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052A -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시스템에서 단일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애크/내크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시스템에서 단일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애크/내크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052A
KR20080041052A KR1020060109142A KR20060109142A KR20080041052A KR 20080041052 A KR20080041052 A KR 20080041052A KR 1020060109142 A KR1020060109142 A KR 1020060109142A KR 20060109142 A KR20060109142 A KR 20060109142A KR 20080041052 A KR20080041052 A KR 20080041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channels
channel
single carri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윤형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1052A/ko
Publication of KR2008004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retransmission after error or non-acknowledgment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SC-FDMA)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의 재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ACK/NACK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ACK/NACK 채널을 패킷 데이터 전송 채널에 맵핑시키는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패킷 데이터를 할당 받을 때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복수개의 ACK/NACK 채널들을 설정한다. 단말은 복수개의 데이터 채널들에 맵핑된 ACK/NACK 채널들 중에서 단일 캐리어에 속하는 채널들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SC-FDMA 시스템에서 ACK/NACK 채널을 패킷 데이터 채널에 일대일 맵핑하여 설정하는 환경에서 복수개의 ACK/NACK 채널들을 이용 가능하게 되어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OFDM, SC-FDMA, ACK/NACK 채널 전송, 채널 mapping, single carrier 특성

Description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시스템에서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애크/내크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multiple ACK/NACK with single carrier property in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도 1은 전형적인 DFDMA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전형적인 LFDMA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는 DFDMA와 LFDMA에서 사용되는 부반송파들의 위치를 비교 도시한 도면.
도 4는 전형적인 HARQ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5는 데이터 채널에 ACK/NACK 채널을 일대일 맵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CKCH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ACKCH들 중에서 전송 가능한 ACKCH를 선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한 ACK/NACK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한 ACK/NACK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을 사용하는 경우 패킷 데이터의 복합 자동재전송요청(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HARQ) 방식을 지원하기 위해 ACK/NACK를 운반하는 ACK/NACK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SC-FDMA 시스템에서 전송 방식은 크게 DFDMA(Distribut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과 LFDMA(Loc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나뉘어진다.
도 1은 전형적인 DFDMA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것과 같은 고속 퓨리에 변환부(FFT: Fast Fourier Transform, 이하 ‘FFT’라 한다)(104)와 역 고속 퓨리에 변환부(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이하 ‘IFFT’라 한다)(106)를 이용한 구성 외에도 다른 송신기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FFT(104)와 IFFT(106)를 이용한 구현은 높지 않은 하드웨어 복잡도로 DFDMA 시스템 파라미터의 변경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OFDM과 DFDMA의 차이점을 송신기 구조 측면에서 설명하면, 통상의 OFDM 송신기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중 반송파 전송에 이용되는 IFFT(106)에 더하여, DFDMA 송신기에서는 FFT(104)가 상기 IFFT(106) 전단에 추가적으로 존재한 다. 송신 변조 심벌들(100)은 블록단위로 상기 FFT(104)에 입력된다. 상기 FFT(104)에서 출력된 신호를 구성하는 M개의 부반송파 성분들은 등간격(4개의 부반송파들)으로 IFFT(106)의 N개의 입력 탭들에 인가되어, DFDMA 송신 신호가 주파수 영역에서 등간격의 부반송파들을 사용하여 전송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IFFT(106)의 입출력 크기 N은 상기 FFT(108)의 입출력 크기 M에 비하여 큰 값을 가진다.
OFDM에서는 상기 송신 변조 심벌들(100)이 상기 FFT(104)를 거치지 않고 바로 IFFT로 입력되어 여러 부반송파를 이용하여 전송됨으로써 큰 값의 피크대평균전력비(Peak to Average Power Ratio: PAPR)이 발생한다. IFDM에서는 송신 심벌들이 상기 IFFT(106)에서 최종 처리되어 다중 반송파로 전송됨에도 불구하고 그 이전에 상기 송신 심벌들을 상기 FFT(104)로 전처리(pre-processing)함으로써, FFT와 IFFT의 상호 상쇄 작용에 의하여 상기 IFFT(106)의 출력 신호가 단일 반송파로 전송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달성함으로써 낮은 PAPR을 달성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IFFT(106)의 출력 신호는 PSC(Parallel-to-Serial Converter)(102)에서 직렬 스트림으로 변환된 후, OFDM 시스템에서와 마찬가지로 CP(cyclic prefix) 추가기(108)에 의해 CP를 붙여 전송됨으로써, 다중 경로 채널 신호 성분들 간의 간섭이 방지된다.
도 2는 다중 접속 사용자들간의 직교성을 보장해 주고 단일 반송파 전송에 기반하여 OFDM에 비하여 낮은 PAPR을 달성할 수 있는 LFDMA(Loc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의 송신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송신기 구조 측면에서 LFDMA 기술은, DFDMA 기술과 달리, FFT(204)의 출력 신호를 구성하는 부반송파 성분들이 연속된 인덱스를 가지는 IFFT(206)의 입력 탭들 (N-M) ~ (N-1)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LFDMA 송신 신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살펴 보면, 상기 FFT(204)의 출력 신호가 상기 IFFT(206)의 입력 탭들로 매핑될 때 사용된 인접한 부반송파들로 이루어진 대역을 차지한다. 다시 말하면, 주파수 영역에서 DFDMA 송신 신호는 등간격으로 산재된 서브대역(subband)들을 차지하고 LFDMA 신호는 인접한 부반송파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서브대역을 차지한다.
도 3는 DFDMA와 LFDMA에서 사용되는 부반송파들의 위치를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FDMA를 사용하는 한 단말의 전송 심볼들(음영으로 표시됨)은 주파수 영역 전체에 걸쳐서 등간격(8개의 부반송파들)으로 위치하게 되며(부반송파 인덱스 = k, k+8, k+16, k+24 ),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FDMA를 사용하는 다른 단말의 전송 심볼들은 일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위치하게 된다(부반송파 인덱스 = k, k+1, k+2 ... k+7). 도 3의 (b)와 같이 전송 심볼들이 연속된 주파수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전송 심볼들은 단일 반송파 성질을 만족한다고 칭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LFDMA와 DFDMA는 각각 고유의 특징을 갖는다. LFDMA는 전체 주파수 대역 중에서 연속되어 있는 일부분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의 채널 변화가 심한 주파수 선택적 채널(Frequency selective channel) 환경에서 채널이득 이 좋은 일부 주파수 대역을 선택함으로써, 주파수 스케쥴링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반면, DFDMA는 넓은 주파수 대역에 퍼져 있는 다수 개의 부반송파들을 사용함으로써 전송 심볼들이 여러 가지 채널 이득을 함께 겪게 됨에 따라,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LFDMA 역시 매 전송시 마다 사용하는 주파수 자원을 변화시키는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을 적용하게 된다면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복합재전송(HARQ)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HARQ란, 이전에 수신한 데이터를 폐기하지 않고, 재전송된 데이터와 소프트 컴바이닝함으로써, 수신 성공률을 높이는 기법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HARQ 수신측은 수신한 패킷의 오류 존재 여부를 판단한 뒤, 오류 존재 여부에 따라 HARQ 긍정적 인지(positive Acknowledgement: 이하 ‘HARQ ACK’라 한다) 신호, 또는 HARQ 부정적 인지(negative Acknowledgement: 이하 ‘HARQ NACK’라 한다) 신호를 송신측으로 전송한다. 송신측은 상기 HARQ ACK/NACK 신호에 따라 이전 HARQ 패킷의 재전송이나 또는 새로운 HARQ 패킷의 전송을 실행한다. 그리고, HARQ 수신측은 재전송된 패킷을 이전에 수신한 패킷과 소프트 컴바이닝하여 오류 발생 확률을 줄인다.
HARQ 전송 기법은 재전송이 진행되는 시점에 따라, 동기식 HARQ(synchronous HARQ)와 비동기식 HARQ(asynchronous HARQ)로 구분된다. 동기식 HARQ에서 재전송은 항상 이전 전송이 완료된 시점에서 정해진 시간 후 진행되고, 비동기식 HARQ에서 재전송은 이전 전송이 완료된 시점과 관계없이 진행된다.
도 4는 전형적인 HARQ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HARQ 송신측은 소정의 절차를 거쳐 HARQ 패킷을 처음으로 전송하며(403), HARQ 수신측은 상기 HARQ 패킷을 디코딩하고 CRC(Cyclic Redudancy Check)를 이용해서 상기 HARQ 패킷의 오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404). 오류가 있으면 상기 HARQ 패킷을 버퍼에 저장하고 HARQ 송신측에게 HARQ NACK를 전송한다(405). HARQ 송신측은 HARQ NACK를 수신하면, 상기 HARQ 패킷을 재전송하고(406), HARQ 수신측은 상기 재전송된 HARQ 패킷을 버퍼에 저장해 둔 패킷과 컴바인해서 디코딩하고 다시 CRC를 확인한다. 여전히 오류가 남아 있다면, 상기 컴바인된 HARQ 패킷을 버퍼에 저장하고, HARQ 송신측에게 HARQ NACK를 전송하고 디코딩에 성공한 경우 ACK를 생성하여 전송한다(408). HARQ 송신측은 상기 동작을, HARQ 수신측으로부터 HARQ ACK를 수신하거나, HARQ 패킷에 대한 재전송 회수가 미리 정해진 허용치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한다.
기존 시스템에서는 수신측이 패킷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ACK/NACK를 전송함에 있어서 단말별로 전용적인 채널을 설정해주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CDMA와 같이 채널들이 비-직교(non-orthogonal)한 특성을 갖는 환경에서는 전체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의 양이 채널 코드들(channelization codes)의 개수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고 송신 전력이나 수신 간섭 레벨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채널 코드를 단말별로 하나씩 전용적으로 활당해도 송신측에서 사용하지 않으면 자원 활용 측면에서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FDM 기반의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자원은 직교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파수 자원의 양 자체가 사용가능한 자원의 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 친다. 그래서 ACK/NACK를 전송하는 채널(이하 ACK/NACK 채널이라 칭함)로 할당된 주파수 자원이 사용되지 않는다면 자원 활용 측면에서 낭비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말 별로 ACK/NACK 전송을 위한 자원을 전용적으로 할당하는 방식은 FDM 방식의 시스템에서는 자원활용 측면에서 부적절하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FDM 시스템에서 HARQ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ACK/NACK 채널을 데이터 채널에 일대일 맵핑하여 할당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논의되고 있다.
도 5는 데이터 채널에 ACK/NACK 채널을 일대일 맵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502~505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 가능한 채널들(이하 데이터 채널이라 칭함)이고 SDCH(shared data channel)라 부른다. 참조번호 507~510은 ACK/NACK 전송을 위한 채널들로서 ACKCH(ACK/NACK Channel)이라 부른다. 일대일 맵핑하는 방법이란 ACKCH들을 데이터 채널들과 동일한 개수만큼 설정하고 특정 데이터 채널에 대한 ACK/NACK가 해당하는 특정 ACKCH를 통해서만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채널 #1(501)을 통해서 패킷 데이터 #1을 수신하는 경우 ACKCH #1(307)을 통해서 상기 패킷 데이터 #1에 대한 ACK/NACK가 전송되고 데이터 채널 #2을(303) 통해서 패킷 데이터 #2를 수신하는 경우 ACKCH#2(308)를 통해서 상기 패킷 데이터 #2에 대한 ACK/NACK가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가능한 ACKCH를 데이터 채널에 맵핑시키면, ACK/NACK 전송을 위한 주파수 자원을 각 단말에게 전용적으로 할당하지 않고도 ACK/NACK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기지국은 하향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에게 전송할 데이터의 양과 단말의 채널 상황 그리고 셀내의 로드를 고려하여 전송 가능한 데이터 채널들의 개수와 변조방식과 부호율의 조합을 나타내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결정하게 된다. 단말에게 전송할 데이터의 양이 많고 채널 상황이 좋은 경우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데이터 채널들이 할당된다. 예를 들어서 도 5에서 단말에게 SDCH #1 ~ #3이 할당되면, 일대일 채널 맵핑 방법이 사용될 경우, 단말은 ACKCH #1~#3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ACKCH들을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ACKCH 모두를 통해 ACK/NACK를 전송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ACKCH들 중에서 하나를 통해서만 ACK/NACK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은 상향링크에서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지 못하여 SC-FDMA 시스템에서 사용이 불가능하고, 후자의 방법은 사용되지 않는 ACKCH들이 존재하여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CH가 SDCH에 맵핑되어 설정하는 경우, 복수개의 ACKCH를 이용하여 ACK/NACK를 전송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과 ACKCH를 맵핑할 때 복수개의 ACKCH들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도록 하 는 채널 맵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ACKCH들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CH의 자원을 선택하여 ACK/NACK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CH의 자원을 선택하여 ACK/NACK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SC-FDMA)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긍정적 인지(ACK) 및 부정적 인지(NACK)를 전송하는 응답 채널들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데이터 채널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채널들에 맵핑되는 응답 채널들 중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응답 채널들 중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하나의 제1 응답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1 응답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 혹은 NACK를 송신 혹은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제2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면,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제2 응답 채널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2 응답 채널 들을 통해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 혹은 NACK를 송신 혹은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SC-FDMA)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채널들을 통해 패킷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긍정적 인지(ACK) 및 부정적 인지(NACK)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채널 수신부와,
상기 데이터가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을 통해서 수신되었으면,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에 맵핑되는 응답 채널들 중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응답 채널들 중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하나의 제1 응답 채널을 선택하며,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제2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면,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제2 응답 채널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1 응답 채널 혹은 제2 응답 채널들을 나타내는 채널 정보를 출력하는 응답 채널 결정기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ACK 혹은 NACK 신호를 생성하는 응답 채널 발생기와,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ACK 혹은 NACK 신호를 상기 제1 응답 채널 혹은 상기 제2 응답 채널들을 통해 전송하는 다중화 및 채널 매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SC-FDMA)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채널들을 통해 패킷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긍정적 인지(ACK) 및 부정적 인지(NACK)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데이터 채널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채널들에 맵핑되는 응답 채널들 중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응답 채널들 중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하나의 제1 응답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제2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면,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제2 응답 채널들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제1 응답 채널 혹은 제2 응답 채널들을 나타내는 채널 정보를 출력하는 응답 채널 결정기와,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 혹은 NACK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 중 상기 제1 응답 채널 혹은 제2 응답 채널들을 통해 수신된 ACK/NACK 신호를 추출하는 역다중화 및 채널 역맵핑기와,
상기 ACK/NACK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 혹은 NACK를 복구하는 응답 채널 복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 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긍정적 인지(AKC) 및 부정적 인지(NACK)와 같은 응답들을 전송하기 위한 응답 채널인 ACKCH에 대한 채널 정보가 SDCH의 채널 정보에 맵핑되어 단말들 사이에서 공유하도록 하는 환경에서, 복수개의 SDCH들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의 부호화된 비트들을 수신한 단말이 상기 패킷 데이터에 대한 ACK/NACK를 좀 더 효율적으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개의 SDCH들을 스케쥴링 받은 단말은, 상향링크로 ACK/NACK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개의 ACKCH를 사용 가능하다.
복수개의 SDCH를 스케쥴링 받은 경우, 단말은 상기 복수개의 SDCH에 맵핑되는 복수개의 ACKCH들 중에서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ACKCH들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ACKCH들의 파워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파워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ACKCH들을 통해 ACK/NACK를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은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ACKCH들을 선택하고, 상기 설정된 파워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ACKCH들을 통해 ACK/NACK를 수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CKCH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한 단말에게 SDCH #1 ~ SDCH #3까지 세개의 SDCH들이 스케쥴링 되어 하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다. 이때 상기 SDCH들을 통해서는 하나의 패킷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된 비트들이 운송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에서는 상기 패킷 데이터에 대해 하나의 ACK 혹은 NACK(이하 ACK/NACK라 칭함)가 생성된다.
여기서 SDCH #1 ~ SDCH#3에 맵핑된 세개의 ACKCH들, 즉 ACKCH#1 ~ ACKCH#3(607, 608, 609)이 존재하지만, 단말은 ACKCH#1(607)과 ACKCH#3(609)을 동시에 사용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상기 ACKCH들(607 ~ 609)의 부반송파들(k, k+16; k+8, k+24; k+2, k+18)이 등간격을 이루지 않아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ACKCH#1(607)과 ACKCH#2(609)의 부반송파들은 등간격을 유지하기 때문에, ACKCH#1(607)과 ACKCH#2(609)는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한다.
상기 세 개의 ACKCH들(607, 608) 중에서 하나의 ACKCH 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최대한 많은 ACKCH들을 이용하면 주파수 다이버시티도 얻을 수 있고 전력을 나누어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주변 셀에 미치는 간섭도 줄일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단말에게 할당된 SDCH들에 맵핑된 ACKCH들 중에서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다수의 ACKCH들을 사용하여 ACK/NACK를 전송한다. 도 6의 경우, ACKCH#3(608)을 제외하고, ACKCH#1(607)과 ACKCH#2(609)가 ACK/NACK의 전송을 위해 선택된다.
다음으로, 복수개의 ACKCH들이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6을 이용하여 좀더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DFDMA 방식으로 ACK/NACK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송신기 혹은 수신기에서는, ACK/NACK를 전송하기 위한 ACKCH들의 부반송파들이 등간격을 이루는지 확인한다. 도 6의 (a)에서 ACKCH#1(607)은 {k, k+16}번째 부반송파들로 구성되어 있고 ACKCH#2(609)는 {k+8,k+24} 번째 부반송파들, 그리고 ACKCH#3(608)은 {k+2, k+18} 번째 부반송파들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부반송파들의 등간격 여부를 확인하는 여러 방법이 존재할 수 있는데, 간단한 예로서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각 채널에 대해 부반송파들간의 거리를 구한다.
{Xi - Yj} Modular 16 = 8
상기 <수학식 1>에서 Xi는 비교하고자 하는 첫번째 ACKCH의 부반송파들 중 i번째부반송파의 위치(인덱스)이고 Yj는 두번째 ACKCH의 부반송파들 중 j번째 부반송파의 위치이다. 그리고 16은 한 ACKCH 내에서 부반송파들 간의 거리이다. 도 6에서 한 채널에 대한 부반송파들 간의 거리가 16이므로. 16으로 Modular 연산을 취한다. ACKCH #1(607)과 ACKCH#2(609)를 상기 <수학식 1>에 적용하시키면, {X1-Y1} Modular 16= 8, {X1-Y2} Modular 16= 8, {X2-Y1} Modular 16=8, {X2-Y2} Modular 16=8 ... 로서, 모든 부반송파들이 서로 등간격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ACKCH #1(607)과 ACKCH#3(608)의 경우 {X1-Y1} Modular 16 = 2, {X1-Y2} Modular 16=14, {X2-Y1} Modular 16= 14, {X2-Y2} Modular 16 =2 ... 가 되어 부반 송파들이 등간격을 이루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의 (b)와 같이 LFDM 방식으로 ACKCH를 구성한 경우에는, 모든 부반송파들간의 간격이 1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연속적인 부반송파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ACKCH#1(615)의 두번째 부반송파의 위치는 k+1이고 ACKCH#2(616)의 첫번째 부반송파의 위치는 k+2이므로, 두 채널들(615, 616)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적이다. 그러나 ACKCH#3(617)의 부반송파들은 k+6, k+7번째에 위치하므로 주파수 도메인에서 다른 ACKCH들(615, 616)과 연속적이지 않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단말의 ACKCH 전력 설정 방법을 기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ACKCH들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경우, 어떤 SDCH들이 스케쥴링 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단말이 전송가능한 ACKCH들의 개수가 가변적이 된다. 이런 경우 단말이 부반송파 대역당 항상 동일한 전력을 이용하여 ACK/NACK를 전송하게 되면, 간섭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충분히 얻지 못한다. 그러므로 단말은 전송가능한 ACKCH들의 개수에 따라서, 각 채널을 위한 전력 레벨을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ACKCH 개수에 따라서 설정한다.
Figure 112006081204678-PAT00001
상기 <수학식 2>에서 PACKCH는 현재 전송하고자 하는 각 ACKCH의 전력레벨이 고, Pref는 기준이 되는 하나의 ACKCH만을 전송할 때 사용 가능한 미리 정해지는 전력 레벨이며, NACKCH는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ACKCH들의 개수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ACKCH들 중에서 전송 가능한 ACKCH를 선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을 것이나, ACK/NACK를 송신하기 위한 ACKCH들을 선택하는 단말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ACK/NACK를 수신하기 위한 ACKCH들을 선택하게 됨은 물론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1 단계에서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SDCH를 통해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CRC 체크과정을 완료하여 ACK 또는 NACK를 결정하면, 단말은 702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데이터가 복수개의 SDCH를 통해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하나의 SDCH로 전송된 경우에는, 703 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은 상기 하나의 SDCH에 대응하는 하나의 ACKCH를 선택하고, 704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하나의 ACKCH를 통해 상기 결정된 ACK/NACK을 전송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705 단계로 진행한다.
705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SDCH들에 맵핑된 ACKCH들이 서로간에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DFDMA로 설정된 ACKCH들인 경우에는 상기 ACKCH들의 부반송파들이 등간격을 유지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LFDMA로 설정된 ACKCH들인 경우는 상기 ACKCH들의 부반송파들이 연속적인지로 확인함으로써,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에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ACKCH들을 포함하는 여러 개의 ACKCH 그룹들이 존재하는 경우, 가장 많은 ACKCH들을 가지는 ACKCH 그룹이 선택된다. 이와 같이,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두 개 이상의 ACKCH들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707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상기 ACKCH들의 개수에 맞추어 각 ACKCH를 위한 전력을 재계산하여 설정한다. 다음으로 단말은 7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복수개의 ACKCH를 통하여 상기 설정된 전력으로 ACK/NACK를 전송한다.
반면 상기 705 단계에서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ACKCH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706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SDCH들에 맵핑된 ACKCH들 중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하나의 ACKCH를 선택하고 상기 704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ACKCH를 통해 상기 ACK/NACK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ACKCH들을 선택하는 방법은 SDCH와 ACKCH의 어떤 맵핑 방법에도 적용이 가능하지만, 효과를 증가 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채널 설정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SDCH와 ACKCH를 단순히 채널 인덱스들에 따라 일대일 맵핑 시키고, 실제 전송하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위치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여러 SDCH들이 단말에게 할당되는 경우, 이에 맵핑되는 ACKCH들이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SDCH와 ACKCH의 맵핑이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되는 서브대역(sub-band) 단위의 스케쥴링을 고려해서, 데이터 채널들을 위한 서브밴드들을 비연속적으로 할당하는 경우 보다는, 다이버시티를 얻기 위해 상기 서브밴드들을 전체 주파수 대역으로 분산하여 여러 SDCH들을 할당하는 것이 좀더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채널 맵핑 방법은 연속적인 채널 인덱스들을 가지는SDCH들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한 경우, 단일 캐리어 특성을 만족하도록 상기 SDCH들에 맵핑되는 ACKCH들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SDCH와 ACKCH의 맵핑 예를 하기의 표에서 보여주고 있다.
SDCH # ACKCH (DFDM) ACKCH (LFDM)
1 ACKCH #1 = {k, k+16} ACKCH #1 = {k, k+1}
2 ACKCH #2 = {k+8, k+24} ACKCH #2 = {k+2, k+3}
3 ACKCH #3 = {k+4, k+20} ACKCH #3 = {k+4, k+5}
4 ACKCH #3 = {k+12, k+28} ACKCH #4 = {k+6, k+7}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특징이 DFDM 방식의 ACKCH들보다 확실하게 보여진다. ACKCH #1과 ACKCH#2의 경우 부반송파들간의 거리가 8로서 등간격이 되므로, 기지국 스케쥴러가 SDCH #1,2을 동시에 할당하는 경우 단말은 항상 두 ACKCH들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ACKCH #3과 ACKCH #4 역시 등간격 8을 이루고 있다. 기지국 스케쥴러가 SDCH #1~#4를 할당하게 되면 ACKCH#1~ACKCH#4가 모두 간격 4로서 등간격을 이루기 때문에 4개의 ACKCH들을 모두 사용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LFDM의 경우도, {ACKCH#1,ACKCH#2}, {ACKCH#2, ACKCH#3}, {ACKCH#3, ACKCH#4}, {ACKCH#1, ACKCH#2, ACKCH#3}, {ACKCH#2, ACKCH#3, ACKCH#4}, {ACKCH#1, ACKCH#2, ACKCH#3, ACKCH#4}의 조합이 모두 단일 캐리어 특성을 만족하므로, 기지국 스케쥴러는 복수개의 SDCH들을 할당할 때 상기 ACKCH 조합에 대응하는 SDCH 조합에서 복수의 ACKCH 사용이 가능해져서, 효율적인 ACKCH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한 ACK/NACK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CKCH 결정기(801)는 전체 ACKCH 정보(806)와 SDCH 정보(802)를 입력받아, 어떤 ACKCH(들)를 통해서 ACK/NACK를 송신할지를 나타내는 ACKCH 정보(807)를 앞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여기서 전체 ACKCH 정보(806)는 사용 가능한 모든 ACKCH들, 즉 사용 가능한 모든 SDCH들에 맵핑되는 ACKCH들이 할당된 부반송파들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미리 정의될 수도 있고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서 설정될 수 있다. SDCH 정보(802)는 데이터가 수신되고 있는(사용중인) SDCH들이 할당된 부반송파들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SDCH 수신부(808)로부터 전달받는다. 적어도 하나의 ACKCH를 통해서 전송하고자 하는 ACK/NACK 비트들(811)은 ACKCH 생성기(803)로 입력된다. ACKCH 생성기(803)는 해당 패킷 데이터의 수신 결과를 바탕으로 생성된 ACK/NACK 비트들(811)을 실제 전송할 수 있는 포맷으로 코딩 및/또는 변조한다.
다중화 및 채널 맵핑기(804)는 ACKCH 결정기(801)로부터 제공된 ACKCH 정보(807) 및 다른 채널 정보(도시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ACKCH 생성기(803)로부터의 ACK/NACK 신호를 다른 채널 신호들과 다중화하여, 실제 물리 계층 자원, 즉 부반송파들에 맵핑한다. 구체적으로 다중화 및 채널 맵핑기(804)는 복수의 입력 신호 심볼들을 FFT 변환한 후 IFFT(805)의 해당하는 입력 탭들로 연결한다. IFFT(805)의 출력 신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P/S 변환 및 CP 추가를 거쳐 전송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한 ACK/NACK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ACKCH 결정기(906)는 전체 ACKCH 정보(905)와 SDCH 정보(901)를 입력받아, 어떤 ACKCH(들)을 ACK/NACK를 수신할지를 나타내는 ACKCH 정보(807)를 앞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해서 결정한다. 여기서 전체 ACKCH 정보(905) 및 SDCH 정보(901)에 대한 설명은 도 8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SDCH 정보(901)는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 SDCH 송신부(909)로부터 전달받는다.
수신 신호는 FFT(902)를 통과하여 복수의 부반송파 성분들로 구성된 주파수 도메인의 신호로 변환된다. 역다중화 및 채널 디맵핑기(903)는 ACKCH 결정기(906)로부터 제공된 ACKCH 정보(907) 및 다른 채널 정보(도시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부반송파 성분들을 내부의 IFFT(도시하지 않음)의 해당하는 입력 탭들로 연결한 후 IFFT 변환하여 원래의 ACK/NACK 신호 및 다른 채널 신호들을 추출한다. 상기 ACK/NACK 신호는 ACKCH 복호기(904)에서 복조 및/또는 디코딩을 거쳐 ACK/NACK 비트들(908)로 복구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데이터 채널들에 맵핑된 ACK/NACK 채널들 중에서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ACK/NACK 채널들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SC-FDMA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 개의 ACK/NACK 채널들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어 ACK/NACK 채널을 위해서 할당된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SC-FDMA)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긍정적 인지(ACK) 및 부정적 인지(NACK)를 전송하는 응답 채널들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데이터 채널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채널들에 맵핑되는 응답 채널들 중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응답 채널들 중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하나의 제1 응답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1 응답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 혹은 NACK를 송신 혹은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제2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면,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제2 응답 채널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2 응답 채널들을 통해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 혹은 NACK를 송신 혹은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채널들의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제2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면, 상기 제1 응답 채널의 사용을 위해 미리 정해지는 전력 레벨을 상기 제2 응답 채널들의 개수로 나누어, 상기 제2 응답 채널들 각각을 위한 전송 전력 레벨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채널들의 설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응답 채널들이 할당된 부반송파들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등간격을 가지거나 혹은 연속되는 경우, 상기 제2 응답 채널들이 단일 반송파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채널들의 설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응답 채널들 중 단일 반송파 특성을 가지는 응답 채널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응답 채널 조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응답 채널 조합들 중 가장 많은 응답 채널들을 포함하는 응답 채널 조합을 상기 제2 응답 채널들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채널들의 설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에 맵핑되는 응답 채널들은,
    연속된 채널 인덱스들을 가지는 응답 채널들이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도록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에 맵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채널들의 설정 방법.
  6.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SC-FDMA)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채널들을 통해 패킷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긍정적 인지(ACK) 및 부정적 인지(NACK)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채널 수신부와,
    상기 데이터가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을 통해서 수신되었으면,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에 맵핑되는 응답 채널들 중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응답 채널들 중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하나의 제1 응답 채널을 선택하며,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제2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면,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제2 응답 채널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1 응답 채널 혹은 제2 응답 채널들을 나타내는 채널 정보를 출력하는 응답 채널 결정기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ACK 혹은 NACK 신호를 생성하는 응답 채널 발생기와,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ACK 혹은 NACK 신호를 상기 제1 응답 채널 혹은 상기 제2 응답 채널들을 통해 전송하는 다중화 및 채널 매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ACK 및 NACK의 전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채널 결정기는,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제2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면, 상기 제1 응답 채널의 사용을 위해 미리 정해지는 전력 레벨을 상기 제2 응답 채널들의 개수로 나누어, 상기 제2 응답 채널들 각각을 위한 전송 전력 레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 및 NACK의 전송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채널 결정기는,
    상기 제2 응답 채널들이 할당된 부반송파들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등간격을 가지거나 혹은 연속되는 경우, 상기 제2 응답 채널들이 단일 반송파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 및 NACK의 전송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채널 결정기는,
    상기 응답 채널들 중 단일 반송파 특성을 가지는 응답 채널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응답 채널 조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응답 채널 조합들 중 가장 많은 응답 채널들을 포함하는 응답 채널 조합을 상기 제2 응답 채널들로서 결정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 및 NACK의 전송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에 맵핑되는 응답 채널들은,
    연속된 채널 인덱스들을 가지는 응답 채널들이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도록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에 맵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 및 NACK의 전송 장치.
  11.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SC-FDMA)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채널들을 통해 패킷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긍정적 인지(ACK) 및 부정적 인지(NACK)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데이터 채널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채널들에 맵핑되는 응답 채널들 중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응답 채널들 중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하나의 제1 응답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제2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면,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제2 응답 채널들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제1 응답 채널 혹은 제2 응답 채널들을 나타내는 채널 정보를 출력하는 응답 채널 결정기와,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 혹은 NACK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된 신호 중 상기 제1 응답 채널 혹은 제2 응답 채널들을 통해 수신된 ACK/NACK 신호를 추출하는 역다중화 및 채널 역맵핑기와,
    상기 ACK/NACK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 혹은 NACK를 복구하는 응답 채널 복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 및 NACK의 수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채널 결정기는,
    상기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제2 응답 채널들이 존재하면, 상기 제1 응답 채널의 사용을 위해 미리 정해지는 전력 레벨을 상기 제2 응답 채널들의 개수로 나누어, 상기 제2 응답 채널들 각각을 위한 전송 전력 레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 및 NACK의 수신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채널 결정기는,
    상기 제2 응답 채널들이 할당된 부반송파들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등간격을 가지거나 혹은 연속되는 경우, 상기 제2 응답 채널들이 단일 반송파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 및 NACK의 수신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채널 결정기는,
    상기 응답 채널들 중 단일 반송파 특성을 가지는 응답 채널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응답 채널 조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응답 채널 조합들 중 가장 많은 응답 채널들을 포함하는 응답 채널 조합을 상기 제2 응답 채널들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 및 NACK의 수신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에 맵핑되는 응답 채널들은,
    연속된 채널 인덱스들을 가지는 응답 채널들이 단일 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도록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에 맵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 및 NACK의 수신 장치.
KR1020060109142A 2006-11-06 2006-11-06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시스템에서 단일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애크/내크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KR20080041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142A KR20080041052A (ko) 2006-11-06 2006-11-06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시스템에서 단일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애크/내크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142A KR20080041052A (ko) 2006-11-06 2006-11-06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시스템에서 단일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애크/내크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052A true KR20080041052A (ko) 2008-05-09

Family

ID=3964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142A KR20080041052A (ko) 2006-11-06 2006-11-06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시스템에서 단일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애크/내크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10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84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및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US95656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8320434B2 (en) Encoding uplink acknowledgments to downlink transmissions
RU2437253C2 (ru) Подтверждение управляющих сообщений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AU20082897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hybrid- ARQ ACK/NACK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2833863B (zh) 基站装置以及通信控制方法
US201600446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signaling using time-frequency resources
KR101445388B1 (ko) 반복 코딩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US20100260116A1 (en) Radio resource management device,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vice, and radio resource management method
KR20080065853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응답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07108473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送信装置、および再送方法
JPWO2008084859A1 (ja) 無線通信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070119958A (ko) 무선통신 시스템 상향링크에서의 제어정보 전송방법,제어정보 전송장치 및 dft-s-ofdm 방식 무선통신시스템의 사용자 기기
US2011001963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0849329B1 (ko)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위한 전송 자원 할당과 시그널링 방법및 장치
KR2008011044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자원 할당 방법 및장치
US7564828B2 (en) Power-efficient signaling for asymmetric multi-carrier communications
WO2009045046A2 (en) A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ack/nak signal in an ofdm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41052A (ko)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시스템에서 단일반송파 특성을 만족하는 애크/내크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KR101368105B1 (ko)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전송 장치 및 방법
JP5685564B2 (ja) ダウンリンク転送に対するアップリンク確認応答をエンコーディング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Omar et al. Downlink Resource Allocation in Long Term Evolution (LTE)
Tsai et al. Khan et al.(45) Date of Patent: Mar. 20, 201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