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333A - 상수도용 팽창실을 갖는 수문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용 팽창실을 갖는 수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333A
KR20080055333A KR1020060128539A KR20060128539A KR20080055333A KR 20080055333 A KR20080055333 A KR 20080055333A KR 1020060128539 A KR1020060128539 A KR 1020060128539A KR 20060128539 A KR20060128539 A KR 20060128539A KR 20080055333 A KR20080055333 A KR 20080055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frame
sluice
water
water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김영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김영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128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5333A/ko
Publication of KR20080055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2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에 수밀성을 크게 부여하고 작업성 및 유지 관리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상수도용 팽창실을 갖는 수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문틀에 기체를 주입함으로서 부풀어 오르는 튜브형의 실링부재(Inflatable Seal)를 설치하여 수문을 수밀하게 압착시킴으로서 수밀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그 실링부재는 수문의 승강시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에 의해서 마모가 되지 않아 수문장치의 장기간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설치가 쉽고 교체가 쉬워 작업성 및 유지 관리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수문, 압착, 튜브, 기체, 수밀성

Description

상수도용 팽창실을 갖는 수문장치{Gate Device For Water Supply Having Inflatable Seal}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2는 도1의 Ⅰ-Ⅰ선 단면도,
도3은 도1의 Ⅱ-Ⅱ선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서 실링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수로 3:축
5:구동수단 10:수문틀
20:수문 11:배수공
13:가이드 프레임 50:실링부재
53:돌기 55:기체 주입구
71:고정수단
본 발명은 물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수로에 설치되는 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문틀에 공기와 같은 기체를 주입함으로서 부풀어 오르는 튜브형의 실링부재(Inflatable Seal)를 설치하여 수문을 수밀하게 압착시킴으로서 수밀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한 상수도용 팽창실을 갖는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컨대, 상수도의 정수처리장 뿐만 아니라 하수도의 정수처리장, 하수처리장, 산업폐수처리장 등에 형성되는 수로에는 물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서 수문장치가 설치되어 있음이 주지된 사실이다. 수문장치는 수로에 입설되는 수문틀을 따라 수문이 승강하면서 수문틀에 형성되는 배수공을 개폐함으로서 물의 흐름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수문이 배수공을 닫은 상태에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수밀성을 부여하는 것은 웨지수단과 실링부재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웨지수단은 서로 역경사면을 갖고 수문과 수문틀에 각각 대응 설치되어 배수공을 폐쇄하는 수문에 수문틀에 대하여 압착력을 부여함으로서 웨지수단의 반대편에 수문과 수문틀에 각각 대응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서로 밀착시켜 수문에 수밀성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실링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승강하는 수문에 의해서 서로 마찰되어 쉽게 마모됨으로서 마모가 되면 웨지수단이 아무리 압착력을 부여한다 하더라도 누수가 되는 틈이 발생되어 장기간 사용에 문제가 있고, 또한 볼트를 통하여 수문과 수문틀에 장착되고 나면 표면이 매끄럽도록 연마작업이 수반되기 때문에 가공 공수가 많고 이 때문에 제조단가와 제품단가가 비싸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마모나 파손 등에 의해서 못쓰게 되는 경우 수문장치 전체를 들어내 교체를 해야하기 때문에 사실상 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수문틀 과 설치 벽면이 완벽하게 연직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누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문틀에 기체를 주입함으로서 부풀어 오르는 튜브형의 실링부재를 설치하여 수문을 수밀하게 압착시킴으로서 수밀성을 크게 향상시키기 위한 상수도용 팽창실을 갖는 수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가 쉽고 교체가 쉬워 작업성 및 유지 관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수도용 팽창실을 갖는 수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로에 배수공을 형성하며 입설된 가이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수문틀; 상기 수문틀의 상부에 장착된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배수공을 개폐할 수 있게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승하강되게 설치된 수문; 및 튜브구조를 이루며, 상기 수문 틀에서 배수공의 주위로만 설치되어 상기 수문과 대면하게 위치되며, 팽창시 상기수문을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수밀성을 이루게 밀착시키도록 된 팽창식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상수도용 팽창실을 갖는 수문장치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문틀에 탈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문이 상기 배수공을 폐쇄시에만 팽창되면서 수밀성을 부여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문과 마주 보는 중앙부위만이 팽창하거나 수축 되며, 상기 수문에 대하여 팽창되면서 밀착되는 부위에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돌조형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2는 도1의 Ⅰ-Ⅰ선 단면도, 도3은 도1의 Ⅱ-Ⅱ선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서 실링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용 팽창실을 갖는 수문장치는 수로(1)에 고정 설치되는 수문틀(10)과 그 수문틀(10)을 통해 수로(1)를 개폐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와 같은 수지, 스테인레스강 또는 철 중 어느하나로 이루어지는 수문(20)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문(20)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문틀(10)의 중앙에는 그 수문틀(10)을 관통하여 상기 수로(1)와 연락하는 배수공(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배수공(11)을 상기 수문(20)이 개폐함으로서 상기 수로(1)를 개폐한다. 상기 수문틀(10)은 좌우 양측에 ㄷ자 형상의 가이드 프레임(13)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수문(20)은 그 가이드 프레임(13)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배수공(11)을 개폐한다.
상기 수문(20)은 축(3) 연결되는 구동모터 또는 핸들과 같은 구동수단(5)의 구동으로 승강하고, 상기 축(3)은 스핀들이 될 것이다.
그리고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문틀(10)에는 상기 배수공(11)을 폐쇄하고 있는 상기 수문(20)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밀성을 부여하기 위한 실링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링부재(50)는 상기 배수공(11)의 주위로 설치되어 상기 배수공(11)을 폐쇄하는 상기 수문(20)과 대면하며, 그 좌우 양측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13)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서 상기 수문(20)의 좌우 양측과 대면한다. 이처럼 설치되는 상기 실링부재(50)는 상기 배수공(11)과 동일한 모양을 갖는 폐곡선의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수문틀(10)에 설치됨으로서 상기 수문(20)과 대면한다.
이러한 상기 실링부재(50)는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공기나 가스와 같은 기체로 부풀어 올라 상기 수문(20)을 밀어 올려 그 좌우측을 상기 가이드 프레임(13)에 압착시키고 상기 수문(20)과 밀착됨으로서 상기 수문(20)에 수밀성을 부여하는 튜브형이다. 이처럼 고무풍선 처럼 부풀어 올라 상기 수문(20)에 수밀성을 부여하는 상기 실링부재(50)는 평소에는 상기 수문(20)의 승강시 서로 닿지 않도록 수축되어 있다가 상기 수문(20)이 상기 배수공(11)을 폐쇄하면 부풀어 올라 상기 수문(20)에 수밀성을 부여한다. 상기 수문(20)은 마찰 등을 피하기 위해서 상기 수문틀(10)로부터 들린 상태로 승강하기 때문에, 그 들린 간격보다 낮게 상기 실링부재(50)가 수축되면 상기 수문(20)의 승강시 서로 닿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실링부재(50)는 상기 수문(10)과 마찰을 일으키지 않아 마모되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 실링부재(50)는 그 좌우측을 상기 수문(20)과 마주 보는 중앙보다 두께나 소재 등을 달리함으로서 수축되었을 시 그대로 둔 채 중앙만이 옴푹 들어가는 V 자형을 취한다. 따라서 기체가 주입되면 오므라든 중앙만이 부풀어 오른다. 이는 상기 수문(20)과 밀착되는 부분만 효과적으로 부풀어 오르게 함으로서 상기 실링부재(20)가 상기 수문(20)에 신속하게 수밀성을 부여하도록 한다. 또한 부풀어 올라 상기 수문(20)과 밀착하는 부위에는 상기 실링부재(50)의 길이를 따라 돌조형의 돌기(53)를 돌출 형성함으로서 상기 수문(20)과의 밀착 면적을 넓혀 수밀성을 더 효과적으로 부여하고 있다. 기체가 주입되어 완전히 부풀어 오른 상기 실링부재(50)는 단면으로 보아 원형상을 취한다. 기체의 주입은 상기 실링부재(50)에 설치되는 주입구(55)에 콤프레셔와 같은 주입수단(미도시)이 연결됨으로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5)의 구동으로 상기 수문(20)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13)을 타고 내려와 상기 배수공(11)을 폐쇄하면, 상기 주입구(55)를 통해서 상기 실링부재(50)에 기체가 주입된다. 기체가 주입되면,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부재(50)의 중앙이 부풀어 올라 상기 돌기(53)가 상기 수문(20)과 맞닿으면서 밀어 올리는데, 상기 수문(20)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13)의 내부 윗면에 밀착될 때까지 밀어 올리면, 상기 수문(20)에 대하여 수밀성 부여가 끝난다. 그러면 상기 수문(20)은 상기 실링부재(50)로부터 압착력을 받아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고, 상기 수문(20)과 수문틀(10)의 틈사이로 들어오는 물은 상기 수문(20)과 견고히 밀착하고 있는 상기 돌기(53)에 막힘으로서 수밀성이 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문(20)에 수밀성을 부여하는 상기 실링부재(50)는 상기 수문틀(10)에 탈착되게 설치됨으로서 손상시 그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상기 실링부재(50)는 상기 실링부재(50)가 설치될 부위를 따라 상기 수문틀(10)에 고정 설 치되는 다수개의 클립과 같은 고정수단(71)에 끼움 결합됨으로서, 혹시 마모되거나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입으면 상기 수문(20)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71)으로부터 잡아 빼면 쉽게 빠지고 반대로 밀어 넣기만 하면 간단히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문틀에 기체를 주입함으로서 부풀어 오르는 튜브형의 실링부재를 설치하여 수문을 수밀하게 압착시킴으로서 수밀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실링부재는 수문의 승강시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에 의해서 마모가 되지 않아 수문장치의 장기간 사용을 가능하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과 같이 역지수단과 금속 실링부재의 사용을 탈피하여 실링부재를 연마해야하는 작업이 필요없고, 수문틀의 상태가 고르지 않아도 즉, 연직되지 않아도 설치 후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며, 수문틀에 대하여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설치가 쉽고 교체가 쉬워 작업성 및 유지 관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단가와 제품단가를 저렴하게 함으로서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수로에 배수공을 형성하며 입설된 가이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수문틀;
    상기 수문틀의 상부에 장착된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배수공을 개폐할 수 있게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승하강되게 설치된 수문; 및
    튜브구조를 이루며, 상기 수문 틀에서 배수공의 주위로만 설치되어 상기 수문과 대면하게 위치되며, 팽창시 상기수문을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수밀성을 이루게 밀착시키도록 된 팽창형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상수도용 팽창실을 갖는 수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문틀에 탈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문이 상기 배수공을 폐쇄시에만 팽창되면서 수밀성을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팽창실을 갖는 수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문과 마주 보는 중앙부위만이 팽창하거나 수축되며, 상기 수문에 대하여 팽창되면서 밀착되는 부위에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돌조형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팽창실을 갖는 수문장치.
KR1020060128539A 2006-12-15 2006-12-15 상수도용 팽창실을 갖는 수문장치 KR20080055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539A KR20080055333A (ko) 2006-12-15 2006-12-15 상수도용 팽창실을 갖는 수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539A KR20080055333A (ko) 2006-12-15 2006-12-15 상수도용 팽창실을 갖는 수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333A true KR20080055333A (ko) 2008-06-19

Family

ID=3980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539A KR20080055333A (ko) 2006-12-15 2006-12-15 상수도용 팽창실을 갖는 수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53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6609A (zh) * 2013-11-25 2014-02-05 云南星禹水利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延寿型弹性密封式水闸门结构
KR102225204B1 (ko) * 2020-07-23 2021-03-08 조영재 수문 시스템
CN114411649A (zh) * 2022-03-07 2022-04-29 江苏省江都水利工程管理处 一种气动式自密闭姿态可调整闸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6609A (zh) * 2013-11-25 2014-02-05 云南星禹水利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延寿型弹性密封式水闸门结构
KR102225204B1 (ko) * 2020-07-23 2021-03-08 조영재 수문 시스템
CN114411649A (zh) * 2022-03-07 2022-04-29 江苏省江都水利工程管理处 一种气动式自密闭姿态可调整闸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1199B1 (ko) 관로 보수용 비굴착 반전장치
KR20080055333A (ko) 상수도용 팽창실을 갖는 수문장치
CN111778988A (zh) 一种地下连续墙门式应急堵漏装置及方法
KR100921481B1 (ko) 상하수 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 및 장치
CN109812042B (zh) 污水处理构筑物伸缩缝的不停水灌浆修复方法
US2889684A (en) Prefabricated irrigation gate
KR100719495B1 (ko) 하수도용 수문장치
RU2471114C2 (ru) Устройство мног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для инвертирования вкладышей, вулканизируемых на месте эксплуатации
KR20100010477U (ko) 수문
KR200355906Y1 (ko) 수문의 구조
KR101360172B1 (ko) 맨홀 차오름식 물돌리기 방법 및 물돌리기 장치
CN111778987A (zh) 一种地下连续墙门式应急堵漏装置及方法
KR101602183B1 (ko) 상하수관거 비굴착 보수 보강 공법
KR200413658Y1 (ko) 상하수도용 수문장치
KR100545483B1 (ko) 상·하수도관 및 산업용 배관의 보수용 튜브의 반전장치
KR101926810B1 (ko) 상향 밀폐식 비금속 수문
KR101699492B1 (ko) 상하수관거 보수 보강을 위한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847600B1 (ko) 관로용 고무게이트
KR200427611Y1 (ko) 자동비를 갖는 상하수도용 수문장치
KR200195746Y1 (ko) 관로 지수체
CN205534636U (zh) Hdpe排水管止水环
CN217174643U (zh) 一种能够快速输水的内河航道阀门
KR100834943B1 (ko) 상수도용 밸브
CN210887157U (zh) 一种压力管道进人孔的封堵装置
CN219432554U (zh) 一种带防堵塞功能的水管阀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