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4048A - Optical component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ptical component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4048A
KR20080044048A KR1020060112856A KR20060112856A KR20080044048A KR 20080044048 A KR20080044048 A KR 20080044048A KR 1020060112856 A KR1020060112856 A KR 1020060112856A KR 20060112856 A KR20060112856 A KR 20060112856A KR 20080044048 A KR20080044048 A KR 20080044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chip
e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세기
김기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4048A/en
Publication of KR20080044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04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An optical component and a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obtain a uniform light distribution of the optical component by attaching two media with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to each other at predetermined slopes. A light emitting diode includes a light emitting chip(140) and a light transmissive material(180). The light transmissive material encloses the light emitting chip. An external source connecting member applies an external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chip. The light emitting chip is mounted on a base member. The light transmissive material protects the light emitting chip and emits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to the outside.

Description

광학 부품과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OPTICAL COMPONENT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OPTICAL COMPONENT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도 1은 전반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total reflection.

도 2는 매질과 그 굴절률에 따른 광의 진행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ath of light propagation according to the medium and its refractive index.

도 3은 매질과 그 굴절률에 따른 광 추출 효율 그래프.3 is a graph of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medium and its refractive index.

도 4는 광에 대한 매질 경계면의 각도에 따른 광 추출 효율 그래프.4 is a graph of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media interface to light.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체인 렌즈가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의 개략 단면도.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iode with a lens that is a light transmitting bod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광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6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 movement path of the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체인 프리즘 시트의 개략 단면도.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rism sheet that is a light transmitting bod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체가 구비된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 분해 사시도.8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cklight unit provided with a light transmit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n1: 제 1 매질 n2: 제 2 매질n 1 : first medium n 2 : second medium

n3: 제 3 매질 n4: 제 4 매질n 3 : third medium n 4 : fourth medium

100: 하우징 120: 리드100: housing 120: lead

140: 발광칩 160: 배선140: light emitting chip 160: wiring

180: 광 투과체 181: 프리즘 시트180: light transmitting member 181: prism sheet

200: 수납 부재 220: 반사 시트200: storage member 220: reflective sheet

240: 발광 다이오드 280: 확산 시트240: light emitting diode 280: diffusion sheet

300: 광학 시트300: optical sheet

본 발명은 광학 부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절률이 서로 다른 매질이 광원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는 광학 부품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ptical compon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optical components in which media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light source.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경량, 박형, 저전력 구동, 풀-컬러, 고해상도 구현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현재 액정 표시 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PDA, 전화기, TV, 오디오/비디오기기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제어용 스위치들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광의 투과량이 조절되는 액정 표시 패널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한다.In general, the liquid crystal display (LCD) has been expanding its application range due to features such as light weight, thinness, low power driving, full color, and high resolution. Currently, liquid crystal displays are used in computers, notebooks, PDAs, telephones, TVs, and audio / video devices.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displays a desired image on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 which light transmittance is adjusted according to image signals applied to a plurality of control switches arranged in a matrix form.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종래 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그 광원으로 점광원, 선광원, 면광원을 사용하며, 상기와 같은 광원 중 점광원은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backlight unit provided under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o supply ligh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 this case,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uses a point light source, a line light source, a surface light source as its light source, and the point light source of the light source as described above uses a light emitting diode.

최근 상기와 같은 광원을 사용하는 백라이트로 적색(R), 녹색(G), 청색(B)을 혼합하여 백색(W) 광원을 만드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Recently, research on a backlight unit using a light emitting diode that produces a white (W) light source by mixing red (R), green (G), and blue (B) as a backlight using the light source as described above has been actively conducted.

그러나,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또는 면광원(FFL)과 같은 1, 2 차원의 광원에 비해서 0차원인 발광 다이오드는 다수개를 백라이트 유닛 내에 위치시켜야 한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 내에 위치된 발광 다이오드들이 서로 컬러 커플링(Color Coupling)을 통해 원하는 백색광을 혼합해야하며, 이를 위해 여러 가지 확산용 광학 부품과 렌즈들이 개발되고 있다.However,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having 0 dimensions compared to one or two dimension light sources such as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or a surface light source (FFL) should be placed in the backlight unit.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iodes located in the backlight unit must mix desired white light through color coupling, and various diffusion optical components and lenses have been developed for this purpose.

상기와 같은 확산용 광학 부품과 렌즈의 대표적인 예로서, 측면 발광형 발광 다이오드에 사용되는 측면 발광 렌즈(Side Emitting Lens)와, 상면 발광형 발광 다이오드에 사용되는 상면 발광 렌즈(Top Emitting Lens)가 있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above-described diffusing optical parts and lenses include side emitting lenses used for side light emitting diodes and top emitting lenses used for top emitting light emitting diodes. .

이때, 상기 측면 발광형 렌즈를 사용하는 측면 발광형 발광 다이오드는 발광칩에서 방출된 광을 바닥면 즉, 반사 시트에서 상부로 반사시켜야 하며, 이때 1차 광 손실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부로 반사된 광은 광학 시트 내부를 통과하면서 2차 광 손실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광학 시트의 외부에 형성된 패턴은 상부로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오히려 막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3차 광 손실이 발생 된다.In this case, the side light emitting diode using the side light emitting lens should refl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from the bottom surface, that is, from the reflective sheet to the top, whereby primary light loss occurs.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reflected upwards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optical sheet, causing secondary light loss. In addition, since the pattern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optical sheet serves to block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upward, the third light loss occurs.

또한, 상면 발광 렌즈를 이용한 상면 발광 다이오드는 광 손실은 적지만 균일한 백색광을 얻기 위해 발광칩에서 방출되는 광이 균일한 광분포를 갖도록 렌즈를 디자인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상면 발광 렌즈를 이용한 상면 발광 다이오드는 발광칩에서 방출된 광이 균일한 광분포를 갖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e top light emitting diode using the top light emitting lens has a low light loss, but the lens should be designed such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has a uniform light distribution in order to obtain uniform white light. However, the top light emitting diode using the top light emitting len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has a uniform light distribu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 손실을 최소화하고, 균일한 광분포를 갖는 광학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n optical component with a minimum light loss and a uniform light distribu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이 투과되며 굴절률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매질을 포함하되, 상기 굴절률이 서로 다른 매질의 경계면은 광원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품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tical component comprising a plurality of media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and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wherein an interface between the media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has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a light source. .

이때, 상기 서로 다른 매질은 제 1 매질과 제 2 매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매질은 제 2 매질보다 굴절률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정 기울기는 15도 내지 45도인 것이 광 추출 효율이 가장 우수하다.In this case, the different media may include a first medium and a second medium, and the first medium may have a lower refractive index than the second medium.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slope is 15 to 45 degrees is the best light extraction efficiency.

또한, 상기 제 1 매질과 제 2 매질 사이에 공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매질과 제 2 매질은 상기 공기층보다 굴절률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air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first medium and the second medium.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edium and the second medium have a larger refractive index than the air layer.

또한,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제 1 매질로 입사되어 제 2 매질을 통해 외부로 출사되며, 상기 광 투과체는 광학 시트,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incident to the first medium and exits through the second medium, the light transmitting body may include an optical sheet, a lens.

또한, 본 발명은 발광칩과, 상기 발광칩을 봉지하는 광 투과체와, 상기 발광칩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외부전원 입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체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매질을 포함하되, 상기 굴절률이 서로 다른 매질의 경계면은 발광칩에서 방출된 광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light emitting chip, a light transmitting body encapsulating the light emitting chip, and an external power input member for applying an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light emitting chip, wherein the light transmitting body includes a medium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The interface between the media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may have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이때, 상기 광 투과체는 제 1 매질과 제 2 매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매질과 제 2 매질의 경계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발광칩에서 방출된 광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transmitting body includes a first medium and a second medium, and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an interface between the first medium and the second medium to have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또한, 본 발명은 발광칩과 발광칩을 봉지하는 광 투과체와 상기 발광칩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외부전원 입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체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매질을 포함하되 발광칩에서 방출된 광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light emitting chip, a light transmitting body encapsulating the light emitting chip, and an external power input member for a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light emitting chip, wherein the light transmitting body includes a medium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The backlight un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the emitted light.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광을 굴절시키기 위한 광학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ptical sheet for refra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또한, 상기 광학 시트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매질을 포함하되, 상기 굴절률이 서로 다른 매질의 경계면은 발광 다이오드에서 방출된 광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tical sheet may include a medium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nd the interface of the medium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may have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또한, 상기 광학 시트는 제 1 매질과 제 2 매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매질 및 제 2 매질의 경계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방출된 광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tical sheet may include a first medium and a second medium, and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medium and the second medium, and thus have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이때, 상기 소정 기울기는 15도 내지 45도인 것이 광 추출 효율이 가장 우수하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slope is 15 to 45 degrees is the best light extraction efficienc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전반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매질과 그 굴절률에 따른 광의 진행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매질과 그 굴절률에 따른 광 추출 효율 그래프이고, 도 4는 광에 대한 매질 경계면의 각도에 따른 광 추출 효율 그래프이다. 이때, 도 3과 도 4의 테스트 조건은 제 1 매질과 제 2 매질의 간격이 5mm이고, 디텍터의 위치는 제 1 매질에서 40mm 거리에 위치된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otal reflection,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ath of the light according to the medium and its refractive index, Figure 3 is a graph of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medium and its refractive index, Figure 4 It is a graph of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medium interface for. In this case, the test conditions of FIGS. 3 and 4 have a distance of 5 mm between the first medium and the second medium, and the position of the detector is located at a distance of 40 mm from the first medium.

도 1을 참조하면, 임계각이란 굴절률이 큰 물질에서 작은 물질로 광이 입사할 때, 그 이상의 더 큰 각도에서는 전반사가 일어나게 되는 입사각(θc)의 값을 지칭한다. 즉, 예를 들어, 굴절률이 큰 물질을 제 1 매질(n1), 굴절률이 작은 물질을 제 2 매질(n2)이라 할 때,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이 다른 매질(n2<n1)을 만나 굴절할 경우, 굴절각이 90도가 되는 입사각을 임계각이라고 지칭하고, 이때 입사각은 법선을 기준으로 측정한 각도(θc1)를 지칭한다. 입사각이 임 계각보다 크면 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를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입사각이 임계각보다 작으면 전반사가 일어나지 않으며, 광은 굴절률이 큰 물질 즉, 제 1 매질(n1)에서 작은 물질 즉, 제 2 매질(n2)로 입사된다. 반면, 광이 굴절률이 작은 제 2 매질(n2)에서 굴절률이 큰 제 1 매질(n1)로 입사할 경우는 전반사가 일어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 the critical angle refers to the value of the incident angle θc at which total reflection occurs at a larger angle when light is incident from a material having a large refractive index to a small material. That is, for example, when a material having a large refractive index is referred to as a first medium n 1 and a material having a small refractive index as a second medium n 2 , a medium having different light as shown in FIG. When the refraction meets (n 2 <n 1 ), the incident angle at which the refraction angle is 90 degrees is referred to as a critical angle, and the incident angle refers to an angle θ c1 measured based on a normal line. If the angle of incidence is larger than the critical angle, total internal reflection occurs. In addition, when the incident angle is smaller than the critical angle, total reflection does not occur, and light is incident on a material having a large refractive index, that is, a small material, that is, a second medium n 2 , in the first medium n 1 . On the other hand, when light enters the first medium n 1 having a large refractive index from the second medium n 2 having a small refractive index, total reflection does not occur.

상기와 같이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을 포함하는 광학 부품 즉, 광 투과체는 상기 제 1 매질(n1)이 제 2 매질(n2)보다 굴절률이 높거나 제 1 매질이 제 2 매질(n2)보다 굴절률이 낮은 경우와, 상기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 네 가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An optical component comprising a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as described above, i.e., light transmitting body is the first medium (n 1) is the second medium having a refractive index higher or more than (n 2) the first medium may have a second medium (n 2) than in the low index of refraction and, includes four structure in which an air layer between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is formed.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광 투과체는 도 2를 참조하면, 도 2 (a)는 제 1 매질(n1)이 제 2 매질(n2)보다 굴절률이 낮고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 경우로서, 광은 제 1 매질(n1)로 입사되어 공기층과 제 2 매질(n2)을 통해 외부로 출사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 1 매질(n1)로 입사된 광은 공기층과의 경계면에서 굴절 또는 전반사되며, 굴절되어 공기층으로 입사된 광은 다시 제 2 매질(n2)과의 경계면에서 굴절되어 제 2 매질(n2)에 입사된다. 또한, 상기 제 2 매질(n2)에 입사된 광은 다시 외부 공기와의 경계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된다.For a light transmitting member having such a structure, referring to FIG. 2, FIG. 2 (a) shows that the first medium n 1 has a lower refractive index than the second medium n 2 , and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As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n 2 ), light is incident on the first medium n 1 and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layer and the second medium n 2 . In this case,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medium n 1 is refracted or totally reflected at the interface with the air layer, and the light refracted and incident on the air layer is refracted at the interface with the second medium n 2 and is second Incident on the medium n 2 . In addition, the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medium n 2 is refracted at the interface with the outside air and exits.

도 2 (b)는 제 1 매질(n1)이 제 2 매질(n2)보다 굴절률이 높고 제 1 매질(n1) 과 제 2 매질(n2) 사이에 공기층이 생략된 경우로서, 광은 제 1 매질(n1)로 입사되어 제 2 매질(n2)을 통해 외부로 출사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 1 매질(n1)로 입사된 광은 제 2 매질(n2)과의 경계면에서 굴절 또는 전반사되며, 굴절되어 제 2 매질(n2)로 입사된 광은 다시 굴절되어 외부로 출사되거나 전반사된다.Figure 2 (b) is a case of an air layer between the first medium (n 1) is the second medium with high refractive index than that (n 2)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is omitted, the light is incident to the first medium (n 1)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medium (n 2). In this case, the first medium (n 1) the light of the second medium is refracted or totally reflected by the interface between the (n 2), is refracted a second medium (n 2) the light is again refracted incident to the outside is incident to the It is emitted or totally reflected.

도 2 (c)는 제 1 매질(n1)이 제 2 매질(n2)보다 굴절률이 낮고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 사이에 공기층이 생략된 경우로서, 광은 제 1 매질(n1)로 입사되어 제 2 매질(n2)을 통해 외부로 출사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 1 매질(n1)로 입사된 광은 제 2 매질(n2)과의 경계면에서 굴절되어 제 2 매질(n2)로 입사되며, 제 2 매질(n2)로 입사된 광은 다시 굴절되어 외부로 출사되거나 전반사된다.Figure 2 (c) is a case of an air layer between the first medium (n 1) is the second medium (n 2) than the low refractive index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is omitted, the light is incident to the first medium (n 1) and exits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medium (n 2). In this case, the light incident to the first medium (n 1) is refracted at the interface of the second medium (n 2) is incident on the second medium (n 2), the incident on the second medium (n 2) The light is refracted again and exited or totally reflected outside.

도 2(c)의 경우는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의 경계면에서 내부 전반사가 일어나지 않아 광 추출에 효율적일 것으로 보이나, 도 2 (d)와 같이 제 2 매질(n2)과 외부 공기와의 경계면에서 내부 전반사가 일어나는 경우 광 추출 효율은 내부 전반사가 일어나는 만큼 떨어질 수 밖에 없다.In the case of FIG. 2 (c), total internal reflection does not occur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 and thus it may be efficient for light extraction, but as shown in FIG. 2 ) In the case of total internal reflection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outside air and the outside air,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inevitably inferior to the total internal reflection.

상기와 같은 조합을 갖는 광 투과체에 대한 광 추출 효율을 살펴보면,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매질(n1)이 제 2 매질(n2)보다 굴절률이 작을 경우 제 1 매질(n1)로 입사 된 광이 공기층과 제 2 매질(n2)을 통해 외부로 출사되는 양은 약 36.14%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 (b)는 도 3(a)와 유사하게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 1 매질(n1)이 제 2 매질(n2)보다 굴절률이 큰 경우에 대해 테스트를 하였다. 이 경우,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의 굴절률만이 달라졌으나, 광 추출 효율은 약 25.57%로 도 3 (a)의 경우보다 약 10.57%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 (c)는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 사이에 공기층이 생략된 경우로서, 제 1 매질(n1)이 제 2 매질(n2)보다 굴절률이 높은 경우를 테스트 하였다. 이 경우, 광 추출 효율은 약 29.23%로서,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 경우보다 약 3.66%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 (d) 역시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 사이에 공기층이 생략된 경우이나, 도 3 (c)와는 달리 제 1 매질(n1)이 제 2 매질(n2)보다 굴절률이 낮은 경우를 테스트 하였다. 이 경우, 광 추출 효율은 약 41.14%로서,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 경우보다 광 추출 효율이 약 5%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 사이에 공기층이 생략되고 상기 제 1 매질(n1)이 제 2 매질(n2)보다 굴절률이 낮은 경우가 광 추출 효율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for the light transmitting body having the combin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3 (a),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edium (n 1 ) and the second medium (n 2 ) and the first medium (n 1) is the second medium (n 2) the amount than the smaller the refractive index over the first medium (n 1) the light is air and the second medium enters the (n 2) emitted to the outside of about 36.14% It can be seen that. In addition, in FIG. 3B,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 similarly to FIG. 3A, but the first medium n 1 is the second medium. The test was performed for the case where the refractive index was larger than (n 2 ). In this case, onl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medium (n 1 ) and the second medium (n 2 ) was changed, but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about 25.57%, it can be seen that about 10.57% lower than in the case of Figure 3 (a). In addition, Figure 3 (c) is the index of refraction than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in a case of an air layer is omitted between the first medium (n 1) is the second medium (n 2) High case was tested. In this cas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about 29.23%, which is about 3.66% higher than when the ai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edium (n 1 ) and the second medium (n 2 ). In addition, FIG. 3 (d) also shows a case where the air layer is omitted between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 but unlike FIG. 3 (c), the first medium n 1 is the second medium. The case of the refractive index lower than (n 2 ) was tested. In this cas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about 41.14%, and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about 5% higher than when the ai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Looking at the test result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ir layer is omitted between the first medium (n 1 ) and the second medium (n 2 ) and the first medium (n 1 ) has a lower refractive index than the second medium (n 2 )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the highest.

이때, 상기와 같이 굴절률이 서로 다른 두 매질에 있어서,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의 경계면이 광원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갖도록 한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기울기에 따라 광 추출 효율과 광분포가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two media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s described above, if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has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the slope as shown in FIG. As a result,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d light distribution can be seen to change.

도 4 (a)에 도시된 그래프는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이 광원에 대해 30도의 기울기를 갖는 광 투과체로서, 광 추출 효율이 유효영역(점선 영역)은 약 32.81%이며 전체영역은 약 66.41%가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4 (b)를 참조하면,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이 광원에 대해 45도의 기울기를 가질 때 광 추출 효율이 유효영역(점선 영역)은 약 22.42%이며 전체영역은 약 66.41%가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4 (c)를 참조하면,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이 광원에 대해 60도의 기울기를 가질 때 광 추출 효율이 유효영역(점선 영역)은 약 12.35%이며 전체영역은 약 85.50%가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유효영역은 광원을 기준으로 우측 90도 영역으로서, 광학 부품 디자인 시 실제로 사용되는 영역은 광원을 기준으로 우측 90도 영역만이 유효하고 좌측 90도 영역은 광학 부품 디자인 시 제외된다. 즉, 광 투과체의 전체영역이 아니라 유효영역에서 출사되는 광만을 광 추출 효율 값으로 봐야 한다. 따라서, 전체 광 추출 효율은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이 광원에 대해 60도의 기울기를 가질 때 가장 높지만 유효영역(점선 영역)에 대한 광 추출 효율은 30도의 기울기를 가질 때 가장 높으므로, 가장 광 추출 효율이 우수한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의 기울기는 30도인 것 이 바람직하다.The graph shown in FIG. 4 (a) is a light transmitting body in which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have an inclination of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It is about 32.81% and the total area is about 66.41%.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B, when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have an inclination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about 22.42%. The total area is about 66.41%.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C, when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have an inclination of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the effectiv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rea (dashed line area) is about 12.35%. The total area is about 85.50%. In this case, the effective area is a right 90 degree reg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and only the right 90 degree region is valid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and the left 90 degree region is excluded when designing the optical component. That is, on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effective region, not the entire region of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should be regarded as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value. Therefore, the tot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highest when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have a 60 degre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but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with respect to the effective area (dotted line area) is 30 degrees. since the highest when it has, the most excellent light extraction efficiency, the slope of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is to 30 degrees are preferred.

다음은 전술한 광학적 성질을 이용한 렌즈를 사용하는 발광 다이오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고자 한다.Next, a light emitting diode using a lens using the aforementioned optical properti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체인 렌즈가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광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lens as a light transmitting bod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 movement path of the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240)는 광원인 발광칩(140)과, 상기 발광칩(140)을 봉지하는 광 투과체(18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광칩(140)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외부전원 연결부재와, 상기 발광칩(140)이 실장되기 위한 베이스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iode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chip 140 as a light source and a light transmitting body 180 encapsulating the light emitting chip 140.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chip 140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power connection member for applying external power, and a base member on which the light emitting chip 140 is mounted.

상기 광 투과체(180)는 광원인 상기 발광칩(140)을 봉지하여 보호하고 발광칩(140)에서 방출된 광을 외부로 출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를 포함한다.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180 encapsulates and protects the light emitting chip 140, which is a light source, and emit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140 to the outside, and includes a lens in this embodiment.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체(180)는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매질(n1)은 상기 발광칩(140)을 봉지하고 제 2 매질(n2)은 상기 제 1 매질(n1)을 봉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광학 성질을 이용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체(180)는 상기 제 1 매질(n1)과 제 2 매 질(n2)의 경계면이 광원 즉, 발광칩(140)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의 제 1 경계면은 상기 발광칩(140)에서 방출된 광을 최대한 투과시키기 위해 발광칩(140)에서 방출된 광과 소정 각도 즉, 제 1 각(θ1)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매질(n2)과 외부 공기가 이루는 제 2 경계면은 광 산란을 위해 그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 transmitting body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medium n 1 and a second medium n 2 , and the first medium n 1 is the light emitting chip 140. ) And the second medium (n 2 ) preferably encapsulates the first medium (n 1 ). In addition, in the light transmitting body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ing the above-described optical properties, an interface between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has a light source, that is, the light emitting chip 140. It is preferable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hat is, the first interface between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ha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140 in order to transm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140 as much as possible. That is, it is preferable to achieve the first angle θ 1 . In addition, the second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medium (n 2 ) and the outside air is preferably formed with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for light scattering.

이때, 상기 제 1 각(θ1)은 발광칩(140)의 활성층(미도시)에서 방출된 광이 동일한 거리를 진행 했을 때 형성되는 원에 대한 접선을 긋고, 상기 접선과 매질에 대한 각으로 정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ngle θ 1 draws a tangent to the circle formed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not shown) of the light emitting chip 140 travels the same distance, and the angle between the tangent and the medium. Can be defined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의 제 1 경계면이 광원에서 방출된 광에 대해 제 1 각(θ1)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는 그 전체 형상이 반구 형태이며,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의 제 1 경계면이 제 1 각(θ1)을 갖기 위해 그 세로방향 단면이 삼각 톱니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interface of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has the first angle θ 1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is hemispherical and the longitudinal cross section is triangular saw-shaped so that the first interface plane of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has the first angle θ 1 .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각(θ1)은 발광칩(140)의 중심 즉, 활성층(140)에서 방출된 광과 15 내지 45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각(θ1)은 30도인 것이 가장 광 추출 효율이 높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gle θ 1 preferably forms 15 to 45 degrees with the center of the light emitting chip 140, that is, the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140, and the first angle θ 1. ) Is 30 degrees, the highest light extraction efficiency.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는 제 1 매질(n1)이 제 2 매 질(n2)보다 굴절률이 낮으므로 제 1 매질(n1)을 투과한 광은 반사 없이 모두 제 2 매질(n2)로 입사된다. 이때, 상기 제 2 매질(n2)은 제 1 매질(n1)보다 굴절률이 낮으므로 광은 우측으로 굴절되어 제 2 매질(n2)에 입사된다. 또한, 제 2 매질로 입사된 광은 다시 제 2 매질(n2)과 외부 공기와의 제 2 경계면에 도달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제 2 매질(n2)과 외부 공기와의 제 2 경계면에 도달한 광은 제 2 경계면에 의해 굴절되어 외부로 출사(①,②,③)되거나 다시 전반사(④)된다. 이때, 제 2 경계면에서 전반사되어 제 2 매질(n2)로 재입사된 광(④)은 굴절률 차이로 인해 제 1 매질(n1)로 다시 입사되지 못하고, 제 2 매질(n2) 내에서 내부 전반사된다. 따라서, 발광칩(140)에서 방출된 적색(R), 녹색(G), 청색(B) 광은 제 2 매질(n2) 내에서 반사되며 혼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발광칩(140)에서 방출된 적색(R), 녹색(G), 청색(B) 광은 제 2 매질(n2) 내에서 내부 전반사가 수회 일어나므로 도광판과 같이 광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어 화이트 믹싱(White Mixing)이 더욱 우수하게 된다. 따라서, 색분포가 균일한 백색(W)을 갖게 되며, 이러한 광은 제 2 매질(n2) 내에서 혼합된 후 공기 즉, 외부로 출사된다.Lens of this embodiment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the first medium (n 1) of the second all-sheet quality (n 2) than the refractive index is low, because the first medium (n 1) the transmitted light without reflecting the Incident on two media (n 2 ). 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medium n 2 has a lower refractive index than the first medium n 1 , the light is refracted to the right and is incident on the second medium n 2 . In addition, the light incident to the second medium is again reached the second interface of the second medium (n 2) and the outside air, to the second interface of the second medium (n 2) and the outside air as described above, Reached light is refracted by the second boundary surface and emitted (1, 2, 3) to the outside or total reflection 4). In this case, is totally reflected at the second interface between the re-incident on the second medium (n 2) light (④) is not due to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is incident again to the first medium (n 1), the second medium (n 2) in the Total internal reflection. Therefore, red (R), green (G), and blue (B)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140 is reflected and mixed in the second medium n 2 . In addition, the red (R), green (G), and blue (B)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140 as described above may undergo total internal reflection several times in the second medium (n 2 ), thereby moving the light like a light guide plate. White Mixing becomes even better. Therefore, the color distribution has a uniform white (W), and this light is mixed in the second medium (n 2 ) and then emitted to air, that is, outsid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의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물질을 서로 붙이되 일정한 각을 줌으로써, 광의 확산 거리 및 광 추출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diffusion distance an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light by attaching two different refractive index materials to each other but giving a predetermined angle.

한편, 상기 발광칩(14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240)의 광원으로 서, p-n 접합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반도체 적층구조로서 소수 캐리어(전자 또는 정공)들의 재결합에 의하여 발광되는 현상을 이용한다. 상기 발광칩(140)은 제 1 및 제 2 반도체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된 활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반도체층을 P형 반도체층으로 하고, 제 2 반도체층을 N형 반도체층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칩(140)의 상부 즉, P형 반도체층의 일면에는 P형 전극이 형성되고, 발광칩(140)의 하부 즉, N형 반도체층의 일면에는 N형 전극이 형성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발광칩(140)은 상기와 같은 수직형 발광칩 외에 수평형 발광칩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시광 또는 자외선 등을 발광하는 다양한 종류의 발광칩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발광칩(140)으로 적색(R), 녹색(G), 청색(B)을 발하는 세 개의 발광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발광칩(140)이 적색(R), 녹색(G), 청색(B)을 발하기 위해 상기 발광칩(140) 자체가 적색(R), 녹색(G), 청색(B)을 발하거나, 자외선을 발하는 발광칩과 상기 자외선을 적색(R), 녹색(G), 청색(B) 광으로 여기하기 위한 형광체를 사용하여 적색(R), 녹색(G), 청색(B)을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emitting chip 140 is a light sourc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a compound semiconductor stacked structure having a pn junction structure uses a phenomenon that light is emitted by the recombination of minority carriers (electrons or holes). . The light emitting chip 140 may include an active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yers and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yer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is a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s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In addition, a P-type electrod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chip 140, that is, one surface of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N-type electrod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chip 140, that is, one surface of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ight emitting chip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horizontal light emitting chip in addition to the vertical light emitting chip as described above, and may use various types of light emitting chips emitting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light emitting chips emitting red (R), green (G), and blue (B) may be used as the light emitting chip 14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light emitting chip 140 to emit red (R), green (G), and blue (B), the light emitting chip 140 itself is red (R), green (G), and blue (B). The light emitting chip which emits light or emits ultraviolet rays, and a phosphor for exciting the ultraviolet rays with red (R), green (G) and blue (B) light, using red (R), green (G) and blue (B). Can be implemented.

한편, 전술한 광학적 성질은 상기 발광칩(14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칩(140)의 반도체층으로 굴절률이 2.5인 GaN을 사용하고, 상기 반도체층의 상부에 굴절률이 2인 ZnO2층 또는 굴절률이 2.7인 TiO2층을 형성한 후 상기 ZnO2층 상에 굴절률이 1.7인 투명 전도성 박막(Indium Tin Oxide; ITO)층을 형성하 여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도체층과 ZnO2층 또는 2.7인 TiO2층이 접하는 경계면과 투명 전도성 박막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활성층에서 방출되는 광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optical properties may be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chip 140. For example, GaN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2.5 is used as a semiconductor layer of the light emitting chip 140, and a ZnO 2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2 or a TiO 2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2.7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and then ZnO is formed. It can be applied by forming a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 (Indium Tin Oxide (ITO))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7 on the two layer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form irregularities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ZnO 2 layer or the TiO 2 layer of 2.7 and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재는 상기 발광칩(140)과 외부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리드(120)와 배선(1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power connection member is for connecting the light emitting chip 140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may include a lead 120 and a wire 160 in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리드(120)는 상기 발광칩(140)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리드(120a, 12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리드(120a, 120b)의 일부분은 하우징(100) 내에 삽입되며, 나머지 일부분은 하우징(100) 외에 돌출되어 외부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The lead 120 is for applying an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light emitting chip 140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leads 120a and 120b form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respectively. In this cas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eads 120a and 120b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and the remaining portions may protrude outside the housing 100 to receive external power.

상기 배선(160)은 발광칩(140)과 제 2 리드(120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어 접합 공정 등의 공정을 통해 금(Au) 또는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칩(140)이 수평형일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리드(120a, 120b)와 수평형 발광칩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두 개의 배선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wiring 160 i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light emitting chip 140 and the second lead 120b and may be formed of gold (Au) or aluminum (Al) through a process such as a wire bonding process. Meanwhile, when the light emitting chip 140 is horizontal, two wires may be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leads 120a and 120b and the horizontal light emitting chip.

이때, 상기 리드(120)는 외부전원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부재이며, 상기 배선은 상기 리드(120)와 발광칩(140)을 연결하여 리드(120)로 인가된 외부전원을 발광칩(1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이를 위해 상기 발광칩(140)의 N형 전극은 제 1 리드(120a)에 접하고, 상기 P형 전극은 배선(160)에 의해 제 2 리 드(12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ad 120 is a member direct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wiring connects the lead 120 and the light emitting chip 140 to the external power applied to the lead 120 to the light emitting chip 140. To communicate with In addition, for this purpose, the N-type electrode of the light emitting chip 1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lead 120a, and the P-type electrod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lead 120b by the wiring 160.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발광칩(140)을 실장하고 외부전원 입력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member is for mounting the light emitting chip 140 and installing an external power input member, and may include a housing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하우징(100)은 발광소자의 전체 구조를 지지하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프탈아미드(Poly Phthal Amid; PPA) 또는 액정 고분자 수지(Liquid Crystal Polymer; LCP) 등과 같은 절연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절연물질로 제작된 하우징(100)은 하우징(100) 상에 형성된 제 1 리드(120a)와 제 2 리드(120b)를 지지하면서 전기적으로 단락시킨다.The housing 100 is to support and protect the entire structur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The housing 10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oly phthalamide (PPA) or liquid crystal polymer (LCP). The housing 100 made of the insulating material as described above is electrically shorted while supporting the first lead 120a and the second lead 120b formed on the housing 100.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베이스부재는 기판일 수도 있다. 즉, 상기 발광칩(140)을 지지하고 외부전원 인가부재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베이스부재로 사용이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ase member may be a substrate. In other words, any structure that can support the light emitting chip 140 and install an external power supply member can be used as a base member.

다음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체인 광학 시트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등과 같은 광학 시트 중 프리즘 시트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n optical sheet that is a light transmitting body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embodiment, a prism sheet among optical sheets such as a diffusion sheet and a prism shee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체인 프리즘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rism sheet that is a light transmitting bod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매질(n3)과, 상기 제 3 매질(n3) 상에 형성된 제 4 매질(n4)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prism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third medium n 3 and a fourth medium n 4 formed on the third medium n 3 .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체인 프리즘 시트는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굴절, 집광시켜 휘도를 상승시켜기 위한 것으로서, 제 3 매질(n3)과 상기 제 3 매질(n3) 상에 형성된 제 4 매질(n4)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는 전술한 광학적 성질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 3 매질(n3)은 제 4 매질(n4)보다 굴절률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제 3 매질(n3)과 제 4 매질(n4)은 광원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for turning on the light transmission chain prism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ising the brightness by refracting, conden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he first formed on a third medium (n 3) and the third medium (n 3) 4 medium (n 4 ). In this case, the prism sheet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aforementioned optical properties of the third medium (n 3)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a high index of refraction than the fourth medium (n 4), the third medium (n 3)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ourth medium n 4 has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즉, 제 3 매질(n3)과 제 4 매질(n4)의 제 1 경계면이 소정 기울기를 가져야 하며, 이와 같이 기울기를 갖기 위해 상기 제 4 매질(n4)과 접촉되는 제 3 매질(n3)의 표면에 돌출된 요철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3 매질(n3)의 표면에 구형태의 돌기를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돌기 표면에 광원과 소정 기울기를 갖도록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3 매질(n3)과 접촉되는 제 4 매질(n4)의 표면에 돌출된 요철형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That is, the first interface between the third medium (n 3 ) and the fourth medium (n 4 ) should have a predetermined slope, and the third medium (n 4 ) in contact with the fourth medium (n 4 ) to have such a slop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uneven | corrugated shape which protruded on the surface of 3 ).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pherical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hird medium n 3 , and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so as to have a light source and a predetermined slo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rotrusion and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ourth medium n 4 in contact with the third medium n 3 .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는 제 3 매질(n3)을 통해 제 4 매질(n4)로 입사된 광이 외부 공기와의 제 2 경계면에서 일부가 전반사되며, 상기와 같이 광이 전반사되어 발광 다이오드에서 방출된 적색(R), 녹색(G), 적색(R) 광이 제 4 매질(n4) 내에서 혼합되어 균일한 색분포를 갖는 백색(W)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광이 제 4 매질(n4) 내에서 전반사되어 광은 제 4 매질(n4)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하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In the prism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such a structure, part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fourth medium n 4 through the third medium n 3 is totally reflected at the second interface with the outside air, and the light is as described above. The total reflection of red (R), green (G), and red (R)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may be mixed in the fourth medium (n 4 ) to implement white (W) having a uniform color distribution. Further, the light is totally reflected in the fourth medium (n 4)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can be uniformly emitted to the outside from the entire region of the fourth medium (n 4).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는 광원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어 프리즘 시트를 통해 외부로 출사될 때 광의 진행 방향을 프리즘 시트와 수직하게 하기 위해 일 표면에 요철(점선 영역)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prism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incident and exited out through the prism sheet, irregularities (dotted regions) are formed on one surface to make the traveling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ism sheet. desirable.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체가 구비된 백라이트 유닛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Next, a backlight unit provided with a light transmit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체가 구비된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8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cklight unit provided with a light transmit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체가 구비된 백라이트 유닛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240)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240)의 상부에 구비된 광학 시트(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광 다이오드(240)와 광학 시트(300)를 수납하여 보호하기 위한 수납 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240)와 수납 부재(200) 사이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240)에서 수납 부재(200) 방향으로 진행되는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시트(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cklight unit with the light transmit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240 and an optical sheet 300 provided on the light emitting diode 240 as shown in FIG. 8.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diode 240 may further include an accommodating member 200 for accommodating and protecting the optical sheet 300.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iode 240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ing sheet 220 for reflecting light traveling in the direction of the accommodating member 200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240.

상기 발광 다이오드(240)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로서, 광원인 발광칩과, 상기 발광칩을 봉지하는 광 투과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광칩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외부전원 연결부재와, 상기 발광칩이 실장되기 위 한 베이스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iode 240 is a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includes a light emitting chip as a light source and a light transmitting body encapsulating the light emitting chip. At this time, an external power connection member for a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light emitting chip, and a base member for mounting the light emitting chip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광 투과체는 광원인 상기 발광칩을 봉지하여 보호하고 발광칩에서 방출된 광을 외부로 출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를 포함한다.The light transmitting body is to encapsulate and protect the light emitting chip as a light source and to emi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to the outside, and includes a lens in this embodiment.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매질(n1)은 상기 발광칩을 봉지하고 제 2 매질(n2)은 상기 제 1 매질(n1)을 봉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광학 성질을 이용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체는 상기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이 광원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의 제 1 경계면은 상기 발광칩에서 방출된 광을 최대한 투과시키기 위해 발광칩에서 방출된 광과 소정 각도 즉, 제 1 각(θ1)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매질(n2)과 외부 공기가 이루는 제 2 경계면은 발광칩에서 방출된 광의 산란을 위해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각(θ1)은 발광칩의 중심 즉, 활성층에서 방출된 광과 15 내지 45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각(θ1)은 30도인 것이 가장 광 추출 효율이 높다.The light transmit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first medium (n 1 ) and a second medium (n 2 ), as shown in FIG. 5, wherein the first medium (n 1 ) is th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chip is encapsulated and the second medium n 2 encapsulates the first medium n 1 . In addition, in the light transmit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ing the above-described optical propertie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That is, the first interface between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is a predetermined angle, ie, a first angle, wit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in order to transm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as much as possible. θ 1 )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second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medium (n 2 ) and the outside air is preferably formed with irregularities for scatter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gle θ 1 preferably forms 15 to 45 degrees with the center of the light emitting chip, that is, the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and the first angle θ 1 is 30 degrees.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high.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의 제 1 경계면이 광원에서 방출된 광에 대해 제 1 각(θ1)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는 그 전체 형상이 반구 형태이며, 제 1 매질(n1)과 제 2 매질(n2)의 제 1 경계면이 제 1 각(θ1)을 갖기 위해 그 세로방향 단면이 삼각 톱니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interface of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has the first angle θ 1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is hemispherical and the longitudinal cross section is triangular saw-shaped so that the first interface plane of the first medium n 1 and the second medium n 2 has the first angle θ 1 .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는 제 1 매질(n1)을 통해 제 2 매질(n2)로 입사된 광이 외부 공기와의 경계면에서 일부가 전반사되며, 상기와 같이 광이 전반사되어 발광칩에서 방출된 적색(R), 녹색(G), 적색(R) 광이 제 2 매질(n2) 내에서 혼합되어 균일한 색분포를 갖는 백색(W)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광이 제 2 매질(n2) 내에서 전반사되어 광은 제 2 매질(n2)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하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In the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ving the above structure, a part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medium n 2 through the first medium n 1 is totally reflected at the interface with the outside air, and the light is totally reflected as described above. Red (R), green (G), and red (R)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may be mixed in the second medium (n 2 ) to implement white (W) having a uniform color distribution. Further, the light is totally reflected in the second medium (n 2)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can be uniformly emitted to the outside from the entire area of the second medium (n 2).

상기 광학 시트(300)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240)에서 방출된 광을 광학 시트(300)와 수직한 방향에 대해 출력을 증가시키고, 광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확산 시트(280), 프리즘 시트(181)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sheet 300 is to increase the outpu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240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sheet 300, and to improve the light quality, in this embodiment the diffusion sheet 280 ), And may include a prism sheet 181.

상기 확산 시트(280)는 발광 다이오드(240) 상면에 위치하여 발광 다이오드(240)에서 출사된 광을 균일하게 확산하여 프리즘 시트(181)의 정면 방향으로 전달하여 시야각을 넓히고 휘점, 휘선, 얼룩 등의 확산을 경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240)와 프리즘 시트(181)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확산 시트(280)는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PET) 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확산 시트(280) 역시 전술한 프리즘 시트와 동일하게 서로 다질 매질을 층으로 쌓고 광원에 대해 기울기를 줄 수 있다.The diffusion sheet 28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240 to uniformly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240 and transmit the light toward the front direction of the prism sheet 181 to widen the viewing angle and bright spots, bright lines, spots, etc. In order to reduce diffusion of light, the light emitting diode 240 is preferably locat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diode 240 and the prism sheet 181. The diffusion sheet 280 may be manufactured using polycarbonate (PC) resin or polyester (PET) resin. In addition, the diffusion sheet 28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also stack the media to each other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prism sheet and give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상기 프리즘 시트(181)는 상기 확산 시트(280)에서 출사된 광을 굴절, 집광시켜 휘도를 상승시켜기 위한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매질(n3)과 상기 제 3 매질(n3) 상에 형성된 제 4 매질(n4)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181)는 전술한 광학적 성질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 3 매질(n3)은 제 4 매질(n4)보다 굴절률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제 3 매질(n3)과 제 4 매질(n4)은 광원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ism sheet 181 is used to increase luminance by refracting and conden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ffusion sheet 280. As illustrated in FIG. 7, the third medium n 3 and the third medium n 3 ) a fourth medium n 4 formed on the layer. In this case, the prism sheet 18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the third medium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aforementioned optical properties (n 3) is preferably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e fourth medium (n 4), the third medium (n 3 ) and the fourth medium n 4 preferably have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또한, 상기 프리즘 시트(181)는 광원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어 프리즘 시트(181)를 통해 외부로 출사될 때 광의 진행 방향을 프리즘 시트(181)에 수직하게 하기 위해 일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프리즘 시트(181)의 요철형성 방향에 따라 수평, 수직 두 장을 하나의 세트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sm sheet 181 has irregularitie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ism sheet 181 so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is perpendicular to the prism sheet 181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incident and exited through the prism sheet 181. It is preferab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horizontal and vertical sheets may be used as one set according to the unevenness forming direction of the prism sheet 181.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181)는 제 3 매질(n3)을 통해 제 4 매질(n4)로 입사된 광이 외부 공기와의 경계면에서 일부가 전반사되며, 상기와 같이 광이 전반사되어 발광 다이오드(240)에서 방출된 적색(R), 녹색(G), 적색(R) 광이 제 4 매질(n4) 내에서 혼합되어 균일한 색분포를 갖는 백색(W)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광이 제 4 매질(n4) 내에서 전반사되어 제 4 매 질(n4)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하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181)를 사용할 경우 상기 확산 시트(220)의 생략도 가능하다.In the prism sheet 181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ving the above structure, part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fourth medium n 4 through the third medium n 3 is totally reflected at the interface with the outside air. The light is totally reflected and the red (R), green (G), and red (R)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240 are mixed in the fourth medium (n 4 ) to produce white (W) having a uniform color distribution. Can be implemented. Further, the light is totally reflected in the fourth medium (n 4) as described above can be uniformly emitted to the outside from the entire region of the four-sheet quality (n 4). Therefore, when the prism sheet 18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the diffusion sheet 220 may be omitted.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발광 다이오드의 렌즈, 프리즘 시트만을 에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광학 시트, 렌즈, 플레이트 등과 같은 다굴절 광학 부품에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nly the lens and the prism shee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have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의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매질을 서로 붙이되 광원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갖도록 하여 균일한 광분포를 갖고, 광의 손실이 최소화되고, 광의 확산 거리 및 광 추출 효율이 극대화된 광학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two media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to each other and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thereby having a uniform light distribution, minimizing the loss of light, and maximizing the light diffusion distance an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 optical component can be provided.

Claims (14)

광이 투과되며 굴절률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매질을 포함하되,Includes a plurality of media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and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상기 굴절률이 서로 다른 매질의 경계면은 광원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품.And the interface of the medium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has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서로 다른 매질은 제 1 매질과 제 2 매질을 포함하고,The different media comprises a first medium and a second medium, 상기 제 1 매질은 제 2 매질보다 굴절률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품.And wherein the first medium has a lower refractive index than the second medium.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소정 기울기는 15도 내지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품.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is an optical component, characterized in that 15 to 45 degrees.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 1 매질과 제 2 매질 사이에 공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품.And an air layer between the first medium and the second medium.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제 1 매질과 제 2 매질은 상기 공기층보다 굴절률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품.And wherein the first medium and the second medium have a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e air layer.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제 1 매질로 입사되어 제 2 매질을 통해 외부로 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품.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incident to the first medium and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medium.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광 투과체는 광학 시트,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품.The optical transmission member comprises an optical sheet and a lens. 발광칩과,Light emitting chip, 상기 발광칩을 봉지하는 광 투과체와,A light transmitting body encapsulating the light emitting chip; 상기 발광칩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외부전원 입력부재를 포함하고,An external power input member for a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light emitting chip; 상기 광 투과체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매질을 포함하되,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medium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상기 굴절률이 서로 다른 매질의 경계면은 발광칩에서 방출된 광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The interface of the medium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has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광 투과체는 제 1 매질과 제 2 매질을 포함하고,The light transmitting body comprises a first medium and a second medium, 상기 제 1 매질과 제 2 매질의 경계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발광칩에서 방출 된 광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The light emitting di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medium and the second medium has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발광칩과With light emitting chip 발광칩을 봉지하는 광 투과체와A light transmitting body encapsulating a light emitting chip 상기 발광칩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외부전원 입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체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매질을 포함하되 발광칩에서 방출된 광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And an external power input member for a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light emitting chip, wherein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medium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and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chip. Backlight unit.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광을 굴절시키기 위한 광학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And a optical sheet for refrac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광학 시트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매질을 포함하되,The optical sheet includes a medium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상기 굴절률이 서로 다른 매질의 경계면은 발광 다이오드에서 방출된 광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The interface unit of the medium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has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청구항 1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광학 시트는 제 1 매질과 제 2 매질을 포함하고,The optical sheet comprises a first medium and a second medium, 상기 제 1 매질 및 제 2 매질의 경계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발광 다이 오드에서 방출된 광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Concave-convex is formed in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medium and the second medium has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3, 상기 소정 기울기는 15도 내지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is a backlight unit, characterized in that 15 to 45 degrees.
KR1020060112856A 2006-11-15 2006-11-15 Optical component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KR200800440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856A KR20080044048A (en) 2006-11-15 2006-11-15 Optical component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856A KR20080044048A (en) 2006-11-15 2006-11-15 Optical component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048A true KR20080044048A (en) 2008-05-20

Family

ID=3966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856A KR20080044048A (en) 2006-11-15 2006-11-15 Optical component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404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99280B (en) Display device
KR10152955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good heat radiating function
TWI475295B (en) Thin backlight using low profile side emitting leds
KR101289069B1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having structure of dual len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reby
JP5394497B2 (en) Thin side-emitting TIR lens for LED
US20080231772A1 (en) Flat panel displa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883839B1 (en)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and b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US20070258247A1 (en) Light-emitting module capable of increasing dispersion diameter
US9329323B2 (en) Light source and backlight module having the same
TW200841089A (en) Light source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8882322B2 (en) Backlight unit
US20100118509A1 (en) Light source packag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light sourc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30720B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4089561A (en) Display device
KR102392698B1 (en) Light-Emitting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Emitting Module
KR102353715B1 (en) Quantom dot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CN111665662B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8816512B2 (en)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CN111916434A (en) Display device
KR101919409B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
CN114063346A (en) Display device
KR20080044048A (en) Optical component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KR20080032506A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20170035187A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1675588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