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791A - 폴리아미드 복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복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791A
KR20080056791A KR1020060129771A KR20060129771A KR20080056791A KR 20080056791 A KR20080056791 A KR 20080056791A KR 1020060129771 A KR1020060129771 A KR 1020060129771A KR 20060129771 A KR20060129771 A KR 20060129771A KR 20080056791 A KR20080056791 A KR 20080056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ratio
polyamide
drafting
f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이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60129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6791A/ko
Publication of KR20080056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7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including aramid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6Dy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06P3/24Polyamides; Polyurethanes
    • D06P3/241Polyamides; Polyurethanes using acid dy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착성 개질제로 방향족 디아민 화합물과 마그네슘 화합물 및 유기동 화합물을 금속원자 기준으로 각각 50ppm 미만으로 첨가하여 중합한 개질 폴리아미드를 사용한 “王”자 단면의 POY와 원형단면 극세 원사(FDY)를 복합가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질 폴리아미드 중합체, “王”자 단면 POY, 원형단면 극세 FDY, 흡습성, 견뢰도

Description

폴리아미드 복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 Method for producing polyamide textured yarn }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 개략도.
본 발명은 산성염료에 대하여 농색을 비롯한 색발현이 우수한 염착성을 가지며 자연스런 외관과 함께 흡한속건성과 소프트감이 우수한 복합 가연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 지구적으로 관심이 증진되고 있는 환경이나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고 농색으로 염색하여도 색상의 변색이 잘 일어나지 않으면서 견뢰도 및 천연섬유 등에서 느낄수 있는 자연스런 외관과 흡한속건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폴리아미드 복합가연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많이 사용된 폴리아미드섬유는 섬유 자체의 강도 및 내마모성, 염색성 등이 우수해 많은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각 분야에서 요구특성이 다양화, 세분화되면서 합성섬유로서의 다소 단조롭고 차가운 촉감 및 염색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있어 왔다.
염색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검토되어 왔는데, 종래의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폴리아미드의 아민 말단기 수를 증대시키는 방법이 있다.
미국특허 제 2274831 호에 3급질소를 함유한 다가아민을 첨가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고, 일본 특허공개 소62-41313호에는 극세 필라멘트 제조를 위해 중합단계에서 다가아민을 첨가하여 아민말단 함량을 90 내지 160meq/㎏으로 증량시켜 염착좌석수 증가로 극세섬유의 염색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소52-124927호에는 다가아민을 중합 후 용융방사용 용융기(melter)에 첨가하여 아민말단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고, 일본 특허공개 소48-28974호에는 아디핀산과 N-β-아미노에틸피페라진을 공중합하고, 이것을 폴리아미드6과 블렌딩하여 염색성을 개선하는 방법 등이 소개되어 있다.
이외에도 N-알킬피페라진류의 염기성이 강한 아미노기를 주쇄 또는 말단에 도입하는 방법(미국특허 제 3300448 호), 방사단계에서 N-피롤리돈 폴리머, 폴리알킬렌폴리아민, 폴리아미노 트리아졸 등을 블랜딩하는 방법(일본특허공개 소37-8972호, 43-15587호, 42-20851호) 등이 있다.
상기 방법들 중에서 미국특허 제 2274831 호 및 일본특허 공개소62-41313호 등의 다가아민을 첨가하는 방법은 3급질소의 산성염료에 대한 친화도가 그리 크지 않고, 중합단계에서 3급질소에 의한 가지반응이 일어나 폴리머의 품질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N-피롤리돈 폴리머, 폴리알킬렌폴리아민, 폴리아미노 트리아졸 등을 브랜딩하는 방법을 채용할 경우 공정관리가 복잡하고 균일한 품질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관이나 촉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심사와 초사의 열수축율 차이를 이용하여 스펀라이크(Spunlike)한 복합가공사를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 공개2002-201540호에는 폴리아미드스펀라이크( Spun like)가공사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는 벌키성 및 터치면에서 일부분 만족할 수 있지만, 점증하는 요구 수준을 만족하기는 어렵다.
또한, 직물의 특성상 흡수성이 낮아서 의복을 비롯한 제품으로 착용하는 경우 땀을 흡수하지 못하여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고자 원단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건식, 습식 또는 라미네이팅등의 방법으로 코팅하여 투습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응용되어 왔으나, 단기간 다량의 배출시 투습성능 만으로 인체에 쾌적성을 만족하기는 어렵다.
또 원단에 흡수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친수성 흡수제를 용액내에 패딩시켜 일정한 픽업율로 압축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반복하여 세탁하는 경우 효과가 떨어지며, 일부의 사람에게는 피부 염증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들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개선하고 염착성과 견뢰도가 우수하고, 자연스런 외관에 흡한속건성과 터치가 우수한 복합 가연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를 제조함에 있어서 염착성 개선 개질제로 방향족 디아민 화합물을 ε-카프로락탐 100중량부 대비 0.2 내지는0.8 중량부와 마그네슘 화합물 및 유기동 화합물을 금속원자기준으로 각각 50ppm이하로 첨가 중합하여 제조한 개질 폴리아미드를 “王”자 형상의 노즐을 사용하여 “王”자형 폴리아미드 이형단면 부분배향사(POY) 및 일반(원형단면) 극세 폴리아미드 연신사(FDY)를 제조한다.
방향족 디아민 화합물로는 메타크실렌디아민, 파라페닐렌디아민, 메타페닐렌디아민, 파라크실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디아민 화합물의 첨가량이 0.2 중량부 미만에서는 염착성 향상효과가 미미하고, 0.8중량부를 초과하면 중합 점도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사용되는 마그네슘 화합물은 산화 마그네슘, 초산 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하고, 유기동 화합물은 염화동, 초산동, 요오드화동 중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한다.
마그네슘 화합물 및 유기동 화합물은 금속원자기준으로 각각 50ppm 이하로 첨가하는데, 50ppm을 초과하면 중합속도에 영향을 미쳐 점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동화합물의 첨가량도 금속원자 기준으로 50ppm을 초과하면 열적 안정성은 우수하나, 색상의 변색으로 원사 및 직편물 제품상 외관에 문제가 생겨 좋지 않다.
이때, 본 발명에서 개질 폴리아미드의 황산상대점도는 2.4이상 3.1이하가 바람직하다. 상대점도가 2.4미만일 경우 중합도 부족으로 섬유의 강도가 부족하고 3.1초과일 경우 용융점도가 과도하여 제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을 도 1 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연기의 개략도로서 작업속도는 연신롤러(G)에 의해 결정된다.
이형단면 POY(A)는 공급롤러(C), 극세 폴리아미드 FDY(B)는 공급롤러(D)에 의해 공급된다.
연신비는 공급롤러(C), 공급롤러(D)와 연신롤러(G)의 속도차에 의해 결정된다.
꼬임비는 사에 꼬임을 부여하는 트위스터(F)의 회전속도와 사 작업속도인 연신롤러(G)의 회전속도의 비로서 사에 꼬임을 부여하는 정도이다.
마지막으로 가연온도는 제 1 히터(E)의 온도를 의미한다.
미설명 부호 중 I는 제 2 히터, H는 인터레이스 노즐, J,K는 가이드 롤러, L은 폴리아미드 복합가연사이다.
두 종류의 원사를 복합가연함에 있어 심사로 이형단면 POY원사를 사용하고, 초사로 일반 극세 FDY원사를 사용하여 흡한속건 기능성과 함께 두 원사 간 수축특성이 상이한 심사와 초사를 사용하여 초사가 심사를 감싸면서 부드러운 터치를 함께 발현하는 것이다.
전체적인 기능성 및 촉감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심사와 초사의 비율(중량비)은 20 ~ 80% : 80 ~ 20%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심사의 비율이 20% 미만이면 전체적인 기능성이 부족하고, 심사의 비율이 80%를 초과하면 자연스런 외관 및 촉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가연사의 벌키성을 유지하면서 가연 작업성과 포합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조 조건은 다음과 같다.
작업속도는 100 ~ 700 m/분으로 하며, 연신비는 1.1 ~ 1.3, 꼬임비가 1.6 ~ 2.0, 가연온도는 160 ~ 200℃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미연신사와 연신사의 복합가연이 가능하도록 공급롤러(C,D) 및 연신롤러(G)를 갖춘 가연 설비는 최저 작업 속도가 100m/분 이다.
만일 700m/분 초과하면 작업 시 해사불량으로 인한 작업성 저하 및 가연사 품질 저하가 발생하므로 100 ~ 700m/분 사이에서 작업하는 것이 좋다.
적정 연신비는 1.1 ~ 1.3수준으로 연신비가 1.1 보다 낮은 경우 사에 충분한 장력을 주지 못해 꼬임이 들어가지 않아 가연사 품질이 저하되며, 연신비가 1.3 보다 높은 경우 과도한 장력으로 가연 작업성이 급격하게 떨어지며 가연사 품질도 저하되어 원단에 결점이 발생한다.
꼬임비는 1.6 미만인 경우 가연사에 핀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2.0 초과인 경우 미해연이 발생하여 가연사 품질이 저하된다.
가연온도(제 1 히터의 온도)는 160℃ 미만인 경우 가연사의 크림프 형성이 미흡하며, 200℃ 초과인 경우 폴리아미드 섬유에서 융착이 발생하여 급격한 강도저하로 인해 가연 작업성이 저하된다.
흡수성 평가
시료를 길이 20㎝,폭 2.5㎝로 절단하여 한쪽 끝이 27± 2℃의 증류수가 들어있는 용기의 수면에 닿도록 하고 다른 한쪽 끝은 일정한 높이로 수평봉에 고정한다. 10분 경과한 후에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승한 물의 높이를 측정한다.
건조성 평가
40× 40㎝의 시편 3매를 20± 2℃의 물에 충분히 적신 후,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표준조건 실험실에서 자연 건조 시간을 측정하여 3회 평균치로 한다.
세탁견뢰도
KSKISO0105의 방법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염착성 개질제로 메타크실렌디아민성분 0.4중량부와 마그네슘 화합물(염화마그네슘) 및 유기동(초산동) 화합물을 금속원자 기준 20ppm 첨가하여 중합한 황산 상대점도 2.67, 아민말단 85meq/㎏ 중합물을 “王”자 단면의 노즐을 이용하여 제조한 85/24 POY원사와 기존의 원형단면 노즐을 이용하여 제조한 70/68 FDY원사를 제조한다.
상기 두 원사를 이용하여 작업속도 500m/분, 연신비 1.20, 가연유니트와 실의 꼬임비는 1.8, 가연온도는 180℃로 하여 도 1과 같이 가연사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한 가연사와 스판덱스 20데니어를 28게이지, 직경 30인치 (76.2Cm) 싱글환편기를 이용하여 환편제품을 제조한 생지를 60℃에서 40분간 정련하였다.
<비교예 1>
기존의 일반 폴리아미드중합물을 삼각단면의 노즐을 이용하여 85/24 POY원사와 기존의 원형단면 노즐을 이용하여 70/68 FDY원사를 제조한다.
상기 두 원사를 이용하여 작업속도 500m/분, 연신비 1.20, 가연유니트와 실의 꼬임비는 1.8, 가연온도는 180℃로 하여 도1과 같이 가연사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한 가연사와 스판덱스 20데니어를 28게이지, 직경 30″싱글환편기를 이용하여 환편제품을 제조한 생지를 60℃에서 40분간 정련하였다.
<비교예 2>
기존의 일반 폴리아미드중합물을 이용하여 85/24 POY원사와 70/68 FDY원사를 제조한다.
상기 두 원사를 이용하여 작업속도 500m/분, 연신비 1.20, 가연유니트와 실의 꼬임비는 1.8, 가연온도는 180℃로 하여 도1과 같이 가연사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한 가연사와 스판덱스 20데니어를 28게이지, 직경 30″싱글환편기를 이용하여 환편제품을 제조한 생지를 60℃에서 40분간 정련하였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의 견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함금(metal complex)염료인 Isolan 4% owf, pH조절제 1g/l를 사용하여 98℃에서 40분 염색 후, 40℃ 온수에서 수세처리하고 170℃에서 최종 제품성을 평가하였다.
<표 1>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흡수성(cm) 13.5 9.6 8.0
건조성(분) 25 32 34
세탁견뢰도(급) 4 ~ 5 3 ~ 4 3 ~ 4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를 제조함에 있어서 염착성 개선 개질제로 방향족 디아민화합물과 마그네슘화합물 및 유기동 화합물을 첨가하여 중합한 개질 폴리아미드를 사용하여 이형단면 POY와 일반 극세 FDY를 각각 제조한 후 복합 가연함으로써, 염착성과 견뢰도가 우수하고, 자연스런 외관에 흡한속건성과 터치가 우수한 폴리아미드 가연사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3)

  1. 염착성 개질제로 방향족 디아민 화합물과 마그네슘화합물 및 유기동 화합물을 금속원자 기준으로 각각 50ppm 이하로 첨가하여 중합한 개질 폴리아미드를 사용하여 제조한 “王”자형의 이형단면 부분배향사(POY)와 원형단면 극세 연신사(FDY)를 사용하여 복합가연 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 두 원사의 비율(중량비)이 2:8 ~ 8: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 아래 조건이 만족 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복합 가연사의 제조방법
    아 래
    작업속도 ; 100 ~ 700m/분
    연신비 ; 1.1 ~ 1.3
    꼬임비 ; 1.6 ~ 2.0
    가연온도 ; 160 ~ 200℃
KR1020060129771A 2006-12-19 2006-12-19 폴리아미드 복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56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771A KR20080056791A (ko) 2006-12-19 2006-12-19 폴리아미드 복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771A KR20080056791A (ko) 2006-12-19 2006-12-19 폴리아미드 복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791A true KR20080056791A (ko) 2008-06-24

Family

ID=3980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771A KR20080056791A (ko) 2006-12-19 2006-12-19 폴리아미드 복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679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3915A (zh) * 2011-09-07 2012-05-09 桐昆集团股份有限公司 涤纶平牵ity丝的生产方法
CN104047084A (zh) * 2014-06-25 2014-09-17 常州欣战江特种纤维有限公司 一种动车用阻燃大毛圈纱线的生产方法
CN110747556A (zh) * 2019-11-06 2020-02-04 江苏恒科新材料有限公司 一种异收缩复合丝及其制备方法
CN110965165A (zh) * 2019-12-23 2020-04-07 苏州君辉纺织有限公司 一种多功能涤纶低弹复合丝的制备工艺
CN112831875A (zh) * 2020-12-30 2021-05-25 江苏德力化纤有限公司 一种空气变形涤纶复合丝的制备方法
CN113026163A (zh) * 2021-02-23 2021-06-25 山东星宇手套有限公司 一种防切割纱线及其制备方法
CN113151943A (zh) * 2021-04-26 2021-07-23 福建恒捷实业有限公司 一种异形复合锦纶6纤维的生产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3915A (zh) * 2011-09-07 2012-05-09 桐昆集团股份有限公司 涤纶平牵ity丝的生产方法
CN104047084A (zh) * 2014-06-25 2014-09-17 常州欣战江特种纤维有限公司 一种动车用阻燃大毛圈纱线的生产方法
CN104047084B (zh) * 2014-06-25 2016-03-02 常州欣战江特种纤维有限公司 一种动车用阻燃大毛圈纱线的生产方法
CN110747556A (zh) * 2019-11-06 2020-02-04 江苏恒科新材料有限公司 一种异收缩复合丝及其制备方法
CN110747556B (zh) * 2019-11-06 2022-03-08 江苏恒科新材料有限公司 一种异收缩复合丝及其制备方法
CN110965165A (zh) * 2019-12-23 2020-04-07 苏州君辉纺织有限公司 一种多功能涤纶低弹复合丝的制备工艺
CN112831875A (zh) * 2020-12-30 2021-05-25 江苏德力化纤有限公司 一种空气变形涤纶复合丝的制备方法
CN113026163A (zh) * 2021-02-23 2021-06-25 山东星宇手套有限公司 一种防切割纱线及其制备方法
CN113026163B (zh) * 2021-02-23 2022-03-04 山东星宇手套有限公司 一种防切割纱线及其制备方法
CN113151943A (zh) * 2021-04-26 2021-07-23 福建恒捷实业有限公司 一种异形复合锦纶6纤维的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6791A (ko) 폴리아미드 복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JP5741434B2 (ja) 吸湿性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04097B2 (ja) 着用快適性に優れたサポートストッキング
EP2927357A1 (en) Polyamide crimped yarn for clothing and woven or knitted fabric for clothing comprising same
KR100832682B1 (ko) 혼합 폴리아미드 얀의 제조 방법
KR102465144B1 (ko) 흡습성 심초 복합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4774B1 (ko) 심초형 잠재권축 혼섬사 및 이를 사용한 원단
TW201012991A (en) Fine denier partially oriented bicomponent fibers and flat and textured yarns for use in apparel
US6524503B2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olyamide yarns dyeable in melange shades
KR20040079939A (ko) 폴리아미드사로부터의 색변화 직물
KR101155454B1 (ko) 고신축성 나일론 6 가연복합사의 제조방법
US3549741A (en) Process for preparing improved carpet yarn
TW202214925A (zh) 織編物及包含其之衣服
TWI613337B (zh) 聚醯胺黑色紡前染色紗、假撚紗、包覆彈性紗及襪品
CN113039313A (zh) 聚酰胺复丝和包芯弹力纱
JP3418607B2 (ja) カバリングヤーン
JP5033725B2 (ja) ナイロン11捲縮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462119B (zh) 吸放湿性优异的聚酰胺纤维
JP7374208B2 (ja) ポリアミド系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繊維構造体
JP2018104839A (ja) 収縮特性に優れた仮撚用ポリアミドマルチフィラメント
KR20070065494A (ko) 이염성 복합 폴리아미드 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89745B1 (ko) 대나무사를 이용한 신축성 및 멜란지톤 발현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에어텍스쳐 가공사의 제조방법
US3737505A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high sheen bifilament yarn and elastic textile article
JP2006124851A (ja) 高吸湿性ポリアミド異収縮混繊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3817823A (en) Crimpable composite polycarbonamide fila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