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6513A - Construction machine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36513A KR20080036513A KR1020070086044A KR20070086044A KR20080036513A KR 20080036513 A KR20080036513 A KR 20080036513A KR 1020070086044 A KR1020070086044 A KR 1020070086044A KR 20070086044 A KR20070086044 A KR 20070086044A KR 20080036513 A KR20080036513 A KR 200800365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handle
- door
- handrail
- center pill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캡(cab) 본체의 센터 필러(center pillar)에 승강용 난간 손잡이를 설치한 유압 쇼벨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ruction machine such as a hydraulic shovel in which a lifting handrail handle is installed on a center pillar of a cab body.
유압 쇼벨 등의 건설 기계 중, 선회 프레임 상에 운전실을 형성하는 캡이 설치된 캡 사양의 건설 기계에는, 캡 본체의 센터 필러에 경첩 기구를 통하여 승강용 도어가 회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또한 센터 필러에 승강용 난간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난간 손잡이는, 통상 센터 필러에 용접되거나 또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또한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센터 필러로부터 도어를 열 때에 형성되는 도어의 개구부 측(승강 공간 측)에 어느 정도 돌출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특허 문헌 1).Among construction machinery such as hydraulic shovels, a cap specification construction machine provided with a cap that forms a cab on a swing frame is mounted to the center pillar of the cap body so that the lifting door can be rotated through a hinge mechanism, and the center pillar Lifting handrail handle is installed in the The handrail handle is usually welded to the center pillar or fixed by bolts, and is protruded to some extent on the opening side (elevation space side) of the door formed when the door is opened from the center pillar so as to be easily held by the hand.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 일본국 실개평 5-57049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5-57049
6t 미만의 미니 쇼벨의 캡에 있어서는, 도어를 열었을 때에 차체로부터의 도어가 돌출하는 것을 가능한 억제하기 위하여, 캡의 중앙 부근에 센터 필러를 설치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도어가 회동하는 사양으로 되어 있고, 그 결과, 도어를 열 때에 형성되는 승강 공간을 충분히 넓게 확보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승강용 난간 손잡이는, 센터 필러로부터 승강 공간 측에 돌출되어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승강 공간이 난간 손잡이에 의해 좁아지고, 오퍼레이터가 캡 내를 탑승할 때 오퍼레이터의 어깨가 난간 손잡이에 부딪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승차할 때 매우 불편한 면이 있다.In the cap of the mini shovel of less than 6t, the center pillar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cap in order to suppress the door from the vehicle body to protrude when the door is opened. As a result, it becomes difficult to ensure the lifting space formed when the door is opened sufficiently wide. On the other hand, the handrail for lifting is protruded from the center pillar to the lifting space side, and is attached. Therefore, since the lifting space is narrowed by the handrail handle and the operator's shoulder may hit the handrail handle when the operator rides in the cab, there is a very uncomfortable side when boarding.
난간 손잡이로 인하여 승강 공간이 좁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난간 손잡이를 캡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럴 경우, 난간 손잡이가 캡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만큼, 상부 선회체의 폭(차폭)이 커지므로, 좁은 곳에서의 작업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In order not to narrow the lifting space due to the handrail handle, it may be considered to install the handrail handle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However, since the width | variety (difference width) of an upper turning body becomes large so that a handrail handle protrudes from a cap outer surface, since workability in a narrow place falls, it is unpreferable.
본 발명의 목적은, 오퍼레이터가 난간 손잡이를 잡고 캡 내에 승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캡 내에 승차할 때 승강 공간으로부터 스무드하게 승차할 수 있고, 또한 좁은 곳에서의 작업성이 뛰어난 난간 손잡이를 구비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rail handle that allows an operator to ride in a cab while holding a handrail handle, and to smoothly ride from a lift space when riding in the cab, and has excellent workability in a narrow place. To provide construction machinery.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캡 본체와 승강용 도어를 구비 한 캡을 구비하고, 상기 캡 본체의 센터 필러에 경첩 기구를 통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를 장착한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센터 필러에 승강용 난간 손잡이를 설치하고, 상기 난간 손잡이를, 상기 캡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장착하고, 또한 상기 난간 손잡이를 상기 도어의 외면보다 내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1)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ruction machine comprising a cap having a cap body and a lifting door, and equipped with the door so that the center pillar of the cap body can be rotated through a hinge mechanism. An elevating handrail handle is installed on the center pillar, and the handrail handle is mounted to be gripped whil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body, and the handrail handle is inwar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So that it can be stored at least partially.
이와 같이 난간 손잡이를 캡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장착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상기 난간 손잡이를 잡고, 종래대로, 캡 내에 승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오퍼레이터는 난간 손잡이에 어깨를 부딪치지 않고, 승강 공간으로부터 캡 내에 스무드하게 승차할 수 있다.By mounting the handrail handle in such a way that the handrail can be gripped outward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body, the operator can hold the handrail handle and can ride in the cap as conventionally. The vehicle can smoothly ride from the lifting space into the cab without crashing.
또한, 난간 손잡이를 도어의 외면보다 내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 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곳에서의 우수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Further, by allowing the handrail handle to be at least partially housed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n increase in the vehicle width can be suppressed, thereby ensuring excellent workability in a narrow place.
(2)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부 주행체와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고, 상부 선회체는 기초 하부 구조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또한 운전석을 구비하는 캡과, 상기 선회 프레임 상의 후부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counterweight)와, 상기 선회 프레임 상의 캡과 카운터 웨이트 이외의 부분을 덮고, 또한 후방 부분 내부에 기계실을 형성하는 외장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선회 프레임 상방에서, 상기 선회 프레임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상기 외장 커버의 후방 부분에 이르는 부분을 차지하도록 위치하고, 또한 상기 캡 내의 운전석이 상기 기계실의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캡 은 캡 본체와 승강용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캡 본체의 센터 필러에 경첩 기구를 통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를 장착한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센터 필러에 승강용 난간 손잡이를 설치하고, 상기 캡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난간 손잡이를 장착하고, 또한 상기 난간 손잡이를 상기 도어의 외면보다 내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2) Moreover, in order to achieve the said objective, this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lower traveling body and the upper turning body, The upper turning body is provided on the turning frame which forms a base lower structure, and is provided on the said turning frame, and a driver's seat A cap provided with a cap, a counterweight provided at a rear portion on the pivot frame, and an exterior cover covering a portion other than the cap and the counterweight on the pivot frame, and forming a machine room inside the rear portion. The cap is positioned above the pivot frame so as to occupy a portion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pivot frame to the rear portion of the exterior cover, and the driver's seat in the cap is positioned above the machine room, and the cap is a cap And a main body and a lifting door so that the center pillar of the cap main body can be rotated through a hinge mechanism. In a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a door, a handrail handle for lifting and lowering is installed on the center pillar, and the handrail handle is mounted so that the handrail can be gripped whil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body. It can be accommodated at least partially in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이에 따라, 건설 기계가 6t 미만인 미니 쇼벨에 있어서, 상기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가 난간 손잡이를 잡고 캡 내에 승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캡 내에 승차할 때 승강 공간으로부터 스무드하게 승차할 수 있고, 또한 좁은 곳에서의 우수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mini shovel having a construction machine of less than 6t, as described in the above (1), the operator can ride the cab while holding the handrail handle, and can smoothly ride from the lifting space when riding in the cab. In addition, excellent workability in a narrow place can be secured.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난간 손잡이는, 상기 도어의 외면으로부터 내측의 상기 캡 본체의 외면을 따른 수납 위치와, 상기 캡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파지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는 격납식 난간 손잡이이다.(3) In the above (1) or (2), preferably, the handrail handle is a holding positio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body insi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nd a grip that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body. It is a retractable balustrade handle that can rotate between positions.
(4) 또한,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난간 손잡이는, 상기 센터 필러에 설치된 도어 장착용 오목부 내에 장착된 고정식 난간 손잡이일 수도 있다.(4) In addition, in the above (1) or (2), the handrail handle may be a fixed handrail handle mounted in a door mounting recess provided in the center pillar.
본 발명에 의하면, 오퍼레이터가 난간 손잡이를 잡고 캡 내에 승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캡 내에 승차할 때 승강 공간으로부터 스무드하게 승차할 수 있고, 또한 좁은 곳에서의 우수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hold the handrail handle and ride in the cab, and when riding in the cab, the operator can smoothly ride from the lifting space and ensure excellent workability in a narrow plac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인 유압 쇼벨의 측면도이다. 도 1은 캡에 설치된 승강용 도어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상기 도어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압 쇼벨은, 예를 들면 6t 미만의 스윙식 미니 쇼벨이다.1 and 2 are side views of a hydraulic shovel which is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shows a state where the lifting door provided in the cap is closed, and Fig. 2 shows a state where the door is removed. In this embodiment, the hydraulic shovel is a swing-type mini shovel of less than 6t, for example.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관련된 유압 쇼벨은, 하부 주행체(1)와, 상기 하부 주행체(1) 상에 선회할 수 있도록 탑재된 상부 선회체(2)와, 상기 상부 선회체(2)에 스윙 포스트(3)를 통하여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연결된 전방 작업기(4)를 구비하고 있다.1 and 2, the hydraulic shov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ower traveling body 1, an upper swinging
상부 선회체(2)는 기초 하부 구조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5)과,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된 캡(6)과, 선회 프레임(5) 상의 후부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7)와, 선회 프레임(5) 상의 캡(6)과 카운터 웨이트(7) 이외의 부분을 덮는 외장 커버(8)를 구비하고 있다. 선회 프레임(5)은 바닥판과 복수개의 세로판으로부터 입체적으로 구성되며, 외장 커버(8)는 측부 외장 커버(8a)와 후부 외장 커버(8b)를 구비하고, 선회 프레임(5)의 세로판 부분은 측부 외장 커버(8a)의 하측 부분으로 덮여 있다. 또한, 측부 외장 커버(8a)의 후방 부분과 후부 외장 커버(8b)의 내부이며, 선회 프레임(5) 상의 후방 부분 상측에는 기계실(9)이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9)에 엔진이나,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주 유압 펌프, 파일럿 펌프 등의 기기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외장 커버(8) 내의 그 외의 부분에는 엔진 연료 탱크, 유압 펌프의 작동 오일 탱크 등이 수납되어 있다.The upper swinging
전방 작업기(4)는, 붐(11)과, 회동될 수 있도록 붐(11)에 결합된 암(12)과, 암(12)에 회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 버킷(13, bucket)을 구비하고, 각각 붐용 유압 실린더(14), 암용 유압 실린더(15) 및 패킷용 유압 실린더(16)에 의해 구동된다.The
캡(6)의 내부에는 운전실이 형성되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6) 내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21)이나, 전방·선회 조작용의 좌우 한 쌍의 수동 조작 레버(22L, 22R)(단 22L만 도시), 주행용의 좌우 한 쌍의 수동 조작 레버(23L, 23R)(단 23L만 도시) 및 페달(24L, 24R)(단 24L만 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선회 조작용의 좌우 한 쌍의 수동 조작 레버(22L, 22R)는 운전석(21)의 우측과 좌측 양측에 설치되고, 주행용의 좌우 한 쌍의 수동 조작 레버(23L, 23R) 및 페달(24L, 23R)은 운전석(23) 전방의 바닥 위에 설치되어 있다.A cab is formed inside the
또한, 도시한 유압 쇼벨은 6t 미만의 스윙식 미니 쇼벨이므로, 캡(6)의 설치 면적은 선회 프레임(5) 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즉, 캡(6)은, 선회 프레임(5)의 상방에서, 선회 프레임(5)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외장 커버(8)의 후방 부분(측부 외장 커버(8a)의 후방 부분과 후부 외장 커버(8b))에 이르는 부분을 차지하도록 위치하고, 또한 캡(6) 내의 운전석(21)이 기계실(9)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own hydraulic shovel is a swing-type mini shovel of less than 6t,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또한, 캡(6)은, 캡 본체(31)와 승강용 도어(32)를 구비하고, 캡 본체(31)는 상면부, 전면부, 후면부, 및 좌우의 측면부를 가지는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 내에서, 캡 본체(31)의 좌측면부(이하, 적절하게 캡 좌측면부라 한다)에 부호 36을 부여하고, 도어(32)는 캡 좌측면부(36)의 센터 필러(39)에 경첩 기구(41a, 41b)를 통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캡 본체(31)의 상면부, 전면부, 후면부, 좌우의 측면부와 도어(32)에는 유리 창이 설치되고, 캡 내에 승차한 오퍼레이터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 내에서, 캡 좌측면부(36)에 설치된 유리창에 부호 38a를 부여하고, 도어(32)에 설치된 유리창에 부호 38b, 38c, 38d를 부여하고 있다. 캡 좌측면부(36)의 앞쪽 필러 부분(42)에는 승강용의 핸드 레일(73)이 장착되고, 캡 좌측면부(36)의 센터 필러(39)에는 본 실시예의 특징 부분을 구성하는 승강용 난간 손잡이(43)가 장착되어 있다.Moreover, th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난간 손잡이(43)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캡 좌측면부(36)의 확대도이며, 도 4의 (a) 내지 도 4의 (c)는, 각각 도 3의 A-A선, B-B선, 및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난간 손잡이(43)의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4의 (a) 내지 도 4의 (c)에 있어서, 도어(32)를 연 상태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The
도 3에 있어서, 승강용 도어(32)는 전후 2개의 도어부(32a, 32b)로 이루어지며 접이식으로 되어 있고, 도어부(32b)의 후방측 프레임 부분(44)이 경첩 기구(41a, 41b)를 통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센터 필러(39)에 장착되어 있다. 후방 도어부(32b)의 후방측 프레임 부분(44)은, 난간 손잡이(43)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직선형이며, 난간 손잡이(43)가 위치하는 부분은 약간 내측(도면 좌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그 외측(도면 우측)에 난간 손잡이 장착용 오목부(44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센터 필러(39)는 캡 본체(31)의 좌측면부(36)에서의 폭 방향(도면에서 좌우 방향)의 중앙 부근에 장착되고, 난간 손잡이(43)는 센터 필러(39)의 소정 높이의 위치, 도시한 예에서는, 센터 필러(39)의 높이 방향 중앙 위치로부터 약간 상측에 장착되어 있다.In Fig. 3, the lifting
도 4의 (a) 내지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도어부(32b)의 후방측 프레임 부분(44)은 외측과 내측의 2개의 강판 부재(45, 46)로 이루어지고, 외측의 강판 부재(45)는 평탄한 형상을 가지고, 내측의 강판 부재(4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볼록부(46a)를 구비하고, 양 측을 조합함으로써 중공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외측의 강판 부재(45)에는 유리창(38d)이 장착되어 있다. 센터 필러(39)도 외측과 내측의 2개의 강판 부재(47, 48)로 이루어지고, 외측의 강판 부재(47)는, 후방측 프레임 부분(44)의 오목부(44a)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볼록부(47a)를 가지고, 내측의 강판 부재(48)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볼록부(48a)를 가지고, 양 측을 조합함으로써, 후방측 프레임 부분(4)의 오목부(44a)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중공의 지지기둥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외측의 강판 부재(48)의 오목부(44a)에 위치하는 부분은 평탄한 형상을 가지며, 이 부분에 난간 손잡이(43)를 장착하기 위한 난간 손잡이 장착면(49)을 형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4A to 4C, the
도 4의 (c)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난간 손잡이(43)는, 도어(32)를 열었을 때, 캡 본체(31)의 외면을 구성하는 센터 필러(39)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파지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난간 손잡이(43)는, 캡 본체(31)의 외면(센터 필러(39)의 외면)을 따른 수납 위치(도 4의 (c)의 실선)와, 캡 본체(31)의 외면(센터 필러(39)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파 지 위치(도 4의 (c)의 2점쇄선)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는 격납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난간 손잡이(43)는 수납 위치에 수납됨으로써, 도어(32)의 외면보다 내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난간 손잡이(43)는, 도어(32)를 닫은 상태에서도, 도 4의 (c)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파지 위치에 회동시킴으로써, 외측으로부터 파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4 (c), when the
난간 손잡이(43)의 상세한 구조는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간 손잡이(43)는 난간 손잡이 조립체(51)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난간 손잡이 조립체(51)는, 센터 필러(39)의 외측의 강판 부재(47)에 형성된 난간 손잡이 장착면(49) 상에 볼트로 고정된 강판제의 기판(52)과, 상기 기판(52) 상에 용접으로 또는 나사로 고정된 한 쌍의 브래킷(53a, 53b)과, 상기 한 쌍의 브래킷(53a, 53b)을 관통하여 지지된 파이프제의 샤프트(54)를 구비하고, 난간 손잡이(43)는 상기 샤프트(54)에 회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handrail handle 4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s shown in FIG. 5, handrail handle 43 is configured as part of
난간 손잡이(43)는, 파이프제의 손잡이 부분(55)과, 상기 손잡이 부분(55)의 양단에 장착된 강판제의 단판 부재(56, 57)와, 단판 부재(56, 57)의 손잡이 부분(55)의 반대측의 단부에 장착된 회전 장착 부재(58, 59)를 구비하고 있다. 단판 부재(56) 측의 회전 장착 부재(58)는 단판 부재(56)와 직각을 이루고 용접 등으로 일체화된 파이프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 부재는 샤프트(54)의 브래킷(53a)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부분에 회전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단판 부재(57) 측의 회전 장착 부재(59)는, 샤프트(54)의 브래킷(53b)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부분에 회전될 수 있도록 삽입된 파이프 부재(61)와, 상기 파이프 부재(61)의 샤프트 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직각을 이루어 용접 등으로 일체화된 강판제의 연결판(62)을 구비하고, 연결판(62)은 단판 부재(57)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를 풀면 연결판(62)과 단판 부재(57)는 분리될 수 있다. 샤프트(54)의 브래킷(53a)으로부터의 돌출 부분에는 코일 스프링(63)이 권취되고, 코일 스프링(63)의 일단은 브래킷(53a)에 돌출된 판 부재(64)에 장착되고, 코일 스프링(63)의 타단은 회전 장착 부재(58)의 파이프 부재에 돌출된 판 부재(65)에 장착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63)은 난간 손잡이(43)를 도시한 센터 필러 외면을 따른 수납 위치 측으로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이다. 기판(52)과 회전 장착 부재(58)의 파이프 부재 사이 및 상기 기판(52)과 회전 장착 부재(59)의 파이프 부재(61) 사이 중, 적어도 한쪽에, 난간 손잡이(43)가 센터 필러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파지 위치에 있어서, 도시한 수납 위치로부터 90° 이상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설치해도 된다.The handrail handle 43 includes a
오퍼레이터의 손으로 난간 손잡이(43)의 손잡이 부분(55)을 앞 방향(센터 필러 외면의 외측 방향)으로 당기면, 난간 손잡이(43)는 손잡이 부분(55)과 반대 부위인 샤프트(54)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상기 난간 손잡이(43)는, 통상적으로는, 코일 스프링(63)의 힘에 의해 센터 필러(39) 측으로 넘어진 위치(도시한 수납 위치)에 있고, 센터 필러(39)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 오퍼레이터가 캡(6)의 도어(32)를 열어 캡(6)에 탑승할 때, 난간 손잡이(43)의 손잡이 부분(55)을 잡고 센터 필러(39)의 외측 방향으로, 예를 들면 90°만큼 난간 손잡이(43)를 회동시킨다. 이 때, 난간 손잡이(43)는, 도어(32)를 열었을 때 형성되는 도어 개구부 측(승강 공간 측)이 아닌, 센터 필러(39)의 외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므로, 승강 공간이 난간 손잡이(43)에 의해 좁아지지는 않게 된다. 오퍼레이터는, 본 발명의 난간 손잡이(43)와 캡 좌측 전방 필러 부분(42)에 설치된 핸드 레일(73)을 잡고, 스무드하게 캡(6) 내에 탈 수 있다. 오퍼레이터가 난간 손잡이(43)로부터 손을 떼면, 난간 손잡이(43)는 원래의 수납 위치에 복귀하고, 캡 면으로부터는 돌출하지 않게 된다.When the
또한, 난간 손잡이(43)는, 도어(32)를 닫은 상태에서도, 도 4의 (c)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파지 위치에 회동시킴으로써, 외측으로부터 파지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하부 주행체(1)의 캐터필러(caterpillar) 상에 타고 이동하는 경우에, 그 난간 손잡이(43)를 파지하여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고, 도어(32)를 닫은 상태에서도 난간 손잡이(43)를 이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승강용 난간 손잡이(43)를, 도어(32)의 외면보다 내측이면서 캡 본체(31)의 외면을 따른 수납 위치와, 캡 본체(3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파지 위치 사이에 회동시킬 수 있는 격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오퍼레이터가 난간 손잡이(43)를 잡고 캡(6) 내에 승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난간 손잡이(43)가 승강 공간을 좁게 하지 않고, 오퍼레이터는 난간 손잡이(43)에 어깨를 부딪치지 않고, 승강 공간으로부터 스무드하게 캡(6) 내에 승차할 수 있고, 또한 좁은 곳에서의 우수한 작업성이 확보된다. 또한, 도어(32)를 닫은 상태에서도 난간 손잡이(43)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난간 손잡이(43)의 편리성도 증대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6 및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서는 난간 손잡이를 회동시킬 수 있는 격납식으로 형성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난간 손잡이를 고정식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면 중, 도 3 및 도 4와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In the first embodiment, the handrail handle is formed to be rotatable,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rail handle is fixedly formed. In the figur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member equivalent to FIG. 3 and FIG.
도 6에 있어서, 승강용 도어(132)는 캡 좌측면부(136)의 센터 필러(139)에 경첩 기구(41a, 41b)를 통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캡 좌측면부(136)의 센터 필러(139)에 본 실시예의 특징 부분을 구성하는 고정식의 난간 손잡이(143)이 장착되어 있다. 승강용 도어(132)는 전방 도어부(132a)와 후방 도어 부(132b)를 구비하고, 후방 도어부(132b)의 후방측 프레임 부분(144)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난간 손잡이(143)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직선형이며, 난간 손잡이(143)가 위치하는 부분은 약간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그 외측에 난간 손잡이 장착용 오목부(144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센터 필러(139)에도, 후방측 프레임 부분(144)의 오목부(144a)에 대응하는 위치에, 캡 실내 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난간 손잡이 장착용 오목부(149)가 형성되어 있다.In FIG. 6, the lifting
즉, 도 7의 (a) 내지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도어부(132b)의 후방측 프레임 부분(144)은 외측과 내측의 2개의 강판 부재(145, 146)로 이루어지고, 외측의 강판 부재(145)는 평탄한 형상이며, 내측의 강판 부재(14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볼록부(146a)를 가지고, 양 측을 조합함으로써 중공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외측의 강판 부재(145)에는 유리창(38d)이 장착되어 있다. 센터 필러(139)도 외측과 내측의 2개의 강판 부재(147, 148)로 이 루어지고, 외측의 강판 부재(147)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볼록부(147a)를 가지고, 내측의 강판 부재(148)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볼록부(148a)를 가지고, 양 측을 조합함으로써 중공의 지지기둥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That is, as shown in Figs. 7A to 7C,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센터 필러(139)의 강판 부재(147, 148)는, 후방측 프레임 부분(144)의 오목부(144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볼록부(147a, 148a)를 포함하는 단면 형상을 상이한 형상으로 하고, 그 부분에 오목부(149)를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xample, the
즉, 센터 필러(139)의 강판 부재(147, 148)는 볼록부(147a, 148a)의 양 측에, 서로 면 접촉하여 용접 등에 의해 일체화되는 웹(web, 얇은 금속판) 부분(147b1, 147b2, 148b1, 148b2)을 구비하고, 이들 웹 부분은, 도 7의 (a) 및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측 프레임 부분(144)의 오목부(144a)에 대응하는 위치 이외의 부분에서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에 비해, 오목부(144a)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 좌측(도어 측 또는 후방측 프레임 부분 측)의 웹 부분(147b1, 148b1)이 캡(6)의 실내 측에 들어갈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고, 또한 그 부분의 강판 부재(147)의 볼록부(147a)의 도어 측 부분의 폭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웹 부분(147b1, 148b1)의 폭을 넓게 하고, 그 부분에 난간 손잡이 장착용 오목부(149)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후방 도어부(132b)의 후방측 프레임 부분(144)에서는, 웹 부분(147b1, 148b1)의 오목부(149)의 변위에 대응하여, 내측의 강판 부재(146)의 볼록부(146a)의 높이를 오목 부(144a)의 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 높게 하고, 센터 필러(139)와 후방 도어부(132b)의 후방측 프레임 부분(144)사이를 미소 간극으로 유지하고 있다.In other words, the
난간 손잡이(143)는, 파이프재를 "ㄷ"자 형으로 굽힌 것이며, 손잡이 부분(143a)과, 그 양단의 각부(脚部)(143b, 143c)(한쪽만 도시)를 구비하고, 각부(143b, 143c)의 선단을 센터 필러(139)의 오목부(149)의 저면에 용접으로 또는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장착되어 있다.The handrail handle 143 bends a pipe material in a "c" shape, and is provided with the
이와 같이 난간 손잡이(143)를, 센터 필러(139)에 설치된 도어 장착용 오목부(149) 내에 장착함으로써, 난간 손잡이(143)는 고정식이라 하더라도, 캡 본체(31)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파지할 수 있고, 또한 도어(132)의 외면(유리 창(38d)의 외면)보다 내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난간 손잡이(143) 모두) 수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오퍼레이터는 도어(132)를 열어 난간 손잡이(143)를 잡고 캡(6) 내에 승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난간 손잡이(143)가 승강 공간을 좁게 하지 않고, 오퍼레이터는 난간 손잡이(143)에 어깨를 부딪치지 않으므로, 승강 공간으로부터 스무드하게 캡(6) 내에 승차할 수 있고, 또한 좁은 곳에서의 우수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어(132)를 닫은 상태에서도 난간 손잡이(143)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난간 손잡이(143)의 편리성이 증대한다.Thus, by mounting the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어의 전후에 2개의 도어부로 이루어지는 접이식으로 형성하였으나, 하나의 도어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cidentally,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oor is formed to be foldable including two door parts before and after the door, but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with one door.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난간 손잡이(143)를 파지한 상태에서, 난간 손잡 이(143)는 캡 본체(31)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만 돌출시키고, 승강 공간 측으로는 전혀 돌출시키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난간 손잡이(143)를 파지한 상태에서, 난간 손잡이(143)는, 승강 공간 측으로 다소 돌출되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에도, 그 돌출량이 종래 난간 손잡이의 돌출량보다 적다면, 종래에 비해 승차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while th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 쇼벨의 측면도로서, 승강용 도어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side view of a hydraulic shov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fting door is clos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 쇼벨의 측면도로서, 승강용 도어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side view of the hydraulic shov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door is removed.
도 3은 캡 좌측면부의 확대도이다.3 is an enlarged view of a cap left side portion.
도 4는 도 3의 A-A선, B-B선 및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의 (a)는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의 (b)는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의 (c)는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BB and CC of Figure 3, Figure 4 (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Figure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4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도 5는 난간 손잡이의 확대 사시도이다.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rail handle.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의 캡 좌측면부의 확대도이다.6 is an enlarged view of a cap left side por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A-A선, B-B선 및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7의 (a)는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의 (b)는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의 (c)는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BB, and CC of FIG. 6,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and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C) is sectional drawing cut along the CC line.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하부 주행체 2: 상부 선회체1: lower traveling body 2: upper swinging body
3: 스윙 포스트 4: 전방 작업기3: swing post 4: front work machine
5: 선회 프레임 6: 캡5: slewing frame 6: cap
7: 외장 커버 31: 캡 본체7: exterior cover 31: cap body
32: 승강용 도어 32a: 앞쪽 도어부32: lifting
32b: 뒤쪽 도어부 36: 캡 좌측면부32b: rear door part 36: left side of the cap
38a, 38b, 38c, 38d: 유리창 39: 센터 필러38a, 38b, 38c, 38d: Window 39: Center Filler
41a, 41b: 경첩 기구 42: 앞쪽 필러 부분41a, 41b: Hinge mechanism 42: front filler part
43: 승강용 난간 손잡이 44: 후방측 프레임 부분43: handrail handle for lifting 44: rear frame portion
44a: 난간 손잡이 장착용 오목부 45: 외측 강판 부재44a: Concave portion for handrail handle mounting 45: Outer steel sheet member
46: 내측 강판 부재 46a: 볼록부46: inner
47: 외측 강판 부재 47a: 볼록부47: outer steel sheet member 47a: convex portion
48: 내측 강판 부재 48a: 볼록부48: inner steel sheet member 48a: convex portion
49: 난간 손잡이 장착면 51: 난간 손잡이 조립체49: handrail handle mounting surface 51: handrail handle assembly
52: 기판 53a, 53b: 한 쌍의 브래킷52:
54: 파이프제의 샤프트 55: 파이프제의 손잡이 부분54: shaft made of pipe 55: handle portion made of pipe
56, 57: 강판제의 단판 부재 58, 59: 회전 장착 부재56, 57: plate | board member made of
61: 파이프 부재 62: 강판제의 연결판61: pipe member 62: steel plate connecting plate
63: 코일 스프링 64, 65: 판 부재63:
73: 핸드 레일 132: 승강용 도어73: hand rail 132: lifting door
132a: 앞쪽 도어부 132b: 뒤쪽 도어부132a:
136: 캡 좌측면부 139: 센터 필러136: left side cap 139: center pillar
143: 승강용 난간 손잡이 143a: 손잡이 부분143: lifting
143b, 143c: 각부 144: 후방측 프레임 부분143b and 143c: Leg portion 144: Rear frame portion
144a: 난간 손잡이 장착용 오목부 145: 외측 강판 부재144a: recess for mounting handrail handle 145: outer steel sheet member
146: 내측 강판 부재 ` 146a: 볼록부146: inner steel sheet member `146a: convex portion
147: 외측 강판 부재 147a: 볼록부147: outer
148: 내측 강판 부재 148a: 볼록부148: inner steel sheet member 148a: convex portion
149: 난간 손잡이 장착용 오목부149: handrail mounting recess
Claims (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6287900A JP4819647B2 (en) | 2006-10-23 | 2006-10-23 | Construction machinery |
JPJP-P-2006-00287900 | 2006-10-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6513A true KR20080036513A (en) | 2008-04-28 |
KR101092290B1 KR101092290B1 (en) | 2011-12-13 |
Family
ID=3938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6044A KR101092290B1 (en) | 2006-10-23 | 2007-08-27 | Construction machin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4819647B2 (en) |
KR (1) | KR101092290B1 (en) |
CN (1) | CN101168967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187038B (en) * | 2008-10-30 | 2013-06-19 | 株式会社小松制作所 |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
EP2224063A1 (en) * | 2009-02-28 | 2010-09-01 |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 Cab of small wing radius excavator |
JP6458573B2 (en) * | 2015-03-16 | 2019-01-30 |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 Construction machinery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16758A (en) * | 1995-02-14 | 1996-08-27 | Showa Aircraft Ind Co Ltd | Vehicular outer grip fitting structure |
JPH09310377A (en) * | 1996-05-23 | 1997-12-02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Driver's cab of working machine |
JP2000234353A (en) * | 1999-02-15 | 2000-08-29 | Yutani Heavy Ind Ltd | Construction machine |
EP1081294B1 (en) * | 1999-09-01 | 2011-12-14 | Kubota Corporation | Backhoe |
JP4625371B2 (en) * | 2004-06-07 | 2011-02-02 | 日立建機株式会社 | Construction machinery |
KR101059289B1 (en) * | 2004-06-07 | 2011-08-24 |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 Construction machinery |
-
2006
- 2006-10-23 JP JP2006287900A patent/JP481964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8-27 KR KR1020070086044A patent/KR10109229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9-21 CN CN2007101535761A patent/CN101168967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8105470A (en) | 2008-05-08 |
CN101168967B (en) | 2012-08-22 |
KR101092290B1 (en) | 2011-12-13 |
CN101168967A (en) | 2008-04-30 |
JP4819647B2 (en) | 2011-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7006B1 (en) | Working vehicle | |
KR100382823B1 (en) | Back hoe | |
US20100143087A1 (en) | Loader Work Machine | |
EP1085154B1 (en) | Sliding door with supporting mechanism | |
KR101092290B1 (en) | Construction machine | |
JP5332557B2 (en) | Doorway opening / closing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ry | |
JP5751429B2 (en) | Cab guard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ry | |
JP5184821B2 (en) | Hinge structure of work vehicle | |
JP5973950B2 (en) | Superstructure of work equipment | |
JP3747900B2 (en) | Cabin link door support structure | |
JP4555188B2 (en) | Construction machinery | |
JP5094649B2 (en) | Loader working machine | |
JP2010059681A5 (en) | ||
JP4076133B2 (en) | Door support structure in construction machinery | |
JPWO2015098611A1 (en) | Vehicle with tailgate | |
KR101771277B1 (en) | Construction machine | |
JP3900655B2 (en) | Forklift hood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JP4088693B2 (en) | Ultra-small turning machine | |
JP7135805B2 (en) | vehicle undercarriage | |
JP2010059683A5 (en) | ||
JP4890861B2 (en) | Lid opening / closing device | |
JP2020197098A (en) | Work machine | |
JP2010059684A5 (en) | ||
JP2007022407A (en) | Cabin structure for construction machine | |
KR102716071B1 (en) | Head-feeding comb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