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9199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9199A
KR20080039199A KR1020070074546A KR20070074546A KR20080039199A KR 20080039199 A KR20080039199 A KR 20080039199A KR 1020070074546 A KR1020070074546 A KR 1020070074546A KR 20070074546 A KR20070074546 A KR 20070074546A KR 20080039199 A KR20080039199 A KR 20080039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mmon electrode
sensing
protrusi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4543B1 (ko
Inventor
허승현
윤여건
서동욱
이준협
홍권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924,098 priority Critical patent/US7990481B2/en
Publication of KR20080039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optical, physical properties; materials therefor; method of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 2 기판, 상기 제1기판 또는 제 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감지 전극, 그리고 상기 감지 전극에 대응하는 접촉 감지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는 유기물과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 감지 전극, 접촉 감지부, 탄소 나노튜브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중 하나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함으로써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방향을 결정하고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한다.
근래에는 경소 박막형이 요구되는 액정 표시 장치에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이 조합되어 조작 및 표시 장치로써 많이 사용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화면 위에 손가락 또는 펜 등을 접촉해 문자나 그림을 쓰고 그리거나, 아이콘을 실행시켜 컴퓨터 등의 기계에 원하는 명령을 수행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터치 스크린 패널이 부착된 액정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 펜(touch pen) 등이 화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 및 접촉 위치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이중 특히 대비비가 높고 경소 박막형으로 제작 가능하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 패널의 기능이 액정 표시 패널 내에 장착된 내부 장착형(inner type) 터치 스크린 패널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내부 장착형 터치 스크린 패널의 종류에는 광학식, 초음파식, 정전 용량식 및 저항막 방식 등이 있다. 이중 진동 및 외부광에 강하고, 충격에 강하며, 특히 경소 박막형으로 제작이 용이한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의 터치 스크린 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한 터치 스크린 패널이 부착된 액정 표시 장치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접촉 감지 부분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하여 접촉 감지 부분과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의 박리 현상에 의한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 2 기판, 상기 제1기판 또는 제 2 기판 위 에 형성되어 있는 감지 전극, 그리고 상기 감지 전극에 대응하는 접촉 감지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는 유기물과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 전극 및 상기 제 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는 상기 공통 전극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기물은 에폭시(epoxy)계 수지(resin)와 아크릴 모노머(monomer)를 혼합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는 약 0.1 내지 약 20wt% 의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는 약 1 내지 약 5wt%의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는 상기 감지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통 전극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 2 기판, 상기 제1기판 또는 제 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감지 전극, 그리고 상기 감지 전극에 대응하는 접촉 감지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는 전도성 고분자 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 전극 및 상기 제 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는 상기 공통 전극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물질은 에폭시(epoxy)계 수지(resin)와 아크릴 모노머(monomer)의 혼합물에 투명 전도성 중합체인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 (styrenesulfonate)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는 상기 감지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통 전극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감지 전극,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 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지 전극을 향하여 돌출된 접촉 감지용 돌출부,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를 덮는 공통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공통 전극은 전도성 유기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 전극은 에폭시(epoxy)계 수지(resin)와 아크릴 모노머(monomer)의 혼합물에 투명 전도성 중합체인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 (styrenesulfonate)를 혼합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감지 전극,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 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지 전극을 향하여 돌출된 접촉 감지용 돌출부,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와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 보다 탄성계수가 높고 상기 공통 전극과의 접착력이 높은 투명한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공통 전극 보다 탄성계수가 낮고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와의 접착력이 좋은 투명한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전도성을 갖는 유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층은 에폭시(epoxy)계 수지(resin)와 아크릴 모노머(monomer)의 혼합물에 투명 전도성 중합체인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 (styrenesulfonate)를 혼합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전도성을 갖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 감지용 돌출부를 유기물과 탄소 나노튜브의 복합체로 형성함으로써, 기존 방식에서 사용자의 접촉에 따른 압력에 의해 접촉 감지용 돌출부가 눌려져 하부 표시판의 감지 전극에 반복적으로 접 촉됨에 따라 접촉 감지용 돌출부를 둘러싼 막에 균열 또는 박리가 발생함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접촉 감지용 돌출부를 유기물과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접촉 감지용 돌출부 위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여, 접촉 감지용 돌출부와 접촉 감지용 돌출부가 부착된 계면의 균열 또는 박리 현상에 의한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접촉 감지용 돌출부를 둘러싸고 있는 공통 전극 중 감지 전극과의 접촉부에 박리 또는 균열이 발생하여도 접촉 감지 신호의 인가가 가능하다.
그리고, 접촉 감지용 돌출부 위에 공통 전극과 접촉 감지용 돌출부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접착층을 형성하거나, 접촉 감지용 돌출부 위에 공통 전극을 전도성 유기막으로 형성하여 접촉에 따른 압력에 의하여 접촉 감지용 돌출부와 이를 둘러싼 공통 전극 계면의 박리 현상에 의한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 감지용 돌출부를 전도성 고분자 물질로 형성하여 접촉 감지용 돌출부가 사용자의 접촉에 따른 압력에 의하여 눌려져 하부 표시판의 감지 전극에 전기적ㅇ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접촉 감지용 돌출부와 접촉 감지용 돌출부를 둘러싼 막의 박리 현상 및 접촉 감지용 돌출부를 둘러싼 막에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 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로서, 화소 관점에서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로서, 접촉 감지부 관점에서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접촉 감지부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접촉 감지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접촉 감지용 돌출부를 구성하는 유기물과 탄소나노튜브의 복합체에서 탄소 나노튜브의 함량에 따른 전도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liquid crystal panel assembly)(300) 및 이에 연결된 영상 주사부(400), 영상 데이터 구동부(500) 및 감지 신호 처리부(800), 영상 데이터 구동 부(500)에 연결된 계조 전압 생성부(550), 감지 신호 처리부(800)에 연결된 접촉 판단부(700),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는 복수의 표시 신호선(G1-Gn, D1-Dm)과 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X), 그리고 복수의 감지 신호선(SY1-SYN, SX1-SXM)과 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감지부(SU)를 포함한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는 서로 마주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 및 공통 전극 표시판(200)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3), 그리고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간극(間隙)을 만들며 어느 정도 압축 변형되는 간격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신호선(G1-Gn, D1-Dm)은 영상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영상 주사선(G1-Gn)과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영상 데이터선(D1-Dm)을 포함하며, 감지 신호선(SY1-SYN, SX1-SXM)은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가로 감지선(SY1-SYN) 및 복수의 세로 감지선(SX1-SXM)을 포함한다.
영상 주사선(G1-Gn) 및 가로 감지선(SY1-SYN)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영상 데이터선(D1-Dm) 및 세로 감지선(SX1-SXM)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감지부는 세로 감지선과 가로 감지선의 교차부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각 화소(PX), 예를 들면 i번째(i=1, 2, , n) 영상 주사선(Gi)과 j번째(j=1, 2, , m) 영상 데이터선(Dj)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Q)와 이에 연결된 액정 축전기(liquid crystal capacitor)(Clc) 및 유지 축전기(storage capacitor)(Cst)를 포함한다. 유지 축전기(Cst)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Q)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에 구비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서, 그 제어 단자는 영상 주사선(Gj)과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영상 데이터선(Dj)과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액정 축전기(Clc) 및 유지 축전기(Cst)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박막 트랜지스터는 비정질 규소(amorphous silicon) 또는 다결정 규소(poly crystalline silicon)를 포함한다.
액정 축전기(Clc)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의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 표시판(200)의 공통 전극(270)을 두 단자로 하며 두 전극(191, 270) 사이의 액정층(3)은 유전체로서 기능한다. 화소 전극(191)은 스위칭 소자(Q)에 연결되며 공통 전극(270)은 공통 전극 표시판(2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압(Vcom)을 인가 받는다. 액정 축전기(Clc)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유지 축전기(Cst)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에 구비된 별개의 신호선(도시하지 않음)과 화소 전극(191)이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이루어지며 이 별개의 신호선에는 공통 전압(Vcom) 따위의 정해진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나 유지 축전기(Cst)는 화소 전극(191)이 절연체를 매개로 바로 위의 전단 영상 주사선과 중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색 표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화소가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고유하게 표시하거나(공간 분할) 각 화소가 시간에 따라 번갈아 기본색을 표시하게(시간 분할) 하여 이들 기본색의 공간적, 시간적 합으로 원하는 색상이 인식되도록 한다. 기본색의 예로는 적색, 녹색, 청색 등 삼원색을 들 수 있다. 도 2는 공간 분할의 한 예로서 각 화소가 화소 전극(191)에 대응하는 공통 전극 표시판(200)의 영역에 기본색 중 하나를 나타내는 색 필터(230)를 구비함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와는 달리 색 필터(230)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의 화소 전극(191) 위 또는 아래에 형성할 수도 있다.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바깥 면에는 빛을 편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자(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어 있다.
감지부는 화소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화소 사이 또는 화소 밖의 별도의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접촉 감지부(SU)는 도 4에 도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감지부(SU)는 도면 부호 SL로 나타낸 가로 또는 세로 감지선(이하 감지선이라 함)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WT)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부이다.
스위치(SWT)는 공통 전극 표시판(200)의 공통 전극(270)과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의 감지선(SL)을 두 단자로 하며, 두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돌출해 있어서 사용자의 접촉(외부의 압력 등)에 의하여 두 단자가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공통 전극(270)으로부터의 공통 전압(Vcom)이 감지 데이터 신호로서 감지선(SL)에 출력된다.
이처럼, 가로 감지선(SY1-SYN)을 통하여 흐르는 감지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접촉점의 Y 좌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세로 감지선(SX1-SXM)을 통하여 흐르는 감지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접촉점의 X 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접촉 감지부(SU)는 인접한 두 화소(PX) 사이에 배치된다. 가로 및 세로 감지선(SY1-SYN, SX1-SXM)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이 교차하는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감지부(SU)의 밀도는 예를 들면, 도트(dot) 밀도의 약 1/4일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도트는, 예를 들면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적색, 녹색, 청색 등 삼원색을 표시하는 3 개의 화소(PX)를 포함하고, 하나의 색상을 표시하며, 액정 표시 장치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기본 단위가 된다. 그러나 하나의 도트는 4개 이상의 화소(PX)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 화소(PX)는 삼원색과 백색(white)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SU)가 없는 화소행 및 화소열도 있을 수 있다.
접촉 감지부(SU) 밀도와 도트 밀도를 이 정도로 맞추면 문자 인식과 같이 정밀도가 높은 응용 분야에도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접촉 감지부(SU)의 해상도는 필요에 따라 더 높거나 낮을 수도 있다.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계조 전압 생성부(550)는 화소의 투과율과 관련된 두 벌의 계조 전압 집합(또는 기준 계조 전압 집합)을 생성한다. 두 벌 중 한 벌은 공통 전압(Vcom)에 대하여 양의 값을 가지고 다른 한 벌은 음의 값을 가진다.
영상 주사부(400)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영상 주사선(G1-Gn)에 연결되어 스위칭 소자(Q)를 턴 온시키는 게이트 온 전압(Von)과 턴 오프시키는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영상 주사 신호를 영상 주사선(G1-Gn)에 인가한다.
영상 데이터 구동부(500)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영상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어 있으며, 계조 전압 생성부(550)로부터의 계조 전압을 선택하고 이를 영상 데이터 신호로서 영상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그러나 계조 전압 생성부(550)가 모든 계조에 대한 전압을 모두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수의 기준 계조 전압만을 제공하는 경우에, 영상 데이터 구동부(500)는 기준 계조 전압을 분압하여 전체 계조에 대한 계조 전압을 생성하고 이 중에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선택한다.
감지 신호 처리부(800)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감지선(SY1-SYN, SX1-SXM)에 연결되어 감지선(SY1-SYN, SX1-SXM)을 통하여 출력되는 감지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처리를 행하여 디지털 감지 신호(DSN)를 생성한다.
접촉 판단부(700)는 CPU(central processor unit)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감지 신호 처리부(800)로부터 디지털 감지 신호(DSN)를 받아 접촉 감지부(SU)의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를 판단한다.
신호 제어부(600)는 영상 주사부(400), 영상 데이터 구동부(500), 계조 전압 생성부(550), 그리고 감지 신호 처리부(800)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동 장치(400, 500, 550, 600, 700, 80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 위에 직접 장착되거나,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도시하지 않음) 위에 장착되어 TCP(tape carrier package)의 형태로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도시하지 않음) 위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이들 구동 장치(400, 500, 550, 600, 700, 800)가 신호선(G1-Gn, D1-Dm, SY1-SYN, SX1-SXM) 및 박막 트랜지스터(Q) 따위와 함께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에 집적될 수도 있다.
그러면 이러한 접촉 감지부의 구조에 대하여 도 5를 참고로 하고, 접촉 감지부의 구성 물질 중 하나인 탄소 나노튜브의 함량에 따른 전도도의 변화에 대해서는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접촉 감지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과 이와 마주보고 있는 공통 전극 표시판(200) 및 그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액정층(3)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표시판(100)에는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절연 기판(110) 위에 감지 전극(196)이 형성되어 있다. 감지 전극(196) 하부에 보호 막(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호막(113)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막(113) 위에 투명전도막(115)이 배치되어 있으며, 감지전극(196)은 투명전도막(115)과 동일 물질일 수 있다.
화소전극은 투명전도막(1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표시판(100)과 마주하는 상부 표시판(200)에는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절연 기판(210) 위에 차광 부재(light blocking member)(220)가 형성되어 있다. 차광 부재(220)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라고도 하며, 화소 사이의 빛샘을 막아 준다.
기판(210)과 차광 부재(220) 위에는 복수의 색 필터(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차광 부재(220)로 둘러싸인 개구 영역을 모두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색 필터(230)는 화소를 따라 세로 방향으로 길게 뻗은 띠(stripe) 형태일 수 있다. 각 색 필터(230)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 등 기본색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차광 부재(220), 색 필터(230), 노출된 기판(210) 위에는 투명 보호막(250)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 보호막(250)은 색 필터(230)를 보호하고 색 필터(23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투명 보호막(250) 위에는 공통 전극(270)을 형성한다. 공통 전극(270)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체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전체를 도포한 후 패터닝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공통 전극(270)에는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된다.
공통 전극(270) 위에는 유기물 및 탄소 나노튜브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형성하기 위한 유기물로 에폭시(epoxy)계 수지(resin)와 아크릴 모노머(monomer)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유기물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형성하는 물질로 탄소 나노튜브를 사용한다.
탄소 나노튜브의 길이는 수 nm 내지 수십 um에 달하며, 고분자 속에서 그 농도가 특정 농도 이상이 되면 하나 하나의 전도도가 합쳐져 금속과 유사한 정도의 전도도가 된다. 도 6을 참고하면, 탄소나노튜브 함유량이 2w% 이상이 되면 ITO 수준의 전도도(a)인 2.0 X 10-4 S/cm를 충분히 얻을 수 있게 된다(Physical review B 72, 121404(R), 2005 참조). 따라서 탄소 나노튜브를 상기 유기물과 혼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더라도 그 함량이 상기 복합체의 0.1 내지 20wt%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wt% 정도로 혼합하면 접촉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도전체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ITO의 파단 신장률(elongation at break)이 1% 수준인데 비하여 유연한(flexible) 물성을 가지는 탄소 나노튜브의 파단 신장률은 20% 수준이어서 탄소 나노튜브가 변형되더라도 갈라짐(crack)의 발생이 거의 없으며, 반복하여 접촉하거나 심하게 구부려서 사용하더라도 그 전도도를 유지하는 특징을 가진다. 일례로,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한 후 갈라짐에 의한 저항 발생에 대한 평가에서, ITO 함유 물 질을 코팅한 고분자 구조물과 탄소 나노튜브 함유물을 코팅한 고분자 구조물의 갈라짐에 의한 저항 발생을 비교하였을 때, 탄소 나노튜브 함유물을 코팅한 고분자 구조물이 내구성이 뛰어나 갈라짐에 의해 저항이 증가되는 현상이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ITO 함유 물질을 코팅한 PET와 탄소 나노튜브 함유물을 코팅한 PET를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한 후 갈라짐에 의한 저항 발생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을 경우, 팽창 및 수축을 100회 이상 반복하였을 때 ITO 함유 물질을 코팅한 PET가 갈라짐에 의한 저항이 증가하는 반면 탄소 나노튜브 함유물을 코팅한 PET는 갈라짐에 의한 저항의 변화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팽창 및 수축을 1000회 이상 반복하였을 때 ITO 함유 물질을 코팅한 PET는 갈라짐에 의한 저항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반면 탄소 나노튜브 함유물을 코팅한 PET는 갈라짐에 의한 저항의 변화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
더욱이, 탄소 나노튜브는 그 표면에 불순물을 잘 흡착하는 성질을 가진다. 그리하여,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구성하는 물질에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시키면, 액정 내에 잔존하던 이온 불순물(ion impurity)이 탄소 나노튜브의 표면으로 흡착됨에 따라 액정 내의 불순물이 감소하여 이들로부터 기인되는 선 잔상 및 면 잔상을 줄일 수 있는 부가적인 장점이 있다.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는 감지선(SL)의 감지 전극(196)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터치로 인하여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가 감지 전극(196)에 접촉하면 공통 전극(270) 전압이 감지선(SL)에 인가된다.
또한 공통 전극(270) 위에는 유기 물질 따위로 이루어진 복수의 컬럼 스페이 서(320)가 형성되어 있다. 컬럼 스페이서(320)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에 균일하게 산포되어 있고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사이에 간극을 만든다. 컬럼 스페이서(320)는 상부 표시판(200) 또는 하부 표시판(100) 중 어느 곳에라도 형성될 수 있다.
표시판(100, 200)의 안쪽 면 위에는 액정층을 배향하기 위한 배향막(alignment layer)(도시하지 않음)이 도포되어 있으며, 표시판(100, 200)의 바깥쪽 면에는 하나 이상의 편광자(polarizer)(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또한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을 결합하는 밀봉재(sealant)(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재는 상부 표시판(2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의 사이에는 액정(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하며, 두 표시판(100, 200)은 복수의 컬럼 스페이서(32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어서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와 감지 전극(196)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와 감지 전극(196)은 접촉 감지부의 스위치(SWT)를 이룬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부 표시판(200)에 접촉이 발생하여 그 접촉에 따른 압력이 주어지면 상부 표시판(200)의 접촉된 부분이 눌려 그 부분의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가 하부 표시판(100)의 감지 전극(196)에 전기적ㅇ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공통 전극(270)으로부터의 공통 전압(Vcom)이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통하여 접촉 감지부의 감지 전극(196)에 전달되어 감지 전류를 흘린 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유기물과 탄소 나노튜브의 복합체로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방식에서 사용자의 반복적인 압력 인가에 의하여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 위에 형성된 공통 전극(270)에서 접촉 감지부의 감지 전극(196)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였던 균열 또는 박리 발생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이후의 제6 실시예에서도 설명하였지만,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는 상부 표시판(200) 또는 하부 표시판(100) 중 어느 곳에라도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 내지 도 4와 이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기술된 내용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고 이전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접촉 감지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는 공통 전극(270) 위에 전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고분자 물질로는 에폭시(epoxy)계 수지(resin)와 아크릴 모노머(monomer)의 혼합물에 투명 전도성 중합체인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 (styrenesulfonate)(PEDOT-PSS)를 혼합한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 내지 도 4 및 도 6과 이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기술된 내용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고 이전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접촉 감지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투명 보호막(250)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둘러싸면서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가 공통 전극(270) 위에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직접 형성하는 이전 실시예와 다른 특징이다.
투명 보호막(250) 위에는 유기물과 탄소 나노튜브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형성하기 위한 유기물로 에폭시(epoxy)계 수지(resin)와 아크릴 모노머(monomer)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유기물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형성하는 물질로 탄소 나노튜브를 사용한다. 탄소 나노튜브는 유기물과 탄소 나노튜브의 복합체의 0.1 내지 20wt%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wt% 정도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는 감지선(SL)의 감지 전극(196)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대응하게 배치되어, 감지선(SL)의 감지 전극(196)에 신호를 인가한다.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 보호막(250) 위에는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덮는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270)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체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전체를 도포한 후 패터닝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공통 전극(270)에는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상부 표시판(200)에 접촉이 발생하여 그 접촉에 따른 압력이 주어지면 상부 표시판(200)의 접촉된 부분이 눌려 그 부분의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덮는 공통 전극(270)이 하부 표시판(100)의 감지 전극(196)에 전기적ㅇ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공통 전압(Vcom)이 감지 전극(196)에 전달되어 감지 전류를 흘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전도성 유기물과 탄소 나노튜브의 복합체로 형성된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와 공통 전극(270) 사이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덮도록 공통 전극(27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가 공통 전극(240)으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이 제거된다.
또한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 및 공통 전극(270) 사이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압력 인가에 의하여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둘러싸고 있는 공통 전극(270) 중 감지 전극(196)과의 접촉부에 마찰에 의해 균열 또는 박리가 발생하더 라도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 자체가 전도성을 가지므로 신호 인가에는 지장이 없다.
압력 인가에 의하여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 위에 형성된 공통 전극(270)에서 접촉 감지부의 감지 전극(196)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였던 균열 또는 박리 발생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 내지 도 4와 이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기술된 내용은 이전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고 이전 실시예들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접촉 감지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도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 보호막(250) 위에는 공통 전극(270)을 형성한다. 공통 전극(270)은 전도성 유기막으로 형성하며, ITO(indium tin oxide) 대비 탄성계수가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와 유사하고 접착력이 좋은 전도성 유기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공통 전극(270)을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유기막으로는 에폭시(epoxy)계 수지(resin)와 아크릴 모노머(monomer)의 혼합물에 투명 전도성 중합체인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 (styrenesulfonate)(PEDOT-PSS)를 혼 합한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 내지 도 4와 이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기술된 내용은 이전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고 이전 실시예들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접촉 감지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 보호막(250) 위에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와 이후 형성될 공통 전극(270)과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접착층(adhesion layer)(26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접착층(260)은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 보다 탄성계수가 높고 이후 형성될 공통 전극(270)과 접착력이 높은 투명한 유기물질, 또는 이후 형성될 공통 전극(270) 보다 탄성계수가 낮고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와 접착력이 좋은 투명한 무기막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와 공통 전극(270) 사이에 접착층(adhesion layer)(260)을 형성하면 사용자가 인가하는 접촉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 상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270)에 발생하는 균열이나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 및 공통 전극(270) 사이에 발생하는 박리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접착층(260)을 전도성을 갖는 유기막이나 무기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접착층(260)을 형성하면, 사용자가 인가하는 접촉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 상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270)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 및 공통 전극(270) 사이에 박리가 발생하더라도 신호 인가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접착층(260)을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유기막으로는 에폭시(epoxy)계 수지(resin)와 아크릴 모노머(monomer)의 혼합물에 투명 전도성 중합체인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 (styrenesulfonate)(PEDOT-PSS)를 혼합한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접착층(260) 위에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6>
도 1 내지 도 4 및 도 6과 이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기술된 내용은 이전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고 이전 실시예들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접촉 감지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유기물과 탄소 나노튜브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는 하부 표시판(100)의 감지부의 감지 전극(196) 위에 형성되어 있고, 컬럼 스페이서(320)는 상부 표시판(200)에 형성 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가 공통 전극(270) 위에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직접 형성한 구조인 제1 및 제2 실시예 및 투명 보호막(250)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덮도록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인 제3 및 제4 실시예와는 다른 특징이다.
상부 표시판(200)은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투명 보호막(250) 위에는 공통 전극(270)을 형성한다. 공통 전극(270)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체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전체를 도포한 후 패터닝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공통 전극(270)에는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된다.
하부 표시판(100)의 감지부의 감지 전극(196) 위에 유기물과 탄소 나노튜브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형성하기 위한 유기물로 에폭시(epoxy)계 수지(resin)와 아크릴 모노머(monomer)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유기물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형성하는 물질로 탄소 나노튜브를 사용한다. 탄소 나노튜브는 유기물과 탄소 나노튜브의 복합체의 0.1 내지 20wt%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wt% 정도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는 감지선(SL)의 감지 전극(196) 위에 직접 배치되어, 감지선(SL)의 감지 전극(196)에 신호를 인가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상부 표시판(200)에 접촉이 발생하여 그 접촉 에 따른 압력이 주어지면 상부 표시판(200)의 접촉된 부분이 눌려서 공통 전극(270)이 감지선(SL)의 감지 전극(196)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에 전기적ㅇ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공통 전극(270)으로부터의 공통 전압(Vcom)이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통하여 감지 전극(196)에 전달되어 감지 전류를 흘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를 유기물과 탄소 나노튜브의 복합체로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방식에서 사용자의 반복적인 압력 인가에 의하여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 위에 형성된 공통 전극(270)에 균열 또는 박리가 발생함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접촉 감지용 돌출부(240)이 전도성 유기막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는데, 전도성 유기막으로는 에폭시(epoxy)계 수지(resin)와 아크릴 모노머(monomer)의 혼합물에 투명 전도성 중합체인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 (styrenesulfonate)(PEDOT-PSS)를 혼합한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라스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과 같은 표시 장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부 표시판과 상부 표시판은 복수의 컬럼 스페이서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비즈 스페이서(beads spacer)에 의하여 양 표시판이 지지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을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로서, 화소 관점에서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 블록도로서, 접촉 감지부 관점에서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접촉 감지부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접촉 감지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접촉 감지용 돌출부를 구성하는 유기물과 탄소나노튜브의 복합체에서 탄소 나노튜브의 함량에 따른 전도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접촉 감지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접촉 감지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접촉 감지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200 : 공통 전극 표시판
270 : 공통 전극 300 : 액정 표시판 조립체
400 : 영상 주사부 500 : 영상 데이터 구동부
550 : 계조 전압 생성부 600 :신호 제어부
700 : 접촉 판단부 800 : 감지 신호 처리부
110, 210 : 기판 115 : 화소층
196 : 감지부의 감지 전극 220 : 차광 부재
230 : 색 필터 240 : 접촉 감지용 돌출부
250 : 보호막 260 : 접착층
270 : 공통 전극 320 : 컬럼 스페이서

Claims (24)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 2 기판,
    상기 제1기판 또는 제 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감지 전극, 그리고
    상기 감지 전극에 대응하는 접촉 감지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는 유기물과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서,
    상기 제1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 전극 및 상기 제 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서,
    상기 제1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서,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는 상기 공통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서,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 위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유기물은 에폭시(epoxy)계 수지(resin)와 아크릴 모노머(monomer)를 혼합한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는 약 0.1 내지 약 20wt% 의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는 약 1 내지 약 5wt%의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는 상기 감지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통 전극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표시 장치.
  10.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 2 기판,
    상기 제1기판 또는 제 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감지 전극, 그리고
    상기 감지 전극에 대응하는 접촉 감지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는 전도성 고분자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제1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 전극 및 상기 제 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제1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0항에서,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는 상기 공통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4. 제10항에서,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 위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5. 제10항에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물질은 에폭시(epoxy)계 수지(resin)와 아크릴 모노머(monomer)의 혼합물에 투명 전도성 중합체인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 (styrenesulfonate)를 혼합하여 형성된 것인 표시 장치.
  16. 제10항에서,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는 상기 감지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통 전극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표시 장치.
  17.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감지 전극,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 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지 전극을 향하여 돌출된 접촉 감지용 돌출부,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를 덮는 공통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공통 전극은 전도성 유기막으로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공통 전극은 에폭시(epoxy)계 수지(resin)와 아크릴 모노머(monomer)의 혼합물에 투명 전도성 중합체인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 (styrenesulfonate)를 혼합한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19.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감지 전극,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 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지 전극을 향하여 돌출된 접촉 감지용 돌출부,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와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 보다 탄성계수가 높고 상기 공통 전극과의 접착력이 높은 투명한 유기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21. 제19항에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공통 전극 보다 탄성계수가 낮고 상기 접촉 감지용 돌출부와의 접착력이 좋은 투명한 무기막으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22. 제19항에서,
    상기 접착층은 전도성을 갖는 유기막으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23. 제22항에서,
    상기 접착층은 에폭시(epoxy)계 수지(resin)와 아크릴 모노머(monomer)의 혼합물에 투명 전도성 중합체인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 (styrenesulfonate)를 혼합한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24. 제19항에서,
    상기 접착층은 전도성을 갖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KR1020070074546A 2006-10-30 2007-07-25 표시 장치 KR101404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24,098 US7990481B2 (en) 2006-10-30 2007-10-25 Display device having particular touch sensor protrusion facing sensing electr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470 2006-10-30
KR20060105470 2006-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199A true KR20080039199A (ko) 2008-05-07
KR101404543B1 KR101404543B1 (ko) 2014-06-10

Family

ID=3964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546A KR101404543B1 (ko) 2006-10-30 2007-07-2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54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9859B1 (fr) 1998-04-30 2001-06-22 Jean Chretien Favreau Ecran matriciel tactile
JP2001075074A (ja) 1999-08-18 2001-03-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タッチセンサ一体型液晶表示素子
KR20050071849A (ko) * 2004-01-05 2005-07-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탄소나노튜브 가스센서
KR100620075B1 (ko) * 2004-12-03 2006-09-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탄소나노튜브 후막 및 이를 이용한 전계방출형 표시소자,평판형 램프 및 화학센서 감지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543B1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0481B2 (en) Display device having particular touch sensor protrusion facing sensing electrode
US8502793B2 (en) Touch scre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659564B2 (en) Touch sensible display device having reduced number of image data lines
US11188169B2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with switchable viewing angles
JP5240893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表示板及び表示装置
KR101755601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액정표시장치
JP4930876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79902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액정표시장치
US874306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JP2012098687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内蔵型液晶表示装置
CN110673366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672121A (zh) 触敏显示器件
KR101472838B1 (ko) 표시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9019221B2 (en)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KR20170007666A (ko) 인셀 터치 타입의 표시 장치
KR20140087481A (ko) 인셀 타입 터치인식 액정표시장치
KR20160120401A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080137177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US10649263B2 (en) Touch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592040B2 (en) Touch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070067960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652997B1 (ko)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KR101404543B1 (ko) 표시 장치
KR20080044512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33441A (ko) 디스플레이 일체형 터치 검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