내부 나사산(33)과 결합되어 하부 펜대(1) 및 상부 펜대(2)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본체로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커넥터(7)를 컴퓨터 또는 PDA와 같은 USB 호스트(도시안됨)의 USB 포트(도시안됨) 내에 연결할 때, 단지 상부 펜대(1)를 돌리기만 하면, 정해진 위치의 상부 펜대(1)의 아래 부분의 USB 커넥터(7)는 하부 펜대 받침대(3)의 받침 구멍 내로 부터 분리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USB 메모리 드라이브(100)는 컴퓨터 또는 PDA와 같은 USB 호스트(도시안됨)와 통신하며, 상기 USB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USB 메모리 드라이브(100)는 USB 인터페이스(110) 및 플래쉬 메모리(120)를 포함한다.
USB 인터페이스(110)는 USB 호스트의 USB 포트에 접속하여 상기 USB 호스트와의 제어 및 사용자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며, 즉 고속으로 주고 받게 되며,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각 구성 요소에 공급한다. 플래쉬 메모리(120)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출력한다.
모드 신호 발생부(2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MP3 모드 신호, 재생 모드 신호, 또는 녹음 모드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모드 신호 발생부(200)는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버튼에 의해 모드 변환이 가능하다.
보이스 레코더부(300)는 입력 음성 신호를 인코딩 처리하여 음성 녹음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음성 녹음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보이스 레코더부(300)는 녹음부(310), 저장부(320), 및 재생부(330)를 포함한다. 녹음부(310)는 마이크(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인코딩 처리하여 음성 녹음 데이터를 생성한다. 저장부(320)는 상기 녹음부(310)에 의해 생성된 음성 녹음 데이터를 저장한다. 재생부(330)는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상기 저장부(32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녹음 데이터를 음성으로 재생한다.
MP3 플레이어부(400)는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받고 재생한다.
제어부(500)는 상기 USB 메모리 드라이브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500)는 상기 모드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상기 녹음 모드 신호 및 상기 재생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보이스 레코더부(300)의 녹음 및 재생 동작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녹음 제어 신호 및 재생 제어 신호를 상기 보이스 레코더부(300)로 출력한다.
제어부(500)는 상기 모드 신호 발생부(200)에 의해 발생된 상기 MP3 모드 신 호에 따라 상기 MP3 플레이어부(400)의 다운로드 및 재생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MP3 제어 신호를 상기 MP3 플레이어부(400)로 출력한다.
상기 MP3 플레이어부(400)는 메모리(410) 및 신호 처리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신호 처리부(420)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410)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500)로부터의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표시부(600)는 상기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6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펜대(1)와 상기 USB 호스트의 연결 상태를 점멸 표시하는 USB 연결 램프(610); 상기 보이스 레코더부의 녹음 동작을 점멸 표시하는 녹음 램프(620); 상기 보이스 레코더부(300)의 재생 동작을 점멸 표시하는 재생 램프(630); 및 상기 MP3 플레이어부(400)의 동작 상태를 점멸 표시하는 MP3 램프(6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상부 펜대 내부에 위치한 USB 메모리 드라이버 내에 형성되어, 버튼을 제1 이동 방향으로 소정 시간 소정 회으로 밀어서, 불빛 색상이 변함에 따라 모드 변환되도록 하는 LED 컨트롤 램프(520)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1. 전원 온/오프
실시예 1
도 5를 참조하면, 조그 버튼을 오른쪽 방향으로 2 초 동안 길게 밀고 있으면, LED 컨트롤 램프(520)에 주황색 불이 들어 오면서 천천히 켜집니다. 조그 버튼을 오른쪽 방향으로 2 초 동안 길게 밀고 있으면, LED 컨트롤 램프(520)에 불이 꺼지면서 전원이 꺼집니다.
실시예 2
도 2를 참조하면, 모드 신호 발생부(200)의 버튼의 정중앙 부분을 길게 누르면, 램프에 불이 들어오면서 전원이 켜진다. 버튼의 정중앙부분을 3초 이상 길게 누르고 있으면, 전원이 꺼진다. 대기 상태에서 아무런 동작없이 20초 가량 지나면, 자동으로 전원이 꺼진다.
2. 모드 변환
실시예 1
조그 버튼을 왼쪽 방향으로 짧게 한번 밀어 준다. 조그 버튼을 왼쪽으로 한 번씩 밀 때 마다 램프에 불빛 색상이 바뀌면서 모드가 변환된다. 모드 변환 순서는 녹음모드(주황생)→MP3 재생 모드(초록색)→ 녹음 파일 재생 모드(노랑색)
실시예 2
모드 신호 발생부(200)의 버튼을 왼쪽으로 한번씩 짧게 밀어 준다. 버튼을 왼쪽으로 밀 때 마다 램프에 불빛이 바뀌면서 모드가 변환된다. 예를 들면, 변환 순서는 MP3 모드 →재생 모드 → 녹음 모드의 순서입니다.
3. 시작 정지
모드 신호 발생부(200)의 버튼의 정 중앙 부분을 짧게 눌러주면 램프에 불빛 이 깜박이며 모드가 실행된다. 버튼의 정 중앙 부분을 짧게 다시 한번 눌러 주면, 깜박이던 램프의 불빛이 멈추면서 정지된다. 불빛이 깜박이는 상태를 실행 상태, 멈춰있는 상태를 대기 상태라고 한다.
4. 볼륨 조절
파일이 재생 중인 상태에서 모드 신호 발생부(200) 버튼을 위쪽으로 길게 밀고 있으면, 볼륨이 점점 커진다. 파일이 재생 중인 상태에서 모드 신호 발생부(200) 버튼을 아래쪽으로 길게 밀고 있으면, 볼륨이 점점 작아진다.
5. 구간 반복
파일이 재생 중인 상태에서 반복을 원하는 구간의 시작 부분에서 모드 신호 발생부(200) 버튼을 오른쪽으로 한번 짧게 밀어 주고, 반복을 원하는 구간의 끝 부분에서 다시 버튼을 오른쪽으로 한번 짧게 밀어 주면 처음 버튼을 눌렀던 구간부터 두 번째 버튼을 눌렀던 구간까지 반복되어 재생된다. 모드 신호 발생부(200) 버튼을 오른쪽으로 다시 한번 밀어 주면 구간 반복이 해지된다.
6. 파일 선택
파일이 재생 중인 상태에서 모드 신호 발생부(200) 버튼을 위쪽으로 한번 짧게 밀어주면 다음 파일이 재생된다. 파일이 재생 중인 상태에서 모드 신호 발생부(200) 버튼을 아래쪽으로 한번 짧게 밀어주면, 이전 파일이 재생된다.
7. 각종 모드 및 기능 표시등
본체의 상부 펜대(1)를 PC(도시안됨)와 연결하면, USB 연결 램프(610)에 빨간 불이 들어온다.
녹음 모드는 녹음을 하는 모드이며, 녹음 시에는 녹음 램프(620)에서 녹색 불이 깜박인다.
재생 모드는 녹음된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모드이며, 파일 재생 시 재생 램프(630)에서 녹색 불이 깜박인다.
MP3 모드 음악을 듣는 모드이며, MP3 재생 시 MP3 램프(640)에서 녹색 불이 깜박인다.
램프의 녹색불이 정지된 상태는 대기 상태이며, 녹색 불이 깜박이는 상태는 실행 상태이다. 대기 상태가 20초 동안 유지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꺼진다. 재생할 파일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모드 변환이 이루어진다.
8. 녹음하기
상기 모드 신호 발생부(200)에 의해 모드를 변환하여 녹음 모드에 불이 들어 오게 해준다. 녹음 대기 상태에서 버튼의 정 중앙 부분을 짧게 한번 누르면, 녹음 모드의 램프가 깜박이면서 녹음이 시작된다. 녹음 실행 상태에서 버튼의 정중앙 부분을 짧게 한번 다시 누르면, 녹음 램프(620)의 불빛이 멈추면서 녹음이 정지되고, 녹음 파일이 하나가 생성되어 제품에 정지된다. 녹음 파일은 WAV 파일로 저장되며, REC라는 이름을 가진다.
9. 재생 하기
상기 모드 신호 발생부(200)에 의해 모드를 변환하여 재생 모드에 불이 오게 해준다. 재생 대기 상태에서 버튼의 정 중앙 부분을 짧게 한 번 누르면, 재생 모드의 램프가 깜박이면서 파일이 재생된다. 파일 재생 상태에서 버튼의 정중앙부분을 짧게 한번 다시 누르면, 재생 램프(630)의 불빛이 멈추면서 파일 재생이 정지된다. 파일 재생시 이어폰 커넥터(210)를 통하여 이어폰(도시안됨)을 연결하여 청취할 수 있고, PC에서도 재생 가능하다. 파일이 저장된 순서로 재생된다.
10. MP3 플레이어
상기 모드 신호 발생부(200)에 의해 모드를 변환하여 MP3 모드에 불이 오게 해준다. 대기 상태에서 버튼의 정 중앙 부분을 짧게 한번 누르면, MP3 모드가 깜박이면서 MP 파일이 재생된다. MP3 재생 상태에서 버튼의 정중앙부분을 짧게 한번 다시 누르면, MP3 램프(640)의 불빛이 멈추면서 MP3 재생이 정지된다. MP3 파일은 이동식 디스크 내에 임의의 폴더 생성 없이 바로 넣어 주어야 정상적으로 재생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이스 레코더 기능, USB 메모리 기능, MP3 기능, 및 필기구 기능을 동시에 통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하고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상부 펜대 및 하부 펜대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하부 펜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기구;
    USB 호스트와 통신하며, 상기 USB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USB 메모리 드라이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MP3 모드 신호, 재생 모드 신호, 또는 녹음 모드 신호를 발생하는 모드 신호 발생부;
    입력 음성 신호를 인코딩 처리하여 음성 녹음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음성 녹음 데이터를 재생하는 보이스 레코더부;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받고 재생하는 MP3 플레이어부; 및
    상기 USB 메모리 드라이브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모드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상기 녹음 모드 신호 및 상기 재생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보이스 레코더부의 녹음 및 재생 동작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모드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상기 MP3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MP3 플레이어부의 다운로드 및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SB 메모리 드라이브는
    USB 호스트의 USB 포트에 접속하여 상기 USB 호스트와의 제어 및 사용자 데 이터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각 구성 요소에 공급하는 USB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플래쉬 메모리를 포함하는 다기능 USB 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신호 발생부는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버튼에 의해 모드 변환이 가능한 다기능 USB 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레코더부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인코딩 처리하여 음성 녹음 데이터를 생성하는 녹음부;
    상기 녹음부에 의해 생성된 음성 녹음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저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녹음 데이터를 음성으로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MP3 모드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MP3 플레이어부는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 리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 펜대 내부에 위치한 USB 메모리 드라이버 내에 형성되어, 버튼을 제1 이동 방향으로 소정 시간 소정 회수로 밀어서, 불빛 색상이 변함에 따라 모드 변환되도록 하는 LED 컨트롤 램프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상부 펜대와 상기 USB 호스트의 연결 상태를 점멸 표시하는 USB 연결 램프;
    상기 보이스 레코더부의 녹음 동작을 점멸 표시하는 녹음 램프;
    상기 보이스 레코더부의 재생 동작을 점멸 표시하는 재생 램프; 및
    상기 MP3 플레이어부의 동작 상태를 점멸 표시하는 MP3 램프를 포함하는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
KR1020060135885A 2006-12-28 2006-12-28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 KR20080061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885A KR20080061071A (ko) 2006-12-28 2006-12-28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885A KR20080061071A (ko) 2006-12-28 2006-12-28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071A true KR20080061071A (ko) 2008-07-02

Family

ID=3981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885A KR20080061071A (ko) 2006-12-28 2006-12-28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10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24550A1 (en) * 2009-02-27 2010-09-01 Walton Advanced Engineering Inc. A pen featuring as a usb memor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24550A1 (en) * 2009-02-27 2010-09-01 Walton Advanced Engineering Inc. A pen featuring as a usb memor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25315B (zh) 用于激活自动均衡模式的方法和装置
US20050181756A1 (en) Wireless digital music player
WO20030715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orporating additional audio information into audio data file identifying information
US20010029192A1 (en) Cellular phone having an audio player
TWI249696B (en) Mobile audio player
US20060030961A1 (en) Wireless streaming audio apparatus
JP2005327247A (ja) データ記憶装置及び音声再生システム
US20060225554A1 (en) Portable music editing system
CN101083111A (zh) 用播放列表的简化用户交互式的产生和导航的mp3播放
KR100366243B1 (ko) 컴퓨터 음악파일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방법과 그 장치
US20110226115A1 (en) Button shaped portable media player with indicia
KR20080061071A (ko) 다기능 보이스 레코더 펜
JP2003131698A (ja) 音声記録再生装置
KR100356742B1 (ko) 카 오디오 시스템
KR100482413B1 (ko) 녹음기능을 갖춘 전자구연동화장치
KR100847899B1 (ko) Mp3플레이어를 구비한 카세트플레이어
KR200323441Y1 (ko) 녹음기능을 갖춘 전자구연동화장치
JP2013522675A (ja) インディシアを有するボタン形状のポータブルメディアプレイヤー
KR200272490Y1 (ko) 휴대용 구간반복 학습기
JP4187444B2 (ja) 音声記録再生装置
US20050015530A1 (en) MP3 voice recording/playing device
KR200355102Y1 (ko) 시디롬장치
JP2002078055A (ja) 携帯型音楽再生装置
JP2002315087A (ja) データ処理装置
KR20010035631A (ko) 엠.피.쓰리.(mp3) 플레이어겸용 휴대형 이동통신 무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