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52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527A
KR20080055527A KR1020060128982A KR20060128982A KR20080055527A KR 20080055527 A KR20080055527 A KR 20080055527A KR 1020060128982 A KR1020060128982 A KR 1020060128982A KR 20060128982 A KR20060128982 A KR 20060128982A KR 20080055527 A KR20080055527 A KR 20080055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line
refrigerator
display devi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7352B1 (ko
Inventor
안재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8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352B1/ko
Publication of KR20080055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5Telephon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댁내 통신 기능을 지닌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의 통신 장치와의 통신 연결 및 사용이 용이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내부 제어부와,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제어부와, 사용자로부터의 통신모드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대기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통신신호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통신모드선택에 따라 통신모드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을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냉장고 제어장치와,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 내부로 진행하여 상기 냉장고 제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는 내부 통신선과, 일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 내부로 진행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의 힌지커버 외관에 형성된 통신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외부 연결선을 통하여 연결가능한 외부 통신선으로 이루어진 통신선 어셈블리로 이루어짐으로써, 댁내의 장치와 접속이 용이한 구조를 지니도록 하여, 다양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외부 통신선의 연결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7은 도 2의 냉장고가 수행하는 통신 서비스의 실시예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냉장고 제어 20: 디스플레이 장치
41: 인터폰 42: 전화기
본 발명은 댁내 통신 기능을 지닌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의 통신 장치와의 통신 연결 및 사용이 용이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가 압축, 응축, 팽창, 증발하는 냉동사이클을 반복하면서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저온화시켜 음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감압시키는 팽창밸브와,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를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로 증발시키면서 냉동실 또는 냉장실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 내부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증발기를 기본부품으로 하는 냉동사이클로 구성된다.
최근에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냉장고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뿐 아니라 냉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동실 도어 측에는 차가운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얼음 취출장치가 일체로 형성되고, 냉장실 도어 측에는 냉장실 내부에 저장된 음료나 물 등을 냉장실 도어를 개폐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꺼낼 수 있도록 홈바가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본체의 상측에 장착된 메인 마이컴(또는 메인 제어부)과, 냉장고 도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서브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제어 장치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디스플레이 장치는 냉장고의 상태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냉동실의 설정온도, 냉장실의 설정온도,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각얼음, 조각얼음, 물) 등)만을 제공하지, 댁내의 여러 장치와의 통신 및, 이 통신을 위한 용이한 연결 방식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댁내의 장치와 접속이 용이한 구조를 지닌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외부 통신 장치와의 접속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폰과 관련된 일련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의 힌지축의 직경의 제한으로 인하여 다수의 통신선이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보다 적은 갯수의 통신선을 사용하고도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장고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내부 제어부와,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제어부와, 사용자로부터의 통신모드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대기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통신신호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통신모드선택에 따라 통신모드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을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냉장고 제어장치와,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 내부로 진행하여 상기 냉장고 제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는 내부 통신선과, 일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 내부로 진행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의 힌지커버 외관에 형성된 통신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외부 연결선을 통하여 연결가 능한 외부 통신선으로 이루어진 통신선 어셈블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부 통신선은 인터폰 통신선과, 현관도어의 개폐 통신선과, 조명 스위치 통신선과, 상기 개폐 통신선과 조명 스위치 통신선을 위한 공통 통신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선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일단은 상기 공통 통신선과 접속하고, 타단은 상기 개폐 통신선 또는 조명 스위치 통신선 중에서 택일하여 접속하는 접속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모드선택은 전화기 통신모드 또는 조명 스위치 제어모드 또는 도어 개폐 제어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신호는 인터폰 신호 또는 전화기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통신모드화면의 표시후, 상기 입력부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대기화면을 삭제하고 상기 통신모드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정시간 동안 상기 입력부를 통한 추가적인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통신화면을 삭제하고 상기 대기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냉장고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 및 도 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외부 통신선의 연결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냉장고 본체(2) 내부에 냉동실 및 냉장실이 양측에 구획되도록 형성되고, 냉장고 본체(2)의 전면에 각각 냉동실 도어(4a) 및 냉장실 도어(4b)가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냉장실 도어(4b)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장착되며, 특히 냉장실 도어(4b)를 냉장고 본체(2)에 힌지 연결하는 힌지 커버(30) 측에 냉장고의 마이컴 또는 마이컴들과, 외부 장치(미도시)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단자(32)가 설치된다.
여기서, 냉장고 본체(2)는 냉동실 및 냉장실이 격벽(미도시)에 의해 양측에 구획되도록 형성되고, 그 내벽에 증발기(미도시)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및 냉기를 송풍시키는 냉기순환용 팬(미도시)이 내장될 뿐 아니라 냉기공급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 주변의 냉기가 냉동실 및 냉장실로 공급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냉동실 및 냉장실 내부에는 식품 등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선반(6)이 설치된다.
다음, 냉동실 도어(4a) 및 냉장실 도어(4b)는 일측 상하단이 냉장고 본체(2)에 힌지 커버(30)에 의해 힌지 연결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내측에는 역 시 식품 등을 구획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도어 바스켓(8)이 설치된다.
특히, 냉장실 도어(4b)의 외측 전면에 장방형상의 장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안착되도록 설치된다.
물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냉장고에 대한 제어 메뉴(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의 선택 및 표시, 냉동실 및 냉장실의 설정온도의 입력 및 표시 등)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현재 온도, 현재 일시, 날씨 등의 정보을 표시할 뿐 아니라 소리도 표시할 수 있는 스피커가 포함된 것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냉동실 및 냉장실로 냉기를 생성 및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또는 냉장고 제어부)(10)가 상기 냉장고 본체에 내장되도록 설치되며, 냉장고 제어부(10)로부터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로 구성된다. 이들 냉장고 제어부(10)와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냉장실 도어(4b)의 힌지축(34)을 포함하는 힌지(30)를 관통하는 전력선(PL)과 데이터선(DL)으로 연결되어 통신이 이루어진다. 보통 냉장고 제어부(10)는 본체(2)에서 공간 상의 제약이 적은, 본체(2)의 상측에 장착된다.
자세하게는, 냉장고 제어부(10)는 외부전원(일반적으로, 220V)을 인가받아 소정의 크기의 전압으로 감압하여 이 전압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11)와, 냉동실 및 냉장실 등의 온도, 습도 등을 감지하는 감지부(12)와,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압축기 제어부(13)와,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팬을 제어하는 팬 모터 제어부(14)와,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상태(예를 들면, 냉동실의 현재온도, 냉장실의 현재 온도, 디스펜서의 서비스형태 등)와 운전정보(예를 들면, 냉동실의 설정온도, 냉장실의 설정온도,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 등), 운전 알고리즘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15a)를 구비하여, 제1전원부(11)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감지부(12)로부터의 감지 결과와, 저장부(15)에 저장된 운전 정보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압축기 제어부(13)와 팬모터 제어부(14)를 제어하여 전체적인 냉동실 및 냉장실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5)로 이루어진다.
냉장고 제어부(10)에 포함된 제1전원부(11)는 220V인 외부 전압을 예를 들면 12V로 감압하여 전력선(PL)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에 공급하기도 하며, 냉장고 제어부(10) 내의 전압이 요구되는 구성요소들에게 필요한 크기의 전압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감지부(12)는 냉동실 및 냉장실 등에 설치되어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습도, 온도 등을 감지하여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6)에 제공한다.
압축기 제어부(13)와 팬모터 제어부(14)는 상술된 바와 같이,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냉기를 생성하여 순환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5)는 하나의 칩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저장부(15a)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5)는 플래쉬(flash) 타입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저장부(15a)에 저장된 파일(특히, 롬 파일)에 대한 삭제 및 기록(또는 재기록)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저장부(15a)는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상태인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습도, 온도 등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전송된 냉동실 및 냉장실의 설정온도 및 운전 형태 등을 적어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5a)는 냉동 및 냉장 제어 및 별도의 기능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면, 운전 알고리즘 등)인 롬 파일을 저장하고,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5)가 이 롬 파일을 판독하여, 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5)는 압축기 제어부(13)와 팬모터 제어부(14)를 제어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냉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저장부(15a)에 저장된 롬 파일에 따라 수행하며, 이때 감지부(11)로부터의 정보를 활용하여 최적의 냉동 및 냉장 동작을 수행한다.
이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5)는 데이터선(DL)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와 통신가능하고, 송신부(Tx)를 통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의 현재 상태 및/또는 운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냉동실 도어(4a) 등이 열려있다는 것에 대한 정보 데이터 등을 송신한다. 또한,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5)는 수신부(Rx)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운전 정보(예를 들면, 냉동실 및 냉장실의 설정온도 및 서비스형태)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저장부(15b)에 저장한다.
상술된 전력선(PL)과 데이터선(DL)은 냉장고 제어부(10)와 디스플레이 장치(20)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내부 통신선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1전원부(11)로부터 전력선(PL)을 통하여 수신한 전원(예를 들면 12V)을 수신하여 복수의 크기의 사용전원으로 감압하여 제 공하는 제2전원부(21)와, 소정의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임시로 저장하는 RAM(22)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23)와, 소정의 메시지를 음향을 통하여 발산하는 스피커(24a)와, 사용자의 음성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24b)와, 소정의 사용전원(예를 들면, 12V)를 제2전원부(21)로부터 인가받아 광을 생성하는 백라이트 유닛(25)과, 백라이트 유닛(25)에 의해 생성된 광에 의해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패널(LCD 패널)(26)과, 냉동실 및 냉장실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냉동실 및 냉장실의 상태와 운전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27a)를 구비하여,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입력부(23)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냉장고 제어부(10)로 송신하는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로 이루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외부장치 중에서 인터폰(41) 및 외부 전화기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폰 제어부(28)와, 현관 도어 개폐기(43)와의 통신을 위한 도어 제어부(29) 및, 현관 조명 조작부(44)와의 통신을 위한 조명 제어부(30) 및, 도어 제어부(29)와 조명제어부(30) 중에서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스위치(31)를 구비한다. 여기서, 댁 내의 전화기(42)와 인터폰 제어부(28)가 통신을 하는 것이 아니고, 전화국을 통하여 전화 호출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 전화국을 통하여 전화 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외부 전화기(미도시)와, 인터폰 제어부(28)가 통신하는 것이다.
자세하게는, 제2전원부(21)는 예를 들면, 12V의 공급전원을 인가받아, 그대로 백라이트 유닛(25)에 공급하기도 하고, 복수의 크기(예를 들면, 5V, 3.3V, 1.8V)의 사용전원으로 감압하여 필요한 구성요소들(마이크로프로세서(27), RAM(22), 입력부(23), 스피커(24a) 등)에 공급한다.
또한, RAM(22)은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에 의해 저장부(27a)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예를 들면, 상태 및 운전정보 등)를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에 의해 처리되기 위해 임시적으로 이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이다. 이 RAM(22)은 제2전원부(2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전원이 차단되면 데이터가 소실된다.
다음으로, 입력부(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26) 주변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3)는 버튼식이거나 터치패드식이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되어 그 버튼의 개수 및 형식이 설정된다. 이 입력부(23)는 액정패널(26)의 전면에 장착된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형식의 입력부가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스피커(24a)는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가 제2저장부(22)로부터 판독한 음향 데이터에 따라 제어됨으로써, 음향을 발산한다.
또한, 마이크(24b)는 사용자의 음성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백라이트 유닛(25)과, 액정패널(26)은 일체의 컬러 LCD부를 형성하여,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로부터 전송되는 냉장고의 상태 및 운전 정보를 보다 좋은 화질로 표시하고 그에 따라 보다 생동감있게 표시한다.
또한,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입력부(23)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송신부(Tx)로부터 데이터선(DL)을 통하여 냉장고 제어부(10)에 소정의 형태의 데이터 포맷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냉장고 제어부(10)로부터의 정보 등을 송신부(Rx)를 통하여 수신하여 저장부(27a)에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7a)는 사용자의 냉동실 온도 설정, 냉장실 온도 설정,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 설정 등의 운전 정보와, 현재의 냉동실 온도, 냉장실 온도에 대한 데이터 및, 경고 알람 등과 같은 음향 데이터 등도 저장한다.
또한, 인터폰 제어부(28)는 인터폰(41) 및 외부 전화기 간의 음성 제어 및 화상 제어를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인터폰(41) 및 외부 전화기로부터의 호출 신호를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에 송신하고,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화상 신호를 인터폰(41) 및, 전화국을 통하여 외부 전화기로 송신한다. 인터폰 제어부(28)는 통신단자(32)와 내부선(IL1)을 통하여 연결되고, 외부선(OL1)을 통하여 인터폰(41)과 외부 전화기에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도어 제어부(29)는 도어의 오픈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로부터 오픈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 개폐기(43)로 전송한다. 이 도어 개폐기(43)가 이 오픈 신호에 응답하여, 도어를 오픈한다. 이 도어 제어부(29)는 통신단자(32)와 내부선(IL2) 및 공통선(IL4)을 통하여 연결되고, 외부선(OL2), (OL4)을 통하여 도어 개폐기(43)와 연결된다.
또한, 조명 제어부(30)는 조명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 조작부(44)로 전송한다. 이에 조명 조작부(44)가 온/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조명을 온/오프시킨다. 이 조명 제어부(30)는 통신단자(32)와 내부선(IL3) 및 공통선(IL4)을 통하여 연결되고, 외 부선(OL3), (OL4)을 통하여 조명 조작부(44)와 연결된다.
또한, 스위치(31)는 도어 제어부(29) 또는 조명 제어부(30)가 택일적으로 선택되어 동작하도록 공통선(IL4)과 연결될 제어부(29, 30)와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이 스위치(31)는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도어 제어부(29) 또는 조명 제어부(30)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 스위치(31)는 공통선(IL4)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체 5개의 도선이 필요한 상황에서, 4개의 도선으로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이러한 스위치(31)는 힌지축(34)의 직경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도선의 갯수가 증가되지 않도록 한다. 이 공통선(IL4)와 연결되는 외부선(OL4)는 도어 개폐기(43)와, 조명조작부(44)에 연결되도록 갈라져서 진행한다.
상술된 내부선(IL1 내지 IL3) 및 공통선(IL4)은 외부 장치인 인터폰(41), 전화기(42), 전화국, 도어 개폐기(43) 및 조명 조작부(44)와의 접속을 위한 외부 통신선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는 각종 데이터 신호의 전달을 위한 데이터 선(DL)과,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전선(PL) 및, 내부선(IL1 내지 IL3) 및 공통선(IL4)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되, 이러한 선들은 냉장실 도어(4b) 일측에 중공형상으로 형성된 힌지축(34)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힌지 커버(30)는 상기 냉동실 도어(4a) 및 냉장실 도어(4b)를 각각 상기 냉장고 본체(2)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특히 상부에 설치되는 힌지 커버(30)는 일측 하단에 돌출되도록 힌지 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동시에 힌지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이 상기 냉장고 본체(2)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 돌기가 냉동실 도어(4a) 및 냉장실 도어(4b) 일측의 힌지축(34)에 힌지 연결된다.
이때, 힌지 커버(30)에는 냉장고의 각 구성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이 전선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치될 뿐 아니라 냉장고의 작동을 제어하는 냉장고 제어부(10)가 내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와 냉외부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통신단자(32)가 형성된다. 이 통신단자(32)는 다수의 전선이 직접 연결되거나, 암/수 커넥터 형태로 접속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이 통신단자(32)로 평상시에 외부로부터의 먼지 등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통신단자커버(미도시)가 이 통신단자(32)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힌지 커버(30)에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다양한 구성부품이 설치되기 때문에 난연 플라스틱 등과 같이 불이 잘 붙지 않는 재질인 난연(爛然)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불이 잘 붙지 않는 도료가 도포되도록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냉장고(1)가 수행하는 인터폰 서비스, 전화 서비스, 도어의 개방 서비스 및 조명 제어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저장부(27a)에 저장된 정보인 냉장고의 상태 정보, 날짜 등으로 이루어진 대기화면을 액정패널(26)을 통하여 표시한다.
먼저, 인터폰 서비스 및 전화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현관 등에 설치된 인터폰(41)을 동작시킴에 따른 인터폰 호출 신호가 발생되거나, 전화 호출 신호(또는 전화 호 신호)가 전화국으로부터 외부선(OL1)으로 도달된 경우, 이 인터폰 호출 신 호와 전화 호출 신호는 외부선(OL1)과, 통신단자(32) 및 내부선(IL1)을 통하여 인터폰 제어부(28)로 인가된다. 이에 인터폰 제어부(28)는 이 인터폰 호출 신호와 전화 호출신호를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로 인가하고, 이에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인터폰 호출 신호와 전화 호출 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통신모드화면(인터폰 통신 서비스 및 전화 통신 서비스)을 액정패널(26)에 표시한다. 이러한 통신모드화면의 표시는 대기화면이 삭제된 상태에서 표시될 수도 있고, 대기화면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액정패널(26)을 통한 시각적 표시 이외에도, 스피커(24a)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알리는 표시 방법도 가능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는 인터폰 호출 및 전화 호출에 대하여 '연결'을 선택하여 인터폰(41)과의 통신을 수행하거나 외부 전화에 대한 전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이 인터폰 호출 및 전화 호출에 응답하지 않을 경우,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설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통신모드화면을 삭제하고,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인터폰 호출 신호가 수신된 경우의 통신모드화면은 도 4와 같다.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인터폰 호출'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구와, '연결' 메뉴, '종료' 메뉴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입력부(23)를 통하여 '연결' 메뉴를 선택하면,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인터폰(41)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영상을 스피커(24a)와 액정패널(26)을 통하여 표출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24b)를 통하여 획득하여 인터폰 제어부(28)를 통하여 인터폰(41)으로 전송한다.
도 4의 상황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입력부(23)를 통하여, '도어' 개방 선택을 인식하고, 도어 제어부(29)로 도어개방명령을 인가함과 동시에, 스위치(31)로 도어 제어부(29)에 대한 선택 명령을 인가하여, 도어 제어부(29)가 도어 개폐기(43)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도어 개폐기(43)는 도어를 개방한다.
도 4의 상황에서, 사용자가 현관의 조명을 온시키기 위해, '조명'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입력부(23)를 통하여, '조명' 개방 선택을 인식하고, 조명 제어부(30)로 조명 온명령을 인가함과 동시에, 스위치(31)로 조명 제어부(30)에 대한 선택 명령을 인가하여, 조명 제어부(30)가 조명 조작부(44)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조명 조작부(44)는 조명을 온시킨다.
도 4의 상황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추가적인 입력(입력부(23)를 통한 입력)이 없거나, 사용자가 '종료'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인터폰 통신 서비스를 종료하게 된다. 이에,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도 4의 인터폰 통신모드화면을 삭제하고,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도 4의 상황에서, 사용자가 '연결' 메뉴를 선택하지 않으면,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인터폰 제어부(28)가 수신하는 데이터를 스피커(24a)나 액정패널(26)을 통하여 표시하지 않는다. 또한, 설정시간 동안에 이러한 '연결'메뉴의 선택이 없으면,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인터폰 통신모드화면을 삭제하고, 대기화면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폰(41)으로부터의 인터폰 호출 신호가 마지막으로 수신된 이후, 설정시간 동안에 이러한 '연결' 메뉴의 선택이 없으면, 대기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전화 호출 신호가 수신된 경우의 통신모드화면은 도 5와 같다.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전화 호출'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구와, '연결' 메뉴, '종료' 메뉴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입력부(23)를 통하여 '연결' 메뉴를 선택하면,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전화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또는 음성 및 영상)을 스피커(24a)(또는 스피커(24a)와 액정패널(26))를 통하여 표출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24b)를 통하여 획득하여 인터폰 제어부(28)를 통하여 전화국으로 전송한다.
도 6은 사용자가 외부 신호의 입력없이 선택가능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통신모드화면의 실시예이다. 즉, 사용자가 입력부(23)를 통하여 통신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가 도 6의 통신모드화면을 표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서비스는 전화 통화를 위한 '전화' 메뉴와, 도어 개방을 위한 '도어' 메뉴와, 조명을 켜기 위한 '조명' 메뉴로 이루어진다.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메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거나, 추가적인 통신모드화면(도 7 참조)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어' 메뉴와 '조명' 메뉴의 선택의 경우,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는 도어 제어부(29) 및 조명 제어부(30)와 스위치(31)에 그에 대응하는 명령을 인가하여,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7은 사용자가 '전화' 메뉴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해야 하므로, 이를 위한 통신모드화면이다. 전화통화를 위한 통신모드화면은 전화번호의 입력을 위한 입력창(a)과, 입력된 번호를 표시하는 표시창(b)과, '연결' 메뉴 및 ' 종료' 메뉴를 포함한다. 특히, 입력창(a)의 경우, 입력부(23)가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인 경우에 유용하다. '연결' 메뉴가 선택된 때, 제2마이크로프로세서(27)가 표시창(b)에 표시된 전화번호를 인터폰 제어부(28)로 인가하고, 인터폰 제어부(28)가 이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 호출 신호를 내부선(IL1)과, 통신단자(32) 및 외부선(OL1)을 통하여 전화국으로 송신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댁내의 장치와 접속이 용이한 구조를 지니도록 하여, 다양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외부 통신 장치와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단자 및 통신선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폰과 관련된 일련의 서비스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제공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의 힌지축의 직경의 제한으로 인하여 다수의 통신선이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보다 적은 갯수의 통신선을 사용하고도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여, 이러한 통신선이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냉장고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내부 제어부와,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제어부와, 사용자로부터의 통신모드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대기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통신신호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통신모드선택에 따라 통신모드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을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냉장고 제어장치와;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 내부로 진행하여 상기 냉장고 제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는 내부 통신선과, 일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 내부로 진행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의 힌지커버 외관에 형성된 통신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외부 연결선을 통하여 연결가능한 외부 통신선으로 이루어진 통신선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선은 인터폰 통신선과, 현관도어의 개폐 통신선과, 조명 스위치 통신선과, 상기 개폐 통신선과 조명 스위치 통신선을 위한 공통 통신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선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일단은 상기 공통 통신선과 접속하고, 타단은 상기 개폐 통신선 또는 조명 스위치 통신선 중에서 택일하여 접속하는 접속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선택은 전화기 통신모드 또는 조명 스위치 제어모드 또는 도어 개폐 제어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신호는 인터폰 신호 또는 전화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통신모드화면의 표시후, 상기 입력부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대기화면을 삭제하고 상기 통신모드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정시간 동안 상기 입력부를 통한 추가적인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통신화면을 삭제하고 상기 대기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60128982A 2006-12-15 2006-12-15 냉장고 KR101357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982A KR101357352B1 (ko) 2006-12-15 2006-12-1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982A KR101357352B1 (ko) 2006-12-15 2006-12-1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527A true KR20080055527A (ko) 2008-06-19
KR101357352B1 KR101357352B1 (ko) 2014-02-12

Family

ID=3980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982A KR101357352B1 (ko) 2006-12-15 2006-12-1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3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588B1 (ko) * 2009-04-10 2011-04-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US10366221B2 (en) 2016-02-19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ngl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416B1 (ko) * 2000-03-30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01285963A (ja) * 2000-03-31 2001-10-12 Fujitsu General Ltd 多機能型冷蔵庫
KR100687918B1 (ko) * 2000-06-20 200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시기능을 갖는 냉장고
KR100385186B1 (ko) * 2000-11-29 2003-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전화기 기능을 갖는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588B1 (ko) * 2009-04-10 2011-04-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US10366221B2 (en) 2016-02-19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ngl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352B1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5131B2 (ja) 冷蔵庫
JP4039294B2 (ja) 冷凍冷蔵庫
US20100024466A1 (en) Refrigerator
AU2006291683A1 (en) Refrigerator
KR20080004822A (ko) 냉장고의 자동표시장치
JP2006329459A (ja) 冷蔵庫
KR20070106118A (ko) 냉장고의 스피커 장착구조
JP2005055134A (ja) 冷蔵庫
KR101357352B1 (ko) 냉장고
KR20040094453A (ko) 김치냉장고
KR20080105932A (ko) 냉장고
KR20080035098A (ko) 적외선 통신이 가능한 냉장고와 리모컨
JP3440913B2 (ja) 冷凍冷蔵庫、冷凍冷蔵庫の制御方法
KR101303986B1 (ko) 냉장고
KR101304117B1 (ko)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
KR20010037549A (ko) 내부 투시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KR200347403Y1 (ko) 텔레비전 겸용 냉장고의 전원공급장치
KR100756697B1 (ko) 다중표시부를 지닌 냉장고
KR100690162B1 (ko) 멀티미디어 연결용 냉장고
KR20080105929A (ko) 냉장고
KR101392042B1 (ko) 냉장고
KR20080105930A (ko) 냉장고용 탈부착 디지털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장치
CN210625043U (zh) 冰箱
KR20080105928A (ko) 냉장고
KR101304002B1 (ko) 냉장고의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