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292A -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292A
KR20080055292A KR1020060128408A KR20060128408A KR20080055292A KR 20080055292 A KR20080055292 A KR 20080055292A KR 1020060128408 A KR1020060128408 A KR 1020060128408A KR 20060128408 A KR20060128408 A KR 20060128408A KR 20080055292 A KR20080055292 A KR 20080055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ship
stage
exhaust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민
설신수
김종화
차훈
신현준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8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5292A/ko
Publication of KR2008005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23J11/04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in locomotives; in road vehicles; in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배기가스 배출부인 연돌의 형상 개선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세하게는 선박 연돌 배기관에 설치되는 다단식 배기관과, 상기 다단식 배기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식 배기관 작동장치로 구성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배기관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배기가스관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가 선원 및 선적화물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선박 연돌 배기관에 있어서, 상기 선박 연돌 배기관에 연장되어 설치되며 신축이 가능한 다단식 배기관과, 상기 다단식 배기관의 최 외곽단과 연결되어 다단식 배기관을 신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단식 배기관 작동장치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배기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다단식 배기관은 적어도 2단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다단식 배기관은 필요에 따라 축소관 또는 확대관의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에 관한 것이다.
연돌 배기가스, 다단식 배기관, 작동장치, 팬 룸, 높이조절

Description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Height adjustable multi-stage exhaust gas pipe for a ship}
도 1 은 LNG선 연돌 배기가스 배출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바람이 측면에서 불 때 배기가스의 기류 분포도,
도 3 은 현재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선박 연돌 배기관의 개략도,
도 4 는 본 발명인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의 3단 배기관을 갖는 확장형 배기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인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의 3단 배기관을 갖는 축소형 배기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선박 연돌 배기관 (2): 팬룸(fan room) 흡입구
(3): 바람 방향 (4): 선박 연돌 배기가스 기류 분포
(5): 배기 가스 (6): 다단식 배기관 작동장치
(7): 다단식 배기관 (71): 제 1 배기관
(72): 제 2 배기관 (73): 제 3 배기관
(74): 걸림홈
본 발명은 선박의 배기가스 배출부인 연돌의 형상 개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연돌 배기관에 설치되는 다단식 배기관과, 상기 다단식 배기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식 배기관 작동장치로 구성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배기관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배기가스관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가 선원 및 선적화물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LNG선 연돌 배기가스 배출부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박 연돌 배기관(1)은 엔진룸 케이싱(Casing) 상부에 위치하며 엔진, 보일러, 발전기 등에서 발생 되는 배기가스를 모아 선박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엔진룸 내부의 각종 기계장치의 냉각과 선원들의 호흡공기를 확보하기 위하여 연돌 하단부에 팬 룸(Fan room)이 설치되며, 팬 룸 입구를 통하여 약 2~4m/s의 속도로 주변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연돌 배기가스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는 선박의 속도, 풍속 풍향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따라 퍼져가게 되는데, 바람이 측면에서 불어올 경우 강한 와류가 연돌 측면에 형성되어, 도 2 와 같이 배기가스가 연돌 아래로 가라앉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인체에 유해한 배기가스가 팬 룸 흡입구(2)를 통하여 엔진룸과 선실로 유입되어 선원들의 건강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선에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 할 경우 배기가스가 엔진룸과 선실로 유입되는 문제 이외에도 배기가스 기류의 높이가 낮아서 선적된 화물에 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돌 상단의 배기관을 높게 설치하여 팬 룸 입구와의 거리를 멀리 떨어지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나, 선박의 경우 다양한 항구를 드나들기 때문에 특정 높이의 다리(Bridge)를 통과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선박의 높이를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돌 측면을 둥글게 라운딩 형상으로 제작하여 와류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안이 적용되고 있으나, 배기가스 유입에 대한 완전한 해결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연돌 배기가스 배출구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단식 배기가스관을 설치하여 평상 운항 시에는 연돌 배기가스 배출구의 높이를 높게 유지하여 배기가스가 팬 룸 흡입구로 유입되거나 선적화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리통과시에는 연돌 배기가스 배출구의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선박 연돌 배기관에 있어서, 상기 선박 연돌 배기관에 연장되어 설치되며 신축이 가능한 다단식 배기관과, 상기 다단식 배기관의 최 외곽단과 연결되어 다단식 배기관을 신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단식 배기관 작동장치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배기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에 관한 것이다.
한편, 상기 다단식 배기관은 적어도 2단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단식 배기관은 필요에 따라 축소관 또는 확대관의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인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의 3단 배기관을 갖는 확장형 배기관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인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의 3단 배기관을 갖는 축소형 배기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선박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선박 연돌 배기관(1)과, 상기 선박 연돌 배기 관(1)에 연장되어 설치되며 신축이 가능한 다단식 배기관(7)과, 상기 다단식 배기관(7)의 최 외곽단과 연결되어 다단식 배기관을 신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단식 배기관 작동장치(6)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다단식 배기관(7)은 2단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한 실시예로 도 4 및 도 5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3단 배기관의 형상을 살펴보면, 배기관에 연장 설치되며 최 상단에 배기관 바깥쪽으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배기관(71)과, 상기 제 1 배기관과 결합되며 상단 및 하단에 걸림홈(74)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배기관(72)과, 상기 제 2 배기관(72)과 결합되며 하단에 걸림홈(74)이 형성되어 있는 제 3 배기관(7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2 배기관(72)과 제 3 배기관(73)은 결합되는 배기관보다 원의 지름이 크거나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며 최대로 이동할 경우 각 걸림홈(74)이 서로 맞물려서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3 배기관(73)은 배기관 작동장치(6)와 연결되어 있으며, 배기관 작동장치(6)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다단식 배기관(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다단식 배기관(7)이 상부로 갈수록 배기관의 구경이 커지는 확대관 형상으로 결합되는 경우 제 3 배기관(73)의 외곽부와 결합되며, 다단식 배기관이 상부로 갈수록 배기관의 구경이 작아지는 축소관일 경우에는 제 3 배기관(73)의 안쪽 내벽에 연결되며 배기관 작동장치와는 연결봉을 사용함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기관 작동장치는 유압실린더 또는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선박의 통상 운항시에는 연돌 배기관의 높이를 높게 하여 배기가스가 팬 룸 유입구를 통하여 엔진룸과 선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리를 통화할 때에는 연돌 배기관의 높이를 낮게 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배기관으로 두가지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배기가스의 선실 유입에 의한 선원들의 피해사례를 해결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선박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선박 연돌 배기관에 있어서,
    상기 선박 연돌 배기관에 연장되어 설치되며 2단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단식 배기관과,
    상기 다단식 배기관과 연결되어 다단식 배기관을 신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단식 배기관 작동장치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배기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식 배기관은 배기관에 연장 설치되며 최 상단에 배기관 바깥쪽으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배기관(71)과, 상기 제 1 배기관과 결합되며 상단 및 하단에 걸림홈(74)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배기관(72)과, 상기 제 2 배기관(72)과 결합되며 하단에 걸림홈(74)이 형성되어 있는 제 3 배기관(73)으로 구성되어,
    제 3 배기관이 배기관 작동장치에 의해 상승하면 제 3 배기관의 걸림홈(74)과 제 2 배기관의 걸림홈이 서로 맞물려 제 2 배기관 역시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식 배기관은 필요에 따라 축소관 또는 확대관의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
KR1020060128408A 2006-12-15 2006-12-15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 KR20080055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408A KR20080055292A (ko) 2006-12-15 2006-12-15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408A KR20080055292A (ko) 2006-12-15 2006-12-15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292A true KR20080055292A (ko) 2008-06-19

Family

ID=3980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408A KR20080055292A (ko) 2006-12-15 2006-12-15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529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7928A (zh) * 2011-10-24 2012-04-11 重庆长航东风船舶工业公司 船用液压升降烟囱
KR101226024B1 (ko) * 2010-06-08 2013-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1316841B1 (ko) * 2010-12-09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압축가스 안전 배출 장치
KR101526791B1 (ko) * 2014-03-05 2015-06-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다수의 원통을 갖는 제트 후드
CN106585942A (zh) * 2017-01-12 2017-04-26 江苏科技大学 一种可伸缩式船用烟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024B1 (ko) * 2010-06-08 2013-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1316841B1 (ko) * 2010-12-09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압축가스 안전 배출 장치
CN102407928A (zh) * 2011-10-24 2012-04-11 重庆长航东风船舶工业公司 船用液压升降烟囱
KR101526791B1 (ko) * 2014-03-05 2015-06-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다수의 원통을 갖는 제트 후드
CN106585942A (zh) * 2017-01-12 2017-04-26 江苏科技大学 一种可伸缩式船用烟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9282B2 (ja) 送風機および換気システム
KR20080055292A (ko)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박용 다단식 배기관
JP2012506514A (ja) 改良型のトンネル換気装置
JP2022058368A (ja) 排気ガス処理システム
JP2009156695A (ja) 風洞境界層制御装置及び風洞試験装置
CN104791025A (zh) 一种用于降低低压涡轮叶片分离损失的控制结构及方法
KR101555352B1 (ko) 통풍공을 이용한 터널 풍압 경감 장치
CN108016597B (zh) 一种船舶机舱的通风排气系统
US20140250900A1 (en) Gas turbine power plant with carbon dioxide separation
EP2825741B1 (en) Truck provided with a device for lowering the temperature of exhaust gas
JP2010042141A (ja) 不活性ガス消火設備の抜圧装置
JP6208446B2 (ja) 送風機支持体および換気システム
KR101526791B1 (ko) 다수의 원통을 갖는 제트 후드
KR101910690B1 (ko) 액화천연가스 및 원유 생산 저장용 부유식 해양 설비 구조물의 선실용 환기 시스템
KR20100003564U (ko) 선박의 배기가스 배출촉진장치
JP6571931B2 (ja) 送風機および換気システム
JP2016098783A (ja) 水素ガスタービン用のエンクロージャ
JP2007247565A (ja) 排気装置、排気装置の運転方法
US20120174586A1 (en) Duct with transition section for turbine exhaust
Tarada et al. Impulse ventilation for tunnels–a state of the art review
US10408492B2 (en) Drain hole orifice device
JP2008215732A (ja) 煙突の排煙変向抑制装置
CN103277135B (zh) 呼吸区送风与下部送风相结合的隧道火灾逃生系统
CN217601187U (zh) 一种基于喷管效应的箱型桥梁减振装置
KR102473594B1 (ko) 자동차 전용 운반선용 연돌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