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497A - 공중이동통신망을 활용한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및 그 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이동통신망을 활용한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및 그 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497A
KR20080037497A KR1020070037547A KR20070037547A KR20080037497A KR 20080037497 A KR20080037497 A KR 20080037497A KR 1020070037547 A KR1020070037547 A KR 1020070037547A KR 20070037547 A KR20070037547 A KR 20070037547A KR 20080037497 A KR20080037497 A KR 20080037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private
switching center
wireless network
cent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8189B1 (ko
Inventor
김신재
류병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CN200780039936.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529879B/zh
Priority to PCT/KR2007/005262 priority patent/WO2008051021A1/en
Priority to JP2009534494A priority patent/JP4977761B2/ja
Publication of KR20080037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5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6WPBX [Wireless Private Branch Ex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홈위치등록기와 교환국 시스템 간 혹은 교환국 시스템들 간의 신호 처리를 위한 신호중계포인트; 상기 교환국 시스템에 연결되어 연동하는 사설교환기; 및 착/발신 번호를 번역하여 상기 교환국 시스템에 제공하는 호 설정 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번역된 번호를 활용하여 상기 교환국 시스템이 사설 무선망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사설 무선망, PBX, PLMN, GT 코드, STP, XLR, SCP

Description

공중이동통신망을 활용한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호 처리 방법{PRIVATE MOBILE NETWORK INTEGRATION SERVICE SYSTEM USING PUBLIC LAND MOBILE NETWORK AND CALL PROCESSING METHOD THEREFOF}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호 처리 절차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4의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호 처리 절차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5의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호 처리 절차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홈위치등록기 102...신호중계포인트
103,103'...교환국 시스템 107...사설교환기
108...사설 위치등록 장치 110...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
115...서비스제어포인트
본 발명은 공중이동통신망을 활용한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공중이동통신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 대한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이동통신망, 유선망 및 사설 무선망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설 무선망(WPBX: Wireless PABX) 서비스는 기존의 유선 사설망(PBX: Private Branch Exchange) 서비스와 같이 특정 빌딩이나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는 구내망 통신 서비스로서, 공중이동통신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과 연 동이 가능하도록 통합적으로 시스템이 구축될 경우 편리하고 경제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합 사설 무선망 서비스를 위해 제시된 대표적인 기술의 예로는 국내 등록특허 제365790호(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는 이동통신망과 혼합된 사설 무선망(WPBX)의 시스템 구조를 개시하고 있는데, 그 주요 구성을 정리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PLMN(10), 공중전화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5) 및 사설(사내) IP망(16)과의 연동을 위해 사설 무선망 시스템(17)에는 PSTN(15)과 연동하는 PBX(18)와, PLMN(10)과 연동하는 pBSC(private BSC)(19) 및 pBTS(private BTS)(20)를 구비하여 공중망 호 및 구내망 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중망 호는 홈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11),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12),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ystem Controler)(13), 기지국(BTS: Base Transmitter System)(14) 등이 처리하며, 구내망 호는 PBX(18), pBSC(19), pBTS(20) 등이 처리하고, 이와 관련하여 현재 상용화된 장비로는 InfoMobile 3G, InfoMobile-3GS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경우 공중망 호 및 구내망 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pBSC(19) 장비 등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무선망을 운용하기 위해 BTS(14)의 이설/재배치가 수행되어야 하는 등 기존의 PLMN(10) 시스템을 많이 변경해야 하 는 취약점이 있다.
통합 사설 무선망 서비스 기술의 다른 예로는 국내 등록특허 제454945호(공중이동통신망 및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망과 그를 위한 시스템)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는 pBSC의 기능을 공중망 BSC에서 구현하여 상용 공중이동통신망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장비 구축 및 운용상의 문제점를 개선한 통합 서비스 망과 그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중망 BSC에는 공중호 처리 모듈(302)외에 pBSC 기능의 제공을 위해 메시지 루팅모듈(300), 사설 HLR(308), 사설호 처리 모듈(304), 사설 MSC 모듈(306) 등이 탑재된다. 따라서, 발생된 호가 공중망 호인 경우에는 메시지 루팅 모듈(300)에서 공중호 처리 모듈(302)로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MSC(202)를 통한 호 발신이 되며, 사설망 호의 경우에는 메시지 루팅모듈(300)을 통하여 사설 HLR(308)로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인증처리를 한 후 사설호 처리 모듈(304)과 사설 MSC 모듈(306)을 통하여 PBX(212)와 연동함으로써 호 발신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 역시 상용화를 위해서는 공중이동통신망의 구조가 대폭 변경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고, 하나의 BSC에 다수개의 사설 무선망을 구축하는 경에는 운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기존 공중이동통신망의 BSC나 BTS에 대해서는 변경을 가하지 않고, 신호중계포인트(STP: Signal Transfer Point) 및 MSC에 PBX를 연동시켜 통합된 사설 무선망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공중이동통신망을 활용한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기식 CDMA망, 비동기식 WCDMA망, 향후의 4G(4th Generation) 등 새로운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모두 적용이 가능한, 공중이동통신망을 활용한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은, 홈위치등록기(HLR)와 교환국 시스템 간 혹은 교환국 시스템들 간의 신호 처리를 위한 신호중계포인트; 상기 교환국 시스템에 연결되는 사설교환기; 및 착/발신 번호를 번역하여 상기 교환국 시스템에 제공하는 호 설정 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번역된 번호를 활용하여 상기 교환국 시스템이 사설 무선망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호 설정 관리장치는, 상기 사설교환기와 함께 사설 무선망을 이루고 사설 무선망 가입자의 등록과 위치에 따른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사설 위치등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설 위치등록 장치에 의해 착/발신 번호가 번역될 수 있다. 이 경우 교환국 시스템은, 상기 사설교환기별로 부여되는 GT(Global Title) 코드를 저장하는 GT 데이터베이스; 및 사설망 가입자를 구분할 수 있는, WPBX Service Indicator, WPBX In/Out Indicator, WPBX No. 및 WPBX 기지국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식별자가 첨가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VLR 데이터베이 스;를 구비하고, 착신 번호를 해석하여 특수코드가 포함된 경우를 사설 무선망호로 인식하고, 상기 착신 번호에 포함된 GT 코드를 해석하거나, 발신단말이 속하는 사설교환기를 확인하여 착신단말의 해당 WPBX 사설교환기를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설 위치등록 장치는 호 설정 관리장치 및 VLR/HLR의 가입자 위치등록프로세스와 동기화되어 사설 무선망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일치되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호 설정 관리장치는 상기 신호중계포인트에 연결되는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에 의해 착/발신 번호가 번역될 수 있다. 이 경우 교환국 시스템은, 착신 번호에 특수코드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었을 때 상기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로 라우팅하고, 상기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에서, 상기 교환국 시스템으로부터 라우팅된 착신 번호에 포함된 GT 코드를 해석하거나 혹은 발신단말이 속하는 사설교환기를 확인하여 착신단말의 해당 WPBX 사설교환기를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는 VLR/HLR의 가입자 위치등록 프로세스와 동기화되어 사설 무선망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일치되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호 설정 관리장치는 상기 신호중계포인트에 연결되는 서비스제어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제어포인트에 의해 착/발신 번 호가 번역될 수 있다. 이 경우 교환국 시스템은, 홈위치등록기를 통하여 서비스제어포인트로 라우팅하거나 착신 번호에 특수코드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었을 때 상기 서비스제어포인트로 라우팅하고, 상기 서비스제어포인트에서, 상기 교환국 시스템으로부터 라우팅된 착신 번호에 포함된 GT 코드를 해석하거나, 발신단말이 속하는 사설교환기를 확인하여 착신단말의 해당 WPBX 사설교환기를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교환국 시스템은 MSC/VLR, SGSN/VLR 및 PDSN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수코드는 '#' , '*' 및 '#*'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CNIP 서비스를 받는 착신단말의 경우에는, 호 처리시 상기 특수코드를 발신번호와 함께 상기 착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공중이동통신망에 있어서, 교환국 시스템에서 발신단말의 호 요청을 수신하여 사설 무선망 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호가 사설 무선망 호인 경우 착신 번호의 사설교환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설교환기에 대응되는 호 설정 관리장치에 대하여 위치경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호 설정 관리장치에서 상기 착신 번호를 번역하여 위치경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교환국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교환국 시스템에서 상기 번역된 착신 번호를 활용하여 사설 무선망 지역에 위치한 착신 무선 단말에 대해서는 페이징을 수행하고, 유선 단말에 대해서는 해당 사설교환기를 통해 호 설정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호 설정 관리장치는 사설 위치등록 장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교환국 시스템은, 착신 번호에 특수코드가 포함된 호를 사설 무선망호로 인식하고, 상기 착신 번호에 포함된 GT(Global Title) 코드를 해석하거나, 상기 발신단말의 가입자 VLR 데이터베이스의 WPBX No.를 활용하여 착신단말의 해당 사설교환기(PBX)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수코드는 '#' , '*' 및 '#*'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중이동통신망에 있어서, 교환국 시스템에서 발신단말의 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착신 번호에 특수코드가 포함된 것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공중이동통신망의 홈위치등록기에 호 설정을 위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로부터 제공되는 라우팅 정보에 상응하는 호 설정 관리장치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호 설정 관리장치에서, 상기 호가 사설 무선망 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설 무선망 호인 경우 착신 번호를 번역하여 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교환국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교환국 시스템에서 상기 번역된 착신 번호를 활용하여 무선 단말에 대해서는 페이징을 수행하고, 유선 단말에 대해서는 해당 사설교환기를 통해 호 설정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호 설정 관리장치는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 또는 서비스제어포인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MAP 혹은 CAP 메시지 처리는 상기 교환국 시스템과 호 설정 관리장치 간에 수행되고, 무선단말 간의 사설 무선망 호의 경우에는 상기 공중이동통신망을 활용하여 통화로가 설정되고, 무선단말과 유선단말 간의 사설 무선망 호의 경우에는 상기 교환국 시스템과 사설교환기 간의 전용선을 통해 통화로가 설정된다.
상기 호 설정 관리장치는, 착신 번호에 특수코드가 포함된 호를 사설 무선망호로 인식하고, 상기 착신 번호에 포함된 GT(Global Title) 코드를 해석하거나, 상기 발신단말의 가입자 VLR 데이터베이스의 WPBX No.를 활용하여 착신단말의 해당 사설교환기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환국 시스템은 MSC/VLR, SGSN/VLR 및 PDSN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특수코드는 '#' , '*' 및 '#*'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CNIP 서비스를 받는 착신단말의 경우에는, 상기 특수코드를 발신번호와 함께 상기 착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은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교환국 시스템(103)에 연결되는 사설교환기(PBX)(107)와, 교환국 시스템(103)에 대하여 호 처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사설교환기(PBX)(107) 측에 구비된 호 설정 관리장치인 사설 위치등록 장치(PBX-HLR/VLR)(108)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에서 점선은 시그널 링크(Signal link)를 나타내고, 굵은 실선은 트렁크 링크(Trunk link)를 나타낸다.
공중이동통신망(PLMN)은 이동국(MS)에 대하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혹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지된 바와 같이 홈위치등록기(HLR)(100)와, 상기 홈위치등록기(HLR)(100)에 연결된 다수의 교환국 시스템(103)과, 상기 교환국 시스템(103)에 연결된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BSC 혹은 RAN)(104)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 혹은 RAN)(104)에 연결된 다수의 기지국(BTS 혹은 Node B)(105)과, 신 호 교환을 위한 신호중계포인트(STP: Signal Transfer point)(102)를 구비한다.
신호중계포인트(STP)(102)는 상기 홈위치등록기(HLR)(100)와 교환국 시스템(103) 간 혹은 교환국 시스템(103)들 간의 No.7 신호를 라우팅하는 중계 교환기 역할을 수행한다. 신호중계포인트(STP)(102)에는 위치등록 처리를 위한 전용 위치등록기(XLR)(101)가 연결될 수 있다.
교환국 시스템(103)은 2G 및 3G의 주 음성호 처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가입자 DB인 MSC/VLR이나, 3G에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가입자 DB인 SGSN/VLR, 혹은 2G에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인 PDSN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MSC/VLR 형태의 교환국 시스템(103)과 사설교환기(PBX)(107)가 연동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교환국 시스템(103)에는 사설 무선망 호의 발생시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사설 무선망 호의 국번을 해석하기 위한 요소들이 포함된다. 비록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교환국 시스템(103)에는 사설교환기(PBX)(107)별로 부여되는 GT(Global Title) 코드를 저장하는 GT 데이터베이스(GT DB)와, 사설망 가입자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WPBX Service Indicator, WPBX In/Out Indicator, WPBX No., WPBX 기지국 정보 등)가 첨가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VLR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고, 착신 번호를 해석하여 특수코드가 포함된 경우를 사설 무선망호로 인식하는 한편, 착신 번호에 포함된 GT 코드를 해석하여 해당 사설교환기(PBX)(107)를 구분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사설 무선망 호의 경우 착신번호는 예컨대, '#NNNN-MMMM'와 같이 특수코 드(#) + GT 코드(NNNN) + 번호(MMMM)의 형태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사설 무선망 호의 착신번호는 예컨대, '#MMMM'와 같이 특수코드(#) + 번호(MMMM)의 형태로 구성된다. 사설교환기(PBX)의 구분을 위한 GT 코드의 분석은 발신단말의 가입자 VLR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착신단말의 사설교환기(PBX)와 동일시 함으로써 호 처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특수코드(#) + 번호(MMMM)의 형태로 착신번호를 지정할 경우 서비스 가입자의 번호 입력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특수코드 '#'은 교환국 시스템(103)이 사설 무선망 호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부여되는 코드로서, '*', '#*' 등으로 대체되는 것도 가능하며, 그밖에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착신단말이 CNIP(Calling Number Identification Presentation) 서비스를 받는 단말인 경우, 상기 특수코드를 발신번호에 부가하여 착신단말로 전송하게 되면 착신단말에 대하여 사설 무선망 호의 착신을 알릴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예를 들어, 발신단말번호가 KKKK 혹은 NNNN-KKKK인 경우, 착신단말에 착신되어 표시되는 번호는 #KKKK 혹은 #NNNN-KKKK이 되도록 호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사설교환기(PBX)(107)는 교환국 시스템(103)과 PSTN(109)에 링크되어 상기 교환국 시스템(103)이 사설 무선망 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연동한다.
사설 위치등록 장치(PBX-HLR/VLR)(108)는 상기 사설교환기(PBX)(107)와 함께 사설 무선망(WPBX)을 형성하고, 교환국 시스템(103)의 요청에 응답하여 착/발신 번호의 번역 정보를 상기 교환국 시스템(103)에 제공하여 사설 무선망 호에 대한 처 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사설 위치등록 장치(PBX-HLR/VLR)(108)는 상기 신호중계포인트(STP)(102)에 링크되어 No.7 시그널링(Signaling)을 수행하고, 사설 무선망의 가입자 등록(이동통신번호와 유선번호의 매칭, 부가서비스 등), 가입자 위치정보 관리 등을 수행하는 HLR 기능과, 방문자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VLR 기능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은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교환국 시스템(103')에 연결되는 사설교환기(PBX)(107)와,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신호중계포인트(STP)(102)에 연결되어 호 설정 관리장치의 역할을 담당하는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와,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홈위치등록기(HLR)(100) 및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와 연동하는 가입자 전용등록장치(114)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중계포인트(STP)(102)에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112)가 더 링크될 수 있다. 또한,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와 SMSC(112)에는 인터넷(Internet)(111)을 매개로 하여 가입자 DB 관리 기업형 SMSC(113)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는 교환국 시스템 (103')에 대하여 호 처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는 교환국 시스템(103')의 요청에 응답하여 착/발신 번호의 번역 정보를 상기 교환국 시스템(103')에 제공하여 사설 무선망 호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는 교환국 시스템(103')으로부터 라우팅된 착신 번호에 포함된 GT 코드를 해석하여 해당 사설교환기(PBX)를 구분한다. 대안으로,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는 교환국 시스템(103')으로부터 라우팅된 발신번호를 활용하여 착신번호의 해당 사설교환기(PBX)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는 상기 신호중계포인트(STP)(102)에 링크되어 No.7 시그널링을 수행하고, 전용 위치등록 및 가입자 인증 처리와, 지능망 호 처리 등을 수행한다.
교환국 시스템(103')은 착신 번호에 전술한 특수코드가 포함된 것을 인식하여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홈위치등록기(HLR)(100)에 호 설정을 위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고, 홈위치등록기(HLR)(100)로부터 제공되는 라우팅 정보에 상응하는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로 호 설정을 요청한다. 또한, 교환국 시스템(103')은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에 의해 번역된 착신 번호를 수신하고, 공중이동통신망(PLMN)만을 활용하거나 해당 사설교환기(PBX)(107)와 연동함으로써 호 처리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은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교환국 시스템(103')에 연결되는 사설교환 기(PBX)(107)와,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신호중계포인트(STP)(102)에 연결되어 호 설정 관리장치의 역할을 담당하는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와,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홈위치등록기(HLR)(100)와 연동하는 가입자 전용등록장치(114)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중계포인트(STP)(102)에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112)가 더 링크될 수 있다. 또한, SMSC(112)에는 인터넷(Internet)(111)을 매개로 하여 SMS 웹 클라이언트(Web client)(116)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는 교환국 시스템(103')에 대하여 호 처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는 교환국 시스템(103')의 요청에 응답하여 착/발신 번호의 번역 정보를 상기 교환국 시스템(103')에 제공하여 사설 무선망 호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제어포인트(SCP)는 교환국 시스템(103')으로부터 라우팅된 착신 번호에 포함된 GT 코드를 해석하여 해당 PBX를 구분한다. 또한,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는 교환국 시스템(103')으로부터 라우팅된 발신번호를 활용하여 착신번호의 해당 사설교환기(PBX)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는 신호중계포인트(STP)(102)에 링크되어 No.7 시그널링을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 검색, 경로 지정 정보 번역 등의 서비스 제어기능을 제공한다.
교환국 시스템(103')은 착신 번호에 전술한 특수코드가 포함된 것을 인식하여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홈위치등록기(HLR)(100)에 호 설정을 위한 라우팅 정보 를 요청하고, 홈위치등록기(HLR)(100)로부터 제공되는 라우팅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로 호 설정을 요청한다. 또한, 교환국 시스템(103')은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에 의해 번역된 착신 번호를 수신하고, 공중이동통신망(PLMN)만을 활용하거나 해당 사설교환기(PBX)(107)와 연동함으로써 호 처리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는 HLR 가입자 DB, VLR 가입자 DB, SCP 가입자 DB, PBX HLR/VLR 가입자 DB등이 구축되어야 한다. 여기서, HLR 가입자 DB, VLR 가입자 DB 및 SCP 가입자 DB에는 ESN, IMSI, Serial No, WPBX Service Indicator, WPBX In/Out Indicator, WPBX No., WPBX 기지국 정보, 유선전화 Indicator, 카메라 제어 Indicator, 무선사설망 데이터 접속 Indicator 등의 데이터 요소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BX HLR/VLR 가입자 DB에는 IMSI, Serial No., WPBX In/Out Indicator, WPBX No., WPBX 기지국 정보, 유선전화 Indicator, 카메라 제어 Indicator, 무선사설망 데이터 접속 Indicator 등의 데이터 요소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호 처리 절차에 있어서, 착신 번호의 번호체계는 특수코드(#) + GT 코드(NNNN) + 번호(MMMM)로 구성될 경우 시스템 구현 측면에서는 편리하나, 가입자가 입력해야 할 번호가 많아 사용이 불편한 측면이 있으므로 특수코드(#) + 번호(MMMM)로 구성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신단말의 발신(발신번호: 010-1111-2222, 착신번호: #3333)에 따라 무선 시스템(BSS 혹은 RAN)(106)으로부터 교환국 시스템(103)에 호 요청이 수신되면(단계 S100 및 S102), 교환국 시스템(103)은 착신 번호의 특수코드를 확인하여 사설 무선망 호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4).
판단 결과, 사설 무선망 호를 나타내는 특수코드 '#'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교환국 시스템(103)은 공중이동통신망(PLMN)만을 활용한 통상의 공중망 호 처리를 수행하고(단계 S106), 특수코드 '#'을 인식한 경우에는 가입자 VLR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발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08).
가입자 VLR 데이터베이스 검색 결과, 발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지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교환국 시스템(103)은 호를 해지한다(단계 S110).
한편, 발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지역 내에 존재하는 무선단말(MS)(1)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교환국 시스템(103)은 발신측 가입자 VLR 데이터베이스에서 WPBX No.를 확인하여 착신단말기의 사설교환기(PBX)(107)를 결정하고(단계 S112), 해당 사설교환기(PBX)(107)에 대응하는 사설 위치등록 장치(PBX-HLR/VLR)(108)에 착/발신 번호에 대한 위치경로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S114).
사설 위치등록 장치(PBX-HLR/VLR)(108)는 상기 위치경로 요청에 상응하여 번 호 번역을 수행한다(Calling: 010-1111-2222 => 2222, Called : #3333 => 010-1111-3333)(단계 S116).
또한, 사설 위치등록 장치(PBX-HLR/VLR)(108)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번호 번역된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18).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있는 무선단말(MS)(2)인 경우, 사설 위치등록 장치(PBX-HLR/VLR)(108)는 교환국 시스템(103)에 위치경로 응답 메시지[Calling: #2222, Called: 010-1111-3333]를 전송한다(단계 S120).
교환국 시스템(103)은 착신 번호에 대응하는 해당 무선단말(MS)(2)에 페이징(Paging)을 수행하고(단계 S122), 사설 무선망 내에 위치한 발신단말과 착신단말은 공중이동통신망(PLMN)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단계 S124).
한편,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유선단말(3)인 경우, 사설 위치등록 장치(PBX-HLR/VLR)(108)는 교환국 시스템(103)에 라우팅 정보(PBX No.)가 포함된 위치경로 응답 메시지을 전송한다(단계 S126).
위치경로 응답 메시지[라우팅 정보: PBX No.]를 수신한 교환국 시스템(103)은 해당 사설교환기(PBX)(107)에 호 설정 메시지[ISUP 처리]를 전송한다(단계 S128).
사설교환기(PBX)(107)는 착신단말에 호 설정을 요청하고(단계 S130), 사설 무선망(WPBX) 내에 위치한 발신단말(1)과 외부의 착신단말은 교환국 시스템(103)과 사설교환기(PBX)(107) 간의 전용선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단계 S132).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MAP(Mobile Application Part) 메시지 처리는 교환국 시스템(103)과 사설 위치등록 장치(PBX-HLR/VLR)(108) 간에 수행된다.
도 7에는 발신단말이 유선단말(3)인 경우의 호 처리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발신단말이 사설교환기(PBX)(107)에 호를 요청했을 때(Calling: 3333, Called: 2222)(단계 S200), 사설 위치등록 장치(PBX-HLR/VLR)(108)는 번호 번역을 수행한다(Calling: 3333 => #3333, Called: 2222 => 010-1111-1111)(단계 S202).
이후 사설 위치등록 장치(PBX-HLR/VLR)(108)는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단계 S204).
판단 결과,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설교환기(PBX)(107)는 착신 번호에 해당하는 유선단말(4)에 호 설정을 요청하게 되고(단계 S206), 이에 따라 사설 무선망(WPBX) 내의 발신 유선단말과 착신 유선단말 간에 통화가 수행된다(단계 S208).
한편,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 내에 존재하는 경우, 사설교환기(PBX)(107)는 ISUP(ISDN User Part) 프로토콜을 통해 교환국 시스템(103)에 호 설정을 요청한다(단계 S210).
교환국 시스템(103)은 착신 호가 사설 무선망 호임을 인식하여 해당 착신 무선단말(1)에 페이징을 수행하고(단계 S212), 이에 따라 사설 무선망(WPBX) 내에 위치한 발신 유선단말(3)과 착신 무선단말(1) 간에 통화가 수행된다(단계 S214).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 스템의 호 처리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발신단말의 발신(발신번호: 010-1111-2222, 착신번호: #3333)에 따라 무선 시스템(BSS 혹은 RAN)(106)으로부터 교환국 시스템(103')에 호 요청이 수신되면(단계 S300 및 S302), 교환국 시스템(103')은 착신 번호에 포함된 특수코드'#'을 인식하여 지능망호와 같은 처리를 위하여 홈위치등록기(HLR)(100)에 호 설정을 요청한다(Calling: 010-1111-2222, Called: #3333, 기지국 정보)(단계 S304).
홈위치등록기(HLR)(100)는 해당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의 라우팅 정보가 포함된 호 설정 응답 메시지를 교환국 시스템(103')에 전송한다(단계 S306).
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국 시스템(103')은 해당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에 호 설정을 요청한다(Calling: 010-1111-2222, Called: #3333, 기지국 정보)(단계 S308).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에서는 설정 요청된 호가 사설 무선망 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310), 사설 무선망 호가 아닌 경우에는 공중망 호 등 다른 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교환국 시스템(103')에 응답하고(단계 S312), 사설 무선망 호인 경우에는 발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존재 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314).
확인 결과, 발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는 호 해지(단계 S318)를 위한 응답 메 시지를 교환국 시스템(103')에 전송한다(단계 S316).
발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존재하는 무선단말(MS)(1)인 경우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는 착신단말의 번호를 번역하고,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20). 여기서,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는 착신단말의 번호 번역을 수행하기 위해 발신단말의 사설 무선망(WPBX No.)을 확인하고, 이 사설 무선망(WPBX No.)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착신번호(3333)에 대응되는 무선단말 번호(010-1111-3333)를 찾는다. 이때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빠르게 수행하도록 기지국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는 교환국 시스템(103')에 호 설정 응답[Calling: #2222, Called: 010-1111-3333]을 전송한다(단계 S322).
상기 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국 시스템(103')은 해당 호의 발신 및 착신 번호를 변경하여 해당 착신 무선단말(2)에 페이징을 수행하고(단계 S324), 이에 따라 사설 무선망(WPBX)에 위치한 발신 무선단말(1)과 착신 무선단말(2) 간에 통화가 수행된다(단계 S326).
한편,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는 라우팅 정보(PBX No.)를 포함하는 호 설정 응답 메시지를 교환국 시스템(103')에 전송한다(단계 S328).
상기 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국 시스템(103')은 해당 사설교환 기(PBX)(107)에 호 설정 메시지[ISUP 처리]를 전송한다(단계 S330). 사설교환기(PBX)(107)에서는 해당 유선단말(3)에 호설정을 요청하고(단계 S332), 이에 따라 사설 무선망(WPBX)에 위치한 발신 무선단말(1)과 사설 무선망 외부의 착신 유선단말(3) 간에 통화가 수행된다(단계 S334).
도 9에는 발신단말이 유선단말(3)인 경우의 호 처리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발신단말이 사설교환기(PBX)(107)에 호를 요청했을 때(Calling: 3333, Called: 2222)(단계 S400), 사설교환기(PBX)(107)는 번호 변경을 수행한다(Calling: 3333 => #3333, Called: 2222 => 010-1111-2222)(단계 S402).
이후 사설교환기(PBX)(107)는 교환국 시스템(103')에 ISUP 프로토콜을 통해 호 설정(Calling: #3333, Called: 010-1111-2222, PBX No.)을 요청하고(단계 S404), 교환국 시스템(103')은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에 호 설정(Calling: #3333, Called: 010-1111-2222, PBX No.)을 요청한다(단계 S406).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는 해당 PBX No.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08).
판단 결과,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는 교환국 시스템(103')에 호 설정 응답(Calling: #3333, Called: 010-1111-2222)을 전송한다(단계 S410).
교환국 시스템(103')은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따라 해당 착신 무선단말(1)에 페이징을 수행하고(단계 S412), 이에 따라 사설 무선망(PBX)에 위치한 발신 유선단말(3)과 착신 무선단말(1) 간에 통화가 수행된다(단계 S414).
한편,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는 라우팅 정보(PBX No.)가 포함된 호 설정 응답 메시지를 교환국 시스템(103')에 전송한다(단계 S416).
교환국 시스템(103')은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따라 사설교환기(PBX)(107)에 호 설정을 요청하고(단계 S418), 이에 따라 사설교환기(PBX)(107)가 유선단말(4)로 호 요청을 하여 사설 무선망(WPBX) 위치한 발신 유선단말(3)과 외부의 착신 유선단말(4) 간에 통화가 수행된다(단계 S420 및 S422).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MAP 혹은 CAP(CAMEL Application Part) 메시지 처리는 교환국 시스템(103)과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XLR-SCP)(110) 간에 수행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음성호 처리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발신단말의 발신(발신번호: 010-1111-2222, 착신번호: #3333)에 따라 무선 시스템(BSS 혹은 RAN)(106)으로부터 교환국 시스템(103')에 호 요청이 수신되면(단계 S500 및 S502), 교환국 시스템(103')은 착신 번호에 포함된 특수코드 '#'을 인식하여 지능망호와 같은 처리를 위하여 홈위치등록기(HLR)(100)에 호 설정을 요청한다(Calling: 010-1111-2222, Called: #3333, WPBX No.)(단계 S504).
홈위치등록기(HLR)(100)는 해당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의 라우팅 정보가 포함된 호 설정 응답 메시지를 교환국 시스템(103')에 전송한다(단계 S506).
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국 시스템(103')은 해당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에 호 설정을 요청한다(Calling: 010-1111-2222, Called: #3333, 기지국 정보)(단계 S508).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에서는 설정 요청된 호가 사설 무선망 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510), 사설 무선망 호가 아닌 경우에는 공중망 호 등 다른 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교환국 시스템(103')에 응답하고(단계 S512), 사설 무선망 호인 경우에는 발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존재 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514).
확인 결과, 발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는 호 해지(단계 S518)를 위한 응답 메시지를 교환국 시스템(103')에 전송한다(단계 S516).
발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존재하는 무선단말(MS)(1)인 경우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는 번호를 변경하고(Calling: 010-1111-2222 => #2222, Called: #3333 => 010-1111-3333)(단계 S520), 착신단말 위치 조회 메시지를 홈위치등록기(HLR)(100)에 전송한다(단계 S522).
홈위치등록기(HLR)(100)는 다시 교환국 시스템(103')으로 착신단말 위치 조회 메시지를 전송하고(단계 S524), 그에 상응하는 착신단말 위치 응답 메시지(기지국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단계 S526) 이를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로 전송한 다(단계 S528).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는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30).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는 교환국 시스템(103')에 호 설정 응답[Orig: #2222, Called: 010-1111-3333]을 전송한다(단계 S532).
상기 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국 시스템(103')은 해당 호의 발신 및 착신 번호를 변경하여 해당 착신 무선단말(2)에 페이징을 수행하고(단계 S534), 이에 따라 사설 무선망(WPBX)에 위치한 발신 무선단말(1)과 착신 무선단말(2) 간에 통화가 수행된다(단계 S536).
한편,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는 라우팅 정보(PBX No.)를 포함하는 호 설정 응답 메시지를 교환국 시스템(103')에 전송한다(단계 S538).
상기 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국 시스템(103')은 해당 사설교환기(PBX)(107)에 호 설정을 위한 ISUP 처리(Calling: 010-1111-2222, Called: #3333)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540). 사설교환기(PBX)(107)에서는 해당 유선단말(3)에 호설정을 요청하고(단계 S542), 이에 따라 사설 무선망(WPBX)에 위치한 발신 무선단말(1)과 사설 무선망 외부의 착신 유선단말(3) 간에 통화가 수행된다(단계 S544).
상기 호 처리 절차에 있어서, 사설교환기(PBX)(107)가 연동 상태가 아닌 경 우에는 상기 단계 S538 내지 S544를 수행하지 않고 호를 해제하여야 한다.
도 11에는 발신단말이 유선단말(3)이고, 사설교환기(PBX)(107)가 연동되는 사설 무선망에서의 음성호 처리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발신단말이 사설교환기(PBX)(107)에 호를 요청했을 때(Calling: 3333, Called: 2222)(단계 S600), 사설교환기(PBX)(107)는 번호 변경을 수행한다(Calling: 3333 => #3333, Called: 2222 => 010-1111-2222)(단계 S602).
사설교환기(PBX)(107)는 교환국 시스템(103')에 ISUP 프로토콜을 통해 호 설정(Calling: #3333, Called: 010-1111-2222, WPBX No.)을 요청하고(단계 S604), 교환국 시스템(103')은 홈위치등록기(HLR)과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SCP 라우팅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606 및 S608).
이후 교환국 시스템(103')은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에 호 설정(Calling: #3333, Called: 010-1111-2222, 기지국 정보)을 요청한다(단계 S610).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는 착신호가 사설 무선망 호인지 여부를 판단했을 때(단계 S612), 사설 무선망 호가 아닌 경우에는 타 호 처리를 수행하고(단계 S614), 사설 무선망 호인 경우에는 해당 PBX No.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16).
판단 결과,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는 교환국 시스템(103')에 호 설정 응답(Calling: #3333, Called: 010-1111-2222)을 전송한다(단계 S618).
교환국 시스템(103')은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따라 해당 착신 무선단말(1)에 페이징을 수행하고(단계 S620), 이에 따라 사설 무선망(PBX)에 위치한 발신 유선단말(3)과 착신 무선단말(1) 간에 통화가 수행된다(단계 S622).
한편,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WPBX)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는 라우팅 정보(PBX No.)가 포함된 호 설정 응답 메시지를 교환국 시스템(103')에 전송한다(단계 S624).
교환국 시스템(103')은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따라 사설교환기(PBX)(107)에 호 설정을 요청하고(단계 S626), 이에 따라 사설교환기(PBX)(107)가 유선단말(4)로 호 요청을 하여 사설 무선망(WPBX) 위치한 발신 유선단말(3)과 외부의 착신 유선단말(4) 간에 통화가 수행된다(단계 S628 및 S630).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MAP 혹은 CAP 메시지 처리는 교환국 시스템(103)과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 및 홈위치등록기(HLR) 간에 수행된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동일 사설 무선망 지역내의 무선 단말간의 SMS 호 처리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발신 무선단말(1)과 SGSN 형태의 교환국 시스템(103') 간에 SMS 전송을 위한 호 셋업이 수행된 상태에서(단계 S700), 발신 무선단말(1)에서 교환국 시스템(103')으로 전송된 SMS 메시지 요청(발신번호: 010-1111-2222, 착신번호: #*3333, 메시지, 기지국 정보)에 따라 교환국 시스템(103')은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에 SMS 호 설정을 요청한다(단계 S702 및 S704). 이때 교환국 시스템(103')은 착신 번호에 포함된 특수코드 '#*'을 통해 해당 호가 사설 무선망 SMS 발신임을 인식하여 SMS 호 설정을 요청한다.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는 사설 무선망 SMS 호 여부를 판단하여 사설 무선망 SMS 호가 아닌 경우에는 일반호 처리를 수행하고(단계 S706 및 S708), 발신 무선단말(1)이 사설 무선망 지역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사설 무선망 지역내에 발신 무선단말(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호 해지 절차를 수행한다(단계 S710 및 S712). 이때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는 Initial DP(Detection Point) SMS의 발신 기지국 정보를 활용하여 발신단말의 존재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는 착신번호에 대응하는 착신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14). 판단 결과 해당 착신단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호 해지 절차를 수행하고(단계 S716), 착신단말이 존재할 경우에는 홈위치등록기(HLR)(100)에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한다(단계 S718).
홈위치등록기(HLR)(100)에서는 교환국 시스템(103')에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고(단계 S720), 그에 응답하여 교환국 시스템(103')으로부터 제공되는 착신단말 위치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722). 이후 홈위치등록기(HLR)(100)는 착신단말의 기지국 정보가 포함된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에 전송한다(단계 S724).
서비스제어포인트(SCP)(115)는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착신단말이 사설 무선망 지역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26). 판단 결과 해당 사설 무선망 지역내에 착신단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호 해지 절차를 수행하 고(단계 S728), 착신단말이 존재할 경우에는 SMS 연결 응답을 교환국 시스템(103')에 전송한다(단계 S730).
SMS 연결 응답을 수신한 교환국 시스템(103')은 SMSC(112)로 SMS 전송을 위한 메시지(착신번호: 010-1111-3333, 메시지, 발신/착신단말의 사설 무선망 존재여부)를 전달하고(단계 S732), SMSC(112)는 SMS 전송처리를 수행한 후 정상 처리를 알리는 ACK 메시지를 교환국 시스템(103')에 전송한다(단계 S734).
교환국 시스템(103')은 ACK 메시지를 수신한 후 SMS 전송 응답을 발신 무선단말(1)에 전송하고(단계 S736), 이후 발신 무선단말(1)과 교환국 시스템(103') 간의 SMS 호는 해지된다(단계 S738).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사설 무선 인트라넷에 대한 데이터 접속 호 처리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발신 무선단말(1)과 SGSN 형태의 교환국 시스템(103') 간에 호 셋업이 수행된 상태에서(단계 S800), 발신 무선단말(1)이 교환국 시스템(103')에 데이터 호 활성화 요청을 하면(단계 S802), 교환국 시스템(103')은 발신단말이 해당 사설 무선망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GGSN(117)에 데이터 호 생성을 요청한다(단계 S804 및 S806).
GGSN(117)은 상기 데이터 호 생성 요청에 응하여 교환국 시스템(103')에 데이터 호 생성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808). 또한 GGSN(117)은 과금장치(118)에 데이터 호 과금 요청을 하고 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 S810 및 S812).
데이터 호 생성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국 시스템(103')은 발신 무선단말(1)과 RAB 할당을 수행한 후(단계 S814), 발신 무선단말(1)에 데이터 호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816).
위와 같은 과정이 완료된 후 발신 무선단말(1)은 교환국 시스템(103') 및 GGSN(117)을 경유하여 해당 사설 무선망 인트라넷(119)에 접속하여 데이터 호를 처리하게 된다(단계 S818). 이때 발신 무선단말(1)은 사설 무선망 인트라넷 고유의 수신 IP(Destination IP)로 접속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은 교환국 시스템(MSC/VLR, SGSN/VLR,PDSN)과 사설교환기(PBX)가 직접적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CDMA, WCDMA 혹은 향후의 4G의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기존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하게 되므로 초기 투자 비용과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설 무선망(WPBX) 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1)

  1. 홈위치등록기와 교환국 시스템 간 혹은 교환국 시스템들 간의 신호 처리를 위한 신호중계포인트;
    상기 교환국 시스템에 연결되는 사설교환기; 및
    착/발신 번호를 번역하여 상기 교환국 시스템에 제공하는 호 설정 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번역된 번호를 활용하여 상기 교환국 시스템이 사설 무선망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관리장치는, 상기 사설교환기와 함께 사설 무선망을 이루고 사설 무선망 가입자의 등록과 위치에 따른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사설 위치등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설 위치등록 장치에 의해 착/발신 번호가 번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국 시스템은,
    상기 사설교환기별로 부여되는 GT(Global Title) 코드를 저장하는 GT 데이터베이스; 및
    사설망 가입자를 구분할 수 있는, WPBX Service Indicator, WPBX In/Out Indicator, WPBX No. 및 WPBX 기지국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식별자가 첨가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VLR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착신 번호를 해석하여 특수코드가 포함된 경우를 사설 무선망호로 인식하고, 상기 착신 번호에 포함된 GT 코드를 해석하거나, 발신단말이 속하는 사설교환기를 확인하여 착신단말의 해당 WPBX 사설교환기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관리장치는, 상기 신호중계포인트에 연결되는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에 의해 착/발신 번호가 번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국 시스템에서, 착신 번호에 특수코드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었을 때 상기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로 라우팅하고,
    상기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에서, 상기 교환국 시스템으로부터 라우팅된 착신 번호에 포함된 GT 코드를 해석하거나 혹은 발신단말이 속하는 사설교환기를 확인하여 착신단말의 해당 WPBX 사설교환기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관리장치는, 상기 신호중계포인트에 연결되는 서비스제어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제어포인트에 의해 착/발신 번호가 번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국 시스템에서, 착신 번호에 특수코드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었을 때 상기 서비스제어포인트로 라우팅하고,
    상기 서비스제어포인트에서, 상기 교환국 시스템으로부터 라우팅된 착신 번호에 포함된 GT 코드를 해석하거나, 발신단말이 속하는 사설교환기를 확인하여 착신단말의 해당 WPBX 사설교환기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
  8. 제3항, 제5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코드는 '#' , '*' 및 '#*'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CNIP 서비스를 받는 착신단말의 경우, 호 처리시 상기 특수코드를 발신번호와 함께 상기 착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
  10. 제2항,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국 시스템은 MSC/VLR, SGSN/VLR 및 PDSN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
  11. 공중이동통신망에 있어서,
    교환국 시스템에서 발신단말의 호 요청을 수신하여 사설 무선망 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호가 사설 무선망 호인 경우 착신 번호의 사설교환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설교환기에 대응되는 호 설정 관리장치에 대하여 위치경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호 설정 관리장치에서 상기 착신 번호를 번역하여 위치경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교환국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교환국 시스템에서 상기 번역된 착신 번호를 활용하여 무선 단말에 대해서는 페이징을 수행하고, 유선 단말에 대해서는 해당 사설교환기를 통해 호 설정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관리장치는 사설 위치등록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국 시스템은,
    착신 번호에 특수코드가 포함된 호를 사설 무선망호로 인식하고,
    상기 착신 번호에 포함된 GT(Global Title) 코드를 해석하거나, 상기 발신단말의 가입자 VLR 데이터베이스의 WPBX No.를 활용하여 착신단말의 해당 사설교환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코드는 '#' , '*' 및 '#*'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
  15. 공중이동통신망에 있어서,
    교환국 시스템에서 발신단말의 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착신 번호에 특수코드가 포함된 것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공중이동통신망의 홈위치등록기에 호 설정을 위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로부터 제공되는 라우팅 정보에 상응하는 호 설정 관리장 치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호 설정 관리장치에서, 상기 호가 사설 무선망 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설 무선망 호인 경우 착신 번호를 번역하여 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교환국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교환국 시스템에서 상기 번역된 착신 번호를 활용하여 무선 단말에 대해서는 페이징을 수행하고, 유선 단말에 대해서는 해당 사설교환기를 통해 호 설정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관리장치는 전용위치등록/서비스제어포인트 또는 서비스제어포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
  17. 제12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국 시스템과 호 설정 관리장치 간에 MAP 혹은 CAP 메시지 처리가 수행되고,
    무선단말 간의 사설 무선망 호의 경우에는 상기 공중이동통신망을 활용하여 통화로가 설정되고,
    무선단말과 유선단말 간의 사설 무선망 호의 경우에는 상기 교환국 시스템과 교환기 간의 전용선을 통해 통화로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 합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관리장치는,
    착신 번호에 특수코드가 포함된 호를 사설 무선망호로 인식하고,
    상기 착신 번호에 포함된 GT(Global Title) 코드를 해석하거나, 상기 발신단말의 가입자 VLR 데이터베이스의 WPBX No.를 활용하여 착신단말의 해당 사설교환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코드는 '#' , '*' 및 '#*'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
  20. 제12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국 시스템은 MSC/VLR, SGSN/VLR 및 PDSN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
  21. 제14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CNIP 서비스를 받는 착신단말의 경우, 상기 특수코드를 발신번호와 함께 상기 착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
KR1020070037547A 2006-10-26 2007-04-17 공중이동통신망을 활용한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및 그 호 처리 방법 KR100868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780039936.3A CN101529879B (zh) 2006-10-26 2007-10-24 使用公共陆地移动网络的专用移动网络综合服务系统及其呼叫处理方法
PCT/KR2007/005262 WO2008051021A1 (en) 2006-10-26 2007-10-24 Private mobile network integration service system using public land mobile network and call processing method therefof
JP2009534494A JP4977761B2 (ja) 2006-10-26 2007-10-24 公衆移動通信網を活用した私設無線網統合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呼処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04493 2006-10-26
KR1020060104493 2006-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497A true KR20080037497A (ko) 2008-04-30
KR100868189B1 KR100868189B1 (ko) 2008-11-10

Family

ID=3957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547A KR100868189B1 (ko) 2006-10-26 2007-04-17 공중이동통신망을 활용한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및 그 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68189B1 (ko)
CN (1) CN10152987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901B1 (ko) * 2014-07-16 2016-01-22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2784B (zh) * 2012-02-20 2017-08-29 深圳震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3g专网中单卡手机实现一机双号的方法及系统
CN106789966B (zh) * 2016-12-05 2020-08-14 广州海格通信集团股份有限公司 呼叫业务路由处理方法和系统
CN113645359B (zh) * 2021-08-12 2023-09-19 迈普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呼叫备份及呼叫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6086A (en) * 1997-03-28 2000-03-14 Luc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itiating a telephone transaction using a scanner
JP2002368881A (ja) * 2001-06-04 2002-12-20 Nec Eng Ltd 構内交換機
KR100450961B1 (ko) * 2001-09-28 200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공중망과 유무선 사설망이 연동된 망에서 가입자상태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454945B1 (ko) * 2001-11-28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이동통신망 및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망과 그를위한 시스템
CN1232135C (zh) * 2002-11-12 2005-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因特网协议语音核心网端到端的路由方法
CN1254070C (zh) * 2002-12-11 2006-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令统计解析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901B1 (ko) * 2014-07-16 2016-01-22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29879B (zh) 2014-01-08
CN101529879A (zh) 2009-09-09
KR100868189B1 (ko) 2008-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5305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location information about caller
US662546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mpatibility between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ignaling systems
KR100657124B1 (ko) 이동전화의 번호이동성 제공방법
KR100416994B1 (ko) 화상의 발신자 식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11981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route request messages for wireless gateway applications
US8060087B2 (en) CDMA intelligent network system and its method, device for realizing international roaming service
KR100868189B1 (ko) 공중이동통신망을 활용한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및 그 호 처리 방법
CN1327732C (zh) 一种实现移动号码可携带的方法
KR100691819B1 (ko) 국제 로밍시 호 설정 방법
US7308257B2 (en)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public network busy state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033891B1 (en)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using expanded permanent identifier
KR101055035B1 (ko)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번호이동성 장치 및 방법
KR20020069975A (ko) 상이한 시스템이 혼합된 이동통신망에서의 번호 이동성제공장치 및 방법
KR100774831B1 (ko) 트래픽 상태의 관리 구조가 개선된 사설 무선망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그 호 처리 방법
WO2008051021A1 (en) Private mobile network integration service system using public land mobile network and call processing method therefof
EP1033890B1 (en)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using permanent identifier including routing information
KR10115556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6052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광역 근거리 착신 서비스 운용 방법
JP4977761B2 (ja) 公衆移動通信網を活用した私設無線網統合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呼処理方法
KR100292443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페이징영역등록방법및그를이용한다단계페이징방법
KR20120037596A (ko) 이종망간의 착신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277236B1 (ko) 범세계 이동통신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내의이동 지능망 호처리방법
KR2000004612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처리 방법
KR20000060427A (ko)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용 교환기내 is-41c 재지시 요구 맵 운영 방법
KR101142055B1 (ko) 특수번호 발신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