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369A -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369A
KR20080041369A KR1020060109394A KR20060109394A KR20080041369A KR 20080041369 A KR20080041369 A KR 20080041369A KR 1020060109394 A KR1020060109394 A KR 1020060109394A KR 20060109394 A KR20060109394 A KR 20060109394A KR 20080041369 A KR20080041369 A KR 20080041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itional access
broadcast
cas
access information
h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1369A/ko
Publication of KR20080041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3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using cryptography, e.g.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1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건부 액세스(Conditional Access)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가 다양한 방송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즉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방송 환경에 독립적으로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Conditonal Access System)을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방송, 조건부 액세스, 수신제한, 디스크램블러, 다운로드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
도 1은 종래의 조건부 액세스를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예,
도 2는 조건부 액세스 서비스의 개요도,
도 3은 방송 서비스에 종속되는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의 개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일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구체적 일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계층 구조에 관한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방법의 일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호스트 11-1: 튜너부
11-2: 복조부 11-3: 역다중화부
11-4: 엠팩 디코더부 11-5: 제어부
12: CAS 모듈 12-1: 제어부
12-2: 디스크램블러 40: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41: 호스트 41-1: 튜너부
41-2: 복조부 41-3: 역다중화부
41-4: 엠팩 디코더부 41-5: 제어부
41-6: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42: CAS 처리부
42-1: 제어부 42-2: 디스크램블 처리부
42-3: 보안 메모리부 43: 통신처리부
45: 디스플레이 모듈 46: 스피커
47: 통신 네트워크 48: 방송 서버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CAS: Conditional Access System)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나 사용자 고유의 비밀 키 등과 같은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방송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받아 즉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이 다양한 방송 환경에 호환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티브이(TV) 방송 서비스는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2010년경에는 완전히 디지털 방송만을 서비스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방송의 표준은 크게 유럽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과 미국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방식으로 나뉜다.
국내에서의 위성방송은 DVB 방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또한, 2005년 5월 1일 위성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지상파 DMB 방송 서비스는 시험방송을 거쳐 2006년 실시되었으며, 올해 시작되고 있는 IP TV 방송은 휴대 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기반 기술의 발전과 함께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고와 관리가 필요하며, 현재 부분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CAS: Conditional Access System)이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유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사업자는 송출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보호되고, 정당한 수신권한이 있는 인증 가입자에게만 제공된다는 것을 이러한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을 통해 보장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종래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이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는 크게 호스트(11)와 CAS 모듈(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튜너부(11-1)를 통해 수신된 암호화된 상태의 방송신호는 복조부(11-2)에서 암호화된 상태의 엠팩 전송 스트림(MPEG Transport Stream)으로 처리되고, 이 암호화된 엠팩 전송 스트림은 CAS 모듈(12)의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12-2)에서 복호화된다.
이 때, 호스트의 제어부(11-5)와 CAS 모듈의 제어부(12-1)는 서로 제어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그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크램블러(12-2)에서 복호화되어 출력되는 엠팩 전송 스트림은 호스트(11)의 역다중화부(11-3)에서 역다중화되고, 다시 엠팩 디코더부(11-4)에서 디코딩되어 RGB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송신단에서는 암호화(Scrambling)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고, 수신 인가를 받은 가입자만이 전달받은 신호를 복호화(Descrambling)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은 암호화/복호화, 권한 제어 기능(Entitlement Control)과 권한 관리 기능(Entitlement Management)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송신단에서는 전송될 데이터를 제어 워드(CW: Control Word)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수신단에서의 복호화는 해당 제어 워드(CW)를 획득할 수 있어야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조건부 액세스를 위한 처리과정의 개요를 설명하자면, 디지털 방송을 송신하는 송신단에서 플레인 데이터는 스크램블러를 통해 암호화되어 수신단으로 전송된다. 스크램블러는 제어 워드(CW)를 이용하여 플레인 데이터를 암호화하는데, 제어 워드는 10초 마다 1회 정도와 같이 자주 변경된다. 또한, 제어 워드는 인증 키에 의하여 암호화되어 수신단에 전송되고, 인증 키는 각 사용자들에게 고유하게 부여되는 비밀 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수신단에 전송된다. 이 때, 암호화된 제어 워드는 자격 제어 메시지(ECM: Entitlement Control Message)로 전송되고, 암호화된 인증 키는 자격 관리 메시지(EMM: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로 전송된다. 한편, 수신단에서는 자신에게 부여된 고유의 비밀 키를 이용하여 자격 관리 메시지(EMM)로부터 인증 키를 복호화하고, 다시 복호화된 인증 키를 이용하여 자격 제어 메시지(ECM)로부터 제어 워드(CW)를 복호화한다. 이러한 비밀 키는 스마트 카드에 존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디스크램블러는 복호화된 제어 워드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플레인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방식을 통해 조건부 액세스가 이루어질 수 있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준 인터페이스(Common Interface)를 통해 여러 종류의 CAS 모듈을 하나의 단말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방송 서비스에 따라 비밀 키나 디스크램블러 등 조건부 액세스를 위한 정보가 변경되어야만 하고, 이로 인한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인 CAS 모듈 교체 작업이나 유지/관리는 여전히 힘든 상태로 남아있다. 더구나 DVB에 관한 표준 인터페이스의 의무화는 단말기 업체들의 반대에 부딪혀 권장 사항으로 된 현실을 볼 때, 보다 효율적인 조건부 액세스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미래의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들은 위성, 지상파, 케이블 등 다양한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게 될 것이므로, 종래의 고정적인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의 구조는 비효율적이고 확장성에 문제가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살펴보자면, 방송 서비스 A에 가입한 사용자의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1은 방송 서비스 A를 수신하여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나, A 유형의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CAS) 만이 존재하므로 타 방송 서비스(방송 서비스 B 또는 방송 서비스 C)는 이용할 수 없다. 만일 이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 B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1 그 자체 또는 CAS 모듈을 방송 서비스 B에 관한 B 유형의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CAS)으로 교체해야만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현재 방송 서비스 B에 가입한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 A나 방송 서비스 C를 이용하려 할 때나, 방송 서비스 C에 가입한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 A나 방송 서비스 B를 이용하려 할 때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CAS: Conditional Access System)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나 사용자 고유의 비밀 키 등의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방송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받아 즉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방송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는, 조건부 액세스(Conditional Access)를 위한 정보를 전송해 주는 방송 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처리부; 암호화된 엠팩 전송 스트림(MPEG TS)을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하고, 상기 조건부 액세스 정보는 갱신 가능하도록 구성된 CAS 처리부; 및 상기 통신처리부를 통해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CAS 처리부에 설치하고, 방송망을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상기 CAS 처리부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과정을 거쳐 처리하는 호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조건부 액세스 정보는 해당 방송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는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 및 각 사용자에게 고유하게 부여되는 비밀 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CAS 처리부는 상기 호스트와 일체로 구성되거나,상기 호스트에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는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호스트는 해당 주파수 대역의 RF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상기 튜너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여 암호화된 엠팩 전송 스트림(MPEG TS)을 출력하는 복조부, 상기 CAS 처리부에서 복호화된 상기 엠팩 전송 스트림을 받아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역다중화된 신호를 엠팩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하는 MPEG 디코더부, 및 상기 호스트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통신처리부를 통해 상기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다운로드 하여 상기 CAS 처리부에 설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CAS 처리부는 고유한 비밀 키를 저장하는 보안 메모리부; 상기 보안 메모리부에 저장된 비밀 키를 이용하여 상기 복조부에서 출력하는 암호화된 엠팩 전송 스트림(MPEG TS)을 복호화하여 상기 역다중화부로 전달하는 디스크램블 처리부; 및 상기 호스트의 제어부와 제어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상기 CAS 처리부를 총괄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호스트의 제어부에서 전달하는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상기 보안 메모리부와 디스크램블 처리부에 설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방법은,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CAS: Conditional Access System)과 연동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서 방송 서비스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가 해당 방송 서비스의 조건부 액세스를 위한 정보를 전송해 주는 방송 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해당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다운로 드 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다운로드한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갱신된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에 관한 방송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조건부 액세스 정보는 해당 방송신호를 복화화할 수 있는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 및 각 사용자에게 고유하게 부여되는 비밀 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40)는 호스트(41),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CAS)의 역할을 수행하는 CAS 처리부(42), 통신처리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호스트(41)는 기본적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모듈(45)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예: RGB 신호)와 스피커(46)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로 만들어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정당한 사용자만이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CAS 처리부(42)와 연동한다. 특히, 통신처리부(43)를 통해 방송 서버(48)로부터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CAS 처리부(42)에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방송 환경에 호환될 수 있도록 한다.
통신처리부(43)는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전송해 주는 방송 서버(48)와 통신 네트워크(47)를 통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방송 서버(48)란 각종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가 자신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각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버를 의미한다.
통신 네트워크(47)는 양방향 통신을 위해 구비되는 리턴 채널(Return Channel)이나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40)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예: 유/무선 인터넷망)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4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가 셋탑 박스의 형태일 경우에는 리턴 채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리턴 채널도 인터넷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일 경우에는 Wibro나 Wi-Fi 등의 무선 이동통신망일 수도 있고,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일 경우에는 유선 인터넷망일 수 있다. 즉, 통신처리부(43)는 해당 통신 네트워크(47)를 통해 방송 서버(48)와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호스트(41)는 방송 서버(48)와의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CAS 처리부(42)는 호스트(41)에서 수신된 방송신호에 대하여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각 방송 서비스 제공자마다 특이하게 구성될 수 있는 비밀 키나 디스크램블러 등을 구비하고, 호스트(41)에서 수신된 암호화된 엠팩 전송 스트림(MPEG TS)을 복호화하여 다시 호스트(41)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CAS 처리부(42)는 갱신(Update)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호스트(41)에서 다운로드한 새로운 조건부 액세스 정보로 갱신될 수 있다.
방송 서버(48)로부터 다운로드하는 조건부 액세스 정보는 해당 방송신호를 복화화할 수 있는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나 각 사용자에게 고유하게 부여되는 비밀 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되고 CAS 처리부(42)에 설치되어 동작할 수 있는 임의의 조건부 액세스 정보일 수 있다.
또한, CAS 처리부(42)는 호스트(41)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호스트(41)에 필요에 따라 장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는 모듈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스마트 카드 등과 연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호스트(41)와 CAS 처리부(42)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6)는 사용자가 호스트(41)에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가 셋탑 박스의 형태로 구성된다면 호스트 자체에 구비되는 키 패드나, 원격제어기(Remote Controller)와 원격제어기에서 송출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IR 수신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가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의 형태로 구성된다면 이동통신단말기의 키 패드가 포함될 수 있고,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가 개인용 컴퓨터의 형태로 구성된다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메뉴를 제공하여 수신을 원하는 방송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방송 채널 선택 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조건부 액세스 정보의 다운로드 지시 등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튜너부(41-1)는 해당 주파수 대역의 RF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복조부(41-2)는 튜너부(41-1)에서 수신된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여 암호화된 엠팩 전송 스트림(MPEG TS)을 출력한다. 복조부(41-2)에서 출력된 앰펙 전송 스트림은 CAS 처리부(42)에서 복호화되어 다시 역다중화부(41-3)로 입력되며, 역다중화부(41-3)는 CAS 처리부(42)에서 복호화된 앰펙 전송 스트림을 받아 역다중화한다. 그리고, MPEG 디코더부는 역다중화부(41-3)에서 역다중화된 신호를 엠팩 디코딩(MPEG Decoding)하여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로 처리한다.
제어부(41-5)는 호스트(41)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6)를 통해 새로운 방송 서비스를 선택하면 통신처리부(43)를 통해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CAS 처리부(42)에 설치한다.
CAS 처리부(42)는 각 사용자에게 고유하게 부여되는 비밀 키를 저장하는 보안 메모리부(42-3), 보안 메모리부(42-3)에 저장된 비밀 키를 이용하여 자격 관리 메시지(EMM)로부터 인증 키를 추출하고, 추출된 인증 키를 이용하여 자격 제어 메시지(ECM)로부터 제어 워드(CW)를 추출한 후, 추출된 제어 워드(CW)를 이용하여 엠팩 전송 스트림을 복호화하는 디스크램블 처리부(4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CAS 처리부의 제어부(42-1)는 호스트의 제어부(41-5)와 제어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CAS 처리부(42-1)를 총괄적으로 제어하고, 호스트의 제어부(41-5)에서 전달하는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보안 메모리부(42-3)와 디스크램블 처리부(42-2)에 설치한다.
도 5를 참조하여, 호스트(41)와 CAS 처리부(42)를 구성하는 실시예를 계층 구조 측면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호스트(41)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재생(Play)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프로그램 계층(Applications),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 제공자의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선택하여 다운로드를 지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계층(UI: User Interface), CODEC 등 방송 시청을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지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계층(Player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CAS 처리부(42)의 구동을 제어하는 CAS 모듈 관리 계층(CAS Module Boot Manager), CAS 처리부(42)와의 통신 프로토콜을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Interface Protocol), CAS 처리부(42)와의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인터페이스 호스트 계층(Interface Host), 각종 구동 드라이버로 이루어지는 표준 드라이버 계층(Common Driver), 및 호스트(41)의 전체적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포함하는 운영체제 커널 계층(OS Kerne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CAS 처리부(42)는 호스트(41)와의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 계층(Interface Client), 호스트(41)와의 통신 프로토콜을 관리하는 프로토콜 관리자 계층(Protocol Manager), CAS 처리부(42)를 총괄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하는 조건부 액세스 관리자 계층(CA Manager), CAS 처리부의 운영체제로 이루어지는 실시간 운영체제 계층(Real Time OS), 보안 메모리부의 구동을 위한 보안 메모리 드라이버 계층(Secure Memory Driver), 각종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계층(Device Drivers), 호스트(41)에서 전달하는 암호화된 엠팩 전송 스트림에서 필요 정보를 추출하는 섹션 필터 계층(Section Filter), 및 섹션 필터 계층에서 추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엠팩 전송 스트림을 복호화하는 디스크램블러 계층(Descramblers)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계층 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호스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시청을 원하는 새로운 방송 서비스를 선택하면(S71), 호스트는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리턴 채널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방송 서비스에 대한 조건부 접근을 승인할 수 있는 방송 서버에 접속하여 조건부 액세스 정보의 다운로드를 요청한다(S72). 이 때, 방송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조건부 액세스 정보는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나 각 사용자에게 고유하게 부여되는 비밀 키와 같이 조건부 액세스를 위해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인증에 필요한 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호스트는 방송 서버로부터 해당 방송 서비스를 위한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다운로드하며(S73), CAS 모듈과 통신하여 단계 S73에서 다운로드한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CAS 모듈에 설치함으로써 CAS 모듈을 갱신한다(S74). 그러면, 호스트는 갱신 완료된 CAS 모듈을 이용하여 해당 방송 서비스에 관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복호화할 수 있게 되어 해당 방송 서비스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S75).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CAS)을 SDMB, TDMB, DMB-T, IP TV 등 각종 방송 환경에 호환시킬 수 있으며,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CAS)을 방송 환경에 독립적으로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건부 액세스 서비스의 관리가 매우 편리해지고,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개발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Claims (8)

  1. 조건부 액세스(Conditional Access)를 위한 정보를 전송해 주는 방송 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처리부;
    암호화된 엠팩 전송 스트림(MPEG TS)을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하고, 상기 조건부 액세스 정보는 갱신 가능하도록 구성된 CAS 처리부; 및
    상기 통신처리부를 통해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CAS 처리부에 설치하고, 방송망을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상기 CAS 처리부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과정을 거쳐 처리하는 호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조건부 액세스 정보는 해당 방송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는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 및 각 사용자에게 고유하게 부여되는 비밀 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AS 처리부는 상기 호스트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AS 처리부는 상기 호스트에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는 모듈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해당 주파수 대역의 RF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상기 튜너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여 암호화된 엠팩 전송 스트림(MPEG TS)을 출력하는 복조부, 상기 CAS 처리부에서 복호화된 상기 엠팩 전송 스트림을 받아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역다중화된 신호를 엠팩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하는 MPEG 디코더부, 및 상기 호스트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통신처리부를 통해 상기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다운로드 하여 상기 CAS 처리부에 설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AS 처리부는
    고유한 비밀 키를 저장하는 보안 메모리부;
    상기 보안 메모리부에 저장된 비밀 키를 이용하여 상기 복조부에서 출력하는 암호화된 엠팩 전송 스트림(MPEG TS)을 복호화하여 상기 역다중화부로 전달하는 디스크램블 처리부; 및
    상기 호스트의 제어부와 제어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상기 CAS 처리부를 총괄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호스트의 제어부에서 전달하는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상기 보안 메모리부와 디스크램블 처리부에 설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7.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CAS: Conditional Access System)과 연동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서 방송 서비스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가 해당 방송 서비스의 조건부 액세스를 위한 정보를 전송해 주는 방송 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해당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다운로드한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갱신된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에 관한 방송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조건부 액세스 정보는 해당 방송신호를 복화화할 수 있는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 및 각 사용자에게 고유하게 부여되는 비밀 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방법.
KR1020060109394A 2006-11-07 2006-11-07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41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394A KR20080041369A (ko) 2006-11-07 2006-11-07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394A KR20080041369A (ko) 2006-11-07 2006-11-07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369A true KR20080041369A (ko) 2008-05-13

Family

ID=3964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394A KR20080041369A (ko) 2006-11-07 2006-11-07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13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885B1 (ko) * 2007-12-10 2010-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운로드 가능한 제한수신시스템에서의 상호 인증 방법 및그 장치
KR100950599B1 (ko) * 2008-10-16 2010-04-01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Dcas 적용 방법 및 장치
KR100974471B1 (ko) * 2010-02-03 2010-08-10 주식회사 솔라시아 스마트카드를 포함하는 휴대가능한 usb 셋탑박스 시스템 및 usb 셋탑박스 실행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885B1 (ko) * 2007-12-10 2010-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운로드 가능한 제한수신시스템에서의 상호 인증 방법 및그 장치
US8621218B2 (en) 2007-12-10 2013-12-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mutual authentication in 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
KR100950599B1 (ko) * 2008-10-16 2010-04-01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Dcas 적용 방법 및 장치
KR100974471B1 (ko) * 2010-02-03 2010-08-10 주식회사 솔라시아 스마트카드를 포함하는 휴대가능한 usb 셋탑박스 시스템 및 usb 셋탑박스 실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199B1 (ko) 휴대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제한 수신 방법
JP4870078B2 (ja) 低階層キー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I415463B (zh) 介於一解密器件與一電視接收器間安全通信之方法及裝置
JP2008541618A (ja) アクセス情報をキャッシュして高速デジタル・ケーブル・チューニングを行う方法及び装置
KR20030013365A (ko) 지능형 송수신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WO2008007045A1 (en) Decoding media content at a wireless receiver
KR101578131B1 (ko) 케이블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제한 방송 수신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20060095935A1 (en)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signal
KR100926910B1 (ko) Dcas 기반의 멀티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3560212A1 (en) Securing transmission of content from a smart card in a host television receiver to a client television receiver
JP2007501556A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コピープロテクトアプリケーション
KR20080041369A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1631501B1 (ko) 수신 제한 시스템
US9100677B2 (en) Server, client device, method for generating a transport stream thereof and processing the transport stream thereof
KR100981252B1 (ko) 쿠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JP2004007185A (ja) 放送受信機、情報処理装置、通信装置、及び情報配信方法
CN101536495A (zh) 数字电视频道的调谐方法和设备
JP2002064798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視聴契約情報管理装置及び番組認証方法
KR101217225B1 (ko) 방송처리장치 및 방송처리방법
WO2007132856A1 (ja) アドレス生成方法および放送受信装置
EP2597883A1 (en) Method, cryptographic system and security module for descrambling content packets of a digital transport stream
JP2004208107A (ja) スクランブル放送システム、放送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2003264541A (ja) ディジタル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43136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한 무선 네트웍 시스템
KR100948487B1 (ko) 이동통신망 기반의 방송시청 권한 부여 시스템 및 방법,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