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5790A -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 - Google Patents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5790A
KR20080035790A KR1020060102289A KR20060102289A KR20080035790A KR 20080035790 A KR20080035790 A KR 20080035790A KR 1020060102289 A KR1020060102289 A KR 1020060102289A KR 20060102289 A KR20060102289 A KR 20060102289A KR 20080035790 A KR20080035790 A KR 20080035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railway
support rod
sign
s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5353B1 (ko
Inventor
김용겸
Original Assignee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10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353B1/ko
Publication of KR20080035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12Visible signals
    • B61L5/18Light signals; Mechanisms associated therewith, e.g. b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9/00Illu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points, form signals, or gates
    • B61L9/04Illu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points, form signals, or gates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5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integrated within the support for the lighting unit, e.g. within or on a po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7/00Features of light signals
    • B61L2207/02Features of light signals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에 관한 것으로서,
철도 서행구간을 철도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철도 서행구간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설치되는 철도용 임시신호기에 있어서, 반사재가 부착된 반사부와, 상기 반사재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며 다수개의 LED가 구비된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표지판과; 상기 다수개의 LED가 ON/OFF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부에는 상기 표지판이 결합되고, 하단에는 첨단부(尖端部)가 형성된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LED를 사용하여 임시신호기를 구성하여 안개가 많거나 야간의 경우에도 철도운전자가 임시신호기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간편하게 바닥면에 설치할 수 있으며,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철도공사, 임시신호기, LED, 서행

Description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Temporary signal apparatus for railway using Light-Emitting Diode}
도 1a는 종래의 철도용 서행신호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철도용 서행예고신호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c는 종래의 철도용 서행해제신호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LED를 이용한 철도용 서행예고신호기의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LED를 이용한 철도용 서행예고신호기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LED를 이용한 철도용 서행예고신호기의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LED를 이용한 철도용 서행예고신호기의 측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LED를 이용한 철도용 서행예고신호기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LED를 이용한 철도용 서행신호기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LED를 이용한 철도용 서행해제신호기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LED를 이용한 철도용 서행예고신호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표지판 110:반사부
112:반사재 120:발광부
122, 502:LED 200:제어부
202:숫자변경수단 204:조도센서
300:지지봉 302:첨단부
310:하측지지봉 320:중간지지봉
330:상측지지봉 400:전원부
410:태양전지판 420:충전지
500:LED숫자판 600:보조지지대
612, 614:고정고리 620:링크
630:다리
본 발명은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개가 많거나 야간의 경우에도 철도운전자가 임시신호기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간편하게 바닥면에 설치할 수 있는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시신호기란 선로의 상태가 일시적으로 열차의 정상운전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 철도나 철도주변에 철도시설물을 설치하는 설치구간이나 철도의 선로를 보수하는 공사구간 등의 서행구간에 설치하여 신호를 현시(現示)하는 것으로, 그 종류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행신호기(1), 서행예고신호기(2), 서행해제신호기(3)가 있다.
서행신호기(1)는 철도 서행구간을 통과하려는 열차에 대한 것으로서, 철도 서행구간을 서행할 것을 지시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행신호기의 형상은 지지봉(30)의 상부에 백색테두리(12)를 한 등황색 원판의 표지판(10a)이 결합되고, 그 하측에는 서행속도표지판(20)이 결합되며, 지지봉(30)의 하측에는 지지체(40)가 결합하게 된다.
서행신호기(1)의 설치위치는 대략 철도 서행구간의 전방 50M 설치된다.
서행예고신호기(2)는 서행신호기(1)에 향하여 진행하려는 열차에 대한 것으로서, 전방에 서행신호기(1)가 있음을 예고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행예고신호기(2)의 형상은 지지봉(30)의 상부 에 흑색삼각형(14) 3개를 그린 백색삼각형판의 표지판(10b)이 결합되고, 그 하측에는 서행속도표지판(20)이 결합되며, 지지봉(30)의 하측에는 지지체(40)가 결합하게 된다.
서행예고신호기(2)는 서행신호기(1)로부터 전방 400M 이상의 위치에 설치하여야한다. 다만, 선로 최고속도 130km/h 이상 선구에서는 70M, 지하구에서는 200M 이상의 위치에 설치하여야한다. 이 경우 터널내에 설치함으로 인하여 서행예고신호기의 인식이 곤란한 경우에는 그 거리를 연장하여 터널입구에 설치할 수 있다.
서행해제신호기(3)는 철도 서행구간을 벗어나려는 열차에 대한 것으로서 서행을 해제할 것을 지시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행해제신호기(3)의 형상은 지지봉(30)의 상부에 백색테두리(16)를 한 녹샌원판의 표지판(10c)이 결합되고, 지지봉(30)의 하측에는 지지체(40)가 결합하게 된다.
서행해제신호기(3)의 설치위치는 대략 철도 서행구간의 후방 50M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임시신호기(서행신호기(1), 서행예고신호기(2), 서행해제신호기(3))는 각 표지판(10a, 10b, 10c)에 반사재를 부착하여 철도운전자가 임시신호기의 설치를 파악하고 대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임시신호기와 같이 표지판(10a, 10b, 10c)에 반사재만을 부착시킨 구조는, 안개가 낀 경우 및 야간의 경우뿐만 아니라 임시신호기의 표지판(10a, 10b, 10c)이 비스듬하게 설치된 경우에도 반사재의 반사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데, 특히, 안개가 낀 경우에는 1m에서도 임시신호기를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철도운전자가 종래의 임시신호기의 설치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철도운전자가 철도 서행구간에서 서행하지 못하고 진행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처럼 철도 서행구간에서 철도운전자가 철도를 서행하지 않고 진행하게 되면, 철도의 빠른 주행으로 인한 강한 공기흐름에 의해 작업자가 철도측으로 빨려들어가는 안전사고가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임시신호기는 표지판(10a, 10b, 10c)을 지지하는 지지봉(30)이 무거운 지지체(40)에 고정되어 설치되는데, 이처럼 무거운 지지체(40)를 사용하므로 이동시키기 힘들고, 보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철도 서행구간의 조건에 따라서 서행속도가 달라져 서행속도표지판(20)을 매번 교체하여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LED를 사용하여 임시신호기를 구성하여 안개가 많거나 야간의 경우에도 철도운전자가 임시신호기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간편하게 바닥면에 설치할 수 있으며,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 서행구간을 철도운전자에 게 알리기 위해서, 철도 서행구간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설치되는 철도용 임시신호기에 있어서, 반사재가 부착된 반사부와, 상기 반사재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며 다수개의 LED가 구비된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표지판과; 상기 다수개의 LED가 ON/OFF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부에는 상기 표지판이 결합되고, 하단에는 첨단부(尖端部)가 형성된 지지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태양광을 향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과 접속되어 상기 전기에너지가 충전되는 충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철도의 서행속도를 숫자로 지시하기 위해서, 상기 표지판의 하측에 위치되되 다수개의 LED가 구비된 LED숫자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숫자판에 지시된 숫자를 변경하기 위한 숫자변경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개의 LED가 자동으로 ON/OFF되게 하는 조도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봉의 소정부분의 상하측 각각 끼워맞춤되는 복수개의 고정고리와, 일단부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고리 중 상측에 끼워맞춤된 고정고리에 힌지결합되고 중간부가 하측에 끼워맞춤된 고정고리에 링크를 개재해서 힌지결합되며 타단부가 바닥면에 압입되는 다수개의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봉은, 하단에 상기 첨단부가 형성된 하측지지봉과, 상기 하측지지봉의 상단에 끼워맞춤되는 중간지지봉과, 상기 중간지지봉의 상단에 끼워맞춤되되 상기 표지판이 결합되는 상측지지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임시신호기는 크게 표지판, 제어부, 지지봉, 전원부, LED숫자판, 보조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지판은, 반사재가 부착된 반사부와 다수개의 LED가 구비된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철도운전자가 표지판을 식별하여 표지판에 지시된 내용을 파악하게 된다.
제어부는, 발광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LED 및 LED숫자판의 LED를 ON/OFF시키거나, LED숫자판에 표시되는 숫자를 변경하는 부분이다.
지지봉은, 상기 표지판이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하단에는 첨단부가 형성되어 바닥면에 압입하여 설치하게 된다.
전원부는, 태양전지판과 충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발광부의 LED 및 상기 LED숫자판의 LED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LED숫자판은, 철도 서행구간을 지나는 철도의 규정된 서행속도를 표시하여, 철도가 규정된 서행속도로 철도 서행구간을 지나도록 하는 부분이다.
보조지지대는, 철도 서행구간을 지나는 철도에 의한 바람의 영향으로 임시신호기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봉에 끼워맞춤되어 바닥면에 압입되어 상기 지지봉을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이다.
먼저,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의 제1실시예인 철도용 서행예고신호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의 철도용 서행예고신호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판(100a), LED숫자판(500), 지지봉(300), 보조지지대(600), 전원부(400),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표지판(100a)은, 전방에 철도 서행구간이 있음을 알리고, 서행신호기가 있음을 예고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세하게는, 반사재(112a, 112a')가 부착된 반사부(110a)와 다수개의 LED(122a)를 포함하여 구성된 발광부(12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표지판(100a)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반사부(110a)에 부착되는 반사재(112a, 112a')는 흑색삼각형의 반사재(112a) 및 백색반사재(112a')로 각각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도 2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색삼각형의 반사재(112a)가 표지판(100a)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측 중앙과 상측 양쪽에 각각 위치되고, 표지판(100a)의 나머지부분에 백색의 반사재(112a')가 부착된다. 따라서, 흑색삼각형 3개를 그린 백색삼각형의 형태가 된다.
한편, 반사재(112a, 112a')가 부착되는 표지판(100a)의 재질로는, 아크릴판 등과 같은 가벼운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신호기의 무게가 적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지판(100a)에 부착된 백색의 반사재(112a') 부분에는 다수개의 LED(122a)를 포함하여 구성된 발광부(120a)가 마련되는데, 이 발광부(120a)에 마련된 각각의 LED(122a)는 제어부(200)와 접속되어 ON/OFF제어된다. 이때, 백색의 반사재(112a') 부분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LED(122a)는 반사재(112a')의 색상과 동일하도록 백색LED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발광부(120a)의 ON/OFF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게 될 제어부(200)에 대한 설명시 함께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표지판(100a)에 의해서, 주간뿐만 아니라 안개가 끼거나 야간의 경우에도 철도운전자가 명확하게 표지판(100a)을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LED숫자판(500)은, 철도운전자에게 철도의 서행속도를 지시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술한 표지판(100a)의 하측에 위치되어 다수개의 LED(5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도 2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플레이트(510)에 다수개의 LED(502)가 구비된 구조로서, 철도의 서행속도를 숫자로 지시하게 되며, 이 LED숫자판(500)의 각 LED(502)는 제어부(200)와 접속되어 ON/OFF되거나, 지시숫자가 변동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LED숫자판(500)에 마련된 각각의 LED(502)는 황색LE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LED숫자판(500)의 다수개의 LED(502)가 ON/OFF제어되거나, 지시숫자 가 변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게 될 제어부(200)에 대한 설명시 함께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LED숫자판(500)에 의해서, 주간뿐만 아니라 안개가 끼거나 야간의 경우에도 철도운전자가 명확하게 서행속도를 파악할 수 있고, 서행속도의 변경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봉(300)은, 상기 표지판(100a)이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하단에는 첨단부(302)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압입하여 설치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도 2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상기 첨단부(302)가 형성된 하측지지봉(310)과, 상기 하측지지봉(310)의 상단에 끼워맞춤되는 중간지지봉(320)과, 상기 중간지지봉(320)의 상단에 끼워맞춤되되 상기 표지판(100a)이 결합되는 상측지지봉(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하측지지봉(310)은 하단에 첨단부(302)가 형성되고 상단 중앙부에 돌출부(314)가 형성되며, 중간지지봉(320)의 하단에는 하측지지봉(310)에 돌설된 돌출부(314)에 끼워맞춤되도록 홈부(322)가 형성되고 상단 중앙부에 돌출부(324)가 형성되며, 상측지지봉(330)의 하단에는 중간지지봉(320)에 돌설된 돌출부(324)가 끼워맞춤되도록 홈부(332)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따라서, 바닥면에 압입하기 쉽도록 하단에 첨단부(302)가 형성된 하측지지봉(310)의 돌출부(314)에 중간지지봉(320)의 하단에 형성된 홈부(322)가 끼워맞춤되어 고정수단(321)에 의해서 고정되고, 이 중간지지봉(320)의 상단 중 앙부에 형성된 돌출부(324)에 상측지지봉(330)의 하단에 형성된 홈부(332)가 끼워맞춤되어 고정수단(331)에 의해서 고정하게 되며, 상측지지봉의 상부에 상기 표지판(100a)이 결합되어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측지지봉(310), 중간지지봉(320), 상측지지봉(330)으로 분리되는 구성의 지지봉(300)은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할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다.
다음으로, 보조지지대(600)는, 상기 지지봉(300)을 보조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봉(300)의 소정부분의 상하측 각각 끼워맞춤되는 복수개의 고정고리(612, 614)와, 일단부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고리(612, 614) 중 상측에 끼워맞춤된 고정고리(612)에 힌지결합되고 중간부가 하측에 끼워맞춤된 고정고리(614)에 링크(620)를 개재해서 힌지결합되며 타단부가 바닥면에 압입되는 다수개의 다리(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2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지지봉(620)에 고정고리(612)가 끼워맞춤되어 고정되고, 하측지지봉(310)의 상단 중앙부에 돌설된 돌출부(314)에 고정고리(614)가 끼워맞춤되어 고정되며, 다리(630)의 일단부가 상측 고정고리(612)에 힌지결합되고, 다리(630)의 중간부가 하측 고정고리(614)에 링크(620)를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보조지지대(600)는 지지봉(300)에 결합시에는 다리(630)의 타단부가 바닥면에 압입되므로 지지봉(3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지지봉(300)과 분해시에는 다리(630)를 모아서 접을 수 있으므로 보관 및 이동 이 용이하다.
다음으로, 전원부(400)는, 상기 발광부(120a) 및 LED숫자판(500)의 각 LED(122a, 50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봉(300)의 상단에 태양광을 향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판(410)과, 상기 태양전지판(410)과 접속되어 상기 전기에너지가 충전되는 충전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태양전지판(410)은 다수의 태양전지로 구성되며, 태양전지는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반도체 소자로서, 이 반도체 소자에 태양광이 비춰지면 전기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태양전지판(410)으로부터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충전지(420)에 저장되며, 충전지(42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가 제어부(200)를 통해서 상기 발광부(120a) 및 LED숫자판(500)의 각 LED(120a, 502)에 전원을 공급된다.
발광부(120a)의 LED(122a) 및 LED숫자판(500)의 LED(502)의 총 갯수가 500개 미만일 경우에는 충전지(420)로서 12V-10A 충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12V-10A 충전지를 사용할 경우, 태양전지판(410)에 의해 충전지(420)가 완전하게 충전된 상태에서는 대략 15000시간이 사용가능하며, 주간 동안에는 태양전지판(410)으로부터 전기에너지가 발생되어 충전지(420)가 충전되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12V-10A 충전지를 사용하여 발광부(120a)의 LED(122a) 및 LED숫자판(500)의 LED(502)를 점멸식으로 점등할 경우에, 충전지의 사용기간은 대략 1 년 정도이며, 이와 같이, 점멸식으로 각 LED(122a, 502)를 점등하게 되면, 표지판(100a)의 서행예고와 LED숫자판(500)의 서행속도를 철도운전자에게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태양전지판(410)는 태양광이 효율적으로 비춰질 수 있도록 지지봉(300)의 가장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데, 도 2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300)의 상단에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태양광의 방향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충전지(420)는 태양전지판(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숫자판(500)의 사각형상의 플레이트(510)의 후면부에 설치공간을 마련하여 설치되도록 한다.
한편, 사각형상의 플레이트(510) 후면부에 마련된 설치공간에는 충전지(420) 이외에도, 후술하게 될 제어부(200)와 예비용 LED의 보관을 위한 예비용 LED보관함(도 4c의 504)도 함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전원부(400)는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하므로, 배터리와 같은 기타의 전기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아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200)는, 상기 발광부(120a)에 구비된 다수개의 LED(122a) 및 LED숫자판(500)에 구비된 다수개의 LED(502)를 ON/OFF시키거나, 상기 LED숫자판(500)에 지시된 지시숫자를 변경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세하게는, 전원부(400)와 발광부(120a) 및 LED숫자판(500)에 각각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어부(200)에는 작동스위치(도7의 206) 또는 조도센서(도 7의 204)가 구비되며, 작동스위치(도7의 206) 조작에 의한 수동방식으로 발광부(120a) 및 LED숫자판(500)에 구비된 다수개의 LED(122a, 502)가 ON/OFF하게 되거나, 조도센서(도 7의 204)의 광센싱에 의한 자동동작으로 및 발광부(120a) 및 LED숫자판(500)에 구비된 다수개의 LED(122a, 502)가 ON/OFF된다.
그리고, 제어부(200)에는 상기 LED숫자판(500)에 지시된 숫자를 변경하기 위한 숫자변경수단(도 7의202)이 더 구비되어, 상기 LED숫자판(500)의 LED(502)를 개별적으로 ON/OFF시켜서 지시하고자 하는 숫자를 지시하게 된다.
이때, 각 지시숫자를 나타낼 수 있는 버튼, 예를 들면, 60km/h 를 지시하기 위한 버튼, 80km/h 를 지시하기 위한 버튼 등 각 속도별로 지시하기 위한 버튼을 각각 마련하여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의 제2실시예인 철도용 서행신호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2실시예의 철도용 서행신호기는 표지판(100b), LED숫자판(500), 지지봉(300), 보조지지대(600), 전원부(400),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LED숫자판(500), 지지봉(300), 보조지지대(600), 전원부(400), 제어부(200)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철도용 서행예고신호기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2실시예에 의한 철도용 서행신호기의 표지판(100b)은 전방에 철도 서행구 간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재가 부착된 반사부(110b)와 다수개의 LED(122b)가 구비된 발광부(120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표지판(100b)의 형상은 원형이고, 표지판(100b)의 테두리에는 백색으로 스크린인쇄되며, 백색으로 스크린인쇄된 내측면에는 등확색의 반사재가 부착된 형태이다.
한편, 반사재가 부착되는 표지판(100b)의 재질로는, 제1실시예의 철도용 서행예고신호기와 동일하게 아크릴판 등과 같은 가벼운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무게가 적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지판(100b)에 부착된 등황색의 반사재 부분에는 다수개의 LED(122b)를 포함하여 구성된 발광부(120b)가 마련되는데, 이 발광부(120b)의 각 LED(122b)는 제어부(200)와 접속되어 ON/OFF제어된다. 이때, 등황색의 반사재 부분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LED(122b)는 반사재의 색상과 동일하도록 등황색LED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표지판(100b)에 의해서, 주간뿐만 아니라 안개가 끼거나 야간의 경우에도 철도운전자가 명확하게 표지판(100b)을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의 제3실시예인 철도용 서행해제신호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3실시예의 철도용 서행해제신호기는 표지판(100c), 지지봉(300), 보조지지대(600), 전원부(400),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지지봉(300), 보조지지대(600), 전원부(400), 제어부(200)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철도용 서행예고신호기 및 제2실시예의 서행신호기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3실시예에 의한 철도용 서행해제신호기의 표지판(100c)은, 철도 서행구간을 통과하여 지나는 철도의 철도운전자에게 서행을 해제하고 정상속도로의 주행을 지시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재가 부착된 반사부(110c)와 다수개의 LED(122c)가 구비된 발광부(120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표지판(100c)의 형상은 원형이고, 표지판(100c)의 테두리에는 백색으로 스크린인쇄되며, 백색으로 스크린인쇄된 내측면에는 녹색의 반사재가 부착된 형태이다.
한편, 반사재가 부착되는 표지판(100c)의 재질로는, 제1실시예의 철도용 서행예고신호기 및 제2실시예의 철도용 서행신호기와 동일하게 아크릴판 등과 같은 가벼운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무게가 적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지판(100c)에 부착된 녹색의 반사재 부분에는 다수개의 LED(122c)를 포함하여 구성된 발광부(120c)가 마련되는데, 이 발광부(120c)의 각 LED(122c)는 제어부(200)와 접속되어 ON/OFF제어된다. 이때, 녹색의 반사재 부분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LED(122b)는 반사재의 색상과 동일하도록 녹색LED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녹색의 반사재 및 녹색LED에 의해서 서행해제를 지시하는 동시에 LED숫자판(500)을 부가적으로 구성하여, 정상주행속도를 지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표지판(100c)에 의해서, 주간뿐만 아니라 안개가 끼거나 야간의 경우에도 철도운전자가 명확하게 표지판(100c)을 식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철도용 임시신호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원부(400)의 태양전지판(410)에서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충전지(420)에 저장하고, 제어부(200)의 작동스위치(206) 조작에 의한 수동방식 또는 조도센서(204)의 광센싱에 의한 자동방식에 의해서, 제어부(200)가 발광부(120) 및 LED숫자판(500)로의 전원공급여부를 판단하여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부(120) 및 LED숫자판의 다수개의 LED(122a, 502)가 점등하게 된다.
한편, LED숫자판(500)에 지시된 숫자는 제어부(200)의 숫자변경수단(202)에 의해서 공사조건에 맞는 서행속도로 지시되도록 제어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LED를 사용하여 임시신호기를 구성하여 안개가 끼거나 야간의 경우에도 철도운전자가 임시신호기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간편하게 바닥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하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철도의 서행속도를 지시하는 LED숫자판은 다수개의 LED로 구성되므로, 철도운전자가 철도의 서행속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숫자변경수단에 의해서 서행속도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조도센서에 의해서, 발광부의 다수개의 LED가 주간에는 OFF되고 야간에는 ON되도록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지지봉을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보조지지대를 구비하여, 주변의 철도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의 영향으로 임시신호기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봉이 하측지지봉, 중간지지봉, 상측지지봉으로 구성되어 각각 끼워맞춤되는 구조이므로, 설치와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다.

Claims (6)

  1. 철도 서행구간을 철도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철도 서행구간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설치되는 철도용 임시신호기에 있어서,
    반사재가 부착된 반사부와, 상기 반사재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며 다수개의 LED가 구비된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표지판과;
    상기 다수개의 LED가 ON/OFF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부에는 상기 표지판이 결합되고, 하단에는 첨단부(尖端部)가 형성된 지지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태양광을 향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과 접속되어 상기 전기에너지가 충전되는 충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
  3. 제1항에 있어서,
    철도의 서행속도를 숫자로 지시하기 위해서, 상기 표지판의 하측에 위치되되 다수개의 LED가 구비된 LED숫자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숫자판에 지시된 숫자를 변경하기 위한 숫자변경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개의 LED가 자동으로 ON/OFF되게 하는 조도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소정부분의 상하측 각각 끼워맞춤되는 복수개의 고정고리와, 일단부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고리 중 상측에 끼워맞춤된 고정고리에 힌지결합되고 중간부가 하측에 끼워맞춤된 고정고리에 링크를 개재해서 힌지결합되며 타단부가 바닥면에 압입되는 다수개의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하단에 상기 첨단부가 형성된 하측지지봉과, 상기 하측지지봉의 상단에 끼워맞춤되는 중간지지봉과, 상기 중간지지봉의 상단에 끼워맞춤되되 상기 표지판이 결합되는 상측지지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철도용 서행신호기.
KR1020060102289A 2006-10-20 2006-10-20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 KR100865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289A KR100865353B1 (ko) 2006-10-20 2006-10-20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289A KR100865353B1 (ko) 2006-10-20 2006-10-20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790A true KR20080035790A (ko) 2008-04-24
KR100865353B1 KR100865353B1 (ko) 2008-10-24

Family

ID=3957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289A KR100865353B1 (ko) 2006-10-20 2006-10-20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3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037B1 (ko) * 2009-06-10 2009-08-28 주식회사 남해산전 단심 검지 기능을 갖춘 프리 볼트용 진로 표시 led 신호기 제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진로 표시용 led 신호기
KR100914035B1 (ko) * 2009-06-10 2009-08-28 주식회사 남해산전 단심 검지 기능을 갖춘 프리 볼트용 led 신호기 제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led 신호기
WO2017022907A1 (ko) * 2015-08-05 2017-02-09 투툼 주식회사 패턴 점등 기능을 갖는 led가 부착된 안전 삼각대
KR20170000729U (ko) 2015-08-18 2017-02-28 한국철도공사 철도용 임시신호기
KR102331478B1 (ko) * 2020-06-12 2021-11-29 한국전력공사 임시 신호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026B1 (ko) * 2009-12-23 2010-06-24 이주창 태양열을 이용한 엘이디 교통안전 표지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260B1 (ko) 2004-11-12 2006-12-04 주식회사 래도 Led 백색광을 이용한 도로 표지판
KR200404631Y1 (ko) 2005-10-17 2005-12-26 손범수 태양열을 이용한 발광표지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037B1 (ko) * 2009-06-10 2009-08-28 주식회사 남해산전 단심 검지 기능을 갖춘 프리 볼트용 진로 표시 led 신호기 제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진로 표시용 led 신호기
KR100914035B1 (ko) * 2009-06-10 2009-08-28 주식회사 남해산전 단심 검지 기능을 갖춘 프리 볼트용 led 신호기 제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led 신호기
WO2017022907A1 (ko) * 2015-08-05 2017-02-09 투툼 주식회사 패턴 점등 기능을 갖는 led가 부착된 안전 삼각대
KR20170000729U (ko) 2015-08-18 2017-02-28 한국철도공사 철도용 임시신호기
KR102331478B1 (ko) * 2020-06-12 2021-11-29 한국전력공사 임시 신호등
KR20210154776A (ko) * 2020-06-12 2021-12-21 한국전력공사 임시 신호등
KR20210154775A (ko) * 2020-06-12 2021-12-21 한국전력공사 임시 신호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353B1 (ko) 200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1213B2 (en) Emergency response warning system
US7244042B1 (en) Airport light system
KR100865353B1 (ko) Led를 이용한 철도용 임시신호기
US7134764B1 (en) Airport light system
KR100966026B1 (ko) 태양열을 이용한 엘이디 교통안전 표지판
US20100148989A1 (en) Safety or Alert Device
KR100998741B1 (ko) 교통표지판
KR101234779B1 (ko) 교통사고방지를 위한 신호등 구조
KR101255678B1 (ko) 도로명 및 도로안내 표지판용 엘이디 조명기구
KR20110037101A (ko) 횡단보도용 복합신호등
KR101158243B1 (ko)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102336634B1 (ko) 스마트 발광 표지판
KR101433718B1 (ko) 가로등주를 이용한 광고장치
KR101885882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시인장치
KR102023476B1 (ko)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KR101217776B1 (ko) 엘이디 조명이 구비된 선박의 항로 표지장치
KR20110007430U (ko) 시인성이 향상된 교통표지장치
CN201180929Y (zh) 太阳能交通提示灯
CN209980473U (zh) 一种可移动式光墙信号灯装置
CN211079971U (zh) 一种出口预告标志牌
JP5603312B2 (ja) 停電時対応型自発光標識
CN113551194A (zh) 一种节能环保型多功能太阳能路灯
KR20210078223A (ko) 관리편의성이 향상된 led 표지판
CN216817712U (zh) 交通工程用的新型导向牌
KR20160012595A (ko) 도로용 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