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3567A - 백라이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3567A
KR20080043567A KR1020060112278A KR20060112278A KR20080043567A KR 20080043567 A KR20080043567 A KR 20080043567A KR 1020060112278 A KR1020060112278 A KR 1020060112278A KR 20060112278 A KR20060112278 A KR 20060112278A KR 20080043567 A KR20080043567 A KR 20080043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acklight assembly
lamp holder
bottom chassi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희
배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3567A/ko
Publication of KR20080043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제품의 무게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공정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한 구조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과, 확산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빛을 발생시키는 램프와, 램프의 하부에 위치하며 램프가 삽입되는 램프 홀더가 일체로 형성되는 바텀 샤시와, 램프와 바텀 샤시 사이에 위치하여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를 포함한다.
램프 홀더, 백라이트, 지지부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III-III' 선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9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VII-VII' 선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액정 표시 장치 20: 상부 샤시
30: 액정 패널 어셈블리 35: 액정 패널
100: 백라이트 어셈블리 110: 미드 샤시
120: 광학 시트 130: 확산판
140: 램프 145: 완충부재
147: 결합홈 150: 반사 시트
152: 제1 관통홀 154: 제2 관통홀
160: 바텀 샤시 170: 램프 홀더
172: 걸림부 180: 지지부
185: 결합구 245: 완충부재
270: 램프 홀더 280: 지지부
370: 램프 홀더 380: 지지돌기
445: 완충부재 447: 결합홈
452: 제1 관통홀 470: 램프 홀더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의 무게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공정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한 구조의 백라이트 어셈블 리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 FPD) 중 하나로서,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져,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을 재배열시킴으로써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그 자체가 비발광성이므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외부 광원이 필요하며, 이러한 외부광원은 액정표시소자의 크기, 사용목적에 따라 적당히 선택되어 사용되는데, 형태에 따라 LED(Light Emitted Diode)와 같은 점광원,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과 같은 선광원, 면광원 등으로 구분된다.
선광원으로 사용되는 램프로서는 통상적으로 형광 램프가 이용된다. 이러한 형광 램프를 용이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소켓을 사용하고, 형광 램프와 연결된 소켓을, 바텀 샤시의 측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내측 바닥면에 배치된 바텀 샤시에 고정시키고 있다.
종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조는 플라스틱 계열의 램프 홀더에 형광 램프를 삽입하여 바텀 샤시에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별도의 공정으로 램프 홀더를 제작하여 결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조는 반사 시트와 확산판 사이에 확산판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supportor)가 필요하여 별도의 공정으로 지지부를 형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형광 램프를 삽입하는 램프 홀더와 확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정렬판 또는 바텀 샤시와 일체로 형성하여, 제품의 무게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공정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한 구조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과, 상기 확산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빛을 발생시키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램프가 삽입되는 램프 홀더가 일체로 형성되는 바텀 샤시와, 상기 램프와 상기 바텀 샤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III-III' 선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는 탑샤시(20), 액정 패널 어셈블리(30)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탑 샤시(20)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중앙부에 액정 패널 어셈블리(3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의 가장자리에는 베젤(bezel)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 어셈블리(30)는 액정 패널(35),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36),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37) 및 인쇄 회로 기판(38)을 포함한다.
액정 패널(35)은 전기적 신호를 인가 받아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32)과 컬러 필터 기판(3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부착되며, 양 기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32)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이 형성되며, 데이터 라인은 인쇄 회로 기판(38) 상의 구동칩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게이트 라인은 박막트랜지스터 기판(32)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미드 샤시(110), 광학 시트(120), 확산판(130), 램프(140), 램프 홀더(170), 지지부(180) 반사 시트(150), 및 바텀 샤시(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램프(140)가 확산판(130)의 아래에 배열되는 직하방식이다. 따라서, 램프(140)를 측면에 배치하고 도광판을 이용하여 액정 패널로 빛을 공급하는 엣지(edge)방식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달리 램프(140)로부터 직접 액정 패널(30)로 빛이 공급되기 때문에, 램프(140)의 휘선이 강하게 나타나게 되며, 이와 같은 램프(140)의 휘선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얇은 확산 시트 대신에 두꺼운 확산판(130)을 사용하게 된다.
미드 샤시(110)는 내부에 광학 시트(120), 확산판(130), 반사 시트(150), 및 램프(140)를 수납하고, 바텀 샤시(160)에 안착 고정되는 것으로서, 광학 시 트(120), 확산판(130) 및 램프(140)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미드 샤시(110)는 직사각형 형상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측벽들로 구성되어, 중앙부에는 확산판(130) 및 광학 시트(120)를 통과한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개방창을 형성한다.
광학 시트(120)는 확산판(130)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확산하고 집광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확산판(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미드 샤시(110) 내부에 수납된다. 이러한 광학 시트(120)는 제1 프리즘 시트, 제2 프리즘 시트 등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프리즘 시트는 확산판(130)을 통과한 빛을 굴절시켜 낮은 각도로 입사되는 빛을 정면으로 집중시켜 유효 시야각 범위에서 액정 표시 장치의 밝기를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프리즘 시트는 두 장이 사용되어 상하 좌우 각 방향의 빛을 굴절시켜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예에 따라 한 장의 프리즘으로 효과가 충분한 경우에는 제1 프리즘 한 장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확산판(130)은 램프(140)에서 나온 빛을 각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램프(140)의 형상을 따라 밝은 부분으로 나타나는 휘선이 액정 표시 장치(10)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다.
램프(140)는 인버터에 의해 인가된 구동 전압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며, LED(Light Emitted Diode),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등이 사용된다. 또한 램프(140)는 균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동위상 병렬 연결되고, 직하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램프(140) 내부의 방전 가스의 분포가 일정하도록 하여 균일한 휘도를 얻기 위해서 램프(140)는 액정 패널(35)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램프 홀더(170)는 램프(140)를 바텀 샤시(16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확산판(130)과 반사 시트(150) 사이에 위치 한다.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가늘고 긴 램프(140)의 양 끝단이 램프 소켓(미도시)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확산판(130)과 반사 시트(150) 사이에 위치한다. 램프(140)는 외부가 유리 재질로 되어 있어, 진동이나 충격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램프(140)의 양 끝단 뿐만 아니라, 중간 부분에도 램프(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램프 홀더(170)가 필요하다.
램프 홀더(170)는 바텀 샤시(160)와 일체로 형성된다. 후술할 바텀 샤시(160)는 금속 재질의 판재를 판금 가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램프 홀더(170)는 이와 같은 판금 가공 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램프 홀더(1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샤시(160)의 바닥면에 판금 가공을 통하여 램프 홀더(170) 형상으로 절단을 하고, 절단된 부분을 직각으로 접어 램프 홀더(170)를 형성한다.
램프 홀더(170)에는 램프(140)가 삽입되는 램프 삽입홈을 포함하고 있어, 램프(14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램프 삽입홈은 램프(140) 형상으로 형성되며, 홈의 끝단에는 걸림부(172)를 형성하고 있어, 램프(140)가 삽입되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램프 삽입홈에 직접 램프(140)를 삽입할 수도 있으나, 램프 홀더(170)는 금속 재질이고, 램프(140)는 유리 재질이라는 점에서, 램프 홀더(170)와 램프(140) 사이에 완충부재(145)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부재(145)는 액정 패널 어셈블리(10)에 작용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여 램프(14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중앙부에 램프(140)를 끼워 결합하고, 외주면이 램프 삽입홈에 접하여 결합되는 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완충부재(145)는 링형으로 형성하여 중심부에 램프(140)를 삽입할 수 있으며, 중심부에 램프(14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부재(145)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구부의 크기는 램프(14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완충부재(145)의 외주면은 결합홈(147)을 형성하여, 램프 홀더(170)의 걸림부(172)에 결합되도록 한다. 완충부재(145)의 결합홈(147)이 걸림부(172)에 결합되면 램프(140)는 램프 홀더(170)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완충부재(145)의 재료는 완충작용을 할 수 있어야 하며, 램프(140)의 열에도 견딜 수 있도록 고온에 강한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램프(140)의 빛이 확산판(130)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게 될 경우, 확산판(130)에 암점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므로, 램프(140)의 빛을 효과적으로 확산판(130)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투명한 재질의 완충부재(145)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silicon)이나 투명 재질의 고무(rubb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145)의 형상은 램프 홀더(170)와 램프(140) 사이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도 무관하다. 또한, 램프 홀더(170)는 램프(140)의 길이 또는 직경의 크기에 따라 각 램프(140) 당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부(180)는 확산판(130)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바텀 샤시(160)에 결합되어 확산판(130)을 지지한다. 액정 패널의 크기가 커지면서 자중에 의하여 확산판(130)이 아래로 쳐지게 되며,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부(180)를 설치한다. 이러한 지지부(180)는 확산판(130)을 지지하되, 빛의 발산을 방해해서는 안되므로, 확산판(130)에 접하는 부분의 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원뿔형으로 형성한다. 지지부(180)는 확산판(130)의 쳐짐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가 가능하므로, 액정 패널의 크기, 확산판(130)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위치와 개수를 결정한다. 또한, 지지부(180)는 하단부가 바텀 샤시(160)에 나사 결합으로 체결된다.
반사 시트(150)는 램프(140)의 아래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액정 패널(30) 방향으로 반사하여 빛의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램프(140) 하부에 위치하고, 빛의 반사가 잘되는 색으로 도포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반사판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반사 시트(150)는 램프 홀더(170)가 관통되는 제1 관통홀(152)과 지지부(180)가 관통하여 바텀 샤시(160)와 결합되는 제2 관통홀(154)이 형성되어 있다.
바텀 샤시(160)는 미드 샤시(110)와 결합하여 광학 시트(120), 확산판(130) 및 램프(140)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백라이트 어셈블리(100)의 가장 아래에 위치하며, 평판의 금속 재료를 판금가공하여 형성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 블리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다음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바텀 샤시(160)에 확산판(1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80)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100)의 지지부(280)는 바텀 샤시(160)를 판금가공하여 형성한다. 지지부(280)는 확산판(130)과 접하는 부분의 단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삼각형 형상이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텀 샤시(16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V'자 형의 슬릿을 바텀 샤시(160)에 형성하고, 이를 수직으로 접어 지지부(280)를 형성한다.
또한, 완충부재(24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램프(140)가 삽입되는 사각형 형상의 완충부재(245)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완충부재(245), 램프 홀더(270) 및 지지부(280)의 형상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상술한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 블리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다음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확산판(1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80)가 램프 홀더(370)를 포함하여, 바텀 샤시(160)에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는 램프 홀더(370)와 지지부(380)가 결합된 것으로서, 램프 홀더(370)는 램프 삽입홈 및 지지돌기(380)를 포함한다.
램프 홀더(370)는 램프(140)를 고정하는 기능과 확산판(130)을 지지하는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다만, 확산판(130)을 지지하는 지지돌기(380)는 모든 램프 홀더(370)에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일부 필요한 경우에만 구비된다. 이와 같은 램프 홀더(3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텀 샤시(160)에 판금 가공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램프 홀더(370)는 상부에 지지돌기(380)가 구비되기 위해서, 측면에 램프 삽입홈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일부 지지돌기(380)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부에 램프 삽입홈을 형성하여도 무관하다.
지지돌기(380)는 램프 홀더(370)의 상부에 구비되어, 확산판(130)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돌기(380)는 확산판(130)과 접하는 부분의 단면은 최소화 하 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램프 홀더(370)에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형상에 대해서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하 도 9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a는 도 9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VII-VII' 선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도 9와 도 10a와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다음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램프 홀더(470)가 두겹의 판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램프 홀더(4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샤시(160)를 판금 가공하여 두겹의 램프 홀더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를 통하여 바텀 샤시(160)에 램프 홀더(470) 형상으로 개구형상을 형성하고, 판재를 수직으로 접어 램프 홀더(470)를 형성한다. 바텀 샤시(160)의 두께가 램프(140)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두겹의 판재를 이용함으로로써,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완충부재(445)는 외부면에 두개의 결합홈(447) 을 형성하여, 램프 홀더(470)의 램프 삽입홈과 결합되도록 하여, 두 겹의 램프 홀더(470)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의하면, 제품의 무게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공정 시간과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여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0)

  1.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
    상기 확산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빛을 발생시키는 램프;
    상기 램프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램프가 삽입되는 램프 홀더가 일체로 형성되는 바텀 샤시; 및
    상기 램프와 상기 바텀 샤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홀더는 상기 바텀 샤시를 판금 가공하여 형성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와 상기 램프 홀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램프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램프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링 형상인 백라이트 어셈블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투명한 재질인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실리콘인 백라이트 어셈블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샤시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확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홀더는 상부에 상기 확산판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홀더는 두 장이 서로 맞대어 형성되고, 상기 램프와 상기 램프 홀 더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램프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20060112278A 2006-11-14 2006-11-14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80043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278A KR20080043567A (ko) 2006-11-14 2006-11-14 백라이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278A KR20080043567A (ko) 2006-11-14 2006-11-14 백라이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567A true KR20080043567A (ko) 2008-05-19

Family

ID=3966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278A KR20080043567A (ko) 2006-11-14 2006-11-14 백라이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35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483A1 (ko) * 2018-03-07 2019-09-12 엘지전자(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483A1 (ko) * 2018-03-07 2019-09-12 엘지전자(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106083A (ko) * 2018-03-07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073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698045B1 (ko) 액정표시장치
CN101684897B (zh) 背光单元和使用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器
CN109765720B (zh) 液晶显示装置
JP5303660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KR101529576B1 (ko) 표시 패널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6986598B2 (en) Backlight module for a double-sided LCD device
KR20120092882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100033196A (ko) 광학 부재용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59462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50066312A (ko) 표시 장치
KR20100138215A (ko) 액정표시장치
KR10133802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30887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112503A (ko) 액정표시장치
US20060227261A1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US7494242B2 (en)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a diffuser plate having indented portions and a reflective plate having lamp insertion portions
KR20080043567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383981B1 (ko) 램프 고정 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갖는 표시장치
KR10126708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US20060083027A1 (en) Double side backlight module
KR20040061960A (ko) 백라이트 유니트의 도광판 구조
KR20110056015A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101268948B1 (ko) 액정 표시 모듈
KR101584996B1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