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208A - 수면 호흡 장애를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과 그 수단 - Google Patents

수면 호흡 장애를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과 그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208A
KR20080059208A KR1020087008998A KR20087008998A KR20080059208A KR 20080059208 A KR20080059208 A KR 20080059208A KR 1020087008998 A KR1020087008998 A KR 1020087008998A KR 20087008998 A KR20087008998 A KR 20087008998A KR 20080059208 A KR20080059208 A KR 20080059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ministration
sleep
sleep apnea
snoring
os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잔 헤드너
루드거 그로테
카이 스텐로에프
Original Assignee
세레우사이언스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레우사이언스 아베 filed Critical 세레우사이언스 아베
Publication of KR20080059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20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7Arylalkylamines, e.g. amphetamine, epinephrine, salbutamol, ephedrine or metha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4Oxazoles 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e.g. clavula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33Thi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mozide, domper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에게 칼슘 아캄프로세이트(CA)와 같은 아세틸호모타우린(AcHT)의 염을 약제학적인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골이, 폐색성 수면 무호흡(OSA) 및/또는 중추성 수면 무호흡(CSA)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코골이, OSA 및/또는 CSA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 및 진단 장치, 키트 또는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의 AcHT 및 CA의 용도; AcHT 또는 CA를 포함하는 보호용 패치; 및 코골이, OSA 및/또는 CSA 치료에 효과적인 조합 함량으로, AcHT 또는 CA와 코골이, OSA 및/또는 CSA의 작용을 완화시키는 물질, 및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면 호흡 장애를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과 그 수단{METHOD AND MEANS OF PREVENTING AND TREATING SLEEP DISORDERED BREATHING}
본 발명은 수면 호흡 장애를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면 무호흡증의 진단 방법 및 이의 수단에 관한 것이다.
수면중에 호흡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수면 무호흡증은 중추성, 폐색성, 혼합성일 수 있으며, 흔히 그렇게 분류된다.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CSA: central sleep apnea)은 호흡기 근육 조직을 통제하는 신경 활동의 완전한 정지를 특징으로 한다.
폐색성 수면 무호흡증(OSA: obstructive sleep apnea)은 일반적으로 수면중에 코와 입으로의 간헐적인 공기 흐름 정지로 정의된다. 연속적인 무호흡을 무호흡 현상이라고 한다. 무호흡의 지속 기간은 달라질 수 있지만, 편의상 무호흡 지속 기간이 적어도 10초 이상이면 유의한 것으로 본다. 그러나, 무호흡 현상은 2-3분으로 길어질 수 있으며, 기류의 완전한(무호흡) 또는 부분(호흡 저하)적 차단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용어 무호흡은 호흡 저하를 포함하며, 용어 무호흡 현상은 호흡 저하 현상을 포함한다. 또한, 호흡 저하 현상을 포함한 무호흡 현상은 일반적인 통기 감소와 함께 발생하거나 또는 복합된 형태로 나타나, 연속적이거나 지속적인 호흡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OSA는 외부 물질이나 점액과 같은 신체에서 배출되는 물질에 의한 폐색은 제외한다. OSA에서는, 상기도 근육의 신경 통제는 부적절한 것으로 보이기는 하나, 연속적인 호흡 신경 작동에도 불구하고 공기 흐름이 중단된다. OSA는 일반적으로 인두 중앙부 수위에서의 상기도 폐색 결과로서 발생하며, 수면 무호흡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코골이는 모든 수면 호흡 장애 형태에서 현저한 증상이다. 이와 같은 습관성 코골이는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혼합성 수면 무호흡은 초기 중추성 형태와 이후의 폐색성 무호흡으로 이루어진다. OSA는 다음과 같은 한가지 이상의 공통 분모를 가지는 광범위한 상기도 흐름 변화를 이끈다: 각성(수면중 단기 각성), 조직 혈중 가스 및 pH 변형 뿐만 아니라 엔도크린, 파라크린, 혈액 역학 및 혈관 변화. 가장 단순한 형태로, 상태는 전형적으로 낮동안의 졸림 또는 다양한 수준의 인지 기능 장애 뿐만 아니라 비강장성 수면을 연상시키는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는 수면 분절화와 관련있는, 미묘한 기류 제한을 특징으로 하다. 주간 증상, 특히 주간의 수면과다 증후군과 관련있는 OSA를 일반적으로 폐색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OSAS)이라고 한다. 수면과다 증후군 이외에도, 인지 및 감정 변화가 이러한 상태에서 전반적인 건강에 실질적인 부담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수면과다 증후군은 작업 및 운전 수행력 감소를 포함한 합병증과 관련있다. 더욱이, 심혈관 합병증, 특히 고혈압, 심부전, 심근경색 및 발작은 OSA에서 일반적인 현상이다. 관찰한 모든 OSA 환자에서는 아니지만 상당수는 과체중이며, OSA는 흔히 대사성 증후군과 함께 존재한다. OSA는 인슐린 내성 증가, 당뇨병, 비만, 지질 대사 변화 및 혈소판 응집성 증가와 관련있다. 이러한 증상 및 합병증은 심각한 사례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부분적인 OSA 사례와 명백한 낮동안의 수면과다 증후군의 신호를 보이지 않는 OSA 환자들에서도 관찰된다.
성인 집단에서의 OSA 발생율은 상태에 적용된 임상적인 실험 컷-오프 수치에 따른다. 유행병 연구를 통해, 무호흡-저호흡 지수(수면 시간 당 무호흡 수)가 5 이상인 OSA는 활동하는 성인 남성에서는 24%로 발생하며 성인 여성에서는 9%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저한 낮 증상을 함께 보이는 OSA(OSAS) 발생율은 남성의 경우 4%, 여성의 경우 2%로 관찰되었다. 불연속적인 수면성 호흡 곤란으로 인한 일부 낮 증상 발생은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습관성 코골이는 성인 집단의 15-25%에서 보고된 흔한 현상이다. OSA에 대한 충분하고 상세한 병리생리학은 아직 충분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알코올 중독자들에게서 수면 무호흡이 발생할 위험성은 높은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알코올을 중간 수준 내지는 다량으로 섭취하게 되면 이후의 수면기간 동안 공기 통로가 좁아질 수 있으며, 이는 OSA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사람에게서도 무호흡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OSA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기본적인 형태는, 체중 감소, 상기도 수술, 구강내 하악전방이동장치 및 기도 양압(PAP)을 이용한 장기 치료를 포함한다. PAP 치료는 기도 허탈(collapse)을 방해하는 기계적인 기도 부목의 설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기술적으로 효과적이지만, 이러한 방법은 허용성 불량 및 기도 점막에서의 잦 은 부작용으로 인해 장기 순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수술 및 구강내 하악전방이동장치는 효과가 일정하지 않다. 특히, 수술은 초기에 탁월한 치료 결과를 보인 사례들에서도 증상의 현저한 재발을 수반한다. 다양한 형태의 약물 치료, 예컨대 아세트아졸아미드(acetazolamide) 및 그외 카본 안하이드레이즈 저해제(carbonic anhydrase inhibitory agent), 트리사이클릭 항우울제(tricyclic antidepressant), 테오필린(theophylline),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세로토닌성 신경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agent influencing serotoninergic neurotratismission), 콜린에스터레이즈 저해제(cholinesterase inhibitor), 조니스아미드(zonisamide) 및 토피라메이트(topiramate)가 사용되지만, 아직까지 임상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진 않다.
따라서, OSA 및 CSA와 또한 혼합성 무호흡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상기 질환에 대한 약물 치료는, 대부분의 경우 충분하게 완화시키지 못하고, 또한 일부의 경우 환자에게 번거로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침습적 방법 또는 비침습적 방법에 비해 확실한 이점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미국 특허 제 4,355,043호에 칼슘 아캄프로세이트(calcium acamprosate)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미국 특허 제 5,952,339호에서 지연성 운동장애(tardive dyskinesia) 및 그외 운동 장애를 치료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칼슘 아캄프로세이트는 중추 신경계(CNS)에서 GABA 생산을 증강시킨다. 아캄프로세이트의 실제 작용 모드는 완전하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 화합물은 NMDA-리셉터 복합체에 특이적 으로 결합하여 CNS 글루타메이트 활성을 조절한다. 또한, 미국 특허 제 6,890,951호에서는, 아캄프로세이트를 약물 중독 내지는 약물 남용에 대한 치료제로, 그리고 약물 중독 내지는 약물 남용과 관련된 행동 변이에 대한 치료제로서 제안하였다. 칼슘 아캄프로세이트는 알코올 의존성 치료에 유용하다(미국 특허 제 6,323,239호).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코골이, 수면 무호흡 및 그외 수면 호흡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들의 문제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소 및/또는 근절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환자에서 OSA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하기한 간단한 발명의 설명, 바람직한 구현예 및 첨부된 청구항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아세틸호모타우린(3-아세트아미도-1-프로판설폰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특히 칼슘 염(칼슘 아캄프로세이트)을 약제학적인 유효량으로 이를 필요로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OSA, CSA 및 또는 혼합성 무호흡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단 점액과 같은 외인성 기계적 기도 폐색으로 인한 수면 호흡 장애는 제외된다. 아세틸호모타우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칼슘 염 이외에도 소듐 염, 포타슘 염 및 마그네슘 염을 포함한다.
아세틸호모타우린 또는 그의 염, 특히 칼슘 아캄프로세이트는 일찍이 코골이, OSA, CSA 또는 혼합성 무호흡 치료제로 생각되지 않았다.
아세틸호모타우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특히 칼슘 아캄프로세이트의 약제학적인 유효량은 15분 내지 12시간의 1회 수면 시간에서 상당한 시간 동안에, 예컨대 상기 수면 시간의 20% 이상 또는 심지어 80% 이상의 시간 동안에, 코골이, OSA, CSA 또는 혼합성 무호흡 발생을 근절시키거나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함량이다.
본 발명의 아세틸호모타우린의 염, 특히 칼슘 아캄프로세이트는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경로는 경구 투여이다. 이를 위해, 상기 약제학적인 유효량의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정제, 로젠제, 캡슐제 또는 유사 투약 형태로 혼입된다. 설하 조제물과 같이 입 점막을 통해 흡수되도록 고안된 경구 조제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경피 투여가 바람직하다. 칼슘 아캄프로세이트의 경피 전달 조성물은 예컨대 미국 공개공보 2004/0192683A1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은 문헌에 인용된 문헌을 포함하여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경피 제형은 간단성 및 환자 순응 관점에서 특히 이롭다. 예컨대, 경피 패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칼슘 아캄프로세이트의 경구 조성물은, 예컨대 스웨덴에서 상표 캄프랄®로 시판되고 있다. 경구 투여용 조제물을 제조하기 위해, Pharmaceutical Dosage Forms: Tablets. Vol. 1-3, H A Lieberman et al., Eds. Marcel Dekker, New York and Basel, 1989-1990을 참조하며, 이는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특히, 제7장(Special Tablets, by J W Conine and M J Pikal), 제8장(Chewable Tablets, by R W Mendes, 0 A Anaebonam and J B Daruwala), 및 제9장(Medicated Lozenges; by D Peters)을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세틸호모타우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특히 칼슘 아캄프로세이트의, 수면 호흡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경구 투여에 있어 약제학적인 유효량은, 사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특정 약제학적 조성물, 투여 경로, 약제학적 조성물의 방출 프로파일, 질병의 중증도, 각각의 약물 동태학 및 동력학적 특징 뿐만 아니라 환자의 상태 등의 인자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아세틸호모타우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특히 칼슘 아캄프로세이트를 경구 투여하기 위한 투여량 범위는 성인 또는 건강한 사람을 기준으로 24시간에 500 내지 3000 mg일 수 있으며, OSA에서 경구 투여용으로 사용되는 정상 범위는 1000 내지 2000 mg으로 예상된다. 적정 투여량 범위는 통상적인 실험으로 적정하여 좁힐 수 있다. 혈장내 아캄프로세이트의 반감기는 투여량, 투여 경로 및 투약 계획에 따라 약 15-30시간이다. 신장에 손상이 있는 개체에서는 반감기가 길어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방법 이외에도, 비경구, 코내 및 직장 투여 뿐만 아니라 흡입에 의한 투여도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세틸호모타우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특히 칼슘 아캄프로세이트의 투여 시기는, 사용 제형 및/또는 투여 경로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화합물은 장기 치료 요법으로 투여될 것이며, 그로 인해 약물동태학적으로 안정적인 상태가 형성될 것이다. 또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용 약물은 특정한 수면 시간과 직접적인 관계로, 예컨대 예상 취침 시간 보다 30분에서 2시간 전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로운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아세틸호모타우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특히 칼슘 아캄프로세이트는, 비제한적으로 과체중 또는 비만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물질(예, 시부트라민, 토피라메이트, 조니사미드, 오를리스테이트, 리모나반트), 아세트아졸라미드 및 그외 카본 안하이드레이즈 저해제, 세로토닌성 신경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 트리사이클 항우울제, 테오필린, 프로게스테론 및 콜린에스터레이즈 저해제로 예시되는, 코골이, OSA 또는 CSA 치료에 유효한 그외 화합물과 함께, 2종 이상의 조합 성분들의 부가적인 특성 및/또는 상승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개선된 효과를 형성하는, 하나의 동일한 약제학적 조제물로 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아세틸호모타우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특히 칼슘 아캄프로세이트는 코골이, 수면 무호흡 또는 그외 수면 호흡 장애 형태와 관련있는 수면 장애를 진단하여 다른 타입의 수면 장애와 구분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단 방법은 취침하기 전에 또는 취침중에 증가된 함량으로 OSA로 의심되는 사람에게 약제학적인 유효량의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약제학적인 유효량은 약제학적 효과 적정을 위해, 각각이 약제학적으로 유효하지 않은 다중 투여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면 호흡 장애의 중증도 경감 및/또는 발생 횟수 감소, 또는 투여한 후 낮 동안의 졸음 감소/기민성 증가가 관찰되는 것은 폐색성 수면 무호흡의 존재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비제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칼슘 아캄프로세이트의 반복 투여 시험
BMI가 32.2인 52세의 남성 환자를 대상으로 칼슘 아캄프로세이트의 반복 투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환자는 현 약물요법을 진행하는 3달동안 알코올을 전혀 섭취하지 않았다. 환자는 (사전의 임상적인 8-채널 철야 모니터링 실험으로 AB 인덱스가 35 이상인 것으로 결정된 바에 따라) 약하게 OSA를 앓고 있었다. 중추성 무호흡증은 낮았으며, 폐색성 현상은 5%였다. 베이스라인에서 베이스라인 수면다원검사 기록(표준 수면 몽타주, 비압 기록)을 실시하였고, 칼슘 아캄프로세이트 요법을 매일 333 mg으로 3회 경구 투여로 (Campral® 정제) 개시하였고, 2주일 후에는 매일 3회로 2 x 333 mg으로 증가시켰다. 주 파라미터(인덱스)를 투약 첫날과 3주간 매일 투여한 후 기록하였다.
. 666 mg의 칼슘 아캄프로세이트를 매일 3회 처리한 OSA 환자에서의 주 파 라미터의 기록 결과
파라미터 (인덱스) BMI AI HI AHI CSAI MinSat Sat <90%/hr
0주 32.2 18 22 40 3 86 3
3주 32.0 7 9 16 2 91 1
약어: BMI(체중 지수, kg/m2), AI(무호흡 지수, 수면 시간 당 폐색성 무호흡 발생 횟수), HI(저산소증 인덱스, 수면 시간 당 폐색성 저산소증 발생 횟수), AHI(무호흡/저산소증 인덱스, 수면 시간 당 폐색성 무호흡/저산소증 발생 횟수), CSAI(중추성 수면 무호흡 인덱스, 수면 시간 당 중추성 무호흡 발생 횟수), MinSat(수면 시간동안 기록한 최저 산소 포화도), Sat<90/hr(산소 포화가 90% 미만인 수면 중에 시간 당 무호흡/저산소 발생 횟수).
중추성 및 혼합성 현상의 발생 횟수는 낮았으며, 폐색성 현상 발생 횟수와 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보였다. 수면다원검사로 기록된 수면 변수는 시스템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칼슘 아캄프로세이트를 투여한 후 총 수면 시간에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비-REM 단계 1+2, 서파 수면 및 REM 수면의 상대적인 비율은 변화없이 유지되었다. 이미 일주일 후에, 환자는 낮동안에 졸음이 감소되었다고 자발적으로 보고하였다. 게다가, 약물 요법을 도입한 초기에 코골이가 상당히 감소되었다고, 환자가 보고하였다. 실험에서 유의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폐색성 현상을 망라하며 중추성 현상도 망라하는 것으로 보이는 수면 무호흡에서의 칼슘 아캄프로세이트의 강력한 무호흡 감소 효과를 나타낸 다. 또한, 수면 무호흡에서의 이로운 효과는 전체 실험 기간동안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분명히 BMI 변화로 인한 것은 아니었다.
실시예 2: 칼슘 아캄프로세이트 및 체중 감소제를 이용한 반복 투여, 다중 약물 요법 실험
입원한 시점에, 주기적인 알코올 의존성 경력을 가진 63세의 남성 환자의 BMI는 33.2이었고 폐색성 수면 무호흡을 나타내는 임상 신호 및 증상을 보였다. 입원하여 수행한 수면다원검사 평가(평가 1)에서 AHI는 30이었다. 환자는 현재 체중 감소를 위해 시부트라민(Reductil® 캡슐, 매일 한번 15 mg)을 복용하고 있다. 환자의 BMI가 31.8이 된 다음 126일 동안 추적 수면 평가(평가 2)를 수행하였다. 이때에 AHI는 19였다. 칼슘 아캄프로세이트 요법은 하루에 3회 333 mg으로 경구 복용하는 것으로 시작하였고(Campral® 캡슐), 2주일 후에는 매일 3번씩 2 x 333 mg으로 증가시켰다. 이러한 4주동안의 치료를 종료한 후(평가 3), BMI는 평가 2(31.6)와 비교하여 약간 변화였으며, AHI는 9로 감소되었다.
. 체중 감소용 시부트라민 및 아캄프로세이트 병용 이후의, 체중 인덱스 및 무호흡 저산소 인덱스의 효과
-6 0 6 12 18 22
평가 - 1 - - 2 3
시부트라민 x x x x x x
아캄프로세이트 - - - - - x
BMI 33.2 31.8 31.6
AHI 30 19 9
약어: BMI(체중 지수, kg/m2), AHI(무호흡/저산소증 인덱스, 수면 시간 당 폐색성 무호흡/저산소증 발생 횟수), "-"는 수행하지 않았거나 해당되지 않음을 의미하며, "x"는 약물 치료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수면 무호흡을 가진 환자에서 칼슘 아캄프로세이트의 강력한 무호흡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이러한 치료법은 체중 감소용으로 사용되는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칼슘 아캄프로세이트의 효과는 체중 감소제에 의해 수득되는 효과와 비교하여 부가적이었다.

Claims (25)

  1. 아세틸호모타우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특히 칼슘 아캄프로세이트를 약제학적인 유효량으로 이를 필요로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점액과 같은 외인성 기계적 기도 폐색으로 인한 코골이, 수면 무호흡 및 수면 호흡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은 제외되는,
    코골이, 폐색성 수면 무호흡(OSA) 및/또는 중추성 수면 무호흡(CSA)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인 유효량은 1회 수면 시간중 상당한 시간동안에 효과적인 것인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당한 시간은 상기 수면 시간의 20% 이상인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당한 시간은 상기 수면 시간의 80% 이상인 방법.
  5. 제 2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1회 수면 시간은 30분 내지 12시간인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투여는 경구 투여인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설하 투여인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국소 투여인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목 및 가슴의 앞 부분(frontal portion)으로 한정되는 것인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인 유효량은 1시간 내지 12시간 이상의 시간동안 서방형 조성물로부터 방출되는 것인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인 유효량의 50% 내지 100%가 투여한 후 3시간이내에 방출되는 것인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인 유효량의 80% 내지 100%가 투여한 후 5시간이내에 방출되는 것인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인 유효량은 100 내지 4000 mg인 방법.
  14. 점액과 같은 외인성 기계적 기도 폐색으로 인한 코골이, 수면 무호흡 및 수 면 호흡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을 제외한, 코골이, 폐색성 수면 무호흡(OSA) 및/또는 중추성 수면 무호흡(CSA)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 제조에 있어 아세틸호모타우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특히 칼슘 아캄프로세이트의 용도.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경구 투여용인 용도.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상기 염의 50% 내지 100%가 투여 후 3시간 이내에 방출되도록 고안된 서방형 경구 약제 조성물인 용도.
  17.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칼슘 아캄프로세이트의 80% 내지 100%가 투여 후 5시간 이내에 방출되도록 고안된 것인 용도.
  18. 제 14항 또는 제 1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경피 투여용으로 고안된 것인 용도.
  19. 제 14항 또는 제 1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경점막 투여용으로 고안된 것인 용도.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설하 투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용도.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설하 투여용 조성물은 이의 분말 성분의 직접 압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용도.
  22. 점액과 같은 외인성 기계적 기도 폐색으로 인한 코골이, 수면 무호흡 및 수면 호흡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을 제외한, 코골이, 폐색성 수면 무호흡(OSA) 및/또는 중추성 수면 무호흡(CSA)을 치료하는데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아세틸호모타우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특히 칼슘 아캄프로세이트와, 경피 또는 경점막 투여용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보호용 패치.
  23. 수면 호흡 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장치, 키트 또는 조성물 제조에 있어 아세틸호모타우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특히 칼슘 아캄프로세이트의 용도.
  24. 코골이, 폐색성 수면 무호흡(OSA) 및/또는 중추성 수면 무호흡(CSA) 치료에 효과적인 조합 함량으로, 아세틸호모타우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특히 칼슘 아캄프로세이트와, 코골이, 폐색성 수면 무호흡(OSA) 및/또는 중추성 수면 무호흡(CSA) 작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물질,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함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시부트라민, 토피라메이트, 조니사미드, 오 를리스테이트, 리모나반트, 또는 그외 항비만제, 아세트아졸라미드 및 그외 카본 안하이드레이즈 저해제, 세로토닌성 신경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 트리사이클 항우울제, 테오필린, 프로게스테론 및 콜린에스터레이즈 저해제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KR1020087008998A 2005-09-16 2006-09-04 수면 호흡 장애를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과 그 수단 KR200800592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502044 2005-09-16
SE0502044-1 2005-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208A true KR20080059208A (ko) 2008-06-26

Family

ID=3786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998A KR20080059208A (ko) 2005-09-16 2006-09-04 수면 호흡 장애를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과 그 수단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80261931A1 (ko)
EP (1) EP1928445A1 (ko)
JP (1) JP2009508854A (ko)
KR (1) KR20080059208A (ko)
CN (1) CN101291663A (ko)
AU (1) AU2006291581A1 (ko)
CA (1) CA2622721A1 (ko)
EA (1) EA200800663A1 (ko)
IL (1) IL190097A0 (ko)
WO (1) WO2007032720A1 (ko)
ZA (1) ZA2008024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7564A1 (en) 2007-09-07 2010-08-18 XenoPort, Inc. Complex pantoic acid ester neopentyl sulfonyl ester cyclization release prodrugs of acamprosate, compositions thereof, and methods of use
CA2722295C (en) * 2008-04-29 2019-01-15 Pharnext Combination compositions for treating alzheimer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 with zonisamide and acamprosate
KR20120101588A (ko) * 2010-01-07 2012-09-13 비버스 인크.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및 추가적인 활성제의 조합에 의한 폐쇄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치료
CN107007602A (zh) * 2011-01-28 2017-08-04 辉达斯医学研究所 治疗阻塞性睡眠呼吸暂停的方法
RS62297B1 (sr) 2011-11-23 2021-09-30 Therapeuticsmd Inc Prirodne kombinovane hormonske supstitucione formulacije i terapije
US9301920B2 (en) 2012-06-18 2016-04-05 Therapeuticsmd, Inc. Natural combination hormone replacement formulations and therapies
US20130338122A1 (en) 2012-06-18 2013-12-19 Therapeuticsmd, Inc. Transdermal hormone replacement therapies
US20150196640A1 (en) 2012-06-18 2015-07-16 Therapeuticsmd, Inc. Progesterone formulations having a desirable pk profile
US10806740B2 (en) 2012-06-18 2020-10-20 Therapeuticsmd, Inc. Natural combination hormone replacement formulations and therapies
US10806697B2 (en) 2012-12-21 2020-10-20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9180091B2 (en) 2012-12-21 2015-11-10 Therapeuticsmd, Inc. Soluble estradiol capsule for vaginal insertion
US10471072B2 (en) 2012-12-21 2019-11-12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11266661B2 (en) 2012-12-21 2022-03-08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11246875B2 (en) 2012-12-21 2022-02-15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537581B2 (en) 2012-12-21 2020-01-21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568891B2 (en) 2012-12-21 2020-02-25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8652527B1 (en) 2013-03-13 2014-02-18 Upsher-Smith Laboratories, Inc Extended-release topiramate capsules
US9101545B2 (en) 2013-03-15 2015-08-11 Upsher-Smith Laboratories, Inc. Extended-release topiramate capsules
JP2017516768A (ja) 2014-05-22 2017-06-22 セラピューティックスエムディ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Therapeuticsmd, Inc. 天然の併用ホルモン補充療法剤及び療法
US10328087B2 (en) 2015-07-23 2019-06-25 Therapeuticsmd, Inc. Formulations for solubilizing hormones
RU2018133932A (ru) 2016-04-01 2020-05-12 Терапьютиксмд, Инк.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тероидного гормона
WO2017173044A1 (en) 2016-04-01 2017-10-05 Therapeuticsmd Inc. Steroid hormone compositions in medium chain oils
ES2817582T3 (es) 2016-05-11 2021-04-07 Jan Hedner Sultiame para el tratamiento de la apnea del sueñ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47436B1 (en) * 1998-01-13 2009-10-21 Synchroneuron, LLC N-acetylhomotaurinates for use in treating hyperkinesias
US6391922B1 (en) * 1998-01-13 2002-05-21 Synchroneuron, Llc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related neuropsychiatric disorders
US5952389A (en) * 1998-01-13 1999-09-14 Synchroneuron Methods of treating tardive dyskinesia and other movement disorders
SE0000601D0 (sv) * 2000-02-24 2000-02-24 Jan Hedner Sätt att behandla och diagnostisera andningsstörningar i sömnen och medel för att utföra sättet
US20020102525A1 (en) * 2001-01-31 2002-08-01 Traineas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the selection and delivery of educational services
US20040102525A1 (en) * 2002-05-22 2004-05-27 Kozachuk Walter 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neurological disease and providing neuroprotection
SE0400378D0 (sv) * 2004-02-17 2004-02-17 Jan Hedner Sätt att behandla och diagnostisera andningsstörningar i sömnen och medel för att utföra sätt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32720A1 (en) 2007-03-22
JP2009508854A (ja) 2009-03-05
EP1928445A1 (en) 2008-06-11
CN101291663A (zh) 2008-10-22
US20080261931A1 (en) 2008-10-23
IL190097A0 (en) 2008-11-03
AU2006291581A1 (en) 2007-03-22
CA2622721A1 (en) 2007-03-22
EA200800663A1 (ru) 2008-10-30
ZA200802415B (en)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9208A (ko) 수면 호흡 장애를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과 그 수단
EP1715859B1 (en) Method of treating and diagnosing sleep disordered breathing using zonisamide and mean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3825469B2 (ja) Ii型糖尿病治療薬剤としてのケトコナゾール、および、その関連物質の使用法
CA2434484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ibuprofen and diphenhydramine to treat pain-associated sleep disturbances
JP4896334B2 (ja) 睡眠時呼吸障害を治療及び診断する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実施する手段
CN109310699B (zh) 用于治疗睡眠呼吸暂停症的磺斯安
Pedersen Treatment of nocturnal asthma in children with a single dose of sustained‐release theophylline taken after supper
WO2004100989A1 (ja) いびき又は睡眠時の呼吸障害の予防・治療剤
Ostrowski et al. Pharmacologic management of patients using smoking cessation aids
JPWO2020264201A5 (ko)
WO2015189479A1 (en) Composition containing cysteine or a derivative thereof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acute hypersensitiv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