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417A -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 - Google Patents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417A
KR20080042417A KR1020060110822A KR20060110822A KR20080042417A KR 20080042417 A KR20080042417 A KR 20080042417A KR 1020060110822 A KR1020060110822 A KR 1020060110822A KR 20060110822 A KR20060110822 A KR 20060110822A KR 20080042417 A KR20080042417 A KR 20080042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manifold
present
less
alloy materi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승운
김정훈
김상범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2417A/ko
Publication of KR20080042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7% by weight of 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배기매니폴드를 제작하는 합금재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엔진출력 향상 및 고마력화로 인한 배기가스 상승으로 고온하에서도 배기매니폴드가 열변형과 열균열이 발생하지 않게 함과 아울러 균일한 조직과 고온 열변형 및 고온 균열 특성을 개선하도록 된 합금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탄소(C) 2.5∼3.8wt%, 규소(Si) 4.0∼5.0wt%, 몰리브덴(Mo) 0.4∼1.0wt%, 크롬(Cr) 0.4∼0.7wt%, 망간(Mn) 0.2wt%이하, 마그네슘(Mg) 0.1wt%이하, 황(S) 0.1wt%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불순물과 Fe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를 제공한다.
구상흑연주철, 배기매니폴드.

Description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COMPOUND ALLOY FOR EXHAUST MANIFOLD OF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배기매니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편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상흑연주철재의 고온 인장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차량의 배기매니폴드를 제작하는 합금재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엔진출력 향상 및 고마력화로 인한 배기가스 상승으로 고온하에서도 배기매니폴드가 열변형과 열균열이 발생하지 않게 함과 아울러 균일한 조직과 고온 열변형 및 고온 균열 특성을 개선하도록 된 합금재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량용 배기매니폴드 소재는 보통 구상흑연주철(KS D 4302규격의 GCD400 및 GCD600재질)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들 재질은 현재까지 출력 및 배기가스 온도가 그리 높지 않은 현 상황에서 적합하게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자동차 배기량의 증가와 출력의 증대 등으로 배기가스 온도가 급속히 높아져, 배기매니폴드가 받게 되는 열적 부하가 매우 커지고 있으며, 고온 산화 스케일(Scale)에 의한 촉매 공격성 또한 문제가 되고 있다. 배기가스 온도상승에 따른 가장 큰 문제는 재질의 열변형문제로서, 고온과 저온의 영역을 왕복하는 배기매니폴드의 상황상 열팽창과 수축이 동반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열변형에 의해 표면 산화 스케일이 발생하고, 이것이 진전하여 심지어는 크랙까지 생기는 등, 소재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산화 스케일 및 크랙은 상대적으로 박육부인 배기매니폴드(100)의 포트(Port)부(110) 또는 합류부(120)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는 상기 포트부(110)가 얇고 냉각에 따른 조직 불균형이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엔진출력 향상 및 고마력화로 인하여 엔진의 배기가스 온도가 상승되고 있는 상황을 뒷받침해 줄 수 있도록 보다 고온 내균열 변형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내열주철소재의 개발이 시급한 시점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배기매니폴드용 소재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기가스의 온도상승에 따라 발생하는 배기매니폴드의 고온 열변형에 따른 고온 열균열 및 내산화성을 개선시킨 차량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탄소(C) 2.5∼3.8wt%, 규 소(Si) 4.0∼5.0wt%, 몰리브덴(Mo) 0.4∼1.0wt%, 크롬(Cr) 0.4∼0.7wt%, 망간(Mn) 0.2wt%이하, 마그네슘(Mg) 0.1wt%이하, 황(S) 0.1wt%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불순물과 Fe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에 있어서, 상기 합금재료는 구상화율 80%이상, 80%이상의 페라이트(Ferrite)기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페라이트기지의 조직내에 몰리브덴 및 합금성분에 의한 유리시멘타이트(Cementite) 및 탄화물(Carbide)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재료의 특징은 내산화성 및 조직을 페라이트화시키기 위하여 규소(Si)와 몰리브덴(Mo)을 포함시킨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재료의 조성은 탄소(C) 2.5∼3.8wt%, 규소(Si) 4.0∼5.0wt%, 몰리브덴(Mo) 0.4∼1.0wt%, 크롬(Cr) 0.4∼0.7wt%, 망간(Mn) 0.2wt%이하, 마그네슘(Mg) 0.1wt%이하, 황(S) 0.1wt%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불순물과 Fe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흑연주철재의 각 조성 및 범위를 한정한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탄소(C) 2.5∼3.0wt%
탄소(C)의 범위는 2.5∼3.0wt%가 적합하다. 그 이유는 규소(Si)가 많이 첨가 되었으므로 탄소(C)가 이 범위보다 높을 경우 과공정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2) 규소(Si) 4.0∼5.0wt%
규소(Si)를 많이 첨가할수록 Fe-C계에서 공정 및 공석반응이 일반 Fe-C계 보다 높은 온도범위에서 일어나므로, 안정한 페라이트기지조직을 가지기 위해서 충분한 규소(Si)가 포함되어 공석반응의 온도범위를 높여야 한다. 규소(Si) 범위가 부족하여 기지조직이 페라이트화가 되지 못하고 펄라이트가 존재하면 펄라이트는 온도의 승온시 650℃이상에서 분해하여 열팽창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규소(Si)가 너무 많이 첨가될 경우, 취성이 증대되므로 4.0∼5.0wt%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규소(Si)가 4wt%이상 첨가될 경우, 표면 FeO 산화층내에 Fe2SiO4층을 형성하는데, 이층은 매우 미세하여 산화가 진행되는 것을 줄여줄 수 있으므로, 규소(Si)를 4.0∼5.0wt%의 범위로 첨가할 경우 고온 산화스케일에 따른 촉매공격성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 몰리브덴(Mo) 0.4∼1.0wt%
재질의 고온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몰리브덴(Mo)을 0.4∼1.0wt% 첨가하는 것이 좋다. 몰리브덴(Mo)을 0.4∼1.0wt% 첨가하는 이유는 몰리브덴(Mo)이 0.4wt% 이하이면 출력이 증대된 엔진에서 고온 강도가 떨어지며, 1.0wt% 이상이면 수축결함이 발생하여 재질 불량이 되기 때문이다.
4) 크롬(Cr) 0.4~0.7wt%
크롬(Cr)은 니켈(Ni)이나 규소(Si)와 정반대로 흑연화를 저해하며, 탄화철의 안정화 작용을 강화시킨다. 크롬(Cr)의 일부는 탄화철 속에 들어가 Fe-Cr의 복탄화물을 만든다. 크롬(Cr)의 양이 적을 때에는 펄라이트의 시멘라이트 중에 고용되어 그다지 눈에 띄지 않으나, 크롬(Cr) 양이 많아지면 크롬(Cr)탄화물로써 석출되기 때문에 현미경으로 잘 알 수 있다. 이것은 복잡한 Fe-Cr의 탄화물이며, 고온 가열해도 거의 분해되지 않는 안정한 화합물이다.
0.4-0.5wt%인 소량의 크롬(Cr)이 보통 주철에 첨가되면, 기지는 전부 펄라이트로 되며, 흑연의 형태는 작고 균등하고, 결정은 미세하게 된다. 또한 내산화성도 다소 양호해진다. 그러나 0.7wt% 크롬(Cr)이 되면 Fe-Cr탄화물이 석출하기 때문에 절삭성이 저하되고 취약해진다. 이 경우 니켈(Ni) 등 흑연화촉진제를 병용하면 다른 결과를 얻기도 한다.
5) 망간(Mn) 0.2wt%이하
망간(Mn)은 응고중 조직내부에 미세 분산상을 형성하여 현저한 강도증가 및 0.5wt%이상 첨가시 주조품의 취성을 높이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 함량을 0.2wt%이하로 제한한다.
6) 황(S) 0.1wt%이하
황(S)은 마그네슘(Mg)과 결합하여 황화물을 형성하여 초과시 구상화불량을 일으킬 수 있는데 그 영향이 0.1wt%이상을 초과하면 더욱 현저해지므로 그 함량을 0.1wt%이하로 한다.
7) 마그네슘(Mg) 0.1wt%이하
마그네슘(Mg)은 주철재 내에서 흑연을 구상화시키는 원소로, 본 발명에 따른 합금재료의 제조에 반드시 필요하나 0.1wt%이상 첨가될 경우 탄화물을 형성하므로 0.1wt%이하 조성으로 한정한다.
상기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의 실시예의 조성을 종래의 구상흑연주철재와 비교하여 표로 나타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성 분 (wt%) C Si Mn P S Mo Cu Cr Mg
종래기술에 따른 구상흑연주철재 3.3 ~3.8 2.0 ~3.0 0.1 ~1.0 0.15 ~0.1 0.1 이하 - - - 0.02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합금재료 2.5 ~3.8 4.0 ~5.0 0.2 이하 0.06 이하 0.1 이하 0.4 ~1.0 0.5 ~2.5 0.4 ~2.7 0.1 이하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합금재료의 기계적, 열적 성질 및 조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시험편을 제작한다. 즉, 선철과 강고철 등을 용해로에서 1520℃까지 용해하여(S10) 상기와 같은 화학성분을 분광분석 후 1500℃의 출탕온도에서 레이들에 출탕하고(S20), 출탕 레이들은 용탕내의 흑연을 미세화시키기 위하여 Fe-Si계 접종제 및 희토류원소가 함유된 구상화재로 접종 및 구상화처리를 행한다(S30).
그런 다음, 용탕처리가 된 용탕을 공시재 주형에 주입하여 조직관찰 시험편 및 열팽창 시험편, 고온 인장시험편을 제작하여 고온 특성을 시험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의 실시예의 조직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이와 같은 시험 및 관찰의 결과를 표로 정리하면 아래 표 2와 같다.
재 질 기계적 성질 조직 관찰(기지조직)
인장강도 (N/㎟) 항복강도 (N/㎟) 연신율 (%) 경도 (HB) 구상화율 (%) 페라이트 (%) 펄라이트 (%) 유리시멘타이트 (%)
종래기술에 따른 구상흑연주철재 600 370 3 200 75 48 42 -
본 발명에 따른 합금재료 606 477 3 213 95 82 7 4
시험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는 종래기술에 따른 구상흑연주철에 비해 기계적 성질이 향상된다. 또한 표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합금재료의 실시예는 구상화율이 95%인 것으로 표시되었으나, 구상화율이 80% 이상만 되어도 비슷한 수준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의 실시예 및 종래기술에 따른 구상흑연주철재를 팽창계(Dilatomater)로 시험하여 열팽창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재질 열팽창시험 결과
선팽창계수 (△L/Lo) 열팽창계수 (α) 상변태온도 (℃)
종래기술에 따른 구상흑연주철재 1.39x10-3 1.54 x10-5 738
본 발명에 따른 합금재료 1.10x10-3 1.35 x10-5 838
표 3에 나타난 시험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금재료는 종래기술에 따른 구상흑연주철재에 비해 특히 상변태온도가 100℃나 더 높음은 알 수 있다. 이는 곧 본 발명에 따른 합금재료가 종래기술에 비해 높은 온도에서도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음을 뜻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의 실시예 및 종래기술에 따른 구상흑연주철재의 내산화성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
재질 700℃,100시간 항온유지 850℃,100시간 항온유지
무게차 산화층두께 HB경도 무게차 산화층두께 HB경도
종래기술에 따른 구상흑연주철재 0.38g 300㎛ 130 0.42g 450㎛ 100
본 발명에 따른 합금재료 0.08g 50㎛ 255 0.05g 90㎛ 250
표 4에 나타난 시험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금재료는 특히 700℃ 이상 고온에서의 내산화성이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금재료의 실시예(A)와 종래기술에 따른 구상흑연주철(B)의 700℃ 고온 인장시험결과이다. 도 3에서 인장력을 가로축으로, 응력을 세로축으로 하여 도시한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금재료(A)의 고온 인장강도가 종래기술에 따른 구상흑연주철재(B)의 고온 인장강도에 비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표 2, 표 3, 표 4 및 도 3에 나타난 본 발명에 따른 합금재료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보면, 본 발명의 합금재료가 고온 내열성, 내산화성 및 인장강도 면에서 매우 우수한 성질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에 의하면, 각종 차량의 배기가스 환경규제 대책으로 엔진출력 향상 및 고마력화로 인한 배기가스 상승으로 고온하에서도 열변형 및 열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 가능하며, 합금 구성성분을 단일 또는 조합하여 균일한 조직과 고온 열변형 및 고온 균열 특성을 개선하고, 고온 내균열성과 내산화성이 우수하며 고온강성을 대폭 증가시켜 내구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탄소(C) 2.5∼3.8wt%, 규소(Si) 4.0∼5.0wt%, 몰리브덴(Mo) 0.4∼1.0wt%, 크롬(Cr) 0.4∼0.7wt%, 망간(Mn) 0.2wt%이하, 마그네슘(Mg) 0.1wt%이하, 황(S) 0.1wt%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불순물과 Fe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는, 구상화율 80%이상이고, 80%이상의 페라이트(Ferrite)기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기지의 조직내에 몰리브덴 및 합금성분에 의한 유리시멘타이트(Cementite) 및 탄화물(Carbide)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
KR1020060110822A 2006-11-10 2006-11-10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 KR20080042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822A KR20080042417A (ko) 2006-11-10 2006-11-10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822A KR20080042417A (ko) 2006-11-10 2006-11-10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417A true KR20080042417A (ko) 2008-05-15

Family

ID=3964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822A KR20080042417A (ko) 2006-11-10 2006-11-10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24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4693A1 (en) * 2011-04-01 2014-02-12 Scania CV AB Cast iron alloy and exhaust component manufactured thereb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4693A1 (en) * 2011-04-01 2014-02-12 Scania CV AB Cast iron alloy and exhaust component manufactured thereby
EP2694693A4 (en) * 2011-04-01 2014-12-31 Scania Cv Ab MOLTEN IRON ALLOY AND EXHAUST COMPONENT MANUFACTURE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274B1 (ko)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구형 흑연 주철 및 그 제조 방법
US8333923B2 (en) High strength gray cast iron
US7794650B2 (en) Heat-resistant cast iron and exhaust equipment member formed thereby
US20100178193A1 (en) Cast iron alloy with good oxidation resistance at high temperatures
EP2401412B1 (en) Ferritic spheroidal graphite cast iron
CN101300368A (zh) 高硅铌铸造合金及其生产方法
EP3202939B1 (en) Austenitic heat-resistant cast steel having excellent thermal fatigue characteristics, and exhaust system component comprising same
KR101845761B1 (ko)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구상흑연주철
KR102148758B1 (ko) 엔진 배기계 부품용 구상흑연 주철
KR100435324B1 (ko) 고온 내산화성을 갖는 내열구상흑연주철
KR20080053774A (ko) 차량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
JP2001220640A (ja) 球状黒鉛鋳鉄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球状黒鉛鋳鉄からなるクランクシャフト
KR20080042417A (ko)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
JP3332189B2 (ja) 鋳造性の優れたフェライト系耐熱鋳鋼
KR101438825B1 (ko) 페라이트계 구상흑연 주철재
KR20080053776A (ko) 차량 배기매니폴드용 합금재료
KR20160066574A (ko)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내열주강
KR20120012176A (ko) 구상흑연주철
KR20100015118A (ko) 차량의 배기계 부품용 구상흑연주철
KR20120000420A (ko) 고온 피로수명 및 연신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내열 주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배기매니폴드
KR20100007090A (ko) 페라이트계 구상흑연주철
KR20220015198A (ko) 구상 흑연 주철 및 이로 이루어진 엔진 배기계 부품
KR20090025667A (ko) 고온 강도가 우수한 자동차용 페라이트계 내열 주강재부품의 제조방법
KR20070028809A (ko) 엔진 배기매니폴드용 구상흑연주철의 조성물
KR20190018574A (ko) 오스템퍼드 구상흑연 주철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