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9576A -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및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및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9576A
KR20080039576A KR1020060107022A KR20060107022A KR20080039576A KR 20080039576 A KR20080039576 A KR 20080039576A KR 1020060107022 A KR1020060107022 A KR 1020060107022A KR 20060107022 A KR20060107022 A KR 20060107022A KR 20080039576 A KR20080039576 A KR 20080039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message
mobile platform
network conten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7142B1 (ko
Inventor
심수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컴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컴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컴투스
Priority to KR1020060107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142B1/ko
Publication of KR20080039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6Adapting program code to run in a different environment; Por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40Transformation of program code
    • G06F8/51Source to 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컨텐츠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네트워크 컨텐츠를 수신하여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플랫폼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대응되는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대응 모바일 플랫폼 사이를 인터페이스하는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로서,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를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게로 제공하기 위하여 컨텐츠-플랫폼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로 변환하거나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한 플랫폼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를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로 제공하기 위하여 플랫폼-컨텐츠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로 변환하는 메시지 변환부와,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로 상기 플랫폼-컨텐츠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컨텐츠 메시지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플랫폼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게로 상기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플랫폼 메시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각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과 네트워크 컨텐츠 별로 별도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를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을 개선하여 각 모바일 플랫폼과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사용하는 메시지 형식을 기초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컨텐츠의 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컨텐츠, 모바일 게임, 변환, 컨텐츠 메시지, 플랫폼 메시지

Description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NETWORK CONTENTS FOR HETEROGENEOUS MOBILE PLATFORM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이종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의 컨텐츠 제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이종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의 사용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모바일 플랫폼 메시지 인터페이스부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20: 모바일 플랫폼 130, 140: 게임 서버
200: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210:네트워크 컨텐츠 메시지 인터페이스부 220: 메시지 변환부
230: 모바일 플랫폼 메시지 인터페이스부
232: 모바일 플랫폼 정보 식별부 235: 메시지 정보 저장부
238: 모바일 플랫폼 메시지 송수신부
300: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본 발명은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 각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과 네트워크 컨텐츠 별로 별도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를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을 개선하여 각 모바일 플랫폼과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사용하는 메시지 형식을 기초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컨텐츠의 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기존의 음성 호처리 및 단문 전송 데이터 처리 이외에 게임, 일정관리, 계산기, 알람 등 이용자에게 유용한 부가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짐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고 컨텐츠 및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부가 기능은 국제시간 확인기능, 통화시간 확인기능, 전화번호 메모리기능, 애니메이션 대기화면, 최근 발신/수신번호 보기, 지역번호 검색, 세계시계 기능, 알람 설정기능, 개인정보 관리기능, 단축다이얼/음성다이얼 관리, 스케줄(일간/주간/월간) 관리기능, 이-메일 송수신 기능, 노래방 기능, 사전기능, 계산기 기능, 게임 기능, 사진 편집 기능 및 인터넷 브라우징 기능 등이 추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품 생산에서부터 미리 확정되어 출시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델에 따라 유사한 기능과 상이한 기능들이 구분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의 동일 기능 개발에 따른 중복 투자의 단점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연령층에 따른 각기 다른 취향을 충족시킬 수가 없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능이 부가되는 경우, 부가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여 해당 기능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든 프로그램을 새로이 업그레이드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른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 상 기능 변경을 위해서는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해야 하므로 외부 인터페이스가 용이하지 못하고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운영체제나 윈도우즈와 같은 일반화된 동적인 프로그램 환경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업체 또는 협력업체에서 모든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사용자는 이를 직접 서비스 센터에서 업그레이드 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GVM, BREW, WIPI, MIDP 등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적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Platform)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GVM은 Mini-C 언어로, BREW는 C 언어로, WIPI는 자바 또는 C 언어로, MIDP는 자바 언어 등으로 각각 작성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이를 실행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데,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은 게임, 위치정보, 증권, 노래방, 전자책(e-book)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양한 플랫폼은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의 하나의 기능으로 동작하며, 사용자는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에서 동적 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구동하는 메뉴를 선택하고, 구동된 동적 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이 가지는 응용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 알려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태스크(UI Task)에 메뉴 형태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태스크는 대기(Idle) 상태가 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뉴 형태의 기능을 선택하게 되며,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선택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태스크 내에서 다른 상태로 천이하여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태스크와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제품 개발과 생산 단계에서 미리 그 기능이 확정되어 사용자에게 배 포됨으로서 사용자의 연령층의 구분 없이 일례로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를 선호하는 10대 연령층과 모바일 오피스, 모바일 증권과 같은 기능을 선호하는 30대 연령층에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GVM, BREW, WIPI, MIDP 등의 플랫폼은 이러한 다양한 기능과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모바일 플랫폼"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GVM, BREW, WIPI, MIDP 등의 다양한 플랫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가상적인 또는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의미하며, "이종 모바일 플랫폼"은 이러한 다수의 모바일 플랫폼의 집합으로서 각기 다른 플랫폼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컨텐츠"라는 용어는 이러한 이종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 동작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 예컨대 게임, 위치정보, 증권, 노래방, 전자책 등의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또한 "네트워크 컨텐츠"라는 용어는 이러한 이종 모바일 플랫폼과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사이에서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네트워크 접속이 수행되는 경우의 컨텐츠를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이종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의 컨텐츠 제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종래의 이종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 동작 가능한 컨텐츠를 제작하는 컨텐츠 제작업체는 다양한 이종 모바일 플랫폼 환경에 적합하도록 동일한 컨텐츠를 이종 모바일 플랫폼 별로 별도로 제작하고 이를 제공하여야 한다.
즉 "컨텐츠 A"에 대해서 기획을 하고 이미지 리소스 등을 준비한 이후에는 이 "컨텐츠 A"를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각 이종 모바일 플랫폼 별로 컨텐츠를 제작하여야 한다.
즉 도시되듯이, GVM을 지원하는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라면 "GVM용 컨텐츠 A"를 코딩 등을 통하여 제작하여야 하며, BREW를 지원하는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라면 "BREW용 컨텐츠 A"를 코딩 등을 통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또한 WIPI를 지원하는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라면 WIPI C 또는 WIPI 자바용으로 "WIPI C용 컨텐츠 A" 또는 "WIPI Java용 컨텐츠 A"를 코딩 등을 통하여 제작하여야 하며, MIDP를 지원하는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라면 "MIDP용 컨텐츠 A"를 코딩 등을 통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이러한 개발 및 제작은 컨텐츠 A를 주로 제공하려는 모바일 플랫폼 별로 우선 순위를 두어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컨텐츠는 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를 통하여 각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된다.
도 2는 종래의 이종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제공 환경은 특히 네트워크 컨텐츠가 게임 컨텐츠인 경우에 대해서 도시된다.
도시되듯이, 다수의 모바일 플랫폼(110a 내지 110d, 120a 내지 120d)과 다수 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즉 게임 서버(130a 내지 130d, 140a 내지 140d)가 존재한다.
이러한 다양한 게임 서버(130a 내지 130d, 140a 내지 140d)가 존재하는 이유는 각 게임 컨텐츠 별로 별도의 게임 서버가 필요하며, 또한 동일한 게임 컨텐츠에 대해서도 모바일 플랫폼 별로 별도의 게임 서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네트워크 서버 설계시 모바일 플랫폼이 사용하는 특정 네트워크 패킷 구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 수에 따라서 게임 서버를 배치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각 이동통신 사업자별로 메시지 구조 또는 패킷 전송 구조가 다른 경우라면 이동통신 사업자 별로도 별도의 게임 서버가 필요할 수도 있다.
예컨대 게임 컨텐츠 1에 대해서는 게임 서버(130a 내지 130d)가 존재하며, 게임 컨텐츠 2에 대해서는 게임 서버(140a 내지 140d)가 존재한다.
또한 예컨대 모바일 플랫폼이 GVM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a, 120a)인 경우, BREW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b, 120b)인 경우, MIDP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c, 120c)인 경우, WIPI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d, 120d)인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게임 서버를 1:1로 매칭시켜야 하기 때문에 종래의 이종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환경에서는 다수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예컨대 도 2에서의 다수의 게임 서버(130a 내지 130d, 140a 내지 140d)를 포함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종래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환경은 각 모바일 플랫폼마다 별도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를 별도로 제작하여 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운 영하여야 하며 또한 각 이동통신 사업자별로 메시지 구조가 다른 경우라면 이동통신 사업자 별로 마찬가지로 별도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를 운영하여야 하므로 네트워크 컨텐츠 별로도 별도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를 두어야 하므로 네트워크 컨텐츠 제조업체 측에서는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을 위해서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각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과 네트워크 컨텐츠 별로 별도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를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을 개선하여 각 모바일 플랫폼과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사용하는 메시지 형식을 기초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컨텐츠의 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갖는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 컨텐츠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네트워크 컨텐츠를 수신하여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플랫폼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대응되는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대응 모바일 플랫폼 사이를 인터페이스하는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로서,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 터 수신한 컨텐츠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를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게로 제공하기 위하여 컨텐츠-플랫폼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로 변환하거나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한 플랫폼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를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로 제공하기 위하여 플랫폼-컨텐츠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로 변환하는 메시지 변환부와,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로 상기 플랫폼-컨텐츠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컨텐츠 메시지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플랫폼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게로 상기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플랫폼 메시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컨텐츠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네트워크 컨텐츠를 수신하여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플랫폼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대응되는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대응 모바일 플랫폼 사이를 인터페이스하는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 법으로서, (a) 컨텐츠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를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플랫폼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를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수신된 상기 컨텐츠 메시지를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을 기초로 컨텐츠-플랫폼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로 변환하거나 상기 수신된 상기 플랫폼 메시지를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에 따라서 플랫폼-컨텐츠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로 변환하는 단계와, (c) 상기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를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플랫폼-컨텐츠 메시지를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의 사용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300a, 300b)와 하나 이상의 이종 모바일 플랫폼, 즉 이동통신 단말기(110a 내지 110d, 120a 내지 120d) 사이에 배치되어, 모바일 플랫폼(110a 내지 110d, 120a 내지 120d)과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300a, 300b)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또한 도시되듯이 모바일 플랫폼(110a 내지 110d, 120a 내지 120d)은 GVM을 지원하거나(110a, 120a), BREW를 지원하거나(110b, 120b), MIDP를 지원하거나(110c, 120c), WIPI를 지원(110d, 120d)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이러한 모바일 플랫폼(110a 내지 110d, 120a 내지 120d)과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300a, 300b)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하나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300a, 300b)와 다수의 이종 모바일 플랫폼, 즉 이동통신 단말기(110a 내지 110d, 120a 내지 120d) 중에서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대응되는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모바일 플랫폼을 이하 본원 명세서에서는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 각각 지칭한다.
예컨대 네트워크 컨텐츠 A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300a)와 모바일 플랫폼(110b)이 네트워크 컨텐츠 A의 실행을 위해서 서로 대응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라면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300a)와 모바일 플랫폼(110b)이 각각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 지칭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는 네트워크 컨텐츠 메시지 인터페이스부(210)와, 메시지 변환부(220)와, 모바일 플랫폼 메시지 인터페이스부(230)를 포함한다.
메시지 변환부(220)는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메시지를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게로 제공하기 위하여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로 변환하거나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한 플랫폼 메시지를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로 제공하기 위하여 플랫폼-컨텐츠 메시지로 변환한다.
여기서 컨텐츠 메시지 또는 플랫폼-컨텐츠 메시지는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진다. 즉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처리가 가능한 메시지 형식을 가진다.
또한 플랫폼 메시지 또는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는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대응 모바일 플랫폼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진다. 즉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서 처리가 가능한 메시지 형식을 가진다.
예컨대 네트워크 컨텐츠가 게임 컨텐츠인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게임 컨텐츠를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고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서 수신하여 실행한다고 하면, 게임 컨텐츠의 실행 또는 업데이트 등을 위해서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대응 모바일 플랫폼 사이에 메시지 형식으로 데이터가 교환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 형식이 각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서는 해당 모바일 플랫폼 규격에 종속적일 것이며 이러한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 종속적인 형식의 메시지가 플랫폼 메시지 또는 컨텐츠-플랫폼 메시지이다. 또한 이러한 특정 모바일 플랫폼에 종속적이지 않으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사용하는 형식의 메시지가 컨텐츠 메시지 또는 플랫폼-컨텐츠 메시지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컨텐츠 메시지는 특정 모바일 플랫폼에 종속적인 것이 아니며 단일한 형태의 컨텐츠 메시지이다. 또한 플랫폼 메시지는 각 모바일 플랫폼에 종속적인 메시지이다.
따라서 도 3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300a 또는 300b)로부터 네트워크 컨텐츠 메시지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컨텐츠 메시지가 각 모바일 플랫폼(110a 내지 110d 또는 120a 내지 120d)으로 전송되기 전에 메시지 변환부(220)에 의해서 해당 모바일 플랫폼 규격에 맞도록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로 변환되며, 마찬가지로 도 3의 각 모바일 플랫폼(110a 내지 110d 또는 120a 내지 120d)으로부터 수신되는 플랫폼 메시지는 네트워크 컨텐츠 메시지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300a 또는 300b)에게로 전송되기 전에 메시지 변환부(220)에 의해서 해당 모바일 플랫폼 규격을 참조하여 플랫폼-컨텐츠 메시지로 변환되는 과정을 거친다.
네트워크 컨텐츠 메시지 인터페이스부(210)는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로 플랫폼-컨텐츠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모바일 플랫폼 메시지 인터페이스부(230)는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플 랫폼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게로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컨텐츠 메시지 인터페이스부(210) 또는 모바일 플랫폼 메시지 인터페이스부(230)는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또는 대응 모바일 플랫폼이 사용하는 통신 방식에 따라서 적절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는 유선 통신을 사용할 수 있고, 대응 모바일 플랫폼과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는 무선 이동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컨텐츠 메시지 인터페이스부(210) 또는 모바일 플랫폼 메시지 인터페이스부(230)는 이러한 통신 방식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모바일 플랫폼 메시지 인터페이스부(230)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모바일 플랫폼 메시지 인터페이스부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모바일 플랫폼 메시지 인터페이스부(230)는, 모바일 플랫폼 정보 식별부(232)와, 메시지 정보 저장부(235)와, 모바일 플랫폼 메시지 송수신부(238)를 포함한다.
모바일 플랫폼 정보 식별부(232)는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식별한다.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정보는 예컨대 대응 모바일 플랫폼이 사용하는 플랫폼 규격일 수 있다. 즉 GVM, BREW, MIDP, WIPI 또는 SKVM 등의 다양한 플랫폼 규격 중에서 어느 규격을 사용하는지를 식별하는 것이다.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정보는 또한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 할당된 고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식별될 수 있다. 예컨대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전화 번호 또는 식별 번호를 기초로 식별이 가능하다. 또는 예컨대 컨텐츠 메시지를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로 변환한 경우라면 해당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이미 알고 있는 상태이다.
메시지 정보 저장부(235)는 다수의 모바일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전송 형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시지 전송 형식은 예컨대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패킷 형식일 수 있다. 또는 메시지 전송 형식은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서 플랫폼 메시지의 전송 또는 수신을 위해서 사용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지정된 네트워크 패킷 형식일 수 있다.
모바일 플랫폼 메시지 송수신부(238)는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메시지 정보 저장부(235)에 저장된 메시지 전송 형식을 기초로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플랫폼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게로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 컨텐츠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네트워 크 컨텐츠를 수신하여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플랫폼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대응되는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대응 모바일 플랫폼 사이를 인터페이스한다.
우선 컨텐츠 메시지를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플랫폼 메시지를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한다(S110).
여기서 컨텐츠 메시지는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진다. 즉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처리가 가능한 메시지 형식을 가진다.
또한 플랫폼 메시지는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대응 모바일 플랫폼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진다. 즉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서 처리가 가능한 메시지 형식을 가진다.
이 단계는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또는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고유의 메시지, 즉 컨텐츠 메시지 또는 플랫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후 단계 S110을 통하여 수신된 컨텐츠 메시지를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에 따라서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로 변환하거나 또는 단계 S110을 통하여 수신된 플랫폼 메시지를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에 따라서 플랫폼-컨텐츠 메시지로 변환한다(S120).
여기서 플랫폼-컨텐츠 메시지는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진다. 즉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처리가 가능한 메시지 형식을 가진다.
또한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는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대응 모바일 플랫폼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진다. 즉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서 처리가 가능한 메시지 형식을 가진다.
이 단계는 컨텐츠 메시지를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 전송하기 전에 모바일 플랫폼 내에서 인식하여 처리가 가능하도록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로 변환하거나 플랫폼 메시지를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로 전송하기 전에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규격에 따라서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플랫폼-컨텐츠 메시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후 단계 S120을 통하여 변환된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를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단계 S120을 통하여 변환된 플랫폼-컨텐츠 메시지를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S130).
또한 단계 S110의 플랫폼 메시지 수신 또는 단계 S130의 컨텐츠-플랫폼 메시지 전송의 경우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에 따라서 수신 또는 전송이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다수의 모바일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전송 형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다수의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한 후 대응 모바일 플랫폼이 어떠한 플랫폼 규격을 사용하는지를 식별한 후 이에 따라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다.
즉 플랫폼 메시지를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 정보를 식별한다. 이러한 식별은 예컨대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 할당된 고유 식별 정보, 예컨대 제품 일련 번호 또는 전화 번호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식별된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 정보와 미리 저장된 해당 모바일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전송 형식을 기초로 플랫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다.
또한 변환된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를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게로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마찬가지로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 정보를 식별한다. 즉 전송 대상인 대응 모바일 플랫폼이 어떤 플랫폼 규격인지를 식별하는 것이다. 이러한 식별은 변환 단계에서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플랫폼 규격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식별된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 정보와 미리 저장된 해당 모바일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전송 형식을 기초로 변환된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를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 경우 변환된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는 플랫폼 메시지 형식을 가지므로 대응 모바일 플랫폼 내에서 인식이 가능하다.
이러한 메시지 전송 형식은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패킷 형식일 수 있다.
즉 예컨대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이 GVM인 경우에는 GVM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패킷 형식일 수 있다.
또는 메시지 전송 형식은 이동통신 사업자에서 고유하게 지정한 네트워크 패킷 형식일 수 있다.
즉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위해서 사용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지정되어 있는 네트워크 패킷 형식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변환을 수행하여 해당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원활하게 메시지 전송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하나 이상의 모바일 플랫폼에 대해서 메시지의 변환과 송수신이 수행되므로 종래 각 모바일 플랫폼과 네트워크 컨텐츠 별로 별도의 서버를 구축하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를 통하여 정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각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과 네트워크 컨텐츠 별로 별도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를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을 개선하여 각 모바일 플랫폼과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사용하는 메시지 형식을 기초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컨텐츠의 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5)

  1. 네트워크 컨텐츠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네트워크 컨텐츠를 수신하여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플랫폼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대응되는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대응 모바일 플랫폼 사이를 인터페이스하는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로서,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를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게로 제공하기 위하여 컨텐츠-플랫폼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로 변환하거나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한 플랫폼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를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로 제공하기 위하여 플랫폼-컨텐츠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로 변환하는 메시지 변환부와,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로 상기 플랫폼-컨텐츠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컨텐츠 메시지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플랫폼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대 응 모바일 플랫폼에게로 상기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플랫폼 메시지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 메시지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모바일 플랫폼 정보 식별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전송 형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시지 정보 저장부와,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정보 및 이에 상기 메시지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메시지 전송 형식을 기초로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플랫폼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게로 상기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를 전송하는 모바일 플랫폼 메시지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형식은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패킷 형식인 것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형식은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서 상기 플랫폼 메시지의 전송 또는 수신을 위해서 사용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지정된 네트워크 패킷 형식인 것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정보는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사용하는 플랫폼 규격인 것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정보는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 할당된 고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식별되는 것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변환부는,
    상기 컨텐츠 메시지를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플랫폼 메시지를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규격에 따라서 상기 플랫폼-컨텐츠 메시지로 변환하는 것인 이종 모바일 플랫 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컨텐츠는 모바일 게임 컨텐츠이고,
    상기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는 게임 서버인 것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9. 네트워크 컨텐츠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네트워크 컨텐츠를 수신하여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플랫폼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대응되는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와 대응 모바일 플랫폼 사이를 인터페이스하는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a) 컨텐츠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를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플랫폼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를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수신된 상기 컨텐츠 메시지를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을 기초로 컨텐츠-플랫폼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로 변환하거나 상기 수신된 상기 플랫폼 메시지를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에 따라서 플랫폼-컨텐츠 메시지(상기 네트워크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 내에서 사용하는 형식을 가짐)로 변환하는 단계와,
    (c) 상기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를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플랫폼-컨텐츠 메시지를 상기 대응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d) 다수의 모바일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전송 형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a)는,
    (a-4)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와,
    (a-5)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 정보와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메시지 전송 형식을 기초로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플랫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c)는,
    (c-4)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와,
    (c-5)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 정보와 상기 대응 모바일 플 랫폼에 대한 메시지 전송 형식을 기초로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게로 상기 컨텐츠-플랫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형식은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패킷 형식인 것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형식은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위해서 사용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지정된 네트워크 패킷 형식인 것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의 플랫폼 규격 정보는 상기 대응 모바일 플랫폼에 할당된 고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식별되는 것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컨텐츠는 모바일 게임 컨텐츠이고,
    상기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서버는 게임 서버인 것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60107022A 2006-11-01 2006-11-01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및제공 방법 KR100837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022A KR100837142B1 (ko) 2006-11-01 2006-11-01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및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022A KR100837142B1 (ko) 2006-11-01 2006-11-01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및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576A true KR20080039576A (ko) 2008-05-07
KR100837142B1 KR100837142B1 (ko) 2008-06-11

Family

ID=3964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022A KR100837142B1 (ko) 2006-11-01 2006-11-01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및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690B1 (ko) * 2011-12-23 2013-08-01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단말기에 대한 범용 방송수신 동글 및 그 서비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444B1 (ko) 2012-09-21 2013-07-01 서용성 모바일 사업 수익 배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6086A1 (en) * 2001-12-31 2003-07-03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KR100953160B1 (ko) * 2003-06-26 2010-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상이한 저작권 관리방식을 갖는 네트워크 장치간의 컨텐츠 호환성 제공 방법
KR100745998B1 (ko) * 2004-11-05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690B1 (ko) * 2011-12-23 2013-08-01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단말기에 대한 범용 방송수신 동글 및 그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7142B1 (ko)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651B1 (ko) 컴포넌트 기반의 무선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통신하는시스템 및 방법
RU2355044C2 (ru) Последовательный мультимодальный ввод
US20050254453A1 (en) Priority sess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7476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pplications for remote terminal devices
JP2006517695A (ja) ワイヤレスコンポーネントアプリケーションを作り上げ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876958B1 (ko) 다양한 사양 및 종류의 단말기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의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미들웨어 및 그 운용 방법
CN112243016A (zh) 一种中间件平台、终端设备、5g人工智能云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0837142B1 (ko)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및제공 방법
CN102483788B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设备控制方法、信息处理终端、信息处理终端控制方法、信息存储介质以及程序
US77883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browser in portable terminal
KR20080039577A (ko) 이종 모바일 플랫폼 사이의 컨텐츠 변환 장치 및 변환 방법
CN113886070A (zh) 设备信息管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01985978U (zh) 一种手机多任务下载系统
KR20210025787A (ko) 이종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장치 및제공 방법
EP2866425B1 (en) Mobile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59384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응용 프로그램 운영 시스템
CN115314588B (zh) 背景同步方法、装置、终端、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02821116B (zh) 一种在线服务提供方法、装置及信息系统
CN115633125A (zh) 信令信息传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02259281A (ja) 端末固有文字変換システムおよびその記憶媒体
KR2009013161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제작 대기화면 컨텐츠 제공시스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76638A (ko) 이동통신단말기상에서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사전검색서비스 제공 방법
WO2008054075A1 (en) Terminal having xml file conversion function and method of converting xml file
JP2002297406A (ja) 送信装置および方法、受信装置および方法、通信システ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90000594U (ko) 텔레매틱스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