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426A - 표시 장치 및 이의 신호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신호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426A
KR20080056426A KR1020060129311A KR20060129311A KR20080056426A KR 20080056426 A KR20080056426 A KR 20080056426A KR 1020060129311 A KR1020060129311 A KR 1020060129311A KR 20060129311 A KR20060129311 A KR 20060129311A KR 20080056426 A KR20080056426 A KR 20080056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value
display device
key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9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6426A/ko
Publication of KR20080056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식 키 입력 장치가 사용자의 터치 동작 이외의 상황에서 구동하는 경우,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신호 인식 방법이 개시된다. 표시 장치는 터치식 기능 키들을 구비하는 키 입력부 및 각 기능 키들에 의해 출력되는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시간과 각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최대 연속 입력 시간을 비교하고, 연속 입력 시간이 최대 연속 입력 시간을 초과하면,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기능의 구동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터치(touch), 연속, 키 입력, 오류, 오동작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신호 인식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SIGNAL RECOGNITION FOR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신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신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신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 장치 110 : 키 입력부
120 : 제어부 130 : 메모리부
140 : 타이머부 150 : 표시부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신호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식 키 입력 장치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상황 이외의 상황에서 터치식 키 입력 장치가 구동함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신호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육안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신호 처리하여 소정의 표시 영역 또는 음향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로는 CRT, LCD, PDP 등으로 구현되는 텔레비전 수상기와 컴퓨터의 모니터, PDA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 향상, 표시 장치의 소형화 도모 및 표시 장치의 디자인의 세련화 등을 목적으로 표시 장치의 외부에 터치식 기능 키들을 형성하거나,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에 터치 스크린 기능을 포함시켜 터치식 기능 키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터치식 기능 키들을 표시 장치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신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표시 장치(10)는 키(key) 입력부(20), 제어부(30), 메모리부(40) 및 표시부(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키 입력부(20)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식 기능 키들을 구비하여 표시 장치(10)의 외부에 형성되거나, 표시부(50)에 OSD 창 등을 통해 기능 키들에 대한 아이콘(Icon)을 형성하고, 형성된 아이콘 상부에 위치 좌표를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부착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장치(10)의 외부에 형성되는 기능 키와 터치 스크린 패널과 아이콘의 조합을 통한 기능 키 등을 터치식 기능키로 정의하고, 이하에서는 터치식 기능키의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키 입력부(20)는 사용자가 손 또는 태블릿 펜 등을 이용하여 터치식 기능키를 터치 동작에 의해 선택하면, 터치식 기능키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 또는 터치식 기능키에 대응하는 입력 키값을 출력한다.
제어부(30)는 표시 장치(1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부(5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키 입력부(20)를 통해 터치식 기능키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입력 키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입력 키값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키 입력부(20)를 통해 터치식 기능키의 입력 키값이 입력되면, 입력 키값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부(40)는 표시 장치(10)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표시 장치(10)의 구동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값들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40)는 제어부(40)에 제어하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값들을 기입 및 독출한다. 또 한, 메모리부(40)에는 키 입력부(20)를 통해 위치 좌표값이 입력되는 경우 위치 좌표값에 대응하는 기능들을 저장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50)는 제어부(30)의 제어 하에, 처리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고,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OSD 창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표시 장치(10)는 입력 키값을 확인하는 단계(S10) 및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동하는 단계(S20)를 통해 입력 신호를 인식한다.
단계 S10에서 사용자가 터치식 기능 키들을 터치하면, 키 입력부(20)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 또는 입력 키값을 제어부(30)로 제공한다. 제어부(30)는 위치 좌표값 또는 입력 키값의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 S20에서 제어부(30)는 입력된 위치 좌표값 또는 입력 키값에 기초하여 이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10)의 기능 예를 들어, 채널 변경, 볼륨 조절, 화질 조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 및 이의 신호 인식 방법에 의하면, 터치식 기능 키들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키값 등에 의해 제어부(30)는 항상 대응되는 표시 장치(1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터치식 기능키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변동되는 터치식 기능키의 전하량을 감지하여 동작하게 되는데, 표시 장치(10)의 장시간 사용 또는 온도 환경 등의 외부 환경이 변화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무관하 게 터치 기능이 수행되어, 키 입력부(20)가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가 사용자가 원하지 아니한 기능 이외의 기능을 수행하는 오동작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터치 동작 이외의 상황에서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장치의 신호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터치식 기능 키들을 구비하는 키 입력부 및 상기 각 기능 키들에 의해 출력되는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시간과 상기 각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최대 연속 입력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연속 입력 시간이 상기 최대 연속 입력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기능의 구동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최대 연속 입력 시간에 대한 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신호 인식 방법은, 터치식 기능 키들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키값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시간과 기 설정된 상기 각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최대 연속 입력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연속 입력 시간이 상기 최대 연속 입력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기능의 구동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여부를 재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키값이 불연속 입력되면 상기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시간을 재검출하기 위한 타이머를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신호 인식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터치 동작 이외의 외부 환경 변화로 인하여 터치 기능이 구동하여 표시 장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0)는 키(key) 입력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타이머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키 입력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식 기능 키들을 구비하여 표시 장치(100)의 외부에 형성되거나, 표시부(150)에 OSD 창 등을 통해 기능 키들에 대한 아이콘(Icon)을 형성하고, 형성된 아이콘 상부에 위치 좌표를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부착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키 입력부(20)는 사용자가 손 또는 태블릿 펜 등을 이용하여 터치식 기능키를 터치 동작에 의해 선택하면, 터치식 기능키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 또는 터치식 기능키에 대응하는 입력 키값을 출력한다.
제어부(12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122)을 구비하여 표시 장치(1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키 입력부(110)에 형성된 터치식 기능 키를 사용자가 터치함에 따라 입력되는 입력 키값 위치 좌표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에 대응하는 입력 키 값을 생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표시 장치(100)에서 수행되도록 제어하거나, 입력 키값이 키 입력부(110)를 통해 직접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표시 장치(100)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120)의 터치식 기능키들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키값 등의 연속 입력 시간을 판단하고, 입력 키값 등의 연속 입력 시간이 기 설정된 최대 연속 입력 시간에 비해 큰 경우, 수신된 입력 키값 등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100)의 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OSD 처리부(124)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키 입력부(110)를 통해 표시 장치(100)의 설정 환경을 선택할 수 있도록 OSD(On Screen Display)창을 표시부(15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입력 키값 등이 연속적으로 입력되지 아니하거나, 입력 키값 등의 연속 입력 시간이 최대 연속 입력 시간에 비해 작은 경우, 수신된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100)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100)의 신호 인식 방법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메모리부(130)는 표시 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표시 장치(100)의 구동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값들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130)는 제어부(120)에 제어하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값들을 기입 및 독출한다. 또한, 메모리부(130)에는 키 입력부(20)를 통해 위치 좌표값이 입력되는 경우 위치 좌표값에 대응하는 기능들을 저장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부(130)에는 복수개의 입력 키값 각각에 대응하는 최대 연속 입력 시간이 룩-업 테이블(LUT)(132)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가 텔레비전 수상기로 구현되는 경우에 있어서, 볼륨에 대한 설정 레벨이 0 레벨 내지 100 레벨 값으로 형성되면, 사용자가 한번의 터치 동작을 통해서 하나의 레벨 단위로 설정 레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한번의 터치 동작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설정 레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경우 0 레벨 내지 100 레벨 사이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시간을 최대 연 속 입력 시간에 대한 설정값으로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입력 키값 등이 표시 장치(100)의 볼륨을 상승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값인 경우, 0 레벨에서 100 레벨 사이에서 볼륨이 변화하는 기 설정된 시간 즉, 최대 연속 입력 시간과 입력 키값이 입력되는 시간을 비교하고, 최대 연속 입력 시간에 비해 입력 키값이 입력되는 시간이 큰 경우, 키 입력부(110)가 오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와 반대의 경우에는 키 입력부(110)가 사용자의 기능키를 선택하는 정상 동작인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120)가 상술한 예에서 현재 볼륨레벨을 판단하고, 현재 볼륨레벨에서 최대 볼륨 레벨로 변화할 때 소요되는 시간과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시간과 비교하면, 보다 적은 소요 시간내에 키 입력부(110)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타이머부(140)는 키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키값이 수신되면, 제어부(120)의 제어하에 구동하여 입력 키값의 연속적인 입력 시간을 카운팅한다. 이를 위해, 타이머부(140)는 제어부(120)와 독립적으로 구성된 타이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20)의 내부 클럭을 이용하여 입력 키값의 연속적인 입력 시간을 카운팅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도 있다.
표시부(150)는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처리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고, OSD 창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통해 입력 키값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입력 키값이 변화되는 예를 들어, 볼륨 조절 바(bar)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설정값이 변경되는 것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신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신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순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신호 인식 방법은, 입력 키(key) 값을 확인하는 단계(S100),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S110), 동일 키값이 연속적으로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 동일 키값이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S130), 연속 입력 시간과 최대 연속 입력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S140) 및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의 기능 구동을 차단하는 단계(S150) 및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의 기능을 구동하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S100에서, 사용자가 키 입력부(110)를 통해 하나의 기능키를 선택하면, 키 입력부(110)는 기능키에 대응하는 입력 키값 또는 위치 좌표값 등을 제어부(120)에 출력한다.
단계 S110에서, 제어부(120)는 위치 좌표값이 입력되는 경우, 이를 대응하는 입력 키값으로 변환하고, 타이머부(140)를 구동시킨다. 또한, 입력 키값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바로 타이머부(140)를 구동시킨다.
단계 S120에서, 제어부(120))는 타이머부(140)에서 카운팅된 시간을 이용하여 입력 키값이 동일한 키값으로 연속적으로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20에서 판단한 결과, 입력 키값이 동일한 키값으로 연속적으로 입력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단계 S160을 수행한다.
단계 S160에서, 제어부(120)는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100)의 기능을 구동한다. 예를 들어, 입력 키 값이 표시 장치(100)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키에 대응하는 입력 키값인 경우, 동일한 키값으로 입력 키값이 연속적으로 입력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동일 키값이 연속적으로 입력되지 아니함으로 OSD 처리부(124)에 의해 메뉴 설정 창이 표시부(1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단계 S120에서 판단한 결과, 입력 키값이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계 S130을 수행한다.
단계 S130에서, 제어부(120)는 타이머부(140)에서 카운팅된 시간을 이용하여 입력 키값이 동일한 키값으로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시간을 검출한다.
단계 S140에서, 단계 S130을 통해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시간이 검출되면,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30)에 룩-업 테이블로 저장된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기능에 대한 최대 연속 입력 시간을 독출하고, 최대 연속 입력 시간과 입력 키값의 실제 연속 입력 시간을 비교한다.
단계 S140에서 비교한 결과,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시간이 최대 연속 입력 시간보다 작은 경우, 단계 S160을 수행하여,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100)의 기능을 구동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가 텔레비전 수상기로 구현되는 경우에 있어서, 볼륨에 대한 설정 레벨이 0 레벨 내지 100 레벨 값으로 형성되면, 사용자가 한번의 터치 동작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설정 레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자 할 때, 0 레 벨 내지 100 레벨 사이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시간을 최대 연속 입력 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입력 키값 등의 연속 입력 시간과 최대 연속 입력 시간을 비교하여, 연속 입력 시간이 최대 연속 입력 시간에 비해 작은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키값이 제공되는 정상 동작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100)의 볼륨 조절 기능을 구동한다.
반면, 단계 S140에서 판단한 결과,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시간이 최대 연속 입력 시간보다 큰 경우, 단계 S150을 수행한다.
단계 S150에서 제어부(150)는 입력 키값을 무시하여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100)의 기능 구동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무관하게 키 입력부(110)가 외부 환경의 변화에 의존하여 구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외부 환경이 키 입력부(110)의 정상 구동 환경으로 회복되지 아니하는 한, 키 입력부(110)는 소정의 입력 키값 등을 연속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입력 키값 등의 연속 입력 시간은 최대 연속 입력 시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150)는 키 입력부(110)가 오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입력되는 입력 키값을 무시함으로써 전술한 예에서 표시 장치(100)의 볼륨 조절 기능이 구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외부 환경의 변화등에 의해 키 입력부(110)가 오동작하면, 제어부(110)는 오동작 상황을 인식하여 키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키값을 무시함으로써, 표시 장치(100)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이때, 외부 환경이 키 입력부(110)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상적인 환경으로 변경되거나, 키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하나의 기능 키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신호를 인식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단계 S150을 통해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기능 구동이 차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새로운 기능 키를 선택하거나, 외부 환경이 변경되는 경우, 단계 S200을 수행한다.
단계 S200에서, 제어부(120)는 타이머부(140)에서 카운팅된 시간을 이용하여 입력 키값이 동일한 키값으로 연속적으로 입력되는지 여부를 재 판단한다.
단계 S200에서 판단한 결과, 입력 키값이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 4의 단계 S150을 수행하여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기능의 구동을 차단한다.
반면, 단계 S200에서 판단한 결과, 입력 키값이 연속적으로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210을 수행하여 타이머부(140)를 리셋함으로써, 입력 키값을 연속 입력 시간을 재 카운팅할 수 있도록 한 후, 단계 S100 이하의 단계들을 재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터치 기능이 외부 환경 등의 변화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무관하게 동작하더라도 표시 장치에서 사용자가 원하지 아니한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분야 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터치식 기능 키들을 구비하는 키 입력부; 및
    상기 각 기능 키들에 의해 출력되는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시간과 상기 각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최대 연속 입력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연속 입력 시간이 상기 최대 연속 입력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기능의 구동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최대 연속 입력 시간에 대한 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터치식 기능 키들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키값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시간과 기 설정된 상기 각 입력 키값에 대응하 는 최대 연속 입력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연속 입력 시간이 상기 최대 연속 입력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 키값에 대응하는 기능의 구동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신호 인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여부를 재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키값이 불연속 입력되면 상기 입력 키값의 연속 입력 시간을 재 검출하기 위한 타이머를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신호 인식 방법.
KR1020060129311A 2006-12-18 2006-12-18 표시 장치 및 이의 신호 인식 방법 KR20080056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311A KR20080056426A (ko) 2006-12-18 2006-12-18 표시 장치 및 이의 신호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311A KR20080056426A (ko) 2006-12-18 2006-12-18 표시 장치 및 이의 신호 인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426A true KR20080056426A (ko) 2008-06-23

Family

ID=39802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311A KR20080056426A (ko) 2006-12-18 2006-12-18 표시 장치 및 이의 신호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64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787A1 (en) * 2013-02-22 2014-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KR101472589B1 (ko) * 2008-07-28 2014-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동작 방지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5009038A (zh) * 2013-02-22 2015-10-28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触敏用户界面的电子装置以及相关操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589B1 (ko) * 2008-07-28 2014-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동작 방지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4129787A1 (en) * 2013-02-22 2014-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CN105009038A (zh) * 2013-02-22 2015-10-28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触敏用户界面的电子装置以及相关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754B1 (ko) 작동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기기
US7564448B2 (en) Touch scree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apable of setting active regions
KR101794000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기기에서 스크롤 장치 및 방법
US7218312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572553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入力方法
KR20110028834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터치 압력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090273566A1 (en) Electronic device system utilizing a character input method
EP2706441A1 (en) Touch panel-type portable terminal and input operation method
US20120176332A1 (en) Electronic apparatus using touch panel and setting value modification method of same
CN104020868A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KR20100011569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키패드 설정 방법
KR1023267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선택된 키 표시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05275A (ko) 로컬 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80056426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신호 인식 방법
US8949716B2 (en) Adjusting target size of display images based on input device detection
CN104364738B (zh) 用于从触敏屏幕输入符号的方法和装置
WO2013125103A1 (ja)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50081205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8943246B2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interfa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4328703B2 (ja) 表示装置、そのモード判定装置及びモード判定方法
CN112019938A (zh) 单按键控制方法、装置、智能电视和可读存储介质
KR102303542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터치 압력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90012453A (ko) 디지털 기기에서의 터치키 감도 조절장치 및 방법
US11282475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pplying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KR20140096528A (ko) 터치 패널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