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9178A - 광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한 순금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한 순금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9178A
KR20080049178A KR1020060119456A KR20060119456A KR20080049178A KR 20080049178 A KR20080049178 A KR 20080049178A KR 1020060119456 A KR1020060119456 A KR 1020060119456A KR 20060119456 A KR20060119456 A KR 20060119456A KR 20080049178 A KR20080049178 A KR 20080049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e gold
particles
gold
gold particles
p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순
남기우
정희록
Original Assignee
(주)엔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지텍 filed Critical (주)엔지텍
Priority to KR1020060119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9178A/ko
Publication of KR20080049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06Chlorid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04Obtaining noble metals by we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205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using adducts or inclusion comple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7/00Compounds of g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한 금(Au)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광전기 화학반응에는 광촉매, 특히 결정형을 가지는 콜로이달 이산화티타늄(아나타제, 루타일, 브루카이트)과 금입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염화금산 수화물(HAuCl4-4H2O)을 사용하였으며, 입자의 형성은 콜로이달 이산화 티타늄과 염화금산 수화물을 혼합한 수용액에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금 입자를 형성시켰으며, 금(Au) 입자는 이산화 티타늄의 자외선흡수에 의하여 여기된 전자(e-, electron)에 의해 Au3+이온이 환원되면서 생성되어진다. 이때 금(Au) 입자는 이산화 티타늄에 도핑(Doping)되는 것과 입자성장에 의하여 침전되는 두 종류로 나누어지며. 이산화 티타늄에 도핑된 금 입자(Au/TiO2)는 10-20nm로 금입자의 플라즈몬 효과에 의하여 보라빛 콜로이달로 된다. 한편 금 입자가 이산화티타늄에 도핑이 포화된 후 용액 속의 여분의 금 이온들은 순금으로 환원되면서 입자성장과 함께 침전되기 시작한다. 침전되는 금 입자는 구형, 다각형, 로드(rod)형태의 결정체이며, 크기는 50nm-10μm 확인되었다. 침전된 순금입자는 콜로이달 Au/TiO2를 제거한 후 증류수를 사용하여 침전된 금 입자만을 수차례 세정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순금 분말 또는 증류수에 분산된 순금 입자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제조된 금 입자는 순금으로 주류, 화장품은 물론이고 전자재료, 정밀화학용 촉매, 광학용 필터, 정전기방지, 적외선반사등의 기능성 코팅액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 가능하게 하는 광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한 금(Au)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전기 화학, 광촉매, 금 입자, 자외선, 염화금산 수화물

Description

광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한 순금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Pure Gold Particle Having Different Shape and Size}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입자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금(Au) 입자의 SEM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로드(rod) 금(Au) 입자의 성분분석 EDS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다각형 금(Au) 입자의 성분분석 EDS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구형 금(Au) 입자의 성분분석 EDS사진
본 발명은 광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한 금(Au)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광전기 화학반응에는 광촉매, 특히 결정형을 가지는 콜로이달 이산화티타늄(아나타제, 루타일, 브루카이트)과 금입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염화금산 수화물(HAuCl4-4H2O)을 사용하였으며, 입자의 형성은 콜로이달 이산화 티타늄과 염화금산 수화물을 혼합한 수용액에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금 입자를 형성시켰으며, 금(Au) 입자는 이산화 티타늄의 자외선흡수에 의하여 여기된 전자(e-, electron)에 의해 Au3+이온이 환원되면서 생성되어진다. 이때 금(Au) 입자는 이산화 티타늄에 도핑(Doping)되는 것과 입자성장에 의하여 침전되는 두 종류 로 나누어지며. 이산화 티타늄에 도핑된 금 입자(Au/TiO2)는 10-20nm로 금입자의 플라즈몬 효과에 의하여 보라빛 콜로이달로 된다. 한편 금 입자가 이산화티타늄에 도핑이 포화된 후 용액 속의 여분의 금 이온들은 순금으로 환원되면서 입자성장과 함께 침전되기 시작한다. 침전되는 금 입자는 구형, 다각형, 로드(rod)형태의 결정체이며, 크기는 50nm-10μm 으로, 침전된 순금입자는 콜로이달 Au/TiO2를 제거한 후 증류수를 사용하여 침전된 금 입자만을 수차례 세정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순금 분말 또는 증류수에 분산된 순금 입자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제조된 금 입자는 순금으로 주류, 화장품은 물론이고 전자재료, 정밀화학용 촉매, 광학용 필터, 정전기방지, 적외선반사등의 기능성 코팅액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 가능하게 하는 광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한 금(Au)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촉매, 특히 결정형을 가지는 이산화티타늄 콜로이달(colloidal) 혹은 분말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이산화티타늄 표면에는 전자(e-, electron)과 정공(h+, hole)이 생성된다. 이때 생성된 전자는 환원반응에 사용되고 정공은 산화반응에 사용된다. 이러한 원리는 광산화/광환원 반응으로 광촉매 반응의 기본개념이다. 이러한 광촉매 반응을 이용한 유기물질분해, 악취물질분해, 균의 살균, 물분해 수소제조, 초친수성 코팅액 제조는 1990년대 이후 산업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광촉매 특성 및 기능들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산화 티타늄에 금속(Fe, Pt, Pd, Ru, Ni, Ag등)을 담지하는 기술들이 많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금속들을 이산화 티타늄에 도핑하는 방법으로는 광전기 화학적 환원법이 편 리하며, 이것은 도핑하고자 하는 금속염을 결정형 이산화티타늄 콜로이달에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자외선조사에 의하여 금속이 도핑된 이산화 티타늄 콜로이달이 얻어지기 때문에 특별한 장비나 시설 없이 제조가능하기 때문이다.
Pt와 같은 귀금속의 도핑에는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용액 중에 연속적으로 질소의 주입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이산화 티타늄에 금속을 도핑할 경우, 용액 속의 이산화 티타늄과 금속의 비율(wt %)을 조절하여 금속이 도핑된 이산화 티타늄의 제조하고 그것의 광촉매 특성 파악에 연구개발이 대부분 진행되었다. 이것은 적정비율로 이산화 티타늄에 도핑된 금속은 광촉매 활성을 높게 한다는 연구결과들도 많이 발표되고 있기 때문이다. 금속이 도핑된 이산화 티타늄은 유기물분해, 탈취, 항균, 초친수성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도료로 활용하여 상용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광촉매를 이용한 광전기화학적 환원법으로 순수한 금속입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며, 결정형 이산화 티타늄을 사용하지 않고 이산화 티타늄에 금속을 도핑하는 방법으로, 또는 금속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기상을 경유한 스퍼털링, 화학적 증착법 들이 이용되고 있어나 제조설비가 고가라는 단점이 있고 막대한 에너지소비와 시간이 소비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되어 진 것으로, 본 발명은 환경친화적이고 에너지부하가 없는 광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한 금(Au) 입자의 제조방법으로 불순물 이온 등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는 다양한 입자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순금 분말 또는 순금 수용액을 제조하는 기술의 것으로, 순금(Au) 입자의 형태는 구형, 삼각형, 육각형, 로드(rod)형태로 제조되었고, 다각형의 순금 입자가 단결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입자의 크기는 입자형태에 따라 50nm ~ 10μm로 제조되어지며, 일반적으로 수개월 이상의 시간을 필요로 하는 순금의 단결정 제조를,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는 1-2일 내에 입자크기가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수 십 마이크로미터의 순금 단결정이 용이하게 제조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광전기 화학적 반응을 이용한 다양한 입자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금(Au) 입자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순금을 바인더와 혼합 후 유리, 세라믹, 섬유 및 플라스틱 담체에 코팅한 후 항균기능을 나타내고, 정전기방지, 전자파차폐, 적외선반사등 여러 산업분야에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한 순금(Au) 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의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다양한 입자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금의 SEM사진을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로드(rod)형태의 금 입자의 성분분석 EDS사진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다각형 금 입자의 성분분석 EDS사진을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구형 금 입자의 성분분석 EDS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이하, 이를 위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예 1] 광전기 화학적인 환원 방법
본 발명에서는 광전기 화학적인 환원 방법을 사용하여 순금분말 또는 콜로이달 골 드(gold)를 제조하는 것으로, 이의 방법은 반도체에 빛이 조사될 경우, 그 반도체의 띠간격 이상의 에너지를 갖는 광자(hν≥Eg)가 흡수되어 공유띠에서 전도띠로 전자여기(electron excitation)를 일으키고, 이때 공유띠에는 정공(hole)이, 전도띠에는 전자가 생성되는데 이를 전자-정공쌍 생성(electron-hole pair generation)이라고 한다.
이산화티타늄과 같이 띠간격이 큰 반도체는 짧은 파장의 빛만을 흡수하고 태양에너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시광선을 흡수하지 못하는 반면, Si와 같이 띠간격이 작은 반도체는 가시광선을 흡수하여 여기될 수 있다. 이러한 반도체의 광여기(photo-excitation)는 빛에너지가 전기나 화학에너지로 전환되는 첫 번째 단계이다.
결과적으로 반도체내의 전자와 정공의 일부는 재결합을 피해 표면으로 이동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긴 생존주기를 가지며 반도체의 표면에 흡착된 적절한 전자주개(electron donor) 분자(D)나 전자받개(electron acceptor) 분자(A)가 존재할 경우 전자 전이를 일으킨다. 이와같은 반도체 광촉매(SC)를 이용한 광산화·환원 반응의 일반적 경로를 아래 반응식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88774127-PAT00001
금속이 도핑된 광촉매를 제조하는 경우, 금속염을 결정성 이산화 티타늄 콜로이달에 혼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면 이산화 티타늄에 충분한 금속이 도핑된 후 여분의 금속이온은 연속적으로 광환원 되어 용액 중에서 입자성장이 이루어지며, 이 러한 금속 입자는 침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밀도가 높은 금(Au)은 금(Au) 이온이 광전기 화학적 환원에 의하여 순금으로 환원된 후, 입자성장에 의하여 전기 이중층의 균형이 없어지고 결국은 용액 중에서 침전되어 순수한 금 입자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제조되는 금 입자의 생성 속도, 입자 형태 및 입자 크기는 자외선의 강도, 정공포획제의 첨가, 용액의 교반 속도, 이산화 티타늄의 결정성 등이 중요한 인자라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광전기화학적 환원법을 이용하여 불순물이 전혀 포함되어있지 않은 순금분말과 순금 수용액의 제조과정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행하였다.
[실시예 2] 순금 입자 및 순금 수용액의 제조 방법
금 이온의 광전기화학적 환원법을 이용하여 금 입자 및 순금 수용액의 제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행하였으며,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1. 0.1~ 10 중량 %의 염화금산 수화물(HAuCl4-4H2O)을 증류수로 혼합하여 염화금산 수용액을 제조한다. 이 염화금산 수화물 수용액을 0.1~5중량%의 수성 광촉매가 포함된 결정형 이산화 티타늄 콜로이달에 첨가한 후, 교반속도 100~2,000rpm로 10~30분 교반하여 염화금산 수용액의 연노랑색이 균일하게 분산된 연노랑의 염화금산 수용액을 제조한다.
상기의 수성광촉매는 결정형 이산화티타늄인 아나타제형 TiO2, 루타일형 TiO2, 또는 ZnO, WO3, SnO2, MoO3, Fe2O3, BaTiO3, KNbO3, Ta2O5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하였다.
2. 상기의 염화금산 수용액에 자외선 조사(자외선강도 1~10 mW/cm2)를 행하면 수용 액의 색은 연노랑에서 투명, 그리고 최종적으로 연보라색의 수용액으로 변화되는 것을 확인한다.
연보라색은 나노사이즈의 금이 이산화 티타늄에 도핑된 결과로서 나타나는 나노금의 플라즈몬 현상이라 하며, 사용되는 자외선은 20W의 파장이 300-400nm의 블랙라이트 형광등이 반응에 용이하다. 자외선 강도는 1mW/cm2 이상이 필요하다. 자외선 강도가 너무 클 경우는 수용액의 온도상승으로 반응을 제어하기가 힘들고, 높은 전력사용 등으로 비경제적이다. 그러나 수용액의 양등에 비례하여 자외선 강도는 조절이 필요하며,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혼합 수용액을 교반기를 이용하여 100-2,000rpm으로 교반하면 금 입자제조에 보다 효율적이다.
3. 연보라색으로 변화한 후, 계속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면 금(Au) 입자는 더 이상 이산화 티타늄에 도핑되지 않고 수용액 중에서 입자성장을 하여 침전되는 것이 확인 된다.
4. 침전되는 금 입자는 밤색(입자크기 100~200nm)와 진한 금색(1-6μm)이 혼합된 형태로 된다.
5. 충분히 금 입자가 침전 될 때까지 자외선 조사를 계속한다.
6. 한편 금 입자의 크기를 100-200nm로 제어하기 위하여, 1의 수용액에 알코올과 같은 정공 포획제를 첨가하면 입자크기 및 금 입자의 생성속도 제어에 용이하다.
그 이유는, 알코올류의 OH기가 이산화티타늄 표면에서 발생한 정공과 반응을 하여 전자와 정공의 재 결합률을 낮추고, 전자는 금 이온과 환원반응에 이용될 수 있는 확률을 높이기 때문이다. 이때 첨가되는 알코올은 0.01-3중량 %를 첨가한다.
7. 상기와 같은, 광전기화학적 환원 방법으로 제조하여 침전된 순금(Au) 입자를 200메쉬의 종이 필터로 필터링 한 후, 증류수로 3회 이상 세척 후, 불순물(이온, 광촉매)이 없도록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8. 최종적으로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킨 후, 건조된 순금분말이 얻어지며,
순금 수용액의 제조는 pH 메터(250A, ORION)와 이온전도도 측정기(660, METROHM)를 사용하여 이온의 검출이 되지 않을 때까지 필터링과 증류수세척과정을 반복한다.
9. 최종적으로 순금 수용액은 pH가 6~8사이가 되고 이온전도도가 증류수의 이온전도도 1-5 μS/cm 로 된다.
10. 사용용도에 따라 순금수용액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비닐알콜(PVA)와 같은 수용성 고분자 보호콜로이드의 첨가에 따라 분산성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불순불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품등의 제조에서는 상기의 세척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11. 또한 입자크기가 제어된 형태의 순금 분말을 얻기 위하여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순금수용액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입자크기에 따른 순금수용액의 제조 후, 이를 건조하여 입자크기가 제어된 순금분말도 제조 가능하며, 순금(Au) 입자의 형태는 구상, 다각형, 로드(rod)형이며, 이들 입자는 다각형의 순금 입자가 단결정인 것으로, 입자의 크기는 50nm~1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금(Au) 입자를 나타낸다( 도 1, 2, 3 4 참조)
도 1은 다양한 입자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금의 SEM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이 금의 입자형태는 구형, 삼각형, 육각형, 로드(rod)형태로 제조되었고, 다각형의 순금 입자가 단결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금(Au) 입자로 입자크기는 입자형태에 따라 50nm ~ 10μm로 확인 되었다.
도 2는 로드(rod)형태의 금 입자의 성분분석 EDS사진으로 순금으로 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3은 다각형 금 입자의 성분분석 EDS사진으로 순금으로 되어 있는 것이 확인 되었으며, 다각형의 금 입자의 크기는 수 μm로 확인 되었지만 다각형 금 입자의 두께는 다각형 금 입자 아래로 구형 금 입자 등이 보이는 것으로 볼 때 백 nm이하로 예상된다.
도 4는 구형 금 입자의 성분분석(EDS사진)으로 순금으로 되어 있는 것이 확인 되었으며,
상기의 도 2, 3, 4에서와 같이 광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제조된 금 입자는 순금으로 다양한 입자형태를 가지는 크기가 50nm ~10μm로 확인되었다.
또한 순금의 단결정 제조에는 일반적으로 수개월 이상 시간을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는 1-2일 내에 입자크기가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수 십 마이크로미터의 순금 단결정이 용이하게 제조된다는 특징이 있다.
결과적으로, 광전기 화학적 반응을 이용한 다양한 입자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금(Au) 입자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순금을 바인더와 혼합 후 유리, 세라믹, 섬유 및 플라스틱 담체에 코팅한 후 항균기능을 나타내고, 정전기방지, 전자파차폐, 적 외선반사 기능이 발생하는 부재로 사용가능하며, 이들을 스프래이 법, 담그는 법, 그라비아 법등으로 코팅하여 경화시킨 코팅 막으로도 시용할 수 있으며, 건축내장재인 타일, 벽지, 또는 수납장의 목재등으로 순금의 금속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코팅 되어진 코팅 막으로도 제작가능하다.
또한, 침전된 순금 입자를 필터링 한 후 증류수로 3회 이상 세척 후 불순물이(이온, 광촉매) 없도록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 순금 분말 또는 순금 수용액의 순금 입자가 열교환기용의 열전달 매체에 첨가 되어진 열전달 매체. 순금입자가 주류, 식품, 기능성 화장품, 비누, 치약, 마스크 팩 등에 첨가 되어져 항산화 효과와 미용효과를 강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으로 가공 가능하며, 순금 입자를 플라스틱, 제지, 타일등의 제조에 첨가하여 만들어진 항균기능, 순금의 금속효과를 가지는 플라스틱, 제지, 타일로 변형 가능하며, 순금을 섬유 후처리 과정에 첨가하여 순금입자가 코팅된 자연섬유 혹은 인공섬유, 순금을 함유한 위조방지 잉크, 순금을 함유한 마스터배치 플라스틱 칩(M/B plastic chip)을 제조가능하게 하는 광전기 화학적 반응을 이용한 다양한 입자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금(Au) 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순금은 동양의학 및 서양의학에서 응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순금이 체내에 흐르고 있는 미세한 전류의 이온밸런스를 유지시켜주며, 진정작용, 노폐물 해독작용을 하며 기의 흐름을 좋게 하며, 특히 피부에 바르는 금은 이온작용을 통해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금을 이용하면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 주름생성을 방지하며 해독 및 정화작용으로 피부 트러블의 예방과 신경 안정 등의 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 일부에서는 금이 숙취를 제거하며 동맥 경화등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과와 항노화에도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다. 서양의학에서는 금을 천식이나 류마티즘 치료에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전부터 순금이 가지는 화려함과 고급스러운 이미지, 그리고 부의 상징등을 고려하면 응용상품들이 계속하여 만들어 지리라 생각된다.
또한, 순금은 어떤 온도에서도 산화나 부식이 일어나지 않으며, 거의 0에 가까운 저항을 유지하기 때문에 우주왕복선과 같은 우주항공용 소재로 추진엔진과 동체의 연결부분에 사용되고, 전기전자분야에서 회로기판의 스위치나 릴레이, 커넥트등 부품의 접점은 대개 금도금 제품이 사용된다. 그리고 순금은 적외선을 98%까지 반사시키므로 건축용 유리등에도 코팅 되어져 건물의 미관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감효과를 나타내어 건축용 유리, 자동차용 유리등으로의 응용이 기대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입자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금(Au) 입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광전기화학적 환원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순금 분말 또는 순금 수용액은 기계적 분쇄등과 같이 물리적으로 만들어진 것보다 입자크기가 미세하여, 치약, 비누, 화장품, 마스크 팩, 입욕용 첨가제등으로 사용하여 금의 이온작용으로 혈액순환과 호르몬 분비 촉진, 노폐물 해독작용, 피부정화, 신경안정 및 항산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 주류, 마스크 팩, 화장품 등에 적용하여 해독작용 및 항균 작용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정밀 화학용 촉매, 전자파 차폐 등의 전자재료, 정전기 방지 및 적외선반사등의 기능성 코팅조성물, 위조방지 잉크의 재료의 제조에도 응용 가능 하며, 그 효과가 매우 크다.

Claims (7)

  1. 순금(Au, gold)입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0.1~10중량%의 염화금산 수화물(HAuCl4-4H2O)을 0.1~5중량%의 수성 광촉매가 포함된 콜로이달의 수용액에 혼합하고, 교반속도 100~2,000rpm에서 10~30분간 교반한 후, 광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수용액중에 침전되는 순금(Au)입자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Au)입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수성광촉매는 결정형 이산화티타늄인 아나타제형 TiO2, 루타일형 TiO2, 또는 ZnO, WO3, SnO2, MoO3, Fe2O3, BaTiO3, KNbO3, Ta2O5 중에서 선택되어진 수성 광촉매 콜로이달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한 금(Au) 입자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자외선조사는 300~400nm의 파장을 가지는 블랙라이트 형광등 또는 Xe 램프등과 같은 자외선 강도가 큰 자외선램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한 금(Au) 입자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순금(Au) 입자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혼합액에 저급 알코올을 0.01~3중량% 첨가하는 과정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한 금(Au) 입자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용액상 침전된 순금(Au) 입자를 필터링 한 후, 증류수로 3회 이상 세척 후, 불순물이(이온, 광촉매) 없도록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 순금 분말 또는 순금 수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한 금(Au) 입자의 제조방법.
  6. 제 1항의 순금(Au) 입자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순금(Au) 입자의 형태는 구상, 다각형, 로드(rod)형이며, 이들 입자의 크기는 50nm~1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금(Au) 입자.
  7. 제 6항에 있어서, 순금(Au) 입자의 형태는 다각형의 순금 입자가 단결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금(Au) 입자.
KR1020060119456A 2006-11-30 2006-11-30 광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한 순금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49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456A KR20080049178A (ko) 2006-11-30 2006-11-30 광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한 순금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456A KR20080049178A (ko) 2006-11-30 2006-11-30 광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한 순금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178A true KR20080049178A (ko) 2008-06-04

Family

ID=3980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456A KR20080049178A (ko) 2006-11-30 2006-11-30 광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한 순금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91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64416A1 (de) 2008-05-27 2009-12-03 Hyundai Motor Co. Geräuschreduktionsvorrichtung eines motorgetriebenen Servolenkungssystems
RU2635582C1 (ru) * 2016-09-14 2017-11-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Забайкаль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ПО "ЗабГУ") Способ выщелачивания металлов из упорных углистых руд (варианты)
CN116514578A (zh) * 2023-05-08 2023-08-01 湖南泰鑫瓷业有限公司 一种用于日用瓷的陶瓷墨及其生产工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64416A1 (de) 2008-05-27 2009-12-03 Hyundai Motor Co. Geräuschreduktionsvorrichtung eines motorgetriebenen Servolenkungssystems
RU2635582C1 (ru) * 2016-09-14 2017-11-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Забайкаль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ПО "ЗабГУ") Способ выщелачивания металлов из упорных углистых руд (варианты)
CN116514578A (zh) * 2023-05-08 2023-08-01 湖南泰鑫瓷业有限公司 一种用于日用瓷的陶瓷墨及其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Bioinspired synthesis of photocatalytic nanocomposite membranes based on synergy of Au-TiO2 and polydopamine for degradation of tetracycline under visible light
Jain et al. Photocatalytic activity of TiO2 nanomaterial
Rajput et al. A review on TiO2/SnO2 heterostructures as a photocatalyst for the degradation of dyes and organic pollutants
Siuleiman et al. Photodegradation of Orange II by ZnO and TiO2 powders and nanowire ZnO and ZnO/TiO2 thin films
Chu et al. Formation and photocatalytic application of ZnO nanotubes using aqueous solution
Çinar et al. Hydrothermal/electrospinning synthesis of CuO plate-like particles/TiO2 fibers heterostructures for high-efficiency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organic dyes and phenolic pollutants
Choi et al. Recyclable Ag-coated Fe3O4@ TiO2 for efficient photocatalytic oxidation of chlorophenol
Baeissa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methylene blue dye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using In/ZnO nanocomposite
EP1976801A2 (en) Modified nanostructured titania materia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Imtiaz et al. Semiconductor nanocomposites for visible light photocatalysis of water pollutants
Singh et al. Surface modification or doping of WO3 for enhancing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organic pollutant containing wastewaters: A review
Pimentel et al. Photocatalytic activity of TiO2 nanostructured arrays prepared by microwave-assisted solvothermal method
Rajput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ZnO-based heterostructures as photoelectrocatalysts for wastewater treatment: A review
Szołdra et al. Effect of sol composition on the properties of TiO2 powders obtained by the sol-gel method
Castillo-Cabrera et al. Bismuth oxyhalide-based materials (BiOX: X= Cl, Br, I) and their application in photoelectrocatalytic degradation of organic pollutants in water: a review
R Khataee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nanostructured Sm-doped CdSe
Roy et al. Incorporation of Ag-doped ZnO nanorod through Graphite hybridization: Effective approach for degradation of Ciprofloxacin
Cao et al. A simple solvothermal preparation of Mg-doped anatase TiO2 and its self-cleaning application
Elumalai et al. Investigation on synergistic effect of rGO and carbon quantum dots-embedded ZnO hollow spheres for improved photocatalytic aqueous pollutant removal process
Ravichandran et al. Synergistic effect of La+ Mo addition and optimum pH on the photocatalytic dye decomposition efficiency of spray pyrolyzed ZnO thin films
Dao et al. Highly photocatalytic activity of pH-controlled ZnO nanoflakes
Sabbagh et al. Synthesis of TiO2 (B) and High‐temperature Stable Anatase TiO2 Nanowires by Hydrothermal Method and Investigation of Photocatalytic Activity
Liu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ube-like Ag@ AgCl-doped TiO2/fly ash cenospheres with enhanced visible-light photocatalytic activity
KR20080049178A (ko) 광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한 순금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Kurokawa et al. Nickel-doped TiO2 multilayer thin film for enhancement of photocatalytic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