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8604A -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8604A
KR20080038604A KR1020060105700A KR20060105700A KR20080038604A KR 20080038604 A KR20080038604 A KR 20080038604A KR 1020060105700 A KR1020060105700 A KR 1020060105700A KR 20060105700 A KR20060105700 A KR 20060105700A KR 20080038604 A KR20080038604 A KR 20080038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cupuncture
information
bloo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범
이영희
Original Assignee
넥시드텔레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시드텔레콤(주) filed Critical 넥시드텔레콤(주)
Priority to KR1020060105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8604A/ko
Publication of KR20080038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2Devices for locating such poi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lgebra (AREA)
  • Pa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에서 혈도 표시를 위해 단말기에 연결된 카메라로부터 얼굴, 손, 발 등 신체 이미지을 불러들이거나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얼굴, 손, 발 등 신체 이미지를 반사시킨 후 단말기에 저장된 각 신체의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 와 신체 이미지와 접목하여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접목된 신체 이미지와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를 보면서 정확한 혈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단말기에 저장된 수지침의 증상별 응급 처방전 정보,임상 사례 정보, 및 건강관리 요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따라서, 단말기의 카메라로부터 얼굴, 손, 발등 신체 이미지를 불러들이거나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얼굴, 손, 발 등 신체 이미지를 반사시킨 후 단말기에 저장된 각 신체부위의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와 신체 이미지와 접목하여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 에 혈도를 표시함으로써 정확한 혈도를 쉽게 찾아서 건강 증진과 증상별 응급 처방 및 질환의 종류별 건강관리를 할 수 있다.
단말기, 카메라, 혈도 표시, 외곽선, 3D,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display method of acupuncture point by a terminal}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전자 수지침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휴대용 전자 수지침의 표시부의 내용을 도시한 그림.
도 3은 종래의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의 내용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의 내용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을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로부터 연결된 카메라로부터 얼굴, 손, 발등 신체 이미지를 불러들이거나,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얼굴, 손, 발 등 신체 이미지를 반사시킨 후 단말기에 저장된 각 신체부위 의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 와 단말기와 연결된 카메라로부터 들러 들이거나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반사된 신체 이미지와 접목하여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 에 혈도를 표시함으로 정확한 혈도를 쉽게 찾아서 건강 증진과 증상별 응급 처방 및 질환의 종류별 건강관리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의학에서 침술을 사용하여 사람의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중국 고대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것으로 사람 신체의 아픈 부분에 대한 혈도를 찾아내어 그 곳에 각종 침을 놓아 혈맥을 인위적으로 원활하게 하여 사람의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또한, 사람에게 질병이 발생되는 이유는 인체의 혈도를 통해 유통되는 혈이 막혀서 유통이 원활하지 않으므로 발생되는 것으로, 큰 침을 사용하여 팔, 다리, 및 몸의 주요 부분에 침을 놓는 방법과, 사암 선생이 창안하여 전래되는 것으로 사람이 손이 신체의 주요 장기와 연결되어 있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가정에서 최근에 많이 이용하는 손바닥에 작은 침을 놓는 수지침요법이 이용되고 있다.
수지침 요법은 손에 인체의 각종 내장 기능을 조절하는 14개의 기맥과 345개의 치료점과 상응부위와 5지의 특정 경혈점에 자극을 주어 전신의 질병을 예방 관리하여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때, 손에 있는 오지는 오장의 기능을 조절시키는 것으로 엄지는 간, 제2지는 심장, 제3지는 비장과 췌장, 제4지는 폐와 호흡기, 제5지는 신장과 자궁의 기능을 조절한다.
이러한 수지침 또는 일반침은 사람의 신체에 시술하여 자침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청결한 솜, 알콜, 경혈 위치도와 함께 각 부위에 퍼져있는 혈도를 찾아내 어 그 혈도 부위에 정확하게 자침을 시행해야 하는 것으로, 수지침 및 일반 침의 경우에는 손바닥, 손등 및 신체의 혈도 부위를 간접적으로 표시하여 평면적인 수지침 책자와 인체의 혈도를 표시하는 인조 손 및 마네킹을 이용하여 혈도를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수지침은 손바닥이나 손등의 경혈을 자극하여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기구로써, 3cm 정도의 금속성 침을 질환에 따라 적절한 자극점에 1~3mm 정도 꽂아 자극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동양 의학이다. 수지침은 한국인에 의해 개발되었기 때문에 한국의 학술을 표시하기 위해 고려수지침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Koryo Hand Acupuncture, Korean HandAcupuncture 또는 고려수지침(Koryo Sooji chim)이라고 부른다. 최근에는 침자극 외의 여러 기구들을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수지요법이라고도 부른다. 수지침의 특징은 안전한 손 부위에만 약한 자극을 주어서 치료하기 때문에 고통과 부작용이 없고, 효과가 우수하며, 배우기 쉬워 스스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종래의 침 기구를 모두 개량해서 사용하고 있다.
수지침은 질병의 치료로도 이용하고 있으나 인체의 기능조절이나 현대의학의 보완요법으로까지 확대 이용되고 있다. 즉 치과 마취 수술시의 보조, 후유증 처치, 마취 후유증 처치와 방사선 치료시의 탈모 방지, 침샘 손상방지에도 이용되고 있고, 자궁수술 후의 회복, 무통분만, 자궁질환의 예방과 치료, 불임증 치료, 각종 수술 후유증 처치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성장호르몬의 촉진자극, 유방확대 방법, 자궁발육부전, 불감증의 치료, 소아 성기 발육 부전, 미용치료, 비만증 치료, 신체의 자세균형조절, 알코올 중독, 니코틴 중독, 약물중독, 만성피로증후군 등의 해 소, 원기/저항력증진, 피로의 예방과 처치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수지침의 기본적인 이론 구성 중에서 상응요법은, 손을 인체의 축소반응처로 한다는 것이다. 손바닥은 사람의 전면, 손등은 사람의 후면, 중지는 얼굴부분, 2지와 4지는 양쪽 팔, 1지(엄지)와 5지(소지)는 양쪽다리 부분이다. 인체에 질병이 있으면 이들 위치에 압통과민, 색소반사, 전자반사 등의 반사점이 있다. 이 부위에 자극을 주면 곧 내장반사를 일으켜서 신체의 고통증세를 없애고 치료한다. 오지는 오장의 기능을 조절시키는 것으로 엄지는 간, 제2지는 심장, 제3지는 비장,췌장, 제4지는 폐,호흡기, 제5지는 신장과 자궁의 기능을 조절한다. 사람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손가락에 기형이나 상처, 색택에 이상이 있으면 해당 장기는 항진성 질환을 유발시킨다. 손에는 인체의 각종 기능을 조절하는 14개의 기맥과 345개의 치료점이 있다. 이들은 손에만 분포된 것을 말한 것으로 종래의 중국침술의 경락과 같은 개념이지만 효과 면에서는 매우 특이한 효과가 있다. 즉 내장(오장육부)의 기능을 임의 조절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동양의학론에서 내장기능을 임의 조절시킨다는 것은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설명하는 것이다. 수지침의 방법으로는 기초기능조절 상응요법, 기맥요법, 보사법, 오치처방, 삼일체질진단, 기맥연결요법, 팔성혈 자세교정법 등이 있다.
수지침에서 사용하는 기구는 침류 중에서 새로 개발된 수지침(길이 약 1.3cm 되는 3호침), T침(둥근원형 중간에 2mm 침이 있다)과 T봉(T침과 같은 끝이 뾰족하지 않다) 등이 있으며, 온화한 열자극으로 상처를 주지 않게 고안된 뜸이 있다. 이것은 원기보호, 냉증치료, 한열질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외에 염파요법, 수지 력 테스트에 의한 진단과 치료 및 전자진찰도 있으나 더욱 중요한 것은 음양맥진이다. 염파요법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수지침의 진단과 염력을 이용한 자극을 말한다. 음양맥진은 종래의 맥진법을 발전시킨 것으로 촌구(요골동맥), 부돌(총경동맥)을 비교하여 진단하는 것으로 건강기준 질병의 유/무, 치료의 효과/악화 등을 진단한다. 진단법 중 특히 괄목할 만한 것은 운기체질이다. 동양의학의 유전인자 의학, 기상의학으로서 체질적인 요인을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이용한다. 이것은 동양의학의 핵심이론인 오장론과 기후의 질병을 연구한 동양의학의 핵심결정의학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전자 수지침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휴대용 전자 수지침의 표시부의 내용을 도시한 그림을 나타낸다.
핸드폰을 위한 수지침 장치는 우선 질환 목록을 선정하고 질환의 증상별로 각각의 반응점을 표현한 혈도를 반도체 칩(20)에 입력하여 핸드폰의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고, 입력된 혈도에 관한 정보는 핸드폰의 메뉴 설정키(11)를 조작하여 고유 번지를 선택한 후 원하는 증상별로 핸드폰의 문자키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를 경유하여 혈도 입력 칩으로부터 해당 혈도를 불러내어 표시창(12)에 표출되게 한다.
핸드폰 단말기(H)의 소정 위치에는 전자빔 또는 전자침 등의 적어도 어느 한 종류의 전자 자극기구(30)가 부설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0)에 연결된 자극기구, 온, 오프 선택키(31)의 조작에 의해 자극기구 동작부(32)가 동작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전자적인 자극을 손바닥의 반응 점에 가하게 된다.
상기 전자 자극기구(30)를 구성하는 전자빔 또는 수지침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기능을 가진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카메라 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한 얼굴, 손, 발의 사진을 촬영하여 부가적으로 다수의 경혈점을 가지는 혈도를 표시하여 수지침과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도 3은 종래의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의 내용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단말기의 카메라로 혈도 표시를 위해 얼굴, 손, 발의 사진을 촬영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여 화상인식을 통한 혈도 기술은 공개가 되어 있는 상태이다.공개된 기술을 요약하면, 단말기의 카메라로 혈도 표시를 위해 얼굴, 손, 발의 사진을 촬영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단계 10), 쉽고 정확한 혈도 찾기를 통한 침술 응용 및 지압 등의 건강증진, 수지침, 한의학, 관련 분야를 학습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혈도 표시 기능을 선택하여 메모리에 기 저장된 혈도 표시 프로그램에 의해 얼굴, 손, 발의 촬영 사진을 화상인식에 따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질병의 증상별 신체의 다수의 경혈점을 표시한 혈도를 일정 크기의 표준 경혈위치도에 대응하여 주요 혈도를 표시한다(단계 S20).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수지침 조회 기능을 선택하면 메모리에 기 저장된 수지침의 특징 및 핵심이론, 건강관리 요법, 수지침 요법의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30).
상기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수지침 정보 제공(CP) 서버에 접속하여 질환의 증상별로 수지침 응급 처방전 정보, 임상 사례 정보, 및 건강관리 요법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40).
그러나 사람마다 신체 부위의 크기가 틀린 상황에서 촬영된 신체 이미지를 가지고 각각의 신체별 혈도를 표시하는 것이 어려운 점이 있으며 단말기에서 혈도를 찾아서 손의 어느 지점이 주요 혈도라고 표시를 한다 해도 사용자가 수지침을 이용하여 주요 혈도에 맞춰서 수지침을 시술하기란 힘든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 연결된 카메라로부터 얼굴, 손, 발등 신체 이미지를 불러들이거나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얼굴, 손, 발 등 신체 이미지를 반사시킨 후 단말기에 저장된 각 신체부위의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 와 단말기와 연결된 카메라로부터 불려 들여지거나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반사된 신체 이미지와 접목하여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 에 혈도를 표시함으로써 해당 혈도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게 하여 단말기만을 가지고도 정확한 혈도에 수지침 등을 시술할 수 있게끔 하여 쉽고 정확한 혈도 찾기를 통한 침술 응용 및 지압 등의 건강증진, 수지침, 한의학 등을 배우고 건강관리 요법으로 활용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에서 혈도 표시를 위해 단말기에 연결된 카메라로부 터 얼굴, 손, 발등의 신체 이미지를 불러들이거나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얼굴, 손, 발 등 신체 이미지를 반사시킨 후 단말기에 저장된 신체별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 와 신체 이미지와 접목하여 혈도를 표시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신체부위를 보면서 혈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수지침의 특징 및 핵심이론, 건강관리 요법, 수지침 요법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수지침 정보 제공(CP) 서버에 접속하여 질환의 증상별 수지침 응급 처방전 정보, 임상 사례 정보, 및 건강관리 요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말기로 혈도 표시를 위해 단말기에 연결된 카메라를 통해 얼굴, 손, 발 등의 신체 이미지를 불러들이거나, 디스플레이에 얼굴, 손, 발 등의 신체 이미지를 반사하는 기능;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혈도 표시 기능을 선택하여 메모리에 기 저장된 해당 신체의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에 주요 혈도를 표시하는 기능;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수지침의 특징 및 핵심이론, 건강관리 요법, 수지침 요법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및 상기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수지침 정보 제공(CP) 서버에 접속하여 질환의 증상별 수지침 응급 처방전 정보, 임상 사례 정보, 및 건강관리 요법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혈도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의 내용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를 위해 단말기에 연결된 카메라로부터 얼굴, 손, 발 등의 신체 이미지를 불러 들이거나, 디스플레이에 반사를 시킨 후(S 10), 쉽고 정확한 혈도 찾기를 통한 침술 응용 및 지압 등의 건강증진, 수지침, 한의학, 관련 분야를 학습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혈도 표시 기능을 선택하여 메모리에 기 저장된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에 혈도를 표시한다(S 20).정확한 혈도를 접목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해당 신체의 위치를 변경하여(S 30), 조건에 따른 신체의 경혈점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S 40).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수지침 조회 기능을 선택하면 메모리에 기 저장된 수지침의 특징 및 핵심이론, 건강관리 요법, 수지침 요법의 정보를 제공한다(S 50).
상기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수지침 정보 제공(CP) 서버에 접속하여 질환의 증상별로 수지침 응급 처방전 정보, 임상 사례 정보, 및 건강관리 요법 정보를 제공한다(S 6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을 표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를 위해 단말기에 연결된 카메라로부 터 얼굴, 손, 발 등의 신체 이미지를 불러 들이거나, 디스플레이에 반사를 시킨 후(S 11), 쉽고 정확한 혈도 찾기를 통한 침술 응용 및 지압 등의 건강증진, 수지침, 한의학, 관련 분야를 학습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혈도 표시 기능을 선택하여 메모리에 기 저장된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에 혈도를 표시한다(S 21).정확한 혈도와 접목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해당 신체의 위치를 변경하여(S 31), 조건에 따른 신체의 경혈점을 대응할 수 있게 한다(S 4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에서 혈도 표시를 위해 단말기에 연결된 카메라로부터 얼굴, 손, 발 등 신체 이미지를 불러들이거나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얼굴, 손, 발 등 신체 이미지를 반사한 후 단말기에 저장된 각 신체의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 와 카메라로부터 불러 들여지거나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반사된 얼굴, 손, 발 등 해당 신체 이미지와 접목하여 단말기 디스플레이에서 실시간으로 신체부위를 보면서 혈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단말기에 저장된 수지침의 증상별 응급 처방전 정보,임상사례 정보, 및 건강관리 요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따라서, 단말기의 카메라로부터 얼굴, 손, 발등 신체 이미지를 불러들이거나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얼굴, 손, 발 등 신체 이미지를 반사한 후 단말기에 저장된 각 신체부위의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와 카메라로부터 불러들이거나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얼굴, 손, 발 등 신체 이미지를 반사된 신체 이미지와 접목하여 해당 신체 이미지의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에 혈도를 표시함으로써 정확한 혈도를 쉽게 찾아서 건강 증진과 증상별 응급 처방 및 질환의 종류별 건강관리를 할 수 있다.

Claims (20)

  1. 단말기에서 혈도 표시를 위해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얼굴, 손, 발의 모양을 불러들이는 단계;
    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 신체의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와 카메라로부터 불러들여진 신체 이미지와 접목하는 단계;
    접목된 상황에서 해당 신체의 증상별로 정확한 혈도를 표시하는 단계;
    실제 신체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단말기에 저장된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 위치를 변경하여 정확한 혈도 찾기를 통한 침술 응용 및 지압 등의 건강증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정확한 혈도 정보를 제공하여 수지침, 한의학, 관련 분야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수지침의 특징 및 핵심이론, 건강관리 요법, 수지침 요법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는 수지침 처방을 위한 해당 질병별로 기 저장된 신체의 다수의 경혈점을 표시하는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 위치도와 대응하여 촬영된 신체의 얼굴, 손, 발뿐만 아니라 질병의 증상별로 신체의 모든 부위의 다수의 경혈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건강관리 요법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혈도 표시 기능을 선택하여 단말기 카메라로부터 해당 신체 이미지를 불러들인 후 메모리에 기 저장된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 이미지와 접목하여 메뉴화면에서 질병의 종류를 선택하여 선택된 질병의 증상에 따라 신체의 다수의 경혈점을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5. 단말기로 혈도 표시를 위해 얼굴, 손, 발 등 신체 이미지를 불러들이는 기능;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혈도 표시 기능을 선택하여 단말기 카메라로부터 해당 신체 이미지를 불러들인 후 메모리에 기 저장된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 카메라로부터 불려 들여진 신체 이미지와 접목하여 메뉴화면에서 질병의 종류를 선택하여 선택된 질병의 증상에 따라 신체의 주요 혈도를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 도에 표시하는 기능;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수지침의 특징 및 핵심이론, 건강관리요법, 수지침 요법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및 상기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수지침 정보 제공(CP) 서버에 접속하여 질환의 증상별 수지침 응급 처방전 정보, 임상 사례 정보, 및 건강관리 요법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혈도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6. 단말기에서 혈도 표시를 위해 단말기에 유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카메라를 통해 얼굴, 손, 발의 모양을 불러들이는 단계;
    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 신체의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와 카메라로부터 불러들여진 신체 이미지와 접목하는 단계;
    접목된 상황에서 해당 신체의 증상별로 정확한 혈도를 표시하는 단계;
    실제 신체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단말기에 저장된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 위치를 변경하여 정확한 혈도 찾기를 통한 침술 응용 및 지압 등의 건강증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정확한 혈도 정보를 제공하여 수지침, 한의학, 관련 분야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수지침의 특징 및 핵심이론, 건강관리 요법, 수지침 요법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수지침 정보 제공(CP) 서버에 접속하여 질환의 증상별 수지침 응급 처방전 정보, 임상 사례 정보, 및 건강관리 요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는 수지침 처방을 위한 해당 질병별로 기 저장된 신체의 다수의 경혈점을 표시하는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 위치도와 대응하여 촬영된 신체의 얼굴, 손, 발뿐만 아니라 질병의 증상별로 신체의 모든 부위의 다수의 경혈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건강관리 요법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혈도 표시 기능을 선택하여 단말기에 유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카메라로부터 해당 신체 이미지를 불러들인 후 메모리에 기 저장된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 이미지와 접목하여 메뉴화면에서 질병의 종류를 선택하여 선택된 질병의 증상에 따라 신체의 다수의 경혈점을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11. 단말기로 혈도 표시를 위해 얼굴, 손, 발 등 신체 이미지를 불러들이는 기능;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혈도 표시 기능을 선택하여 단말기에 유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카메라로부터 해당 신체 이미지를 불러들인 후 메모리에 기 저장된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 카메라로부터 불려 들여진 신체 이미지와 접목하여 메뉴화면에서 질병의 종류를 선택하여 선택된 질병의 증상에 따라 신체의 주요 혈도를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에 표시하는 기능;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수지침의 특징 및 핵심이론, 건강관리요법, 수지침 요법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및 상기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수지침 정보 제공(CP) 서버에 접속하여 질환의 증상별 수지침 응급 처방전 정보, 임상 사례 정보, 및 건강관리 요법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혈도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단말기에서 혈도 표시를 위해 단말기에 무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카메라를 통해 얼굴, 손, 발의 모양을 불러들이는 단계;
    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 신체의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와 카메라로부터 불러들여진 신체 이미지와 접목하는 단계;
    접목된 상황에서 해당 신체의 증상별로 정확한 혈도를 표시하는 단계;
    실제 신체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단말기에 저장된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 위치를 변경하여 정확한 혈도 찾기를 통한 침술 응용 및 지압 등의 건강증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정확한 혈도 정보를 제공하여 수지침, 한의학, 관련 분야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수지침의 특징 및 핵심이론, 건강관리 요법, 수지침 요법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수지침 정보 제공(CP) 서버에 접속하여 질환의 증상별 수지침 응급 처방전 정보, 임상 사례 정보, 및 건강관리 요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는 수지침 처방을 위한 해당 질병별로 기 저장된 신체의 다수의 경혈점을 표시하는 3D 표준 경혈 위치도와 대응하여 촬영된 신체의 얼굴, 손, 발뿐만 아니라 질병의 증상별로 신체의 모든 부위의 다수의 경혈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건강관리 요법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혈도 표시 기능을 선택하여 단말기에 무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카메라로부터 해당 신체 이미지를 불러들인 후 메모리에 기 저장된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 이미지와 접목하여 메뉴화면에서 질병의 종류를 선택하여 선택된 질병의 증상에 따라 신체의 다수의 경혈점을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17. 단말기로 혈도 표시를 위해 얼굴, 손, 발 등 신체 이미지를 불러들이는 기능;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혈도 표시 기능을 선택하여 단말기에 무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카메라로부터 해당 신체 이미지를 불러들인 후 메모리에 기 저장된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와 카메라로부터 불려 들여진 신체 이미지와 접목하여 메뉴화면에서 질병의 종류를 선택하여 선택된 질병의 증상에 따라 신체의 주요 혈도를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에 표시하는 기능;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수지침의 특징 및 핵심이론, 건강관리요법, 수지침 요법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및 상기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수지침 정보 제공(CP) 서버에 접속하여 질환의 증상별 수지침 응급 처방전 정보, 임상 사례 정보, 및 건강관리 요법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혈도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8. 단말기에서 혈도 표시를 위해 단말기의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얼굴,손,발 등 신체의 모양을 반사시키는 단계;
    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 신체의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와 단말기 디스플 레이에 반사된 얼굴,손,발 등 신체의 모양을 접목하는 단계;
    접목된 상황에서 해당 신체의 증상별로 정확한 혈도를 표시하는 단계;
    실제 신체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단말기에 저장된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 위치를 변경하여 정확한 혈도 찾기를 통한 침술 응용 및 지압 등의 건강증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19. 단말기에서 혈도 표시를 위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얼굴,손,발 등 신체의 모양을 반사시키는 기능;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혈도 표시 기능을 선택하여 단말기에 구성된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해당 신체 이미지를 반사한 후 단말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와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반사된 신체 이미지와 접목하여 메뉴화면에서 질병의 종류를 선택하여 선택된 질병의 증상에 따라 신체의 주요 혈도를 외곽선 처리된 표준 경혈도에 표시하는 기능; 상기 단말기의 메뉴화면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수지침의 특징 및 핵심이론, 건강관리요법, 수지침 요법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및 상기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수지침 정보 제공(CP) 서버에 접속하여 질환의 증상별 수지침 응급 처방전 정보, 임상 사례 정보, 및 건강관리 요법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혈도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0. 단말기에서 표시된 혈도를 실제 신체에 추가적인 표시를 위해 단말기의 레이져 포인트의 레이져 광원을 실제 신체에 발사하여 경혈 표시 방법.
KR1020060105700A 2006-10-30 2006-10-30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KR20080038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700A KR20080038604A (ko) 2006-10-30 2006-10-30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700A KR20080038604A (ko) 2006-10-30 2006-10-30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604A true KR20080038604A (ko) 2008-05-07

Family

ID=3964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700A KR20080038604A (ko) 2006-10-30 2006-10-30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8604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1302A (en) * 2009-06-24 2010-12-29 Ovie Ltd Equipment and system for recording irregularities on an object
KR101530957B1 (ko) * 2013-04-17 2015-06-25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복수 개의 경혈점을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7094994A1 (ko) * 2015-11-30 2017-06-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침구치료 기록 장치 및 방법
EP3144877A4 (en) * 2014-05-12 2018-03-21 Satoshi Oda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reatment support terminal device and medical support system
CN109363912A (zh) * 2018-10-23 2019-02-22 深圳市歌尔泰克科技有限公司 按摩机芯运动的控制方法及装置、按摩座椅
KR102110442B1 (ko) * 2018-12-11 2020-06-15 장태은 인체 3차원 모델링에서의 경락 및 경혈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10443B1 (ko) * 2018-12-11 2020-06-15 장태은 인체 3차원 모델링에서의 경락 및 경혈 디스플레이 및 주열 시스템
CN111524432A (zh) * 2019-12-26 2020-08-11 中科彭州智慧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智能针灸人体模型
KR20210039226A (ko) * 2019-10-01 2021-04-09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안면 혈자리 자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면 혈자리 자극 방법
WO2021146939A1 (zh) * 2020-01-21 2021-07-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三维显示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1302A (en) * 2009-06-24 2010-12-29 Ovie Ltd Equipment and system for recording irregularities on an object
KR101530957B1 (ko) * 2013-04-17 2015-06-25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복수 개의 경혈점을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EP3144877A4 (en) * 2014-05-12 2018-03-21 Satoshi Oda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reatment support terminal device and medical support system
WO2017094994A1 (ko) * 2015-11-30 2017-06-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침구치료 기록 장치 및 방법
CN109363912A (zh) * 2018-10-23 2019-02-22 深圳市歌尔泰克科技有限公司 按摩机芯运动的控制方法及装置、按摩座椅
KR102110442B1 (ko) * 2018-12-11 2020-06-15 장태은 인체 3차원 모델링에서의 경락 및 경혈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10443B1 (ko) * 2018-12-11 2020-06-15 장태은 인체 3차원 모델링에서의 경락 및 경혈 디스플레이 및 주열 시스템
KR20210039226A (ko) * 2019-10-01 2021-04-09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안면 혈자리 자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면 혈자리 자극 방법
CN111524432A (zh) * 2019-12-26 2020-08-11 中科彭州智慧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智能针灸人体模型
WO2021146939A1 (zh) * 2020-01-21 2021-07-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三维显示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8604A (ko) 단말기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US6918769B2 (en) Video game for assisting healing of the human body
Dreyer et al. Effect of massage therapy on pain, anxiety, relaxation, and tension after colorectal surgery: A randomized study
Faden et al. Assessing quality of life: Moral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JP2019525818A (ja) 3次元経穴マッピング装置および方法
US20170071481A1 (en) Wearable device for pulse reading
Hammerschlag et al. Nontouch biofield therapy: a systematic review of huma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eporting use of only nonphysical contact treatment
RU2009109108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сторией болезни пациента и лечения ран
Linde et al. Role of the needling per se in acupuncture as prophylaxis for menstrually related migraine: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Rockson Lymphedema
Ko et al. Individualized acupuncture for symptom relief in functional dyspeps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ts et al. The selection of dermatomes for sham (placebo) acupuncture points is relevant for the outcome of acupuncture studies: a systematic review of sham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acupuncture trials
Yeh et al.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uricular diagnosis protocol
King et al. Auricular acupuncture: a brief introduction for military providers
Song et al. Self-administered foot reflexology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health conditions: a systematic review
KR100917384B1 (ko) 온라인한방정보시스템
Lyu et al. Effect of self-acupoint massage on blood glucose level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oore Ethnographic assessment of pain coping perceptions.
US20060020223A1 (en) Systems and methods of utilizing electrical readings in the determination of treatment
CN110853757A (zh) 疾病诊断装置及设备
CN102525808A (zh) 一种埋线治疗乳腺增生的设备
CN110164548A (zh) 一种身体检查系统、设备、存储介质及移动终端
Jones et al. A proposed reductionist solution to address the methodological challenges of inconsistent reflexology maps and poor experimental controls in reflexology research: a discussion paper
KR2006007190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혈도 표시 방법
Li et al. The moxibustion-induced thermal transport effect between the heart and lung meridians with infrared therm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