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542A - Binocular type automated stereoscopic imaging system - Google Patents
Binocular type automated stereoscopic imag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40542A KR20080040542A KR1020070034277A KR20070034277A KR20080040542A KR 20080040542 A KR20080040542 A KR 20080040542A KR 1020070034277 A KR1020070034277 A KR 1020070034277A KR 20070034277 A KR20070034277 A KR 20070034277A KR 20080040542 A KR20080040542 A KR 200800405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stereoscopic image
- stereoscopic
- dimensional
- ang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464 asthenop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73 dizz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안식 자동화 입체영상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주시각도와 주시거리를 갖도록 움직이는 두 대의 입체영상촬영카메라와 스테레오컨트롤러를 통해 양질의 입체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입체영상을 3차원뷰파인더를 통해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획득한 입체영상을 다른 3차원 외부장치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양안식 자동화 입체영상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nocular automated stereoscopic imag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quality stereoscopic image through two stereoscopic imaging cameras and a stereo controller moving to have the same viewing angle and viewing dist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nocular automated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system that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a stereoscopic image can be immediately identified through a 3D viewfinder and a structure that can directly use the acquired stereoscopic image as another 3D external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피사체로부터 스테레오영상을 획득하는 두 개의 입체영상촬영카메라와; 상기 입체영상촬영카메라가 상부의 좌측과 우측의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되,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각도조절스크류와 간격조절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각도조절모터와 간격조절모터를 통해 촬영각과 간격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된 카메라스테이지와; 상기 카메라스테이지 상에 설치되어 입체영상촬영카메라가 획득한 스테레오영상을 동기화 처리하여 3차원입체영상으로 변환하는 싱크로나이져와; 상기 카메라스테이지 상에 설치되어 각도조절모터와 간격조절모터를 제어하여 입체영상촬영카메라의 촬영각과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모터컨트롤러와, 입체영상촬영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카메라컨트롤러로 이루어진 스테레오컨트롤러와; 상기 카메라스테이지 상에 설치되어 싱크로나이져에서 동기화처리된 3차원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모니터링하기 위한 3차원뷰파인더와; 상기 입체영상촬영카메라와 카메라스테이지와 모터컨트롤러와 스테레오컨트롤러와 3차원뷰파인더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양안식 자동화 입체영상 촬영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camera for acquiring stereo images from a subject; The three-dimensional image recording camera is installed at the symmetrical position of the left and right of the upper, the screw thread in different direc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angle adjusting motor and the angle adjusting motor for rotating the angle adjusting screw and the space adjusting screw install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amera stage installed to adjust a shooting angle and an interval through an adjustment motor; A synchronizer installed on the camera stage and synchronizing the stereo image acquired by the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camera into a 3D stereoscopic image; A stereo controller installed on the camera stage and configured to control an angle adjusting motor and a spacing motor to automatically adjust a shooting angle and an interval of a 3D video camera, and a camer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3D video camera. ; A three-dimensional viewfinder installed on the camera stage and configured to display and monitor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synchronized with the synchronizer;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tereoscopic imaging camera, the camera stage, the motor controller, the stereo controller, and the 3D viewfinder, respectively; Provided is a binocular automated stereoscopic ima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교차축 및 평행축 촬영방식을 나타낸 개념도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ross-axis and parallel axis photograph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0: 입체영상촬영카메라 20: 각도조절스크류10: stereoscopic imaging camera 20: angle adjustment screw
30: 간격조절스크류 40: 각도조절모터30: Spacing screw 40: Angle adjusting motor
50: 간격조절모터 60: 카메라스테이지50: interval adjustment motor 60: camera stage
70: 모터컨트롤러 80: 싱크로나이져70: motor controller 80: synchronizer
90: 카메라컨트롤러 100: 스테레오컨트롤러90: camera controller 100: stereo controller
110: 3차원뷰파인더 120: 전원공급부110: 3D viewfinder 120: power supply
130: 출력단자 140: 각도조절레버130: output terminal 140: angle adjustment lever
150: 간격조절레버 160: 외부장치150: gap control lever 160: external device
P: 피사체 P: Subject
200: 양안식 자동화 입체영상 촬영시스템200: binocular automated stereoscopic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양안식 자동화 입체영상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주시각도와 주시거리를 갖도록 움직이는 두 대의 입체영상촬영카메라와 스테레오컨트롤러를 통해 양질의 입체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입체영상을 3차원뷰파인더를 통해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획득한 입체영상을 다른 3차원 외부장치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양안식 자동화 입체영상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nocular automated stereoscopic imag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quality stereoscopic image through two stereoscopic imaging cameras and a stereo controller moving to have the same viewing angle and viewing dist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nocular automated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system that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a stereoscopic image can be immediately identified through a 3D viewfinder and a structure that can directly use the acquired stereoscopic image as another 3D external device.
일반적으로 입체영상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단안식 바이프리즘 입체영상 촬영방식과 양안식 평행축 입체영상 촬영방식과 양안식 교착축 입체영상 촬영방식이 있다. In general, there are three methods of acquiring stereoscopic images: a monocular biprism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method, a binocular parallel axis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method, and a binocular interlocking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method.
단안식 바이프리즘 입체영상 촬영방식은 한 대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헤드간 동기 및 줌렌즈 간 동기 문제는 없으나 바이프리즘(Bi-Prism) 어댑터로 인해 입체영상의 좌우 경계부에 화질 저하를 가져오고 색수차에 의해 화질 열화를 발생시킴으로써 설계시 섬세한 보상방법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줌 및 포커스 값에 따라 주시각을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이로 인해 정해진 주시각 범위 내에서만 촬영해야 하는 제한적인 촬영 조건을 가지고, 획득된 입체영상은 절반의 해상도밖에 가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The monocular bi-prism stereoscopic imaging method uses a single camera, and there is no problem of head-to-head synchronization and zoom-to-zoom synchronization, but due to the bi-prismatic adapter, the image quality is degraded at the left and right boundaries of the stereoscopic image, There is a problem that a delicate compensation method is required in the design by generating a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the zoom and focus values,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quired stereoscopic image has only half resolution due to limited shooting conditions that must be taken only within a predetermined viewing angle range.
양안식 평행축 입체영상 촬영방식은 피사체에 대해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두 대의 카메라를 고정시켜 좌우 영상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제작 및 조작이 용이하고 키스톤에 의한 영상 왜곡이 적으나 피사체의 이동에 따른 시차변화의 보정이 불가능하므로 피사체에 대해 원하는 정도의 입체감을 표현하는데 제한이 있고, 획득된 입체영상은 눈의 피로와 현기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binocular parallel axis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method acquires left and right images by fixing two cameras in parallel with a certain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subject. Since the parallax change cannot be corrected, there is a limitation in expressing a desired three-dimensional feeling with respect to the subject, and the obtained three-dimensional image has a problem of causing eye fatigue and dizziness.
양안식 교차축 입체영상 촬영방식은 카메라의 주시각을 조절가능하도록 한 방식으로, 두 대의 카메라의 광축을 교차시켜 피사체의 입체감을 원하는 정도로 얻을 수 있으나 카메라의 광축이 눈의 중심점과 정확하지 못하므로 교차점을 벗어난 입체영상을 획득하기 쉽고 제작 및 조작이 용이하지 못하다. 이로 인해 획득된 입체영상의 왜곡이 자주 발생하여 입체영상 표현에 한계가 있다. The binocular cross-axis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method enables the camera's angle of view to be adjusted. By intersecting the optical axes of the two cameras, a three-dimensional sense of the subject can be obtained to the desired level. It is easy to acquire three-dimensional images beyond the intersection and is not easy to manufacture and manipulate. As a result, distortion of the obtained stereoscopic image is frequently generated, thereby limiting the representa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양안식 평행축 입체영상 촬영방식과 양안식 교차축 입체영상 촬영방식은 모두 두 대의 카메라에서 잡힌 피사체가 안정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스테레오베이스에 대응하지 못해 여러 가지 기교적인 촬영 기법에서 배제되었으며 다양한 카메라에 대한 범용성을 가지지 못하고 특정 카메라로 국한되어 있다. The binocular parallel axis stereoscopic image capture method and the binocular cross-axis stereoscopic image capture method are both excluded from various technical techniques because they do not correspond to the stereo base which makes the subjects of two cameras look stable. It has no versatility and is limited to specific cameras.
그리고 이러한 입체영상 촬영방식은 촬영시 불완전하고 제한적인 입체영상의 획득으로 연계되므로 촬영 시스템의 개선 및 성능의 향상이 절실히 요구되며, 오차 없이 정확하게 주시각도와 주시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활용한 3차원 입체영상 촬영 카메라의 고안과 촬영자에 의한 다양한 촬영기법이 적용될 수 있고 촬영에 대한 오류를 줄일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된다. In addition, since this stereoscopic image recording method is linked to the acquisition of incomplete and limited stereoscopic image at the time of shooting, the improvement of the shooting system and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are urgently required, and the mechanism that can adjust the viewing angle and the viewing distance accurately without error 3 The design of the 3D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camera and various photographing techniques by the photographer can be applied, and a configuration that can reduce errors in photographing is required.
또한, 이러한 입체영상 촬영방식은 촬영자의 감각에 의한 촬영으로 영상획득 된 입체영상의 품질이 좋지 못하므로 획득된 입체영상이 획득하고자 하는 정도로 양질의 입체영상으로 촬영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method is not good quality of the stereoscopic image obtained by the user's sense of shooting, it is required to configure whether the obtained stereoscopic image is taken to a high-quality stereoscopic image to the extent desired to obtain.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양안식 입체영상 촬영방식을 기반으로 평행축과 교차축 촬영방식에 모두 적응적이고, 양질의 입체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입체영상을 즉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획득한 입체영상을 외부장치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양안식 자동화 입체영상 촬영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ased on the binocular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method, it is adaptive to both parallel and cross-axis capturing methods,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quality stereoscopic image, obtained stereoscopic imag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nocular automated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system that can immediately check the information and immediately utilize the acquired stereoscopic image as an external devi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교차축 및 평행축 촬영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ross-axis and parallel axis imag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양안식 자동화 입체영상 촬영시스템(200)은 피사체(P)로부터 스테레오영상을 획득하는 두 개의 입체영상촬영카메라(10)와; 상기 입체영상촬영카메라(10)가 상부의 좌측과 우측의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되,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각도조절스크류(20)와 간격조절스크류(30)를 회전시키는 각도조절모터(40)와 간격조절모터(50)를 통해 촬영각 과 간격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된 카메라스테이지(60)와; 상기 카메라스테이지(60) 상에 설치되어 입체영상촬영카메라(10)가 획득한 스테레오영상을 동기화 처리하여 3차원입체영상으로 변환하는 싱크로나이져(80)와; 상기 카메라스테이지(60) 상에 설치되어 각도조절모터(40)와 간격조절모터(50)를 제어하여 입체영상촬영카메라(10)의 촬영각과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모터컨트롤러(70)와, 입체영상촬영카메라(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카메라컨트롤러(90)로 이루어진 스테레오컨트롤러(100)와; 상기 카메라스테이지(60) 상에 설치되어 싱크로나이져(80)에서 동기화처리된 3차원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모니터링하기 위한 3차원뷰파인더(110)와; 상기 입체영상촬영카메라(10)와 카메라스테이지(60)와 모터컨트롤러(70)와 스테레오컨트롤러(100)와 3차원뷰파인더(110)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binocular automated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상기 싱크로나이져(80)에는 3차원프로젝터와 3차원티브이와 3차원모니터와 3차원스토레지 등과 같은 3차원타입의 외부장치(160)를 연결할 수 있는 출력단자(130)가 설치되어 있다. The
상기 각도조절스크류(20)와 간격조절스크류(30)의 일단에 각각 수동으로 정밀하게 입체영상촬영카메라(10)의 촬영각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레버(140)와 간격조절레버(150)가 설치되어 있다. The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카메라컨트롤러(90)에는 전원표시, 줌인/줌아웃, 포커싱버튼, 녹화/정지 등의 기능을 하는 조작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뿐만 아니라 범용 디지털카메라와 디지털켐코더에 모두 대응되는 기능을 위한 조작버튼도 설치되 어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모터컨트롤러(70)에는 전원표시, 입체영상촬영카메라(10)의 촬영각과 간격조절 등의 기능을 하는 조작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양안식 자동화 입체영상 촬영시스템(200)은 두 대의 입체영상촬영카메라(10)를 통해 교차축과 평행축 방식으로 입체영상을 획득하는 시스템이다. The binocular automated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특히, 본 발명의 양안식 자동화 입체영상 촬영시스템(200)은 두 대의 입체영상촬영카메라(10)가 동기화처리되어 양질의 입체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입체영상을 즉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3차원 외부장치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In particular, the binocular automated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컨트롤러(9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두 대의 입체영상촬영카메라(10)가 카메라스테이지(60)에 설치된 각도조절모터(40)와 간격조절모터(50)에 의해 회전되는 각도조절스크류(20)와 간격조절스크류(30)에 연결 설치되어 모터컨트롤러(70)와 카메라컨트롤러(70)에 의해 각각 주시각도와 주기거리 및 작동이 제어됨에 의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1, two
그리고 상기 두 대의 입체영상촬영카메라(10)로부터 얻은 피사체(P)에 대한 스테레오영상을 싱크로나이져(80)를 통해 3차원입체영상으로 동기화 처리됨에 의한 것이다. The stereo image of the subject P obtained from the two
또한, 상기 싱크로나이져(80)에서 처리된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3차원뷰파인더(110)가 설치되고, 스테레오컨트롤러(90)에 다른 3차원 외부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접속단자(130)가 설치됨에 의한 것이다. . In addition, a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대의 입체영상촬영카메라(10)의 주시각도와 주시거리를 오차 없이 정확하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피사체에 대한 스테레오영상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되고, 촬영자의 다양한 촬영기법을 적용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피사체에 대한 안정적인 입체영상 획득에 대한 스테레오베이스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the viewing angles and viewing distances of two
이때 두 대의 입체영상촬영카메라(10)의 주시각도와 주시거리는 각도조절스크류(20)와 간격조절스크류(30)의 일단에 각각 설치된 각도도조절레버(140)와 간격조절레버(150)를 통해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보다 정교한 주시각도와 주시거리를 얻고자 할 때 사용한다. At this time, the viewing angle and the viewing distance of the two stereoscopic image recording
그리고 두 대의 입체영상촬영카메라(10)로부터 얻은 피사체(P)에 대한 스테레오영상을 싱크로나이져(80)와 카메라컨트롤러(90)를 통해 화질의 저하 없이 정합시켜 동기화 처리함으로써 양질의 입체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The stereo image of the subject P obtained from the two stereoscopic
여기서 스테레오컨트롤러(100)를 통해 입체영상촬영카메라(10)의 촬영 및 작동을 제어함에 따라, 전용의 입체영상촬영카메라(10)를 대신하여 범용의 디지털카메라나 디지털켐코더 등을 제한 없이 장착 사용할 수 있게 된다. Here, by controlling the recording and oper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recording
또한, 싱크로나이져(80)에 의해 처리된 입체영상을 3차원뷰파인더(110)를 통해 촬영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획득한 입체영상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stereoscopic image processed by the
뿐만 아니라 싱크로나이져(80)의 접속단자에 3차원프로젝터와 3차원티브이와 3차원모니터와 3차원스토레지 등과 같은 3차원 외부장치를 연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입체영상을 즉시 활용할 수 있어 입체영상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3D projector, 3D TV, 3D monitor, 3D storage, and the like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양질의 입체영상을 쉽게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획득한 양질의 입체영상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3차원컨텐츠 제작기술에 대한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고, 나아가 더불어 성장하는 3차원티브이 분야의 발전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not only easily obtain a high quality stereoscopic image, but also conveniently utilize the obtained high quality stereoscopic imag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3D content production technologies, and furtherm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growing three-dimensional work can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4277A KR20080040542A (en) | 2007-04-06 | 2007-04-06 | Binocular type automated stereoscopic imag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4277A KR20080040542A (en) | 2007-04-06 | 2007-04-06 | Binocular type automated stereoscopic imaging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0542A true KR20080040542A (en) | 2008-05-08 |
Family
ID=39648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4277A Ceased KR20080040542A (en) | 2007-04-06 | 2007-04-06 | Binocular type automated stereoscopic imag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40542A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6778B1 (en) * | 2007-10-23 | 2009-07-09 | (주)레드로버 | Stage to share the axis of rotation |
KR100952045B1 (en) * | 2008-06-02 | 2010-04-0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without distortion |
KR100972572B1 (en) * | 2008-06-27 | 2010-07-28 | (주)오션망고코리아 | Binocular stereoscopic camera device and camera mounting device |
WO2011035560A1 (en) * | 2009-09-27 | 2011-03-31 | 深圳市掌网立体时代视讯技术有限公司 | Device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of stereoscopic digital imaging |
KR101103730B1 (en) * | 2010-04-12 | 2012-01-11 | (주)지에스엠솔루션 | 360-degree stereo camera device |
WO2012091526A3 (en) * | 2010-12-31 | 2012-10-0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Portable video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camera, and method therefor |
KR101379285B1 (en) * | 2012-09-11 | 2014-04-02 | 주식회사 리메드 | Stereo Camera Device For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o Adjust A Viewing Angle |
CN112731665A (en) * | 2020-12-31 | 2021-04-30 | 中国人民解放军32181部队 | Self-adaptive binocular stereoscopic vision low-light night vision head-mounted system |
CN114079723A (en) * | 2021-12-23 | 2022-02-22 | 上海锐像信息科技有限公司 | A binocular camera and photography system |
-
2007
- 2007-04-06 KR KR1020070034277A patent/KR2008004054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6778B1 (en) * | 2007-10-23 | 2009-07-09 | (주)레드로버 | Stage to share the axis of rotation |
KR100952045B1 (en) * | 2008-06-02 | 2010-04-0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without distortion |
KR100972572B1 (en) * | 2008-06-27 | 2010-07-28 | (주)오션망고코리아 | Binocular stereoscopic camera device and camera mounting device |
WO2011035560A1 (en) * | 2009-09-27 | 2011-03-31 | 深圳市掌网立体时代视讯技术有限公司 | Device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of stereoscopic digital imaging |
KR101103730B1 (en) * | 2010-04-12 | 2012-01-11 | (주)지에스엠솔루션 | 360-degree stereo camera device |
WO2012091526A3 (en) * | 2010-12-31 | 2012-10-0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Portable video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camera, and method therefor |
KR101379285B1 (en) * | 2012-09-11 | 2014-04-02 | 주식회사 리메드 | Stereo Camera Device For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o Adjust A Viewing Angle |
CN112731665A (en) * | 2020-12-31 | 2021-04-30 | 中国人民解放军32181部队 | Self-adaptive binocular stereoscopic vision low-light night vision head-mounted system |
CN114079723A (en) * | 2021-12-23 | 2022-02-22 | 上海锐像信息科技有限公司 | A binocular camera and photography system |
CN114079723B (en) * | 2021-12-23 | 2025-05-30 | 上海锐像信息科技有限公司 | Binocular camera and photography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40542A (en) | Binocular type automated stereoscopic imaging system | |
US9491439B2 (en) | Three-dimensional image capture device, lens control device and program | |
EP2593835B1 (en) | Variable three-dimensional camera assembly for still photography | |
JP5683025B2 (en) |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method | |
US20110280563A1 (en) | Camera body, imag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body, program,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 |
US8265477B2 (en) | Stereo camera with preset modes | |
US8698878B2 (en) | 3-D auto-convergence camera | |
KR100972572B1 (en) | Binocular stereoscopic camera device and camera mounting device | |
US9706187B2 (en) | Camera rig for shooting multi-view images and videos and image and video processing method for use with same | |
JP2001142166A (en) | 3d camera | |
US9124877B1 (en) | Methods for acquiring stereoscopic images of a location | |
CN103026716A (en) | Image capturing device | |
JP5223096B2 (en) | 3D video shooting control system, 3D video shoot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KR100399047B1 (en) |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Vergence Control of Crossing Axis Stereo Camera | |
JP2011250022A (en) | Camera system | |
US8878908B2 (en) | 3-D auto-convergence camera | |
US20130088580A1 (en) | Camera body, interchangeable lens unit, image captur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bod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is recorded | |
US20120069148A1 (en) | Image production device, image production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 |
JP2016020977A (en) | Stereoscopic image imaging device | |
US20130076867A1 (en) | Imaging apparatus | |
JPH02260890A (en) | Stereoscopic camera device | |
JP2013046081A (en) | Image capturing device and image generation method | |
JP2012220603A (en) | Three-dimensional video signal photography device | |
JP2012004949A (en) | Camera body, interchangeable lens unit, and imaging apparatus | |
KR101293115B1 (en) | Method for aligning optical axes of stereoscopic camera and the stereoscopic camera, program storing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417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810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4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