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8759A -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8759A
KR20080038759A KR1020060106100A KR20060106100A KR20080038759A KR 20080038759 A KR20080038759 A KR 20080038759A KR 1020060106100 A KR1020060106100 A KR 1020060106100A KR 20060106100 A KR20060106100 A KR 20060106100A KR 20080038759 A KR20080038759 A KR 20080038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mark
user
digital
digital contents
uni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민
Original Assignee
뉴21커뮤니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21커뮤니티(주) filed Critical 뉴21커뮤니티(주)
Priority to KR1020060106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8759A/ko
Publication of KR20080038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사용자는 식별력 있는 ID를 보유하며 각각의 사용자에 의해 삽입된 워터마크는 해당 워터마크를 삽입한 ID에 의해서만 추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식별력 있는 ID는 해당 워터마크를 삽입한 ID의 사용자 이외에는 워터마크의 삽입 여부에 대한 확인 및 추출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된 사용자 고유 ID이거나 및/또는 해당 워터마크를 삽입한 ID의 사용자 이외에는 워터마크의 삽입 여부에 대한 확인은 가능하나 이의 추출은 불가능하도록 설정된 공통 ID일 수 있다.
워터마크, 디지털 저작권, 고유 ID, 공통 ID

Description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ement of digital rights using waterma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120, 130 : 사용자 140 : 워터마크 삽입/추출 장치
150 : 디지털 저작물
본 발명은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워터마크를 삽입한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는 해당 워터마크의 존재 여부 확인 및/또는 이의 추출을 불가능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더욱 강화된 디지털 저작권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랭된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 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개인과 개인 또는 개인과 사업자 사이에 파일의 공유 및 배포가 일반화되었다. 이러한 인터넷의 파일 공유 및 배포가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네트워크상에 제공되게 되었다.
더욱이, 네트워크 전송 속도와 정보 품질의 지속적인 개선에 따라,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와 종이에 인쇄된 신문을 컴퓨터와 통신 서비스가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컴퓨터에 부착가능한 MP3 플레이어와 디지털 카메라 및 비디오의 보급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고품질 정보가 서비스되는 시대가 도래하게 되었고, 이와 같은 변화에 의해 전자 상거래(Electronic Commerce)를 통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멀티미디어 제품의 거래가 활발하게 일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디지털 저작물은 그 특성상 저작권 보호에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정보의 저장이나 변환이 용이한 인터넷 등의 개방된 공간에서는 어떤 제약도 없이 다량의 복제가 가능하고, 복제 후에도 원본과 동일한 데이터 정보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저작자의 동의 없이 배포가 가능하므로 저작자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어렵다.
이렇게 발생하는 저작권 침해 문제는 날로 그 심각성이 더하고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법적, 제도적, 기술적 해결책이 고안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방법으로 데이터에 대하여 암호화 작업을 하여 특정 사용자만이 해당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방법이나, 데이터에 저작권 정보를 은닉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해당 데이터에는 외부적으로 변형을 가하지 않도록 하는 디지털 워터마킹(Digital Watermarking)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워터마킹은 디지털 데이터 특히, 이미지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방법으로서, 디지털 컨텐츠를 위한 저작권 표시 및 증명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작권 정보를 데이터에 은닉하고 숨겨진 저작권 정보를 다시 검출함으로써 데이터의 변조와 위조를 탐지하고, 저작자의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워터마크 삽입 방법으로는, 화면의 화소값 등의 데이터에 미세한 변화를 가하여 이를 워터마크로 사용하는 방법인 공간법(spatial method),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를 주파수 성분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같은 변환 방법으로 워터마크를 변환하여 삽입하는 기술로서 이산여변환(Distance Cosine Transform: DCT), 고속 퓨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 FFT) 또는 웨이브렛 변환(Wavelet Transform)을 이용하는 주파수 영역법(frequency do main method) 등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워터마크 삽입 방법은, 상기한 특정 규칙 등에 의해 워터마크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특정 시스템 등에 의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동일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타 사용자들이 워터마크의 삽입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거나, 심지어는 해당 워터마크를 추출, 변경할 수도 있어 보다 완전한 디지털 저작권의 보호를 제공하기에는 다소 미흡한 부분이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워터마크의 삽입자 이외에는 해당 워터마크에 대한 확인이나 추출이 불가능 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완전한 디지털 저작권의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워터마크를 삽입한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는 해당 워터마크의 존재 여부 확인 및/또는 이의 추출을 불가능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더욱 강화된 디지털 저작권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랭된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사용자는 식별력 있는 ID를 보유하며 각각의 사용자에 의해 삽입된 워터마크는 해당 워터마크를 삽입한 ID에 의해서만 추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식별력 있는 ID는 해당 워터마크를 삽입한 ID의 사용자 이외에는 워터마크의 삽입 여부에 대한 확인 및 추출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된 사용자 고유 ID이거나 및/또는 해당 워터마크를 삽입한 ID의 사용자 이외에는 워터마크의 삽입 여부에 대한 확인은 가능하나 이의 추출은 불가능하도록 설정된 공통 ID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은, 식별력 있는 ID를 갖는 다수의 사용자(110, 120, 130) 및 워터마크 삽입/추출 장치(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각의 사용자들(110, 120, 130)들은 워터마크 삽입/추출 장치(140)를 이용하여 자신의 디지털 저작물(150)에 워터마크를 삽입하거나 추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사용자들(110, 120, 130)은 해당 워터마크를 삽입한 ID의 사용자 이외에는 워터마크의 삽입 여부에 대한 확인 및 추출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된 고유 ID를 갖는 사용자(110), 또는, 해당 워터마크를 삽입한 ID의 사용자 이외에는 워터마크의 삽입 여부에 대한 확인은 가능하나 이의 추출은 불가능하도록 설정된 공통 ID를 갖는 사용자(120)와 고유 ID 및 공통 ID를 모두 갖는 사용자(130)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유 ID를 갖는 사용자 A(110)가 자신의 디지털 저작물(150)에 워터마크를 삽입할 경우, 사용자 A와 동일한 워터마크 삽입/추출 장치(140)를 사용하는 사용자라 하더라도 해당 저작물(150)에 대한 워터마크의 존재 여부조차 확인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의 위변조는 더더욱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훗날 해당 저작물(150)에 대한 저작권 침해 다툼 등이 발생되는 경우, 원 저작권자인 사용자 A(110)는 본인 이외의 사용자들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자신의 저작권을 입증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공통 ID를 갖는 사용자 B(120)의 경우에는, 본인과 동일한 워터마크 삽입/추출 장치(14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해당 저작물(150)에 대한 워터마크 존재 여부 확인은 가능하지만 이의 추출이나 변경 등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원 저작권자인 사용자 B(120) 이외의 사용자들에 의한 저작권 침해 시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또한, 고유 ID 및 공통 ID 모두를 갖는 사용자 C(130)의 경우는 앞서 언급한 사용자 A(110) 및 사용자 B(120)가 갖는 각각의 장점을 모두 가질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사용자들(110, 120, 130)과 동일하지 않은 워터마크 삽입/추출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경우, 상기 사용자들(110, 120, 130)과 동일한 워터마크 삽입/추출 장치(140)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 비해 해당 디지털 저작물(150)에 대한 워터마크 존재 여부 확인 및/또는 이의 추출이나 변경 등이 더욱 어려움은 당연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워터마크를 삽입한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는 해당 워터마크의 존재 여부 확인 및/또는 이의 추출이 불가능 하도록 디지털 저작물을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해당 디지털 저작물에 대한 워터마크의 추출, 변경 등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보다 향상된 디지털 저작권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는 식별력 있는 ID를 보유하며, 상기 각각의 사용자에 의해 삽입된 워터마크는 해당 워터마크를 삽입한 ID에 의해서만 추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력 있는 ID는 해당 워터마크를 삽입한 ID의 사용자 이외에는 워터마크의 삽입 여부에 대한 확인 및 추출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된 사용자 고유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력 있는 ID는 해당 워터마크를 삽입한 ID의 사용자 이외에는 워터마크의 삽입 여부에 대한 확인은 가능하나 해당 워터마크의 추출은 불가능하도록 설정된 공통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력 있는 ID는 해당 워터마크를 삽입한 ID의 사용자 이외에는 워터마크의 삽입 여부에 대한 확인 및 추출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된 사용자 고유 ID와, 해당 워터마크를 삽입한 ID의 사용자 이외에는 워터마크의 삽입 여부에 대한 확인은 가능하나 이의 추출은 불가능하도록 설정된 공통 ID의 공동 적용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KR1020060106100A 2006-10-31 2006-10-31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KR20080038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100A KR20080038759A (ko) 2006-10-31 2006-10-31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100A KR20080038759A (ko) 2006-10-31 2006-10-31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759A true KR20080038759A (ko) 2008-05-07

Family

ID=3964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100A KR20080038759A (ko) 2006-10-31 2006-10-31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87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272A (ko) * 2017-01-31 2018-08-08 리마 주식회사 복제된 웹툰 추적 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272A (ko) * 2017-01-31 2018-08-08 리마 주식회사 복제된 웹툰 추적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512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copyright of digital content,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uthenticity of digital content
Katariya Digital watermarking
Guru et al. Digital watermarking classification: a survey
Delaigle et al. Digital images protection techniques in a broadcast framework: an overview
Natarajan et al. Safeguarding the digital contents: Digital watermarking
Sunesh Watermark attacks and applications in watermarking
KR100455061B1 (ko) 워터마킹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Dusollier Some reflections on copyright management information and moral rights
KR20080038759A (ko)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Dittmann et al. Copyright-copywrong
Pal Application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library.
Kwok et al.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for electronic commerce applications.
He et al. Digital right management model based on cryptography and digital watermarking
Sharma et al. Digital watermarking for secure e-government framework
Sherekar et al. Role of Digital Watermark in e-governance and e-commerce
Lou et al. Evolution of information-hiding technology
KR100743234B1 (ko) Ftp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저작권정보삽입방법 및 시스템
KR100973220B1 (ko)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
KR20030041501A (ko) 워터마크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및 인증 방법
Abate Digital image watermarking
Sen et al. An algorithm for digital watermarking of still images for copyright protection
EP1739951A1 (en) Individual rendering of logos to track document leakage
Khanzode et al. Digital watermarking for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braham Digital image watermarking: an overview
Tiwari et al. Video piracy detection using invisible waterma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