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9153A -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9153A
KR20080039153A KR1020060106942A KR20060106942A KR20080039153A KR 20080039153 A KR20080039153 A KR 20080039153A KR 1020060106942 A KR1020060106942 A KR 1020060106942A KR 20060106942 A KR20060106942 A KR 20060106942A KR 20080039153 A KR20080039153 A KR 20080039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devic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push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479B1 (ko
Inventor
김인환
김영찬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6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479B1/ko
Publication of KR20080039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13Frequency hopping
    • H04B2201/71346Blueto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Pairing) 방법으로서, 블루투스 장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로부터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단계와; 상기 푸쉬 메시지를 파싱하여,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추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추출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블루투스 장치와 페어링하는 제3단계; 로 이루어져, 이동통신 단말기가 연결할 블루투스 장치의 정보를 직접 탐색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고, 블루투스 장치의 PIN 정보 노출 없이 블루투스 장치와의 페어링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블루투스, SMS 푸쉬 메시지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Method for Pairing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Bluetooth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
200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300 : 이동통신 단말기
310 : 메시지 처리부
320 : 블루투스 연결 제어부
400 : 블루투스 장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을 위한 블루투스 장치의 정보를 푸쉬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여,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얻어오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안이 필요한 블루투스 장치의 PIN 코드를 사용자에게 노출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할 필요 없이 인증된 이동통신 단말기만이 블루투스 장치와 페어링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Bluetooth)는 작고(0.5평방인치), 저렴한 가격(5달러), 적은 전력소모 (100mW)로 휴대폰, 휴대용 PC등과 같은 휴대 장치들,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기타 주변 장치들간 작은 구역(10m~100m)내의 무선 연결(Radio Link, 2.4GHs ISM Open Band)을 위한 하나의 기술적인 규격 사양이다.
이 기술에는 각 장치와 컴퓨터간의 통신 프로토콜도 포함되어 있다. 블루투스 기술이 상용화되면 집안에 있는 가전기기를 이동전화를 통해 원격 조정할 수 있다. 모든 가전제품이 통신기기와 통신을 이뤄 완벽한 가전 자동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블루투스의 특징과 기능을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① 이 기술은 주파수 대역을 나눈다. 즉 데이터 전송을 여러 주파수에 걸쳐서 분할 하여 보내는 것으로 이러한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한 채널에서 다른 채널로 옮기는데 사용되는데, 이것은 튼튼한 보안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② Piconet을 통해서 8개까지 장비를 네트워크로 묶을 수 있다.
③ 신호는 벽, 가방 등을 통과해서 전송될 수 있으므로, 배선이나 연결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다.
④ Bluetooth는 전 방향으로 신호가 전송되므로 각 장치는 연결하기 위해서 서로 마주볼 필요가 없다.
⑤ 동기/비동기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지원되어서 음성 전송이나 인터넷같은 광범 위한 장치를 지원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마스터)와 블루투스 장치(슬레이브) 간 연결을 위해, 현재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질의 과정을 통해 주변의 블루투스 장치들의 어드레스 및 아이디를 얻어오며, 얻어온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할 블루투스 장치와의 상호 등록 과정인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어, 그 절차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안이 필요한 블루투스 장치의 경우, 페어링 과정에서 사용자가 해당 블루투스 장치의 PIN 코드를 입력하는 인증 과정이 필요하게 되며, 이를 위해 블루투스 장치 판매자 측에서는 블루투스 장치의 PIN 코드 정보를 일일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야 하고, 사용자는 PIN 코드를 직접 입력하여야 하므로 절차가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고, PIN 코드의 노출로 인해 보안성이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블루투스 장치 연결 과정 상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 장치의 정보를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얻어오기 위한 질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안이 필요한 블루투스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PIN 코드를 일일이 사용자에게 노출시키지 않고, 사용자가 일일이 PIN 코드를 입력하는 번거로움 없이 안전하고 간편한 절차로 블루투스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임의 사용자의 블루투스 장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Pairing) 방법으로서, 블루투스 장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로부터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단계와; 상기 푸쉬 메시지를 파싱하여,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추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추출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블루투스 장치와 페어링하는 제3단계; 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푸쉬 메시지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장치와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푸쉬 메시지를 파싱하여,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추출하는 메시지 처리부와; 상기 메시지 처리부로부터 상기 추출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블루투스 장치와 페어링하는 블루투스 연결 제어부; 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Pairing)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블루투스 장치의 어드레스, 아이디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해당 블루투스 장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며, 블루투스 장치 사용자로부터의 푸쉬 메시지 전송 요청 시 해당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와 함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 및 상기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을 위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300)와의 무선 구간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기지국 제어기(BTS/BSC, 210), 상기 기지국 제어기(210)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300)로의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220, MSC), 상기 교환기(220)와 연결되어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200), 상기 기지국 제어기(210)와 연결되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230, PDSN) 및 인터넷(250)과 연결되는 데이터 코어망(240, DCN)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100)는 상기 데이터 코어망(240) 및/또는 인터넷(250)에 접속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20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푸쉬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블루투스 장치(400)와의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100)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200)를 통해 전송한 푸쉬 메시지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장치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주변의 블루투스 장치(400)와의 연결을 수행한다.
블루투스 장치(400)는 자기 자신에 관한 블루투스 정보 즉, 블루투스 장치의 고유 어드레스, 블루투스 장치 고유명(ID) 및 PIN 코드를 내부에 저장하며, 이러한 블루투스 정보를 알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만이 해당 블루투스 장치(400)와 통신할 수 있다. PIN 코드는 보안을 위한 추가 정보로서, 보안이 불필요한 블루투스 장치의 경우에는 PIN 코드를 가지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블루투스 장치(400)는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의 질의에 따라 자신의 블루투스 정보(어드레스, ID)를 반환하나,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푸쉬 메시지로부터 획득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장치(400)가 질의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푸쉬 메시지를 반드시 수신하여야 블루투스 장치(400)와의 페어링이 가능해지므로, 별도의 PIN 코드를 이용하지 않아도 보안이 가능할 수 있다.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100)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블루투스 장치(400)의 정보(PIN 포함)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로서, 블루투스 장치(400)를 구매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0) 번호 정보와, 해당 블루투스 장치(400)의 어드레스, 아이디, PIN 등을 매칭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해당 블루투스 장치의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푸쉬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장치의 정보는 블루투스 장치 판매자측에서 보유하고 있으므로, 상기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100)는 판매자측 서버가 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장치(400)를 구매한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300) 번호를 입력받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블루투스 장치의 정보와 함께 저장한 후, 해당 사용자가 블루투스 장치(400)를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300)와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100)로 푸쉬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해당 사용자가 구매한 블루투스 장치(400)의 정보를 푸쉬 메시지에 담아 전송한다.
한편, 상기 푸쉬 메시지는 SMS 푸쉬, MMS 푸쉬 등 다양한 포맷의 메시지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SMS 푸쉬인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100)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20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SMS 푸쉬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였다.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200)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전송하며, 이동통신 단말기(300)가 해당 푸쉬 메시지가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임을 인식하고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푸쉬 메시지에 푸쉬 메시지의 용도 구분을 위한 서비스 아이디(TID)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블루투스 장치(400)와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2에서와 같이 메시지 처리부(310) 및 블루투스 연결 제어부(320)를 구비하며, 이외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공지된 구성은 생략하였다.
메시지 처리부(310)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2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저장하는 등의 메시지 처리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푸쉬 메시지를 파싱하여,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블루투스 연결 제어부(320)로 전달하는 역할을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이 때, 상기 블루투스 장치 정보 특히, PIN 정보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메시지 처리부(310)는 해당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노출시키지 않고 내부적으로 블루투스 연결 제어부(320)로 전달하도록 구현되 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블루투스 장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인 경우 파싱 자체를 블루투스 연결 제어부(320)가 직접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310)는 푸쉬 메시지의 용도 구분을 위해 상기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아이디(TID) 정보를 기초로 해당 푸쉬 메시지가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임을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푸쉬 메시지를 일반적인 푸쉬 메시지와 달리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푸쉬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메시지 처리부(310)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200)로부터 수신된 단문 메시지만을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어떠한 메시지도 처리하는 구성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블루투스 연결 제어부(320)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310)로부터 블루투스 장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블루투스 장치(400)와 페어링 과정을 수행한다. 즉, 일반적인 페어링 과정은 블루투스 장치들로부터 장치 정보를 얻어온 후, 사용자로부터 PIN 정보 등을 입력받아 수행되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푸쉬 메시지에서 추출한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장치(400)로부터의 정보 획득 과정 없이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며, 페어링 과정 중 사용자의 PIN 입력 절차를 필요로하지 않는다.
상기 페어링 과정은 두 기기 즉, 이동통신 단말기(300)와 블루투스 장치(400) 간 상호 등록 과정으로서, 페어링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두 기기 간 상호 등록된 정보에 따라 신속한 통신이 가능하다. 즉, 페어링 과정은 초기 셋업 과 정에 해당하며, 경우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300)가 페어링 과정에 의해 등록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삭제한 경우 등에 다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블루투스 장치(400)로부터 직접 장치 정보를 얻어오는 것이 아니라,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100)로부터 해당 정보를 획득하게 되므로, 블루투스 장치(400)는 외부 마스터 단말 장치로부터의 질의에 대해 응답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100)는 블루투스 장치의 정보(어드레스, 아이디, PIN)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한다(S1). 만약,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100)가 블루투스 장치 판매자 측 서버인 경우, 판매자가 블루투스 장치의 판매 시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입수하여 해당 정보를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100)에 저장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별도로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100)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 과정을 통해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또는 판매자)가 유무선망을 통해 상기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100)에 접속하고 (SMS) 푸쉬 메시지를 요청함에 따라(S2),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100)가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요청하며, 이에 따라 사 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수신한다(S3).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해당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아이디(TID)를 분석하여, 해당 메시지가 블루투스 장치(400)와의 연결을 위한 메시지임을 인식하며(S4), 해당 메시지로부터 블루투스 장치 정보(어드레스, 아이디, PIN 정보)를 추출한 후(S5)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장치(400)와의 페어링을 수행한다(S6). 만약, 서비스 아이디 분석 결과, 블루투스 장치(400)와의 연결을 위한 메시지가 아닌 경우 일반 메시지 처리 과정(S7)을 수행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의 정보를 SMS 푸쉬 메시지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으므로, 블루투스 장치 간 상호 등록을 위해 번거로운 질의 응답 과정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SMS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PIN 코드로 이동통 신 단말기가 자동 인증을 수행하므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블루투스 장치 간 등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이 필요한 블루투스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PIN 코드를 일일이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일일이 PIN 코드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뿐만 아니라, PIN 코드 노출 제한으로 인해 보안이 강화되어 임의의 사용자에 대한 블루투스 장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성 향상 및 연결 절차적 편리성 증대 효과로 인한 블루투스 장치 이용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2)

  1.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Pairing) 방법으로서,
    블루투스 장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로부터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단계와;
    상기 푸쉬 메시지를 파싱하여,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추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추출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블루투스 장치와 페어링하는 제3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 정보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의 어드레스, 아이디 및 인증번호(PIN)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이전에,
    상기 블루투스 장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로 푸쉬 메시지를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푸쉬 메시지의 용도 구분을 위해 상기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아이디(TID) 정보를 기초로, 해당 푸쉬 메시지에 블루투스 장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이전에,
    상기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가, 블루투스 장치의 정보를 해당 블루투스 장 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블루투스 장치 사용자로부터 푸쉬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해당 사용자의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메시지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가 블루투스 장치 정보 및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 전달하여 푸쉬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상기 블루투스 장치 정보 및 푸쉬 메시지의 용도 구분을 위한 서비스 아이디(TID) 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
  7. 푸쉬 메시지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장치와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푸쉬 메시지를 파싱하여,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추출하는 메시지 처리부와;
    상기 메시지 처리부로부터 상기 추출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블루투스 장치와 페어링하는 블루투스 연결 제어부;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 정보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의 어드레스, 아이디 및 인증번호(PIN)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부는,
    푸쉬 메시지의 용도 구분을 위해 상기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아이디(TID) 정보를 기초로 해당 푸쉬 메시지가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임을 인식하여, 해당 푸쉬 메시지로부터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블루투스 연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Pairing)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블루투스 장치의 어드레스, 아이디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해당 블루투스 장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며, 블루투스 장치 사용자로부터의 푸쉬 메시지 전송 요청 시 해당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와 함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 및
    상기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을 위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 등록 서버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가 인증된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연결만을 허용하기 위한 인증번호(PIN) 정보를 갖는 장치인 경우, 해당 인증번호(PIN)를 상기 블루투스 장 치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을 위한 시스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푸쉬 메시지에 푸쉬 메시지의 용도 구분을 위한 서비스 아이디(TID)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을 위한 시스템.
KR1020060106942A 2006-10-31 2006-10-31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 KR100864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942A KR100864479B1 (ko) 2006-10-31 2006-10-31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942A KR100864479B1 (ko) 2006-10-31 2006-10-31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153A true KR20080039153A (ko) 2008-05-07
KR100864479B1 KR100864479B1 (ko) 2008-10-22

Family

ID=3964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942A KR100864479B1 (ko) 2006-10-31 2006-10-31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47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9383A (ko) * 2009-09-15 2011-03-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장치 간의 연동을 기반으로 사용자 요구 기능에 부합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선별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405554B1 (ko) * 2008-11-12 201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루투스 자동 페어링 시스템
WO2015069031A1 (ko) * 2013-11-06 2015-05-14 엘지전자(주) 블루투스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링크 형성 방법 및 장치
CN110012049A (zh) * 2018-11-27 2019-07-1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系统、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818498A (zh) * 2020-07-23 2020-10-23 斑马网络技术有限公司 蓝牙设备的连接方法、蓝牙设备及服务器
US11240662B2 (en) 2017-04-14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by which electronic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023B1 (ko) 2017-03-29 2018-08-16 (주)파트론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241286B1 (ko) 2018-12-17 2021-04-16 이도훈 연결 유형별 자동연결을 통한 정보안내 시스템과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443A (ko) * 2001-06-25 2003-01-06 주식회사 아이커머스코리아 피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직접 협상을 통해계약을 성사시킬 수 있는 전자 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US7295532B2 (en) * 2001-08-17 2007-11-13 Ixi Mobile (R & D), Ltd.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networking services on a mobile device
KR100508650B1 (ko) * 2002-11-19 2005-08-18 주식회사 휴림인터랙티브 통신단말기간의 피어투피어 방식의 서비스를 위한 확장에스아이피를 이용한 티씨피/아이피 세션 설정 방법
KR20060022616A (ko) * 2004-09-07 2006-03-10 임상훈 블루투스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멀티미디어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제공 및 방법
US20080194238A1 (en) * 2004-11-11 2008-08-14 Sun Tae Kwon Wireless Terminal Having Information Exchange Facility, Information Exchang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Wireless Terminal
KR20070005956A (ko) * 2005-07-05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블루투스연결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554B1 (ko) * 2008-11-12 201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루투스 자동 페어링 시스템
KR20110029383A (ko) * 2009-09-15 2011-03-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장치 간의 연동을 기반으로 사용자 요구 기능에 부합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선별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WO2015069031A1 (ko) * 2013-11-06 2015-05-14 엘지전자(주) 블루투스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링크 형성 방법 및 장치
US9743225B2 (en) 2013-11-06 2017-08-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mmunication link using bluetooth
US11240662B2 (en) 2017-04-14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by which electronic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CN110012049A (zh) * 2018-11-27 2019-07-1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系统、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012049B (zh) * 2018-11-27 2022-03-29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 系统. 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818498A (zh) * 2020-07-23 2020-10-23 斑马网络技术有限公司 蓝牙设备的连接方法、蓝牙设备及服务器
CN111818498B (zh) * 2020-07-23 2024-04-19 斑马网络技术有限公司 蓝牙设备的连接方法、蓝牙设备及服务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479B1 (ko)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4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
TWI719312B (zh) 關於物聯網設備的資訊交互方法、裝置及設備
CN105379190B (zh) 用于指示服务集标识符的系统和方法
WO2017186100A1 (zh) 身份认证方法、系统及设备
CN104967595A (zh) 将设备在物联网平台进行注册的方法和装置
CN105682253A (zh) 建立通信的方法、设备、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6528844A (ja) 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ホットスポット端末及び管理端末
CN103634795B (zh) 无线通信装置和方法
CN103957580B (zh) 一种用于智能硬件的wifi快速组网配对方法及模块
US9832640B2 (en) Wireless connection authentication method and server
TWI792843B (zh) 可提升藍牙主控裝置與藍牙設備群進行資料傳輸所需金鑰的產生效率的藍牙通信系統及相關的藍牙設備群
CN112566113B (zh) 密钥生成以及终端配网方法、装置、设备
CN102420642B (zh) 蓝牙设备及其通信方法
CN107979864A (zh) 接入点的接入方法、装置及系统
CN114079862A (zh) 一种自动控制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967994A (zh) 将设备接入局域网的方法和装置
CN106454903A (zh) 一种智能终端设备接入互联网的方法及装置
US109866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access point in WLAN network
KR20110083050A (ko) 블루투스 단말기의 페어링 기능을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200081A (zh) 智能设备联网方法及智能设备系统
JP2004166090A (ja) 近接通信装置、携帯端末、近接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携帯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CN112333062A (zh) 家居设备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827813B1 (ko) 태그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 위한블루투스 장치
JP2012231260A (ja) ユーザ登録システム、ユーザ登録方法および通信装置
WO2021114264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228

Effective date: 200809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