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320A -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320A
KR20080051320A KR1020060122175A KR20060122175A KR20080051320A KR 20080051320 A KR20080051320 A KR 20080051320A KR 1020060122175 A KR1020060122175 A KR 1020060122175A KR 20060122175 A KR20060122175 A KR 20060122175A KR 20080051320 A KR20080051320 A KR 20080051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rod
lower arm
bush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2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1320A/ko
Publication of KR20080051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3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버 조절을 통해 차량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고정편을 갖는 마운트 브라켓과;
마운트 브라켓의 고정편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마운트 로드와;
고정편 외측으로 돌출된 마운트 로드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마운트 부시와;
장방형 가이드홈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진 제1, 제2마운트 베어링과,
로드 중간부에 연결 설치되는 로어암으로 이루어지며,
로어암 회전에 따른 마운트 로드의 좌,우 이동에 의해 캠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로어암의 회전시 마운트 로드가 좌,우 이동하며 캠버가 조절되는 것이어서 캠버 조절을 통해 차량 회전시 타이어의 접지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므로 이를 통해 핸들링 성능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프론트로어암, 부시, 브라켓, 로드, 베어링, 접지력, 핸들링, 캠버

Description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 {a bush mounting structure of front lower arm}
도 1은 기존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이 적용된 차량의 회전시의 타이어 접지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부시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운트 베어링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의 회전시의 타이어 접지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라켓 1a : 고정편
2 : 볼트 3 : 너트
4 : 이너파이프 5 : 부시
6 : 로어암 10 : 마운트 브라켓
11 : 고정편 11a : 결합공
20 : 마운트 로드 30 : 마운트 부시
31 : 삽입공 32 : 관통공
40, 50 : 제1,제2마운트 베어링 41, 51 : 가이드홈
60 : 로어암 61 : 체결공
70 : 타이어 100 : 차량
본 발명은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어암 회전시 로드의 좌,우 이동에 의해 캠버가 조절됨으로써 차량 회전시 타이어의 접지력을 높여 핸들링 성능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프론트로어암의 기본적인 기능은 스트럿과 체결된 액슬을 지지하면서 조향에 따른 스트럿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기존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는 도 1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편(1a)을 갖는 브라켓(1)과, 상기 브라켓(1)의 고정편(1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2)와, 상기 볼트 하단에 체결되는 너트(3)와, 상기 브라켓(1)의 고정편(1a) 내측에 위치하는 볼트(2) 중간부를 감싸는 이너파이프(4)와, 상기 이너파이프(4)의 외주면을 감싸는 부시(5)와, 상기 부시(5)를 축으로하여 결합되는 로어암(6)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는 로어암(6)이 고정 설치된 볼 트(2)를 축으로 회전하는 것이었기에 로어암(6)의 고정 위치 이동이 불가능한 것이었다.
때문에, 기존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가 적용된 차량은 주행중의 회전시에 캠버에 변화가 없어 도 2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차량(100) 회전시 차체 롤링에 의해 타이어(70) 접지면적이 감소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핸들링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로어암 회전시 로드가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통해 캠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회전시 타이어의 접지력을 높여 핸들링 성능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고정편을 갖는 마운트 브라켓과;
마운트 브라켓의 고정편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마운트 로드와;
고정편 외측으로 돌출된 마운트 로드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마운트 부시와;
장방형 가이드홈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진 제1, 제2마운트 베어링과,
로드 중간부에 연결 설치되는 로어암으로 이루어지며,
로어암 회전에 따른 마운트 로드의 좌,우 이동에 의해 캠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부시 형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마운트 베어링 형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의 회전시의 타이어 접지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는 마운트 브라켓과(10), 마운트 로드(20)와, 마운트 부시(30)와, 제1,제2마운트 베어링(40, 50)과, 로어암(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운트 브라켓(10)은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고정편(11)을 갖는 것으로, 이는 공지된 형태의 것이나, 다만 각 고정편(11) 중앙부에 마운트 로드(20) 직경에 상응하는 결합공(11a)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마운트 로드(20)는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일정 길이의 막대 형태의 것으로, 그 전체의 높이는 마운트 브라켓(10)의 고정편(11) 사이의 높이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운트 부시(30)는 원판 형태의 것으로, 도 4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중앙부에 로드 삽입공(31)이 형성되어진 것이고, 로드 삽입공(31) 좌,우 양측에 타 원형의 관통공(32)이 형성되어진 것이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제2마운트 베어링(40, 5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장방형 가이드홈(41, 51)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진 것으로, 초기 설치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41, 51)은 서로 방향을 달리하여 직교하는 형태가 된다.
상기 로어암(60)은 그 일측에 로드 체결공(61)이 형성되어진 것으로, 그 전체의 높이는 상기 마운트 브라켓(10)의 고정편(11) 사이의 높이 이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운트 로드(20)는 상기 마운트 브라켓(10) 고정편(11)의 결합공(11a)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마운트 부시(30)는 상기 마운트 브라켓(10)의 고정편(10) 상,하부로 돌출된 마운트 로드(20) 상,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제1,제2마운트 베얼링(40, 50)은 상기 마운트 브라켓(10)의 고정편(11) 내측에 위치한 마운트 로드(20) 외측에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로어암(60)은 그 일측의 체결공(61)에 마운트 로드가 삽입됨으로써 마운트 로드(20) 중간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로어암(60) 회전 이전의 초기 상태이고, 도 6b는 로어암(6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다.
도 6a 상태에서 마운트 로드(20)는 제1마운트 베어링(40)의 가이드홈(41) 중 간 및 제2마운트 베어링(50) 가이드홈(51)의 중간에 위치한다.
그러나, 로어암(60)이 회전하게 되면 도 6b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마운트 로드(20)는 제1,제2마운트 베어링(40, 50)의 가이드홈(41, 51) 내부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로어암(60) 회전에 따른 마운트 로드(20)의 제1,제2마운트 베어링(40, 50)의 가이드홈(41, 51) 내부에서의 이동에 의해 캠버 조절이 이루어지는바,
아웃사이드 범프 스트럿의 마이너스 캠버가 커지고, 더불어 인사이드 리바운드 스트럿의 플러스 캠버가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은 캠버 조절은 도 7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차량 회전시 타이어 접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캠버 조절을 통해 핸들링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이와 같은 변형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로어암의 회전에 의해 마운트 로드가 좌,우 이동하며 캠버가 조절되는 것이어서 캠버 조절을 통해 차량 회전시 타이어의 접지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므로 이를 통해 핸들링 성능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고정편을 갖는 마운트 브라켓과;
    마운트 브라켓의 고정편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마운트 로드와;
    고정편 외측으로 돌출된 마운트 로드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마운트 부시와;
    장방형 가이드홈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진 제1, 제2마운트 베어링과,
    로드 중간부에 연결 설치되는 로어암으로 이루어지며,
    로어암 회전에 따른 마운트 로드의 좌,우 이동에 의해 캠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브라켓은 각 고정편 중앙부에 마운트 로드의 직경에 상응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을 통해 마운트 로드가 고정편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로드는 그 높이가 상기 마운트 브라켓의 고정편 사이의 높이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시는 원판 형태의 것으로, 중앙부에 로드 삽입공이 형성되어진 것이고, 로드 삽입공 좌,우 양측에 타원형 관통공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마운트 베어링은 초시 설치상태에서 그 가이드홈이 서로 직교하는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
KR1020060122175A 2006-12-05 2006-12-05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 KR20080051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175A KR20080051320A (ko) 2006-12-05 2006-12-05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175A KR20080051320A (ko) 2006-12-05 2006-12-05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320A true KR20080051320A (ko) 2008-06-11

Family

ID=3980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175A KR20080051320A (ko) 2006-12-05 2006-12-05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13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800B1 (ko)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US20010019197A1 (en) Front suspension structure
KR101361287B1 (ko) 차량용 서스펜션 암 연결 장치
KR101284333B1 (ko) 차량용 안티 롤 장치
US20220227191A1 (en) All-terrain vehicle
KR101283593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20080051320A (ko) 프론트로어암의 부시 설치구조
JPS6117715B2 (ko)
KR100475910B1 (ko) 상용차의 프론트 및 데드 액슬용 현가장치의 롤 저감구조
KR100452287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콘트롤아암
KR101272992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의 마운팅 어셈블리
KR101251530B1 (ko) 차량용 안티 롤 장치
KR20050042578A (ko) 현가장치의 로어 아암 연결구조
KR20120008877A (ko) 자동차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100397936B1 (ko) 자동차용 리어 현가장치의 래터럴로드 부시구조
KR100503342B1 (ko) 차량용 캠버 컨트롤 서스펜션
KR100452288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콘트롤아암
JP4546660B2 (ja) 自動車用サスペンションの取付構造
KR20050006804A (ko) 현가장치
KR100345119B1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20050077057A (ko) 캠버 조정이 가능한 차량의 로어암 어셈블리
KR101551953B1 (ko) 트랜스미션마운트의 구조
KR20060071973A (ko)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의 캠버 컨트롤장치
CN114633594A (zh) 用于车辆的悬架系统和车辆
JPH03200413A (ja) セミトレーリングアーム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