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198A - 미세기포액생성장치와 이를 사용한 기포미세화기 - Google Patents

미세기포액생성장치와 이를 사용한 기포미세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198A
KR20080041198A KR1020087003689A KR20087003689A KR20080041198A KR 20080041198 A KR20080041198 A KR 20080041198A KR 1020087003689 A KR1020087003689 A KR 1020087003689A KR 20087003689 A KR20087003689 A KR 20087003689A KR 20080041198 A KR20080041198 A KR 20080041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bubble
upstream
downstream side
down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게 기쿠치
가즈미 이시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키쿠치 에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키쿠치 에코아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키쿠치 에코아스
Priority to KR102008700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1198A/ko
Publication of KR2008004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1/00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 Y10S261/56Variable venturi

Abstract

충분히 미세한 기포를 포함하는 미세기포액의 생성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간이하고 저렴한 미세기포액생성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기포미세화기를 제공한다. 액체공급원(10)으로부터 액체를 흡인하고 그 흡인한 액체를 압송하기 위한 압력펌프 D를 액수송관로 P에 마련하고, 그 압력펌프 D의 흡압력에 의해 액체에 기체를 혼합해서 기포액을 생성하는 기포액생성기 A를 상기 압력펌프 D의 송액방향상류측의 액수송관로 P에 배치하고, 그 기포액생성기 A로 생성한 기포액에 포함되는 기포를 미세화하는 제1기포미세화기 B를 기포액생성기A의 송액방향하류측의 액수송관로 P에 배치하고, 제1기포미세화기 B로 미세화한 기포를 더욱 미세화하는 제2기포미세화기 F를 그 제1기포미세화기 B의 송액방향하류측의 액수송관로에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미세기포액, 기포미세화기, 흡·배압력

Description

미세기포액생성장치와 이를 사용한 기포미세화기{Apparatus for creating liquid with fine air bubbles, and device for fining air bubbles, use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폐액중에 포함되는 유지류의 분리처리나 잉여진흙처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세기포액생성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기포미세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미세기포액생성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117365호에 개시된 구성이 있다.
이 종래의 미세기포액생성장치는 액체 및 기체의 혼합 유체를 흡인하는 기체액체혼합펌프, 기체액체혼합펌프의 토출유체에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기, 및 기체액체혼합펌프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를 구비하고, 기체액체혼합펌프의 케이싱의 내주에 세로방향으로 좁은 환상의 유체통로를 형성하고, 물레바퀴의 외주에 유체통로로 돌출하는 다수의 교반날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특허문헌1 : 공개특허공보 제2003-117365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미세기포액생성장치에서는 단일인 기체액체혼합펌프에 의해 소정의 미세기포를 동시에 생성하려고 한 것이기 때문에, 케이싱의 내주에 세 로방향으로 좁은 환상의 유체통로를 형성하고, 또한, 물레바퀴의 외주에 유체통로로 돌출하는 다수의 교반날개를 마련하는 등의 복잡한 구조로 할 필요가 생긴다. 또한, 기체액체혼합펌프의 회전속도를 정확하게 컨트롤하기 위한 인버터를 채용하지 않으면 아니 되고 고가가 되지 않을 수 없었다. 또한, 기체액체혼합펌프 등의 보수점검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복잡하고 특수한 구조를 숙지할 필요가 있어 그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를 간소화해서 낮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보수·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에 더해, 충분히 미세한 기포를 포함하는 미세기포액의 생성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미세기포액생성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기포미세화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액생성장치는 미세한 기포를 포함하는 미세기포액을 생성하는 것이며, 액체공급원으로부터 액체를 흡인하고 그 흡인한 액체를 압송하기 위한 압력펌프를 액수송관로에 마련하고, 상기 압력펌프의 흡압력에 의해 액체에 기체를 혼합해서 기포액을 생성하는 기포액생성기를 그 압력펌프의 송액방향상류측의 액수송관로에 배치하고, 그 기포액생성기로 생성한 기포액에 포함되는 기포를 미세화하는 제1기포미세화기를 그 기포액생성기의 송액방향하류측의 액수송관로에 배치하고, 제1기포미세화기로 미세화한 기포를 더욱 미세화하는 제2기포미세화기를 그 제1기포미세화기의 송액방향하류측의 액수송관로에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압력펌프의 흡압력에 의해, 액체공급원으로부터 액체가 흡인되는 동시에 기포액생성기에서 액체에 기체가 혼합되어서 기포액이 생성되고, 그 생성된 기포액은 제1기포미세화기, 제2기포미세화기에 순차 압송되면서, 기포액에 포함되는 기포가 차례로 미세화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포미세화기는 액수송관로에 따른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단면적으로 한 상류측 기포액로, 이의 하류측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하류측 기포액로가 연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포액이 상류측 기포액로에서 하류측 기포액로에 흐르는 사이에 큰 압력변화가 생기고, 그 큰 압력변화에 의해 기포가 파괴되어서 미세화된다.
청구항1∼16에 기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공급원으로부터 액체가 흡인되는 동시에 기포액생성기에서 액체에 기체가 혼합되어 기포액이 생성되고, 그 생성된 기포액은 제1기포미세화기, 제2기포미세화기에 순차압송되면서, 기포액에 포함되는 기포가 차례로 미세화되므로, 충분히 미세한 기포를 포함하는 기포액의 생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기포미세화기를 이용해서 기포액에 포함되어 있는 기포를 서서히 미세화하고 있으므로 이들 각 구조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보수, 점검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저가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청구항에 기재한 발명으로 얻을 수 있는 공통인 효과 이외의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개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2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1에 기재된 기포액생성기와 압력펌프와의 사이의 액수송관로에 제1기포미세화기를 배치하고, 또한 그 압력 펌프의 송액방향하류측의 액수송관로에 제2기포미세화기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압력펌프의 흡압력에 의해 기포액생성기를 작동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압력펌프의 밀어내는 압력에 의해 제2기포미세화기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청구항3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2에 기재된 압력펌프와 제2기포미세화기의 사이의 액수송관로에 설치한 압력안정탱크에 의해 송액압력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기포미세화기에서의 기포의 생성량의 변동을 저감시킨다.
청구항4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1, 2또는 3에 기재된 제1기포미세화기는 액수송관로에 따르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단면적으로 한 상류측 기포액로, 이 상류측 기포액로의 하류측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단면적이 점차 확대하는 하류측 기포액로가 연결하여 이루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기포의 미세화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5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1, 2또는 3에 기재된 제2기포미세화기는 액수송관로에 따르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단면적으로 한 상류측 기포액로, 이 상류측 기포액로의 하류측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하류측 기포액로가 연결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상류측 기포액로에 유입하는 기포액의 액량을 증감조정하는 액량조정기구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필요한 양의 기포액을 생성할 수 있다.
청구항6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1, 2또는 3에 기재된 제2기포미세화기가 송액방향상류측에 액유입구멍을 마련한 격벽을 형성하고, 또한, 송액방향하류측에 유출구를 형성한 외통체내에 액수송관로에 따르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단면적으로 한 상류측 기포액로와 이 상류측 기포액로의 하류측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하류측 기포액로가 연결하여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외통체의 격벽에 의해 압력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간격이 넓어지는 기포액로에서의 압력변화에 의해 그 기포액로를 통과하는 기포액중의 기포를 효율적으로 파괴해서 미세화할 수 있다.
청구항7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1, 2또는 3에 기재된 제2기포미세화기가 송액방향상류측에 액유입구멍을 마련한 격벽을 형성하고, 또한, 송액방향하류측에 유출구를 형성한 외통체내에 송액관로에 따르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단면적으로 한 상류측 기포액로와 이 상류측 기포액로의 하류측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하류측 기포액로가 연결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상류측 기포액로에 유입하는 기포액의 액량을 증감 조정하는 액량조정기구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외통체의 격벽에 의해 압력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간격이 넓어지는 기포액로에서의 압력변화에 의해 그 기포액로를 통과하는 기포액중의 기포를 효율적으로 파괴해서 미세화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한 양의 기포액을 생성할 수 있다.
청구항8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1, 2또는 3에 기재한 제2기포미세화는 액수송관로에 따르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단면적으로 한 상류측 기포액로를 구획 형성하도록 송액방향에 따르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외경으로 한 태경부와, 이 상류측 기포액로의 하류측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하류측 기포액로를 구획 형성하도록 태경부에서 송액방향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세경이 되는 축경부를 형성한 축체를 일정한 내경으로 한 외통체내에 이와 같은 축적으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간이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인 다공질 세라믹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낮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9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1, 2또는 3에 기재된 제2기포미세화기는 액수송관로에 따르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단면적으로 한 상류측 기포액로를 구획 형성하도록 송액방향에 따르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외경으로 한 태경부와 이 상류측 기포액로의 하류측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에 따라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하류측 기포액로를 구획 형성하도록 그 태경부로부터 송액방향하류측을 따라 점차로 세경이 되는 축경부를 형성한 축체를 일정한 내경으로 한 외통체내에 이와 같은 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상류측 기포액로에 유입하는 기포액의 액량을 증감 조정하는 액량조정기구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간이한 구조로 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한 양의 기포액을 생성할 수 있다.
청구항10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1, 2또는 3에 기재된 제1기포미세화기는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기포액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기포미세화기에서 미세화하는데 알맞은 크기의 기포를 포함하는 기포액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청구항11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1, 2또는 3에 기재된 제1기포미세화기는 송액방향상류측에 액유입구멍을 마련한 격벽을 형성하고, 또한, 송액방향하류측에 유출구를 형성한 외통체내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기포액로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2기포미세화기에서 미세화하는데 알맞은 크기의 기포를 포함하는 기포액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청구항12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1, 2또는 3에 기재된 제1기포미세화기는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기포액로를 구획 형성하도록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세경이 되도록 형성한 축체를 일정한 내경으로 한 외통체내에 이와 같은 축적으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간이한 구성이면서도 제2기포미세화기에서 미세화하는데 알맞은 크기의 기포를 포함하는 기포액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청구항13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1, 2또는 3에 기재된 제2기포미세화기로부터 유출한 기포액을 공급하는 저장조안에 피처리액이 저장되어 있고, 그 제2기포미세화기를 저장조안에 저장하고 있는 피처리액에 담그어질 수 없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피처리액에 담근 것에 기인하는 미생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4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1, 2또는 3에 기재된 제2기포미세화기로부터 유출한 기포액을 공급하는 저장조안에 피처리액이 저장되어 있고, 그 제2기포미세화기를 저장조안에 저장하고 있는 피처리액에 담그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피처리액에 기포액을 직접 공급할 수 있다.
청구항15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수송관로에 따른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의 단면적으로 한 상류측 기포액로와 이의 하류측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하류측기포액로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기포의 미세화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16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10에 기재된 상류측 기포액로에 유입하는 기포액의 액량을 증감 조정하는 액량조정기구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필요한 양의 기포액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액생성장치의 전체구성도이다.
도 2는 기포액생성기로 제1기포미세화기를 연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기포미세화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기포미세화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5a는 제1기포미세화기의 일방의 측면도, 5b는 제1기포미세화기의 타방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압력안정탱크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기포미세화기에 관이음새를 연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기포미세화기의 분해도이다.
도 9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기포미세화기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기포미세화기의 일방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기포미세화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외통체에 축체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축체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기포미세화기에 관이음새를 연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기포미세화기에 관이음새를 연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기포미세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축체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급수조(액체공급원) 20a : 측벽(격벽)
70 : 외통체 70c : 액유입구멍
70a : 측벽(격벽) 71, 80 : 축체
71c, 80c : 태경부 71d, 80d : 축경부
A : 기포액생성기 B : 제1기포미세화기
D : 압력펌프 E : 압력안정탱크
F : 제1기포미세화기(기포미세화기) G : 액량조정기구
P : 액수송관로 β : 상류측기포액로
γ : 하류측기포액로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액생성장치의 전체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액생성장치는 마이크로버블이라고도 불리는 미세한 기포를 포함하는 미세기포액을 생성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 W를 저장한 급수조(10)로부터 폐액 등의 피처리액을 저장한 저장조(11)에 이르는 액수송관로 P의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기포액생성기 A, 제1기포미세화기 B, 압력계측부 C, 압력펌프 D, 압력안정탱크 E 및 제2기포미세화기 F를 순차 배열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액체로서「물 W」를, 또한, 기체로서「공기」를 예로서 설명하지만 다른 액체, 기체라도 좋다.
「물 W」는 순수한 물 이외의 강, 연못 또는 호수 등의 자연수를 포함하는 것이다.
급수조(10)는 상면을 개방한 직육면체형의 것이고, 이 중에 물 W가 저장되어 있다. 이 급수조(10)의 일측벽(10a)에는 액수송관로 P의 일부를 이루는 취수용 파이프(12)가 수밀적으로 달려 있다.
그 취수용 파이프(12)의 취수구(12a)에는 급수조(10)안의 물 W에 혼입되어 있는 찌꺼기 등을 제거하기 위해 그물(13)을 마련한 취수구(14)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수조(10)를 액체공급원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강, 연못 또는 호수 등을 액체공급원으로 해도 좋다.
도 2는 기포액생성기와 제1기포미세화기를 연결한 상태의 확대정면도, 도 3 은 제1기포미세화기의 정면도, 도 4는 그 제1기포미세화기의 단면도, 도 5a는 제1기포미세화기의 일방의 측면도, 5b는 타방의 측면도이다.
기포액생성기 A는 후술할 압력펌프 D의 흡압력에 의해, 물 W에 공기를 혼합한 기포액을 생성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며, 이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방향분기의 소위 T형이라고 불리는 관이음새(15)의 상측연결구(15a)에 흡입되는 공기량을 증감 조정하기 위한 가변밸브(16)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가변밸브(16)에는 외기(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외기흡입용 튜브(17)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그 외기흡입용 튜브(17)의 타단부는 대기에 개방되어 있다.
또한, 흡입측연결구(15b)에는 상술한 취수용파이프(12)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또한, 배출측연결구(15c)에는 후술할 제1기포미세화기 B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제1기포미세화기 B는, 예를 들면, 스텐리스강철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는 도 2 내지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의 외통체(20) 내에 이를 같은 축으로 해서 축체(21)를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축체(21)를 외통체(20)의 축심 O에 일치시켜서 배치하고 있다.
외통체(20)는 이의 송액방향상류측의 측면에 측벽(격벽, 20a)이 형성되고, 또한, 송액방향하류측의 측면에 유출구(20b)를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측벽(20a)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 O을 중심으로 한 동일의 원주상에 36도의 등각도 간격에서 원형으로 한 5개의 액유입구멍(20c…)이 배열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체(21)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22)를 삽통하는 삽통구멍(20d)이 축심 O에 일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액유입구멍(20c)의 형성수는 5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의 유량이나 생성하는 기포의 크기, 기포의 양 등을 감안해서 증감할 수 있다. 또한, 액유입구멍(20c)의 형상은 원형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타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해도 좋고, 또한, 그 크기도 적당히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외통체(20)의 외주벽(20e)의 내면은 측벽(20a)의 내면(20f)으로부터 유출구(20b)에 걸쳐서 점차 내경이 테이퍼진 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외통체(20)내에 원추사다리꼴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벽(20e)의 외면양단부에는 나사부(20g, 20h)가 마련되고, 또한, 그 외면중앙부에는 외통체(20)를 공구(미도시)에 의해 회전시키기 위한 평면부(20i, 20i)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 관계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축체(21)는 도 4,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20a)에 접하는 기단면(21a)으로부터 선단면(21b)에 걸쳐서 점차 좁은 길이 되는 대략 원추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고 기단면(21a)의 중심에는 나사(22)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구멍(21c)이 마련되어 있다. 환언하면, 축체(21)는 도 1, 2, 4 등에 화살표로 표시된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기포액로를 구획 형성하도록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세경(細徑)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축체(21)의 기단면(21a)의 외경은, 액유입구멍(20c…)을 폐쇄하지 않는 정도로 설정되고, 또한, 그 길이 Ll은 기단면(21a)을 외통체(20)의 측벽(20a)의 내면(20f)에 접했을 경우 정면에서 볼 때 선단면(21b)이 외통체(20)의 유출구(20b)에 거의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즉, 외통체(20)의 측벽(20a)에 축체(21)를 나사로 조여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축심 O에 일치하고, 축체(21)가 외통체(20)에 고정된다. 환언하면, 축체(21)를 외통체(20)에 동축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외주벽(20e)의 내면과 축체(2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간격이 넓어지는 기포액로 α가 구획형성된다.
환언하면, 외통체(20)안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기포액로 α가 형성된다.
상술한 기포액생성기 A로 생성된 기포액은 외통체(20)의 측벽(20a)에 의해 승압되고, 또한, 액유입구멍(20c…) 및 기포액로 α에 있어서의 캘리브레이션작용에 의해 그 기포액중의 기포를 파괴해서 미세화한다.
캘리브레이션이란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급격한 압력변화를 생기게 하고, 이것에 의해 기포를 파괴해서 미세화하는 현상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통체(20)와 축체(21)를 별체로 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들을 일체로 형성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압력측량부 C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한 관이음새(15)와 동등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관이음새(30)의 상측연결구(30a)에 압력계(31)를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관이음새(30)의 흡입측 연결구(30b)에는 상술한 제1기포미세화기 B가 연결되고, 또한, 배출측 연결구(30c)에는 상세히 후술할 압력펌프 D의 펌프유닛(41)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압력측량부 C에 의해 측량한 압력에 근거하여 압력펌프 D의 흡압력을 조정할 수 있게 하고 있지만, 그 압력측량부 C는 필요에 따라 마련하면 좋은 것이다.
압력펌프 D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소정의 흡, 배압력(吸, 排壓力)에 의해 급수조(10)의 물 W를 흡인하고, 또한, 흡인한 물 W를 액수송관로에 압송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며, 이는 모터(40)와 모터(40)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유닛(41)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펌프유닛(41)의 물흡입구(41a)에는 연결관(42)을 통해 상기한 압력측량부 C가 연결되고, 또한, 물배출구(41b)에는 연결관(43)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44는 펌프유닛(41)안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 45는 본 장치를 시동할 때에 필요한 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이다.
도 6은 압력안정탱크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연결관(43)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압력펌프 D의 펌프유닛(41)에 하단부(일단부)를 연결하고, 이 하단부에서 윗쪽으로 일으킨 좌우 반대 방향의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관(43)의 상단부(타단(가장자리)부)에 압력안정탱크 E가 고정되어 있다.
압력안정탱크 E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연결관(43)으로부터 송출된 물 W의 압력, 따라서 또, 후술하는 제2기포미세화기 F에 송구되는 기포액의 압력을 안정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며, 탱크부(50) 안에 물분출부(51)를 수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탱크부(50)는 연결관(43)으로부터 송급되는 물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 기 체(52)와 이 분배기체(52)에 수밀적으로 연결된 원통형의 수용체(53)로 이루어진다.
분배기체(52)는 수평방향(가로방향) 및 수직방향(세로방향)의 4방향에 연결구(52a,52b, 52c, 52d)를 형성한 공지의 것이고, 또한, 이들 연결구(52a, 52b, 52c,52d)의 각 내벽면에는 각각 나사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체(53)는 하단면에 개구(53a)를 형성하고, 또한, 상단면을 닫은 원통형의 것이고, 하단부의 외벽면에는 나사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즉, 분배기체(52)의 연결구(52a)의 나사부(54)와 수용체(53)의 나사부(55)를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해 이를 수밀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분배기체(52)의 일방측의 연결구(52b)에는 지수(止水)마개(56)가 수밀적으로 나사결합되고 타측방의 연결구(52d)에는 접속마개(57)를 통해 상세히 후술할 제2기포미세화기 F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지수마개(56)를 연결구(52b)로부터 떼고, 그 연결구(52b)에 접속마개(57)를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해, 다른 제2기포미세화기를 연결할 수 있다. 즉, 2개의 제2기포미세화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분배기체(52)의 하측의 연결구(52c)에는 중앙부에 나사구멍(58a)을 형성한 접속마개(58)가 수밀적으로 나사결합되어 있고 그 나사구멍(58a)에는 상술한 연결관(43)과 후술할 물분출부(51)가 연결되어 있다.
물분출부(51)는 접속마개(58)의 나사구멍(58a)에 단부를 나사결합한 내부연결관(59)과 이의 상단부에 연결구(60)를 통해 연결된 분출체(61)로 이루어진다.
분출체(61)는 상하단을 개구하고 주벽에 소정 간격으로 원형의 물분출구(61a…)를 복수형성한 본체(61b)안에, 압송되는 물 W에 포함되는 찌꺼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원통형으로 된 그물(62)을 수용한 것이다.
한편, 본체(61b) 상하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부(61c, 61d)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측의 나사부(61c)에는 청소용캡(63)이 착탈이 자유롭게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 청소용캡(63)을 떼어 내는 것에 의해, 본체(61a)안의 청소나 그물(62)의 교환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나사부(61d)는 연결구(60)와 나사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해서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기포미세화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기포미세화기에 관이음새를 연결한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기포미세화기의 분해도, 도 9는 제1실시예 따른 제2기포미세화기의 정면도, 도 10은 그 일방의 측면도, 도 11은 그 정단면도, 도 12는 외통체에 축체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 도 13은 축체의 정면도이다.
제2기포미세화기 F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압력탱크 E의 측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저장조(11)의 위에 위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2기포미세화기 F를 저장조(11)안에 저장하고 있는 피처리액 Ⅹ에 담그어질 수 없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2기포미세화기 F를 저장조(11) 안의 피처리액 Ⅹ에 적신 상태로 하지 않고 있으므로, 피처리액 Ⅹ에 담근 것에 기인하는 미생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 제2기포미세화기 F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철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의 외통체(70) 안에, 이것과 같은 축으로 해서 축체(71)를 배치한 구성, 환언하면, 축체(71)를 외통체(70)의 축심 O에 일치해서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액수송관로 P에 따르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단면적으로 한 상류측 기포액로 β와 이의 하류측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하류측 기포액로 γ를 연성하고 있다. 한편, 72는 관이음새, 73, 74는 축체(7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이다.
외통체(70)는 도 9∼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액방향상류측의 측면에 격벽인 측벽(70a)이 형성되고, 또한, 송액방향하류측의 측면에 유출구(70b)를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측벽(70a)에는 축심 O를 중심으로 한 동일한 원주위로 22.5도의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한 16개의 액유입구멍(70c…)이 마련되어 있다.
측벽(70a)의 축심 O에 일치하는 부분에는 돌기부(70d)가 외벽면측에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이의 중심으로는 축체(71)를 나사연결하기 위한 나사구멍(70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액유입구멍(70c)의 형성수는 16개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기포액중의 기포의 양이나 크기 등을 감안해서 증감할 수 있다. 또한, 액유입구멍의 형상은 원형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타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해도 좋고 또한 그 크기도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외통체(70)의 외주벽(70e)의 내면은 측벽(70a)의 내면(70f)으로부터 유출구(70b)에 걸쳐 일정한 내경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외통체(70)안에 원기둥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벽(70e)의 외면양단부에는 나사부(70g, 70h)가 마련되고, 또한, 그 외면중앙부에는, 이 외통체(70)를 공구(미도시)에 의해 회전시키기 위한 평면부(70i, 70i)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 관계로 해서 형성되어 있다.
축체(71)는 도 8, 12,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통체(70)의 측벽(70a)에 대향하는 기단면(71a)으로부터 선단면(71b)측의 소정범위에 걸쳐 일정한 외경으로 한 태경부(71c)와, 이 태경부(71c)로부터 선단면(71b)측의 소정의 범위에 걸쳐 점차 세경이 되는 축경부(71d)와 이 축경부(71d)로부터 선단면(71b)을 따라 상기 태경부(71c)보다도 세경인 소경부(71e)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외통체(70)와 이에 연결한 T형태의 관이음새(72)를 합친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태경부(71c)와 축경부(71d)의 상대적인 길이관계는, 예를 들면, 축경부(71d)를 태경부(71c)의 약 2배정도로 할 수 있다.
기단면(71a)과 태경부(71c)는 상기 액유입구멍(70c…)과 대향하는 외경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의 축심에 일치하여 상술한 나사구멍(70d)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부(71f)가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선단면(71b)에는 나비나사(75)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구멍(71g)이 형성되어 있다.
축체(71)를 외통체(70)에 나사로 조여 고정하는 것에 의해, 축체(71)가 외통체(70)의 축심 O에 일치한 상태로 됨과 동시에, 이에 의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벽(70f)의 내면과 축체(71)의 외주벽면과의 사이에, 상류측, 하류측 기포액로 β, γ가 구획 형성된다.
따라서, 축체(71)의 기단면(71a)에는 나사부(71f)의 기부를 정점으로 하는 원추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기단면(71a)을 측벽(70a)의 내면(70f)에 접하게 하였을 경우에도, 액유입구멍(70c…)으로부터 상류측 기포액로 β에 이르는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단면을 원추곡면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그 기단면을 평면으로 형성하고, 측벽의 내면을 원추곡면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이들 쌍방을 원추곡면으로 형성해도 좋고, 또한, 상기한 원추곡면에 한하지 않고, 액유입구멍에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돌기부를 돌출시켜 형성해도 좋다.
즉, 기단면 또는 측벽 또는 이들 쌍방에, 액유입구멍(70c…)으로부터 기포액로 β에 이르는 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은 것이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외통체(70)의 측벽(70a)의 나사구멍(70e)에 축체(71)의 나사부(71f)를 나사결합하고, 나비나사(75)를 통해 축체(71)를 정반대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축체(71)의 기단면(면71a)과 측벽(70a)의 내면(70f)과의 사이에 생기는 간격을 광협조정할 수 있다.
이 광협조정에 의해, 상류측기포액로 β에 유입하는 기포액의 액량을 증감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축체(71)의 기단면(71a)을 원추곡면으로 형성한 것에 의해, 측벽(70a)에 축체(71)의 기단면(71a)을 접하게 하였을 때에도, 기단면(71a)과 측 벽(70a)의 내면(70f)과의 사이에 생기는 간격을 확보할 수 있고, 기포액의 유입을 불시에 정지시킬 수 없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류측, 하류측 기포액로 β, γ에 유입하는 기포액의 액량을 증감 조정하는 액량조정기구 G를 도 1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축체(71)의 나사부(71f), 외통체(70)의 나사구멍(70e)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또한, 축체(71)의 선단부를 외통체(70)에 연결한 관이음새(72)의 연결구(72b)의 밖으로 돌출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관이음새(72)를 떼어 내지않고 용이하게 액량 조정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태경부(71c)는 상기 액유입구멍(70c)이 대향하는 외경으로 해서」로는 측면에서 볼 때(송액방향화살표에서 볼 때)에 있어서, 기단면(71a)에 액유입구멍(70c…)이 겹친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관이음새(72)는 연결구(72a, 72b, 72c)를 3방향으로 형성한 소위 T형으로 불리는 것이며, 이들 연결구(72a, 72b, 72c)의 각 내주벽면에는 나사부(미도시)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관이음새(72)의 연결구(72c)가 기포액을 배출하기 위한 것이고, 이에 유하관(77)을 연결하고 있다.
지지부재(73)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이음새(72)의 연결구(72b)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73a)와 이 나사부(73a)보다도 큰 직경의 프랜지부(73b)를 형성한 대략 원기둥형인 것이다.
이것의 중심에는 상술한 축체(71)의 소경부(71e)를 느슨하게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멍(73c)이 형성되고, 또한, 이외의 측부에는 지지부재(74)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구멍(73d)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73e, 73e는 공구(미도시)를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부(73b)에 형성된 평면부이다.
지지부재(74)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지지부재(73)의 나사구멍(73d)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74a)를 일측부에 형성함과 동시에, 원판형의 플랜지부(74b)를 기타측부에 형성한 대략 원기둥형의 것이고, 이의 중심에는 상술한 축체(71)의 소경부(71e)를 느슨히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멍(74c)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74a)의 선단면에는 O링(76)을 지지부재(73)의 나사구멍(73d)의 저부(73e)와의 사이에 밀착시키기 위한 링모양의 볼록한 테두리(74d)가 형성되어 있다. 이 O링(76)에 의해, 축체(71)와 지지부재(73)의 삽입구멍(73c)과의 사이에 보이는 작은 간격으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본 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급수조(10)로부터 흡인된 물이 액수송관로 P안에 압송되면, 그 물의 흡압력에 의해 외기흡입용 튜브(17)로부터 외기(공기)가 빨아 들여져, 이것이 기포액생성기 A의 관이음새(15) 안에서 물과 혼합되고, 이에 의해 기포액이 생성된다.
이 기포액이 제1기포미세화기 B에 압송되면, 외통체(20)의 측벽(20a)에 의해 압력이 상승되는 동시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간격이 넓어지는 기포액로 α에서의 압력변화에 의해, 그 기포액로 α를 통과하는 기포액중의 기포가 파괴되어 미세화된다.
제1기포미세화기 B에 있어서 기포가 미세화된 기포액은 압력안정탱크 E에서 송압량의 안정화가 꾀해지고, 그 후, 제2기포미세화기 F에 압송되면 외통체(70)의 측벽(70a)에 의해 압력이 상승된다.
그리고, 상류측 기포액로 β와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하류측 기포액로 γ에서의 압력변화에 의해, 이들 상류측, 하류측 기포액로 β, γ을 통과하는 기포액중의 기포가 더욱 파괴되어서 미세화된다. 이것에 의해, 소망의 크기의 기포를 포함하는 기포액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기포미세화기 F의 축체(71)를 정반대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측벽(70a)의 내면(70f)과 축체(71)의 기단면(71a)과의 간격을 증감 조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제2기포미세화기 F에 유입하는 액량을 증감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필요한 양의 기포액을 저장조(11)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충분히 미세화된 기포액은 관이음새(72)의 연결구(72c) 및 유하관(77)을 통해 저장조(11)에 흘러 공급된다.
다음으로, 도 15∼17을 참조해서 다른 실시예 따른 제2의 기포미세화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기포미세화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기포미세화기에 관이음새를 연결한 상태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기포미세화기의 단면도, 도 17은 축체의 정면도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기포미세화기 F에서 설명한 것과 동등한 것에 대해서는 그것과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포미세화기 H는 상술한 외통체(70) 안에, 이에 같은 축으로 해서 축체(80)를 배치한 구성, 환언하면, 축체(80)를 외통체(70)의 축심 O에 일치해서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축체(80)는 도 15∼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통체(70)의 측벽(70a)에 대향하는 기단면(80a)으로부터 선단면(80b)측의 소정범위에 걸쳐 일정한 외경으로 한 태경부(80c)와 이 태경부(80c)로부터 선단면(80b)측의 소정의 범위에 걸쳐 점차 세경이 되는 축경부(80d)와 이 축경부(80d)로부터 선단면(80b)을 따라 상기 태경부(80c)보다도 작은 직경인 소경부(80e)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기단면(80a)과 태경부(80c)는 상기 액유입구멍(70c…)에 대향하는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기단면(80a)에는 이의 축심에 일치해서 상기한 나사구멍(70e)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부(80f)가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선단면(80b)에는 마이너스드라이버(미도시)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80g)이 형성되어 있다.
기단면(80a)은 나사부(80f)의 기부를 정점으로 하는 원추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기단면(80a)을 측벽(70a)에 접하게 하였을 때에도, 액유입구멍(70c…)으로부터 상류측 기포액로 β에 이르는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 축체(80)는 소경부(80e)를 상기 축체(71)의 것보다도 짧은 길이로 형성하고, 외통체(70)에 연결한 관이음새(90) 안에 수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관이음새(90)는 다른 방향으로 2개의 연결구(90a, 90b)를 형성한 것이며, 이들 연결구(90a, 90b)의 내주벽면에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결구(90a)를 외통체(70)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연결구(90b)가 기포액 이 유하구(流下口)가 된다.
또한, 외통체(70)의 측벽(70a)에 축체(80)를 나사로 조여 고정하는 것에 의해, 축체(80)가 외통체(70)의 축심 O에 일치해서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 외주벽(70e)의 내면과 축체(71)의 외주벽면과의 사이에, 상류측, 하류측 기포액로 β, γ이 구획 형성되는 것은 상술한 제2기포미세화기 F와 같다.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예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다음과 같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기포미세화기를 저장조 안에 저장하고 있는 피처리 액에 담그어질 수 없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피처리액에 담근 것에 기인하는 미생물의 부착을 방지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제2기포미세화기를 상기한 피처리액에 담기는 위치에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폐액 중에 포함되는 유지류의 분리 처리나 잉여진흙처리 등에 쓸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6)

  1. 미세한 기포를 포함하는 미세기포액을 생성하는 미세기포액생성 장치에 있어서,
    액체공급원으로부터 액체를 흡인하고 그 흡인한 액체를 압송하기 위한 압력 펌프를 액수송관로에 마련하고, 상기 압력펌프의 흡압력에 의해 액체에 기체를 혼합해서 기포액을 생성하는 기포액생성기를 그 압력펌프의 송액방향상류측의 액수송관로에 배치하고, 그 기포액생성기에서 생성한 기포액에 포함되는 기포를 미세화하는 제1기포미세화기를 그 기포액생성기의 송액방향하류측의 액수송관로에 배치하고, 제1기포미세화기에서 미세화한 기포를 더욱 미세화하는 제2기포미세화기를 그 제1기포미세화기의 송액방향하류측의 액수송관로에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액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포액생성기와 압력펌프와의 사이의 액수송관로에 제1기포미세화기를 배치하고, 그 압력펌프의 송액방향하류측의 액수송관로에 제2기포미세화기를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액생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압력펌프와 제2기포미세화기의 사이의 액수송관로에 송액압력을 안정시키기 위한 압력안정탱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액생성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기포미세화기는 액수송관로에 따르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단면적으로 한 상류측 기포액로와 이 상류측 기포액로의 하류측에 기포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하류측 기포액로가 연결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미세기포액생성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기포미세화기는 액수송관로에 따르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단면적으로 한 상류측 기포액로와 이 상류측 기포액로의 하류측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하류측 기포액로가 연결하여 이루어져 있는 동시에, 그 상류측 기포액로에 유입하는 기포액의 액량을 증감조정하는 액량조정기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액생성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기포미세화기는 송액방향상류측에 액유입구멍을 마련한 격벽을 형성하고, 송액방향하류측에 유출구를 형성한 외통체내에 액수송관로에 따르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단면적으로 한 상류측 기포액로와 이 상류측 기포액로의 하류측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하류측 기포액로가 연결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액생성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기포미세화기는 송액방향상류측에 액유입구멍을 마련한 격벽을 형성하고, 송액방향하류측에 유출구를 형성한 외통체내에 액수송관로에 따르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단면적으로 한 상류측 기포액로와 이 상류측 기포액로의 하류측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하류측 기포액로가 연결하여 이루어져 있음과 동시에, 그 상류측 기포액로에 유입하는 기포액의 액량을 증감조정하는 액량조정기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액생성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기포미세화기는 액수송관로에 따르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단면적으로 한 상류측 기포액로를 구획 형성하도록, 송액방향에 따르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외경으로 한 태경부와 이 상류측 기포액로의 하류측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하류측 기포액로를 구획 형성하도록 그 태경부에서 송액방향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세경이 되는 축경부를 형성한 축체를 일정한 내경으로 한 외통체내에 동축적으로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액생성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기포미세화기는 액수송관로에 따르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단면적으로 한 상류측 기포액로를 구획 형성하도록 송액방향에 따르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외경으로 한 태경부와 이 상류측 기포액로의 하류측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 하는 하류측 기포액로를 구획 형성하도록 그 태경부에서 송액방향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세경이 되는 축경부를 형성한 축체를 일정한 내경으로 한 외통체내에 이와 같은 축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그 상류측 기포액로에 유입하는 기포액의 액량을 증감조정하는 액량조정기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액생성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기포미세화기는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기포액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액생성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기포미세화기는 송액방향상류측에 액유입구멍을 마련한 격벽을 형성하고, 송액방향하류측에 유출구를 형성한 외통체내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기포액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액생성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기포미세화기는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기포액로를 구획 형성하도록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세경이 되도록 형성한 축체를 일정한 내경으로 한 외통체내에 동축적으로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액생성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기포미세화기로부터 유출한 기포액을 공급하는 저장조 안에 피처리액이 저장되어 있고, 그 제1기포미세화기를 저장조 안에 저장하고 있는 피처리액에 담그어질 수 없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액생성장치.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기포미세화기로부터 유출한 기포액을 공급하는 저장조안에 피처리액이 저장되어 있고, 그 제1기포미세화기를 그 피처리액에 담근 위치에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액생성장치.
  15. 액수송관에 따른 소정의 범위에 걸쳐 일정한 단면적으로 한 상류측 기포액로와 이의 하류측에 송액방향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 단면적이 확대하는 하류측 기포액로가 연결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미세화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류측 기포액로에 유입하는 기포액의 액량을 증감조정하는 액량조정기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미세화기.
KR1020087003689A 2008-02-15 2005-08-31 미세기포액생성장치와 이를 사용한 기포미세화기 KR20080041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03689A KR20080041198A (ko) 2008-02-15 2005-08-31 미세기포액생성장치와 이를 사용한 기포미세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03689A KR20080041198A (ko) 2008-02-15 2005-08-31 미세기포액생성장치와 이를 사용한 기포미세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198A true KR20080041198A (ko) 2008-05-09

Family

ID=3964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689A KR20080041198A (ko) 2008-02-15 2005-08-31 미세기포액생성장치와 이를 사용한 기포미세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11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2601B1 (en) Swirling fine-bubble generator
EP11127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gas micro-bubbles in a liquid
KR102192176B1 (ko) 루프 흐름식 버블 발생 노즐
CN106861477B (zh) 高密度微细气泡液生成方法及高密度微细气泡液生成装置
JP4869922B2 (ja) 微細気泡発生器
JP5002480B2 (ja) ループ流式バブル発生ノズル
JP3940760B2 (ja) 微細気泡液生成装置とこれに用いる気泡微細化器
JP6104399B2 (ja) 微細気泡生成装置および微細気泡生成装置を備える汚染水浄化システム
JP2009028579A (ja) 気泡発生装置
JP2007117799A (ja) 微細気泡生成器及びこれを用いた微細気泡生成装置
JP2007307450A (ja) 気泡発生装置
KR20150019299A (ko) 미세 기포 발생 모듈
JP6449531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5143942B2 (ja) 微細化混合装置
JP5024144B2 (ja) 気体溶解器
CA2282326C (en) Swirling type micro-bubble generating system
KR20080041198A (ko) 미세기포액생성장치와 이를 사용한 기포미세화기
JP2010115586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5785158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4015681B2 (ja) 気泡微細化器
JP2008178780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7033901B2 (ja) 気泡含有液体製造装置、気泡含有液体製造方法及び気泡含有液体製造システム
JP7213126B2 (ja) 気泡含有液体製造装置
JP2010022927A (ja) 微細化混合装置
KR20180130070A (ko) 나노 기포 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