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4676A - Device for lifting subsidiary material for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Device for lifting subsidiary material for construction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54676A KR20080054676A KR1020060127033A KR20060127033A KR20080054676A KR 20080054676 A KR20080054676 A KR 20080054676A KR 1020060127033 A KR1020060127033 A KR 1020060127033A KR 20060127033 A KR20060127033 A KR 20060127033A KR 20080054676 A KR20080054676 A KR 200800546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pe
- lifting
- binding
- loading frame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1—Hau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attachment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결속로프 조임구의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inding rope fastener,
도 3은 인양로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rope is coupled,
도 4는 부속자재가 적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ccessory is loaded,
도 5는 종래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uilding accessories lifting mechanism.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틀체 11 : 적재틀10: frame 11: loading frame
12 : 수평봉 20 : 걸고리12: horizontal bar 20: hook
21 : 이탈방지레버 30 : 결속로프 조임구21: release prevention lever 30: binding rope fastener
31 : 지지대 33 : 로프권취봉31: support 33: rope winding rod
34 : 래칫휠 35 : 래치34: ratchet wheel 35: latch
36 : 로프걸이 40 : 결속로프36: rope hanger 40: binding rope
50 : 인양로프 60 : 결속로프 결속구50: lifting rope 60: binding rope binding hole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철근콘크리트 타설에 필요한 각종 형태의 철근 등의 부속자재를 사용위치로 인양하는 데 사용하는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형태의 철근 등의 부속자재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인양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attachment lifting device for use in lifting the auxiliary materials, such as the reinforcement of various types required for reinforcement concrete in the construction site to the use position, and in particular safe and effecti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attachment lifting device for building.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로 성형된 철근과 결속구 등 다양한 부속자재를 사용위치로 인양하여야 한다.In general, in order to place reinforced concrete at the construction site, it is necessary to lift various accessory materials such as reinforcing bars and binding holes formed in various forms to the use position.
종래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이 19~25mm인 2가닥의 철근(110,120)을 수평부(111,121)와 이 수평부(111,121)의 양단에서 절곡된 절곡부(112,122)를 가지는 대략 "ㄷ"자형으로 절곡하고, 양측 절곡부(112,122)의 상단을 다시 절곡하여 고리부(113,123)를 가지도록 성형하여 상기 수평부(111,121)에 철근 등의 각종 부속자재를 걸쳐놓고 고리부(113,123)에 크레인의 로프 후크(미도시)를 걸어 사용위치로 인양하고 있다.In the related art, as shown in FIG. 5, the two reinforc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양기구는 철근 등의 각종 부속자재를 수평부(111,121)에 걸친 상태로 인양하기 때문에 양중시 철근 등의 부속자재들이 추락하여 인명사고나 자재 및 장비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lifting device lifts various accessory materials, such as rebars, in a state spanning the
또한 이러한 인양기구는 정식 규격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고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그때그때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건설현장의 여기저기에 널려 있게 되어 별도의 정리정돈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등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 다.In addition, the lifting mechanism is not manufactured to a formal standard, but is manufactured and used at that time as needed in the field. have.
한편 종래에는 철재나 목재 등으로 제작된 박스에 철근 등의 부속자재를 적재하여 인양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철근 등의 부속자재의 크기에 따라 매우 큰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양동선상에 문제가 있으며, 현장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커서 공간활용상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박스 안에 적재된 철근 등의 부속자재가 서로 엉키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the reinforcing materials such as reinforcing bars are loaded and lifted in a box made of steel or wood, and in this case, a very large space is requir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einforcing materials such as reinforcing bars. In addition, the space occupied in the field is not only a problem in the utilization of space, but also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accessory materials, such as reinforcing bars loaded in the box is tangled with each oth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철근 등의 부속자재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인양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ilding attachment lifting device for safely and effectively lifting attachments such as rebar in various for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속자재의 길이에 제약 없이 다양한 부속자재를 인양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ilding accessory lifting device for lifting the various accessory materials without restriction of the length of the accessory materials.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속자재가 걸쳐진 상태로 적재되는 적재틀과, 상기 적재틀의 네 모서리에 연결되며 수직으로 설치되어 부속자재의 측방유동을 방지하는 수직봉을 가지는 틀체와; 상기 틀체의 네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인양로프가 걸리는 걸고리와; 상기 적재틀에 설치되는 결속로프 조임구와; 일단부가 상기 적재틀에 결속됨과 아울러 타단부가 결속로프 조임구에 권취되어 적재틀에 적재된 부속자재를 결속하는 결속로프 및; 상기 걸고리에 걸리는 인양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 that is loaded in a state in which the accessories are stacked, and a frame having a vertical rod connected to four corners of the loading frame and installed vertically to prevent lateral flow of the accessories. ; A hook which is installed at four corners of the frame and hangs a lifting rope; A binding rope fastener installed in the loading frame; A binding rop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ading frame and the other end wound around the binding rope fastener to bind the accessory material loaded on the loading frame; Provided is a building attachment lifting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a lifting rope that is caught on the hook.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building material lif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의 사시도, 도 2는 결속로프 조임구의 사시도, 도 3은 인양로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부속자재가 적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attachment lifting device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inding rope fasteners,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ing rope coupled stat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loaded with accessories. .
도 1 내지 도 3에서, 10은 대략 "ㅁ"자형으로서 수평으로 설치되어 부속자재가 걸쳐진 상태로 적재되는 적재틀(11)과, 상기 적재틀(11)의 네 모서리에 연결되며 수직으로 설치되어 부속자재의 측방유동을 방지하는 수직봉(12)을 가지는 틀체이고, 20은 상기 틀체(10)의 네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걸고리이며, 30은 상기 적재틀(10)에 설치되는 결속로프 조임구이고, 40은 그 일단부가 상기 적재틀(11)에 결속됨과 아울러 그 타단부가 결속로프 조임구(30)에 권취되어 적재틀(11)에 적재된 부속자재(M)를 결속하는 결속로프이며, 50은 상기 걸고리(20)에 걸리는 인양로프이다.In Figures 1 to 3, 10 is a substantially "ㅁ" shaped horizontally installed loading frame (11) to be stacked in a state in which the accessories are stacked, connected to the four corners of the loading frame (11) and installed vertically It is a frame having a
상기 적재틀(11)과 수직봉(12)은 파이프나 환봉이 사용되며, 이들을 용접하는 것에 의해 틀체(10)가 구성된다.The
상기 적재틀(11)은 정방형으로 형성하는 것보다 장방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적재틀(11)은 그 크기에 따라서는 보강을 위하여 그 중간부에 보강재(11a)를 덧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걸고리(20)는 환봉이나 철근을 역 "U"자형으로 절곡하여 틀체(10)에 용접한다.The
상기 걸고리(20)에는 인양로프(50)의 하단고리(51)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레버(2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이탈방지레버(21)는 각 걸고리(20)의 일측 하단에 힌지(22)로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함과 아울러 수평상태에서는 그 자유단이 걸고리(20)의 타측 하단에 걸려서 수평 이하로 회동하지 않도록 설치된다.The
즉, 상기 이탈방지레버(21)가 수평인 상태에서 인양로프(50)의 하단고리(51)를 밑에서 위로 밀어 올리면 이탈방지레버(21)가 상향회동하면서 인양로프(50)의 하단고리(51)가 걸고리(20)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며, 인양로프(50)의 하단고리(51)가 걸고리(20)에 삽입되면 이탈방지레버(21)가 다시 수평상태로 복귀하여 인양로프(50)의 하단고리(51)가 걸고리(20)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상기 결속로프 조임구(30)는 상기 적재틀(11)에 바깥쪽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편(31)과, 이 한 쌍의 지지편(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프권취봉(33)과, 상기 로프권취봉(33)의 일단에 설치되는 래칫휠(latch wheel)(34)과, 상기 일측 지지편(3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래칫휠(34)에 걸리는 래칫(35) 및, 상기 로프권취봉(33)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고정되는 로프걸이(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한 쌍의 지지편(31)은 상기 적재틀(11)에 직접 용접 부착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지지편(31)에 브래킷(32)을 용접하고, 이 브래킷(31a)을 적재틀(11)에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ir of
상기 로프권취봉(33)은 상기 한 쌍의 지지편(31)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며, 그 관통돌출단부에 육각머리형의 손잡이(37)가 구비된다.The
상기 결속로프 조임구(30)는 상기 적재틀(11)이 도시예와 같이 장방형으로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양측 장변에는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각각 설치하고, 단변에는 어느 한쪽에 하나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도면에서 35a는 상기 래치(35)를 지지편(3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이다.35a is a hinge which supports the said
또한 상기 결속로프 조임구(30)에 권취되는 결속로프(40)의 일단은 상기 적재틀(11)에 결속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결속로프 조임구(30)의 반대측 장변과 단변에는 각각 결속로프(40)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로프 결속구(60)를 용접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binding rope 40 wound around the
또한 결속로프(40)는 로프 자체로서 결속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후크(41)를 사용하여 연결 고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에 의한 부속자재 인양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lifting the accessories by the building material lifting mechanism for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결속로프(40)의 일단을 적재틀(11)의 장변과 단변에 결속하거나 결속로프 결속구(60)에 결속한 상태에서 결속로프(40)를 바닥에 늘어뜨린다. 또한 결속로프(40)에 후크(41)를 구비한 경우에는 이 후크(41)를 이용하여 연결 고정한다.First, the
상기 적재틀(11) 위에 인양하고자 하는 철근 등의 부속자재(M)를 적재하고, 결속로프(40)의 타단부를 결속로프 조임구(30)의 로프권취봉(33)에 권취함과 아울 러 그 타단을 로프걸이(36)에 걸고, 로프권취봉(33)을 돌리면 결속로프(40)가 로프권취봉(33)에 감기면서 적재틀(11)에 적재된 부속자재(M)가 결속로프(40)에 의해 조여지게 되어 부속자재(M)가 적재틀(11)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Load the accessory material (M) such as the reinforcing bar to be lifted on the
상기 로프권취봉(33)을 돌림에 있어서는 상기 로프권취봉(33)의 양측 돌출단부에 구비된 손잡이(37)를 손으로 잡아 돌리거나 이 손잡이(37)에 렌치나 스패너 등의 공구를 걸어서 돌린다.When turning the
이때, 로프권취봉(33)은 래칫휠(34)의 톱니부(34a)와 래칫(35)의 작용으로 결속로프(40)가 조여지는 방향으로만 돌아가게 되고, 풀어지는 방향으로는 돌아가지 않게 되어 결속로프(40)는 로프권취봉(33)에 감겨서 부속자재(M)를 조이게 되며, 로프권취봉(33)에서 풀어지는 일이 없게 된다.At this time, the
즉, 로프권취봉(33)이 조임방향으로 돌아가려고 할 때는 래칫(35)이 래칫휠(34)의 톱니부(34a)를 타고 넘게 되어 로프권취봉(33)이 돌아가게 되고, 로프권취봉(33)이 풀림방향으로 돌아가려고 할 때는 래칫(35)이 래칫휠(34)의 톱니부(34a)에 걸리게 되어 로프권취봉(33)이 돌아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다음, 상기 걸고리(20)에 인양로프(50)의 하단고리(51)를 걸고, 이 인양로프(50)의 상단고리(52)를 크레인의 로프 후크(1)에 걸어서 인양한다.Next, the
이때, 상기 걸고리(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탈방지레버(21)는 최초 수평상태로 유지되며, 이 상태에서 인양로프(50)의 하단고리(51)를 걸고리(20)의 밑에서 위로 밀어 올리면 이탈방지레버(21)가 하단고리(51)에 의해 위로 밀리게 되고, 하단고리(51)가 걸고리(20)에 완전히 삽입되어 걸리면 이탈방지레버(21)는 수 평상태로 복귀하여 인양로프(50)의 하단고리(51)가 걸고리(20)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에 의해 철근 등의 부속자재(M)를 인양함에 있어서는 철근 등의 부속자재(M)가 적재틀(11) 위에 적재된 상태에서 수직봉(12)에 의해 측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지지됨과 아울러 결속로프(40)에 의해 적재틀(11)에 조여져 묶인 상태에서 인양되는 것이므로 철근 등의 부속자재(M)가 추락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인양된다.As described above, in lifting the accessory material M such as reinforcing bars by the building accessory material lif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에 의해 부속자재(M)를 사용위치로 인양한 후에는 결속로프(40)를 결속로프 조임구(30)에서 풀어내고 틀체(10)에 적재된 부속자재(M)를 들어내어 사용하게 된다.After lifting the attachment material M to the use position by the building attachment material lif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ing
결속로프(40)를 결속로프 조임구(30)에서 풀어냄에 있어서는 래치(35)를 상향 회동시켜 래치(35)가 래칫휠(34)의 톱니부(34a)에서 이탈되도록 한 다음 로프권취봉(33)을 풀림방향으로 돌리면 결속로프(40)가 이완되어 결속로프(40)를 로프권취봉(33)으로부터 풀어낼 수 있게 된다.In releasing the binding
인양된 부속자재(M)를 모두 사용한 후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다시 지상으로 내려 보내어 다시 부속자재(M)를 인양할 수 있도록 한다.After using all of the lifted accessories (M) to send the lifting material for build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back to the ground using a crane to be able to lift the accessories (M) again.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는 부속자재(M)를 적재틀(11)에 걸쳐진 상태로 적재하고, 결속로프(40)로 조여서 인양하는 것이므로 부속자재(M)의 길이와 무관하게 다양한 부속자재를 편리하게 인양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building attachment material lift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oad the accessory material (M) in a state spanning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에 의하면 철근 등의 부속자재가 적재틀 위에 적재된 상태에서 수직봉에 의해 측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지지됨과 아울러 결속로프에 의해 적재틀에 조여져 묶인 상태에서 인양되는 것이므로 철근 등의 부속자재가 추락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인양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uilding attachment material lift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materials such as reinforcing bars are supported on the loading frame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side by the vertical rod and lifted in the tied state by being tied to the loading frame by the binding rope. As it is, it is possible to safely lift the accessories without falling down.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에 의하면 부속자재가 적재틀에 걸쳐진 상태로 적재되고, 결속로프에 의해 조여진 상태로 인양되는 것이므로 부속자재의 길이와 무관하게 다양한 부속자재를 편리하게 인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uilding material lifting mechanism for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material is loaded in a state spanning the loading frame, and is lifted in a tightened state by the binding rop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lift various accessory materials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accessory material. It is effectiv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7033A KR20080054676A (en) | 2006-12-13 | 2006-12-13 | Device for lifting subsidiary material for constr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7033A KR20080054676A (en) | 2006-12-13 | 2006-12-13 | Device for lifting subsidiary material for constru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4676A true KR20080054676A (en) | 2008-06-19 |
Family
ID=3980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27033A KR20080054676A (en) | 2006-12-13 | 2006-12-13 | Device for lifting subsidiary material for constru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54676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8074Y1 (en) | 2018-02-22 | 2018-12-11 | 더 퍼스트 컴퍼니 오브 차이나 에이트 엔지니어링 뷰로 엘티디 | Drawer Type Lifting Box |
KR102087903B1 (en) | 2019-10-14 | 2020-03-12 | 정옥순 | Construction material lifting box |
KR102115818B1 (en) * | 2019-12-18 | 2020-05-27 | 한국철강산업(주) | Clamp device for lifting rebar grid |
-
2006
- 2006-12-13 KR KR1020060127033A patent/KR20080054676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8074Y1 (en) | 2018-02-22 | 2018-12-11 | 더 퍼스트 컴퍼니 오브 차이나 에이트 엔지니어링 뷰로 엘티디 | Drawer Type Lifting Box |
KR102087903B1 (en) | 2019-10-14 | 2020-03-12 | 정옥순 | Construction material lifting box |
KR102115818B1 (en) * | 2019-12-18 | 2020-05-27 | 한국철강산업(주) | Clamp device for lifting rebar gri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20807B2 (en) | Container carrying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 |
AU2007200048B2 (en) | Cable hanger | |
US20120048988A1 (en) | Barbed Wire Dispensing Apparatus | |
KR20080054676A (en) | Device for lifting subsidiary material for construction | |
US6881023B1 (en) | Pallet fork carriage with a load securing D-ring and method of using | |
KR101342322B1 (en) | Semiautomatic shackle for fulling of gang form | |
WO2022195996A1 (en) | Molding box device for infill material formation, and civil engineering work bag body positioning method | |
KR101857682B1 (en) | Rope fixing device for building cleaning | |
JP2009235711A (en) | Assembling unit and reinforcement assembling device | |
JP2020076212A (en) | Lifting device for reinforcement unit | |
KR200459687Y1 (en) | An apparatus for engaging the rope for cleaning the surface of a building | |
CN212053810U (en) | Hoisting device for reinforced concrete slab construction | |
KR100501740B1 (en) | Safety net structure | |
KR100705880B1 (en) | Hanger for anchor-bolt | |
JPH0444568A (en) | Hanging of reinforced steel rods and its device | |
JP4325323B2 (en) | Opening fixture for remaining soil storage bags | |
KR20130020382A (en) | Hoist jig of bollard | |
KR20120060691A (en) | hook apparatus for temporary safety net | |
CN218375094U (en) | Hanging basket | |
JP3642653B2 (en) | Temporary construction method for receiving stage for frame scaffolding | |
JPH061581Y2 (en) | Crane lifting equipment | |
JP6522217B1 (en) | Rebar arrangement method for wall rebar, lifting aid device for reinforcing bar material and lifting device | |
JP2509965Y2 (en) | Water supply for construction | |
JPH0440353Y2 (en) | ||
JP5608517B2 (en) | Master rope tensioning jig for secondary concrete produc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