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0649A -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0649A
KR20080060649A KR1020060134993A KR20060134993A KR20080060649A KR 20080060649 A KR20080060649 A KR 20080060649A KR 1020060134993 A KR1020060134993 A KR 1020060134993A KR 20060134993 A KR20060134993 A KR 20060134993A KR 20080060649 A KR20080060649 A KR 20080060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application
controller
application controller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0649A/ko
Publication of KR20080060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5Power saving in memory, e.g. RAM, cach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처리장치 코어(CPU Core)가 절전 모드로 진입할 때 오디오 재생이나 녹음 등과 같이 중앙처리장치 코어가 관여할 필요가 없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으면,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해당 어플리케이션 제어기(Application Controller)가 가지도록 하여, 중앙처리장치 코어를 절전 모드로 계속 유지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중앙처리장치, 코어, 메모리 제어기, 제어권, 어플리케이션, 오디오

Description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Processing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
도 3은 어플리케이션 제어기의 동작에 관한 일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처리장치가 동작하는 전체 과정의 예,
도 5는 전력 소모량의 비교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데이터 처리 장치 11: 중앙처리장치 코어
12: 메모리 제어기 13: 어플리케이션 제어기
14: 메모리 버스 16: 메인 메모리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앙처리장치 코어(CPU Core)가 절전 모드로 진입할 때 오디오 재생이나 녹음 등과 같이 중앙처 리장치 코어가 관여할 필요가 없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으면,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해당 어플리케이션 제어기가 가지도록 하여, 중앙처리장치 코어가 절전 모드로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한정된 자원의 절약을 위하여 모든 분야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개인휴대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다양한 휴대용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휴대용 장치는 성질상 한정된 용량을 가질 수밖에 없는 배터리를 사용하므로 전력 소모를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더욱 크다.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로서 각종 장치에 사용되는 부품 레벨에서 저전력화를 도모하거나, 상황에 적합한 전력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하여 전력을 관리하는 방법(Power Management) 등이 있다.
전력 모드는 전력 관리 표준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구분될 수 있으나, 크게 런(Run) 모드와, 아이들(Idle) 모드, 슬립(Sleep) 모드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여러 단계를 통해 전력 소모가 차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런(Run) 모드에서의 전력 소모량은 주로 부품 자체의 특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나, 아이들(Idle) 및 슬립(Sleep) 모드와 같은 절전 모드에서의 절전 효과는 절전 모드에서의 동작을 구현하는 알고리즘이나 하드웨어의 특성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아이들(Idle) 모드는 중앙처리장치 코어(CPU Core)가 일정 시간 이상 수행할 작업이 없는지의 여부를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의 전력 관리 코드(Power Management Code)에서 확인하여 중앙처리장치 코어를 절전 모드로 진입시키는 것이다.
한편, 중앙처리장치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각종 데이터 처리 장치가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고 있을 때는 아이들(Idle) 모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오디오 재생(Audio Play)과 같은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아이들(Idle) 모드를 유지하지 못하고 끊임없이 아이들(Idle) 모드와 런(Run) 모드를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모드의 전환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전력 소모가 증가한다.
또한, 종전의 DMA(Direct Memory Access) 기능은 중앙처리장치 코어를 거치지 않고 메모리 제어기(Memory Controller)와 오디오 제어기(Audio Controller)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하지만, 이 방식은 절전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성능 향상을 위한 방식이기 때문에, 결국 데이터 전송을 위한 DMA 명령은 중앙처리장치 코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즉, 종래의 DMA 기능을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중앙처리장치 코어는 런(Run) 모드와 아이들(Idle) 모드에서의 동작을 반복하게 되어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절 전 모드 진입시에는 어플리케이션 제어기가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갖도록 하여 중앙처리장치 코어가 절전 모드와 런(Run) 모드 사이를 불필요하게 반복하지 않고 절전 모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는, 메모리의 액세스(Access)를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기;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실행되고 있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주소를 전달하고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주는 중앙처리장치 코어;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로부터 넘겨받은 제어권을 통해 상기 메모리 제어기를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 주소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는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로부터 전달된 메모리 주소의 데이터를 모두 액세스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로 상기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 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는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로 이를 알리는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는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로 상기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 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읽어 오디오 코덱(CODEC)에 전달하거나,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부터 입력되는 녹음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쓰는 오디오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제어기, 중앙처리장치 코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는 단일 집적회로 칩(IC Chip)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은, 절전 모드로 진입하려는 중앙처리장치 코어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주소를 전달하고,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준 후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기가 상기 메모리 버스 제어권을 통해 상기 메모리 주소의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는 상기 메모리 주소의 데이터를 모두 액세스하거나,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로부터의 요청이 있을 때는 상기 메모리 버스 제어권을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로 넘겨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런(Run) 모드에서 메모리 버스(14)에 대한 제어권은 중앙처리장치 코어(11,CPU Core)가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 코어(11)가 아이들(Idle) 모드 등과 같은 절전 모드로 진입할 때는 메모리 버스(14)에 대한 제어권을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가 가지도록 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중앙처리장치 코어(11)가 절전 모드와 런(Run) 모드로 반복 전환되지 않고 절전 모드로 지속되도록 하여 전력 소모를 줄인다.
즉,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가 메모리 버스(14)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을 때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와 메모리 제어기(12)의 사이에서는 메인 메모리(16)에 대한 데이터의 직접적인 전달(Direct Transfer)이 이루어진다.
데이터 처리 장치(10)를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으로 구성할 때, 중앙처리장치 코어(11), 메모리 제어기(12), 메모리 버스(14),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 등은 단일 집적회로(IC: Integrated Circuit) 칩에 함께 내장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메모리 버스(14)는 중앙처리장치 코어(11),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 및 메모리 제어기(12) 사이에서 데이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되며, 메모리 버스(14)에 대한 제어권을 가진 구성요소가 메모리 버스(14)의 이용을 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버스(14)는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와 메모리 제어기(12)가 공유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 제어기(12,Memory Controller)는 메인 메모리(16,Main Memory)에 대한 액세스(Access)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메인 메모리(16)는 일반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이루어진다.
중앙처리장치 코어(11)는 운영체제(OS: 도시되지 않음)의 전력 관리 코드(Power Management Code) 등과 같이 전력 관리 역할을 수행하는 모듈의 제어에 따라 절전 모드로 진입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게 된다.
이 때, 중앙처리장치 코어(11)는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시점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이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사용되는 데이터(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인 메모리(16)의 주소 정보(예: 시작 주소와 종료 주소)를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로 전달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 코어(11)는 메모리 버스(14)에 대한 제어권을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로 넘겨 준다.
이를 위하여, 중앙처리장치 코어(11)는 메모리 버스(14)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 준다는 신호 'Bus Master Grant'를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로 전달하고,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는 'Bus Master Grant' 신호에 따라 메모리 버스(14)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한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가 메모리 버스(14)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여 메인 메모리(16)를 직접 액세스하고 있는 과정에도 어떤 인터럽트(Interrupt)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중앙처리장치 코어(11)는 다른 입출력(I/O) 인터럽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신호 'Transaction Termination'을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로 전달하고,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는 중앙처리장치 코어(11)로 메모리 버스(14)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준다.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인 메모리(16)의 데이터를 액세스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의 예로서, I2S, AC97, Azilia 등의 오디오 제어기(Audio Controll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메인 메모리(16)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읽어 오디오 코덱(17,Audio CODEC)에 전달하거나, 오디오 코덱(17)으로부터 입력되는 녹음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16)에 쓰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 코어(11)로부터 전달되는 'Bus Master Grant' 신호에 따라 메모리 버스(14)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받아 메모리 제어기(12)를 제어하여 메인 메모리(16)를 액세스한다. 이 때, 중앙처리장치 코어(11)에서 전달해 준 메인 메모리(16)의 시작 주소와 종료 주소(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 공간) 사이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처리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가 자신이 획득한 메모리 버스(14)의 제어권을 이용하여 메인 메모리(16)를 액세스하는 도중 중앙처리장치 코어(11)가 'Transaction Termination' 신호를 전달하면, 메모리 버스(14)에 대한 제어권을 중앙처리장치 코어(11)로 넘겨 준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는 중앙처리장치 코어(11)가 알려준 메모리 주소 공간의 데이터를 모두 처리하면, 중앙처리장치 코어(11)로 메모리 제어기(14)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 준다. 예로서, 어플리케이션 제어기(13)는 모든 데이터를 처리한 후 이를 알리는 신호 'Complete Interrupt'를 발생하여 중앙처리장치 코어(11)로 메모리 버스(14)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 준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운영체제(OS) 등에 의해 중앙처리장치 코어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신호가 발생하면(S21), 중앙처리장치 코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2).
단계 S22에서의 판단 결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지 않으면 중앙처리장치 코어는 절전 모드로 진입한다(S23).
그러나 단계 S22에서의 판단 결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다면 중앙처리장치 코어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주소 공간을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로 알려 주고,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 준다(S24). 그리고, 중앙처리장치 코어는 절전 모드로 진입한다(S25).
이제,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는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이용하여 단계 S24에서 중앙처리장치 코어가 알려 준 메모리 주소 공간의 데이터를 직접 액세스하여 처리한다(S26).
한편, 도 3에 도시한 예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는 단계 S26을 통해 해당 메모리 공간의 모든 데이터를 액세스하였거나(S31), 중앙처리장치 코어로부터 인터럽트 발생으로 인해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 부여를 종료한다는 신호 'Transaction Termination'을 받은 경우에는(S32),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중앙처리장치 코어로 넘겨 준다(S34).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6에서의 데이터 액세스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S33).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가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예를 통해 전체적인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현재 중앙처리장치 코어는 런(Run)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다(S40).
어느 순간 운영체제(OS)가 아이들(Idle) 모드로 진입할 것을 지시하면(S41), 중앙처리장치 코어는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2).
단계 S42에서의 판단 결과,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고 있지 않으면, 중앙처리장치 코어는 즉시 아이들(Idle) 모드로 진입하여 인터럽트가 발생할 때까지 아이들(Idle) 모드를 유지하며,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아이들(Idle) 모드를 종료하고 다시 런(Run) 모드로 전환된다(S43-1,S43-2).
그러나, 단계 S42에서의 판단 결과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라면, 중앙처리장치 코어는 메인 메모리에 재생될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 공간(시작 주소와 종료 주소)을 어플리케이션 제어기에게 알려준다(S44-1). 그리고, 중앙처리장치 코어는 'Bus Master Grant'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로 전달하여 어플리케이션 제어기가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갖게 됨을 알려준 후(S44-2), 아이들(Idle) 모드로 진입한다(S45).
이제, 중앙처리장치 코어로부터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받은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는 메모리 제어기를 통해 메인 메모리를 직접 액세스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읽어와 처리한다(S46-1). 이 때, 오디오 재생뿐 아니라 녹음되는 음성을 메인 메모리에 기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46-1은 메인 메모리에 대한 모든 액세스가 완료될 때까지 진행되며, 모든 액세스가 완료되면 'Complete Interrupt' 신호를 발생하여 중앙처리장치 코어로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주고 다시 런(Run)모드로 되돌아 간다(S46-3,S46-4).
그러나, 단계 S46-1을 진행하는 도중 중앙처리장치 코어의 인터럽트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출력(I/O) 인터럽트가 발생한 경우에는(S46-2), 중앙처리장치 코어는 이를 알리는 신호 'Transaction Termination'을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로 전달하고(S46-5),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는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중앙처리장치 코어로 넘겨주어 다시 런(Run)모드로 되돌아 간다(S46-6).
이와 같이, 중앙처리장치 코어가 아이들(Idle) 모드로 진입할 때는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로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 주므로, 전력 모드의 전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일반적인 개인휴대단말(PDA)의 예를 살펴보면, 런(Run) 모드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이 500mW 정도이고, 아이들(Idle) 모드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이 100~200mW 정도이므로, 안정적인 아이들(Idle) 상태를 보장하면 전력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a는 런(Run) 모드와 아이들(Idle) 모드가 반복적으로 전환될 때의 전력 소모량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아이들(Idle) 모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때의 전력 소모량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오디오 재생시의 전력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 코어가 아이들(Idle) 모드와 같은 절전 모드로 진입할 때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기가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갖도록 함으로써, 중앙처리장치 코어를 절전 모드 상태로 지속시킬 수 있게 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특히,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폰 등 각종 모바일 장치에 적용하면, 배터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사용 시간을 증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메모리의 액세스(Access)를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기;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실행되고 있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주소를 전달하고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주는 중앙처리장치 코어;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로부터 넘겨받은 제어권을 통해 상기 메모리 제어기를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 주소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는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로부터 전달된 메모리 주소의 데이터를 모두 액세스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로 상기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 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는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로 이를 알리는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는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로 상기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 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읽어 오디오 코덱(CODEC)에 전달하거나,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부터 입력되는 녹음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쓰는 오디오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기, 중앙처리장치 코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는 단일 집적회로 칩(IC Chip)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6. 절전 모드로 진입하려는 중앙처리장치 코어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주소를 전달하고, 메모리 버스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준 후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기가 상기 메모리 버스 제어권을 통해 상기 메모리 주소의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기는 상기 메모리 주소의 데이터를 모두 액세스하거나,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로부터의 요청이 있을 때는 상기 메모리 버스 제어권을 상기 중앙처리장치 코어로 넘겨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060134993A 2006-12-27 2006-12-27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80060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993A KR20080060649A (ko) 2006-12-27 2006-12-27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993A KR20080060649A (ko) 2006-12-27 2006-12-27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649A true KR20080060649A (ko) 2008-07-02

Family

ID=3981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993A KR20080060649A (ko) 2006-12-27 2006-12-27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064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464A1 (en) * 2011-08-10 2013-02-14 Microsoft Corporation Suspension and/or throttling of processes for connected standby
US8788863B2 (en) 2011-08-10 2014-07-2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storing and/or continuing execution functionality to various processes based on predefined power classifications while transitioning a computing environment from connected standby state to execution state
US8930951B2 (en) 2011-08-10 2015-01-06 Microsoft Corporation Suspension and/or throttling of processes for connected standby
US11681904B2 (en) 2019-08-13 2023-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or chip and control methods thereof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464A1 (en) * 2011-08-10 2013-02-14 Microsoft Corporation Suspension and/or throttling of processes for connected standby
US8677158B2 (en) 2011-08-10 2014-03-1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a power management classification including exempt, suspend, and throttling to an process based upon various factors of the process
US8788863B2 (en) 2011-08-10 2014-07-2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storing and/or continuing execution functionality to various processes based on predefined power classifications while transitioning a computing environment from connected standby state to execution state
US8930951B2 (en) 2011-08-10 2015-01-06 Microsoft Corporation Suspension and/or throttling of processes for connected standby
US8935697B2 (en) 2011-08-10 2015-01-13 Microsoft Corporation Suspension and/or throttling of processes for connected standby
US9671816B2 (en) 2011-08-10 2017-06-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spension and/or throttling of processes for connected standby
KR20180030235A (ko) * 2011-08-10 2018-03-21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접속형 대기 상태를 프로세스의 일시 정지 및/또는 조절 기법
US11681904B2 (en) 2019-08-13 2023-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or chip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11842265B2 (en) 2019-08-13 202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or chip and control method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1390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power domains and partitions based on use case power optimization
US8762759B2 (en) Responding to interrupts while in a reduced power state
JP4515093B2 (ja) Cpuのパワーダウン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7340621B2 (en) Power conservation techniques for a digital computer
US70757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 disk drive
EP334507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adjusting memory state transition timers
KR20130002046A (ko) 멀티 코어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
JP509568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電力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US7093149B2 (en) Tiered secondary memory architectur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n a portable computer system
US20100083017A1 (en) Energy-efficient transitioning among device operating modes
US20170168853A1 (en) Dynamic predictive wake-up techniques
KR20080060649A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US78021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aving power of central processing unit
JPH10187302A (ja) データ記憶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適用する電力節約方法
US11966613B2 (en) Selective device power state recovery method
US104973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savings in voice control of a computing device
CN113986001A (zh) 芯片及控制方法
CN101315577B (zh) 存储接口的功耗控制方法和装置及系统
TWI381271B (zh) 可攜式電子裝置及其省電方法
TW201701278A (zh) 電子裝置及其固態硬碟的電源管理方法
WO2023250032A1 (en) Multistage wake up circuit
KR100416858B1 (ko) 명령어 처리장치
JPH11306664A (ja) 外部記憶装置
JP2003337634A (ja) 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プロセッサ制御方法及びプロセッサ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プロセッサ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8041257A (ja) メモリ制御装置、電子機器、メモリ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