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7426A -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자원에서 대역폭을 예약하는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자원에서 대역폭을 예약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7426A
KR20080047426A KR1020087007109A KR20087007109A KR20080047426A KR 20080047426 A KR20080047426 A KR 20080047426A KR 1020087007109 A KR1020087007109 A KR 1020087007109A KR 20087007109 A KR20087007109 A KR 20087007109A KR 20080047426 A KR20080047426 A KR 20080047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width
network
service
customers
li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4667B1 (ko
Inventor
미카엘 프란츠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47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2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reservation actions during connection setup
    • H04L47/724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reservation actions during connection setup at intermediate nodes, e.g.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SV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04L43/0894Packet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multipoint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2Network analysis or design using statistical or mathematical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자원에서 대역폭을 예약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자원에서 대역폭을 예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 전송 채널이 한 서비스를 위해 관리되고, 전송 채널의 각 네트워크 자원을 위한 대역폭은 통계치에 기초하여 변화된다.
통신 네트워크, 네트워크 자원, 대역폭, 전송 채널, 예약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자원에서 대역폭을 예약하는 방법{METHOD FOR RESERVING BANDWIDTH IN A NETWORK RESOURCE OF A COMMUNICATIONS NETWORK}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특히, 이더넷(Ethernet) 기반 네트워크에서 대역폭을 예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네트워크 링크 등의 네트워크 자원에서 대역폭을 예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데이터를 일정 크기를 특징으로 하는 작은 셀들로 부호화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또는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광섬유를 이용한 디지털 통신 표준) 기반 전송 네트워크 등의 이더넷 기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되는 유틸리티에서 동일한 품질 또는 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서, 이 관리는 보장된 대역폭을 필요로 하는 유틸리티를 위해 네트워크에서 이용할 수 있는 대역폭의 초과예약(overbooking)을 피해야 한다. 이 관리는 언제라도 특히 예를 들어, 어플라이언스(appliance)의 제어중에 개입을 필요로 하는 비상시에도 전송이 가능할 필요가 있는 유틸리티에 대한 서비스일 수 있다.
관리는 한 서비스에 이용되는 여러 네트워크 자원들에 대해 상이한 대역폭들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들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문맥에서, 네트워크 자원은 네 트워크 요소들 및 네트워크 링크들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자원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용어 "유틸리티"는 TV,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인터넷 액세스, 또는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등의 고객을 위한 유틸리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서비스"는 예를 들어, 1 이상의 고객에 대해 한 유틸리티를 실현하는 소프트웨어 기반 오브젝트와 같은 관리 시스템의 오브젝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네트워크 링크" 또는 "링크"는 상이한 네트워크 요소들 또는 동일한 네트워크 요소에서 두 포트들 사이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접속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문맥에서, 네트워크 요소의 일례로는 스위치가 있다. 스위치의 예로는 고객들이 트위스티드(twisted) 동선들을 이용하여 DSL 유틸리티들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멀티플렉서인 "브리지" 또는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ier)를 들 수 있다.
해결해야할 과제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보다 잘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수단 또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전송 채널이 한 서비스를 위해 통신 네트워크에서 관리되고, 전송 채널의 각 자원을 위한 대역폭이 통계치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방법을 기술한다.
이러한 문맥에서, 자원은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링크를 포함한다. 통계치는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유저의 수를 포함한다. 유저의 일례로는 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할 수 있는 고객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어 프로그램으로 제어되고, 위의 방법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네트워크 용량 조정기를 갖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기술한다.
위의 방법 및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통해 예를 들어, 정적 예약과는 대조적인 동적 대역폭 예약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네트워크 링크에서 대역폭을 예약하는 위의 방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각 네트워크 요소들 사이(지점 대 지점), 한 네트워크 요소와 복수의 네트워크 요소들 사이(한 지점 대 다 지점) 및 두 그룹의 복수의 네트워크 요소들 사이(다 지점 대 다 지점)의 네트워크 링크들이 한 서비스에 포함된 모든 네트워크 용량에 대해 비선형, 즉, 상이한 대역폭으로 정의되고 관리될 수 있는 추가의 장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네트워크에 포함된 모든 링크들 전체에 대해 어떤 복잡한 대역폭 구성도 필요가 없다.
다른 장점은, 대역폭들이 필요에 따라 서로 스태거(stagger)될 수 있어서 규정된 대역폭 단계들(steps)로 관리할 필요가 없는 점이다.
본 발명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서비스를 위한 대역폭을 예약하기 위해,
- 네트워크를 사용할 것으로 기대되는 유저의 수가 확인되고,
- 그 서비스에 필요한 대역폭이 기대되는 유저의 수와 곱해져서, 대역폭 값을 획득하고,
- 이 대역폭 값을 갖는 각 네트워크 링크에 대한 대역폭이 그 서비스를 위해 예약된다.
이 경우, 서비스를 위한 대역폭은 각 네트워크 링크마다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로 가능한 유저의 수를 기초로 대역폭을 계산하는데 통계적으로 확인된 수의 유저가 고려된다.
대역폭 값을 식 (NK×D)×(NKe/NK)를 기초로 계산할 경우 유리하다. 여기서, NK는 서비스에 등록된 유저의 수이고, D는 그 서비스에 필요한 대역폭이고, NKe는 그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하는 실제로 기대되는 유저의 수이다.
대안적으로, 대역폭 값은 식 (NK × D) × A를 기초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NK는 서비스에 등록된 유저의 수이고, D는 그 서비스에 필요한 대역폭이고, A는 저감 지수(reduction factor)이다.
저감 지수는 기대되는 유저의 수에 기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체 네트워크에서 대역폭을 제공하기 위해, 대역폭 값은 서비스에 사용된 복수의 관련 네트워크 링크들에 대해 함께 확인되어 제공될 수 있다.
네트워크 링크들을 위한 대역폭 값이 VLAN에서 확인되어 제공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대역폭들이 예약되고, 서비스를 확인하는 루트 또는 루트들은 네트워크에서 VLAN의 구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것은, 루트는 최적화된 대역폭 예약을 갖는 네트워크 링크들을 배타적으로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 논리 영역을 정의한다.
네트워크가 다른 "보호된" 루트들을 갖는 경우, 대역폭은 1:n 세이프가드(safeguard)로 예약될 수 있다. 다른 루트들은 기존의 전송 채널이 고장인 경우에 활성화되는 것들이며, 이것은 데이터 트래픽이 이 다른 루트에 의해 우회됨을 의미한다. 이 경우, 숫자 n은 예를 들어, STP(Spanning Tree Protocol)를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는 가능한 다른 루트들의 수이다. 따라서 대역폭은 다른 루트들의 수에 기초하여 한 번만 또는 감소된 형태로 링크 상에 예약된다.
전술한 요지들을 이하의 도면들과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상이한 링크들에서 상이한 물리적 대역폭들을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서비스에 대해 예약된 대역폭의 비선형 분포를 갖는, 도 1에 기초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서비스에 대해 예약된 대역폭의 제2 분포를 갖는, 도 1에 기초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경로가 VLAN을 이용하여 정의되고 네트워크 링크마다 하나의 e2e 서비스에 대해 상이한 대역폭들을 예약하는 다른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용량 조정기로 관리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해 대역폭을 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문맥에서, 겨우 특정 수의 고객 NKe, 예를 들어, 유틸리티에 등록된 고객 NK의 50%가 실제로 단말에서 서비스를 이용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한 대역폭이 예를 들어, 두 개의 네트워크 요소 또는 스위치 사이의 링크들 상에서 네트워크에 예약될 수 있다.
일반적인 전문어로, 네트워크 용량 조정기를, 관리 시스템에서 한 서비스에 사전 예약된 대역폭들을 관리하는 자원 제어기라고도 한다. 이것은 특히, 얼마나 많은 고객이 그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지를 고려하여 예정을 세우기 위한 사전 예약일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사전 예약된 대역폭의 초과예약은 불가능하거나 수용될 수 없다. 관리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용량 조정기를 통해 사전 예약된 대역폭들과 관리 서비스들을 알 수 있다.
도 1은 이하의 설명과 더불어, 네트워크 트래픽을 함께 수집하는 링크들(A1 내지 J1)에 대역폭이 예약되는 방법을 나타내는데, 대역폭은 단말들을 위한 총 대역폭으로부터 취득된다.
파선 박스(A)는 네트워크 요소(NE3)와 복수의 단말(CL1 내지 CL4) 사이에 총 4개의 링크(A1 내지 A4)를 포함한다. 단말(CL1 내지 CL4)은 각각 예를 들어, 이동 수신기나 컴퓨터를 갖고 있는 복수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례로서, CL1은 200명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CL2는 160명의 고객 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CL3은 200명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CL4는 240명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에 또는 한 고객을 접속하는데 5Mbps의 전송 속도가 필요하고, 각 경우에 50%의 고객만이 실제로 동시에 서비스를 요구 또는 다운로드 또는 사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CL1과 NE3 사이에 배치된 링크(A1)에 500Mbps의 대역폭이 필요하게 된다. 이 수는 다음 식, 고객의 수(NK)×서비스에 필요한 대역폭(D)×실제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퍼센트(NK/NKe)로부터 얻어진다. Al의 경우, 이 수는 (200×5Mbps)×50%=500Mbps가 된다. 단말들과 네트워크 요소(NE3) 사이의 나머지 링크들(A2 내지 A4)의 대역폭들을 합산하면, 파선 박스로 나타낸 영역(A)으로부터 총 2GB의 대역폭이 얻어진다.
도면은 합산 영역(B)에 대해 링크(B1 내지 B3), 합산 영역(C)에 대해 링크(C1 및 C2), 및 합산 영역(D)에 대해 링크(D1 내지 D3)를 더 포함한다. 일례로서, 서비스를 위해 다음 대역폭이 링크들에 할당된다.
B1: 200Mbps C1: 800Mbps D1: 500Mbps
B2: 400Mbps C2: 400Mbps D2: 400Mbps
B3: 200Mbps D3: 400Mbps
영역(I)에서, 영역들(E와 F 또는 A와 B)로부터 합산된 대역폭이 이제 수렴한다. 따라서 전술한 계산을 기초로 할 때 영역(I)에서 또는 링크(I1)에서 필요한 대역폭은 2.8GB가 된다.
이제 나머지 링크(C1 내지 D3)의 대역폭을 가산하여 I1의 대역폭(2.8GB)에 더하면, 링크(J1)에서 필요한 대역폭은 총 5.2GB가 된다.
이 가산으로부터, 한 링크가 제공하는 대역폭의 대부분을 필요로 하는 합산 링크들에서 대역폭이 훨씬 더 크게 된다. 이는 때로 다른 서비스를 위한 어떤 대역폭도 남아있지 않음을 말한다. 또한 링크(I1)에서와 같이 총 합산 대역폭이 이용가능한 대역폭보다 크므로 합산 트래픽을 전송하는 링크들이 필요 대역폭을 제공할 수 없다.
이러한 제한을 회피하는 방법은 비선형적 방식으로 링크들의 대역폭을 신중히 설정하여 대역폭을 절약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약된 네트워크 자원들이 이론상으로 초과예약된다.
또한 TV 서비스의 경우와 같이, 서비스들을 위해 상이한 경로들 또는 링크들에 대해 상이한 대역폭들이 필요한 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한 네트워크에 필요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필요 대역폭은 지역을 기반으로 제공되므로 상이할 수 있는 채널들의 수에 의존할 수 있다. 각 TV 채널들은 가능한 한 멀리 서비스의 여러 루트들에서 일 회만 전송되는데, 즉, 신호는 분포 네트워크 요소들에서 멀티캐스트(multicast)된다. 따라서 서비스의 경로에 제공된 채널들을 기반으로 여러 네트워크 용량에 대해 상이한 대역폭이 사용된다.
이 방법들은 간단한 계산가능성과 실현가능성이란 이점이 있지만, 유저 종단(A)으로부터 제공자 종단(Z)까지 규정 대역폭들이 가산되므로 대역폭 요건이 충족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역폭을 절약하기 위해 대역폭을 최적 형태로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 또는 용량이 작은 경우, 이 목적으로 조정된 제어기 나 오퍼레이터를 이용하거나 적합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링크마다 개별적으로 대역폭들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네트워크의 전송 용량이 세부적으로 관리된다. 그 결과, 특히 큰 네트워크들에 대해 복잡도 레벨이 비교적 커지게 될 수 있다.
도 2에서, 유저 종단에서 네트워크 내의 종단점(CL1 내지 CL4)은 이전 예에서와 동일한 수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CL1 = 200 고객, CL2 = 160 고객, CL3 = 200 고객, CL4 = 240 고객), 대역폭은 선형적으로 합산된다. 그러나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공되는 대역폭은 같은 시간에 한 서비스의 사용을 허가받은 고객의 수를 기초로 확인된다. 각 링크들의 대역폭을 이 도면에 직접적으로 나타냈다. 이전 예와는 달리, 복수의 저감 지수 A가 아래와 같이 고객의 수에 기초하여 사용된다.
0 내지 300 고객 = 50%
301 내지 1000 고객 = 30%
1001 내지 3000 고객 = 20%
3001 내지 4000 고객 = 15%
명확히 하기 위해 도면에서 저감 지수 A에 밑줄을 그었다. 따라서 저감 지수는 실제로 기대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수와 관련된다.
이전 예에서와 같이, 서비스마다 5Mbps가 필요하지만, 이 값은 설정가능하게 유지된다. 영역(A)에서는, 전체 800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스태거된 저감 지수를 고려하여 파선 박스의 영역(A)에서 전술한 식을 기초로 800×5Mbps×30%=1.2Gbps의 대역폭이 링크(E1) 또는 영역(E)에서 얻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조적으로, 영역(B)에서는, 360 고객이 수렴하는데, 360×5Mbps×30%를 기초로 링크(F1) 또는 영역(F)에 대해 540Mbps의 대역폭이 얻어진다. 영역(E와 F)이 가산되면, 총 1160 고객에 서비스가 제공되어 결과적으로 링크(I1)의 필요 대역폭은 1160×5Mbps×20%를 기초로 1.16Gbps가 된다. 이 경우, 20%의 저감 지수가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이는 1160명의 가능한 고객의 부하에서 실제로 20%만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유사한 계산에 기초하여, 링크(G1과 H1)에 필요한 대역폭은 각각 840Mbps와 600Mbps가 되고, 영역(C와 D)에서 전체 1060명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게 되는 경우, 이것은 링크(J1)가 2120×5Mbps×20%=2.12Gbps의 필요 대역폭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최종 계산을 통해, 실제 기대할 수 있는 고객 부하에 따라 20%의 저감 지수가 사용되는 다른 예가 생성된다.
따라서 저감 지수 A는, 한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받는 고객이 많아질수록 한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하는 고객들에 대한 통계적 평균이 낮아진다는, 즉, 고객의 수가 증가하면 이들 고객이 같은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가능성은 낮아진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제공되는 대역폭이 크게 저감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더 많은 고객이 한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고, 네트워크 제공자가 더 많은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저감 지수를 이 예시의 실시예에서 고정된 것으로 도시했지만, 이 지수들은 예를 들어,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의 수를 기초로 적합한 저감 지수를 확인하는 적합한 프로그램 제품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공된 예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에서 주문형 비디오를 지원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도 3은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섹터들(A, B, C 및 D), 즉, 고객들에 직접적으로 접속된 링크들(A1 내지 A4, B1 내지 B3, C1과 C2, 및 D1 내지 D3)에 필요한 대역폭은 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허용된 고객의 수를 기초로 예를 들어, 50%로 확인된다. 이것은, 고객의 수×5Mbps×50%의 계산으로부터 500, 400, 500 및 600Mbps의 대역폭들이 각각 링크들(A1 내지 A4)에 예약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고객들에 대해 멀리 있는 섹터들(E 및 F)의 경우, 제공되는 대역폭은 저감 지수를 기초로 확인되는데, 이 경우 A = 75%이다. 이는 링크(E1)에서 예를 들어, 계산 (500Mbps+400Mbps+500Mbps+600Mbps)×75%로부터 1.5Gbps의 대역폭 예약이 얻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식이 유사하게 링크들(I1 및 J1)에 적용되어, 링크(I1)에 2.1Gbps가 제공되고, 링크(J1)에 3Gbps가 제공된다. 따라서 저감 지수는 한 값으로 고정될 수 있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수에 기초하여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체 대역폭이 수집 링크들로부터 형성되고, 저감 지수와 곱해진다. 이 경우 아래의 데이터가 프로그램 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 서비스가 필요로 하는 대역폭
- 50% 등의 제1 링크에서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하는 기대 고객 수
- 수집 링크들에서 대역폭을 예약하기 위한 저감 지수. 저감 지수는 수집 링크들에서 대역폭을 저감할 필요가 있는 퍼센트 값이다. 1%와 100% 사이의 고정 값이 모든 합산 링크들에 사용되는 입력일 수 있다. 디폴트값은 저감이 없음을 의미하는 100%이다.
계산된 대역폭들은 관리 시스템에서 이 서비스를 위해 예약되는데, 즉, 대역폭들은 특히, 이 서비스를 위한 대역폭들이 네트워크에서 소정 시간에 유틸리티들에 이용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다른 서비스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
방법은 일부 이용가능 용량이 외부 네트워크 용량 조정기로 관리되는 이더넷 망을 제어하는데 적합하다.
텔레비전 서비스가 고객에게 제공되는 경우,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요소에서 멀티캐스트 그룹들을 평가함으로써 한 링크에서 몇 개의 TV 채널이 전송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 정보는 네트워크에서 충분한 대역폭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집 링크들에서 대역폭이 각 지수에 의해 저감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등의 적합한 지식 기반을 갖는 프로그램에 의해 각각의 식이 정의된다. 프로그램은, 제공되는 계산된 대역폭이 모든 네트워크 자원에 대해 0보다 큰 값인지 검사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예약되는 대역폭을 저감하기 위해 수집 링크들로부터의 저감 지수에 대한 체크섬(checksum)을 다른 지수로 곱하는 등의 다른 절차를 생각할 수 있 다. 대안적으로, 저감 지수는 한 링크의 물리적 대역폭을 기초로 확인될 수 있다. 저감 지수는 선형적 또는 비선형적일 수 있다.
도 4는, 전술한 방법들의 개선이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의 구성을 통해 서비스들을 위한 루트들을 정의하는 관리 시스템에서 유틸리티들에 대해 접속된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이러한 문맥에서, 용어 VLAN은 네트워크의 일부를 이루고 특정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가 제공되는 논리적으로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말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루트 또는 경로에 의해 결정되는 네트워크 자원들에 있어서, 서비스에 필요한 대역폭이 관리 시스템에 예약된다. VLAN 내의 네트워크 링크들에 대한 대역폭들의 예약은 한 유틸리티의 등록 고객들에게만 한 서비스가 전송되게 하는 구간을 형성한다. VLAN 영역은 상이한 프로토콜들, 예를 들어 STP 또는 MSTP(Multiple Spanning Tree Protocol)를 이용하여 접속될 수 있다. MSTP 프로토콜은 링크 또는 네트워크 요소가 고장인 경우에 사용되는 복수의 VLAN을 포함하는 환경에서 대안적인 루트들을 제안한다. 전술한 방법은 또한 이러한 루트들 상의 링크들에서 가변 기반으로 대역폭들을 예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참조 부호 목록
A 내지 J 합산 대역폭의 영역들
CL1 내지 CL4 단자
A1 내지 J1 링크들
NE1 내지 NE6 네트워크 요소들

Claims (9)

  1.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자원에서 대역폭을 예약하는 방법으로서,
    한 전송 채널이 한 서비스를 위해 관리되고, 상기 전송 채널의 각 네트워크 자원을 위한 상기 대역폭은 통계치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대역폭 예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는 상기 서비스에 기대되는 유저의 수가 확인되고,
    상기 서비스에 필요한 대역폭은 상기 기대되는 유저의 수와 곱해져서, 대역폭 값을 획득하고,
    상기 대역폭 값을 갖는 네트워크 자원이 상기 서비스를 위해 예약되는 대역폭 예약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값은 식 (NK×D)×(NKe/NK)에 기초하여 계산되며,
    여기서, NK는 서비스에 등록된 유저의 수이고,
    D는 상기 서비스에 필요한 대역폭이고,
    NKe는 상기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하는 실제로 기대되는 유저의 수인 대역폭 예약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값은 식 (NK×D)×A에 기초하여 계산되며,
    여기서, NK는 서비스에 등록된 유저의 수이고,
    D는 상기 서비스에 필요한 대역폭이고,
    A는 저감 지수(reduction factor)인 대역폭 예약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 지수는 기대되는 유저의 수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대역폭 예약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자원은 네트워크 요소들을 포함하는 대역폭 예약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자원은 네트워크 요소들을 포함하는 대역폭 예약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값은 복수의 관련 네트워크 자원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확인되어 제공되는 대역폭 예약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자원들은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과 관련되는 대역폭 예약 방법.
KR1020087007109A 2005-09-22 2006-08-23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자원에서 대역폭을 예약하는방법 KR100954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20624A EP1768322A1 (de) 2005-09-22 2005-09-22 Verfahren zur Reservierung von Bandbreite in einer Netzresource in einem Kommunikationsnetzwerk
EP05020624.2 2005-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426A true KR20080047426A (ko) 2008-05-28
KR100954667B1 KR100954667B1 (ko) 2010-04-27

Family

ID=3521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109A KR100954667B1 (ko) 2005-09-22 2006-08-23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자원에서 대역폭을 예약하는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268756A1 (ko)
EP (1) EP1768322A1 (ko)
KR (1) KR100954667B1 (ko)
CN (1) CN101283552A (ko)
WO (1) WO2007033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9458B2 (en) * 2009-05-27 2013-10-15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scheduling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system
US9800469B2 (en) * 2013-04-05 2017-10-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a multi-stage communications network under load from multiple communicating servers
CN105490853A (zh) * 2015-12-11 2016-04-13 国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根据业务变量计算所需虚拟机带宽的方法
EP3522461A1 (de) 2018-02-06 2019-08-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datentransfer in einem ethernet-basierten netzwerk mit kommunikationsknoten und kommunikationsknot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8636B1 (en) * 1999-02-04 2005-05-24 Intralin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changing documents between a sender computer, a server and a receiver computer
US6594271B1 (en) * 1999-07-19 2003-07-15 General Instruments Corporation Implementation of opportunistic data on a statistical multiplexing encoder
US20020075805A1 (en) * 2000-09-22 2002-06-20 Narad Networks, Inc. Broadband system with QOS based packet handling
US7206309B2 (en) * 2001-03-27 2007-04-17 Nortel Networks Limited High availability packet forward apparatus and method
KR20030057664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대칭디지털가입자라인 시스템의 비동기전송모드선택가상채널 연결제어 방법
JP4053308B2 (ja) * 2002-02-15 2008-02-27 富士通株式会社 上位及び下位中継装置並びにネットワーク装置
US20060149852A1 (en) * 2003-01-28 2006-07-06 Gero Schollmeier Allocation of distribution weights to links in a packet network comprising traffic distribution
JP4829474B2 (ja) * 2004-01-30 2011-12-07 富士通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およびそのパス制御方法
US7330431B2 (en) * 2004-09-03 2008-02-12 Corrigent Systems Ltd. Multipoint to multipoint communication over ring topolog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33741A1 (de) 2007-03-29
CN101283552A (zh) 2008-10-08
US20090268756A1 (en) 2009-10-29
EP1768322A1 (de) 2007-03-28
KR100954667B1 (ko) 201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8947B2 (en) Capacity management for data networks
US81894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olistic, iterative, rule-based traffic management
US200402132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ft bandwidth
WO2005034446A1 (ja) ポリシールール適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060039382A1 (en) Tele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n SDH/Sonet-subnet, where the GMPLS function is incorporated in a GMPLS software server
US97424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bandwidth management
Ye et al. Virtual infrastructure embedding over software-defined flex-grid optical networks
KR100954667B1 (ko)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자원에서 대역폭을 예약하는방법
JP5314510B2 (ja) 帯域管理制御システム及び帯域管理制御方法
JP5630094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0539529C (zh) 共享接入网的通讯系统及其进行业务报文交互的方法
EP1705839A1 (en) Guaranteed bandwidth end-to-end services in bridged networks
CN107508730B (zh) 一种基于sdn网络的数据中心互联方法及装置
Luo et al. Routing connections with differentiated reliability requirements in WDM mesh networks
Kern Traffic-driven optimalization of resilient QoS-aware Metro-Ethernet networks
CN105591852A (zh) 接入系统和具有接入系统的网络架构
Vadrevu et al. Degraded services in mixed-line-rate networks using multipath routing
Toelle et al. Congestion control for carrier ethernet using network potentials
CA2348577A1 (en) Management of termination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ruzvillasante et al. Trunk reservation for elastic optical networks
JP2012104886A (ja) 転送制御装置
Toelle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potential and management based network admission control methods
Gouveia et al. Optimal survivable routing with a small number of hops
Xu et al. Ultrafast potential-backup-cost (PBC)-based shared path protection schemes
Xiang et al. A QoS-based differentiated protection algorithm in WDM mesh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