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286A - 위급 상황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급 상황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286A
KR20080041286A KR1020087007608A KR20087007608A KR20080041286A KR 20080041286 A KR20080041286 A KR 20080041286A KR 1020087007608 A KR1020087007608 A KR 1020087007608A KR 20087007608 A KR20087007608 A KR 20087007608A KR 20080041286 A KR20080041286 A KR 20080041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authority
adjust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본 에이. 모크
에릭 티. 이튼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41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the usage mode, e.g. hands-free, data transmission,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automatic activation of emergency service functions, e.g. upon sensing an ala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통신 장치(102)의 향상된 동작 모드를 인에이블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 방법은 이동 통신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인가 기관으로부터 인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502)를 포함한다. 그 후 인가 기관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인가 메시지가 확인된다. 인가 메시지의 신뢰성이 검증되면, 이동 통신 장치의 향상된 동작 모드가 인에이블링되며(506), 이로써 위급 상황에서도 인가 기관과 이동 통신 장치 사이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이동 통신(mobile communication), 전송 범위(transmit range), 향상된 동작 모드(enhanced operating mode), 위급 상황(emergency situation)

Description

위급 상황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EMERGENCY SITUATION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분야에 관련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위급 상황에서의 무선 통신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와 같은 무선 장치는 오늘날 거의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무선 장치는 사고, 재난, 자연 재해 등과 같은 위급 상황에서 특히 유용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 처한 피해자들은 긴급한 도움을 필요로 한다. 이동 전화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는, 이러한 피해자들이 구조대에게 자신들의 위치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
패밀리 라디오 서비스(FRS) 및 초단파(VHF)와 같은 기술이 이러한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FRS에 기반한 무선 통신 장치는 워키토키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극초단파(UHF) 대역에서 동작하고, 피해자와 구조대 사이에 양방향의 일대일(point-to-point)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기술들은 구조대에게 개별 송수신기(transceiver)를 구비한 항공기 같은 운송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송수신기는 피해자의 이동 통신 장치에게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고 피해자의 이동 통신 장치로부터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송수신기는 피해자의 이동 통신 장치를 위한 개별 송수신탑처럼 동작하여, 피해자와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하지만 전술한 기술들은 피해자와 구조대 사이의 통신을 한정된 물리적 영역 내로 제한한다. 이는 이동 통신 장치와의 통신은, 이동 통신 장치가 송수신기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에 의존하기 때문이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동 통신 장치가 전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동작할 수도 있고, 또는 피해자가 자신의 위치를 구조대에게 알리기 위해 이동 통신 장치를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는 종종 피해자 추적을 지체시키고, 피해자를 매우 곤란하게 한다. 또한, 길게 이어지는 구조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발생되는 추가 비용 또한 상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정이 아닌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고,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환경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향상된 동작 모드 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가 기관(authority)의 구성요소를 도시 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장치의 향상된 동작 모드를 인에이블링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당업자라면, 도면의 구성요소들이 간결성과 명확성을 추구하여 도시되었으며 반드시 크기를 비교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의 몇몇 구성 요소들의 크기가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되게 표현되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위급 상황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특징은 주로 위급 상황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련된 방법 단계 및 장치 구성요소의 결합에 있다는 것을 주목할 것이다. 따라서, 도면의 통상적인 기호로 장치 구성요소 및 방법 단계를 적절히 표현하였다. 당업자에게 자명한 항목들로 명세서를 불명료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해와 관련된 특정 항목만을 도시한다.
이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최상 및 최하 등의 상대적인 표현들은 하나의 개체 또는 행위를 다른 개체 또는 행위와 단지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반드시 그러한 개체 또는 행위 사이에 실제로 그러한 관계나 순서를 요구 또는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포함하다", "포함하는", 또는 이들이 변형된 기타 단어들은, 비배타적인 포함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일 목록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절차, 방법, 물건, 장치는 그 구성요소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고, 목록에 명시적으로 포함되지 않은 구성요소, 또는 그러한 절차, 방법, 물건, 또는 장치에 고유한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많은 제한이 없다면, "포함하다" 뒤에 나오는 구성요소는, 해당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절차, 방법, 물건, 또는 장치 내의 추가적인 동일 구성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이라는 단어는, 이 명세서에서 적어도 두 번째 또는 두 번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 명세서에서, "포함하다(including)" 또는 "구비하다(having)"라는 단어는 "포함하다(comprising)"로 정의된다. 이 명세서에서, "프로그램"이라는 단어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도록 설계된 일련의 명령어들로 정의된다.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은 서브루틴, 함수, 프로시저, 객체 메소드, 객체 구현, 실행 가능 응용프로그램, 애플릿, 서블릿, 소스 코드, 객체 코드, 공통 라이브러리/동적 로드 라이브러리, 및/또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도록 설계된 기타 일련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장치의 향상된 동작 모드를 인에이블링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향상된 동작 모드를 인에이블링하기 위하여, 인가 기관으로부터 인가 메시지(authorization message)가 수신된다. 인가 메시지는 인증(authenticate)된다. 인가 메시지의 인증에 응하여 이동 통신 장치의 향상된 동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향상된 동작 모드를 구비한 이동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이동 통신 장치는 인가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인가 메시지를 인증하기 위한 수단, 및 이동 통신 장치의 향상된 동작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인가 메시지는 인가 기관으로부터 수신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장치의 향상된 동작 모드를 인에이블링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인가 기관으로부터 인가 메시지를 수신하고, 인가 메시지를 인증하며, 이동 통신 장치의 향상된 동작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환경(100)을 도시한다. 이 예시적인 환경에서, 이동 통신 장치(102)는 인가 기관(104)과 통신할 수 있다. 이동 통신 장치(102)의 예에는 이동 전화, PDA, GPS 장치가 포함된다. 인가 기관(104)의 예에는, 항공기 내의 송수신국(transceiver station) 및 헬리콥터의 직접 무선 통신 세트(direct radio communication set)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환경(100)에는 이러한 이동 통신 장치 및 인가 기관이 다수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장치(102)는 표준 동작 모드 및 향상된 동작 모드 등 서로 다른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향상된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장치(102)의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메터가 조정된다. 전송 파라메터는, 예를 들어 전송 전력, 전력 소모량, 및 이동 통신 장치(102)가 전송하는 다양한 신호와 관련된다. 이동 통신 장치(102)는, 예를 들어 전파와 같은 무선 수단을 사용하여 인가 기관(104)과 통신한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인가 기관(104)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장치(102)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전송 범위가 정해져 있다.
도 1의 범위 원(106, 108, 및 1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장치(102) 및 인가 기관(104)의 전송 범위를 도시한다. 표준 동작 모드에서, 이동 통신 장치(102)의 전송 범위는 반경 'R1'을 가지는 범위 원(106)으로 도시되었다. 표준 동작 모드에서는 인가 기관(104)이 전송 범위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동 통신 장치(102)의 표준 동작 모드에 있을 때, 인가 기관(104)이 이동 통신 장치(102)로부터의 전송을 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향상된 동작 모드에 있을 때는, 이동 통신 장치(102)의 전송 범위가 반경 'R2'까지 증가한다. 반경 'R2'를 가지는 범위 원(108)은 증가된 전송 범위를 도시한다. 이제 인가 기관이 증가된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향상된 동작 모드에서는 인가 기관(104)과 통신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인가 기관(104)은 이동 통신 장치(102)의 증가된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하므로, 이동 통신 장치(102)로부터의 전송을 수신한다. 이와 유사하게, 범위 원(110)은 인가 기관(104)의 전송 범위를 도시하는데, 인가 기관은 이동 통신 장치(102)에게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장치(102)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동 통신 장치(102)는 수신 모듈(202), 인증 모듈(204), 향상된 동작 모드 모듈(206), 및 전송 모듈(208)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202)은 인가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인가 메시지는 이동 통신 장치(102)의 향상된 동작 모드를 인에이블링하는, 이동 통신 장치(102)를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인가 메시지는 인가 기관(104)으로부터 수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가 메시지는 인가 기관(104)의 디지털 권한 인증서(digital authorization certificate)를 포함한다. 디지털 권한 인증서는 인가 기관(104)과 관련된 식별 코드이다. 또한 수신 모듈(202)은 인가 기관(104)이 전송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인증 모듈(204)은 디지털 권한 인증서를 인증하기 위한 수단이다. 인증 모듈(204)은 디지털 권한 인증서를 확인하여 인가 기관(104)을 인증한다. 예를 들어, 인증 모듈(204)은 미리 정해진 유효한 위급 인가 기관의 디지털 권한 인증서 리스트를 확인한다. 만약 디지털 권한 인증서가 미리 정해진 리스트 내의 어떤 디지털 권한 인증서와 일치한다면, 인가 기관(104)은 인증된다. 유효한 위급 인가 기관은 구조 작업을 수행할 자격이 생기고, 위급 상황에 있는 이동 통신 장치(102)의 향상된 동작 모드를 인에이블링할 수 있다. 유효한 응급 기관의 예에는 미국 윌더니스 수색대(Wilderness Search), 남아프리카 구조대(Rescue of South Africa), 및 미국 해안 경비대(the United States Coast Guards)가 포함된다.
디지털 권한 인증서를 인증하면, 향상된 동작 모드 모듈(206)은 이동 통신 장치(102)의 향상된 동작 모드를 인에이블링한다. 환언하면, 향상된 동작 모드 모듈(206)은 이동 통신 장치(102)의 향상된 동작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전송 파라미터의 조정은 인가 메시지 내의 명령을 따른다. 향상된 동작 모드에서, 전송 모듈(208)은 인가 기관(104)과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향상된 동작 모드에서 전송 모듈(208)은 범위 원(108) 상의 증가된 범위에 정보 신호를 전송한다. 정보 신호는 전송 타이밍 시퀀스에 따라 전송된다. 전송 타이밍 시퀀스는 이동 통신 장치(102)가 전송하고 있는 정보 신호의 주기성을 결정한다. 그 결과 정보 신호는 전송 지점으로부터 'R2'만큼의 거리까지 확실하게 전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향상된 동작 모드 모듈(206)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향상된 동작 모드 모듈(206)은 전송 전력 모듈(302), 전송 타이밍 시퀀스 모듈(304), 위치 정보 모듈(306), 절전 모듈(308), 및 직접 통신 모듈(310)을 포함한다. 전송 전력 모듈(302)은 이동 통신 장치(102)의 전송 전력을 변경하기 위한 수단이다. 전송 전력이란 전송 모듈(208)이 예를 들어 정보 신호를 전송하는 전력을 말한다. 향상된 동작 모드에서는, 전송 전력이 표준 동작 모드에서 사용되는 미리 정해진 값보다 더 큰 값까지 증가될 수 있다. 이것이 이동 통신 장치(102)의 전송 범위를, 예를 들어 범위 원(108)과 같이 증가된 전송범위로 변화시킨다.
전송 타이밍 시퀀스 모듈(304)은 전송 모듈(208)의 전송 타이밍 시퀀스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조정은 인가 메시지 내의 명령에 의존한다. 전송 타이밍 시퀀스는 이동 통신 장치(102)가 정보 신호를 반복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송 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정보 신호가 미리 정해진 횟수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정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비트 조합 알고리즘(bit-combining algorithm)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정보 신호가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환언하면, 고정된 간격을 두고 정보 신호의 전송이 반복된다. 인가 기관(104)은 정보 신호로부터 이동 통신 장치(102)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가 기관(104)은 정보 신호가 도착하는 시간을 측정하고, 도플러 이동 기법을 사용하여 정보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이동 통신 장치(102)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장치(102)는 자신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306)은 이동 통신 장치(102)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GPS 서비스를 사용하여 이동 통신 장치(102)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획득된다. 그 다음에 전송 모듈(208)은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인가 기관(104)은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인가 기관(104)은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이동 통신 장치(102)의 사용자를 추적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가 기관(104)으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이동 통신 장치(102)는 응답 신호 또는 특정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인가 기관(104)은 응답 신호를 처리하여 이동 통신 장치(102)의 위치를 판단한다.
이동 통신 장치(102)의 배터리 전력이 부족한 상태인 경우, 이동 통신 장치(102)의 절전 모듈(308)은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절전 모듈(380)은 이동 통신 장치(102)의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링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향상된 동작 모드가 인에이블링되면, 수신 모듈(202)이 비활성화 또는 디스에이블링될 수 있는데, 이는 이동 통신 장치(102)가 인가 기관(104)에게만 정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른 예로, 이동 통신 장치(102)가 인에이블링되어 배터리의 예비 전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
직접 통신 모듈(310)은 인가 기관(104)과의 직접 통신 링크를 성립시킬 수 있다. 직접 통신 링크는 송수신탑을 거치지 않고 이동 통신 장치(102)와 인가 기관(104) 사이에 양방향 직접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직접 통신 링크의 예에는 워키토키 링크 및 장거리 패밀리 라디오 서비스(FRS)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가 기관(104)으로부터 인가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동 통신 장치(102)의 사용자에게 어떤 표시가 제공된다. 인가 기관(104)과의 통신 링크가 성립되었을 때 역시 사용자에게 통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수신 모듈(202)은 이동 통신 장치(102)의 비주얼 디스플레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인가 메시지를 수신하면, 비주얼 디스플레이는 이동 통신 장치(102)에 특정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 링크가 성립되면 비주얼 디스플레이에 메시지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가 기관(104)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인가 기관(104)은 위치 식별 모듈(402), 디지털 권한 인증서 저장소 모듈(digital authorization certificate storage module; 404), 인가 송신 모듈(406), 및 인가 수신 모듈(408)을 포함한다. 위치 식별 모듈(402)은 이동 통신 장치(102)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이다. 위치 식별 모듈(402)은 삼각법을 사용하여 이동 통신 장치(102)가 송신한 응답 신호를 처리하여, 이동 통신 장치(102)의 위치를 판단한다. 이동 통신 장치(102)의 위치는, 인가 기관(104)으로부터 이동 통신 장치(102)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 그리고 인가 기관(104)을 기준으로 이동 통신 장치(102)가 위치한 상대적인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위치 식별 모듈(402)은 이동 통신 장치(102)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통신 장치(102)의 위치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가 기관(104)은 서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이동 통신 장치(102)로부터의 정보 신호를 수신한다. 그 후 위치 식별 모듈(402)은 정보 신호를 처리하여 이동 통신 장치(102)의 위치를 판단한다.
디지털 권한 인증서 저장소 모듈(404)은 인가 기관(104)의 디지털 권한 인증서를 저장한다. 인가 전송 모듈(406)은 데이터 신호 및 인가 메시지를 이동 통신 장치(102)에게 전송한다. 인가 수신 모듈(408)은 이동 통신 장치(102)가 전송한 정보 신호 및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장치(102)의 향상된 동작 모드를 인에이블링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502)에서 인가 기관(104)으로부터 인가 메시지가 수신된다. 단계(504)에서, 인가 기관(104)의 신뢰성(authenticity)을 검사하기 위하여 인가 메시지가 확인된다. 디지털 권한 인증서가 신뢰성을 가지면, 단계(506)에서 인가 메시지 내의 명령에 따라 이동 통신 장치(102)의 향상된 동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향상된 동작 모드를 통하여 이동 통신 장치(102)의 전송 범위를 확대하여, 이동 통신 장치와 인가 기관 사이의 원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지닌다. 이동망의 송수신탑이 없을 때에도 이동 통신 장치와 인가 기관 사이의 직접 통신이 성립될 수 있다. 또한, 인가 기관은 이동 통신 장치가 저전력으로 동작중일 때에도 이동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는 이동 통신 장치의 예비 전력을 사용함으로써, 및/또는 이동 통신 장치의 수신기를 디스에이블링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위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없을 때에도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신속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효율적인 구조 작업 실시를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통신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특정 비프로세서(non-processor) 회로와 함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제어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통신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기능 일부, 대부분, 또는 전부를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종래 프로세서 및 고유한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비프로세서 회로는 전파 수신기, 전파 송신기, 신호 구동기, 클락 회로, 전원 회로, 및 사용자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이동 통신 장치의 향상된 동작 모드의 인에이블링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를 가지지 않는 상태 머신에 의해 기능 일부 또는 전부가 구현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ASIC 내에 기능 일부 또는 전부가 구현될 수 있는데, 각각의 기능 또는 특정 기능의 몇몇 조합들이 커스텀 로직으로서 구현된다. 물론 두 가지 접근법의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들의 방법 및 수단을 본 명세서에 기술하였다.
비록 당업자라 할지라도, 예를 들어 이용 가능한 시간, 현재의 기술, 및 경제성에 대한 고려 등에 따라 다양한 설계를 선택할 수 있고 상당한 노력이 필요할 가능성이 있지만, 당업자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 및 원리에 따른다면, 최소한의 실험으로도 이러한 소프트웨어 명령어, 프로그램, 및 IC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장점과 이점을 기술하였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청구항에 기술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수정 및 변경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러한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이점, 장점, 문제 해결책들, 그리고 그러한 이점, 장점, 또는 해결책의 원인이 되거나 이들을 초래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요소(들), 또는 그러한 이점, 장점, 또는 해결책을 좀 더 명백하게 만드는 임의의 구성요소(들)는, 청구항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중요한, 필요한, 또는 필수적인 특징 또는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오로지 본 출원이 계속되는 동안에 이루어진 모든 보정 사항을 포함하는 첨부된 청구항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Claims (10)

  1. 이동 통신 장치의 향상된 동작 모드를 인에이블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인가 기관(authority)으로부터 인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가 메시지(authorization message)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인가 메시지를 인증(authenticate)함에 응하여, 상기 이동 통신 장치의 상기 향상된 동작 모드(enhanced operating mode)를 인에이블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상된 동작 모드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메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메터를 조정하는 단계는 전송 전력을 향상 레벨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메터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의 전송 타이밍 시퀀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메터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가 기관으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메터를 조정하는 단계는 정보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메터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메터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 및 상기 인가 기관 사이에 직접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향상된 동작 모드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의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장치의 상기 절전 모드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의 수신 모드를 디스에이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87007608A 2005-08-31 2006-08-03 위급 상황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412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16,290 US20070049251A1 (en) 2005-08-31 2005-08-31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emergency situations
US11/216,290 2005-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286A true KR20080041286A (ko) 2008-05-09

Family

ID=3780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608A KR20080041286A (ko) 2005-08-31 2006-08-03 위급 상황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049251A1 (ko)
EP (1) EP1925145A2 (ko)
KR (1) KR20080041286A (ko)
CN (1) CN101352027A (ko)
AR (1) AR055408A1 (ko)
WO (1) WO200702735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9578A (en) * 2010-04-15 2011-10-19 Nec Corp Making emergency calls without the need for re-authentication
US20130278385A1 (en) * 2011-08-29 2013-10-24 Lonny Baski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a received alert
EP2790714A4 (en) 2011-12-16 2015-08-05 Kalos Therapeutics Inc METHODS AND USES OF PEPTIDES SSOCIATED TO ANP (ATRIAL NATRIURETIC PEPTIDE), BNP (NATRIURETIC BRAIN PEPTIDE), AND CNP (NATRIURETIC PEPTIDE TYPE C) AND DERIVATIVE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RETINO DISORDERS AND DISEASES
US9051043B1 (en) 2012-12-28 2015-06-09 Google Inc. Providing emergency medical service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US8930044B1 (en) 2012-12-28 2015-01-06 Google Inc. Multi-part navigation process by a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navigating to a medical situatiion
US8909391B1 (en) 2012-12-28 2014-12-09 Google Inc. Responsive navig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to a remedial facility
US8983682B1 (en) 2012-12-28 2015-03-17 Google Inc. Unlocking mobile-device and/or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ility in an emergency situation
US8948935B1 (en) 2013-01-02 2015-02-03 Google Inc. Providing a medical support device via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9420445B2 (en) * 2014-01-08 2016-08-16 Cisco Technology, Inc. Universal code for emergency calls mode in a network environment
US10239638B1 (en) 2014-05-10 2019-03-26 Wing Aviation Llc Home station for unmanned aerial vehicle
US10604252B2 (en) 2016-11-22 2020-03-31 Wing Aviation Llc Landing and payload loading structures
US10691142B2 (en) 2017-12-21 2020-06-23 Wing Aviation Llc Anticipatory dispatch of UAVs to pre-staging locations
CN109034412A (zh) * 2018-07-11 2018-12-18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杆塔权限的远程许可装置及其方法
EP3672286B1 (en) * 2018-12-20 2022-04-27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asset tracking within a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US11667402B2 (en) 2020-09-08 2023-06-06 Wing Aviation Llc Landing pad with charging and loading functionality for unmanned aerial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7791A (en) * 1989-06-26 1991-12-3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unauthorized transmissions
US5365570A (en) * 1992-06-02 1994-11-15 Boubelik Mark J Emergency cellular telephone apparatus
US5903844A (en) * 1997-02-04 1999-05-1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mote unit lo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FI113119B (fi) * 1997-09-15 2004-02-27 Nokia Corp Menetelmä tietoliikenneverkkojen lähetysten turvaamiseksi
US6930997B1 (en) * 1998-01-28 2005-08-1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ervices in communication system
US6223047B1 (en) * 1998-08-26 2001-04-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xtended sleep mode method and apparatus
US6285867B1 (en) * 1998-10-16 2001-09-04 American Secure Care, Llc Combination emergency phone and personal audio device
US6516188B1 (en) * 1999-11-22 2003-02-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emergency service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359716B2 (en) * 2003-01-31 2008-04-15 Douglas Rowitch Location based service (LBS)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orization of mobile station LBS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55408A1 (es) 2007-08-22
EP1925145A2 (en) 2008-05-28
US20070049251A1 (en) 2007-03-01
WO2007027358A2 (en) 2007-03-08
WO2007027358A3 (en) 2008-05-02
CN101352027A (zh)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1286A (ko) 위급 상황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951944B2 (en) Localization and passive entry/passive start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s
US11597350B2 (en) Passive entry/passive start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s
CN111918797B (zh) 用于为车辆提供基于蓝牙的被动进入和被动启动(peps)的方法和系统
US9820215B2 (en) Method and device to prohibit communications which require active participation by the driver of a vehicle
US10427643B1 (en) Defense against relay attack in passive keyless entry systems
US20140215567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JP5082937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101517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Jamming Of Communications
KR20200006533A (ko) 릴레이 공격에 대해 시스템을 방어하기 위한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수동 차량 액세스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방법
KR20160048004A (ko) 휴대기, 통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20160081509A (ko) 스마트키 시스템의 동작방법
US20180276924A1 (en) Vehicle-mounted device, portable device, and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5054194U (zh) 一种智能钥匙手环
US202003045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ctive relay station attacks between two multimedia communication platforms
JP2016038320A (ja) 位置推定装置
JP2018137610A (ja) 通信システム
US20200077263A1 (en) Electronic device,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safeguard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JP4645442B2 (ja) 認証システムおよび本体側装置
US20220332283A1 (en) Control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system
JP7258634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機
JP7079710B2 (ja) 不正通信防止システム及び不正通信防止方法
JP201708784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3034212A (ja) 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3034213A (ja) 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