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464A -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가능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가능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464A
KR20080037464A KR1020060104664A KR20060104664A KR20080037464A KR 20080037464 A KR20080037464 A KR 20080037464A KR 1020060104664 A KR1020060104664 A KR 1020060104664A KR 20060104664 A KR20060104664 A KR 20060104664A KR 20080037464 A KR20080037464 A KR 20080037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hannel
related information
broadcast reception
norm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5662B1 (ko
Inventor
윤상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662B1/ko
Priority to EP07118595A priority patent/EP1919109A3/en
Priority to CNA2007101803464A priority patent/CN101174845A/zh
Priority to US11/875,042 priority patent/US20080104639A1/en
Publication of KR20080037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방송 수신 모드와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단말기에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반 모드 진입 시 방송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방송 관련 정보를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송 관련 인디케이터, 표시, DMB폰, 방송 수신 세기

Description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METHOD FOR INDICATING BROADCASTING-RELATED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BROADCASTING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관련 정보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방송 관련 정보에 방송 수신 세기가 포함된 경우 처리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제 2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 표시하는 경우 방송 수신 모드 진입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송 수신 모듈 20 : 통신 모듈
30 : 제어부 40 : 메모리부
50 : 키입력부 60 : 표시부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송 및 통신관련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통해 장소에 관계없이 방송을 시청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의 등장으로 인해 고화질, 고음질의 방송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통해 방송을 시청하고자 하는 수요자층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장 보편적으로 보급된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형태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방송 수신 모듈을 장착한 것이다. 방송 수신 모듈을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전화, 데이터 통신 등의 일반 기능과 방송 수신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
하지만,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서는 실제 방송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만 방송 수신 세기 등의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할 뿐,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방송 수신을 요청한 후에야 현재 위치에서 방송 수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만일 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지역에서 방송 수신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방송 수신 모듈이 주파수를 잡기 위해 장시간 동작하지만, 결국 방송 수신을 할 수 없어 불필요한 전력이 소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통화 수신 세기나 메시지 수신 등의 일반 모드 관련 정보들은 안테나 형태나 편지봉투 모양으로 형상화되어 화면상에서 손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되는 반면, 방송 수신 관련 정보들은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고 있어 방송 관련한 정보들을 손쉽게 획득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가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도 방송 관련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방송 관련 정보를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에 표시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방송 수신 모드와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단말기에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반 모드 진입 시 방송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방송 관련 정보를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송 관련 정보를 인디케이터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은 대기화면이고,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통화 수신 세기와 함께 표시된다.
이때,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수신 세기, 방송 수신 가능 채널, 방송 예약 정보, 녹화방송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 관련 정보에 방송 수신 세기가 포함되면, 제 1 채널의 방 송 수신 세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방송 수신 모듈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채널은 마지막으로 시청한 채널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채널이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을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가 방송 수신 가능 기준 세기보다 낮은 경우, 제 2 채널에 대한 방송 수신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채널에 대한 방송 수신 세기 및 제 2 채널임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 2 채널은 현재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방송 수신 가능한 채널 중 어느 하나이다.
이때, 상기 제 2 채널에 대한 방송 수신 세기 표시 중 방송 수신 모드 진입이 요청되면 상기 제 2 채널의 방송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동작하여 상기 방송 수신 세기를 갱신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 표시 중 사용자의 메뉴 선택 이벤트 발생 시 동작이 중지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는 방송 수신 모드와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상기 방송 수신 영상 또는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일반 모드 진입 시 방송 관련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방 송 관련 정보를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방송 수신 모드는 휴대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방송 수신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외의 상태는 모두 일반 모드로 정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는 방송 수신 모듈(10), 통신 모듈(20), 제어부(30), 메모리부(40), 키입력부(50) 및 표시부(60)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10)은 방송망으로부터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 모드 시 방송 수신 모듈(10)을 동작시켜 방송 수신 세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에는 방송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동작없이 단순히 방송 수신 세기만을 확인하므로, 방송 수신 모드에서 방송 수신 세기를 확인하는 경우보다 전력 소모가 적다.
통신 모듈(2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통신 모듈(20)을 이용하여 음성 송수신 및 문자, 동영상 데이터 전송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30)는 일반 모드 진입 시 방송 관련 정보를 확인하여 표시부(60)에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수신 세기, 방송 수신 가능 채널, 방송 예약 정보, 녹화방송 정보 등 방송 수신 모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의미한다. 특히, 이 중에서 방송 수신 세기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방송 수신 모듈(10)을 동작시켜 제 1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를 확인한다. 상기 제 1 채널은 마지막으로 시청한 채널이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채널일 수 있다.
이때, 만일 제 1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가 방송 수신 가능 기준 세기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 2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를 확인하여 이를 표시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채널은 휴대 단말기에서 방송 수신 가능한 채널 중 어느 하나이다. 일반적인 사용자라면 특정 채널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다른 채널이라도 수신 가능한 채널이 있다면 이를 이용하길 원하기 때문에, 제 1 채널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제 2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를 확인하는 것이다. 제 2 채널의 결정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특정 채널 지정 시 예비 채널을 몇 개 더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예비 채널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라면 최근 사용자가 시청한 채널들을 역순으로 검색하거나 사용자 선호채널 순서대로 검색하여 차례로 제 2 채널을 선택하고, 방송 수신 세기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제 2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가 표시되는 중에 방송 수신 모드 진입이 요청되면, 상기 제어부(30)는 방송 수신 모듈(10)이 상기 제 2 채널의 방송을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0)는 방송 수신 세기 확인을 통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표시부(60)가 온 상태일 때만 방송 수신 모듈(10)을 동작시켜 방송 수신 세기를 갱 신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메뉴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방송 수신 모듈(1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메뉴 선택 이벤트는 사용자가 방송 관련 정보가 표시된 최초의 일반 모드 화면 확인 중에 다른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메뉴는 일반 모드에서 선택될 수 있는 메뉴에 한정된다. 이때에는 사용자가 더 이상 방송 관련 정보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기 때문에 방송 수신 모듈(10)의 동작을 정지시켜 전력 소모를 막는 것이다.
메모리부(40)는 휴대 단말기와 관련된 기초 정보 및 동작 중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방송 수신 가능한 채널 정보, 예약 방송 수, 현재 녹화된 방송 수는 메모리부(40)에 저장될 수 있다.
키입력부(5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숫자키 등 각종 키를 구비한 입력장치이다.
표시부(60)는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로, 방송 수신 영상 또는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에 방송 관련 정보를 함께 표시한다. 이때, 방송 관련 정보는 통화 수신 세기와 함께 표시된다.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은 대기 화면을 포함한 게임 화면, 멀티미디어 영상 화면 등이 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관련 정보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방송 수신 세기(60a)가 통화 수신 세기(60b)와 같이 인디케이터(indicator)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세기(60a)는 막대 형 태로 표시되어 방송 수신 세기에 비례하여 막대 갯수를 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표시는 일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므로, 막대 형태 이외에 그 크기에 대응하는 숫자로 표시하거나 캐릭터 형태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세기(60a) 이외에도 예약 방송 수 및 현재 녹화된 방송 수와 같은 예약 방송 관련 정보(60c)를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c에는 방송 수신 가능한 채널(60d)을 표시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방송 수신 가능한 채널(60d)은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가능한 방송 채널을 의미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현재 방송 수신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현재 방송 수신 가능한 채널에 대해서는 색깔을 다르게 표시하는 식으로 구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d은 제 1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가 방송 수신 가능 기준 세기보다 낮은 경우의 표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가 방송 수신 가능 기준 세기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방송 수신 가능 기준 세기보다 높은 방송 수신 세기를 갖는 제 2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를 표시하는데, 이때에는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방송 수신 세기가 확인된 다른 채널명을 병기하여 표시(60e)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채널명을 병기하여 표시하는 것 이외에도 제 1 채널이 아닌 제 2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가 표시되었음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이라면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가 일반 모드에 진입하면(S100), 제어부(30)는 방송 관련 정보를 확인한다(S200). 이때, 방송 관련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세기, 방송 수신 가능 채널, 예약 방송 수, 녹화방송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만일, 방송 수신 세기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30)는 방송 수신 모듈(10)을 동작시켜 방송 수신 세기 정보를 확인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방송 수신 가능 채널, 예약 방송 수 및 녹화방송 수는 메모리부(40)에 저장된 정보를 참고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표시부(60)를 통해 위와 같이 확인된 방송 관련 정보를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과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300).
도 4는 방송 관련 정보에 방송 수신 세기가 포함된 경우 처리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30)는 방송 수신 모듈(10)을 동작시켜 제 1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를 확인한다(S210). 이때, 제 1 채널은 가장 마지막에 시청한 채널이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채널이다.
다음으로, 제어부(30)는 제 1 채널 방송 수신 세기가 방송 수신 가능 기준 세기보다 낮으면(S220), 제 2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를 확인한다(S230). 동일한 위치에서도 채널에 따라 방송 수신 세기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30)는 제 1 채널 이외의 다른 채널을 선택하고 방송 수신 모듈(10)을 동작시켜 제 2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를 확인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에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S240). 이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과 방송 관련 정보를 함께 표시한다. 그리고, 방송 관련 정보는 사용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S230 단계와 같이 제 2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가 확인된 경우에는 제 2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가 확인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함께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메뉴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S250), 제어부(30)는 방송 수신 모듈(1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S260). 그리고, 사용자의 메뉴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30)는 방송 수신 모듈(10)을 계속 동작시켜 방송 수신 세기를 갱신한다.
도 5는 제 2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 표시하는 경우 방송 수신 모드 진입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가 방송 수신 가능 기준 세기보다 낮으면 제 2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가 확인되어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에 표시된다(S410).
이어서, 키 입력부(50)를 통해 방송 수신 모드 진입 요청이 인가되면(S420), 제어부(30)는 방송 수신 모듈(10)이 상기 제 2 채널의 방송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S430).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거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들에 의하여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가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도 방송 관련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방송 수신 모드 진입 이전에 방송 수신 세기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방송 수신이 가능한 경우에만 사용자가 방송 수신을 요청할 수 있어 불필요한 방송 수신 요청에 따른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2)

  1. 방송 수신 모드와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단말기에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반 모드 진입 시 방송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방송 관련 정보를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관련 정보를 인디케이터로 표시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은 대기화면이고,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통화 수신 세기와 함께 표시되는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수신 세기, 방송 수신 가능 채널, 예약 방송 수, 녹화방송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관련 정보에 방송 수신 세기가 포함되면,
    제 1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방송 수신 모듈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마지막으로 시청한 채널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채널인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을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가 방송 수신 가능 기준 세기보다 낮은 경우, 제 2 채널에 대한 방송 수신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채널에 대한 방송 수신 세기 및 제 2 채널임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에 표시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현재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방송 수신이 가능한 채널 중 어느 하나인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채널에 대한 방송 수신 세기 표시 중 방송 수신 모드 진입이 요청되면 상기 제 2 채널의 방송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표 시하는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동작하여 상기 방송 수신 세기를 갱신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 표시 중 사용자의 메뉴 선택 이벤트 발생 시 동작이 중지되는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12. 방송 수신 모드와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상기 방송 수신 영상 또는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일반 모드 진입 시 방송 관련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방송 관련 정보를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관련 정보를 인디케이터로 표시하는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 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은 대기화면이고,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통화 수신 세기와 함께 표시되는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수신 세기, 방송 수신 가능 채널, 예약 방송 수, 녹화방송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관련 정보에 방송 수신 세기가 포함되면,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을 동작시켜 제 1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를 확인하는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마지막으로 시청한 채널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채널인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채널의 방송 수신 세기가 방송 수신 가능 기준 세기보다 낮은 경우,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제 2 채널에 대한 방송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제 2 채널에 대한 방송 수신 세기 및 제 2 채널임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에 표시하는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방송 수신이 가능한 채널 중 어느 하나인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채널에 대한 방송 수신 세기 표시 중 방송 수신 모드 진입이 요청되면,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제 2 채널의 방송을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을 동작시켜 상기 방송 수신 세기를 갱신하는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반 모드에 따른 화면 표시 중 사용자의 메뉴 선택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방송 수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
KR1020060104664A 2006-10-26 2006-10-26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가능한 휴대 단말기 KR101345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664A KR101345662B1 (ko) 2006-10-26 2006-10-26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가능한 휴대 단말기
EP07118595A EP1919109A3 (en) 2006-10-26 2007-10-16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in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broadcast reception and mobile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NA2007101803464A CN101174845A (zh) 2006-10-26 2007-10-17 在能够接收广播的移动终端中显示广播相关信息的方法以及实现该方法的移动终端
US11/875,042 US20080104639A1 (en) 2006-10-26 2007-10-19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capable of broadcast reception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664A KR101345662B1 (ko) 2006-10-26 2006-10-26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가능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464A true KR20080037464A (ko) 2008-04-30
KR101345662B1 KR101345662B1 (ko) 2014-01-27

Family

ID=3898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664A KR101345662B1 (ko) 2006-10-26 2006-10-26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가능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104639A1 (ko)
EP (1) EP1919109A3 (ko)
KR (1) KR101345662B1 (ko)
CN (1) CN1011748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781B1 (ko) * 2008-06-23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리스트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510B1 (ko) * 2007-12-10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1716401B1 (ko) * 2008-01-30 2017-03-14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디바이스 이벤트의 통지
CN101835007A (zh) * 2009-03-09 2010-09-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多媒体广播信号指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8286106B2 (en) * 2009-03-13 2012-10-09 Oracle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status information on a touch screen device
KR20110126346A (ko) * 2010-05-17 2011-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해상도 선택 메뉴 제공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KR101291590B1 (ko) * 2011-06-03 2013-08-01 주식회사에어플러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JP5052691B1 (ja) * 2011-06-29 2012-10-1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30142301A (ko) 2012-06-19 2013-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메뉴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1524B2 (ja) * 1995-06-23 2000-08-28 三洋電機株式会社 通信機
US6865379B1 (en) * 2000-05-09 2005-03-08 Gateway Inc. Automatic radio button mute
JP4806840B2 (ja) * 2000-08-11 2011-11-02 ソニー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4005374B2 (ja) * 2002-01-22 2007-11-07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4145133B2 (ja) * 2002-12-03 2008-09-03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40062829A (ko) * 2003-01-03 200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이동통신단말의 수신 감도 표시방법
US20050166230A1 (en) * 2003-03-18 2005-07-28 Gaydou Danny R.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ransport control
JP4290531B2 (ja) * 2003-11-14 2009-07-0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型電話装置
KR100677303B1 (ko) * 2003-12-26 2007-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EP1555795A1 (en) * 2004-01-19 2005-07-2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of images and menu icons in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92620A (ko) * 2004-03-16 2005-09-2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공중파 방송신호 수신세기 표시 장치
US7694232B2 (en) * 2004-08-03 2010-04-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inimal status display
JP4503400B2 (ja) * 2004-09-01 2010-07-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20050044844A (ko) * 2004-11-03 2005-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채널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US8613037B2 (en) * 2005-02-16 2013-12-17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Wireless digital video recorder manager
JP2007013502A (ja) * 2005-06-29 2007-01-18 Kyocera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動作制御方法
US7818766B2 (en) * 2005-09-30 2010-10-19 Microsoft Corporation Last channel button functional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781B1 (ko) * 2008-06-23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리스트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9109A2 (en) 2008-05-07
US20080104639A1 (en) 2008-05-01
CN101174845A (zh) 2008-05-07
KR101345662B1 (ko) 2014-01-27
EP1919109A3 (en) 201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662B1 (ko)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가능한 휴대 단말기
KR100790117B1 (ko) 디지털 방송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
US89309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program information
US7802244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reception method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pplications
US200600520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in a terminal
US200801633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informa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EP186080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in electronic device
KR100617790B1 (ko) 디지털 방송 채널정보 표시 단말기 및 방법
US20060161957A1 (en)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62550B1 (ko)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EP173475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EP1827010A2 (en) Method for outputting digital broadcast data in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US20090249385A1 (e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broadcasting therein
US2007003362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program information
US7835763B2 (en)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in wireless terminal
EP2001150B1 (en) URL access method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1007102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예약방법
JP2006211053A (ja) 電子機器、番組表表示方法及び番組表表示プログラム
KR20070105753A (ko)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선호채널 관리 방법
KR10121846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장치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 정보제공 방법
KR101314607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시간 단축 방법
KR20080034608A (ko) 방송 채널 전환 기능을 갖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방송 채널 전환 방법
KR101265620B1 (ko) 방송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단말기
KR2007004000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이피지 정보 관리방법
KR100469854B1 (ko) 지역별 채널검색을 통한 tv폰 예약 방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