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3590A - Mobile camera apparatus with variable flash - Google Patents

Mobile camera apparatus with variable fla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3590A
KR20080043590A KR1020060112325A KR20060112325A KR20080043590A KR 20080043590 A KR20080043590 A KR 20080043590A KR 1020060112325 A KR1020060112325 A KR 1020060112325A KR 20060112325 A KR20060112325 A KR 20060112325A KR 20080043590 A KR20080043590 A KR 20080043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pwm
signal
agc
imag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3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56291B1 (en
Inventor
전해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291B1/en
Publication of KR20080043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5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2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Abstract

A mobile camera apparatus equipped with a variable flash is provided to secure proper flash light quantity in indoor environment and to acquire photographs with uniform brightness in general environment. A mobile camera apparatus comprises an image sensor unit(100), a flash control unit(200), a PWM/electric current converting unit(300) and a variable flash(400). The image sensor unit generates an AGC signal(Vagc) for controlling the size of an image signal automatically. The flash control unit converts the AGC signal of the image sensor unit into a PWM signal. The PWM/electric current converting unit converts the PWM signal of the flash control unit into driving current. The flash generates ligh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riving current from the PWM/electric current converting unit.

Description

가변 플래쉬를 갖는 휴대 카메라 장치{MOBILE CAMERA APPARATUS WITH VARIABLE FLASH}Mobile camera device with variable flash {MOBILE CAMERA APPARATUS WITH VARIABLE FLASH}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 카메라 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휴대 카메라 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FIG. 2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portable camera device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카메라 장치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휴대 카메라 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4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portable camera device of FIG. 3.

도 5는 도 3의 AGC 신호(Vagc)와 PWM 신호의 펄스폭 상관 그래프. 5 is a pulse width correlation graph of the AGC signal Vagc and the PWM signal of FIG. 3.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이미지 센서부 110 : 카메라 이미지 센서100: image sensor unit 110: camera image sensor

120 : 이미지 센싱 프로세서 200 : 플래쉬 제어부120: image sensing processor 200: flash control unit

300 : PWM/전류 변환부 400 : 플래쉬300: PWM / current converter 400: flash

Vagc : AGC 신호Vagc: AGC Signal

본 발명은 휴대폰 등에 적용되는 휴대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자동 이득 제어 신호(Vagc)를 이용하여 PWM 방식으로 플래쉬를 제어함으로써, 실내 환경에서 카메라의 셔터속도(shutter speed)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고, 실내 환경에서 적절한 플래쉬(flash) 광량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변 광량 플래쉬를 구현할 수 있고,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없이, 일반환경에서 일정한 밝기의 캡쳐(Capture) 사진을 얻을 수 있는 가변 플래쉬를 갖는 휴대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amera device applied to a mobile phone and the like, and in particular, by controlling the flash using a PWM method using an automatic gain control signal (Vagc) of a camera image sensor, the shutter speed of the camera in a indoor environment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ght, to ensure the appropriate amount of flash light in an indoor environment, and to implement a variable light flash accordingly, and to obtain a captured picture of a constant brightness in a general environment without additional hardware. A portable camera device having a variable flash that can be.

근래, IT(Information Technology)산업이 발전되면서, IT 산업중 가장 주목을 받는 산업이 휴대폰 산업이다. 휴대폰은 일반 사람들에게서 전화기 기능 이외에 카메라 기능, MP3등 멀티 컨버젼스 기능을 갖는 멀티화 방향으로 진행중이며, 그 중 카메라 기능은 디지털 카메라를 대체 할 수 있을 정도로 보편화 되어 있으며, 이는 야외, 실내, 언제 어디서나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해서 사진을 찍고, 감상하고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IT) industry, the most attention-grabbing industry among the IT industry is the mobile phone industry. The mobile phone is in progress toward the generalization of multi-convergence with multi-convergence functions such as camera function, MP3, etc. in addition to the phone function among the general people, and the camera function is universal enough to replace the digital camera. It is because of the advantage of taking pictures and using the app.

현재, 휴대폰에 채용된 카메라는 부피 및 사이즈의 제약으로 인하여, 기계적인 셔터(shutter)를 채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많은 휴대폰에 밝기를 보상해 줄 수 있는 플래쉬가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플래쉬를 채용하는 종래 휴대 카메라 장치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Currently, cameras employed in mobile phones do not employ mechanical shutters due to volume and size constraints, so that many mobile phones employ flash that can compensate for brightness. A conventional portable camera device employing such a flas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 카메라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 카메라 장치는, 셔터를 비롯하여 카메라의 기능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11)와, 광량을 측정하는 측광장치(12)와, 상기 측광장치(12)에 의해 측정된 광량이 기설정된 기준광량보다 낮을 경우에는 촬영시 플래쉬 온(ON)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 광량이 상기 기준광량보다 높을 경우에는 촬영시 플래쉬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MSM)(13)와,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플래쉬 카메라(14)와, 동작상의 필요한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표시부(1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n operation unit 11 including a shutter and a function button of a camera, a light metering device 12 for measuring light quantity, and a light metering device 12. A control unit (MSM) 13 for controlling the flash-on during shooting when the measured light amount is lower than the preset reference light, and controlling the flash-off during shooting when the measured light amount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ight amount; A flash camera 14 opera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 and a display unit 15 for screen output of necessary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도 2는 도 1의 휴대 카메라 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휴대 카메라 장치에서, 휴대폰 플래쉬는 광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기준광량보다 높은 아주 밝은 부분, 기준광량보다 낮은 아주 어두운 부분의 두 단계로 온 또는 오프로 조절되므로, 주위의 광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FIG. 2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portable camera device of FIG. 1. Referring to FIG. 2, in the mobile camera device shown in FIG. 1, the mobile phone flashlight is kept at a constant light quantity, and thus, a very bright portion higher than the reference light quantity. Since it is controlled on or off in two stages of a very dark portion lower than the amount of ligh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properly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mbient light.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두 단계가 플래쉬가 조절되는 경우, 실내 환경에서는 플래쉬가 온되어 빛에 의해 사진이 뿌옇게 표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when the flash is adjusted in the two step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ash is turned on in the indoor environment and the picture is blurred by the light.

한편, 이와같은 현상을 줄이기 위해 별도의 측광 장치를 채용하여 광량을 측정하여 플래쉬의 광량을 조절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지만, 이는 추가적인 측광장치로 인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duce such a phenomenon, a techniqu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flash light by measuring the amount of light by employing a separate metering device has been develop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dditional costs are generated due to the additional metering devic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자동 이득 제어 신호(Vagc)를 이용하여 PWM 방식으로 플래쉬를 제어함으로써, 실내 환경에서 카메라의 셔터속도(shutter speed)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고, 실내 환경에서 적절한 플래쉬(flash) 광량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변 광량 플래쉬를 구현할 수 있고,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없이, 일반환경에서 일정한 밝기의 캡쳐(Capture) 사진을 얻을 수 있는 가변 플래쉬를 갖는 휴대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which is to control the flash by the PWM method using the automatic gain control signal (Vagc) of the camera image sensor, the shutter speed of the camera in the indoor environment (shutter speed ) To prevent falling, to ensure the appropriate flash light amount in the indoor environment, and to implement a variable light flash, and to capture a constant brightness in the general environment without additional hardware It is to provide a portable camera device having a variable flash to obtain a pictur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플래쉬를 갖는 휴대 카메라 장치는, 영상신호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는 AGC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부; 상기 이미지 센서부의 AGC 신호를 PWM 신호로 변환하는 플래쉬 제어부; 상기 플래쉬 제어부의 PWM 신호를 구동전류로 변환하는 PWM/전류 변환부; 및 상기 PWM/전류 변환부로부터의 구동전류의 크기에 따른 광량을 갖는 광을 발생시키는 플래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camera device having a variable fla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sensor unit for generating an AGC signal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ize of the image signal; A flash controller converting the AGC signal of the image sensor unit into a PWM signal; A PWM / current converter configured to convert the PWM signal of the flash controller into a driving current; And a flash generating light having a ligh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current from the PWM / current converter.

상기 이미지 센서부는, 피사체 이미지의 촬영에 의해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AGC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영상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AGC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 및 플래쉬 제어부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싱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mage sensor unit may include a camera image sensor generating a video signal by capturing a subject image and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AGC signal; And an image sensing processor configured to generate the AGC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image signal from the camera image sensor and output the AGC signal to the camera image sensor and the flash controller.

상기 플래쉬 제어부는, 사전에 AGC 신호의 크기별로 펄스폭을 매칭시켜 AGC/PWM 매핑 테이블로 작성해 두고,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AGC 신호의 크기에 해당되는 펄스폭을 상기 AGC/PWM 매핑 테이블에서 찾아서, 상기 찾은 펄스폭을 갖는 PWM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전류 변환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ash control unit previously prepares an AGC / PWM mapping table by matching pulse widths according to AGC signal magnitudes, and finds a pulse width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an AGC signal from the image sensor in the AGC / PWM mapping table. The PWM signal having the found pulse width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PWM / current converter.

상기 휴대 카메라 장치는, 이동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rtable camera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erforms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상기 휴대 카메라 장치는, 휴대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 전화 장치에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rtable camera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a mobile phone device for carrying out a mobile phone call.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카메라 장치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카메라 장치는, 영상신호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는 AGC 신호(Vagc)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부(100)와, 상기 이미지 센서부(100)의 AGC 신호(Vagc)를 PWM 신호로 변환하는 플래쉬 제어부(200) 와, 상기 플래쉬 제어부(200)의 PWM 신호를 구동전류로 변환하는 PWM/전류 변환부(300)와, 상기 PWM/전류 변환부(300)로부터의 구동전류의 크기에 따른 광량을 갖는 광을 발생시키는 플래쉬(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ortable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sensor unit 100 for generating an AGC signal Vagc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magnitude of an image signal, and the image sensor unit 100. Flash control unit 200 for converting the AGC signal (Vagc) of the PWM signal, PWM / current conversion unit 300 for converting the PWM signal of the flash control unit 200 into a drive current, and the PWM / current conversion unit And a flash 400 for generating light having a light amount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current from the 300.

상기 이미지 센서부(100)는, 피사체 이미지의 촬영에 의해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AGC 신호(Vagc)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10)와,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110)로부터의 영상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AGC 신호(Vagc)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110) 및 플래쉬 제어부(200)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싱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The image sensor unit 100 generates a video signal by capturing a subject image, and adjusts the size of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AGC signal Vagc, and the camera image sensor ( The image sensing processor 120 generates the AGC signal Vagc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image signal from the 110 and outputs the AGC signal Vagc to the camera image sensor 110 and the flash controller 200.

상기 플래쉬 제어부(200)는, 사전에 AGC 신호의 크기별로 펄스폭을 매칭시켜 AGC/PWM 매핑 테이블로 작성해 두고, 상기 이미지 센서(100)로부터의 AGC 신호의 크기에 해당되는 펄스폭을 상기 AGC/PWM 매핑 테이블에서 찾아서, 상기 찾은 펄스폭을 갖는 PWM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전류 변환부(300)에 출력한다.The flash control unit 200 previously prepares an AGC / PWM mapping table by matching pulse widths according to the magnitudes of AGC signals, and sets the pulse widths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s of AGC signals from the image sensor 100 to the AGC / PWM mapping table. In the PWM mapping table, a PWM signal having the found pulse width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PWM / current converter 300.

상기 휴대 카메라 장치는, 이동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 전화 장치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The portable camera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erforms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or a mobile phone device that performs a mobile call.

여기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휴대정보단말기)나 소형 노트북 등 휴대하면서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해당된다.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s to a terminal capable of carrying and communicating,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 small notebook.

그리고, 상기 휴대 전화 장치는 휴대폰이나 PDA 등 휴대하면서 전화를 수행 할 수 있는 단말기에 해당된다. In addition, the mobile telephone apparatus corresponds to a terminal capable of carrying a telephone while carrying a mobile phone or PDA.

한편, 상기 휴대 카메라 장치는, MP3 재생기 등의 휴대 단말기에 구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ortable camera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n MP3 player.

여기서, 50은 셔터를 비롯하여 카메라의 기능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이고, 500은 동작상의 필요한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표시부이다.Here, 50 is an operation unit including a shutter and a function button of a camera, and 500 is a display unit for screen output of necessary information on operation.

도 4는 도 3의 휴대 카메라 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로서, 도 4에서, S100은 카메라 셔터 선택을 판단하는 과정이다. S200은 이미지 센서부의 AGC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이다. S300은 AGC 신호를 PWM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S400은 PWM 신호를 구동 전류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S500은 촬영시 구동전류의 크기만큼의 광량으로 플래쉬를 동작시키는 과정이다. S600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과정이다.4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portable camera device of FIG. 3. In FIG. 4, S100 is a process of determining a camera shutter selection. S200 is a process of detecting the AGC signal of the image sensor unit. S300 is a process of converting the AGC signal into a PWM signal. S400 is a process of converting a PWM signal into a driving current. S500 is a process of operating the flash with the amount of light as large as the driving current at the time of shooting. S600 is a process of storing the captured image.

도 5는 도 3의 AGC 신호(Vagc)와 PWM 신호의 펄스폭 상관 그래프로서, 도 5에서, 세로축은 AGC 신호 크기[V]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펄스폭의 듀티[듀티비율 %]를 나타낸다.5 is a pulse width correlation graph of the AGC signal Vagc and the PWM signal of FIG. 3, in which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AGC signal magnitude [V], and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duty (% duty ratio) of the pulse width.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플래쉬를 갖는 휴대 카메라 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도 3에 도시된 플래쉬 제어 부(200)는 카메라 셔터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도 4의 S100에 해당). 이때, 상기 플래쉬 제어부(200)가 카메라 셔터 선택이 판단되면 다음과 같은 동작이 수행된다.Referring to FIGS. 3 to 5,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camera device having the variable flas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the flash control unit 200 illustrated in FIG. 3 determines whether to select a camera shutter. (Corresponds to S100 of FIG. 4). At this time, when the flash control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camera shutter is selected, the following operation is performed.

한편, 휴대 카메라 장치의 이미지 센서부(100)는, 영상신호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는 AGC 신호(Vagc)를 생성하여 플래쉬 제어부(200)로 출력하고, 상기 플래쉬 제어부(200)는 상기 AGC 신호(Vagc)를 검출한다(도 4의 S200에 해당).On the other hand, the image sensor unit 100 of the portable camera device generates an AGC signal (Vagc)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ize of the video signal to output to the flash control unit 200, the flash control unit 200 is the AGC signal ( Vagc) is detected (corresponding to S200 of FIG. 4).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 센서부(100)가 카메라 이미지 센서(110)와 이미지 센싱 프로세서(12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110)는 피사체 이미지의 촬영에 의해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AGC 신호(Vagc)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 이미지 센싱 프로세서(120)는,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110)로부터의 영상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AGC 신호(Vagc)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110) 및 플래쉬 제어부(200)로 출력한다.For example, when the image sensor unit 100 includes a camera image sensor 110 and an image sensing processor 120, the camera image sensor 110 generates an image signal by capturing a subject image. The magnitude of the video signal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GC signal Vagc. The image sensing processor 120 generates the AGC signal Vagc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image signal from the camera image sensor 110 and outputs the AGC signal Vagc to the camera image sensor 110 and the flash controller 200.

상기 플래쉬 제어부(200)는, 상기 이미지 센서부(100)의 AGC 신호(Vagc)를 PWM 신호로 변환하여 PWM/전류 변환부(300)로 출력한다(도 4의 S300에 해당).The flash control unit 200 converts the AGC signal Vagc of the image sensor unit 100 into a PWM signal and outputs the PWM signal to the PWM / current converter 300 (corresponding to S300 of FIG. 4).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플래쉬 제어부(200)는, 사전에 AGC 신호의 크기별로 펄스폭을 매칭시켜 AGC/PWM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로 작성해 두고, 상기 이미지 센서(100)로부터의 AGC 신호의 크기에 해당되는 펄스폭을 상기 AGC/PWM 매핑 테이블에서 찾아서, 상기 찾은 펄스폭을 갖는 PWM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전류 변환부(300)에 출력한다.In more detail, the flash controller 200 prepares an AGC / PWM mapping table by matching pulse widths according to magnitudes of AGC signals in advance, and sets the magnitude of the AGC signals from the image sensor 100. The pulse width corresponding to the pulse width is found in the AGC / PWM mapping table, and a PWM signal having the found pulse width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PWM / current converter 300.

상기 AGC/PWM 매핑 테이블은 하기 표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The AGC / PWM mapping table may be expressed as shown in Table 1 below.

AGC 신호AGC signal 펄스폭Pulse width V1V1 10%10% V2V2 20%20% V3V3 30%30% V4V4 40%40% V5V5 50%50% V6V6 60%60% V7V7 70%70% V8V8 80%80% V9V9 90%90% V10V10 100%100%

상기 표 1에 보인 AGC/PWM 매핑 테이블에서, 상기 AGC 전압(Vagc)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압(V1~V10)에 대해 예를 들면, 상기 V1은 1.1V, V1은 1.2V, V3은 1.3V, V4는 1.4V, V5는 1.5V, V6은 1.6V, V7은 1.7V, V8은 1.8V, V9는 1.9V, 그리고 V10은 2V가 될 수 있다.In the AGC / PWM mapping table shown in Table 1, for a plurality of voltages V1 to V10 included in the AGC voltage Vagc, for example, V1 is 1.1V, V1 is 1.2V, and V3 is 1.3V. V4 is 1.4V, V5 is 1.5V, V6 is 1.6V, V7 is 1.7V, V8 is 1.8V, V9 is 1.9V, and V10 is 2V.

이와 같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AGC 전압은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이에 따라 펄스폭도 점차적으로 넓어진다. As shown in FIG. 5, the AGC voltage gradually increases, and as a result, the pulse width gradually widens.

상기 PWM/전류 변환부(300)는, 상기 플래쉬 제어부(200)의 PWM 신호를 구동전류로 변환하여 플래쉬(400)에 출력한다(도 4의 S400에 해당).The PWM / current converter 300 converts the PWM signal of the flash controller 200 into a drive current and outputs it to the flash 400 (corresponding to S400 of FIG. 4).

이때, 상기 PWM 신호의 펄스폭 크기에 따라 구동전류의 크기를 증가시켜 플래쉬의 광량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PWM 신호의 펄스폭이 10%일 경우에는 플래쉬를 1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의 크기로 변환되고, 상기 PWM 신호의 펄스폭이 20%일 경우에는 플래쉬를 2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의 크기로 변환되고, 상기 PWM 신호의 펄스폭이 30%일 경우에는 플래쉬를 3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의 크기로 변환되고, 상기 PWM 신호의 펄스폭이 40%일 경우에는 플래쉬를 4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의 크기로 변환되고, 상기 PWM 신호의 펄스폭이 50%일 경우에는 플래쉬를 5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의 크기로 변환되고, 상기 PWM 신호의 펄스폭이 60%일 경우에는 플래쉬를 6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의 크기로 변환되고, 상기 PWM 신호의 펄스폭이 70%일 경우에는 플래쉬를 7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의 크기로 변환되고, 상기 PWM 신호의 펄스폭이 80%일 경우에는 플래쉬를 8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의 크기로 변환되고, 상기 PWM 신호의 펄스폭이 90%일 경우에는 플래쉬를 9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의 크기로 변환되고, 상기 PWM 신호의 펄스폭이 100%일 경우에는 플래쉬를 10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의 크기로 변환된다.At this time, the amount of driving current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pulse width of the PWM signal to adjust the amount of flash light. For example, when the pulse width of the PWM signal is 10%, it is converted into a driving current that can turn on the flash by 10%. When the pulse width of the PWM signal is 20%, the flash is 20%. When the pulse width of the PWM signal is 30%, the pulse width of the PWM signal is converted to the magnitude of the drive current that can turn on the flash by 30%, and the pulse width of the PWM signal is 40%. In the case of the pulse width of the PWM signal is converted to the drive current that can be turned on by 40%, when the pulse width of the PWM signal is 50% is converted to the magnitude of the drive current can be turned on by 50%, When the pulse width of the PWM signal is 60%, the driving current is converted into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current that can turn on the flash by 60%. When the pulse width of the PWM signal is 70%, the driving can turn on the flash by 70%. Converted into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the PWM signal When the pulse width is 80%, it is converted into a driving current that can turn on the flash by 80%. When the pulse width of the PWM signal is 90%,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current that can turn on the flash by 90%. When the pulse width of the PWM signal is 100%, it is converted to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current that can turn on the flash by 100%.

상기 플래쉬(400)는, 상기 PWM/전류 변환부(300)로부터의 구동전류의 크기에 따른 광량을 갖는 광을 발생시킨다(도 4의 S500에 해당).The flash 400 generates light having a ligh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current from the PWM / current converter 300 (corresponding to S500 of FIG. 4).

이때, 상기 구동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플래쉬의 광량이 조절된다. 예를 들어, 플래쉬를 1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에 따라 상기 플래쉬는 10%만큼 광을 발생하고, 플래쉬를 2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에 따라 상기 플래쉬는 20%만큼 광을 발생하고, 플래쉬를 3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에 따라 상기 플래쉬는 30%만큼 광을 발생하고, 플래쉬를 4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에 따라 상기 플래쉬는 40%만큼 광을 발생하고, 플래쉬를 5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에 따라 상기 플래쉬는 50%만큼 광을 발생하고, 플래쉬를 6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에 따라 상기 플래쉬는 60%만큼 광을 발생하고, 플래쉬를 7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에 따라 상기 플래쉬는 70%만큼 광을 발생하고, 플래쉬를 8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에 따라 상기 플래쉬는 80%만큼 광을 발생하고, 플래쉬를 9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에 따라 상기 플래쉬는 90%만큼 광을 발생하고, 플래쉬를 100%만큼 온시킬 수 있는 구동전류에 따라 상기 플래쉬는 100%만큼 광을 발생한다.At this time, the amount of light of the flas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current. For example, the flash generates 10% light according to a driving current capable of turning on the flash by 10%, and the flash generates 20% light according to the driving current capable of turning on the flash by 20%. The flash generates 30% light according to the drive current capable of turning on the flash by 30%, and the flash generates 40% light according to the drive current capable of turning on the flash by 40%. The flash generates 50% light according to the driving current which can turn on the flash by 50%, and the flash generates 60% light according to the driving current which can turn the flash on by 60%, The flash generates 70% of light according to a drive current capable of turning on by 70%, and the flash generates 80% of light and drives 90% of flash in accordance with a drive current capable of turning on the flash by 80%. As long as you can According to the driving current, the flash generates light by 90%, and according to the driving current capable of turning on the flash by 100%, the flash generates 100% light.

이러한 휴대 카메라 장치의 동작을 통해서, 상기 휴대 카메라 장치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저장한다(도 4의 S600에 해당).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camera device, the portable camera device stores the obtained image (corresponding to S600 of FIG. 4).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 소프트웨어(SW)적으로 빛의 밝기를 측정하고, 그 밝기를 보정하기 위하여 조절 가능한 플래쉬를 채용하여, 촬영된 사진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내에 어두워지면, 카메라의 프레임 비율(Frame rate)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PWM(Pulse width Modulator)으로 플래쉬의 광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하드웨어(H/W)적인 추가 비용없이 가변 가능한 플래쉬 시스템(flash system)을 구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software (SW) to measure the brightness of the light, and to adjust the brightness to adjust the brightness,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picture taken, for example, When it is dark indoors, the frame rate of the camera is reduced, and accordingly, the amount of flash light is controlled by a pulse width modulator (PW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ariable flash system can be implemented without additional hardware (H / W) additional cost.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 등에 적용되는 휴대 카메라 장치에서,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자동 이득 제어 신호(Vagc)를 이용하여 PWM 방식으로 플래쉬를 제어함으로써, 실내 환경에서 카메라의 셔터속도(shutter speed)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고, 실내 환경에서 적절한 플래쉬(flash) 광량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변 광량 플래쉬를 구현할 수 있고,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없이, 일반환경에서 일정한 밝기의 캡쳐(Capture)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a portable camera device applied to a mobile phone or the like, by controlling the flash by the PWM method using the automatic gain control signal (Vagc) of the camera image sensor, the shutter speed of the camera in the indoor environment (shutter speed) ) To prevent falling, to ensure the appropriate flash light amount in the indoor environment, and to implement a variable light flash, and to capture a constant brightness in the general environment without additional hardware There is an effect to get a pictur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장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bstituted, modified, and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re possible.

Claims (5)

영상신호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는 AGC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부;An image sensor unit generating an AGC signal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magnitude of an image signal; 상기 이미지 센서부의 AGC 신호를 PWM 신호로 변환하는 플래쉬 제어부;A flash controller converting the AGC signal of the image sensor unit into a PWM signal; 상기 플래쉬 제어부의 PWM 신호를 구동전류로 변환하는 PWM/전류 변환부; 및A PWM / current converter configured to convert the PWM signal of the flash controller into a driving current; And 상기 PWM/전류 변환부로부터의 구동전류의 크기에 따른 광량을 갖는 광을 발생시키는 플래쉬Flash for generating light having a light amount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rive current from the PWM / current convert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플래쉬를 갖는 휴대 카메라 장치.Portable camera device having a variable flas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sensor unit, 피사체 이미지의 촬영에 의해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AGC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 및A camera image sensor generating a video signal by capturing a subject image and adjusting a magnitude of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AGC signal; And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영상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AGC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 및 플래쉬 제어부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싱 프로세서The image sensing processor generates the AGC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image signal from the camera image sensor and outputs the AGC signal to the camera image sensor and the flash controll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플래쉬를 갖는 휴대 카메라 장치.Portable camera device having a variable flas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lash control unit, 사전에 AGC 신호의 크기별로 펄스폭을 매칭시켜 AGC/PWM 매핑 테이블로 작성해 두고,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AGC 신호의 크기에 해당되는 펄스폭을 상기 AGC/PWM 매핑 테이블에서 찾아서, 상기 찾은 펄스폭을 갖는 PWM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전류 변환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플래쉬를 갖는 휴대 카메라 장치.The pulse widths of the AGC signals are matched in advance and prepared in the AGC / PWM mapping table. The pulse widths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s of the AGC signals from the image sensor are found in the AGC / PWM mapping table. And a PWM signal generated and outputted to the PWM / current conver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카메라 장치는,The portable camera device of claim 1, wherein 이동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플래쉬를 갖는 휴대 카메라 장치.Portable camera device having a variable flash,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카메라 장치는,The portable camera device of claim 1, wherein 휴대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 전화 장치에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플래쉬를 갖는 휴대 카메라 장치.A portable camera device having a variable flash,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in a mobile phone device for carrying out a mobile call.
KR1020060112325A 2006-11-14 2006-11-14 Mobile camera apparatus with variable flash KR1008562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325A KR100856291B1 (en) 2006-11-14 2006-11-14 Mobile camera apparatus with variable fla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325A KR100856291B1 (en) 2006-11-14 2006-11-14 Mobile camera apparatus with variable fla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590A true KR20080043590A (en) 2008-05-19
KR100856291B1 KR100856291B1 (en) 2008-09-03

Family

ID=3966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325A KR100856291B1 (en) 2006-11-14 2006-11-14 Mobile camera apparatus with variable fla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29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70730A (en) * 2011-04-12 2011-08-3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Mobile terminal and flash lamp control method thereof
CN107454350A (en) * 2017-08-25 2017-12-08 电子科技大学 Pulse width modulation type image sensor circuit and its process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23Y1 (en) 2017-08-28 2018-04-18 한국발전기술주식회사 Mobile terminal device having light source and simulation device for igniter using the same
KR102449568B1 (en) 2018-01-09 2022-10-0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Lighting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946B1 (en) * 2002-07-09 2004-11-18 삼성전기주식회사 A charging current control method for strobo and apparatus thereof
KR100593910B1 (en) 2004-05-31 2006-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Apparatus for led for flash in camera
JP4901119B2 (en) 2005-03-29 2012-03-21 パナソニック フォト・ライティング 株式会社 Strobe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70730A (en) * 2011-04-12 2011-08-3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Mobile terminal and flash lamp control method thereof
CN107454350A (en) * 2017-08-25 2017-12-08 电子科技大学 Pulse width modulation type image sensor circuit and its processing method
CN107454350B (en) * 2017-08-25 2020-06-09 电子科技大学 Pulse width modulation type image sensor circuit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291B1 (en)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1257B2 (en) Image quality in cameras using flash
US7486836B2 (en) Image pickup device with brightness correcting function and method of correcting brightness of image
KR101889624B1 (en) Method and device for mode switching
US7733383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with a color property control function and image capture program
US78478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mera metering based on flesh tone detection
KR101839748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display brightness
US20080225136A1 (en) Imaging apparatus and automatic exposure controlling method
US20050270413A1 (en) Adjustment of illumination light quantity for moving picture in moving picture image pickup device
KR20140007518A (en) Control system for camera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253299B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0856291B1 (en) Mobile camera apparatus with variable flash
US7801427B2 (en) Adjustment of shooting parameters in dependence of motion in a scene
US7773141B2 (en) Monitor control apparatus for optical device
TWI470191B (en) Light source sensing device and light source sensing method thereof
JPWO2019064757A1 (en) Imaging equipment, imaging methods, and programs
JP2010239184A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e adjustment method of the same
JP2007336169A (en) Portable device
JP2002300447A (en)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KR20030083412A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response to surroundings illumination
JP2009118520A (en) Imaging apparatus, exposure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JP2006324926A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201100123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picture using auto-focus sub light
KR20050027970A (e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light emission control adapted for light-receiving characteristics
JP2005286440A (en) Information terminal having camera
KR20050103106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lightness automatica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