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542A - Image form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Image form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542A
KR20080046542A KR1020070053383A KR20070053383A KR20080046542A KR 20080046542 A KR20080046542 A KR 20080046542A KR 1020070053383 A KR1020070053383 A KR 1020070053383A KR 20070053383 A KR20070053383 A KR 20070053383A KR 20080046542 A KR20080046542 A KR 20080046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unit
print medium
develop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3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02627B1 (en
Inventor
안병선
정경식
안병화
김수용
정기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938,976 priority Critical patent/US7787803B2/en
Priority to CN2007101866482A priority patent/CN101187793B/en
Priority to EP07121238.5A priority patent/EP1925991B1/en
Publication of KR20080046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5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6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8Driving control for rotary photosensitive medium, e.g. speed control, stop position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An image forming apparatus is provided to reduce a driving noise, a material cost, and power consumption by reducing the number of driving sources and to reduce a stress of a color developing agent due to separately driving the color developing agent as a third driving source.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developing unit, a loading unit(150), a discharge roller(163), a first driving source, a developing unit power control unit, and a loading unit power control unit. The developing unit forms an image on a printing medium to be conveyed along one surface printing path with a developing agent. The loading unit loads the developing agent on the printing medium. The discharge roller discharges the printing medium passed through the loading unit. The first driving source drives the developing unit, the loading unit, and the discharge roller. The developing unit power control unit selectively transfers power of the first driving source to the developing unit. The loading unit power control unit selectively transfers the power of the first driving source to the loading unit.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Image Form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단면도,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도 2의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사시도,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2;

도 3b는 도 3a의 화상형성장치의 양면인쇄감지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FIG. 3B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double-sided printing detecting uni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3A;

도 4는 도 2의 화상형성장치의 동력전달장치의 요부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main parts of a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2;

도 5는 도 2의 화상형성장치의 동력전달장치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도 6은 도 2의 화상형성장치의 블록선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2.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화상형성장치 110 : 급지부100: image forming apparatus 110: paper feeding unit

120 : 인쇄매체 이송유닛 130K : 모노 현상기120: print carrier transfer unit 130K: mono developer

130Y, 130M, 130C : 칼라 현상기 150 : 정착기130Y, 130M, 130C: color developing machine 150: fixing unit

160 : 배출부 163 : 배출롤러160: discharge part 163: discharge roller

170 : 양면인쇄 감지부 171 : 제1레버170: duplex printing detection unit 171: first lever

171a: 제1레버돌기 172 : 제2레버171a: first lever protrusion 172: second lever

172a: 제2레버돌기 174 : 탄성부재172a: second lever protrusion 174: elastic member

177 : 광센서 183 : 제1구동원177: light sensor 183: first driving source

185 : 제2구동원 187 : 제3구동원185: second drive 187: third drive

190 : 제어부 193 : 인쇄모드 판단부190: control unit 193: print mode determination unit

200 : 동력전달장치 205 : 현상기 동력단속부200: power transmission device 205: developer power intermittent

213 : 정착기 동력단속부213: fuser power intermitten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토너 스트레스 및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oner stress and power consumption.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부(10), 용지이송부(20), 각각 소정 색상의 토너를 저장하는 현상기(30C, 30M, 30Y, 30K), 복수의 전사롤러(40), 광주사유닛(LSU, 43), 정착기(50) 및 배지부(60)를 갖는다. 스프링(11)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녹업플레이트(12) 상에 적재된 인쇄매체는 픽업롤러(13)에 의해 픽업되고 레지롤러(14)에 의해 인쇄매체의 선단이 정렬된다. 정렬된 인쇄매체는 용지이송부(20)의 용지이송벨트(25)에 의해 현상기(130)측으로 진행하며, 각 현상기(30C, 30M, 30Y, 30K)를 거치면서 컬러 토너화상이 인쇄매체에 형성된다. 인쇄매체에 형성된 컬러 토너화상은 히트롤러(53) 및 프레스 롤러(55)에 의해 열과 압력으로 정착된다. 정착기(50)를 통과하여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는 배지롤러(6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In the conventional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1, as illustrated in FIG. 1, the paper feeding unit 10, the paper conveying unit 20, and the developing devices 30C, 30M, 30Y, and 30K each store toner of a predetermined color. ,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40, a light scanning unit (LSU) 43, a fixing unit 50, and a discharge unit 60. The print medium loaded on the knock-up plate 12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11 is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13 and the front end of the print medium is aligned by the register roller 14. The aligned print media advances toward the developing unit 130 by the paper conveying belt 25 of the paper conveying unit 20, and color toner images are formed on the printing medium through the developing units 30C, 30M, 30Y, and 30K. . The color toner image formed on the print medium is fixed by heat and pressure by the heat roller 53 and the press roller 55. The print medium which has been prin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5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discharge roller 63.

그런데, 종래의 화상형성장치(1)는 정착기(50), 용지이송벨트 구동롤러(27), 배지롤러(63), 픽업롤러(13)를 각각 구동하는 4개의 모터와, 각 현상기(30C, 30M, 30Y, 30K)를 각각 구동하는 4개의 현상기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총 8개의 모터를 사용한다. 또한, 각 현상기 구동모터(미도시)는 각각의 감광드럼(35C, 35M, 35Y, 35K), 현상롤러(33C, 33K, 33Y, 33K) 및 교반기(미도시)를 구동하며, 현상기 구동모터(미도시)로부터 현상롤러(33C, 33K, 33Y, 33K) 및 교반기(미도시)로의 동력전달은 솔레노이드에 의해 단속된다. By the way, the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1 includes four motors for driving the fixing unit 50, the paper conveying belt driving roller 27, the discharge roller 63, and the pickup roller 13, and each developing unit 30C, A total of eight motors are used, including four developer drive motors driving 30M, 30Y and 30K) respectively. In addition, each developer driving motor (not shown) drives the respective photosensitive drums 35C, 35M, 35Y, and 35K, developing rollers 33C, 33K, 33Y, and 33K, and an agitator (not shown). The power transfer from the not shown) to the developing rollers 33C, 33K, 33Y, 33K and agitator (not shown) is interrupted by the solenoid.

이러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1)는 총 8개의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동력전달구조가 복잡하고 소비전력, 재료비 및 구동소음이 증가한다. 또한, 흑백 인쇄 시 현상롤러 및 교반기의 동력은 솔레노이드에 의해 단속될 수 있지만 감광드럼은 여전히 구동되므로 토너 스트레스 증가 요인이 된다. The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1 uses a total of eight motors, which makes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complicated and increases power consumption, material cost, and driving noise. In addition, the power of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stirrer may be interrupted by the solenoid during the black and white printing, but the photosensitive drum is still driven, thereby increasing the toner stres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력전달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an simplify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소음을 줄일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can reduce driving nois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너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an reduce toner stres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an reduce the material cos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일면인쇄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의 일면에 현상제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기와; 상기 현상제를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와; 상기 정착기를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롤러와; 상기 현상기, 상기 정착기 및 상기 배출롤러를 모두 구동하는 제1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is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developing device for forming an image with a developer on one surface of a printing medium conveyed along a one-side printing path;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developer to the print medium; A discharge roller for discharging the print medium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to the outside; It can be achiev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driving source for driving both the developing unit, the fixing unit and the discharge roller.

또한, 상기 제1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현상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현상기 동력단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eveloper power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power of the first driving source to the developing unit.

여기서, 상기 제1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정착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정착기 동력단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x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fixing unit for selectively transferring power of the first driving source to the fixing unit.

그리고, 상기 현상기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내부에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며; 상기 각 현상기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현상제로 현상시키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기(agitator)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eloper is provided in plural to store the developer of different colors therein; Each developer may include a photosensitive member, a developing roller for developing the photosensitive member with a developer, and an agitator for stirring the developer.

또한, 상기 현상기는, 상기 현상기 중에서 상기 정착기에 가장 인접하게 설치되며 블랙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는 모노 현상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원은 상기 모노 현상기의 현상롤러 및 교반기를 구동할 수 있다.The developing unit may include a mono developing unit installed closest to the fixing unit among the developing units and storing a developer having a black color, and the first driving source may drive a developing roller and a stirrer of the mono developing unit.

여기서, 상기 각 현상기의 감광체 전부를 회전 구동하는 제2구동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riving source for rotationally driving all the photoconductors of the respective developing devices.

또한, 인쇄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각 감광체에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전사롤러와; 상기 감광체와 상기 전사롤러 사이로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며 상기 제2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인쇄매체 이송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disposed side by side on each photosensitive member with a print medium therebetwee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rint media transport unit which transfers the print media between the photosensitive member and the transfer roller and is driven by the second driving source.

그리고, 상기 현상기는 칼라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는 칼라 현상기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 현상기의 현상롤러 및 교반기를 구동하는 제3구동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veloping unit may include a color developing unit storing a developer having a color, and further comprising a third driving source driving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stirrer of the color developing unit.

또한, 상기 인쇄매체의 타면이 인쇄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배출롤러에서부터 상기 현상기로 안내하는 듀플렉스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롤러는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듀플렉스 가이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정역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uplex guide for guiding the print medium from the discharge roller to the developing unit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print medium may be printed. The discharge roller may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to move the print medium to the duplex guide. It can be provided as possible.

여기서,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듀플렉스 가이드로 이동하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양면인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uplex printing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print medium moves to the duplex guide.

그리고, 상기 양면인쇄 감지부는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정착기를 통과하는 지 여부도 감지할 수 있다.The duplex printing detector may also detect whether the print medium passes through the fixing unit.

또한, 상기 양면인쇄 감지부는, 상기 정착기 및 상기 배출롤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정착기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레버와; 상기 제1레버에 의해 연동회전하며, 상기 배출롤러의 역회전에 의해 진행하는 인쇄매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2레버와; 상기 제1레버 및 상기 제2레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uble-sided printing detec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lever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unit and the discharge roller to rotate in contact with a printing medium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A second lever which is interlocked by the first lever and rotates in contact with the print medium which is driven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ischarge roller; It may include a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lever and the second lever.

여기서, 양면인쇄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양면인쇄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 라 상기 배출롤러가 정역회전하도록 상기 제1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when there is a duplex printing request,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driving source so that the discharge roller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uplex printing detection unit.

그리고, 상기 일면인쇄경로에 대해 상기 현상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레지롤러와;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정착기를 통과 완료한 시점부터 상기 인쇄매체가 다시 상기 레지롤러 사이에 물리기 직전 까지 상기 제2구동원 및 상기 제3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정지 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pair of register rollers disposed in front of the develop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one-side printing path and driven by the second driving source; The control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top at least one of the second driving source and the third driving source from the time when the printing medium passes through the fixing unit and immediately before the printing medium is caught between the regulating rollers.

또한, 양면인쇄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배출롤러가 역회전 하는 동안 상기 제2구동원 및 제3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정지 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uplex printing mode, the discharge 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stopp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drive source and the third drive source while the reverse rotation.

그리고, 양면인쇄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의 타면에 인쇄될 타면인쇄 데이터가 흑백 인쇄 및 칼라 인쇄 중 어디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duplex printing mode,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o determine which of the other side print data to be pri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one-side printed print medium corresponds to black and white or color printing.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면인쇄 데이터가 흑백인쇄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인쇄매체의 일면이 상기 정착기를 통과하여 일면 인쇄가 완료된 시점부터 상기 인쇄매체의 타면이 인쇄되어 외부로 배출될 때까지 상기 제3구동원을 정지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다.Here, when the other surface printing data corresponds to the black and white printing mode, the control unit may change the time from when the one surface of the print medium passes through the fixing unit to finish printing on one side until the other surface of the print medium is prin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third drive source can be left at rest.

또한, 인쇄요청 된 화상데이터가 흑백인쇄모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흑백인쇄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3구동원을 정지상태에 있도록 제3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image data requested for printing corresponds to the black and white printing mode, and to control the third driving source to stop the third driving source when the black and white printing mode corresponds to the black and white printing mode.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제1감광체와, 블랙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부와, 상기 블랙 현상제로 상기 제1감광체에 상기 블랙 현상제를 제공하는 제1회전체를 갖는 모노 현상기와; 제2감광체와, 칼라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부와, 상기 제2감광체에 상기 칼라 현상제를 제공하는 제2회전체를 갖는 칼라 현상기와; 상기 모노 현상제 및 칼라 현상제를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와; 상기 정착기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롤러와; 상기 제1회전체, 상기 정착기 및 상기 배출롤러를 모두 구동하는 제1구동원과; 상기 제1감광체 및 제2감광체를 구동하는 제2구동원과; 상기 제2회전체를 구동하는 제3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 first photosensitive member, a developer storage unit for storing a black developer, and providing the black developer to the first photosensitive member with the black developer A mono developer having a first rotating body; A color developing device having a second photosensitive member, a developer storing portion storing a color developer, and a second rotating body providing the color developer to the second photosensitive member;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mono developer and the color developer to the print medium; A discharge roller for discharging the print medium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to the outside; A first driving source driving all of the first rotating body, the fixing unit, and the discharge roller; A second driving source for driving the first photosensitive member and the second photosensitive member; It can also be achieved by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third drive source for driving the second rotating body.

또한, 인쇄매체를 상기 감광체로 이송시키도록 궤도 순환하는 매체 이송벨트와; 상기 매체 이송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및 제2감광체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매체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된 인쇄매체에 상기 모노 및 칼라 현상제를 전사시키는 복수의 전사롤러와; 상기 제2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매체 이송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dium conveyance belt for orbiting the print medium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first and second photosensitive members with the medium transfer belt interposed therebetween to transfer the mono and color developer to a print medium transferred by the medium transfer belt; It may further include a drive roller driven by the second drive source for driving the medium transport belt.

여기서, 상기 배출롤러는 정역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배출롤러에서 상기 칼라현상기로 안내하는 듀플렉스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scharge roller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duplex guide for guiding the print medium from the discharge roller to the color developing.

또한, 양면인쇄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배출롤러가 역회전하여 상기 정착기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상기 듀플렉스 가이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제1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driving source so that the discharge roller rotates backward to enter the duplex guide from the print medium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롤러가 역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구동원 및 상기 제3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지상태에 있도록 제2구동원 및 제3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second drive source and the third drive source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second drive source and the third drive source is in a stationary state while the discharge roller is reversely rota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부(110), 인쇄매체 이송유닛(120), 복수의 현상기(130C, 130M, 130Y, 130K), 복수의 전사롤러(140), 노광유닛(143), 정착기(150) 및 배출부(1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per feeding unit 110, a print medium transporting unit 120, a plurality of developing devices 130C, 130M, 130Y, and 130K, and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140, an exposure unit 143, a fixing unit 150, and a discharge unit 160.

후술할 레지롤러(114)부터 배출롤러(163)까지 일면 인쇄경로(SP)를 따라서 복수의 현상기(130C, 130M, 130Y, 130K), 복수의 전사롤러(140) 및 정착기(150)가 배치되며, 일면 인쇄경로(SP)를 통과하면서 인쇄매체에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A plurality of developing devices 130C, 130M, 130Y, 130K,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140, and a fixing unit 150 are disposed along the one-side printing path SP from the resist roller 114 to the discharge roller 16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mage is formed on the print medium while passing through the one-side printing path SP.

급지부(110)는 녹업플레이트(112), 탄성부재(111), 픽업롤러(113)를 포함한다. 탄성부재(111)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녹업플레이트(113)에 적재된 인쇄매체는 픽업롤러(115)에 의해 픽업되어 레지롤러(114) 측으로 진입한다.The paper feeding unit 110 includes a knock up plate 112, an elastic member 111, and a pickup roller 113. The print medium loaded on the knock-up plate 113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111 is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115 and enters the register roller 114.

또한, 급지부(110)는 수동으로 급지되는 수동 급지카세트(116) 및 수동 급지카세트(116) 상의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수동 픽업롤러(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per feeding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manual feed cassette 116 that is manually fed and a manual pickup roller 119 that picks up a print medium on the manual feed cassette 116.

한편, 레지롤러(114)에 의해 선단 정렬된 인쇄매체는 인쇄매체 대전롤러(117)에 의해 소정전하로 대전되면서 후술할 인쇄매체 이송벨트(125)에 부착되어 현상기(130Y)의 감광드럼(135Y)과 전사롤러(140) 사이로 이송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int media aligned by the front end roller 114 is charged to the predetermined charge by the print media charging roller 117 is attached to the print media transfer belt 125 to be described later, the photosensitive drum 135Y of the developer 130Y. ) And the transfer roller 140.

인쇄매체 이송유닛(120)은 인쇄매체 이송벨트(125) 및 상기 인쇄매체 이송벨트(125)를 구동하는 이송벨트 구동롤러(127) 및 종동롤러(123)를 포함한다. 인쇄매체 이송벨트(125)는 이송벨트 구동롤러(127) 및 종동롤러(123)에 의해 무한궤도로 순환한다. 그리고, 전하를 띤 인쇄매체가 부착될 수 있도록 도전성 벨트로 마련될 수 있다. The print media transport unit 120 includes a print media transport belt 125 and a transport belt drive roller 127 and a driven roller 123 for driving the print media transport belt 125. The print media conveyance belt 125 is circulated in an endless track by the conveyance belt drive roller 127 and the driven roller 123. And, it can be provided with a conductive belt so that the charged print medium can be attached.

한편, 각 현상기(130Y, 130M, 130C, 130K)는 감광체(135Y, 135M, 135C, 135K), 공급롤러(131Y, 131M, 131C, 131K), 현상롤러(133Y, 133M, 133C, 133K) 및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부(136Y, 136M, 136C, 136K)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ach developing device 130Y, 130M, 130C, 130K is a photosensitive member (135Y, 135M, 135C, 135K), feed rollers (131Y, 131M, 131C, 131K), developing rollers (133Y, 133M, 133C, 133K) and development And a developer storage unit 136Y, 136M, 136C, and 136K for storing the agent.

각 현상기(130Y, 130M, 130C, 130K)는 각각 화상형성장치(10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현상기(130Y, 130M, 130C, 130K)는 감광체(135Y, 135M, 135C, 135K)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만이 화상형성장치(10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Each developing unit 130Y, 130M, 130C, and 130K may be detachably provid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respectively. As necessary, each of the developing devices 130Y, 130M, 130C, and 130K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except for the photosensitive members 135Y, 135M, 135C, and 135K.

각 현상제 저장부(136Y, 136M, 136C, 136K)는 각각 옐로우(yellow: Y), 마젠타(magenta: M), 시안(cyan: C), 블랙(black: K)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며, 각 공급롤러(131Y, 131M, 131C, 131K)는 현상제 저장부(136Y, 136M, 136C, 136K)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롤러(133Y, 133M, 133C, 133K)로 공급한다. 그리고, 현상롤러(133Y, 133M, 133C, 133K)는 공급된 현상제를 각각의 감광체(135Y, 135M, 135C, 135K)로 공급하여 각 감광체(135Y, 135M, 135C, 135K)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시킨다.Each developer storage unit 136Y, 136M, 136C, and 136K stores a developer of yellow (Y), magenta (M), cyan: C, and black (K) color, respectively. Each of the supply rollers 131Y, 131M, 131C, and 131K supplies the developer stored in the developer storage units 136Y, 136M, 136C, and 136K to the developing rollers 133Y, 133M, 133C, and 133K. Then, the developing rollers 133Y, 133M, 133C, and 133K supply the supplied developer to each of the photosensitive members 135Y, 135M, 135C, and 135K to provide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each of the photosensitive members 135Y, 135M, 135C, and 135K. Develop.

상기 정전잠상들은 감광체(135) 표면이 상기 노광유닛(143)에 의해 노광되면 노광영역과 비노광영역이 생기게 되고 그들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s are generated whe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135 is exposed by the exposure unit 143 to generate an exposure area and a non-exposure area, and a potential difference therebetween occurs.

상기 노광유닛(143)은 각 감광체(135Y, 135M, 135C, 135K) 표면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색상의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각 감광체(135Y, 135M, 135C, 135K)를 노광시킨다. 즉, 노광유닛(143)은 감광체(135C)의 표면 중에서 시안 색상의 토너가 도포되어야 할 부분만을 노광시켜 시안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정전잠상은 공급롤러(131C) 및 현상롤러(133C)에 의해 시안 색상의 현상제로 현상된다. The exposure unit 143 has photosensitive members 135Y, 135M, 135C, and 135K such that electrostatic latent images corresponding to print data of yellow, magenta, cyan, and black colors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s 135Y, 135M, 135C, and 135K. Is exposed. That is, the exposure unit 143 exposes only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135C to which the cyan toner is to be applied to form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corresponding to the cyan color image information. The latent electrostatic image is developed with a cyan color developer by the supply roller 131C and the developing roller 133C.

이에 따라, 감광체(135C) 표면엔느 시안 색상의 현상제로 구성된 가시화상이 형성되며, 상기 가시화상은 다시 전사롤러(140)에 의해 인쇄매체 이송벨트(125) 상의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시안 색상의 현상제가 전사된 인쇄매체는 인쇄매체 이송벨트(125)를 따라 다른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고 있는 현상기(130M, 130Y, 130K)와 전사롤러(140) 사이를 통과하면서 각각 마젠타, 옐로우, 블랙 색상의 토너가 중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인쇄매체에는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As a result, a visible image composed of a developer of cyan color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135C is formed, and the visible image is transferred to the print medium on the print medium transport belt 125 by the transfer roller 140. The print medium to which the cyan developer is transferred is magenta and yellow, respectively, passing between the developer 130M, 130Y, and 130K, which transfers the developer of another color, along the transfer medium belt 125, and the transfer roller 140, respectively. Toner of black color is overlapped. As a result, a color image is formed on the print medium.

상기 컬러 화상은 정착기(150)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인쇄매체에 정착된다. 정착기(150)를 통과하여 인쇄매체의 일면이 인쇄완료된 인쇄매체는 배출부(16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color image is fixed to the print medium by heat and press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150. The print medium on which one surface of the print medium is printed by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15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discharge unit 160.

배출부(160)는 배출롤러(163) 및 아이들 롤러(165, 167)를 포함한다. The discharge unit 160 includes a discharge roller 163 and idle rollers 165 and 167.

그리고, 정착기(150)는 프레스롤러(151), 정착벨트(157), 정착벨트 구동롤 러(153), 상기 정착벨트 구동롤러(153)와 함께 상기 정착벨트(157)를 궤도 순환시키는 아이들 롤러(155)를 포함한다. 그리고, 프레스롤러(151) 내지 아이들 롤러(155)는 모두 정착기 프레임(158, 159)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unit 150 is an idle roller for orbiting the fixing belt 157 together with the press roller 151, the fixing belt 157, the fixing belt driving roller 153, and the fixing belt driving roller 153. 155. The press rollers 151 to idle rollers 155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xing unit frames 158 and 159.

상기 프레스롤러(151)는 상기 정착벨트(157)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정착벨트 구동롤러(153)를 탄성 가압하며, 정착벨트(157)에 의해 종동된다. 상기 정착벨트 구동롤러(153) 내부에는 발열체(미도시)가 마련되어 상기 정착벨트(157)를 소정의 정착온도로 가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정착벨트(157)와 상기 프레스롤러(151) 사이에 개재되는 인쇄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현상제를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킬 수 있다.The press roller 151 elastically pressurizes the fixing belt driving roller 153 with the fixing belt 157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s driven by the fixing belt 157. A heating element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fixing belt driving roller 153 to heat the fixing belt 157 to a predetermined fixing temperature. Accordingly, the developer may be fixed to the print medium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the print medium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belt 157 and the press roller 15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원(183)을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driving source 183 as shown in FIG. 6.

제1구동원(183)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 현상기(130K), 정착기(150) 및 배출롤러(163) 모두를 구동하는 동력원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술한 블랙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고 있는 모노 현상기(130K)의 현상롤러(133K) 및 공급롤러(131K)와, 정착기(150)의 정착벨트 구동롤러(153)와, 배출롤러(163) 모두를 구동하는 동력원이다. 제1구동원(183)은 스텝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른 방식의 전기모터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irst driving source 183 is a power source for driving all of the mono developer 130K, the fixing unit 150, and the discharge roller 163. More precisely, the developing roller 133K and the supply roller 131K of the mono developer 130K storing the above-mentioned black color developer, the fixing belt drive roller 153 of the fixing unit 150, and the discharge roller. 163 is a power source for driving all. The first driving source 183 may be provided as a step motor. In addition, of course, it can also be provided as an electric motor of another metho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상기 정착기(150)를 통과하여 일면 인쇄완료 된 인쇄매체를 다시 현상기(130)로 이송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타면이 인쇄되도록 하기 위한 양면인쇄경로(DP)를 형성하는 듀플렉스 가이드(118)를 더 포 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sses through the fixing unit 150, and transfers the one-sided print media back to the developing unit 130 to print the two-sided printing path for printing the other side of the print medium ( It may further include a duplex guide 118 to form DP).

듀플렉스 가이드(118)는 인쇄매체가 배출부(160)에서 다시 상기 현상기(130C)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듀플렉스 가이드(11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를 레지롤러(114)까지 안내함으로써 양면인쇄경로(DP)가 일면인쇄경로(SP)에 합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듀플렉스 가이드(118)를 따라 인쇄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한 쌍의 듀플렉스 롤러(115)들이 여러 군데 배치될 수 있다. The duplex guide 118 guides the movement of the print medium from the discharge unit 160 back to the developing unit 130C. As shown in FIG. 2, the duplex guide 118 guides the print medium to the regulating roller 114 so that the double-sided printing path DP joins the one-sided printing path SP. In addition, a pair of duplex rollers 115 for conveying the print medium along the duplex guide 118 may be arranged in several places.

한편, 상기 배출롤러(163)는 인쇄매체의 타면을 인쇄하기 위해 상기 인쇄매체를 다시 상기 듀플렉스 가이드(118)로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인쇄매체를 이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롤러(163)는 정역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roller 163 may be provided to transfer the print medium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int medium is discharged to the duplex guide 118 to the outside in order to print the other side of the print medium. To this end, the discharge roller 163 may be provided to be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원(183)의 동력을 상기 모노 현상기(130K), 정착기(150) 및 배출롤러(163)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장치(200)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and 5, the power of the first driving source 183 is the mono developer 130K, the fixing unit 150 and the discharge roller 163 It further comprises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to).

하나의 구동원으로 상기 모노 현상기(130K), 정착기(150) 및 배출롤러(163)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제1구동원(183)에서 상기 모노 현상기(130K)로 동력이 전달되는 전달되는 모노 현상기 동력전달경로 및 상기 제1구동원(183)에서 상기 정착기(150)로 동력이 전달되는 정착기 동력전달경로 상에 각각 단속부(205, 213)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인쇄매체의 양면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배출롤러(163)는 정역회전의 양방향 회전이 가능해야 하는 반면, 정착기(150) 및 모노 현상기(130K)는 인쇄매체의 진행방향이 일정하므로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이 바 람직하기 때문이다. A mono developer power that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drive source 183 to the mono developer 130K is transmitted to drive the mono developer 130K, the fuser 150, and the discharge roller 163 as one drive sourc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intermittent portions 205 and 213 on a transmission path and a fuser power transmission path through which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drive source 183 to the fuser 150. Because, in order to print both sides of the print medium, the discharge roller 163 should be capable of bi-directional rotation of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while the fixing unit 150 and the mono developer 130K has a constant traveling direction of the print medium, so that only one direction It is desirable to rotate.

동력전달장치(200)에 의한 모노 현상기(130K)까지의 동력전달 경로는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 기어(208K)는 외부로부터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모노 현상기(130K)의 케이싱(138K)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현상기 기어(208K)는 케이싱(138K) 내부에 수용된 다수의 기어(G1 내지 G6)에 동력을 전달한다.The power transmission path to the mono developer 130K by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is as follows. As shown in FIG. 4, the developer gear 208K is exposed outside the casing 138K of the mono developer 130K to enable power transmission from the outside. The developer gear 208K transfers power to a plurality of gears G1 to G6 housed inside the casing 138K.

제1구동원(183)의 구동축(미도시)에 연결된 구동피니언(201)로부터 현상기 기어(208K)까지의 동력전달 경로는 다음과 같다.The power transmission path from the drive pinion 201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not shown) of the first drive source 183 to the developer gear 208K is as follows.

구동피니언(201)에서 기어(202, 203, 209, 204) 및 현상기 동력단속부(205), 기어(206, 207)를 거쳐서 현상기 기어(208K)로 전달된다. 현상기 기어(208K)는 모노 현상기(130K)에 설치되어 현상기(130K)와 일체로서 화상형성장치(100)에 착탈된다. 따라서, 현상기(130K)의 착탈 시 현상기 기어(208K)는 기어(207)와 치합 및 치합해제 된다. 그리고, 현상기 기어(208K)부터 현상롤러(133K)의 회전축에 연결된 현상롤러 기어(G5)까지의 동력전달은 기어(G1-> G2-> G6)를 거쳐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구동피니언(201)이 정방향(F) 회전할 때 현상롤러(133K)도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It is transmitted from the drive pinion 201 to the developer gear 208K via the gears 202, 203, 209, 204, the developer power interrupter 205, and the gears 206, 207. The developer gear 208K is installed in the mono developer 130K and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s a unit with the developer 130K. Accordingly, when the developer 130K is attached or detached, the developer gear 208K is engaged with and disengaged from the gear 207. Then, power transmission from the developer gear 208K to the developing roller gear G5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developing roller 133K is performed via the gears G1-> G2-> G6. As a result, when the driving pinion 201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F, the developing roller 133K also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또한, 현상기 기어(208K)로부터 공급롤러(131K)의 회전축에 연결된 공급롤러 기어(G4)까지의 동력전달은 기어(G1-> G2-> G6)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공급롤러(131K)도 현상롤러(133K)와 같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마찰대전 시키기 위해서 동일한 방향 회전시키는 것이다.Further, power transmission from the developer gear 208K to the feed roller gear G4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feed roller 131K is made through the gears G1-> G2-> G6. Accordingly, the feed roller 131K is also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like the developing roller 133K. This is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to frictionally charge the developer contained therein.

또한, 현상기 기어(208K)로부터 교반기(미도시)의 회전축에 연결된 교반기 기어(G3)까지의 동력전달은 기어(G1-> G2)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교반기(미도시)는 역방향(H)으로 회전하게 되며, 공급롤러(131K) 측으로 현상제를 이송할 수 있게 된다.Further, power transmission from the developer gear 208K to the stirrer gear G3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stirrer (not shown) is made through the gears G1-> G2. Accordingly, the agitator (not shown)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H),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developer to the supply roller (131K) side.

한편, 현상기 동력단속부(205)는 원웨이 기어로 마련되어 구동피니언(201)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모노 현상기(130K)로 동력을 전달하고,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동력전달을 차단한다. 현상기 동력단속부(205)는 원웨이 기어가 아닌 전자클러치, 스윙기어, 래치기어와 같은 공지된 동력단속장치로 마련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veloper power interrupting unit 205 is provided as a one-way gear to transfer power to the mono developer 130K only when the drive pinion 201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blocks power transmission when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developer power control unit 205 may be provided with a known power control device such as an electromagnetic clutch, a swing gear, and a latch gear, rather than a one-way gear.

한편, 동력전달장치(200)에 의한 정착기(150)까지의 동력전달 경로는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power transmission path to the fuser 150 by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is as follows.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피니언(201)에서부터 정착벨트 구동롤러(153)에 연결된 정착기 기어(219)로의 동력전달은 기어(202-> 211-> 212) 및 정착기 동력단속부(213)의 제1기어열(213a) 및 기어(215 -> 217)를 차례대로 거치면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구동피니언(201)이 정회전(F) 할 때, 정착기 기어(219)는 역회전(H)한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인쇄경로(SP)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의 진행방향에 따라 정착벨트 구동롤러(153)는 역회전 해야하기 때문이다. 회전방향은 정착기(150)의 롤러(151, 153, 155) 중 구동 및 종동롤러를 어떻게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power transmission from the drive pinion 201 to the fuser gear 219 connected to the fixing belt drive roller 153 is carried out through the gears 202-> 211-> 212 and the fuser power interrupter. The first gear train 213a and the gears 215-> 217 of 213 are sequentially made. Accordingly, when the drive pinion 201 rotates forward (F), the fixing unit gear 219 rotates in reverse (H). This is because, as shown in Figure 5, the fixing belt drive roller 153 has to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print medium passing through the one-side printing path (SP). The rotation direction may vary depending on how the driving and driven rollers are selected among the rollers 151, 153, and 155 of the fixing unit 150.

정착기 동력단속부(213)는 래치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 래치기어 축(213c)을 따라서 제1기어열(213a) 및 제2기어열(231b)이 마련된다. 제1기어열(213a)은 구동피니언(201)이 정회전(F)할 때에만 기어(215)로 동력을 전달하고 구동피니언(201)이 역회전할 때에는 기어(215)로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구동피니언(201)이 정회전(F) 할 때만 정착기(150)가 구동된다. 정착기 동력단속부(213)는 래치기어가 아닌 원웨이 기어, 전자클러치와 같은 다른 동력단속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The fixing unit power control unit 213 may be provided with a latch gear. A first gear train 213a and a second gear train 231b are provided along the latch gear shaft 213c. The first gear train 213a transmits power to the gear 215 only when the drive pinion 201 rotates forward, and power is transmitted to the gear 215 when the drive pinion 201 reverses. Block it. That is, the fixing unit 150 is driven only when the driving pinion 201 rotates forward. The fuser power control unit 213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power control device such as a one-way gear or an electronic clutch, not a latch gear.

한편, 동력전달장치(200)에 의한 배출롤러(163)까지의 동력전달 경로는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power transmission path to the discharge roller 163 by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is as follows.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피니언(201)에서부터 배출롤러(163)의 회전축에 연결된 배출기어(227)로의 동력전달은 기어(202-> 211-> 212) 및 정착기 동력단속부(213)의 제2기어열(213b) 및 기어(221 -> 223 -> 225)를 차례대로 거치면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배출기어(227)는 구동피니언(20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구동피니언(201)이 정역 회전함에 따라 배출기어(227)도 정역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출롤러(163)를 정역회전 시키려면 구동피니언(201)이 각각 정역 회전하도록 제1구동원(183)의 회전축 회전방향을 제어하면 된다.4 and 5, the power transmission from the drive pinion 201 to the discharge gear 227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discharge roller 163 is the gear (202-> 211-> 212) and the fuser power intermittent The second gear train 213b and the gears 221-> 223-> 225 of 213 are sequentially formed. Accordingly, the discharge gear 227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pinion 201. That is, as the drive pinion 201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the discharge gear 227 also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ly, in order to rotate the discharge roller 163 forward and backward, the driving pinion 201 may control the rotational axis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drive source 183 so as to rotate forward and reverse,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제2구동원(185) 및 제3구동원(18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econd driving source 185 and the third driving source 187.

제2구동원(185)은 상술한 각 현상기(130Y, 130M,130C, 130K)의 각 감광체(135Y, 135M, 135C, 135K)를 구동할 수 있다. 각 감광체(135Y, 135M, 135C, 135K)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C)에 의해 제2구동원(185)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픽업롤러(113, 119), 레지롤러(114), 듀플렉스롤러(115), 이송벨트 구동롤러(227)를 구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각 감광체(135Y, 135M, 135C, 135K) 및 각 롤러(113, 114, 115, 227)의 회전방향은 일정하므로 제2구동원(185)의 동력을 전달하는 경로는 기어를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쉽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econd driving source 185 may drive the photosensitive members 135Y, 135M, 135C, and 135K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developing devices 130Y, 130M, 130C, and 130K. Each photoreceptor 135Y, 135M, 135C, 135K may receive power from the second drive source 185 by the coupling C, as shown in FIG. If necessary, it may be provided to drive the pick-up rollers 113 and 119, the register roller 114, the duplex roller 115, the transfer belt drive roller 227. Since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respective photosensitive members 135Y, 135M, 135C, and 135K and the rollers 113, 114, 115, and 227 are constant, a path for transmitting power of the second driving source 185 can be easily realized by appropriately combining gears.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구동원(187)은 상술한 각 현상기(130Y, 130M,130C, 130K) 중에서 칼라 현상제를 저장하고 있는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C)만을 구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C)에 수용된 구성요소 중 감광체(135Y, 135M, 135C)를 제외한 현상롤러(133Y, 133M, 133C)와, 공급롤러(131Y, 131M, 131C)와, 교반기(미도시)를 모두 구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그 중에서 일부만을 구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The third driving source 187 may be provided to drive only the color developing devices 130Y, 130M, and 130C storing the color developer among the above-described developing devices 130Y, 130M, 130C, and 130K. Among the components accommodated in the color developing devices 130Y, 130M, and 130C, the developing rollers 133Y, 133M, and 133C, except for the photosensitive members 135Y, 135M, and 135C, the supply rollers 131Y, 131M, and 131C, and an agitator (not shown). ) Can be provided to drive all. If necessary, it may be provided to drive only a part of them.

이러한 현상롤러(133Y, 133M, 133C), 공급롤러(131Y, 131M, 131C) 및 교반기(미도시)는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C)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교반하거나 감광체(135Y, 135M, 135C)로 공급하거나 마찰대전 시키는 부재들로서 현상제에 스트레스를 일으킬 수 있는 것들이다. The developing rollers 133Y, 133M, and 133C, the feed rollers 131Y, 131M, and 131C and the stirrer (not shown) may stir the developer stored in the color developing devices 130Y, 130M, and 130C, or the photoconductors 135Y and 135M. , 135C), which may cause stress to the developer as members to be fed or triboelectrically charged.

상기 제2구동원(185) 및 제3구동원(187)은 브러쉬 리스 DC모터(BLDC motor)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외의 다른 방식의 전기모터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second drive source 185 and the third drive source 187 may be provided as a brushless DC motor (BLDC motor). Of course, it may be provided as an electric motor of other manner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인쇄 감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uplex printing detector 170 as shown in FIGS. 2 and 3.

양면인쇄 감지부(170)는 인쇄매체가 양면인쇄경로(도 2의 DP)를 따라 진행하고 있는 지를 감지한다. 즉, 인쇄매체가 상기 듀플렉스 가이드(118)로 진입하고 있는 지를 감지한다.The duplex printing detector 170 detects whether the print medium is traveling along the duplex printing path (DP of FIG. 2). That is, it is detected whether a print medium is entering the duplex guide 118.

필요에 따라서는, 양면인쇄 감지부(170)는 인쇄매체가 양면인쇄경로(도 2의 DP)로 진행하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 외에 비용절감 및 구조단순화를 위해서 인쇄매체가 정착기(150)를 통과하고 있는 지 여부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감지센서로 인쇄매체의 정착기(150) 통과 여부 및 양면인쇄경로(도 2의 DP)로의 진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그 구조 및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If necessary, the duplex printing detecting unit 170 detects whether the print media is traveling on the duplex printing path (DP of FIG. 2), and also prints the fixing unit 150 for cost reduction and structural simplicity. It may also be arranged to detect whether it is passing.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print medium passes through the fixing unit 150 and the duplex printing path (DP of FIG. 2) with one sensor, and its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are as follows.

양면인쇄 감지부(170)는,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171), 제2레버(172), 탄성부재(174), 광센서(177)를 포함한다. The duplex printing detecting unit 170 includes a first lever 171, a second lever 172, an elastic member 174, and an optical sensor 177, as shown in FIGS. 2, 3A, and 3B. do.

제1레버(171) 및 제2레버(172)는 정착기 프레임(15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레버(171) 및 제2레버(172)는 회전중심이 동심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편심되어도 무방하다.The first lever 171 and the second lever 172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fuser frame 159. The first lever 171 and the second lever 172 may be provided with a center of rotation concentrically, it may be eccentric.

제1레버(171)는 정착기(150)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의 선단에 부딪히는 복수의 제1레버돌기(171a) 및 제1레버(171) 회전 시 제2레버(172)를 연동회전 시키는 제1연동회전 돌기(171b)를 갖는다. The first lever 171 rotates the first lever 172a and the second lever 172 when the first lever 171 rotates when the first lever 171 strikes the front end of the printing medium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150. It has an interlocking rotation protrusion 171b.

제2레버(172)는 제2레버돌기(172a), 제2연동회전 돌기(172b), 절곡부(172c) 및 걸림돌기(172d)를 갖는다. The second lever 172 has a second lever protrusion 172a, a second interlocking rotation protrusion 172b, a bent portion 172c, and a locking protrusion 172d.

제2레버돌기(172a)는 배출롤러(163)에서 양면인쇄경로(DP)를 진행하는 인쇄 매체에 접촉하여 제2레버(172)를 회전시킨다. The second lever protrusion 172a rotates the second lever 172 in contact with the print medium which advances the double-sided printing path DP from the discharge roller 163.

제2연동회전 돌기(172b)는 제1레버(171) 회전 시 제2레버(172)도 연동 회전하지만 제2레버(172) 회전 시 제1레버(171)는 연동회전 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동회전 돌기(172b)는 제1연동회전 돌기(171b)의 하측에 서로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레버(171)의 J방향 회전 시 제1레버연동 돌기(171b)가 제2레버연동 돌기(172b)를 하향 가압함으로써 제2레버(172)도 연동하여 J방향으로 회전한다. The second interlocking rotation protrusion 172b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lever 172 when the first lever 171 rotates, but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lever 171 does not rotate in rotation when the second lever 172 rotates. To this end, as shown in FIG. 3B, the second interlocking rotation protrusion 172b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under the first interlocking rotation protrusion 171b. As a result, when the first lever 171 rotates in the J direction, the first lever interlocking protrusion 171b pushes the second lever interlocking protrusion 172b downward so that the second lever 172 also rotates in the J direction.

그러나, 양면인쇄경로(DP)를 따라 진행하는 인쇄매체(P2)에 의해 제2레버돌기(172a)가 가압되어 제2레버(172)가 A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레버연동 돌기(172b)는 제1레버연동 돌기(171b)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제1레버(171)는 연동회전하지 않고 제2레버(172)만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레버(171)가 제2레버(172)와 연동회전 하는 경우 제1레버(171)의 제1레버돌기(171a)가 양면인쇄경로(도 2의 DP)로 진행하는 인쇄매체(P2)의 인쇄면(L)을 긁어서 인쇄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second lever protrusion 172a is pressed by the printing medium P2 traveling along the double-sided printing path DP and the second lever 172 rotates in the A direction, the second lever interlocking protrusion 172b )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ver interlocking protrusion 171b so that only the second lever 172 is rotated without the interlocking rotation of the first lever 171. Accordingly, when the first lever 171 rotates in coordination with the second lever 172, the print medium in which the first lever protrusion 171a of the first lever 171 travels on the double-sided printing path (DP of FIG. 2). The printing surface L of (P2) may be scratched to prevent scratches from occurring on the printing surface.

한편, 절곡부(172c)는 후술할 광센서(177)의 발광부(177a)의 광이 수광부(177b)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 또는 차단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bent portion 172c performs a function of blocking or unblock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177a of the optical sensor 177 to be described later reaches the light receiving portion 177b.

제2레버(172)는 상기 돌기(172a, 172b, 172d) 및 절곡부(172c)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생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The second lever 172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ojections (172a, 172b, 172d) and the bent portion 172c in terms of productivity.

탄성부재(174)는 제1레버(171) 및 제2레버(172) 중 어느 하나가 인쇄매체와 접촉하여 회전된 상태에서 인쇄매체가 이동됨에 따라 인쇄매체와 접촉되지 않게 되 는 경우 제1레버(171) 및 제2레버(172)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1레버(171) 및 제2레버(172)가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제2레버(172) 또는 제1레버(171)에 탄성력을 가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74)의 일단은 제2레버(172)의 걸림돌기(172d)에 연결되고 타단은 정착기 프레임(159)에 연결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74 is the first lever when one of the first lever 171 and the second lever 172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int medium as the print medium is moved while being rotated in contact with the print medium. 171 and the second lever 172 serves to restore the original position. That is, 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lever 172 or the first lever 171 in a direction that prevents the first lever 171 and the second lever 172 from rotating. As shown in FIG. 3A,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174 may be connected to the engaging protrusion 172d of the second lever 172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fixing unit frame 159.

광센서(177)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버(172)의 절곡부(172c)의 단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광센서(177)는 발광부(177a) 및 수광부(177b)로 구성되며, 제2레버(172)의 절곡부(172c)가 그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가 제1레버(171) 또는 제2레버(172)에 접촉하기 전에는 제2레버(172)의 절곡부(172c)는 발광부(177a)의 광이 수광부(177b)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위치(B)에 있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3A, the optical sensor 177 may be disposed at an end side of the bent portion 172c of the second lever 172. The light sensor 177 is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portion 177a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177b, and a bent portion 172c of the second lever 172 is interposed therebetween.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3A and 3B, before the print medium contacts the first lever 171 or the second lever 172, the bent portion 172c of the second lever 172 may emit light 177a. ) Is in the blocking position B that blocks light from reaching the light receiving portion 177b.

반면, 제1레버(171) 또는 제2레버(172)가 인쇄매체에 접촉하는 때에는 절곡부(172c)가 회전하여 상기 차단위치(B)에서 이격된 차단해제 위치(C)에 있게 되어 발광부(177a)의 광이 수광부(177b)에 도달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lever 171 or the second lever 172 is in contact with the print medium, the bent portion 172c is rotated to be in the unlocking position (C) spaced apart from the blocking position (B). Light of 177a reaches the light receiving portion 177b.

광센서(177)는 제2레버(172) 대신에 제1레버(171)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즉, 이를 위해 절곡부(172c)가 제1레버(171)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광센서(177) 대신에 제1레버(171) 또는 제2레버(172)의 회전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한, 접촉센서와 같은 다른 방식의 감지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The optical sensor 177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rotation of the first lever 171 instead of the second lever 172. That is, for this purpose, the bent portion 172c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lever 171. In addition, as long as it can detect whether the first lever 171 or the second lever 172 is rotated instead of the optical sensor 177, another type of sensor such as a contact sensor may be us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190 as illustrated in FIG. 6.

제어부(190)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되도록 화상형성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외에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so as to form an image on a print medium, and perform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 control operations.

화상형성장치(100)는 호스트 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인터페이스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0)는 병렬 인터페이스(parallel interface), USB 인터페이스 등의 직렬 인터페이스,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unit 240 connected to a host device (not shown)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each other. The interface unit 24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parallel interface, a serial interface such as a USB interface, and a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제어부(190)는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 송신된 인쇄데이터의 인쇄모드를 판단하는 인쇄모드 판단부(1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90 may further include a print mode determination unit 193 that determines a print mode of the print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240.

인쇄모드 판단부(193)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 수신된 인쇄데이터가 인쇄매체의 양면을 인쇄해야 하는 양면인쇄모드 및 일면만을 인쇄하는 일면인쇄모드 중 어디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한다. 또한, 인쇄모드 판단부(193)는 상기 인쇄데이터가 복수의 칼라 현상기를 구동하여 칼라 현상제로 인쇄하는 칼라인쇄모드 및 모노 현상기만을 구동하여 블랙 현상제로 인쇄하는 흑백인쇄모드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더 판단할 수 있다.The print mode determiner 193 determines whether the print data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240 corresponds to a duplex print mode in which both sides of the print medium are to be printed and a single print mode in which only one side is printed. In addition, the print mode determination unit 193 further determines whether the print data corresponds to a color printing mode for driving a plurality of color developers to print with a color developer and a black and white printing mode for driving only a mono developer to print with a black developer. can do.

일면인쇄모드의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배출롤러(163)가 정회전(F)하여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1구동원(183)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흑백인쇄모드의 경우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C), 정확하게는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C)에 수용된 제2회전체(131Y, 131M, 131C, 133Y, 133M, 133C)를 구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3구동원(187)을 작동정지(OFF)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구동원(187)하나만을 제어함으로써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C)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C)의 불필요한 작동을 억제하여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구동소음을 줄일 수 있다. In the one-side printing mode,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first drive source 183 so that the discharge roller 163 is rotated forward (F) to discharge the print medium to the outsid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lack-and-white printing mode, the control unit 190 may include the second developing bodies 131Y, 131M, 131C, 133Y, 133M,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drive 133C, the third drive source 187 can be turned off. Accordingly, by controlling only one third driving source 187, not only the operation of the entire color developing devices 130Y, 130M, and 130C can be controlled, but also the developer is suppressed by suppressing unnecessary operations of the color developing devices 130Y, 130M, and 130C. It can reduce your stress. In addition,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driving noise can be reduced.

한편, 양면인쇄모드의 경우, 제어부(190)는 일면인쇄경로(SP)를 따라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가 정착기(150)를 통과하면서 제1레버돌기(171a)에 접촉되어 양면인쇄 감지부(170)에 의해 일면인쇄가 완료되었음이 감지된다. 제어부(190)는,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가 완전히 정착기(150)를 통과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후단이 배출롤러(163)와 아이들 롤러(165, 167) 사이에 파지되는 파지시점까지, 배출롤러(163)가 정회전(F)하도록 제1구동원(183)을 제어한다. 즉, 제1구동원(183)의 회전축을 정회전시킨다. Meanwhile, in the duplex printing mode, the control unit 190 contacts the first lever protrusion 171a while the print medium printed on one side along the one side printing path SP passes through the fixing unit 150 and thus the double side printing detecting unit 170. It is sensed that 1-side printing is completed by). The control unit 190, the printing medium printed on one side completely passes through the fixing unit 150, until the holding point of the rear end of the printing medium is held between the discharge roller 163 and the idle rollers (165, 167), discharge roller ( 163 controls the first drive source 183 to forward rotation (F). That is,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drive source 183 is rotated forward.

상기 파지시점은 상기 양면인쇄 감지부(170)의 감지신호 및 인쇄매체의 이송속도를 고려하여 추정할 수 있다. The gripping point may be estimated in consideration of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uplex printing detector 170 and the transfer speed of the print medium.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양면인쇄 감지부(170)의 광센서(177)에서 수광부(177b)가 광을 수령하기 시작한 광 수령시작시점이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의 선단이 제1레버돌기(171a)에 부딪혀서 정착기(150)를 통과하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또한, 상기 수광부(177b)가 다시 광을 수령하지 못하는 광 불수령시점이 상기 인쇄매체의 후단이 완전히 정착기(150), 정확하게는 양면인쇄 감지부(170)를 통과한 시점이 된다. 따라서, 상기 광 불수령시점부터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속도를 고려하여 소정시간 경과한 시점을 상기 파지시점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 기 광 불수령시점을 상기 파지시점으로 할 수도 있다.In more detail, when the light receiving start point at which the light receiving unit 177b starts receiving light at the light sensor 177 of the duplex printing detecting unit 170, the leading end of the printed medium is placed on the first lever protrusion 171a. It is time to hit and start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150. In addition, the light-receiving point at which the light receiving unit 177b does not receive light again passes through the fixing unit 150 and exactly the double-sided printing detecting unit 170. Therefore, the point of time elapsed by a predetermined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fer speed of the print medium from the point of non-receipt of light can be estimated as the holding point. If necessary, the light reception time may be the gripping point.

그 다음에 제어부(190)는 상기 파지시점부터는 상기 배출롤러(163)가 역회전 하도록 상기 제1구동원(183)을 제어한다. 즉, 상기 파지시점부터는 제1구동원(183)의 회전축 회전방향이 종전과 반대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는 일면인쇄경로(SP)를 따라 이동하던 지금까지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듀플렉스 가이드(118)를 따라 이동한다. Then,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first drive source 183 so that the discharge roller 163 reversely rotates from the gripping point. That is, from the gripping point, the rotational axis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driving source 183 is reversed from the previous one. Accordingly, the one-side printed print medium moves along the duplex guide 118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ement direction up to now, which has been moved along the one-side printing path SP.

한편, 제1구동원(183)의 회전축이 역회전함에 따라 각 단속부(205, 213)에 의해 모노 현상기(130K)에 수용된 제1회전체(감광체(135K)를 제외한 현상롤러(133K), 공급롤러(131K) 및 교반기(미도시)) 및 정착기(150)로는 제1구동원(183)의 동력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인쇄매체가 양면인쇄경로(DP)를 따라 진행하는 과정 중에는 모노 현상기(130K) 및 정착기(150)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모노 현상기(130K) 내의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1구동원(183)에 가해지는 구동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구동원(183) 하나로 정착기(150), 모노 현상기(130K) 및 배출롤러(163) 모두를 구동할 수 있어 동력구조를 단순화시키는 동시에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driving source 183 reversely rotates, the first rotating body (developing roller 133K except for the photosensitive member 135K),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mono developing unit 130K by the intermittent portions 205 and 213, is supplied. Power of the first driving source 183 is cut off by the roller 131K, the stirrer (not shown), and the fixing unit 150. Accordingly, since the mono developer 130K and the fixing unit 150 are not driven while the print medium is traveling along the double-sided printing path DP, the stress of the developer in the mono developer 130K may be reduced. In addition, the driving load applied to the first driving source 183 can be redu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rive both the fixing unit 150, the mono developer 130K and the discharge roller 163 with one first driving source 183, thereby simplifying the power structure and reducing material costs.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가 배출롤러(163)의 역회전으로 양면인쇄경로(DP)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인쇄매체의 선단이 다시 양면인쇄 감지부(170)의 제2레버돌기(172a)에 접촉하는 접촉시점부터는 수광부(177b)는 다시 발광부(177a)의 광을 수령하기 시작한다. When one side of the printed media moves along the double-sided printing path DP by reverse rotation of the discharge roller 163, the front end of the printed media again contacts the second lever protrusion 172a of the double-sided printing detecting unit 170. From the point of contact, the light receiving unit 177b starts receiv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177a again.

그리고, 인쇄매체의 후단이 상기 제2레버돌기(172a)로부터 접촉해제 되는 접 촉해제 시점부터 수광부(177b)는 광을 수령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양면인쇄 감지부(170)의 감지결과로부터 인쇄매체가 배출부(160)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와서 듀플렉스 가이드(118)를 따라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n, the light receiving unit 177b does not receive the light from the point of release of contact at which the rear end of the print medium is released from the second lever protrusion 172a. Accordingly, it can be seen from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ouble-sided printing detecting unit 170 that the print medium completely exits from the discharge unit 160 and proceeds along the duplex guide 118.

따라서, 제어부(190)는 배출롤러(163)가 역회전한 후 상기 접촉해제 시점부터 상기 인쇄매체가 다시 모노 현상기(130K)와 전사롤러(140) 사이를 통과하기 전 까지의 시간범위 내에서 전부 또는 일부시간동안 제1구동원(183)을 작동 정지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시간범위 내에서는 정착기(150), 모노 현상기(130K) 및 배출롤러(163)를 구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190 is all within the time range from the release of the contact after the discharge roller 163 reversely rotated before the print medium passes between the mono developer 130K and the transfer roller 140 again. Alternatively, the first driving source 183 may be stopped for some time. This is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drive the fixing unit 150, the mono developer 130K and the discharge roller 163 within the time range.

필요에 따라서는, 제어부(190)는 상기 접촉해제 시점, 정확하게는 양면인쇄경로(DP)를 따라 이동하는 인쇄매체가 상기 배출롤러(163)로부터 파지 해제된 때부터 상기 레지롤러(114)에 파지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시간범위내에서 임의의 시간에 제1구동원(183)의 회전축이 정회전하도록 제1구동원(183)을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어부(190)는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가 레지롤러(114)를 통과한 후 모노 현상기(130K)와 전사롤러(140)사이를 통과하기 직전에 제1구동원(183)을 정회전 시킬 수도 있다If necessary, the controller 190 grips the regenerative roller 114 from the time when the contact is released, precisely when the print medium moving along the double-sided printing path DP is released from the discharge roller 163. The first drive source 183 may be controlled such that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drive source 183 rotates forward at an arbitrary time within a time range up to the time point at which it starts to become. In some cases, the control unit 190 forwardly rotates the first driving source 183 just after the one-side printed print medium passes through the reg roller 114 and just before passing between the mono developer 130K and the transfer roller 140. You can also

한편, 제어부(190)는 배출롤러(163)가 역회전 하는 동안에는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C)를 구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3구동원(187)을 작동정지 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구동원(185)이 모든 감광체(135Y, 135M, 135C, 135K) 및 인쇄매체 이송유닛(120)만을 구동하도록 된 경우, 제어부(190)는 제2구동원(185)도 작동정지 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배출롤러(163)가 역회전 하는 동안에는 모노 현 상기(130K)를 포함한 전체 현상기(130K, 130Y, 130M, 130C)의 작동이 정지되므로 현상기(130Y, 130M, 130C, 130K) 내부의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도 절감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90 may stop the third drive source 187 because the discharge roller 163 does not need to drive the color developing devices (130Y, 130M, 130C) while the reverse rotation. In addition, when the second drive source 185 is to drive only all the photosensitive member (135Y, 135M, 135C, 135K) and the print medium transfer unit 120, the control unit 190 may also stop the second drive source (185). have.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entire developing apparatus 130K, 130Y, 130M, 130C including the mono string 130K is stopped while the discharge roller 163 is rotating in reverse, so that the phenomenon inside the developing apparatus 130Y, 130M, 130C, 130K is maintained. Not only can I reduce my stress, but I can also reduce power consumption.

또한, 제어부(190)는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가 완전히 정착기(150)를 빠져나가는 시점부터 상기 인쇄매체가 듀플렉스 가이드(118)를 따라 이동하여 다시 레지롤러(114)에 물리기 직전까지의 시간범위에서 전부 또는 일부시간 동안, 즉, 인쇄매체가 양면인쇄경로(DP)를 따라 진행 중 인 동안 제3구동원(187)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K)를 구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제2구동원(185)이 모든 감광체(135Y, 135M, 135C, 135K) 및 인쇄매체 이송유닛(120)만을 구동하도록 된 경우, 제어부(190)는 제2구동원(185)도 작동정지 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90 is in the time range from the time when the printed media on one side completely exits the fixing unit 150, the print media moves along the duplex guide 118 and immediately before being bitten by the regulating roller 114 again. The third driving source 187 may be stopped for all or part of the time, that is, while the print medium is in progress along the double-sided printing path DP. This is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drive the color developing devices 130Y, 130M, and 130K. In addition, when the second drive source 185 is to drive only all the photosensitive member (135Y, 135M, 135C, 135K) and the print medium transfer unit 120, the control unit 190 may also stop the second drive source (185). have.

한편, 인쇄모드 판단부(193)는 양면인쇄모드인 경우, 인쇄매체의 인쇄면 별로 흑백인쇄모드 및 칼라인쇄모드 중 어디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결과 인쇄매체의 양면 중에서 어느 일면이 흑백인쇄모드인 경우 해당 면을 인쇄하는 중에는 제3구동원(187)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Meanwhile, in the duplex printing mode, the print mode determination unit 193 may determine which of the monochrome print mode and the color print mode corresponds to each printing surface of the print medium.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one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print medium is a black and white printing mode, the operation of the third driving source 187 may be stopped while printing the corresponding surface.

가령, 인쇄매체의 일면은 칼라인쇄모드인 반면 그 타면은 흑백인쇄모드인 경우, 상기 일면이 인쇄된 인쇄매체가 배출롤러(163)의 역회전에 의해 양면인쇄경로(DP)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인쇄매체의 후단이 상기 배출롤러(163)로부터 이탈한 시점부터 상기 인쇄매체의 타면이 인쇄되어 외부로 배출될 때까지 계속 제3구동원(183)을 작동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흑백인쇄모드 및 칼라인쇄모드로 구 분하여 흑백인쇄모드인 경우 제3구동원(183)을 작동정지 시킴으로써 현상제 스트레스 및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one side of the printing medium is in the color printing mode while the other side is in the black and white printing mode, the printing medium on which one side is printed is moved along the double-sided printing path DP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ischarge roller 163. The third driving source 183 may be continuously stopped from the time when the rear end of the printing medium is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roller 163 until the other surface of the printing medium is prin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developer stress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dividing the black and white print mode and the color print mode by stopping the third driving source 183 in the black and white print mode.

한편, 제어부(190)는 인쇄모드 판단부(193)의 판단결과,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 수령한 인쇄데이터가 흑백인쇄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3구동원(187)이 정지상태에 있도록 제3구동원(187)을 제어할 수 있다. 제1구동원(183) 및 제2구동원(185)만을 구동시켜도 흑백인쇄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when the print data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240 corresponds to the black and white print mode, 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that the third drive source 187 is in the stopped state when the print mode determination unit 193 determines. The third driving source 187 may be controlled. This is because black and white printing can be performed by driving only the first drive source 183 and the second drive source 185.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와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it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herefrom.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구동원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동력전달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First,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can be simplified by reducing the number of driving sources.

둘째, 구동원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구동소음, 재료비 및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Second, driving noise, material cost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number of driving sources.

셋째, 칼라 현상기만을 별도의 제3구동원으로 구동하므로 흑백인쇄 시에는 제3구동원을 구동하지 않아도 되므로 칼라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Third, since only the color developing device is driven by a separate third driving source, it is not necessary to drive the third driving source when printing in black and white, thereby reducing the stress of the color developer.

넷째, 정착기, 모노 현상기 및 배출롤러를 하나의 제1구동원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인쇄매체가 배출롤러를 이탈하여 양면인쇄경로로 이송 중인 동안에는 상기 제 1구동원을 작동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흑백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Fourth, by operating the fixing unit, the mono developer, and the discharge roller as one first driving source, the first driving source can be stopped while the print media leaves the discharge roller and transported to the duplex printing path, thereby reducing the stress of the black and white developer. Can be.

다섯째, 구동구조를 보다 단순화시켜 콤팩트한 사이즈의 화상형성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Fifth,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mpact image forming apparatus by simplifying the driving structure.

Claims (23)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일면인쇄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의 일면에 현상제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기와;A developing unit for forming an image with a developer on one surface of a printing medium conveyed along the one side printing path; 상기 현상제를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와;A fixing unit for fixing the developer to the print medium; 상기 정착기를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롤러와;A discharge roller for discharging the print medium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to the outside; 상기 현상기, 상기 정착기 및 상기 배출롤러를 모두 구동하는 제1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a first driving source for driving all of the developing device, the fixing unit, and the discharge roll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현상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현상기 동력단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a developer power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power of the first driving source to the developing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정착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정착기 동력단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a fuser power intermittent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power of the first driving source to the fus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상기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내부에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 며;The developing device is provided in plural to store the developer of different colors therein; 상기 각 현상기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현상제로 현상시키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기(agit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each developing unit includes a photosensitive member, a developing roller for developing the photosensitive member with a developer, and an agitator for stirring the develope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현상기는, 상기 현상기 중에서 상기 정착기에 가장 인접하게 설치되며 블랙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는 모노 현상기를 포함하며,The developing unit includes a mono developing unit installed closest to the fixing unit among the developing units and storing a developer of a black color, 상기 제1구동원은 상기 모노 현상기의 현상롤러 및 교반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the first driving source drives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stirrer of the mono develope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각 현상기의 감광체 전부를 회전 구동하는 제2구동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a second driving source for rotationally driving all of the photoconductors of each of the developing devices.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인쇄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각 감광체에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전사롤러와;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arranged side by side on each photosensitive member with a print medium in between; 상기 감광체와 상기 전사롤러 사이로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며 상기 제2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인쇄매체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 상형성장치.And a print medium transfer unit which transfers the print medium between the photosensitive member and the transfer roller and is driven by the second driving sourc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현상기는 칼라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는 칼라 현상기를 포함하며,The developing device includes a color developing device for storing a developer of a colored color, 상기 칼라 현상기의 현상롤러 및 교반기를 구동하는 제3구동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And a third driving source for driving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stirrer of the color developing device.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상기 인쇄매체의 타면이 인쇄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배출롤러에서부터 상기 현상기로 안내하는 듀플렉스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And a duplex guide for guiding the print medium from the discharge roller to the developing unit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print medium can be printed. 상기 배출롤러는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듀플렉스 가이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정역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the discharge roller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to move the print medium to the duplex guid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듀플렉스 가이드로 이동하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양면인쇄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a duplex printing detector for sensing whether the print medium moves to the duplex guide.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양면인쇄 감지부는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정착기를 통과하는 지 여부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the duplex printing detector detects whether the print medium passes through the fixing unit.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양면인쇄 감지부는,The duplex printing detection unit, 상기 정착기 및 상기 배출롤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정착기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레버와;A first lever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unit and the discharge roller and rotating in contact with a printing medium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상기 제1레버에 의해 연동회전하며, 상기 배출롤러의 역회전에 의해 진행하는 인쇄매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2레버와;A second lever which is interlocked by the first lever and rotates in contact with the print medium which is driven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ischarge roller; 상기 제1레버 및 상기 제2레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a sensor for sensing a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lever and the second lever.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양면인쇄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양면인쇄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배출롤러가 정역회전하도록 상기 제1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driving source so that the discharge roller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duplex printing detection unit in the duplex printing mod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일면인쇄경로에 대해 상기 현상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레지롤러와;A pair of register rollers disposed in front of the develop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one-side printing path and driven by the second driving source;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정착기를 통과 완료한 시점부터 상기 인쇄매체가 다시 상기 레지롤러 사이에 물리기 직전 까지 상기 제2구동원 및 상기 제3구동원 중 적 어도 어느 하나가 정지상태에 있도록 상기 제2구동원 및 상기 제3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The second drive source and the second drive source and the third drive source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second drive source and the third drive source stops from the time when the print medium has passed through the fixing unit and immediately before the print medium is caught between the register roller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third driving sources.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양면인쇄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배출롤러가 역회전 하는 동안 상기 제2구동원 및 상기 제3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지상태에 있도록 상기 제2구동원 및 상기 제3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drive source and the third drive sourc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second drive source and the third drive source is stationary while the discharge roller is rotated in reverse when there is a duplex print request. Image form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양면인쇄모드인 경우,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의 타면에 인쇄될 타면인쇄 데이터가 흑백인쇄모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In the duplex printing mod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inting data on the other side of the one-side printed print medium corresponding to the monochrome printing mode. 제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흑백인쇄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인쇄매체의 일면이 상기 정착기를 통과하여 일면 인쇄가 완료된 시점부터 상기 인쇄매체의 타면이 인쇄되어 외부로 배출될 때까지 상기 제3구동원이 정지상태에 있도록 제3구동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When the control unit is in the black and white printing mode, the third driving source is stopped from the time when one surface of the printing medium passes through the fixing unit and the one side printing is completed,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printing medium is prin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third driving source to control the third driving sourc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인쇄데이터가 흑백인쇄모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흑백인쇄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3구동원이 정지상태에 있도록 상기 제3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a control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print data corresponds to the black and white printing mode and controls the third driving source so that the third driving source is in a stopped state when the printing data corresponds to the black and white printing mode.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제1감광체와, 블랙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부와, 상기 블랙 현상제로 상기 제1감광체에 상기 블랙 현상제를 제공하는 제1회전체를 갖는 모노 현상기와;A mono developer having a first photosensitive member, a developer storage portion storing a black developer, and a first rotating body which provides the black developer to the first photosensitive member as the black developer; 제2감광체와, 칼라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부와, 상기 제2감광체에 상기 칼라 현상제를 제공하는 제2회전체를 갖는 칼라 현상기와;A color developing device having a second photosensitive member, a developer storing portion storing a color developer, and a second rotating body providing the color developer to the second photosensitive member; 상기 모노 현상제 및 칼라 현상제를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와;A fixing unit for fixing the mono developer and the color developer to the print medium; 상기 정착기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롤러와;A discharge roller for discharging the print medium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to the outside; 상기 제1회전체, 상기 정착기 및 상기 배출롤러를 모두 구동하는 제1구동원과;A first driving source driving all of the first rotating body, the fixing unit, and the discharge roller; 상기 제1감광체 및 제2감광체를 구동하는 제2구동원과;A second driving source for driving the first photosensitive member and the second photosensitive member; 상기 제2회전체를 구동하는 제3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a third driving source for driving the second rotating body.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인쇄매체를 상기 감광체로 이송시키도록 궤도 순환하는 매체이송벨트와;A media conveyance belt for orbiting the print media to convey the photosensitive member; 상기 매체이송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및 제2감광체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매체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된 인쇄매체에 상기 모노 및 칼라 현상제를 전사시키는 복수의 전사롤러와;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first and second photosensitive members with the medium transfer belt interposed therebetween to transfer the mono and color developer to a print medium conveyed by the medium transfer belt; 상기 제2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매체이송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a drive roller which is driven by the second drive source and drives the medium transfer belt.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or 20, 상기 배출롤러는 정역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The discharge roller is provided to b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배출롤러에서 상기 칼라현상기로 안내하는 듀플렉스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a duplex guide for guiding the print medium from the discharge roller to the color developer.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양면인쇄모드인 경우, 상기 배출롤러가 역회전하여 상기 정착기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상기 듀플렉스 가이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제1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In the duplex printing mod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driving source so that the discharge roller is rotated in reverse to enter the print media passed through the fixing unit into the duplex guide.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롤러가 역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구동원 및 상기 제3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지상태에 있도록 상기 제2구동원 및 상기 제3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The control unit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second drive source and the third drive sourc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second drive source and the third drive source is in a stationary state while the discharge roller is rotated in reverse. Forming device.
KR1020070053383A 2006-11-22 2007-05-31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4026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38,976 US7787803B2 (en) 2006-11-22 2007-11-13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ontroller to selectively control plurality of driving sources
CN2007101866482A CN101187793B (en) 2006-11-22 2007-11-21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ontroller to selectively control plurality of driving sources
EP07121238.5A EP1925991B1 (en) 2006-11-22 2007-11-21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ontroller to Selectively Control Plurality of Driving Sour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101 2006-11-22
KR20060116101 2006-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542A true KR20080046542A (en) 2008-05-27
KR101402627B1 KR101402627B1 (en) 2014-06-09

Family

ID=3948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383A KR101402627B1 (en) 2006-11-22 2007-05-31 Image form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2627B1 (en)
CN (1) CN10118779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23313B2 (en) 2018-09-27 2023-02-16 株式会社リコー Drive control device, drive device, sheet convey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rive control method
KR20210041320A (en) 2019-10-07 2021-04-1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Selective gloss treatment of print medi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9149A (en) * 1995-11-01 1998-10-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reventing change of size of image
JP3455067B2 (en) * 1997-07-01 2003-10-06 シャープ株式会社 Color image forming equipment
US7031642B2 (en) * 2002-09-11 2006-04-18 Seiko Epson Corporation Driving system for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7130574B2 (en) * 2004-03-26 2006-10-31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e forming device with multimode duplex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627B1 (en) 2014-06-09
CN101187793B (en) 2012-01-11
CN101187793A (en)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49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55187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1925991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ontroller to Selectively Control Plurality of Driving Sources
US7796936B2 (en) Image forming device with multimode duplexer
JP2009086149A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3922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supply method
JP2021170074A (en) Developer recover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40262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408155B1 (en) Color printing device
KR101367128B1 (en) Deplex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03800B1 (en) Duplex printer
JP2004093987A (en) Coupl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2008018738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H05265271A (en) Color image forming device capable of switching driving speed
JPH09325544A (en) Image recorder
JP2008254880A (en) Image forming device
JP5380942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302182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4044845A (en) Image forming device
JP2002072704A (en) Transfer paper carr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equipped therewith
KR20220046876A (en) Transfer of printing medium in simplex path and duplex path
JP2013064958A (en) Image forming device
JP494707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3186535A (en) Color image forming device
JP2020034744A (en) Developer storage body,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