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3684A - Electric blower and electric clean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ic blower and electric clean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3684A
KR20080043684A KR1020070066813A KR20070066813A KR20080043684A KR 20080043684 A KR20080043684 A KR 20080043684A KR 1020070066813 A KR1020070066813 A KR 1020070066813A KR 20070066813 A KR20070066813 A KR 20070066813A KR 20080043684 A KR20080043684 A KR 20080043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inlet
flow path
outlet
electric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8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87250B1 (en
Inventor
히로유키 가야마
가즈시게 나카무라
시즈카 요코테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3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6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2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 for cooling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06Cooling the driv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70Shape

Abstract

An electric blower is provided to improve blow efficiency from an inlet to an outlet, and to increase the area of passage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n electric blower comprises an impeller(1), an inducer(8), an air guide(11), a casing(13) and an electric motor(14). The impeller has a front shroud(2), a rear shroud(3), and a plurality of blades(4) provid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shrouds. The inducer has a hub(6) disposed in an inlet(5) of the impeller. The air guide is provided around an outer periphery of the impeller. The casing encloses the impeller and the air guide and has an intake opening(12) at the center. The electric motor rotates the impeller, wherein the area of a passage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of a passage from the inlet to an outlet(25) of the impeller that is defined by the front shroud, the rear shroud and the hub of the inducer, is monotonically increased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Description

전기송풍기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 청소기{ELECTRIC BLOWER AND ELECTRIC CLEANER USING THE SAME}ELECTRIC BLOWER AND ELECTRIC CLEANER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전동송풍기의 반단면도1 is a half sectional view of an electric blow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동 전동송풍기의 임펠러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내는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impeller of the electric blower cut out

도 3은 동 전동송풍기의 임펠러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peller of the electric electric blower.

도 4a는 동 전동송풍기의 임펠러의 유로 중심 곡선상에 있어서의 입구로부터의 거리와 유로 중심 곡선에 수직인 유로단면적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b는 동 임펠러의 유로 중심 곡선상의 입구로부터의 거리와 유로 중심 곡선에 평행한 유속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4A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inlet on the flow path center curve of the impeller of the same electric blower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perpendicular to the flow path center curve, and FIG. 4B is the distance from the inlet on the flow path center curve of the impeller.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of flow velocity parallel to the flow center curve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전동송풍기의 임펠러의 유로 중심 곡선상에 있어서의 입구로부터의 거리와 유로 중심 곡선에 수직인 유로단면적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b는 동 임펠러의 유로 중심 곡선상의 입구로부터의 거리와 유로 중심 곡선에 평행한 유속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Fig. 5A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inlet on the flow path center curve of the impeller of the electric blowe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low path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path center curve, and Fig. 5B is the flow path of the impeller.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inlet on the center curve and the flow velocity parallel to the channel center curve

도 6a는 다른 임펠러의 유로 중심 곡선상에 있어서의 입구로부터의 거리와 유로 중심 곡선에 수직인 유로 단면적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b는 동 임펠러의 유로 중심 곡선상의 입구로부터의 거리와 유로 중심 곡선에 평행한 유속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6A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inlet on the flow path center curve of another impeller and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perpendicular to the flow path center curve, and FIG. 6B is the distance from the inlet on the flow path center curve of the impeller and the flow path center curve.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of flow velocity parallel to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전동송풍기의 임펠러의 단면도, 도 7b는 동 임펠러의 유로 중심 곡선상의 입구로부터의 거리와 유로 중심 곡선에 수직인 유로 단면적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peller of the electric blow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inlet on the flow path center curve of the impeller and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perpendicular to the flow path center curve.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전동송풍기의 임펠러형상을 나타내는 분해단면도, 도 8b는 동 임펠러의 유로 중심 곡선상의 입구로부터의 거리와 유로 중심 곡선에 수직인 유로단면적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Fig. 8A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mpeller shape of the electric blow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inlet on the flow path center curve of the impeller and the flow path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path center curv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전기 청소기의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종래의 전동송풍기에 있어서의 임펠러의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mpeller in a conventional electric blower.

도 11a는 동 임펠러 직경과 유로 원통 단면적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b는 동 임펠러 직경과 직경방향유속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Fig. 11A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pper impeller diameter and the passage cylinder cross-sectional area, and Fig. 11B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pper impeller diameter and the radial flow velocity.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임펠러 2: 전면 슈라우드1: impeller 2: front shroud

3: 후면 슈라우드 4: 블레이드3: rear shroud 4: blade

5: 입구 6: 허브5: inlet 6: hub

7: 입구안내날개 8: 인듀서7: Entrance guide wing 8: Inducer

9: 정익 10: 기판9: stator 10: substrate

11: 에어가이드 12: 흡기구멍11: air guide 12: intake hole

13: 케이스 14: 전동기13: case 14: electric motor

16: 회전축 25: 출구16: rotating shaft 25: outlet

26: 허브종단부 27: 곡선변화부26: hub end 27: curve change portion

28: 평행부 30: 전동송풍기 28: parallel part 30: electric blower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9669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6-9669

본 발명은 임펠러 송풍 효율 향상을 도모한 전동송풍기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blower aimed at improving the impeller blowing efficiency and an electric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종래, 이러한 종류의 임펠러 송풍 효율 향상을 도모한 전동송풍기는 이미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Conventionally, the electric blower which aimed at improving this kind of impeller blowing efficiency is already propos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이것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펠러(40)가, 전면 슈라우드(41), 후면 슈라우드(42) 및 양 슈라우드간의 복수개의 블레이드(4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 슈라우드(41)의 형상은 전면 슈라우드(41)에서 후면 슈라우드(기판)(42)까지의 거리가 중심에서 외주로 갈수록 짧아지도록)(a > b > c > d) 전면 슈라우드(41)를 경사시키고, 또한 전면 슈라우드(41)의 직경방향의 단면형상을 곡선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펠러(40)의 내경에서 외경에 걸쳐(유로입구에서 유로출구에 걸쳐) 직경방향에 있어서의 유로의 원통 단면적이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로입구로부터 유로출구에 걸쳐 직경방향의 유속의 변화가 직선형상으로 감소하는 것이다. 10, the impeller 40 is comprised by the front shroud 41, the back shroud 42, and the some blade 43 between both shrouds. And, the shape of the front shroud 41 is such that the distance from the front shroud 41 to the rear shroud (substrate) 42 becomes shorter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periphery) (a> b> c> d) front shroud 41 Is inclined,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ront shroud 41 in the radial direction is curved. Thereby, as shown in FIG. 11A, the cylindr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in a radial direction increases linearly from the inner diameter to the outer diameter (from the flow path inlet to the flow path outlet) of the impeller 40, and is shown in FIG. 11B. Similarly, the change in the flow velocity in the radial direction decreases linearly from the flow path inlet to the flow path outlet.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흡인한 기류가 회전축방향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임펠러(40)의 입구부에서는 전면 슈라우드가 개구되어 있고, 전면 슈라우드(41)와 후면 슈라우드(42)의 거리변화와 전면 슈라우드(41)의 곡선형상만으로는 임펠러 외경에서 입구까지 초래되는 직선형상의 관계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임펠러 송풍 효율 향상을 도모하는 유로 단면적을 구성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the front shroud is opened at the inlet portion of the impeller 40 in which the airflow sucked is bent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rotation axis direc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shroud 41 and the rear shroud 42 and the front face are changed. Since only the curved shape of the shroud 41 cannot obtain the linear relationship resulting from the impeller outer diameter to the inlet, there is a problem that a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for achieving sufficient impeller blowing efficiency can not be formed.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입구부에서 출구부에 걸쳐 충분한 임펠러 송풍 효율 향상을 도모한 전동송풍기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blower capable of sufficiently improving the impeller blowing efficiency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nd an electric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동송풍기는 임펠러에 허브를 갖는 인듀서를 마련하고, 전면 슈라우드와 후면 슈라우드 및 인듀서의 허브로부터 형성되는 입구에서 출구까지의 유로에 대해 직교하는 유로단면에 있어서, 이 유로단면의 면적을 상기 입구에서 출구에 걸쳐 단조 증가시킨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electric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ductor having a hub in the impeller, the flow path perpendicular to the flow path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formed from the front shroud and the rear shroud and the hub of the inducer In the cross section, the area of the flow path cross section is monotonically increased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이것에 의해서, 임펠러 내부의 유량에 기인하는 유속이 입구에서 출구까지의 전체 유로영역에 걸쳐 서서히 감속해 가고, 가속이나 급감속을 반복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송풍효율의 향상이 도모되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flow velocity due to the flow rate inside the impeller gradually decelerates over the entire flow path region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nd does not repeat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so that sufficient blow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이 전동송풍기를 이용한 전기 청소기는 흡인성능이 높고, 쾌적한 청소를 할 수 있는 것이다. Moreover, the vacuum cleaner using this electric blower has a high suction performance and can perform a comfortable cleaning.

제 1 발명은 전면 슈라우드, 후면 슈라우드 및 양 슈라우드간의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입구 내부에 배치한 허브를 가진 인듀서와, 상기 임펠러의 외주에 위치한 에어가이드와, 상기 에어가이드와 함께 임펠러를 내포하고 중앙에 흡기구멍을 가진 케이스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전동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슈라우드와 상기 후면 슈라우드 및 상기 인듀서의 허브로부터 형성되는 입구에서 출구까지의 유로중심에 대해 직교하는 유로단면에 있어서, 이 유로단면의 면적을 상기 입구에서 출구에 걸쳐 단조 증가시킨 전동송풍기로 하는 것에 의해, 임펠러 내부의 유량에 기인하는 유속이 입구에서 출구까지의 전체 유로영역에 거쳐 서서히 감속해 가고, 가속이나 급감속을 반복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송풍효율의 향상이 도모되는 것이다. A first invention includes an impeller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between a front shroud, a rear shroud and both shrouds, an inducer having a hub disposed inside the inlet of the impeller, an air guide locat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impeller, and the air guide And a case having an impeller and having an intake hole at the center thereof, and an electric motor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impeller, with respect to a flow center from an inlet to an outlet formed from the front shroud and the rear shroud and the hub of the inducer. In the orthogonal flow path cross section, the flow rate caused by the flow rate inside the impeller is gradually decelerated over the entire flow path area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by setting the area of the flow path cross section to the electric blower monotonically increasing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Because we do not repeat acceleration and sudden deceleration, Improvement is planned.

제 2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에 있어서, 유로단면적의 단조 증가는 대략 직선형상인 것에 의해, 임펠러 내부의 유량에 기인하는 성분의 유속이 회전축 단면의 흐름 방향에 대해 일정한 비율로 감속해 가는 것에 의해 급감속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다. 2nd invention especially in 1st invention WHEREIN: Forging increase of a flow path cross section is substantially linear shape, and the flow velocity of the component resulting from the flow volume inside an impeller is decelerated by a fixed ratio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a rotating shaft cross section. It does not cause a sudden deceleration.

제 3 발명은 특히,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유로단면적의 단조 증가는 임펠러의 입구로부터 허브 종단부와, 허브 종단부로부터 출구에서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입구에서 허브 종단부까지와, 허브 종단부에서 출구까지를 분리하여 설계할 수 있어, 입구측에서는 흡인된 흐름이 회전축방향에서 직경방향으로 변경될 때에 생기는 흐름의 박리에 의한 소용돌이, 또는 2차흐름 등에 의한 손실을 저감하는 유로단면적의 단조 증가를 구성하고, 또한 출구측에서는 직경방향으로 배출할 때까지 생기는 흐름의 박리에 의한 소용돌이, 또는 임펠러 표면과 공기와의 회전마찰(원판 회전 마찰 손실)등에 의한 손실을 저감하는 유로 단면적의 단조 증가를 구성하여, 송풍 효율의 향상이 도모되는 것이다. The third invention, in particular, in the first or second invention, the monotonous increase in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is different from the inlet to the hub end and from the hub end to the outlet by varying the forging end from the inlet to the hub end, Forging can be designed by separating from the end to the outlet, and forging of the flow path area to reduce the loss due to the vortex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flow or the secondary flow caused when the suctioned flow is changed from the rotation axis direction to the radial direction. On the outlet side, the forging increas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to reduce the loss due to the vortex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flow that occurs until discharge in the radial direction or the rotational friction between the impeller surface and the air (the loss of the disk rotation frictio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lowing efficiency.

제 4 발명은 특히, 제 3 발명에 있어서, 임펠러의 입구에서 허브 종단부까지의 유로단면적의 단조 증가가, 허브 종단부에서 출구까지의 유로단면적의 단조 증가에 비해 변화율이 큰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흡인된 흐름이 회전축방향에서 직경방향으로 변경될 때에 생기는 흐름의 박리에 의한 소용돌이, 또는 2차흐름의 영향으로 실제로 공기가 흐르는 면적이 작게되는 경우를 보정하여, 실제로 공기가 흐르는 유로단면적의 단조 증가를 대략 직선형상에 근접시킬 수 있어, 임펠러 내부의 유량에 기인하는 성분의 유속이, 회전축 단면의 흐름 방향에 대해 일정한 비율로 감속해 감으로써 급감속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다. In the fourth invention, in particular, in the third invention, the forging increase in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inlet to the hub end of the impeller is such that the change rate is larger than the forging increase in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hub to the outlet. By correcting the case where the area where air flows actually decreases due to the vortex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flow generated when the flow drawn in is changed from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to the radial direction or the secondary flow, the forging of the flow path area actually flows. The increase can be approximated to a straight line, and the flow velocity of the component due to the flow rate inside the impeller decelerates at a constant rate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rotating shaft, thereby not causing rapid deceleration.

제 5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에 있어서, 유로 단면적의 단조 증가는 임펠러의 입구에서 허브 종단부와, 허브 종단부에서 출구에서 다르고, 또한 각각이 대략 직선형상이며, 또한 허브 종단부 근방에는 입구측과 출구측의 유로단면적의 단조 증가를 접속하는 곡선 변화부를 갖게 함으로써, 임펠러의 입구부에서 허브 종단부, 그리고 허브 종단부에서 출구로 원활하게 유로단면적을 변화시키고, 즉 유량에 기 인하는 성분의 유속을 원활하게 감속시킬 수 있다. In the fifth invention, in particular, in the first invention, the monotonous increas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is different at the hub end at the inlet of the impeller and at the outlet at the hub end, and each is substantially straight, and the inlet is near the hub end. By providing a curved change portion that connects the forging increase in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n the side and the outlet side,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is smoothly changed from the inlet to the hub end and the hub end to the outlet, i.e., the component due to the flow rate. Can smoothly reduce the flow rate.

제 6 발명은 특히, 제 1 내지 제 5 중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임펠러는 전면 슈라우드 및 허브의 입구부에 회전축방향과 평행한 평행부를 각각 갖게 함으로써, 임펠러 입구에서 회전축방향으로 흡인시키고, 모든 회전축방향의 흐름을 직경방향의 흐름으로 원활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sixth invention, in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aspects, the impeller has the front shroud and the inlet portion of the hub, respectively,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 axis direction so as to be sucked in the rotation shaft direction at the impeller inlet. The flow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can be smoothly changed into the flow in the radial direction.

제 7 발명은 특히, 제 1 내지 제6 중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인듀서를 수지제로 하고, 전면 슈라우드, 후면 슈라우드 및 블레이드를 판금제로 한 것에 의해, 제조방법이 다른 임펠러 입구측인 인듀서부의 유로와, 출구측인 판금부의 유로(전면 슈라우드와 후면 슈라우드 사이에 배치된 유로)를 개별적으로 제작할 수 있어, 간이하게 임펠러를 구성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seven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ducer is made of resin, and the front shroud, the rear shroud, and the blade are made of sheet metal. The negative flow path and the flow path of the sheet metal part on the outlet side (the flow path disposed between the front shroud and the rear shroud) can be produced separately, so that the impeller can be easily configured.

제 8 발명은 특히, 제1 내지 제7 중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의 전동송풍기를 갖는 전기 청소기로 하는 것에 의해, 흡인성능이 높고, 쾌적한 청소를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eighth invention is a vacuum cleaner having the electric blow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seventh inventions, and thus the suction performance is high and the cleaning can be performed comfortably.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embodiment.

(실시형태 1)(Embodiment 1)

도 1∼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전동송풍기를 나타내고 있다. 1-4B show the electric blower i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동송풍기는 전면 슈라우드(2), 후면 슈라우드(3) 및 양 슈라우드(2, 3)간의 복수개의 블레이 드(4)를 갖는 임펠러(1)와, 임펠러(1)의 입구(5) 내부에 배치한 원추형상이고 산형의 허브(6) 및 3차원적 곡면을 갖고 블레이드(4)에 접속된 입구안내날개(7)를 갖는 인듀서(8)와, 임펠러(1)의 외주에 위치한 복수개의 정익(靜翼; stator blade)(9) 및 그 기판(10)을 갖는 에어가이드(11)와, 에어가이드(11)와 함께 임펠러(1)를 내포하고 중앙에 입구(5)와 대향하는 흡기구멍(12)을 가진 케이스(13)와, 임펠러(1)를 회전구동시키는 전동기(14)를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electric blower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impeller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4 between the front shroud 2, the rear shroud 3, and both shrouds 2, 3 ( 1) and an inducer having a cone-shaped hub 6 arranged inside the inlet 5 of the impeller 1 and an inlet guide blade 7 having a three-dimensional curved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blade 4 ( 8), an air guide 11 having a plurality of stator blades 9 and a substrate 10 position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impeller 1, and an impeller 1 together with the air guide 11; ) And a case 13 having an intake hole 12 facing the inlet 5 at the center thereof, and an electric motor 14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impeller 1.

그리고, 임펠러(1)의 전면 슈라우드(2)와 후면 슈라우드(3) 및 인듀서(8)의 허브(6)로부터 초래되는 입구(5)에서 출구(25)까지의 유로에 대해 직교하는 유로단면에 있어서, 이 유로단면의 면적을 좁게 하는 일 없이 연속적으로 확대시킨 구성, 소위 광의의 의미에서의 단조 증가 구성으로 하고 있다. And a flow path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path from the inlet 5 to the outlet 25 resulting from the front shroud 2 and the rear shroud 3 of the impeller 1 and the hub 6 of the inducer 8. WHEREIN: It is set as the structure which expanded continuously, without narrowing the area of this flow path cross section, and forging increasing structure in the so-called wide meaning.

또한, 임펠러(1)를 구성하는 전면 슈라우드(2), 후면 슈라우드(3) 및 복수개의 블레이드(4)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두 판금제이며, 이들 3개의 부품은 코킹 가공 등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또한, 인듀서(8)는 수지제이며, 판금제의 3개의 부품(전면 슈라우드(2), 후면 슈라우드(3), 블레이드(4))을 체결할 때에 내부에 삽입되어 함께 죄어져 있다. 인듀서(8)는 그 허브 종단부(26)에서 임펠러(1)와 접속되고, 입구안내날개(7)가 각 블레이드(4)에 접속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shroud 2, the back shroud 3, and the some blade 4 which comprise the impeller 1 are all made of sheet metal in this embodiment, and these three components are fastened by caulking etc. In addition, the inducer 8 is made of resin, and is inserted inside and fastened together when fastening three parts made of sheet metal (front shroud 2, rear shroud 3, and blade 4). The inducer 8 is connected to the impeller 1 at its hub end 26, and the inlet guide blade 7 is connected to each blade 4.

또한, 임펠러(1)는 후면 슈라우드(3) 및 허브(6)내의 축삽입부(15)가 전동기(14)의 회전축(16)에 와셔(washer)(17)을 거쳐서 너트(18)로 고착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impeller 1 has a shaft insert 15 in the rear shroud 3 and the hub 6 fixed to the rotation shaft 16 of the electric motor 14 with a nut 18 via a washer 17. It is.

이 임펠러(1)에 있어서, 전면 슈라우드(2)와 후면 슈라우드(3) 및 인듀서(8)의 허브(6)로부터 초래되는 입구(5)에서 출구(25)까지의 유로의 회전축(16) 방향의 단면형상(자오면(子午面) 형상)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In this impeller 1, the axis of rotation 16 of the flow path from the inlet 5 to the outlet 25 resulting from the front shroud 2 and the rear shroud 3 and the hub 6 of the inducer 8. The cross-sectional shape in the direction (magnetism surface shape)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3.

즉, 전면 슈라우드(2)의 회전축(16) 방향의 단면을 취했을 때의 유로측의 전면측 곡선(19)과, 마찬가지로 허브(6)와 이 허브(6)로부터 연속된 후면 슈라우드(3)로 이루어지는 유로측의 후면측 곡선(20) 사이에 배치하고, 이들 2개의 곡선(전면측 곡선(19), 후면측 곡선(20)) 사이의 대략 중앙을 지나는 유로 중심 곡선(21)에 수직인 다수의 유로 단면 정의(定義) 직선(22)을 구하고, 이 유로 단면 정의 직선(22)을 통하여 회전축(16)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원환형상의 곡면을 각각의 개소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으로 한다. That is, as the front curve 19 on the flow path side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front shroud 2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16 is taken, the hub 6 and the rear shroud 3 continuous from the hub 6 are similarly formed. It arrange | positions between the back side curve 20 of the flow path side formed, and is many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flow path center curve 21 which passes through the substantially center between these two curves (front side curve 19 and back side curve 20). The flow path cross section defining straight line 22 is calculated | required, and the annular curved surface rotated about the rotating shaft 16 via this flow path cross section defining straight line 22 is made into the flow path cross section area in each location.

이 각각의 개소에 있어서의 유로단면적을 임펠러(1)의 유로중심곡선(21) 상의 입구(5)에서 출구(25)에 걸쳐 단조 증가시키고,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변화가 대략 직선형상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5)에서 출구(25)에 걸친 유속의 변화가 직선형상으로 감소하는 것이다.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at each of these locations is monotonically increased from the inlet 5 on the flow path center curve 21 of the impeller 1 to the outlet 25, and as shown in Fig. 4A, the change is substantially linear. To be Thereby, as shown in FIG. 4B, the change of the flow velocity from the inlet 5 to the outlet 25 reduces linearly.

또, 유로 중심 곡선(21)은 전면측 곡선(19)과 후면측 곡선(20)을 각각 동일수만큼 등분할하고, 각각 대응하는 분할점(23)을 연결하며, 이 연결된 분할선(24)의 중간점을 지나는 곡선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low path center curve 21 divides the front curve 19 and the back curve 20 by the same number, connects the corresponding split points 23, respectively, and the connected split lines 24 are connected. The curve passes through the midpoint of.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동송풍기에 대해, 이하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and action of the electric blow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 도 2에 있어서, 전동기(14)에 접속된 임펠러(1)가 고속 회전하고(화살표 A), 케이스(13)의 흡기구멍(12)으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며(화살표 B), 계속해서 임펠러(1)의 입구(5)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고, 이 공기류는 전면 슈라우드(2), 허브(6), 그리고 2개의 입구안내날개(7)로 둘러싸이는 내부 유로에서 회전축(16) 방향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구부러지고(화살표 C), 계속되는 전면 슈라우드(2), 후면 슈라우드(3), 그리고 2개의 블레이드(4)로 둘러싸이는 내부유로를 통과하며(화살표 D), 임펠러(1) 외주부로부터 배출된다. 1 and 2, the impeller 1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14 rotates at a high speed (arrow A), sucks air from the intake hole 12 of the case 13 (arrow B), and then Air is drawn in from the inlet 5 of the impeller 1, which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16 in the inner flow passage surrounded by the front shroud 2, the hub 6, and the two inlet guide wings 7.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impeller (1), bending radially from (arrow C), passing through the inner channel surrounded by a continuous front shroud (2), rear shroud (3), and two blades (arrow D). Discharged.

임펠러(1)로부터 배출된 공기류는 에어가이드(11)의 정익(9) 사이를 통과하고, 케이스(13)의 외주벽에 충돌한 후(화살표 E), 또한 에어가이드(11)의 이면(화살표 F), 계속해서 전동기(14)의 내부를 냉각하면서 통과하고(화살표 G), 전동기(14)에 마련한 배기구멍으로부터 전동기(14) 바깥으로 배출된다(화살표 H). Th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impeller 1 passes between the stator blades 9 of the air guide 11 and collides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ase 13 (arrow E), and also the rear surface of the air guide 11 ( Arrow F) Then, while cooling the inside of the electric motor 14, it passes (arrow G), and is discharged | emitted out of the electric motor 14 from the exhaust hole provided in the electric motor 14 (arrow H).

그 때, 전면 슈라우드(2)와 후면 슈라우드(3) 및 인듀서(8)의 허브(6)로부터 초래되는 입구(5)에서 출구(25)까지의 유로에 대해 직교하는 유로단면에 있어서, 이 유로단면의 면적이 단조 증가인 것에 의해, 임펠러(1) 내부의 유량에 기인하는 성분(회전축(16) 단면 방향의 성분)의 유속이 입구(5)에서 출구(25)까지의 전체 유로영역에 걸쳐 연속해서 서서히 감속해 가고(도 4b), 급감속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다. At this time, in the flow path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flow path from the inlet 5 to the outlet 25 resulting from the front shroud 2 and the rear shroud 3 and the hub 6 of the inducer 8, As the area of the flow path cross section is monotonically increased, the flow velocity of the component (component in the cross-sec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6) due to the flow rate inside the impeller 1 is applied to the entire flow path region from the inlet 5 to the outlet 25. Slowly decelerate continuously over time (FIG. 4B), and it does not generate a sudden deceleration.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임펠러(1)의 전면 슈라우드(2)와 후면 슈라우드(3) 및 인듀서(8)의 허브(6)로부터 초래되는 입구(5)에서 출구(25)까지의 유로에 대해 직교하는 유로단면에 있어서, 이 유로단면의 면적을 단조 증가시킨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임펠러(1) 내부의 유량에 기인하는 성분(회전축(16) 단면 방향의 성분)의 유속이 입구(5)에서 출구(25)까지의 전체 유로영역에 걸쳐 서서히 감속해 가고, 급감속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송풍효율의 향상이 도모되 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from the inlet 5 to the outlet 25 resulting from the front shroud 2 and the rear shroud 3 of the impeller 1 and the hub 6 of the inducer 8. In the flow path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flow path, the flow rate of the component (component in the cross-sec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6) due to the flow rate inside the impeller 1 is formed by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area of the flow path cross section is monotonously increased. Slowly decelerating over the entire flow path region from (5) to the outlet 25 and no rapid deceleration is generated, so that sufficient blow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유로 단면적의 단조 증가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선형상인 것에 의해, 임펠러(1) 내부의 유량에 기인하는 성분(회전축(16) 단면 방향의 성분)의 유속이 회전축(16) 단면의 흐름 방향에 대해 일정한 비율로 감속해 감으로써 급감속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다. In addition, as forging increase of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is substantially linear, as shown in FIG. 4A, the flow velocity of the component (component of the rotating shaft 16 cross-sectional direction) resulting from the flow volume inside the impeller 1 is a cross s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6. As shown in FIG. By decelerating at a constant rate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rapid deceleration does not occur.

(실시형태 2)(Embodiment 2)

다음에, 도 5a, 도 5b, 도 6a, 도 6b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해 설명한다. 전동송풍기의 기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Next,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FIG. 5A, 5B, 6A, and 6B. Since the basic structure of an electric blower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1,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펠러(1)의 유로단면적 변화는 임펠러의 입구(5)로부터 허브 종단부(26)와, 허브 종단부(26)로부터 출구(25)에서 다른 것이다. 이것에 의해,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펠러(1)의 유로 중심 곡선(21)에 평행한 입구(5)에서 출구(25)에 걸친 유속이 변화하는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to FIG. 5A,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change of the impeller 1 differs in the hub end part 26 from the inlet part 5 of the impeller, and the outlet 25 from the hub end part 26. As shown to FIG. Thereby, as shown in FIG. 5B, the flow velocity from the inlet 5 parallel to the flow path center curve 21 of the impeller 1 to the outlet 25 changes.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구(5)로부터 허브 종단부(26)까지와, 허브 종단부(26)로부터 출구(25)까지를 분리하여 설계할 수 있으며, 입구(5)측에서는 흡인된 흐름이 회전축(16) 방향에서 직경방향으로 변할 때에 생기는 흐름의 박리에 의한 소용돌이, 또는 2차 흐름 등에 의한 손실을 저감하는 유로단면적의 단조 증가를 구성하고, 또한 출구(25)측에서는 직경방향으로 배출할 때까지 생기는 흐름의 박리에 의한 소용돌이, 또는 임펠러(1) 표면과 공기의 회전마찰(원판 회전 마찰 손실) 등에 의한 손실을 저감하는 유로 단면적의 단조 증가를 구성하여, 송풍효율의 향상이 도모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let 5 to the hub end 26 and the hub end 26 to the outlet 25 can be separated and designed, and the flow sucked from the inlet 5 side When forging increases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to reduce the loss caused by the vortex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flow generated when changing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16, the secondary flow or the like, and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let 25 side By forging an increas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to reduce the loss due to the vortex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flow generated up to, or the rotational friction of the surface of the impeller 1 and the air (rotational friction loss of the disc), etc., to improve the blowing efficiency.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임펠러(1)의 입구(5)에서 허브 종단부(26)까지의 유로 단면적의 단조 증가가, 허브 종단부(26)에서 출구(25)까지의 유로단면적의 단조 증가에 비해 변화율이 큰 구성으로 하고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forging of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inlet 5 of the impeller 1 to the hub end 26 is increased to the forging of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hub end 26 to the outlet 25. The change rate is large compared with the structure.

이것에 의해, 흡인된 흐름이 회전축(16) 방향에서 직경방향으로 변할 때에 생기는 흐름의 박리에 의한 소용돌이, 2차흐름의 영향으로 실제로 공기가 흐르는 면적이 작게되는 경우를 보정하여, 실제로 공기가 흐르는 유로 단면적의 단조 증가를 대략 직선형상에 가깝게 할 수 있어, 임펠러(1) 내부의 유량에 기인하는 성분(회전축(16) 단면 방향의 성분)의 유속이 회전축(16) 단면의 흐름 방향에 대해 일정한 비율로 감속해 감으로써 급감속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다. This corrects the case where the area where air actually flows becomes small due to the influence of vortices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flow that occurs when the sucked flow changes from the rotational axis 16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secondary flow, so that the air actually flows. The monotonous increase of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can be approximated to a straight line, and the flow velocity of the component (component in the cross-sec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6) due to the flow rate inside the impeller 1 is constant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6. Deceleration at a rate does not cause rapid deceleration.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펠러(1)의 유로 단면적의 단조 증가는 임펠러(1)의 입구(5)로부터 허브 종단부(26)의 상류측 부근(A1)과, 허브 종단부(26)의 하류측 부근(A2)로부터 출구(25)에서 다르고, 또한 각각이 대략 직선형상이며, 또한 허브 종단부(26)의 상류측 부근(A1)과 하류측 부근(A2) 사이에는 입구(5)측과 출구(25)측의 대략 직선형상인 유로 단면적의 단조 증가를 접속하는 곡선변화부(27)를 갖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to FIG. 6A and FIG. 6B, forging increas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of the impeller 1 is near the upstream side A1 of the hub terminal part 26 from the inlet 5 of the impeller 1. And at the outlet 25 from the downstream side A2 of the hub end portion 26, and each is substantially linear, and is also near the upstream side A1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hub end portion 26 ( Between A2), it has the curve change part 27 which connects the forging increase of the substantially linear flow path cross section area of the inlet 5 side and the outlet 25 side.

이것에 의해, 임펠러(1)의 입구(5)에서 허브 종단부(26), 그리고 허브 종단부(26)에서 출구(25)로 원활하게 유로 단면적을 단조 증가시키고, 즉 유량에 기인하는 성분(회전축(16) 단면 방향의 성분)의 유속을 원활하게 감속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is smoothly monotonously increased from the inlet 5 of the impeller 1 to the hub end 26 and from the hub end 26 to the outlet 25, i.e., a component due to the flow rate ( The flow velocity of the component in the cross-sec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6 can be smoothly reduced.

(실시형태 3) (Embodiment 3)

다음에, 도 7a 및 7b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동송풍기의 기본구성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Next,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FIG. 7A and 7B. Since the basic structure of an electric blower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1,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펠러(1)는 전면 슈라우드(2) 및 허브(6)의 입구(5) 단부 근방에 회전축(16) 방향과 대략 평행한 평행부(28)를 각각 갖고, 회전축(16)에 평행한 원환형상의 흡기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to FIG. 7A and FIG. 7B, the impeller 1 is the parallel part 28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16 in the vicinity of the edge part of the inlet 5 of the front shroud 2 and the hub 6. ) And each has an annular intake passage parallel to the rotating shaft 16.

이것에 의해, 임펠러(1) 입구로부터 회전축(16) 방향으로 흡인시킴으로써 흡인시의 흐트러짐을 저감하고, 그 후, 모든 회전축(16) 방향의 흐름을 직경방향의 흐름으로 원활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Thereby, the aberration at the time of aspiration can be reduced by suck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16 from the inlet of the impeller 1, and after that, the flow in all the rotation axis 16 directions can be smoothly changed into the flow of a radial direction.

(실시형태 4)(Embodiment 4)

다음에, 도 8a 및 8b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동송풍기의 기본구성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Next,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FIG. 8A and 8B. Since the basic structure of an electric blower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1,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8a는 인듀서를 나타내고 있고, 도 8b는 임펠러에 상기 인듀서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FIG. 8A shows the inducer, and FIG. 8B shows the state before the inducer is inserted into the impeller.

본 실시형태에서는 임펠러(1)를 구성하는 인듀서(8)를 수지제로 하고, 전면 슈라우드(2), 후면 슈라우드(3) 및 블레이드(4)를 판금제로 한 것에 의해, 허브 종단부(26)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을 회전축(16) 방향과 평행한 단면으로부터 얻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후면 슈라우드(3)가 회전축(16)과 수직인 관계에 있는 경우, 허브 종단부(26)에서의 유로 단면 정의 직선(22)(입구안내날개(7), 블레이드(4)의 경계)은 후면 슈라우드(3)에 대해 수직인 구성으로 하고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ductor 8 constituting the impeller 1 is made of resin, and the front end shroud 2, the back shroud 3, and the blade 4 are made of sheet metal, so that the hub end portion 26 is formed.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in the cross section is obtained from a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16 direction. That is, when the rear shroud 3 is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16, the flow path cross section defining straight line 22 at the hub end portion 26 (boundary guide blade 7 and the boundary of the blade 4). Has a configuration perpendicular to the rear shroud (3).

이것에 의해, 재질 및 제조방법이 다른 임펠러(1)의 입구(5)측인 인듀서(8)부의 유로와 출구(25)측인 판금부의 유로(전면 슈라우드(2)와 후면 슈라우드(3) 사이에 배치된 유로)를 개별적으로 제작할 수 있어, 간이하게 임펠러(1)를 구성할 수 있다. Thereby, between the flow path of the inducer 8 part on the inlet 5 side of the impeller 1 and the flow path of the sheet metal part on the outlet 25 side (between the front shroud 2 and the rear shroud 3). Arranged flow path) can be manufactured individually, and the impeller 1 can be comprised easily.

(실시형태 5)(Embodiment 5)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고 있다. 9 shows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29)내에 전동송풍기(30)를 갖고, 흡인노즐(31)로부터 공기류와 함께 진애를 흡인하며, 집진실(32)에 진애를 축적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it has the electric blower 30 in the cleaning main body 29, draws a dust together with airflow from the suction nozzle 31, and accumulates the dust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32. As shown in FIG.

여기서, 전동송풍기(30)로서 각 실시형태 1∼4에서 나타낸 어느 하나의 전동송풍기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흡인성능을 높일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소비에너지를 억제한 전기 청소기를 실현할 수 있다. Here, by using any one of the electric blowers shown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s the electric blower 30, the suc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further, an electric vacuum cleaner with reduced energy consumption can be realized.

(산업상의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전동송풍기는 충분한 송풍효율의 향상이 도모되는 것이므로, 전기 청소기로서는 물론, 다른 가정용 전화기기(電化機器), 산업기기 등의 용도에도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동송풍기는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압축기, 터빈, 액체용 펌프에도 적용가능하다.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electric blow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imed at the improvement of sufficient blowing efficiency, it can be applied widely not only as an electric vacuum cleaner but also uses for other home telephone apparatuses, industrial equipment, etc. Electric blowers are also applicable to compressors, turbines, and liquid pumps in the same respect.

본 발명의 전동송풍기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 청소기는 충분한 송풍효율의 향상이 도모되는 것이다. The electric blower and the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sufficiently improve the blowing efficiency.

Claims (8)

전면 슈라우드, 후면 슈라우드 및 양 슈라우드간의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입구 내부에 배치한 허브를 가진 인듀서와, 상기 임펠러의 외주에 위치한 에어가이드와, 상기 에어가이드와 함께 임펠러를 내포하고 중앙에 흡기구멍을 가진 케이스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전동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슈라우드와 상기 후면 슈라우드 및 상기 인듀서의 허브로부터 형성되는 입구에서 출구까지의 유로중심에 대해 직교하는 유로단면에 있어서, 이 유로단면의 면적을 상기 입구로부터 출구에 걸쳐서 단조 증가시킨 전동송풍기. An impeller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between the front shroud, the rear shroud and both shrouds, an inducer having a hub disposed inside the inlet of the impeller, an air guide locat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impeller, and an impeller together with the air guide. And a case having an intake hole in the center, and an electric motor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impeller, and a flow path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center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formed from the front shroud and the rear shroud and the hub of the inducer. The electric blow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ea of the flow path cross section is monotonically increased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유로단면적의 단조 증가는 대략 직선형상인 전동송풍기. The forged increas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ssage is an electric blower of approximately linear shap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유로단면적의 단조 증가는 임펠러의 입구로부터 허브 종단부와, 허브 종단부로부터 출구에서 다른 전동송풍기. The forging increase in the flow cross section is different from the inlet of the impeller to the hub end and from the outlet to the outlet of the other electric blow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임펠러의 입구로부터 허브 종단부까지의 유로단면적의 단조 증가가, 허브 종단부로부터 출구까지의 유로단면적의 단조 증가에 비해 변화율이 큰 구성으로 한 전동송풍기.An electric blower in which the increase in forging of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inlet to the hub end of the impeller is larger in change rate than the increase in forging of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hub to the outl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유로단면적의 단조 증가는 임펠러의 입구로부터 허브종단부와, 허브종단부로부터 출구에서 다르고, 또한 각각이 대략 직선형상이며, 또한 허브 종단부 근방에는 입구측과 출구측의 유로단면적의 단조 증가를 접속하는 곡선 변화부를 갖는 전동송풍기. The monotonous increase in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is different at the hub end from the inlet of the impeller and at the outlet from the hub end, and each is approximately linear, and the forging increase in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at the inlet and outlet sides is connected near the hub end. An electric blower having a curved change section to mak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임펠러는 전면 슈라우드 및 허브의 입구부에 회전축방향과 평행한 평행부를 각각 갖는 전동송풍기.An impeller is an electric blower having a parallel por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at the inlet of the front shroud and the hub.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인듀서를 수지제로 하고, 전면 슈라우드, 후면 슈라우드 및 블레이드를 판금제로 한 전동송풍기.Electric blower with resin made of inducer and sheet metal with front shroud, rear shroud and blade.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동송풍기를 갖는 전기 청소기.A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the electric blow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KR1020070066813A 2006-11-14 2007-07-04 Electric blower and electric cleaner using the same KR10128725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07424 2006-11-14
JP2006307424A JP4867596B2 (en) 2006-11-14 2006-11-14 Electric blowe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684A true KR20080043684A (en) 2008-05-19
KR101287250B1 KR101287250B1 (en) 2013-07-17

Family

ID=3859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813A KR101287250B1 (en) 2006-11-14 2007-07-04 Electric blower and electric cleane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923572B1 (en)
JP (1) JP4867596B2 (en)
KR (1) KR101287250B1 (en)
CN (2) CN201037473Y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6694A (en) * 2009-01-30 2010-09-09 Sanyo Electric Co Ltd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ing device
JP5107306B2 (en) * 2009-06-10 2012-12-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impeller of centrifugal rotating machine and impeller of centrifugal rotating machine
JP5520550B2 (en) * 2009-09-09 2014-06-1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Electric blower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JP5796165B2 (en) * 2010-02-17 2015-10-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Impeller, electric blower using the impelle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using the electric blower
CN104279182B (en) * 2014-06-12 2018-01-30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A kind of blade wheel structure
CN104279185B (en) * 2014-06-12 2018-01-30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A kind of impeller
CN104279188B (en) * 2014-10-29 2017-08-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Centrifugal fan and the air conditioner with it
JPWO2017141758A1 (en) * 2016-02-15 2018-10-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Electric blower
CN109154305B (en) * 2016-05-25 2020-06-23 三菱电机株式会社 Electric blower, electric vacuum cleaner, and hand dryer
JP6765278B2 (en) * 2016-10-19 2020-10-07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Electric blower and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it
CN111173762B (en) * 2020-01-07 2021-06-25 李红 Domestic multifunctional ceiling fa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58147C (en) * 1955-05-01 1957-02-14 Siemens Ag Paddle wheel for blowers, especially for vacuum cleaners
GB8611643D0 (en) * 1986-05-13 1986-06-18 Sauter R J Centrifugal impellers
JPH0460196A (en) * 1990-06-29 1992-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tor-driven blower
JP3617095B2 (en) * 1995-01-18 2005-0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Electric blower
JP2001032792A (en) * 1999-07-21 2001-0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blower, and vacuum cleaner
JP2006009669A (en) * 2004-06-24 2006-01-12 Nidec Shibaura Corp Centrifugal blower
JP4556884B2 (en) * 2006-03-01 2010-10-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Electric bl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82851A (en) 2008-05-21
JP2008121589A (en) 2008-05-29
JP4867596B2 (en) 2012-02-01
CN100516546C (en) 2009-07-22
CN201037473Y (en) 2008-03-19
EP1923572A3 (en) 2010-10-20
KR101287250B1 (en) 2013-07-17
EP1923572A2 (en) 2008-05-21
EP1923572B1 (en)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250B1 (en) Electric blower and electric cleaner using the same
JP2008121589A5 (en)
US7553122B2 (en) Self-aspirated flow control system for centrifugal compressors
US8287236B2 (en) Multistage centrifugal compressor
JP2003284657A (en) Blower electric motor assembly
WO2008075467A1 (en) Cascade of axial compressor
EP0602007A2 (en) Vacuum cleaner having an impeller and diffuser
KR100421382B1 (en) Turbo fan
JP3677214B2 (en) Axial fan
EP1618821B1 (en) Centrifugal fan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centrifugal fan
CN111503019A (en) Centrifugal blower
JP2009041373A (en) Turbo compressor
JP3578692B2 (en) Turbo compressor
US11326619B2 (en) Diffuser for a radial compressor
JP4980415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WO2020092311A1 (en) Arrangement of centrifugal impeller of a fan for reducing noise
JP2007198205A (en) Turbomolecular pump
JP7022638B2 (en) Electric blower and vacuum cleaner using it
CN113708561A (en) Brushless motor and impeller thereof
KR100700541B1 (en) Guide vane for the fan-motor of a vacuum cleaner
KR100459191B1 (en) turbo fan
KR20060089870A (en) Turbo fan
US20230407876A1 (en) Fan
EP3315786A1 (en) Turbofan and air conditioner in which same is used
WO2022085332A1 (en) Bl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