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3195A -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3195A
KR20080043195A KR1020070007440A KR20070007440A KR20080043195A KR 20080043195 A KR20080043195 A KR 20080043195A KR 1020070007440 A KR1020070007440 A KR 1020070007440A KR 20070007440 A KR20070007440 A KR 20070007440A KR 20080043195 A KR20080043195 A KR 20080043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informatio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low pow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155B1 (ko
Inventor
용 리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802,156 priority Critical patent/US8824431B2/en
Publication of KR20080043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통신망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과 연관된 통신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망의 기지국 또는 억세스포인트 뿐만 아니라, 이미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고 근거리에 위치한 다른 단말기로부터 통신망과 연관된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망, 통신망 정보 획득, 전력 소모, 배터리

Description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 {APPARATUS FOR ACQUIRING NETWORK INFORMA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억세스포인트로부터 고전력 통신방식을 이용해 직접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에 링크 계층 탐색 프로토콜(LLDP:Link Layer Discovery Protocol)을 사용하여, 통신망의 각 구성 요소들 간에 서로 각자의 식별자와 장치의 형태 등의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던, 링크 계층 탐색 프로토콜(Link Layer Discovery Protocol)에서의 에이전트(LLDP agent)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간에 저전력 통신 방식을 이용해 시스템 정보를 획득 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정보 획득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정보 획득 장치에서, 저전력 통신부로서 이용되는, 링크 계층 탐색 프로토콜의 에이전트(LLDP agent)를 개선한 새로운 에이전트(agent)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정보 획득 장치에서, 고전력 통신부로서 이용되는, 링크 계층 탐색 프로토콜의 에이전트(LLDP agent)를 개선한 새로운 에이전트(agent)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정보 제공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정보 제공 장치에서, 저전력 통신부로서 이용되는, 링크 계층 탐색 프로토콜의 에이전트(LLDP agent)를 개선한 새로운 에이전트(agent)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과 연관된 통신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원거리에 위치한 억세스포인트(Access Point)에 직접 접속하여 통신망 정보를 획득 하기 이전에, 근거리에 위치한 다른 단말로부터 통신망 정보를 획득하여, 통신망 정보를 획득 하는데 필요한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망의 발전은 음성 통화 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 화상 통신, VOD등의 여러 가지 서비스를 이동 단말기를 통하며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형 디스플레이, 카메라 등이 부가된 이동 단말기가 필요하고, 이와 같은 부가 부분들의 추가적인 전력 소모로 인하여, 단말기의 전력소모량은 더욱 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도 1은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가 통신망 정보를 획득 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가 무선 통신망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목록을 필요로 하거나, 무선 통신망의 커버리지 내의 단말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제어 변수의 값 등의 통신망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는 반드시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억세스포인트(Access Point)에 접속하여 서비스 목록 또는 제어 변수의 값을 수신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실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통신이 아닌, 통신 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평균적으로 단말기의 최대 통신가능 거리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거리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억세스포인트까지 신호를 송출 하여,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고 있다.
한편, 링크 계층 탐색 프로토콜(LLDP: Link Layer Discovery Protocol)은 IEEE 802.1AB에서 규격으로 확정되었으며, 무선 통신망에 새로운 라우터, 단말기 등의 장비가 부착되어 통신망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자원이 변경된 경우에, 이를 각 장비에게 주기적으로 통보하는 단방향성의 프로토콜이다.
도 2는 링크 계층 탐색 프로토콜(Link Layer Discovery Protocol)에 의하여 통신망의 구성요소간에 통신망의 형상 정보와 자원 변경 상황을 전송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통신망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210, 220, 230, 240)가 통신망에 연결되면, 링크 계층 탐색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자신의 장치 식별자와 통신망에 연결된 포트 번호 등의 통신망 형상 정보를 서로 이웃한 구성 요소간에 교환하게 된다. 각 구성요소는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자신과 연결된 통신망의 다른 구성요소가 무엇이고, 상기 구성요소와 어떤 방법으로 정보를 교환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상기 통신망 형상 정보는, 각 구성요소에 의해 주기적으로 이웃 구성요소에게 전달되므로, 각 구성 요소는, 이웃한 구성요소에서 전달되는 형상정보를 분석하여 통신망의 변화를 알 수 있다. 도 2의 일례에 따르면, IP 폰(IP-Phose)(210)과 스위치(switch)(230)은 서로 통신망 형상 정보("I'm a swich", "I'a an IP-Phone")를 교환하고, 이렇게 교환된 정보는 매니지먼트 정보 저장부(MIB)에 저장되어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도 3은 링크 계층 탐색 프로토콜에서 이웃 장치간에 실제적인 정보의 교환을 수행하는 LLDP 에이전트(agent)의 구조(3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LLDP 에이전트는 장치 정보 저장부(LLDP local system MIB)(310), 원격 장치 정보 저장부(LLDP remote systems MIB)(320), 확장된 장치 정보 저장부(organizationally defined local device LLDP MIB extension)(330), 확장된 원격 장치 정보 저장부(organizationally defined local device LLDP MIB extensions)(340)을 포함한다. 이하, 도 3을 참고로 하여,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술하기로 한다.
장치 정보 저장부(310)에는 해당 통신망 구성 요소의 장치식별자와 연결된 포트 번호, 각 포트에 대한 설명, 관리 정보 등이 저장되고, 원격 장치 정보 저장부 (320)에는 상기 통신망 구성 장치에 연결된 다른 장치에 대한 장치 식별자, 연결된 포트 번호, 각 포트에 대한 설명, 관리 정보 등이 저장된다.
확장된 장치정보 저장부(330)는 해당 통신망 구성 요소의 물리계층 연결 정보등을 저장하며, 확장된 원격 장치 정보 저장부(340)는 상기 통신망 구성 장치에 연결된 다른 장치에 대한 물리 계층 연결 정보 등을 저장한다.
LLDP 에이전트(300)은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서비스 탐색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저장부들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정보를 외부의 장치로 전달 하거나, 외부 장치가 전달한 정보를 갱신 하여, 다시 서비스 탐색부에 보고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LLDP는 해당 장비의 장비 식별자와 자원의 변경 상황을 바로 옆의 장비에게 전송할 뿐이고, 상대방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요청하거나, 인접한 장비를 거쳐 원거리의 장비에게 자신의 정보를 전달할 수는 없어 이를 이동통신 환경에서 서비스 목록의 전송에 이용할 수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망 구성 장비의 링크계층에서 시스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링크 계층 탐색 프로토콜의 에이전트(agent)를 확장하여, 원거리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이나 억세스포인트가 아닌, 근거리에 존재하는 통신망 정보를 이미 수신한 단말기로부터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망 정보 획득 과정에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는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를 제안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가 단말간의 저전력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과 연관된 통신망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망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과 연관된 통신망 정보를 획득한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가 자신이 저장하는 통신망 정보를 다른 단말로 용이하게 포워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는, 무선 통신망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과 연관된 통신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의 억세스포인트로 제1 통신망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고전력 통신부, 무선 통신망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제1 통신망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저전력 통신부, 상기 저전력 통신부 및 상기 고전력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고전력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1 통신망 정보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고전력 통신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저전력 통신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제2 통신망 정보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력 통신부"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기지국 또는 억세스포인트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를 의미하며, "저전력 통신부"는 상기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는 없으나, 근거리에 위치한 다른 통신 장비와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부를 의미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는, 무선 통신망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과 연관된 통신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망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통신망 정보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는 저전력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망의 억세스포인트로부터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는 고전력 통신부, 상기 저전력 통신부 및 상기 고전력 통신부를 제어하는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고,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저전력 통신부로부터 상기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고전력 통신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는, 무선 통신망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 상기 무선 통신망과 연관된 통신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정보를 저장하고 유지하는 저통신망 정보 저장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통신망 서비스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서비스 정보 요청 수신부, 상기 서비스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망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저전력 통신부, 상기 저전력 통신부의 전송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 또는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는 무선 통신 단말 그 자체이거나 또는 무선 통신 단말 내에 장착되어 동작하는 통신 모듈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410)가 기지국, 억세스포인트, 및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와 서로 연동하여 통신망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410)가 통신망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려 하거나 또는 통신망의 커버리지 내에 공통되는 제어변수 값 등을 필요로 하는 경우, 원거리에 있는 기지국 또는 억세스포인트(420)에 직접 접속하여 상기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먼저 주위에 통신망 정보를 이미 획득한 다른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430)로부터 통신망 정보를 수신한다.
무선 통신망의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거리는 무선 통신망의 커버리지 내의 단말기와 단말기간의 거리보다 훨씬 먼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미 통신망 정보를 수신한 통신망 정보 제공장치로부터 통신망 정보를 수신한다면,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가 무선 통신망의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는 것 보다 훨씬 적은 전력소모로 통신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렇게 통신망 정보를 획득한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410)는, 아직 통신망 정보를 획득 하지 못한 다른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440)를 위하여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410)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500)은 저전력 통신부(510), 고전력 통신부(520), 통신 제어부(530)를 포함한다. 이하, 도 5을 참고로 하여,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술 하기로 한다.
아직 통신망 정보를 획득 하지 못한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500)의 통신 제어부(530)은, 최소의 전력으로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통신망 정보를 수동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통신망 정보를 수동적으로 수신하는 경우에는, 먼저 고전력 통신부(520)은 비활성화 시키고, 저전력 통신부(510)은 활성화 시켜, 주위에 위치한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의 통신망 정보 전송 신호를 수신한다. 만약 저전력 통신부(510)를 이용한 통신망 정보 전송 신호의 수신이 실패 한다면, 통신 제어부(530)은 이제 저전력 통신부(510)는 비활성화 시키고, 고전력 통신부(520)를 활성화시켜 무선 통신망의 기지국 또는 억세스포인트에서 직접 전송 되는 통신망 정보를 획득 하게 된다. 통신 제어부(530)는, 저전력 통신부(510)를 이용한 통신망 정보 수신이 소정의 시간 동안에 성공 하지 못한 경우에는 고전력 통신부(520)을 활성화 시켜 통신망 정보 획득을 시도한다.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500)는 수동적으로 통신망 정보 전송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망 정보를 획득 하는 것뿐만 아니라, 능동적으로 통신망 정보의 전송을 요구할 수 있다. 통신망 정보를 능동적으로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530)은, 먼저 고전력 통신부(520)를 활성화시키고, 저전력 통신부(510)은 비활성화 시켜 억세스포인트로 통신망 정보 요청을 전송 한다. 억세스포인트는 통신망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로 통신망 정보를 전송한다. 만약 고전력 통신부(520)를 이용한 억세스포인트와의 통신이 실패 한다면, 통신 제어부(530)는, 고전력 통신부(520)를 비활성화 시키고, 저전력 통신부(510)를 활성화 시켜 근거리에 위치한 다른 단말(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로 통신망 정보 요청을 전송하게 된다.
통신 제어부(530)는, 고전력 통신부(520)를 이용한 통신망 정보 수신이 일정 시간이상 동안에 성공 하지 못한 경우에는 고전력 통신부(520)를 이용한 통신망 정보 수신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통신망 정보를 능동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전력 소모가 더 많은 고전력 통신부(520)을 먼저 이용하는 이유는, 정보 획득 장치 주변 근거리에 정보 제공 장치가 존재 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정보획득 장치가 무선 통신망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고전력 통신 부(520)를 이용한 억세스포인트와의 통신은 성공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통상의 경우에는, 고전력 통신부(520)를 이용하여 억세스포인트로부터 통신망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을 것이고, 만약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가, 음영지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고전력 통신부(520)를 이용한 억세스포인트로부터의 통신망 정보 수신은 실패하더라도, 저전력 통신부(510)를 이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통신망 정보를 수신 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가 수 개의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수 개의 통신망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수 개의 통신망 정보 각각에 포함된 통신망 정보 유효 시간을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통신망 정보를 선택하게 된다.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억세스포인트에서 통신망 정보가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로 최초로 전송 되는 경우에 통신망 유효 시간이 정해지고,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 또는 통신망 정보 제공장치를 통해 전송 될 때마다 통신망 정보의 수신시간과 전송시간을 고려하여 업데이트 된다.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는 가장 최신의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한 수 개의 통신망 정보 중에서 통신망 정보 유효 시간이 가장 큰 통신망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통신망 정보를 수신한 통신망 획득 장치가, 다른 통신망 획득 장치로부터의 통신망 정보 요청에 의해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로 동작 할 수 있다면, 음영 지역에 위치한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의 경우에도, 음영 지역 밖에서 통신망 정보를 수신한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가 근거리에 존재 한다면, 손쉽게 통신망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가 획득 하는 통신망 정보는, 통신망을 식별할 수 있는 통신망 식별자와, 통신망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 통신망내의 전 단말기에 공통되는 제어 변수 값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도 6은 종래의 LLDP에이전트(agent)를 수정하여 구현된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의 저전력 송신부(6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전력 송신부는, 종래 LLDP 에이전트 구조(610)에, 통신망 정보 요청 저장부(information request MIB)(620)와 포워딩 정보 저장부(information relay MIB)(630)가 부가 되어 구성 된다. 이하, 도 6을 참고로 하여,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술 하기로 한다.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의 통신 제어부가 능동적으로 통신망 정보 제공장치에게 통신망 정보 요청을 하기로 결정한 경우에, 통신 제어부는 통신망 정보 요청 저장부(620)를 활성화 시키고, 통신망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통신망 정보 요청 저장부(620)에 저장한다. 저전력 송신부로서 사용되는 LLDP 에이전트(agent)는, 통신망 정보 요청 저장부에 저장된, 통신망 정보 요청을 전력 소모가 적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 하게 된다.
저전력 통신부를 이용한 통신망 정보의 획득이 성공적으로 완료 되거나, 저전력 통신부를 이용한 통신망 정보의 획득을 포기한 경우에는,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의 통신 제어부는, 통신망 정보 요청 저장부(620)에 저장된 통신망 정보 요청을 삭제하고, 저전력 통신부를 비활성화 시키게 된다.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가, 저전력 통신부 또는 고전력 통신부를 통하여 통신 망 정보를 수신하고 다른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가 전송한 통신망 정보 요청에 의하여,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로 동작 하는 경우,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의 통신 제어부는, 통신망 정보를 포워딩 정보 저장부(630)를 활성화 시키고, 통신망 정보를 포워딩 정보 저장부(630)에 저장한다. 저전력 송신부로서 사용되는 LLDP 에이전트(agent)는, 포워딩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통신망 정보를 전력 소모가 적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로 전송 하게 된다.
도 7은 종래의 LLDP에이전트(agent)를 수정하여 구현된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의 고전력 송신부(7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력 송신부는, 종래 LLDP 에이전트 구조(710)에, 통신망 정보 요청 저장부(information request MIB)(720)가 부가 되어 구성 된다. 이하, 도 7을 참고로 하여,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술 하기로 한다.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의 통신 제어부가 고전력 송신부(700)를 통하여 능동적으로 통신망 정보 제공장치에게 통신망 정보 요청을 하기로 결정한 경우에, 통신 제어부는 통신망 정보 요청 저장부(720)를 활성화 시키고, 통신망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통신망 정보 요청 저장부(720)에 저장한다. 고전력 송신부로서 사용되는 LLDP 에이전트(agent)는, 통신망 정보 요청 저장부(720)에 저장된, 통신망 정보 요청을 전력 소모가 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의 기지국 또는 억세스포인트로 전송 하게 된다.
고전력 통신부를 이용한 통신망 정보의 획득이 성공적으로 완료 되거나, 고전력 통신부를 이용한 통신망 정보의 획득을 포기한 경우에는,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의 통신 제어부는, 통신망 정보 요청 저장부(720)에 저장된 통신망 정보 요청을 삭제하고, 고전력 통신부를 비활성화 시키게 된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800)은 통신망 정보 저장부(810), 서비스 정보 요청 수신부(820), 저전력 통신부(830), 통신 제어부(840), 고전력 통신부(850)을 포함한다. 이하, 도 8을 참고로 하여,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술 하기로 한다.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800)가 저전력 통신부(820)또는 고전력 통신부(850)을 통하여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면, 통신 제어부(840)는 수신한 통신망 정보를 통신망 정보 저장부(810)에 저장한다.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800)가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통신망 정보 요청 수신부(820)를 통하여 통신망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840)는 상기 통신망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망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 한다.
통신망 정보를 제공하기로 결정한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840)는 저전력 통신부(830)을 활성화 시키고, 근거리에 위치한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를 위하여 저전력 통신부(830)을 통하여 통신망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가 원하는 통신망 정보를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가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840)은 통신망 정보 요청을 저전력 통신부(830)을 통하여 다른 통신망 정보 제공장치에게 포워딩 한다.
다른 통신망 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저전력 통신부(830)를 통하여 통신망 정보를 수신한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는, 수신한 통신망 정보를 다시 저전력 통신부(830)을 통하여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로 전송 한다.
동일한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가 통신망 정보 요청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840)는 통신망 정보 전송의 전송 대역폭을 증가 시켜, 통신망 정보 전송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 할 수 있다.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가 저전력 통신부(830)을 통하여 다른 통신망 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신망 정보가 자신이 전송 하고 있는 통신망 정보와 상응한 정보임을 확인하면, 통신 제어부(840)는 자신이 전송하고 있는 통신망 정보의 전송 대역폭을 감소시켜, 통신망 정보를 좀더 천천히 전송 할수 있다.
통신망 정보를 최초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망의 기지국이나 억세스포인트는 전송하는 통신망 정보의 유효 시간을 통신망 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망 정보를 수신한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는 기지국, 억세스포인트 또는 다른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통신망 정보를 수신한 시각과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통신망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통신망 정보의 유효 시간을 업데이트 하고, 상기 업데이트한 시간이 0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통신망 정보를 유효한 정보로서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로 전송 할 수 있다. 만약 업데이트한 통신망 정보 유효 시간이 0과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840)는 상기 통신망 정보를 통신망 정보 저장부에서 삭제하고, 더 이상 통신망 획득 장치 로 전송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 하는 통신망 정보는, 통신망을 식별할 수 있는 통신망 식별자와, 통신망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 통신망내의 전 단말기에 공통되는 제어 변수 값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도 9는 종래의 LLDP에이전트(agent)를 수정하여 구현된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의 저전력 송신부(9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전력 송신부는, 종래 LLDP 에이전트 구조(910)에, 전송 정보 저장부(information diffusion MIB)(920)와 정보 요청 포워딩 저장부(information proxy MIB)(930)가 부가 되어 구성 된다. 이하, 도 9를 참고로 하여,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술 하기로 한다.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의 통신 제어부가, 통신망 획득 장치의 통신망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망 정보를 제공 하기로 결정한 경우에,통신 제어부는 전송 정보 저장부(920)를 활성화 시키고, 통신망 정보를 전송 정보 저장부(920)에 저장한다. 저전력 송신부로서 사용되는 LLDP 에이전트(agent)는, 전송 정보 저장부(920)에 저장된, 통신망 정보를 저전력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로 전송한다. 저전력 송신부로서 사용되는 LLDP 에이전트는, 통신망 정보에 포함된 통신망 정보 유효 시간을 상기 통신망 정보가 수신된 시간과 상기 통신망 정보를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로 전송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업데이트 한다. 상기 통신망 정보 유효 시간이 0과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는 전송 정보저장부(920)에 저장된 통신망 정보를 삭제하고, 저전력 통신부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만약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가 수신한 통신망 정보 요청에, 상기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가 가지고 있지 않은 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통신망 정보 요청을 제2의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로 포워딩 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의 통신 제어부는 저전력 송신부로서 사용되는 LLDP에이전트의 정보 요청 포워딩 저장부(930)을 활성화 시키고, 상기 통신망 정보 요청을 정보 요청 포워딩 저장부(930)에 저장 한다. LLDP에이전트는, 정보 요청 포워딩 저장부에 저장된 통신망 획득 장치의 통신망 정보 요청을 제2의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망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과 연관된 통신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원거리에 위치한 억세스 포인트에 직접 접속하여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기에 앞서, 근거리에 위치한 단말로부터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Claims (14)

  1. 무선 통신망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과 연관된 통신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의 억세스포인트로 제1 통신망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고전력 통신부;
    무선 통신망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제2 통신망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저전력 통신부; 및
    상기 저전력 통신부 및 상기 고전력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고전력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1 통신망 정보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저전력 통신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제2 통신망 정보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
  2. 무선 통신망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과 연관된 통신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망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통신망 정보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는 저전력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망의 억세스포인트로부터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는 고전력 통 신부; 및
    상기 저전력 통신부 및 상기 고전력 통신부를 제어하는 정보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저전력 통신부로부터 상기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고전력 통신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획득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통신부는 상기 수신된 통신망 정보를 제2의 단말로 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통신부는 상기 제2의 단말로부터 통신망 정보 포워딩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포워딩 요청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저전력 통신부가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통신망 정보를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고전력 통신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신망 정보 획득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정보는 통신망 정보 유효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저전력 통신부가 복수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통신망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통신망 정보 유효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망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망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통신부는 상기 통신망 정보 유효 시간이 가장 큰 통신망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망 정보 획득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정보는 통신망 서비스 목록 정보 또는 통신망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
  9. 무선 통신망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 상기 무선 통신망과 연관된 통신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정보를 저장하고 유지하는 통신망 정보 저장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통신망 서비스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망 정보 요청 수신부;
    상기 서비스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망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저전력 통신부; 및
    상기 저전력 통신부의 전송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동일한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망 서비스 정보 요청을 반복하여 수신한 경우 통신망 정보 전송의 대역폭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정보 제공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통신부는 제2 단말로부터 제2 통신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망 정보가 상기 통신망 정보와 상응되는 경우, 대역폭이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정보 제공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정보는 통신망 정보 유효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저전력 통신부가 상기 통신망 정보 유효 시간을 업 데이트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정보는 통신망 정보 유효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통신망 정보 유효 시간이 0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저전력 통신부가 상기 통신망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정보 제공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정보는 통신망 서비스 목록 정보 또는 통신망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
KR1020070007440A 2006-11-13 2007-01-24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 KR101329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02,156 US8824431B2 (en) 2006-11-13 2007-05-21 Apparatus for acquiring network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833606P 2006-11-13 2006-11-13
US60/858,336 2006-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195A true KR20080043195A (ko) 2008-05-16
KR101329155B1 KR101329155B1 (ko) 2013-11-14

Family

ID=3966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440A KR101329155B1 (ko) 2006-11-13 2007-01-24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1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270B1 (ko) * 2011-12-23 2013-11-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이웃 지그비 노드의 도움을 통한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4614B2 (en) 1999-07-06 2003-11-25 Widcomm, Inc. Implementation of power control in a wireless overlay network
EP1398910A1 (de) * 2002-09-13 2004-03-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Positionsabhängiges Routing einer Verbindung zwischen zwei Mobilstationen über eine oder mehrere zwischengeschaltete Mobilstationen
US7539507B2 (en) * 2003-11-21 2009-05-26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communic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270B1 (ko) * 2011-12-23 2013-11-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이웃 지그비 노드의 도움을 통한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155B1 (ko)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118B1 (ko) 무선 랜 사용자의 존재 정보 인터랙션을 실현하는 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US20070147299A1 (en)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US10885732B2 (en) Multiple application modules (MAM) and/or multiple application units (MAU) for providing services in wireless distribution systems (WDS), including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0314046B2 (en) Multiple application devices for providing services in wireless distribution systems (WDS), including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6958988B1 (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data delivery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CN105637937A (zh) 控制设备、基站和通信终端
US8583085B2 (en) Mobile equipment,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102645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ging in a communications system
KR101329155B1 (ko)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
CN108174434B (zh) 一种自动切换通信方式的方法、终端及智能设备
US80365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level of involvement of mesh poi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24431B2 (en) Apparatus for acquiring network information
JP2019514273A (ja) アクセス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EP3618359B1 (en) Method and device for signaling transmission
KR10128007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 포인트의 관여 레벨을 결정하는방법 및 장치
JP532032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機位置情報の取得方法
JP2007028231A (ja) 無線lanシステム
JP5990148B2 (ja) 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100950767B1 (ko)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30897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witching of traffic cor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two non-3gpp access paths
KR200418770Y1 (ko) 메시 포인트의 관여 레벨을 결정하는 장치
JP2007142933A (ja) 相手端末と接続するための情報を格納するテーブルを管理する方法
KR20030078291A (ko) 왑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망관리 시스템
CN116846763A (zh) 模型监控的交互方法和系统、通信装置
CN117528462A (zh) 一种多网络组网实现的工业物联网的数据传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