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5788A -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통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통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5788A
KR20080035788A KR1020060102287A KR20060102287A KR20080035788A KR 20080035788 A KR20080035788 A KR 20080035788A KR 1020060102287 A KR1020060102287 A KR 1020060102287A KR 20060102287 A KR20060102287 A KR 20060102287A KR 20080035788 A KR20080035788 A KR 20080035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data
media data
image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8926B1 (ko
Inventor
정태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2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926B1/ko
Publication of KR20080035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미디어 입력부, 상기 미디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의 부영상으로 사용될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 및 상기 부영상을 합성하는 부영상 합성부, 상기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 전송하고, 상기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 전송중 부영상 전송이 요구되면, 상기 부영상 합성부에서 합성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송할 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미디어 처리부 및 상기 인코딩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통화 화면 외에도 기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화면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점이 있다.
화상통화,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통화 방법{Method of video telephony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통화의 영상 합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통화의 영상 분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a) 내지 도5(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상통화를 위한 전송 데이터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상통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 하여 화상통화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및 상기 단말기의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데이터를 합성하여 함께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IMT-2000으로 구분하고 있다. 음성 및 단문메시지(SMS)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세대 이후,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은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3세대 기술로 이행하고 있다. 제3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2세대(1.8GHz이하)보다 더 높은 대역폭(1.9GHz이상)을 사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제3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멀티미디어 기술, 음성인식 기술, 휴대전화 위치확인 기술, 블루투스 기술 등과의 접목에 힘입어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IMT-2000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기존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탈피하여 고속데이터와 영상 서비스까지도 가능한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컬러 디스플레이, 대용량 메모리, 디지털 카메라, 무선 인터넷 플랫폼, 다중화음, MP3 기능, VOD 기능 등 첨단 기능들이 채용되고 있다. 즉, 이동통신서비스 기술발전과 이에 따른 소비자의 요구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화를 가속시키고 있다. 화상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CDMA 2000 EV-DO나 CDMA 2000 EV-DV 기종 이상에서 원활한 화상통화가 가능하다.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화상통화를 위해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미디어 데이터만을 제공한다. 따라서, 화상통화를 위한 영상 이외의 기타영상을 추가적으로 보낼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이용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이외에도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의 기타 영상을 합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영상을 부화면을 통해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특징은,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미디어 입력부, 상기 미디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의 부영상으로 사용될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 및 상기 부영상을 합성하는 부영상 합성부, 상기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 전송하고, 상기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 전송중 부영상 전송이 요구되면, 상기 부영상 합성부에서 합성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송할 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미디어 처리부 및 상기 인코딩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특징은,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미디어 처리부, 상기 디코딩된 미디어 데이터에서 부영상을 추출하여 부화면을 생성하는 부화면 생성부, 상기 부영상을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주영상의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미디어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합성 방법의 일 특징은,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 전송중 부영상 전송이 요구되면, 상기 요구된 부영상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부영상을 상기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와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분리 방법의 일 특징은,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에서 부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부영상을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주영상의 부화면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영상 및 부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디어 데이터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디어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주영상 데이터 및 임의로 제공되는 부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영상 데이터는 화상통화를 위한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부영상 데이터는 영상 정보를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영상은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통화의 영상 합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송신부(110), 미디어 처리부(120), 키입력부(130), 제어부(140), 부영상 합성부(150), 미디어 입력부(160), 저장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키입력부(130)를 통해 화상통화 구동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40)가 화상통화를 구동한다.
상기 화상통화가 구동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미디어 입력부(160)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처리부(120)에서 인코딩하여 상기 송신부(110)를 통해 화상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한다[S310].
상기 미디어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미디어 입력부(160)는 상기 화상통화에 이용되는 실시간 비디오 데이터를 입력하는 비디오 입력부 및 상기 화상통화에 이용되는 실시간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오디오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처리부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비디오 인코더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오디오 인코더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통화중, 상기 제어부(140) 부영상 전송 요구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부영상 전송 요구가 있으면, 상기 저장부(170)에 상기 요구된 부 영상이 있는지 검색한다[S320, S330].
상기 부영상 전송은 상기 단말기 사용자 혹은 상기 화상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요구되는 것으로서,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검색된 부영상을 상기 부영상 합성부(150)에서 상기 화상통화를 위해 상기 미디어 입력부(160)를 통해 실시간 입력중인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와 합성하도록 제어한다[S340].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부영상과 합성된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처리부(120)에서 인코딩하여 상기 송신부(110)를 통해 화상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350].
이때, 상기 부영상과 상기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의 합성은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합성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통화 중에도 부가화면 및 정보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통화의 영상 분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수신부(210), 미디어 처리부(220), 키입력부(230), 제어부(240), 부영상 추출부(250), 미디어 출력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수신부(210)를 통해 화상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다[S410].
상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주영상 데이터 및 임의로 제공되는 부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영상 데이터는 화상통화를 위한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부영상 데이터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미디어 처리부(220)에서 디코딩된다. 상기 미디어 처리부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를 포함한다.
이후, 키입력부(230)를 통해 부화면 생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디코딩된 미디어 데이터를 부영상 추출부(250)로 전송하고, 상기 부영상 추출부(250)는 상기 디코딩된 미디어 데이터 중 부영상을 추출하여 부화면을 생성한다[S420, S430, S440].
그러면,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부영상을 상기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인 주영상의 부화면으로 상기 미디어 출력부(26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S450]. 상기 미디어 출력부(260)는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부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키입력부(230)를 통해 부화면 생성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화상통화를 위한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인 주영상만 디스플레이한다[S420, 460]. 상기 부화면은 PIP(Picture in Picture) 표현 방식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 전송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통해 화상통화 를 함과 동시에, 부화면을 통해 기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a) 내지 도5(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상통화를 위한 전송 데이터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와 부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 것이다.
도 5(b)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미디어 데이터 전송 패킷에 부영상 데이터를 실어 보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상통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종래 화상통화시 제공되는 PIP(Picture In Picture) 화면 외에 추가 PIP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추가 PIP 화면에 기타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상기 부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PIP 화면을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상통화시 요구된 정보를 화상통화 화면 이외의 부화면을 통해 제공받음으로써, 상기 화상통화시 필요한 정보를 유용 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미디어 입력부;
    상기 미디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의 부영상으로 사용될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 및 상기 부영상을 합성하는 부영상 합성부;
    상기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 전송하고, 상기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 전송중 부영상 전송이 요구되면, 상기 부영상 합성부에서 합성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송할 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미디어 처리부; 및
    상기 인코딩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데이터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입력부는 화상통화를 위한 미디어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으로서, 상기 화상통화에 이용되는 실시간 비디오 데이터를 입력하는 비디오 입력부 및 상 기 화상통화에 이용되는 실시간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오디오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중인 부영상은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처리부는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비디오 인코더 및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오디오 인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에 상기 부영상 미디어 데이터를 합성하기 위한 합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미디어 처리부;
    상기 디코딩된 미디어 데이터에서 부영상을 추출하여 부화면을 생성하는 부 화면 생성부;
    상기 부영상을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주영상의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미디어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주영상 데이터 및 임의로 제공되는 부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영상 데이터는 화상통화를 위한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부영상 데이터는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영상은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처리부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출력부는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부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부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부영상 추출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 전송중 부영상 전송이 요구되면, 상기 요구된 부영상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부영상을 상기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와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 합성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데이터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합성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영상은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합성 방법.
  18.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에서 부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부영상을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주영상의 부화면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영상 및 부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 분리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영상 분리 방법.
  20. 상기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주영상 데이터 및 임의로 제공되는 부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리 방법.
  21. 상기 2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영상 데이터는 화상통화를 위한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부영상 데이터는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리 방법.
  22. 상기 2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영상은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리 방법.
KR1020060102287A 2006-10-20 2006-10-20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통화 방법 KR101328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287A KR101328926B1 (ko) 2006-10-20 2006-10-20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통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287A KR101328926B1 (ko) 2006-10-20 2006-10-20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통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788A true KR20080035788A (ko) 2008-04-24
KR101328926B1 KR101328926B1 (ko) 2013-11-14

Family

ID=3957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287A KR101328926B1 (ko) 2006-10-20 2006-10-20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통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9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595B1 (ko) * 2010-11-04 2014-04-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그룹 미디어 통신을 위한 영상 통화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CN113141517A (zh) * 2021-04-09 2021-07-20 桂林电子科技大学 第一终端、第二终端、远程操作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127B1 (ko) * 2001-07-19 2004-04-08 네이버시스템(주) 동영상 전송시스템
JP4203246B2 (ja) * 2002-03-14 2008-12-2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装置
KR20030083318A (ko) * 2002-04-20 200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단말기
KR100574858B1 (ko) * 2004-05-17 200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전화단말에서 부가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595B1 (ko) * 2010-11-04 2014-04-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그룹 미디어 통신을 위한 영상 통화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CN113141517A (zh) * 2021-04-09 2021-07-20 桂林电子科技大学 第一终端、第二终端、远程操作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CN113141517B (zh) * 2021-04-09 2023-08-11 桂林电子科技大学 第一终端、第二终端、远程操作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926B1 (ko)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253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7003442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설정 방법
KR20110044690A (ko) 휴대전화기 및 착신통지시스템
KR10082615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943456B1 (ko) 트랜스코딩 서버 및 트랜스코딩 서버에서 동영상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방법
KR1013289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통화 방법
US8849089B2 (en) Motion picture creation method in portable device and related transmission method
KR101077029B1 (ko) 비디오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JP2005215158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00052141A (ko) 휴대용 정보 단말 장치
KR100574858B1 (ko) 영상전화단말에서 부가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8004768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트리밍 서비스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5001844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영상 합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및 그 방법, 영상 합성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KR20090001627A (ko) 대화형 콘텐츠 공유 시스템
KR100584352B1 (ko) 동영상 전화장치의 영상 송,수신 제어방법
KR100631585B1 (ko) 카메라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04072674A (ja) 電話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KR1013663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자간 화상통화 방법
KR100617564B1 (ko) 이동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방법
JP2005277884A (ja) 通信端末装置
JP2007006085A (ja) 無線携帯端末、並びに、それを用いた撮像方法および通信方法
JP2007281766A (ja) 画像送信装置及びその送信方法
JP2000203193A (ja) 電子黒板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会議端末、テレビ会議システム
JP4175232B2 (ja) テレビ電話システム及びテレビ電話装置
JPH08274961A (ja) 画像伝送方法及び装置並びに解像度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