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625A - Frame selection method for the rfid system - Google Patents

Frame selection method for the rfi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625A
KR20080042625A KR1020060111310A KR20060111310A KR20080042625A KR 20080042625 A KR20080042625 A KR 20080042625A KR 1020060111310 A KR1020060111310 A KR 1020060111310A KR 20060111310 A KR20060111310 A KR 20060111310A KR 20080042625 A KR20080042625 A KR 20080042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tags
frame size
iso
ie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3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인휘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1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2625A/en
Publication of KR20080042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6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01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 G06K7/100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frequency domain, e.g. by hopping from one frequency to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A method for selecting a frame for a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is provided to select a frame size adaptively in an anti-collision algorithm presented by an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EC(Internet Electrotechnical Commission) 18000-6 Type C standard. An ISO/IEC 18000-6 Type C standard adaptively provides a C value for an anti-collision algorithm according to a frame size. The frame size is 2^Q and Q is a positive integer, and the C value is 0.5 when the Q is smaller than 6. The C value is 0.5 when the Q is 7. The C value is 0.3 when the Q is smaller than 8. The C value is 0.2 when the Q is 9 or 10. The C value is 0.1 when the Q is bigger than 11.

Description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선택 방법{Frame Selection Method for the RFID system} Frame Selection Method for RFID System

도 1은 ISO/IEC 18000-6 Type C 표준에서의 태그 식별 절차를 나타낸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g identification procedure in the ISO / IEC 18000-6 Type C standard.

도 2는 ISO/IEC 18000-6 Type C 표준에서의 슬롯 카운트(slot-count) Q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 FIG. 2 shows a slot count Q algorithm in the ISO / IEC 18000-6 Type C standard. FIG.

도 3 내지 도 5는 C값의 변화에 따른 전체 태그의 인식시간을 나타낸 도면들. 3 to 5 are views showing the recognition time of the entire tag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 value.

본 발명은 RFID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selection method for an RFID syste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대상 물체에 부착된 전자태그로부터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고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바코드 시스템의 경우, 반드시 리더와 태그가 가시거리에 있어야 하고, 인식거리가 짧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전자태그로부터 무선을 통해 정보를 읽고 저장할 수 있는 RFID 시스템은 바코드 시스템과는 달리 인식할 수 있는 거리가 길어 장거리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며, 빠른 인식속도, 높은 인식률, 다른 통신망과의 연계 등의 다양한 장점을 지닌다. 특히 RFID 시스템은 바코드 시스템처럼 스캐너로 하나씩 읽을 필요 없이, 각종 물품에 전자태그를 부착해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물품 명세, 가격, 유통경로, 기한 등을 파악할 수 있어서, 유통 및 물류에 대혁신을 가져올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RFID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센서 기술과 소형화 기술 등이 더욱 발전함에 따라 정보를 능동적으로 획득하고 처리하는 능력까지 갖추게 되어 바코드가 하던 역할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일들을 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s a technology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using a radio frequency from an electronic tag attached to a target object and provides a related service. Currently, the most widely used bar code system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eader and the tag must be in the visible range and the recognition distance is short. However, unlike the barcode system, the RFID system that can read and store the information wirelessly from the electronic tag is able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over a long distance, and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 long distance. Has advantages In particular, the RFID system can identify the product specification, price, distribution route, and deadline automatically by attaching electronic tags to various items without having to read them one by one like a barcode system. Be in the spotlight. In addition, RFID systems are expected to be able to do much more than the role of barcodes as the sensor technology and miniaturization technology of ubiquitous network is further developed.

RFID와 관련된 국제표준은 ISO(국제표준화기구)와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가 공동으로 구성한 JTC(Joint Technical Committee 1)에서 진행하고 있다. UHF 대역의 RFID 표준화와 관련하여 ISO/IEC JTC1 SC31 WG4에서 18000-6(860~960MHz 대역 무선접속 표준)의 표준으로 Type A 및 Type B 규격이 확정되었다. 이와 별도로 MIT Auto ID 센터를 중심으로 한 EPC(Electronic Product Code) 표준으로 Class 0, Class 1 규격이 확정되었다. 최근에는 EPCglobal에서 제안한 EPC Class 1 Gen2 규격을 ISO에 상정하여, Type A, B 표준안 다음의 ISO/IEC 18000-6 Type C 표준으로 통합하여 채택되었다. UHF Gen2라 불리는 Class 1 Gen2의 경우, 리더 간의 간섭 문제 해결, 보안, 데이터 전송 속도 등에서 다른 어느 규격보다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Class 1 Gen2는 UHF 대역의 수동(passive) 방식 RFID 매체에 대한 단일 통합 표준으로서 확립될 것으로 전망된다. International standards related to RFID are being developed by the Joint Technical Committee 1 (JTC), which was jointly formed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and the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Regarding the standardization of RFID in the UHF band, Type A and Type B standards have been finalized as a standard of 18000-6 (860 ~ 960MHz band radio access standard) in ISO / IEC JTC1 SC31 WG4. Separately, Class 0 and Class 1 specifications were finalized as an EPC (Electronic Product Code) standard around the MIT Auto ID center. Recently, the EPC Class 1 Gen2 standard proposed by EPCglobal has been assumed to ISO, and has been incorporated into ISO / IEC 18000-6 Type C standards following the Type A and B standards. Class 1 Gen2, called UHF Gen2, is expected to outperform any other specification in inter-reader interference resolution, security, and data rate. Class 1 Gen2 is therefore expected to be established as a single unified standard for passive RFID media in the UHF band.

본 발명은 ISO/IEC 18000-6 Type C 표준에서 제시된 충돌방지 알고리즘에서 적응적으로 프레임 크기를 선택하는 RFID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ame selection method for an RFID system that adaptively selects a frame size in the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proposed in the ISO / IEC 18000-6 Type C standard.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ISO/IEC 18000-6 Type C 표준에서 프레임의 크기-여기서, 상기 프레임 크기는 2Q이며, 상기 Q값은 양의 정수임-에 따라 상응하는 C값이 제공되되, 상기 C값은 Q값이 6 이하인 경우 0.5, Q값이 7인 경우 0.4, Q값이 8인 경우 0.3, Q값이 9 및 10인 경우 0.2, Q값이 11 이상인 경우 0.1인 RFID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선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rame in the ISO / IEC 18000-6 Type C standard, where the frame size is 2 Q and the Q value is a positive integer The C value is provided, but the C value is 0.5 when the Q value is 6 or less, 0.4 when the Q value is 7, 0.4 when the Q value is 8, 0.3 when the Q value is 9 and 10, 0.2 when the Q value is 9, and 10 or more. In this case, a frame selection method for an RFID system of 0.1 may be provid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이나 도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를 든 것으로 이로써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r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RFID 시스템은 하나의 리더와 다수의 태그들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태그들이 동시에 리더에 접속하는 다중접속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다수의 태그가 같은 처리 공간에 있을 때 태그들을 에러 없이 정확히 인식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RFID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수동형 RF 태그는 그 능력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다른 태그들과 통신을 할 수 없고 단지 리더와 통신할 수 있을 뿐이다. 리더는 무선 채널을 통하여 각각의 태그들과 통신을 하는데, 모든 태그들이 리더가 보낸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고 리더의 명령에 응답을 한다. 이 때 하나의 리더가 동시에 응답한 여러 개의 태그를 인식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태그 충돌(Tag Collision)’이라고 한다. 최근 설치비용 절감을 위해 다양한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멀티 리더가 도입되면서 태그 충돌 현상이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다. 태그를 고속으로 인식하기 위해서 이러한 문제를 것이 충돌 방지(Anti-Collision) 알고리즘이며 RFID 시스템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기술이다. In general, an RFID system is composed of one reader and a plurality of tags, and multiple accesses are made in which a plurality of tags simultaneously access a reader. Therefore, when multiple tags are in the same processing spac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tags correctly and without errors. Passive RF tags used in RFID systems are very limited in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 tags and only with readers. The reader communicates with each tag over a wireless channel, all tags simultaneously receiving signals from the reader and responding to commands from the reader. The problem is that one reader must recognize several tags that have been responded to at the same time. This is called `` tag collision ''. Recently, tag collisions are gradually increasing due to the introduction of multi-readers that can recognize various tags to reduce installation costs. In order to recognize tags at high speed, these problems are anti-collision algorithms and the core technology of RFID systems.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돌방지 알고리즘은 알로하(Aloha) 방식과 이진-트리(Binary-tree) 방식으로 나뉜다. 알로하 방식으로는 태그가 응답하는 시간을 고정된 몇 개의 슬롯으로 나누고 태그들이 각자 선택한 슬롯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슬롯 알로하(Slotted-ALOHA) 방식이 있다. ISO/IEC 18000-6 Type A는 다수 태그의 구분을 위해 동적으로 슬롯의 개수를 조정하여 충돌을 조정하는 적응 슬롯 알로하(Adaptive Slotted-ALOHA) 방식을 사용한다. 슬롯의 크기는 리더가 동적으로 태그들에게 전달하고, 태그는 자신의 슬롯을 랜덤으로 선택하여 응답한다. 이진-트리 방식은 충돌이 발생한 비트 위치를 이용하여, 동시에 응답하는 태그의 수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충돌을 방지한다. ISO/IEC 18000-6 Type B에서는 충돌 조정을 위해 기본적으로 이진-트리 개념을 적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이진-트리 방식은 충돌 발생시 전체 태그를 세부 하위 그룹 단위로 나누면서 최종적으로 하나의 태그를 찾는 과정을 반복하여 진행된다. EPCglobal의 Class 0, Class 1에서도 이진-트리 알고리즘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충돌방지 알고리즘의 성능은 태그와 리더 사이의 프로토콜과 리더 시스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리더가 다수의 태그를 구분하고 특정한 하나의 태그와 데이터 교환을 하기 위해 충돌 조정을 하는 과정에서 태그는 다양한 상태변화를 일으키며, 자신 및 다른 태그들에게 브로드캐스트 되는 명령을 각각의 현재 상태에 맞게 처리한다. Anti-collision algorithms commonly used today are divided into Aloha and Binary-tree. The Aloha method is a slotted-ALOHA method that divides the response time of a tag into several fixed slots and allows the tags to transmit data to their selected slots. ISO / IEC 18000-6 Type A uses an Adaptive Slotted-ALOHA scheme that handles collisions by dynamically adjusting the number of slots to distinguish multiple tags. The size of the slot is communicated by the reader to the tags dynamically, and the tag responds by randomly selecting its slot. The binary-tree scheme avoids collisions by using the bit position where the collision occurred,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number of tags that respond simultaneously. ISO / IEC 18000-6 Type B uses the binary-tree concept by default for collision resolution. The binary-tree method repeats the process of finally finding one tag while dividing the entire tag into detailed subgroup units when a collision occurs. EPCglobal's Class 0 and Class 1 also employ binary-tree algorithms. The performance of these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s can be determined by the protocol between the tag and the reader and the reader system. As the reader distinguishes multiple tags and adjusts collisions to exchange data with one specific tag, the tags cause various state changes and process commands broadcast to themselves and other tags according to their current state. do.

EPCglobal에서 EPC Class 1 Gen2를 ISO에 상정하여 채택된 표준인 Type C 에서 사용하는 충돌 방지 알고리즘은 알로하 방식의 슬롯 랜덤(Slotted random) 충돌방지 알고리즘이다. ISO/IEC 18000-6 Type C 표준에서, 태그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리더로부터 받은 명령어(Query 또는 QueryAdjust)에 포함된 파라미터인 Q값을 가지고 0~2Q- 1사이의 수로 슬롯을 선택하여 그 슬롯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경우, 랜덤하게 슬롯을 선택하기 때문에 다수의 태그가 같은 슬롯을 선택하면 충돌이 발생하여 리더가 정확한 정보를 받지 못하게 된다. The anti-collision algorithm used in Type C, a standard adopted by EPC Global, which assumes EPC Class 1 Gen2 in ISO, is an Aloha slot random random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In the ISO / IEC 18000-6 Type C standard, the tags each independently select a slot with a number between 0 and 2 Q- 1 and have a Q value that is a parameter included in the instruction (Query or QueryAdjust) received from the reader. Send the data. In this case, since slots are randomly selected, if multiple tags select the same slot, a collision occurs and the reader does not receive accurate information.

도 1은 ISO/IEC 18000-6 Type C 표준에서의 태그 식별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태그가 유효한 리더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 리더는 Select 메시지를 통해 어떤 태그들을 경쟁에 참여시킬 것인지 결정하고, Query 메시지를 통해 프레임에 할당된 슬롯의 수를 알려주며 프레임이 시작된다. 이 때 리더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과를 얻는다. 첫째, 태그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이다. 이 경우 리더는 QueryRep 메시지를 보내 다음 슬롯으로 진행하거나 QueryAdjust 메시지를 보내어 Q값을 통해 프레임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둘째, 하나의 태그만 응답하여 태그로부터 정확한 정보를 받은 경우 QueryRep 메시지를 전송하여 다음 슬롯의 시작을 알린다(도 1의 윗부분). 셋째, 다수의 태그가 응답하여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 응답이 없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QueryRep 메시지를 보내 다음 슬롯으로 진행하거나 QueryAdjust 메시지를 보내어 Q값을 통해 프레임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도 1의 아래 부분).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g identification procedure in the ISO / IEC 18000-6 Type C standard. Referring to FIG. 1, when a tag is within a valid reader range, the reader determines which tags to participate in the competition through a Select message, and informs the number of slots allocated to the frame through a Query message, and the frame starts. . The leader then gets three results: First,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tag. In this case, the reader can advance to the next slot by sending a QueryRep message or send a QueryAdjust message to adjust the frame size through the Q value. Second, when only one tag is responded to and receives correct information from the tag, a QueryRep message is transmitted to indicate the start of the next slot (upper part of FIG. 1). Third, when a collision occurs due to multiple tags responding, as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response, the frame size can be adjusted through the Q value by sending a QueryRep message to the next slot or sending a QueryAdjust message (the lower part of FIG. 1). .

상술한 첫 번째 경우와 같이 응답이 없거나 상술한 세 번째 경우와 같이 충돌이 발생한 경우, 태그의 수에 따라서 적절하게 다음 슬롯을 진행시키거나 프레임 크기를 조절해 주어야 한다. ISO/IEC 18000-6 Type C 표준에서 제시된 Q 알고리즘은 프레임 크기를 2Q 로 나타내며, 도 2와 같이 충돌이 발생하면 C만큼 Q를 증가시키고 응답이 없으면 C만큼 Q를 감소시킴으로써 프레임 크기를 조절한다. 여기서 C 값은 0.1 ≤ C ≤ 0.5 로 설정된다. 하지만 ISO/IEC 18000-6 Type C 표준에서는 결정적인 제어 파라미터(control parameter)인 C값에 대해서 명기하지 않는다. 분명 한 것은 C값이 너무 크게 선택되면 프레임 크기가 현저하게 변화될 것(overshoot)이고, 반대로 너무 작게 선택되면 신속함(swiftness)이 떨어질 것이다. If there is no response as in the first case described above or a collision occurs as in the third case described above, the next slot or the frame size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ags. The Q algorithm presented in the ISO / IEC 18000-6 Type C standard represents a frame size of 2 Q. As shown in FIG. 2, the frame size is adjusted by increasing Q by C when there is a collision and decreasing Q by C when there is no response. . Where the C value is set to 0.1 ≦ C ≦ 0.5. However, the ISO / IEC 18000-6 Type C standard does not specify the value C, which is a definitive control parameter. Obviously, if the C value is chosen too large, the frame size will be significantly overshooted, whereas if it is chosen too small, swiftness will fall.

프레임 크기에 따른(또는 태그 수에 따른) C값을 찾아 내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C값은 프레임 크기의 변화율이 되며, 실험을 통해 태그 수에 따른 적절한 C값을 제시한다. It is important to find the C value based on the frame size (or the number of tags). Here, the C value becomes the rate of change of the frame size, and through experiments, the appropriate C valu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ags is presented.

실험에서는 이상적인 채널환경(error-free)에서 하나의 리더와 다수의 태그로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태그를 인식하는 시간을 산출해 내기 위해서 표준문서에 있는 고정된 값들을 사용한다. Data-0 의 길이를 나타내는 Tari 값을 12.5㎲로 설정하고 도 1의 링크 타이밍을 고려하여, 리더가 Select 메시지를 보내는 것부터 모든 태그를 인식할 때까지의 시간(마지막으로 인식된 태그의 EPC코드를 전송받을 때까지의 시간)을 리더와 태그 사이의 데이터 전송시간의 평균으로 계산하여 결과 값을 산출한다. The experiment assumes that the system consists of one reader and many tags in an ideal channel environment (error-free). First, we use the fixed values in the standard document to calculate the time of tag recognition. Set the Tari value indicating the length of Data-0 to 12.5 ms and taking into account the link timing of FIG. 1, the time from the sending of the Select message to the recognition of all tags (the EPC code of the last recognized tag The result value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time of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reader and the tag).

도 3 내지 도 5는 C값의 변화에 따른 전체 태그의 인식시간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 크기가 작을 때는 큰 C값(0.5)을 설정하고, 프레임 크기가 클 때는 작은 C값(0.1)을 설정하는 것이 인식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프레임 크기에 따른 적절한 C값은 아래 표와 같다. 3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recognition times of all tags according to a change in a C value. 3 to 5, it can be seen that setting a large C value (0.5) when the frame size is small and setting a small C value (0.1) when the frame size is large can reduce the recognition time. . The appropriate C value for each frame size is shown in the table below.

Q값Q value 프레임 크기Frame size C값C value 1One 22 0.50.5 22 44 0.50.5 33 88 0.50.5 44 1616 0.50.5 55 3232 0.50.5 66 6464 0.50.5 77 128128 0.40.4 88 256256 0.30.3 99 512512 0.20.2 1010 10241024 0.20.2 1111 20482048 0.10.1 1212 40964096 0.10.1 1313 81928192 0.10.1 1414 1638416384 0.10.1 1515 3276832768 0.10.1

860MHz~960MHz 대역의 RFID 시스템의 국제표준인 ISO/IEC 18000-6 Type C의 슬롯 랜덤(Slotted random) 충돌방지 알고리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충돌 정도에 따라 C값을 설정하여 적응적으로 다음 프레임의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태그 수에 따라 프레임 크기를 조정하는 프레임 슬롯 알로하(Framed Slotted-ALOHA) 방식의 알고리즘들은 프레임 크기가 작을 때는 프레임 크기를 변화율을 빠르게 해주어야 할 것이고, 프레임 크기가 커지면 프레임 크기 변화율을 천천히 해주어야 할 것이다. 특히, ISO/IEC 18000-6 Type C에서는 프레임 크기가 2Q로 주어지지 때문에 Q값이 증가함에 따라 프레임 크기가 급속하게 커지므로 Q값에 따른 적절한 C값이 중요한 제어 파라미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ISO/IEC 18000-6 Type C에서 프레임 크기에 따른 적절한 C값을 제공함으로써 인식속도를 단축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In slotted random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of ISO / IEC 18000-6 Type C,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RFID systems in the 860MHz to 960MHz band, as described above, the C value is set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llision and adaptively Provide a way to resize. In general, Framed Slotted-ALOHA algorithms that adjust the frame siz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ags should speed up the frame size when the frame size is small, and slow down the frame size when the frame size is large. will be. In particular, in ISO / IEC 18000-6 Type C, since the frame size is given as 2 Q , the frame size increases rapidly as the Q value increases, so an appropriate C value according to the Q value is an important control parameter. As described above, the recognition speed can be reduced by providing an appropriate C value according to the frame size in ISO / IEC 18000-6 Type C.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여, ISO/IEC 18000-6 Type C 표준에서 제시된 충돌방지 알고리즘에서 적응적으로 프레임 크기를 선택하는 RFID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선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rame selection method for an RFID system that adaptively selects a frame size in an anti-collision algorithm proposed in the ISO / IEC 18000-6 Type C standard.

Claims (1)

ISO/IEC 18000-6 Type C 표준에서 프레임의 크기-여기서, 상기 프레임 크기는 2Q이며, 상기 Q값은 양의 정수임-에 따라 상응하는 C값이 제공되되, According to the ISO / IEC 18000-6 Type C standard, the corresponding C value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rame, where the frame size is 2 Q and the Q value is a positive integer. 상기 C값은 Q값이 6 이하인 경우 0.5, Q값이 7인 경우 0.4, Q값이 8인 경우 0.3, Q값이 9 및 10인 경우 0.2, Q값이 11 이상인 경우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선택 방법.The C value is 0.5 when the Q value is 6 or less, 0.4 when the Q value is 7, 0.4 when the Q value is 8, 0.3 when the Q values are 9 and 10, 0.2 when the Q value is 11 or more, and 0.1 when the Q value is 11 or more. Frame Selection Method for RFID System.
KR1020060111310A 2006-11-10 2006-11-10 Frame selection method for the rfid system KR200800426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310A KR20080042625A (en) 2006-11-10 2006-11-10 Frame selection method for the rfi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310A KR20080042625A (en) 2006-11-10 2006-11-10 Frame selection method for the rfid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625A true KR20080042625A (en) 2008-05-15

Family

ID=3964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310A KR20080042625A (en) 2006-11-10 2006-11-10 Frame selection method for the rfi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262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5943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djusting a query command slot-counter parameter Q
CN105224970B (en) A kind of RFID anti-collision method
EP1929433B1 (en) Method for identifying tags using adafitve binary tree splitting technique in rfid system and rfid system therefor
EP1717726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nd method for identifying RFID tags
KR20100011711A (en) Methods of identifying rfid tag for preventing rfid tag collision, rfid reader and rfid tag using the same
US200700698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multiple tags with different protocols in RFID system
US9317725B1 (en) RFID protocol
KR101007084B1 (en) Method of recogniging rfid tag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roughput inversion and rfid reader performing the same
CN101923625A (en) Tag anti-collision method and system
CN102708341A (en) Label anti-collision method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
KR1006276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tag estimation and dymanic slot allocation in wireless tag-reader
KR100615715B1 (en) Rfid reader having estimating function number of tags and method for estimating thereof
KR20070020869A (en) RFID tag reader and It's Identification Method of multiple RFID tags
CN109784434B (en) Intelligent container and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query and inventory method and system thereof
US87985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ti-collision ta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
KR20080042625A (en) Frame selection method for the rfid system
US8253540B2 (en) Method of reading data from transponders through a reader, a transponder, and a reader
KR20110027423A (en) Method for enhancement tag recognition speed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KR100860048B1 (en) A method of anti-collision in multiple rfid using capture phenomena
US20100265070A1 (en) Apparatus and method that prevent collision of tags in rfid system
KR100662050B1 (en) Anti-collision method for rfid readers
WO2009075500A1 (en) Apparatus and method that prevent collision of tags in rfid system
CN101308539B (en) Method and system for radiofrequency signal recognition, apparatus for receiving radiofrequency signal
KR1008123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based anti-collision in rfid systems
KR100958238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