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4019A - 통신시스템에서 자원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에서 자원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4019A
KR20080044019A KR1020060112794A KR20060112794A KR20080044019A KR 20080044019 A KR20080044019 A KR 20080044019A KR 1020060112794 A KR1020060112794 A KR 1020060112794A KR 20060112794 A KR20060112794 A KR 20060112794A KR 20080044019 A KR20080044019 A KR 20080044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ervice
resource allocation
resources
base station
allo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호
김영수
유철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4019A/ko
Publication of KR20080044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통신 서비스 모드를 지원하는 통신시스템의 자원 할당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져 있는 자원 할당 기준 지점으로부터, 자원 할당 패턴에 따라 해당 기지국이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들에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3세대 이후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려되고 있는 복수의 통신 서비스 환경에 최적화된 복수개의 무선접속 기술을 적응적으로 운용하여 각 기지국이 셀 커버리지가 다른 여러 가지 통신 서비스 모드를 동시에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별로 한정된 통신 자원을 각각의 통신 서비스 모드에 할당하는 자원 할당 패턴을 다르게 함으로써, 인접 셀 간 간섭을 최소화 하면서 주파수 재 사용율을 높여, 셀 별로 시나리오 별 자원 할당 비율, 셀 크기 등이 변하더라도, 이에 상관 없이 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 기준을 제안하여, 다양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resource allocation, multi service senario, service coverage

Description

통신시스템에서 자원할당 방법{A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 In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단일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으로 동적 시분할 방법을 이용하여 단일 무선 접속 기술에 할당된 자원을 셀 내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에게 자원을 할당하는 단일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통신 서비스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셀 배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자원 할당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자원 할당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자원 할당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통신 서비스 모드를 지 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간 간섭 완화를 위한 자원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단일 무선통신 시스템은, 각각의 상황에 특화된 하나의 통신 서비스 모드만을 제공하고, 단일 무선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이하, 'RAT'라 칭한다)을 이용하여 해당 통신 서비스 모드를 제공하는 기지국이 존재했다. 상기 단일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같은 지역에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2세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W-CDMA 등과 같은 두 가지 이상의 통신 서비스 모드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때, 서비스 모드의 선택은 기본적으로 상황에 따라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서비스를 각 사용자가 골라서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일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각 서비스에 할당된 통신 자원을 해당 서비스 모드에서 전용으로 사용하고, 특정 지역에서 일부 서비스 모드가 전혀 이용되지 않더라도 해당 통신 자원을 다른 통신 서비스 모드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통신 서비스 모드를 제공하는 단일 통신 시스템에서, 전체 통신 자원을 기지국 별 상황에 따라 효율적으로 각 통신 서비스 모드 간에 나누어 사용하면서도 셀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자원 할당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서비스 커버리지를 가지는 복수개의 통신 서비스 모드를 공통의 자원을 이용하여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재 사용율을 최대화하면서 셀 간 간섭을 줄이는 자원 할당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통신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셀 별로 미리 정해져 있는 자원 할당 기준 지점으로부터, 셀 반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 서비스 모드에 대하여, 정해진 자원 할당 패턴에 따라 해당 기지국이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들에서 사용하는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으로 단일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해당 셀의 내부 위치에 따라 할당되는 자원의 패턴을 다르게 하는 두 가지 방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일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자원 배치 구성도이다. 여기서, 상기 단일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일 무선 접속 기술에 할당된 자원을 셀 내의 위치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재 사용율로 사용자에게 자원을 할당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 1(110)의 서비스 커버리지의 셀 중심부와 셀 가장자리 부는, 리소스 1(112)과 리소스2(114)로 분할된다. 상기 기지국2(120)의 서비스 커버리지의 셀 중심부와 셀 가장자리 부는 리소스 1(122)과 리소스 2(124)로 분할된다. 상기 기지국 3(130)의 서비스 커버리지의 셀 중심부와 셀 가장자리 부는 리소스 1(132)과 리소스 3 (134) 으로 분할된다.
상기 도 1은 각 셀에 서로 다른 리소스가 할당된 셀 가장자리부와 (주파수 재사용율 1/3) 셀 중심부 (주파수 재사용율 1)에 서로 다른 주파수 재사용율을 할당함으로써, 셀 간 간섭을 줄이고, 주파수 재사용 율을 높이는 방안이다. 일예로, 상기 셀 가장자리부는 주파수 재사용율이 1/3이고, 상기 셀 중시부는 주파수 재사용율이 1이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셀 별 자원할당 패턴을 다르게 하여, 주파수 재사용율 1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일 무선 접속 기술에 할당된 자원을 셀 내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에게 자원을 할당하는 단일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 1(200)은 주변에 기지국2(210)와 기지국3(220)이 인접해 있다.
상기 기지국1(200)의 커버리지 영역은 총 3개의 리소스를 위한 영역으로 분할되어 셀 중심부에 리소스 1(202)이 할당되고, 상기 셀 중심부와 셀 가장자리 부 사이에 리소스 3(204)이 할당되고, 상기 셀 가장자리부에 리소스 2(206)가 할당된다. 상기 인접 셀 기지국2(210)의 커버리지 영역은 총 3개의 리소스를 위한 영역으로 분할되어 셀 중심부에 리소스 2(212)가 할당되고, 상기 셀 중심부와 셀 가장자리 부 사이에 리소스 1(214)이 할당되고, 상기 셀 가장자리부에 리소스 3(216)이 할당된다. 상기 인접 셀 기지국3(220)의 커버리지 영역은 총 3개의 리소스를 위한 영역으로 분할되어 셀 중심부에 리소스 3(222)가 할당되고, 상기 셀 중심부와 셀 가장자리 부 사이에 리소스 2(224)이 할당되고, 상기 셀 가장자리부에 리소스 1(226)이 할당된다.
즉, 상기 기지국1(200)의 셀 가장자리부에 할당되어 있는 리소스 3(206)은 나머지 인접 셀들의 기지국2(210)와 기지국3(220)의 셀 가장자리부에 사용되지 않도록 각각 다른 리소스(리소스3(216), 리소스 1(226))가 할당되도록 하여 셀들 간의 간섭을 줄인다. 또한, 각 셀들은 자신의 서비스 커버리지 영역의 셀 가장자리부에 할당된 리소스를 자신의 셀 중심부에 할당하지 않고, 마찬가지로 셀 중심부에 할당된 리소스를 자신의 셀 가장자리에 할당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1과 도2에 적용된 리소스 할당 방안은, 단일 통신 서비스 모드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으로서, 각 자원이 할당되는 영역 사이의 중첩이 없으나, 통신 서비스 모드간 중첩이 발생하고, 기지국 마다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의 종류와 셀반경이 다를 수 있는 다중 통신 서비스 모드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는 직접 확장하여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통신 서비스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각 기지국 별로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의 조합과 셀 반경, 자원 요구량 등이 모두 다른 경우에, 셀 별로 미리 정해져 있는 자원 할당 기준 지점으로부터, 셀 반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 서비스 모드에 대하여, 정해진 자원 할당 패턴에 따라 해당 기지국이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들에서 사용하는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셀간 간섭을 줄이면서도 셀 별 자원 할당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통신 서비스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300)는 IP(Internet Protocol)에 기초한 다수의 통신 서비스 모드를 지원한다. 상기 통신 서비스 모드에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301)과, 2G(Generation, 이하, 'G'라 칭한다)(303)와, 3G(305)와,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이하, 'WiBro'라 칭한다)(307)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308) 및 프리(free) 4G(309) 등 각각의 단일 통신 서비스가 포함된다.
사용자 단말기(320)는 다양한 통신 서비스 모드를 지원하는 4G 시스템 서비스(310)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통신 서비스를 지원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4G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들로는, 방송(broadcasting) 서비스(312)와, 새로운 이동 환경 모드(new mobile)(314)와, 저속 이동 환경의 무선접속기술((hot spot)인 노메딕 (nomadic) 모드(316)와, 멀티 홉(multi hop)(315)과, 에드 혹(ad hoc)(318) 및 무빙 네트워크(moving network)(319)가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은 단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도 3과 같이 다양한 통신 서비스 모드가 지원되는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복수개의 통신 서비스 모드와, 이를 제공하기 위한 각 통신 서비스 모드의 특화 된 복수개의 무선 접속 기술 (Radio Access Technology: RAT)이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또한, 이 경우 각 기지국은 2가지 이상의 통신 서비스 모드를 서비스할 수 있고, 해당 기지국 별로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 조합은 모두 다를 수 있다. 이때, 같은 기지국이더라도 해당 통신 서비스 모드를 제공 할 수 있는 셀의 커버리지는 하기 도 4와 같이 다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셀 배치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1(200)의 셀 커버리지(202)의 크기와 기지국3(210)의 셀 커버리지(212)의 크기가 통신 서비스 모드 별로 다름을 볼 수 있다. 상기 기지국1(200)이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 는 모바일과 노매딕이다. 이에 비해, 기지국2(210)이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는 방송 모드와, 무밍 네트워크 모드이다. 즉, 상기 기지국1(200)과 상기 기지국2(210)는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의 종류와 커버리지가 다름을 알 수 있다. 즉, 동일 기지국이더라도 각 통신 서비스 모드별로 셀 커버리지가 다를 수 있고, 이 경우 각 통신 서비스 모드를 위한 송신 신호의 전력이 다를 수 있다.
상기 도 4와 같이, 한 기지국이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들이라 할지라도 각각의 서비스 커버리지가 다른 크기를 갖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4와 각 기지국이 서로 다른 서비스 커버리지를 갖는 복수개의 통신 서비스 모드들에 대해 공통의 통신 자원을 나누어서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각 통신 서비스 모드의 주파수 재사용율을 최대화하면서 셀 간 간섭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은 다음과 같은 실시 예들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통신 서비스 모드를 제공하는 적응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셀 반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 서비스 모드에 할당 하는 복수개의 시간 자원 할당 패턴들을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통신 서비스 모드를 제공하는 적응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셀 반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 서비스 모드에 할당하는 복수개의 주파수 자원 할당 패턴들을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통신 서비스 모드를 제공하는 적응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셀 반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 서비스 모드에 할당하는 복수개의 시간, 주파수 자원 할당 패턴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구체적으로, 각 자원의 패턴(pattern)별로 자원 할당 시작점을 정해두고, 상기 시작점으로부터 일정 규칙(패턴)에 따라서 해당 기지국이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들을 위한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일정 규칙은 통신 서비스 모드 커버리지의 크기에 따라 나뉘는 것으로 패턴 1은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큰 순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이고, 패턴 2는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작은 순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이다.
여기서는, 자원 할당 시작점으로 시간 혹은 주파수 혹은 시간-주파수 조합의 경우를 예로 들고, 자원할당 시작점부터 할당 순서대로 셀 반경이 큰 통신 서비스 모드 순서로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들 역시 본원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자원 할당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패턴 1은 미리 정해져 있는 자원 할당 시작 시간(T1)으로부터 해당 기지국이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들 중에서, 패턴1에 따라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가장 큰 통신 서비스 모드에 자원을 할당하기 시작해서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작은 통신 서비스 모드 순으로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할당하는 자원은 시간에 해당하고, 각 서비스 시나리오가 점유 가능한 시간 자원의 크기는 변경 가능하다.
패턴 2의 경우에는 미리 정해져 있는 자원 할당 시작 시간(T2)으로부터 해당 기지국이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들 중에서,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가장 큰 통신 서비스 모드에 자원을 할당하기 시작해서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작은 통신 서비스 모드 순으로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할당하는 자원은 시간에 해당하고, 각 서비스 시나리오가 점유 가능한 시간 자원의 크기는 변경 가능하다. 자원할당 순서는 순환 방식으로 마지막 인덱스의 자원까지 할당된 후에는 최초 자원 인덱스로 돌아가서 같은 순서로 할당된다.
패턴 3의 경우에는 미리 정해져 있는 자원 할당 시작 시간(T3)으로부터 해당 기지국이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들 중에서,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가장 큰 통신 서비스 모드에 자원을 할당하기 시작해서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작은 통신 서비스 모드 순으로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할당하는 자원은 시간에 해당하고, 각 서비스 시나리오가 점유 가능한 시간 자원의 크기는 변경 가능하다. 자원할당 순서는 순환 방식으로 마지막 인덱스의 자원까지 할당된 후에는 최초 자원 인덱스로 돌아가서 같은 순서로 할당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자원 할당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패턴 1은 미리 정해져 있는 자원 할당 시작 주파수(F1)으로부터 해당 기지국이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들 중에서, 패턴1에 따라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가장 큰 통신 서비스 모드에 자원을 할당하기 시작해서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작은 통신 서비스 모드 순으로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할당하는 자원은 주파수에 해당하고, 각 서비스 시나리오가 점유 가능한 주파수 자원의 크기는 변경 가능하다.
패턴 2의 경우에는 미리 정해져 있는 자원 할당 주파수 (F2)으로부터 해당 기지국이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들 중에서,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가장 큰 통신 서비스 모드에 자원을 할당하기 시작해서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작은 통신 서비스 모드 순으로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할당하는 자원은 주파수에 해당하고, 각 서비스 시나리오가 점유 가능한 주파수 자원의 크기는 변경 가능하다. 자원할당 순서는 순환 방식으로 마지막 인덱스의 자원까지 할당된 후에는 최초 자원 인덱스로 돌아가서 같은 순서로 할당된다.
패턴 3의 경우에는 미리 정해져 있는 자원 할당 시작 주파수 (F3)으로부터 해당 기지국이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들 중에서,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가장 큰 통신 서비스 모드에 자원을 할당하기 시작해서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작은 통신 서비스 모드 순으로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할당하는 자원은 주파수에 해당하고, 각 서비스 시나리오가 점유 가능한 시간 자원의 크기는 변경 가능하다. 자원할당 순서는 순환 방식으로 마지막 인덱스의 자원까지 할당된 후에는 최초 자원 인덱스로 돌아가서 같은 순서로 할당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자원 할당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패턴 1은 미리 정해져 있는 자원 할당 시작 시간-주파수 조합 (F1, T1)으로부터 해당 기지국이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들 중에서, 패턴1에 따라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가장 큰 통신 서비스 모드에 자원을 할당하기 시작해서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작은 통신 서비스 모드 순으로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할당하는 자원은 시간 및 주파수에 해당하고, 시간 축을 우선하여 자원할당을 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주파수 축을 우선하여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서비스 시나리오가 점유 가능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의 크기는 변경 가능하다.
패턴 2의 경우에는 미리 정해져 있는 자원 할당 시작 시간-주파수 조합 (F2, T2)으로부터 해당 기지국이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들 중에서, 패턴2에 따라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가장 큰 통신 서비스 모드에 자원을 할당하기 시작해서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작은 통신 서비스 모드 순으로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할당하는 자원은 시간 및 주파수에 해당하고, 시간 축을 우선하여 자원할당을 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주파수 축을 우선하여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서비스 시나리오가 점유 가능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의 크기는 변경 가능하다. 자원할당 순서는 순환 방식으로 마지막 인덱스의 자원까지 할당된 후에는 최초 자원 인덱스로 돌아가서 같은 순서로 할당된다.
패턴 3의 경우에는 미리 정해져 있는 자원 할당 시작 시간-주파수 조합 (F3, T3)으로부터 해당 기지국이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들 중에서, 패턴3에 따라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가장 큰 통신 서비스 모드에 자원을 할당하기 시작해서 해당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가 작은 통신 서비스 모드 순으로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할당하는 자원은 시간 및 주파수에 해당하고, 시간 축을 우선하여 자원할당을 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주파수 축을 우선하여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서비스 시나리오가 점유 가능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의 크기는 변경 가능하다. 자원할당 순서는 순환 방식으로 마지막 인덱스의 자원까지 할당된 후에는 최초 자원 인덱스로 돌아가서 같은 순서로 할당된다.
상기 도 5내지 도 7과 같이, 각 패턴별로 자원 할당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혹은 주파수 및 시간과 주파수 조합만이 고정되어 있고, 셀 반경에 따라 첫번째 통신 서비스 모드에 자원이 할당되는 시점 이후 각 통신 서비스 모드에 할당되는 자원의 할당은 가변적으로 변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각 기지국 별로 통신 서비스 모드 조합이나, 각 통신 서비스 모드 별 자원의 요구량이 다르더라도 해당 기지국의 통신 서비스 모드별로 간섭을 최소화 하면서 자원을 자유롭게 할당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3세대 이후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려되고 있는 복수의 통신 서비스 모드에 최적화된 복수개의 무선접속 기술을 적응적으로 운용하여 각 기지국이 셀 커버리지가 다른 여러 가지 통신 서비스 모드를 동시에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별로 한정된 통신 자원을 각각의 통신 서비스 모드에 할당하는 자원 할당 패턴을 다르게 함으로써, 인접 셀 간 간섭을 최소화 하면서 주파수 재 사용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셀 별로 시나리오 별 자원 할당 비율, 셀 크기 등이 변하더라도, 이에 상관없이 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 기준을 제안하여, 다양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통신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져 있는 자원 할당 기준 지점으로부터, 자원 할당 패턴에 따라 해당 기지국이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모드들의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자원 할당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통신 서비스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원 할당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신 서비스 모드들은,
    서로 다른 서비스 커버리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원 할당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기준 시점은,
    해당 기지국이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시작지점으로 주파수 혹은 시간 혹은 주파수와 시간의 조합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원 할당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패턴은,
    상기 통신 서비스 모드의 서비스 커버리지의 크기 순 혹은 크기의 역순으로 할당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원 할당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기준 시점은,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복수개의 시작 시점들을 가지는 기지국 각각 고정적으로 한 가지 시작점을 고유하게 할당 받으며, 인접 기지국은 서로 다른 자원 할당 기준 시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원 할당 방법
KR1020060112794A 2006-11-15 2006-11-15 통신시스템에서 자원할당 방법 KR20080044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794A KR20080044019A (ko) 2006-11-15 2006-11-15 통신시스템에서 자원할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794A KR20080044019A (ko) 2006-11-15 2006-11-15 통신시스템에서 자원할당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019A true KR20080044019A (ko) 2008-05-20

Family

ID=3966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794A KR20080044019A (ko) 2006-11-15 2006-11-15 통신시스템에서 자원할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40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65494A1 (en) * 2012-02-29 2016-09-07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65494A1 (en) * 2012-02-29 2016-09-07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7450B2 (ja) 動的なスペクトラムアクセス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スペクトラム管理
KR100975698B1 (ko) 셀룰러 통신을 위한 중계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8326309B2 (en) Resource allocation in co-existence mode
JP5384668B2 (ja) マルチチャネル動的周波数選択
US20060126546A1 (en) Enhanced hybrid duplexing technology-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390406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資源使用システム及び方法
US7835325B2 (en) Connection initiation in wireless networks including load balancing
US84576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resource exchange in cognitive radio (CR) based communication system
JP2011120298A (ja) 無線通信局
EP23839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femtocell and a macro base station
KR20000075950A (ko) 중계국으로서 작용하는 이동국을 갖춘 셀룰러 통신시스템
JP2011502395A (ja) 分散型アンテナシステム
KR10096567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
JP2010541300A (ja) セルのセットを含むセルラ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無線周波数スペクトルから帯域幅を割り当てる方法
US20090069020A1 (en) Dynamic On-Off Spectrum Access Scheme to Enhance Spectrum Efficiency
Gonzalez et al. Radio access considerations for data offloading with multipath TCP in cellular/WiFi networks
WO2000072617A1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ith variable channel loading
AU2002302024B2 (en) Microcell Deployment Strategies in WCDMA Networks
Jordan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networks
Al-Zubi et al. Coexistence problem in IEEE 802.22 wireless regional area networks
KR20080044019A (ko) 통신시스템에서 자원할당 방법
Al-Zubi et al. RSP-WRAN: Resource sharing protocol for inter/intra WRAN communications
JP2004343309A (ja) 無線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装置の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
Mueck et al. ETSI RRS—The standardization path to next generation cognitive radio systems
Ahaneku et al. Frequency re-use and the implications of limited network resource in cellular mobil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