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223A - 에너지응폭직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속내의 - Google Patents

에너지응폭직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속내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223A
KR20080051223A KR1020060121926A KR20060121926A KR20080051223A KR 20080051223 A KR20080051223 A KR 20080051223A KR 1020060121926 A KR1020060121926 A KR 1020060121926A KR 20060121926 A KR20060121926 A KR 20060121926A KR 20080051223 A KR20080051223 A KR 20080051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pattern
fabric
amplified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재
이용원
Original Assignee
이은재
이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재, 이용원 filed Critical 이은재
Priority to KR1020060121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1223A/ko
Publication of KR20080051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1Underpants or brief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응폭직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속내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에너지응폭직물은, 직물(10)에 에너지를 응폭하는 다수의 에너지응폭패턴(2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구현되고; 에너지응폭패턴(20)은, 원형패턴(21)의 주위를 각각의 양 꼭지점이 맞닿도록 5개의 삼각형패턴(22)이 둘러싸고, 각각의 삼각형패턴(22)은 양 꼭지점을 공유하는 오각형패턴(23)의 내부에 배치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너지응폭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속내의는, 착용하였을 때 맨살에 밀착되는 몸체부를 가지는 속내의에 있어서, 몸체부는 에너지를 응폭하는 다수의 에너지응폭패턴(2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구현된 직물로 만들어지며; 에너지응폭패턴(20)은, 원형패턴(21)의 주위를 각각의 양 꼭지점이 맞닿도록 5개의 삼각형패턴(22)이 둘러싸고, 각각의 삼각형패턴(22)은 양 꼭지점을 공유하는 오각형패턴(23)의 내부에 배치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너지응폭직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속내의{An energy implosion textile and functional underwear manufactured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응폭직물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에너지응폭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속내의의 런닝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에너지응폭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속내의의 팬티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에너지응폭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속내의의 내복 상의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에너지응폭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속내의의 내복 하의의 평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직물 20 ... 에너지응폭패턴
21 ... 원형패턴 22 ... 삼각형패턴
23 ... 오각형패턴 110 ... 몸체부(런닝)
110a ... 목부 110b ... 팔부
110c ... 하체부 120 ... 몸체부(팬티)
120a ... 다리부 120b ... 상체부
130 ... 몸체부(내복 상의) 130a ... 목부
130b ... 팔부 130c ... 하체부
140 ... 몸체부 140a ... 다리부
140b ... 상체부
본 발명은 에너지응폭직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속내의에 관한 것이다.
여자들이나 남자들 대부분의 사람들을 런닝, 팬티 또는 내복과 같은 속내의를 착용하고 있다. 런닝, 팬티, 또는 내복은 맨살과 직접 접촉되어 인체에서 발생되는 땀을 흡수하거나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대적으로 뻣뻣한 의복이 맨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막아주어 보다 편안하게 생활하도록 한다.
그런데, 최근에 웰빙을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무르익으면서, 런닝, 팬티의 경우 단순히 땀을 흡수하는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을 추가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런닝, 팬티를 만드는 직물을 제조할 때,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황토를 첨가하거나 향기를 발생하는 향료를 첨가함으로써, 이들 직물을 이용하여 런닝이나 팬티를 만들때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에너지를 절약하고자 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서, 추운 날씨에 내복을 착용하고자 하는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내복을 착용할 경우에 착용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고, 따라서 추운날씨에도 많은 사람들이 내복을 착용하지 않음으로써, 여전이 난방을 위하여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고 있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땀을 흡수하는 단순한 기능 이외에, 착용자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에너지응폭직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속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람들이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난방을 위한 에너지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응폭직물 및 그를 이용한 속내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응폭직물은,
직물(10)에 에너지를 응폭하는 다수의 에너지응폭패턴(2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구현되고; 상기 에너지응폭패턴(20)은, 원형패턴(21)의 주위를 각각의 양 꼭지점이 맞닿도록 5개의 삼각형패턴(22)이 둘러싸고, 각각의 삼각형패턴(22)은 양 꼭지점을 공유하는 오각형패턴(23)의 내부에 배치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응폭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속내의는, 착용하였을 때 맨살에 밀착되는 몸체부를 가지는 속내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에너지를 응폭하는 다수의 에너지응폭패턴(2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구현된 직물로 만들어지며; 상기 에너지응폭 패턴(20)은, 원형패턴(21)의 주위를 각각의 양 꼭지점이 맞닿도록 5개의 삼각형패턴(22)이 둘러싸고, 각각의 삼각형패턴(22)은 양 꼭지점을 공유하는 오각형패턴(23)의 내부에 배치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패턴(22)은 정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오각형패턴(23)은 정오각형 형상을 이룬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응폭패턴(20)은 상기 직물(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현되거나, 염색함으로써 구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속내의가 런닝일 경우에 상기 몸체부(110)는, 목이 돌출되는 목부(110a)와, 양팔이 돌출되는 팔부(110b)와, 하체가 돌출되는 하체부(110c)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속내의가 팬티일 경우에 상기 몸체부(120)는, 다리가 돌출되는 다리부(120a)와 상체가 돌출되는 상체부(120b)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속내의가 내복의 상의일 경우에 몸체부(130)는, 목이 돌출되는 목부(130a)와, 양팔이 끼어지는 팔부(130b)와, 하체가 돌출되는 하체부(130c)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속내의가 내복의 하의일 경우에 몸체부(140)는, 다리가 끼어지는 다리부(140a)와 상체가 돌출되는 상체부(140b)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응폭직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속 내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응폭직물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응폭직물은, 직물(10)에 에너지를 응폭하는 다수의 에너지응폭패턴(2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구현된다. 이러한 에너지응폭패턴(20)은, 원형패턴(21)의 주위를 각각의 양 꼭지점이 맞닿도록 5개의 삼각형 패턴(22)이 둘러싸고, 각각의 삼각형패턴(22)은 양 꼭지점을 공유하는 오각형패턴(23)의 내부에 배치되어 구현된다. 이때, 삼각형패턴(22)은 정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오각형패턴(23)은 정오각형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에너지응폭패턴(20)은 직물(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현되거나, 직물과는 다른 색깔로 염색함으로써 구현된다.
다음, 상기와 같은 에너지응폭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속내의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에너지응폭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속내의의 런닝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에너지응폭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속내의의 팬티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에너지응폭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속내의의 내복 상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에너지응폭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속내의의 내복 하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속내의는, 착용하였을 때 맨살에 밀착되는 몸체부를 가지는 속내의에 있어서, 몸체부는 에너지를 응폭하는 다수의 에너지응폭패턴(2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구현된 직물로 만들어진다. 이때 에너지 응폭패턴(20)은, 원형패턴(21)의 주위를 각각의 양 꼭지점이 맞닿도록 5개의 삼각형패턴(22)이 둘러싸고, 각각의 삼각형패턴(22)은 양 꼭지점을 공유하는 오각형패턴(23)의 내부에 배치되어 구현된다.
속내의가 런닝일 경우에 몸체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이 돌출되는 목부(110a)와, 양팔이 돌출되는 팔부(110b)와, 하체가 돌출되는 하체부(110c)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속내의가 팬티일 경우에 몸체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가 돌출되는 다리부(120a)와 상체가 돌출되는 상체부(120b)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속내의가 내복의 상의일 경우에 몸체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이 돌출되는 목부(130a)와, 양팔이 끼어지는 팔부(130b)와, 하체가 돌출되는 하체부(130c)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속내의가 내복의 하의일 경우에 몸체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가 끼어지는 다리부(140a)와 상체가 돌출되는 상체부(140b)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삼각형패턴(22)은 정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오각형패턴(23)은 정오각형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에너지응폭패턴(20)은 몸체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현되거나, 염색함으로써 구현된다.
상기한 에너지응폭패턴(20)은 특정 기하학적 형태를 가짐으로써, 공간에너지 또는 토션장이라 불리우는 에너지를 발생한다.
공간에너지(토션장)는, 1990초 러시아 과학자인 G.I.Shipov 박사(1998년 미 국전기협회(American Biographic Institute)에 의해 20세기에 가장 영향을 미친 지도자 500 인에 선정)에 의하여 규명된 에너지 개념이다. G.I.Shipov 박사는, 에너지가 어떤 특정한 기하학적 형태에 반응한다라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에너지장을 중력이나 전자기력이 아닌 제3의 힘, 즉 공간에너지(space energy) 또는 토션장(torsion field)이라 명명하였다. 공간에너지(토션장)는 모든 물질뿐만 아니라 전기나 자기의 회전, 그리고 생체 분자의 회전에서도 비롯되는 상호 영향력 또는 광의의 의미의 공명효과이다.
이러한 공간에너지는 매우 미약하지만 우주에 충만되어 있으며, 미약하기 때문에 기존의 전자기장 측정기로는 측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공간에너지가 물질이나 전자기장에 남기는 자취(간섭효과)에 의하여 그 존재가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에너지는 의학에도 적용되어, 새로운 치료법인 양자의학이라는 새로운 학문분야가 출현되고 있고, 미국이나 프랑스등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공간에너지가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막대한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본원발명은 에너지로 충만된 우주에, 특정한 기하학적 형태에 의하여 응폭되는 공간에너지(토션장)를 속내의에 응용함으로써, 건강에 이로운 기능성속내의를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응폭직물에서는 공간에너지가 응폭 방사되며, 이러한 에너지응폭직물을 이용하여 속내의를 만들어 착용할 경우, 공간에너지에 의하여 인체에 이로운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예로써, 본 발명의 기능성속내의를 착용할 경우, 여성의 경우 생리통 이 급격히 완화되고, 손, 발이 찬 증상이 완화되었다. 또한 기능성속내의를 내복으로 만들어 입었을 경우에, 피부병,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이 완화되는 현상이 있다. 또한, 본 기능성속내의를 착용할 경우 숙면을 취할 수 있었고, 스트레스가 완화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응폭직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속내의에 따르면, 인체에 이로운 공간에너지를 방사함으로써, 착용시에 생리통을 완화시킬 수 있고, 손발이 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병이 완화되었고,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체에 이롭기 때문에 속내의를 내복으로 만들어 착용할 경우 보다 많은 사람들이 착용할 것이고, 이에 따라 난방을 위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Claims (12)

  1. 직물(10)에 에너지를 응폭하는 다수의 에너지응폭패턴(2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구현되고;
    상기 에너지응폭패턴(20)은, 원형패턴(21)의 주위를 각각의 양 꼭지점이 맞닿도록 5개의 삼각형패턴(22)이 둘러싸고, 각각의 삼각형패턴(22)은 양 꼭지점을 공유하는 오각형패턴(23)의 내부에 배치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응폭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패턴(22)은 정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응폭직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각형패턴(23)은 정오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응폭직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응폭패턴(20)은 상기 직물(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현되거나, 염색함으로써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응폭직물.
  5. 착용하였을 때 맨살에 밀착되는 몸체부를 가지는 속내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에너지를 응폭하는 다수의 에너지응폭패턴(2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구현된 직물로 만들어지며;
    상기 에너지응폭패턴(20)은, 원형패턴(21)의 주위를 각각의 양 꼭지점이 맞닿도록 5개의 삼각형패턴(22)이 둘러싸고, 각각의 삼각형패턴(22)은 양 꼭지점을 공유하는 오각형패턴(23)의 내부에 배치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응폭직물로 제조되는 속내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속내의가 런닝일 경우에 상기 몸체부(110)는,
    목이 돌출되는 목부(110a)와, 양팔이 돌출되는 팔부(110b)와, 하체가 돌출되는 하체부(110c)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응폭직물로 제조되는 속내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속내의가 팬티일 경우에 상기 몸체부(120)는,
    다리가 돌출되는 다리부(120a)와 상체가 돌출되는 상체부(120b)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응폭직물로 제조되는 속내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속내의가 내복의 상의일 경우에 몸체부(130)는,
    목이 돌출되는 목부(130a)와, 양팔이 끼어지는 팔부(130b)와, 하체가 돌출되 는 하체부(130c)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응폭직물로 제조되는 속내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속내의가 내복의 하의일 경우에 몸체부(140)는,
    다리가 끼어지는 다리부(140a)와 상체가 돌출되는 상체부(140b)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응폭직물로 제조되는 속내의.
  10. 제6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패턴(22)은 정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응폭직물로 제조되는 속내의.
  11. 제6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각형패턴(23)은 정오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응폭직물로 제조되는 속내의.
  12. 제6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응폭패턴(20)은 상기 몸체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현되거나, 염색함으로써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응폭직물로 제조되는 속내의.
KR1020060121926A 2006-12-05 2006-12-05 에너지응폭직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속내의 KR20080051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926A KR20080051223A (ko) 2006-12-05 2006-12-05 에너지응폭직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속내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926A KR20080051223A (ko) 2006-12-05 2006-12-05 에너지응폭직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속내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223A true KR20080051223A (ko) 2008-06-11

Family

ID=39806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926A KR20080051223A (ko) 2006-12-05 2006-12-05 에너지응폭직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속내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12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337B1 (ko) 2019-10-01 2020-03-27 안문호 금속이물질 제거장치
CN111938244A (zh) * 2020-07-03 2020-11-17 中长升生物科技(香港)有限公司 一种搭载织物及日用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820A (ko) * 1998-02-25 1999-09-15 진흥업 피라미드 공간에너지 생성원리를 이용하여 사람의 동맥경화를 방지 하는 삼각형 에너지의 생성원리와 효과
KR200220366Y1 (ko) * 2000-06-19 2001-04-16 김영수 원적외선 방사 나염의류
KR200252436Y1 (ko) * 2001-07-18 2001-11-17 (주)에코마 원적외선과 자장을 이용한 생리통 경감 팬티
JP2004121685A (ja) * 2002-10-04 2004-04-22 Kenji Nakamura 健康材料用配合剤及び健康材料
KR200350225Y1 (ko) * 2003-12-26 2004-05-13 박우현 항균 및 전자기파차폐 기능을 갖는 은이 도포된 기능성 내의
KR20060038427A (ko) * 2006-04-13 2006-05-03 유상희 인체 생체 에너지를 증대시키는 의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820A (ko) * 1998-02-25 1999-09-15 진흥업 피라미드 공간에너지 생성원리를 이용하여 사람의 동맥경화를 방지 하는 삼각형 에너지의 생성원리와 효과
KR200220366Y1 (ko) * 2000-06-19 2001-04-16 김영수 원적외선 방사 나염의류
KR200252436Y1 (ko) * 2001-07-18 2001-11-17 (주)에코마 원적외선과 자장을 이용한 생리통 경감 팬티
JP2004121685A (ja) * 2002-10-04 2004-04-22 Kenji Nakamura 健康材料用配合剤及び健康材料
KR200350225Y1 (ko) * 2003-12-26 2004-05-13 박우현 항균 및 전자기파차폐 기능을 갖는 은이 도포된 기능성 내의
KR20060038427A (ko) * 2006-04-13 2006-05-03 유상희 인체 생체 에너지를 증대시키는 의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337B1 (ko) 2019-10-01 2020-03-27 안문호 금속이물질 제거장치
CN111938244A (zh) * 2020-07-03 2020-11-17 中长升生物科技(香港)有限公司 一种搭载织物及日用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1223A (ko) 에너지응폭직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속내의
KR20120026241A (ko) 토션필드를 이용한 팬티
CN205030537U (zh) 弹性闷汗服
CN206350506U (zh) 一种抗菌护肤儿童内裤
CN206610628U (zh) 胸腹放疗科用的放疗防护服
Saini et al. Cosmetotextiles: A novel technique of developing wearable skin care
CN205337625U (zh) 一种保健内裤
CN106798359A (zh) 一种多功能专业调整型保健美胸内衣
CN201509647U (zh) 棉盖丙仿生磁套服
KR20160020910A (ko) 그래핀 패드
CN206413758U (zh) 环保型防辐射微胶囊亲肤裤
CN206687185U (zh) 一种负离子理疗的甲壳素抗菌内裤
CN205813583U (zh) 一种功能磁石保健内裤
CN213549702U (zh) 一种功能塑身连体衣
KR102073084B1 (ko) 해먹기능을 갖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
CN211657411U (zh) 一种改善人体机能、疏通血液经络的磁能量保健内衣
CN207784311U (zh) 衣物
CN206150496U (zh) 一种磁疗美肤一体式文胸
CN206659115U (zh) 一种五列式磁石男式保健内裤
CN205512396U (zh) 一种插入中药插垫的保健内衣
JP3034279U (ja) 肌 着
CN211284772U (zh) 一种高舒适性运动内衣面料
CN208462960U (zh) 一种具有杀菌除臭和促进局部血液循环的舒适内裤
CN206025243U (zh) 药穴结合中医美胸保健内衣
CN207151956U (zh) 一种功能性保健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902

Effective date: 2015031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427

Effective date: 2016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