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5746A - Keypad, fabrication mehtod thereof and character input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Keypad, fabrication mehtod thereof and character input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5746A
KR20080035746A KR1020060102157A KR20060102157A KR20080035746A KR 20080035746 A KR20080035746 A KR 20080035746A KR 1020060102157 A KR1020060102157 A KR 1020060102157A KR 20060102157 A KR20060102157 A KR 20060102157A KR 20080035746 A KR20080035746 A KR 20080035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vowel
key
assigned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1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진석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2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5746A/en
Publication of KR20080035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7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4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A keypad, and a manufacturing method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using the keypad at first to input characters quickly and easily by minimizing moving lines among keys pushed when the user inputs the characters, and minimizing input.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e arranged to a first area of a keypad, and a plurality of vowel keys are arranged to a second area of the keypad. A plurality of character conversion keys are arranged to a third are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reas. A plurality of consonants are grouped and assigned to each consonant key. The consonant key displays/inputs the characters included in the same group in predetermined order when the consonant key is continuously pushed. The character conversion key includes a fortis conversion key converting the consonant inputted by the consonant key into a fortis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consonant, and a geminate converting the inputted consonant into a geminate when the consonant inputted by the consonant key is a single consonant.

Description

키패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문자 입력 방법{KEYPAD, FABRICATION MEHTOD THEREOF AND CHARACTER INPUT METHOD THEREFOR}KEYPAD, FABRICATION MEHTOD THEREOF AND CHARACTER INPUT METHOD THEREFOR}

도 1은 종래의 천지인 키패드.1 is a conventional keypad.

도 2는 종래의 EZ-한글 키패드.2 is a conventional EZ-Hangul keypa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입력부에 구비된 키패드.4 is a keypad provided in the input unit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초성 자음 입력에 관한 오토마타(automata).Figure 5 is an automata (automata) relating to the initial consonant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중성 모음 입력에 관한 오토마타.6 is an automata relating to a neutral vowel inpu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종성 입력에 관한 오토마타.7 is an automata relating to the longitudinal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절차도.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자음키, 모 음키 및 문자변환키를 미리 정해진 영역들에 배열시켜 처음 키패드를 사용하는 사용자도 키입력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4행 3열의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and more specifically, to arrange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vowel keys, and character conversion keys in predetermined areas so that a user who uses the keypad for the first time can accurately and quickly input a key. It's about a four-row, three-column keypad.

한글은,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비추어 살펴보면, 초성자, 중성자 및 종성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초성자, 중성자 및 종성자를 조합하여 이론상 만들 수 있는 글자의 수는 11,172(19X21X28)자가 된다. 그러나 실제 상용되는 글자의 수는 약 2,500자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완성형 코드나 조합형 코드의 경우 1,800자로부터 1,900자 정도의 한글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한글을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이 4행 3열의 키패드를 구비하는 장치에 입력하는 경우, 키패드에 마련된 12개의 숫자키로 각각의 모음 및 자음에 대응하는 입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한정된 숫자키를 갖는 키패드로 비교적 많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해당 숫자키를 여러 번 눌러야 하기 때문에 통상의 문자를 입력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문자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여러 다양한 종류의 키패드가 제안되었다.Hangul, in the light of the unification of Korean spelling, is composed of neutrons, neutrons, and seed. The number of letters that can be theoretically formed by combining these neutrons, neutrons and neutrons is 11,172 (19 X 21 X 28) characters. However, the actual number of commonly used characters is about 2,500 characters, and in the case of commonly used completed codes or combined codes, 1,800 to 1,900 characters can be represented. When the Hangul is input to a device having four rows and three columns of keypad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nputs corresponding to each vowel and consonant are input by 12 numeric keys provided on the keypad. However, since a corresponding number key must be pressed several times in order to input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characters with a keypad having a limited number key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input a normal charact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required for character input becomes long.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kinds of keypads have been proposed.

도 1은 종래의 천지인 키패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사용되는 천지인 키패드의 경우, 모든 모음을 '.', 'ㅡ' 및 'ㅣ'을 조합하여 입력하고, 7개의 숫자키들을 한 번 내지 두 번 눌러 기본자음들(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ㅎ' 중 어느 하나)을 입력하고 쌍자음들은 숫자키들을 세 번 눌러 입력한다.1 is a keypad that is conventional in nature. Referring to FIG. 1, in the case of a keypad us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l vowels are inputted by combining '.', 'ㅡ' and 'ㅣ', and pressing seven numeric keys once or twice. Basic consonants (consonants'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 T ', or' he ') and enter two consonants by pressing the numeric keys three times.

도 2는 종래의 EZ-한글 키패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통신단말 기에 사용되는 EZ-한글 키패드의 경우 자음 'ㄱ', 'ㄴ', 'ㄹ', 'ㅁ', 'ㅅ', 및 'ㅇ'을 기초로 하여 획 추가 기능을 갖는 '*' 키를 이용하여 나머지 기본자음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자음 'ㄷ'은 자음 'ㄴ' 입력 후 상기 '*' 키를 한 번 눌러 입력한다. 그리고, 쌍자음들은 '#' 키를 눌러 입력한다. 예를 들어, 쌍자음 'ㄸ'은 자음 'ㄷ' 입력 후 상기 '#' 키를 한 번 눌러 입력한다.2 is a conventional EZ-Hangul keypad. 2, in the case of the EZ-Hangul keypad used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consonants 'ㄱ', 'b', 'ㄹ', 'ㅁ', 'ㅅ', and 'ㅇ' Enter the remaining basic consonants using the '*' key with additional functions. For example, the consonant 'ㄷ' is entered by pressing the '*' key once after entering the consonant 'ㄴ'. Then, double consonants are entered by pressing the '#' key. For example, the double consonant 'ㄸ' is entered by pressing the '#' key once after entering the consonant 'ㄷ'.

그러나, 종래의 천지인 키패드의 경우,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최대 3번 키를 눌어야 하고,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이보다 더 많은 횟수의 키 입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처음 천지인 키패드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편리한 면이 있으나, 능숙한 사용자의 경우 그 숙련도에 비해 신속하게 문자를 입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EZ-한글 키패드의 경우,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천지인 키패드와 같이 최대 3번의 키입력을 해야하고, '*' 키 및 '#' 키를 이용해야만 모든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데, '*' 키 및 '#' 키가 키패드 하단에 위치하여 글자 조합시 연속하여 눌러야하는 키들 간의 동선이 멀어서 신속하게 키입력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keypad, it is necessary to press the key three times in order to input the consonant, and to input the vowel more times the key input is required. Therefore, there are aspects that are convenient for a user who uses the keypad which is the first plac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killed user cannot input a character quickly compared to the skill level. In the case of the EZ-Hangul keypad, up to three keystrokes must be entered, like the keypad that is celestial, to input consonants, and all characters can be entered only by using the '*' key and the '#' key. Since the key and the '#' key ar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keypa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keystroke cannot be quickly performed because the copper lines between the keys that must be continuously pressed during the letter combination are far apar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시 사용자가 누르게 되는 키들 간의 동선을 최소화하고 키패드 입력을 최소화하여 키패드 배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신속하고 편안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키패드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small keypad to minimize the movement between the keys that the user presses when entering the character and to minimize the keypad input so that even us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keypad arrangement can quickly and comfortably enter text. To provide a.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키패드가 제공된다. 상기 키패드는 상기 키패드의 제1 영역에 배열되는 복수의 자음키, 상기 키패드의 제2 영역에 배열되는 복수의 모음키, 및 상기 키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에 배열되는 문자변환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문자변환키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eypad. The keypad includes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ranged in a first area of the keypad, a plurality of vowel keys arranged in a second area of the keypad, and a third area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reas of the keypad. It includes a plurality of character conversion keys assigned to the character conversion function arranged.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third region includes a region that is not included anywhere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키패드의 왼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키패드의 오른쪽에 위치한다.More preferably, the first area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keypad and the second area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keypad.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각 자음키에는 본자음이 할당된다.Even more preferably, each consonant key is assigned a main consonant.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자음키는 복수의 본자음이 할당되고, 상기 자음키를 연속하여 누름에 따라 해당 자음키에 할당된 본자음들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표시장치에 표시되도록 입력하는 기능이 할당된다.Even more preferably,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e assigned a plurality of main consonants, and any one of the main consonants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s is sequentially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order as the consonant keys are continuously pressed. The function of inputting to be displayed is assigned.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자음키는 자음 'ㄱ' 및 'ㄴ'이 할당된 자음키, 자음 'ㄷ' 및 'ㄹ'이 할당된 자음키, 자음 'ㅁ' 및 'ㅂ'이 할당된 자음키, 자음 'ㅅ' 및 'ㅈ'이 할된 자음키, 그리고 자음 'ㅇ'이 할당된 자음키를 포함하고, 상기 자음 'ㅇ'이 할당된 자음키에는 띄어쓰기 입력 기능이 더 할당된다.Even more preferably,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e consonant keys to which consonants 'a' and 'b' are assigned, consonant keys to which consonants 'c' and 'r' are assigned, consonants 'ㅁ' and 'ㅂ' assigned A consonant key including a consonant key, a consonant key to which consonants 'ㅅ' and 'ㅈ' are assigned, and a consonant key to which a consonant 'ㅇ' is assigned, and a spacing input function is further allocated to the consonant key to which the consonant 'ㅇ' is assigned.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문자변환키들은 상기 자음키에 의해 입력된 본자음을 상기 입력된 본자음에 대응되는 된자음으로 변환하는 기능이 할당된 된자음 변환키, 상기 자음키에 의해 입력된 본자음이 홑자음인 경우, 상기 홑자음을 상기 입력된 홑자음에 대응되는 쌍자음으로 변환하는 기능이 할당된 쌍자음 변환키를 포함한다.Still more preferably, the character conversion keys are consonant conversion key assigned a function for converting the main consonant input by the consonant key into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main consonant, the bone input by the consonant key If the consonant is a single consonant, the consonant is converted to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ngle consonant includes a consonant conversion key assigned.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각 모음키에는 기본모음이 할당된다.Even more preferably, each vowel key is assigned a default collection.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기본모음이 할당되는 모음키들에는 상기 기본모음이 할당되는 모음키들을 필기순으로 연속적으로 입력하여 복모음을 표시하는 기능이 할당된다.Even more preferably, the vowel keys to which the basic vowel is assigned are assigned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vowel vowels by continuously inputting the vowel keys to which the basic vowel is assigned.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며, 상기 기본모음이 할당되는 모음키들 중 모음 'ㅣ'가 할당된 모음키는 상기 중첩되는 영역에 배열된다.Still more preferably, the third region has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region, and among the vowel keys to which the basic vowel is assigned, the vowel key to which the vowel '|' is assigned is arranged in the overlapping region.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모음키는 복수의 기본모음이 할당되고, 상기 모음키를 연속하여 누름에 따라 해당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모음들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표시장치에 표시되도록 입력하는 기능이 할당되는 모음키를 포함한다.Even more preferably, the plurality of vowel keys are assigned a plurality of basic vowels, and as one of the vowel keys is continuously pressed, any one of the basic vowels assigned to the vowel key is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predetermined order. Contains a vowel key to which the function to enter to be displayed is assigned.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기본모음이 할당되는 모음키들은 모음 'ㅏ' 및 'ㅑ'가 할당된 모음키, 모음 'ㅓ' 및 'ㅕ'가 할당된 모음키, 모음 'ㅗ' 및 'ㅛ'가 할당된 모음키, 모음 'ㅜ' 및 'ㅠ'가 할당된 모음키, 그리고 모음 'ㅣ' 및 'ㅡ'가 할당된 모음키를 포함한다.Even more preferably, the vowel keys to which the plurality of basic vowels are assigned are a vowel key to which vowels' ㅏ 'and' ㅑ 'are assigned, a vowel key to which vowels' ㅓ' and 'ㅕ' are assigned, vowel 'ㅗ' and ' Includes a vowel key to which ㅛ 'is assigned, a vowel key to which vowels' TT' and 'ㅠ' are assigned, and a vowel key to which vowels' ㅣ 'and' ㅡ 'are assign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된 키패드를 포함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키 데이터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문자를 조합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n input unit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keypad, and a control unit for combining and displaying characters in a predetermined manner according to the key data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된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이 제공된다. 상기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자음키에 의해 입력된 본자음을 표시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된자음 변환키와 상기 쌍자음 변환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입력된 변환키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된 본자음을 변환하여 표시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keypad. The character input method may include a first step of displaying a main consonant input by the consonant key, and the displayed main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conversion key selected and input by the user among the consonant conversion key and the consonant conversion key The second step of converting and displaying.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모음키에는 기본모음이 각각 할당되고, 상기 기본모음이 할당되는 모음키들에는 상기 모음키를 연속하여 누름에 따라 해당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모음들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표시장치에 표시되도록 입력하는 기능이 할당되고, 제1 모음이 할당된 제1 모음키에 의해 입력된 기본모음을 표시하는 제3 단계, 제2 모음이 할당된 제2 모음키를 입력받는 제4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모음을 입력된 순서대로 조합하면 복모음이 되는 경우, 상기 표시된 제1 모음에 상기 제2 모음을 추가하여 조합된 복모음을 표시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a plurality of vowel keys are assigned a basic collection, and to the vowel keys to which the basic vowel is assigned, any one of the basic vowels assigned to the vowel key is sequentially determined as the vowel key is continuously pressed. A third step of displaying a basic vowel inputted by the first vowel key to which the first vowel is assigned and the second vowel key to which the second vowel is assigned are input. And receiving a fourth vowel, and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vowels in the input order to form a double vowel, and adding the second vowel to the displayed first vowel to display the combined vowel. .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복수의 자음키, 모음키 및 문자변환키를 포함하는 키패드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키패드 제조 방법은 키패드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에 복수의 자음키를 배열하는 단계, 상기 키패드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 복수의 모음키를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키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에 문자변환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문자변환키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eypad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consonant keys, vowel keys and character conversion keys. The keypad manufactur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arranging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in a first reg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keypad, arranging a plurality of vowel keys in a second region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keypad and the first key in the keypad And arranging a plurality of character conversion keys assigned with a character conversion function in a third area located between the second are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입력부에 구비된 키패드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복수의 키로 이루어진 키패드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키 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부(110),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외부화면창 및/또는 내부화면창을 제공하는 표시부(120), 저장부(130), 그리고 상기 생성된 키 데이터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문자를 조합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keypad provided in the input unit of FIG. 3 and 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pad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and displays an input unit 110 and a character for generating key data according to a user's key manipulation. A display unit 120 for providing an external screen window and / or an internal screen window, a storage unit 130, and a control unit displaying the display unit 120 by combining characters in a predetermined manner according to the generated key data; 140).

입력부(110)는 4행 3열의 전화 다이얼 키패드로서 복수의 자음키, 모음키 및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를 구비하며, 외부의 키 조작에 의해 해당 키에 할당된 문자 또는 기능과 관련된 키 데이터를 생성한다. 각 자음키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본자음이 할당되고, 각 모음키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본모음이 할당된다. 여기서, 본자음이라 함은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ㅈ', 및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의미하며, 기본모음이라 함은 모음 'ㅏ', 'ㅑ', 'ㅓ', 'ㅕ', 'ㅜ', 'ㅠ',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자음키 및 모음키에는 복수의 본자음 및 기본모음이 각각 할당되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각 자음키 및 모음키는 상기 자음키 또는 모음키를 연속하여 누름으로써 해당 자음키 또는 모음키에 할당된 본자음들 또는 기본모음들이 표시장치에 바뀌면서 표시되도록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10 is a four-row, three-column telephone dial keypad that includes a keypad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 vowel key, and a function key, and inputs key data related to a character or a function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key by an external key operation. Create Each consonant key is assigned one or more original consonants, and each vowel key is assigned one or more basic vowels. Here, the consonant consonants are any one of the consonants 'ㄱ', 'b', 'c', 'ㄹ', 'ㅁ', 'ㅂ', 'ㅅ', 'ㅈ', and 'ㅇ' The basic collection means the vowel 'ㅏ', 'ㅑ', 'ㅓ', 'ㅕ', 'TT', 'ㅠ', 'ㅡ' and 'ㅣ'. Preferably, each of the consonant keys and the vowel keys is assigned a plurality of main consonants and the basic vowels, and more preferably, each of the consonant keys and the vowel keys by pressing the consonant keys or the vowel keys successively. The main consonants or the basic vowels assigned to the key may be chang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자음키는 자음 'ㄱ' 및 'ㄴ'이 할당된 자음키(숫자 '1' 키), 자음 'ㄷ' 및 'ㄹ'이 할당된 자음키(숫자 '4' 키), 자음 'ㅁ' 및 'ㅂ'이 할당된 자음키(숫자 '7' 키), 자음 'ㅅ' 및 'ㅈ'이 할당 된 자음키(문자 '*' 키), 그리고 자음 'ㅇ'이 할당된 자음키(숫자 '0' 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은 모음 'ㅏ' 및 'ㅑ'가 할당된 모음키(숫자 '2' 키), 모음 'ㅓ' 및 'ㅕ'가 할당된 모음키(숫자 '3' 키), 모음 'ㅗ' 및 'ㅛ'가 할당된 모음키(문자 '#' 키), 모음 'ㅜ' 및 'ㅠ'가 할당된 모음키(숫자 '9' 키), 그리고 모음 'ㅣ' 및 'ㅡ'가 할당된 모음키(숫자 '6' 키)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음 'ㅇ'(숫자 '0' 키)이 할당된 자음키에는 띄어쓰기 입력 기능이 더 할당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may be assigned with a consonant key (number '1' key), a consonant 'c', and a 'd' to which consonants 'a' and 'b' are assigned. Consonant key (number '4' key), consonant key assigned to consonant 'ㅁ' and 'ㅂ' (number '7' key), consonant key assigned to consonant 'ㅅ' and 'ㅈ' (letter '*' key ), And a consonant key (number '0' key) to which a consonant 'ㅇ' is assigned, and the plurality of vowel keys are a vowel key (number '2' key) to which vowels 'ㅏ' and 'ㅑ' are assigned, Vowel keys assigned the vowel 'ㅓ' and 'ㅕ' (number '3' key), vowel keys assigned the vowel 'ㅗ' and 'ㅛ' (letter '#' key), vowel 'TT' and 'ㅠ' Are assigned vowel keys (number '9' key), and vowel keys ㅣ and 'ㅡ' are assigned vowel keys (number '6' key). A spacing input function may be further allocated to the consonant key to which the consonant 'o' (the number '0' key) is assigned.

상기 복수의 모음키에 할당되지 않은 복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기본모음이 할당되는 모음키들에는 상기 기본모음이 할당되는 모음키들을 필기순으로 연속적으로 입력하여 복모음을 표시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여기서 복모음이라 함은 기본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모음으로서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의미한다. 상기 복모음들 및 상기 기본모음이 할당되는 모음키들의 입력순서 간의 대응관계는 하기 표 1에 정리되어 있다.To display the vowels not assigned to the vowel keys, the vowel keys to which the main vowel is assigned are assigned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vowel vowels by continuously inputting the vowel keys to which the main vowel is assigned. Here, the vowel vowel is a vowel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the basic vowels,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Means any one vowel.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vowels and the input order of the vowel keys to which the basic vowel is assigned is summarized in Table 1 below.

복모음Double Vowels 모음키 입력Enter vowel key ㅏ+ㅣㅏ + ㅣ ㅑ+ㅣㅑ + ㅣ ㅓ+ㅣㅓ + ㅣ ㅔ+ㅣㅔ + ㅣ ㅗ+ㅏㅗ + ㅏ ㅗ+ㅏ+ㅣㅗ + ㅏ + ㅣ ㅗ+ㅣㅗ + ㅣ ㅜ+ㅓTT + ㅓ ㅜ+ㅔTT + ㅔ ㅜ+ㅣTT + ㅣ ㅡ+ㅣㅡ + ㅣ

키패드는 기능키로서 된자음 변환키, 쌍자음 변환키 및 복모음 변환키를 포함한다. 된자음 변환키에는 상기 자음키에 의해 입력된 본자음을 상기 입력된 본자음에 대응되는 된자음으로 변환하는 기능이 할당되고, 쌍자음 변환키에는 상기 자음키에 의해 입력된 본자음이 홑자음인 경우 상기 입력된 홑자음에 대응되는 쌍자음으로 변환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여기서, 된자음이라 함은 자음 'ㅋ', 'ㅌ', 'ㅍ', 'ㅊ', 및 'ㅎ'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의미한다. 또한, 홑자음이라 함은 자음 'ㄱ', 'ㄷ', 'ㅂ', 'ㅅ', 및 'ㅈ'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의미하고, 쌍자음이라 함은 자음 'ㄲ', 'ㄸ', 'ㅃ', 'ㅆ', 및 'ㅉ'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자음 변환키는 숫자 '5' 키이고 쌍자음 변환키는 숫자 '7' 키이다. 상기 본자음과 된자음의 대응관계 및 홑자음과 쌍자음의 대응관계는 하기 표 2에 정리되어 있다.The keypad includes a consonant converting key, a double consonant converting key, and a double consonant converting key as function keys. The consonant conversion key is assigned a function for converting the main consonant inputted by the consonant key into a consonant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main consonant, and the consonant conversion key has a single consonant inputted by the consonant key. In the case of, the function of converting into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ngle consonant is assigned. Here, the consonant consonants mean any one of the consonants 'ㅋ', 'ㅌ', 'ㄷ', 'ㅊ', and 'ㅎ'. In addition, a single consonant means a consonant of any one of 'A', 'c', 'ㅂ', 'ㅅ', and 'ㅈ', and consonant 'ㄲ' and 'ㄸ' , 'ㅃ', 'ㅆ', and 'ㅉ' means consonant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consonant conversion key is the number '5' key and the twin consonant conversion key is the number '7' key.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main consonant and the consonant, 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ingle consonant and the consonant, are summarized in Table 2 below.

본자음Consonant 된자음Consonant 홑자음Consonant 쌍자음A double consonant A Lol A C C M H S

상기 복수의 자음키들은 키패드의 일측, 바람직하게 키패드의 좌측에 위치하는 자음 영역(도 4에서 제1 영역)에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은 키패드의 타측, 바람직하게 키패드의 우측에 위치하는 모음 영역(도 4에서 제2 영역)에 배열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기능키들은 키패드 상에서 상기 자음 영역과 상기 모음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기능 영역(도 4에서 제3 영역)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 영역은 상기 자음 영역과 상기 모음 영역의 사이에서 키패드의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제2 및 제3 영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며, 상기 기본모음이 할당되는 모음키들 중 모음 'ㅣ'가 할당된 모음키는 상기 중첩되는 영역에 배열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ㅣ'가 할당된 모음키는 키패드의 중앙에 배열된다.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e arranged in a consonant region (first region in FIG. 4) located at one side of the keypad, preferably at the left side of the keypad, and the plurality of vowel keys are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keypad, preferably at the right side of the keypad. Arranged in the vowel region (second region in FIG. 4). Further, the plurality of function keys are arranged in a function region (third region in FIG. 4) located between the consonant region and the vowel region on the keypad. Preferably, the functional area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keypad between the consonant area and the vowel area.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and third regions have regions overlapping each other, and among the vowel keys to which the basic vowel is assigned, the vowel key to which the vowel '|' is assigned is arranged in the overlapping region.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the vowel key to which the vowel '|' is assigned is arranged at the center of the keypad.

자음키들 및 모음키들이 각각 키보드의 좌, 우측에 배열됨에 따라, 사용자는 왼손으로 자음을, 오른손으로 모음을 입력할 수 있어 키패드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라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자음을 된자음 또는 쌍자음으로 변환하는 기능키들과 모음 'ㅣ'가 할당된 모음키가 키패드의 중앙에 배열됨에 따라 키패드의 키들에 할당되지 않은 된자음, 쌍자음 또는 복모음을 조합할때 키를 누르는 손가락의 동선을 최소화하여 처음 키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도 신속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장시간 키입력에 따른 손가락의 피로감도 경감되게 된다.As the consonant keys and the vowel keys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keyboard, respectively, the user can input consonants with his left hand and vowels with his right hand, so that even a user who uses a keypad for the first time can enter characters quickly and conveniently. In addition, as the function keys for converting the main consonant to the consonant consonant or the consonant consonant and the vowel key assigned to the vowel 'ㅣ' are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keypad, the consonant, twin consonant or double consonant not assigned to the keys of the keypad can be combined. By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finger pressing the key, even a user who is using the keyboard for the first time can quickly enter a character, and the fatigue of the finger caused by the key input for a long time is reduced.

표시부(12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140)의 제어를 받아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정보 등을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20 is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the progress of the progra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That is, the overall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ex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are display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저장부(130)는 제어부(14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저장부(130)의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는 일시적으로 저장부(130)의 램(RAM) 영역에 저장된다. 저장부(140)는 문자 폰트도 저장하고 있다.The storage unit 130 stores an operation program and a system program of the controller 140. An operating program or a system program is usually stored in a ROM area of the storage unit 130, and data generated while performing various operating programs is temporarily stored in a RAM area of the storage unit 130. The storage unit 140 also stores the character font.

제어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키 데이터에 따라 문자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상기 키 데이터를 입력받아 초성자, 중성자 또는 종성자로 인식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한다.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simultaneously controls the display unit 120 to display characters according to key data input from the input unit 110. In detail, 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the key data and recognizes it as a neutron, neutron, or seed, and combines them and displays them on the display unit 12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초성 자음 입력에 관한 오토마타(automata)이다. 먼저, 두 개의 원에 둘러싸인 S1은 초성 시작 상태를 의미하고, 하나의 원에 둘러싸인 자음들은 해당 자음의 입력이 초성으로서 입력이 완료된 상태, 즉 초성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숫자와 화살표는 해당 숫자키 입력에 따른 상태의 변경 방향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40)는 초성 시작 상태에서 입력부(110)로부터 숫자 '1' 키, 숫자 '4' 키, 숫자 '7' 키, 문자 '*' 키 또는 숫자 '0' 키에 해당하는 키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키 데이터에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제1 본자음 초성상태 (예를 들어 'ㄱ' 초성상태)로 설정하고 표시부(120)에 제1 본자음 'ㄱ', 'ㄷ', 'ㅁ', 'ㅅ' 또는 'ㅇ'을 표시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제1 본자음 초성상태에서 입력부(110)로부터 상기 입력되었던 키 데이터와 동일한 키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해당 키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본자음 초성상태(예를 들어 'ㄴ' 초성상태)로 설정하고 표시부(120)에 상기 표시된 제1 본자음을 상기 제2 본자음 초성상태에 대응되는 본자음으로 변환하여 표시한다.FIG. 5 is an automata relating to an initial consonant inpu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S1 surrounded by two circles means an initial starting state, and consonants surrounded by one circle represent a state in which the input of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completed as an initial consonant, that is, an initial consonant state. The numbers and arrows indicate the direction of change of stat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s.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 unit 14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umber '1' key, a number '4' key, and a number '7' from the input unit 110 in the initial start state. Receives the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the letter '*' key or the number '0' key, and sets the first primary consonant initial state corresponding to each key data (for example, the 'b' initial state) The first main consonant 'a', 'c', 'ㅁ', 'ㅅ' or 'ㅇ' is indicated at (120). When the controller 140 receives the same key data as the input key data from the input unit 110 in the first main consonant initial state, a second main consonant initial state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data (for example, 'b' 'First consonant state' and the display unit 120 converts the displayed first main consonant into a main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in consonant initial state.

제어부(150)는 상기 제1 또는 제2 본자음 초성상태에서 된자음 변환키 또는 쌍자음 변환키에 해당하는 키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해당 제1 또는 제2 초성상태와 연관된 된자음 초성상태 또는 쌍자음 초성상태(예를 들어 'ㅋ' 초성상태 또는 'ㄲ' 초성상태)로 설정하고 표시부(120)에 상기 표시된 제1 또는 제2 본자음을 상기 된자음 또는 쌍자음 초성상태에 대응되는 된자음 또는 쌍자음으로 변환하여 표시한다.When the controller 150 receives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old consonant conversion key or the double consonant conversion key in the first or second main consonant initial state, the controller 150 is the consonant initial or twin consonant associated with the first or second consonant A consonant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or the double consonant consonant or the first or second consona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Converted to double consonants and displayed.

제어부(150)는 상기 제1 본자음, 제2 본자음, 된자음 또는 쌍자음 초성상태에서 기본모음 키 데이터를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받으면 현재 설정된 초성상태에서 해당 기본모음 키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본모음 중성상태로 변경하여 설정하고, 상기 표시된 상기 현재 설정된 초성상태에 대한 자음을 해당 자음과 상기 기본모음 중성상태에 대응되는 기본모음을 조합한 문자로 변환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troller 150 receives the basic vowel key data from the input unit 110 in the first main consonant, the second main consonant, the consonant consonant or the first consonant consonant state, and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basic vowel key data in the currently set initial consonant state. The vowel neutral state is changed and set, and the consonant for the currently set initial consonant state is converted into a combin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sonant and the basic vowel corresponding to the basic vowel neutral state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제어부(150)는 상기 제1 본자음, 제2 본자음, 된자음 또는 쌍자음 초성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오토마타에 따라 입력 가능한 자음 키 데이터 또는 모음 데이터 이외의 키 데이터를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받으면 (즉, 도 5에 도시된 오토마나타에 따라 입력가능한 직전에 입력되었던 상기 키 데이터와 동일한 키 데이터, 된소리 변환키에 해당하는 키 데이터, 쌍소리 변환키에 해당하는 키 데이터 또는 모음 키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아닌 자음 키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새로운 초성을 입력하는 초성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입력된 자음 키 데이터와 관련된 자음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숫자키가 '1'->'8' 순으로 입력되어 'ㄱ'->'ㄲ' 상태로 설정되어 표시부(120)에 'ㄲ'이 현재 표시되어 있는데, 임의의 모음 키 데이터 또는 도 5에 도시된 오토마타에 따라 입력 가능한 직전에 입력되었던 키 데이터인 숫자 '5' 키에 해당하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고 자음 'ㅇ' 키 데이터(숫자 '0' 키에 해당하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새로운 'ㅇ' 초성상태로 설정되고 표시부(120)에는 'ㄲㅇ'로 표시된다.The controller 150 may input key data other than consonant key data or vowel data that can be input according to the automata shown in FIG. 5 in the first main consonant, the second main consonant, the consonant consonant or the consonant consonant from the input unit 110. When received (that is, the same key data as the key data that was input immediately before the inputtable according to the automata shown in FIG. 5, the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old sound conversion key, the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double sound conversion key, or the vowel key data) If one of the consonant key data is inputted, the consonant key data is set to an initial state of inputting a new consonant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related to the input consonant key data. For example, a numeric key is input in the order of '1'-> '8' and is set to the state 'ㄱ'-> 'ㄲ' so that 'ㄲ' is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Alternatively,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5' key, which is key data input immediately before input according to the automata shown in FIG. 5 is not input, and consonant 'ㅇ' key data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0' key) Is input to the new 'o' initial condition and is displayed as' 'o' on the display unit 12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중성 모음 입력에 관한 오토마타이다. 먼저, 두 개의 원에 둘러싸인 S2는 중성시작상태를 의미하고, 하나의 원에 둘러싸인 모음들은 해당 모음의 입력이 중성으로서 입력이 완료된 상태, 즉 중성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40)는 중성시작상태(초성상태)에서 입력부(110)로부터 숫자 '2' 키, 숫자 '3' 키, 숫자 '6' 키, 숫자 '9' 키, 또는 문자 '#' 키에 해당하는 키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키 데이터에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제1 기본모음 중성상태 (예를 들어 'ㅏ' 중성상태)로 설정하고 표시부(120)에 기본모음 'ㅏ', 'ㅓ', 'ㅣ', 'ㅜ', 또는 'ㅗ'를 초성으로 표시된 자음과 조합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상기 제1 기본모음 중성상태에서 입력부(110)로부터 상기 입력되었던 키 데이터와 동일한 키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해당 키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기본모음 중성상태(예를 들어 'ㅑ' 중성상태)로 설정하고 표시부(120)에 상기 표시된 제1 기본모음을 상기 제2 기본모음 중성상태에 대응되는 제2 기본모음으로 변환하여 표시한다.6 is an automata relating to a neutral vowel inpu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S2 surrounded by two circles means a neutral starting state, and vowels surrounded by one circle indicate a state in which the input of the vowel is completed as the input is neutral, that is, a neutral state. Referring to FIG. 7, the control unit 14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umber '2' key and a number '3' key from the input unit 110 in a neutral start state (initial state). A predetermined first basic collection neutral state corresponding to each key data by receiving key data corresponding to a number '6' key, a number '9' key, or a letter '#' key (for example, 'ㅏ' neutral state) ) And the basic collection 'ㅏ', 'ㅓ', 'ㅣ', 'TT', or 'ㅗ' on the display unit 120 is displayed in combination with the consonants indicated by the initial consonants. 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140 receives the same key data as the input key data from the input unit 110 in the first basic vowel neutral state, the control unit 140 corresponds to the second basic vowel neutral state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data. 'N' neutral state) and converts the displayed first basic vowel to the second basic vow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asic vowel neutral state.

제어부(150)는 상기 제1 또는 제2 기본모음 중성상태에서 기본모음 'ㅏ', 'ㅓ', 또는 'ㅣ'에 해당하는 키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상기 입력된 키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또는 제2 중성상태와 연관된 복모음 중성상태(예를 들어 'ㅒ' 중성상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연관된 복모음 중성상태가 있는 경우, 상기 연관된 복모음 중성상태로 설정하고 표시부(120)에 상기 표시된 제1 또는 제2 기본모음을 상기 복모음 중성상태에 대응되는 복모음으로 변환하여 표시한다.When the controller 150 receives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basic vowel 'ㅏ', 'ㅓ', or 'ㅣ' in the neutral state of the first or second basic vowels, the controller 150 receives the first or the second key with respect to the input key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double vowel neutral state (for example, 'ㅒ' neutral state) associated with the neutral state, and if there is an associated double vowel neutral state, it is set to the associated double vowel neutral state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Alternatively, the second basic vowel is converted into the vowel vowel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vowel state and displayed.

제어부(150)는 상기 제1 기본모음, 제2 기본모음 또는 복모음 중성상태에서 본자음 키 데이터를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받으면 현재 설정된 중성상태에서 해당 본자음 키 데이터에 대응되는 본자음 종성상태로 변경하여 설정하고, 상기 표시된 상기 현재 설정된 중성상태에 대한 자음 및 모음이 조합된 문자를 상기 중성상태에 대한 문자와 상기 본자음 종성상태에 대응되는 본자음을 조합한 문자로 변환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When the controller 150 receives the main consonant key data from the input unit 110 in the first basic vowel, the second basic vowel, or the double vowel neutral state, the controller 150 returns to the final consonant stat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ain consonant key data in the currently set neutral state. Change and set, and convert the displayed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for the currently set neutral state into a combination of the letters for the neutral state and the main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final state of the main consonant. Mark on.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제어부(150)는 상기 제1 기본모음, 제2 기본모음 또는 복모음 중성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오토마타에 따라 입력가능한 모음 키 데이터 이외의 모음 키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새로운 하나의 중성만을 입력하는 단일중성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입력된 모음 키 데이터에 대응되는 모음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숫자키가 '2'->'2' 순으로 입력되어 'ㅏ'->'ㅑ' 상태로 설정되어 표시부(120)에 'ㅑ'가 현재 표시되어 있는데, 자음 키 데이터나 도 6에 도시된 오토마타에 따라 입력 가능한 모음 'ㅏ' 키 데이터(숫자 '2' 키에 해당하는 키 데이터) 또는 모음 'ㅣ' 키 데이터(숫자 '6' 키에 해당하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고 모음 'ㅓ' 키 데이터(숫자 '3' 키에 해당하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새로운 'ㅓ' 단일중성상태로 설정되고 표시부(120)에는 'ㅑㅓ'로 표시된다.If the controller 150 receives vowel key data other than the vowel key data that can be input according to the automata shown in FIG. 6 in the first basic vowel, the second basic vowel, or the double vowel neutral state, the controller 150 inputs a single new neutral. A neutral state is set and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input vowel key dat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For example, the numeric keys are input in the order of '2'-> '2' and are set to 'ㅏ'-> 'ㅑ' state, and 'ㅑ' is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the automata shown in Fig. 6, vowel 'ㅏ' key data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2' key) or vowel 'ㅣ' key data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6' key) cannot be entered. When the collection 'ㅓ' key data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3' key) is input, it is set to a new 'ㅓ' single neutral state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as 'ㅑㅓ'.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종성 입력에 관한 오토마타이다. 먼저, 두 개의 원에 둘러싸인 S3는 종성시작상태를 의미하고, 하나의 원에 둘러싸인 종성자음들은 해당 종성자음의 입력이 종성으로서 입력이 완료된 상태, 즉 종성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종성자음이라 함은 한글의 종성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자음으로서 14 개의 본자음(즉,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및 'ㅎ'), 2개의 쌍자음(즉, 'ㄲ' 및 'ㅆ'), 그리고 11개의 복자음(즉,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하나의 원에 둘러싸인 N은 종성+초성으로 입력되어 있는 상태, 즉 N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글자 "않"이 입력되는 경우 숫자키가 '0'->'2'->'1'->'1'->'0'->'5' 순으로 입력되어 표시부(120)에 'ㅇ'->'아'->'악'->'안'->'안ㅇ'->'않'으로 표시되게 되는데, 여기서 '안ㅇ'으로 입력되어 표시되는 상태가 N 상태가 된다.7 is an automata relating to the terminal inpu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S3 surrounded by two circles means the final starting state, and the final consonants surrounded by one circle represent a state in which the input of the corresponding final consonants is final and that is, the final state. Here, the consonant consonants are consonants that can be used as the final consonants of Hangeul (ie, 'b', 'b', 'c',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ㄷ', and 'ㅎ'), 2 consonants (ie, 'ㄲ' and 'ㅆ'), and 11 lucky consonants (I.e.,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Means consonants. In addition, N surrounded by one circle means a state that is input as the final + super initial, that is, the N state. For example, when the letter "not" is input, the numeric keys are input in the order of '0'-> '2'-> '1'-> '1'-> '0'-> '5' and the display unit 120 is displayed. ) Will be displayed as 'ㅇ'-> 'ah'-> 'evil'-> 'not'-> 'not'-> 'not', where 'N' is displayed as 'N' Becomes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40)는 종성시작상태(중성상태)에서 입력부(110)로부터 숫자 '1' 키, 숫자 '4' 키, 숫자 '7' 키, 문자 '*' 키, 또는 숫자 '0' 키에 해당하는 키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키 데이터에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제1 본자음 종성상태 (예를 들어 'ㄱ' 종성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제1 본자음 종성상태에 대응되는 제1 본자음을 종성자음으로 갖는 글자를(예를 들어 '악')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상기 제1 본자음 종성상태에서, 상기 입력되었던 키 데이터와 동일한 키 데이터를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받으면 입력된 해당 키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본자음 종성상태(예를 들어 'ㄴ' 종성상태)로 설정하고 표시부(120)에 상기 표시된 제1 본자음(종성자음)을 상기 제2 본자음 종성상태에 대응되는 제2 본자음으로 변환하여 표시한다(예를 들어 '안').Referring to FIG. 7, the control unit 14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umber '1' key and a number '4' key from the input unit 110 in a final start state (neutral state). In response to the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7' key, the letter '*' key, or the number '0' key, the predetermined first main sound final state corresponding to each key data (for example, the 'b' final state ), And displays a character having a first main consonant as a final consonant (for example, 'evil') on the display unit 120 corresponding to the set first main consonant final state. In addition, in the first main magnetic sound final state, 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the same key data as the input key data from the input unit 110 when the second main magnetic sound final state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data (eg, For example, set to 'b' final state, and converts the displayed first main consonant (the final consonant) to the second main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in consonant final state on the display unit 120 (for example, 'within').

제어부(150)는 상기 제1 또는 제2 본자음 종성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오토마타에 따라 입력 가능한 키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도 7에 도시된 오토마타에 따라 제1 종성상태, 제2 종성상태, 복자음 종성상태(예를 들어 'ㄵ' 종성상태) 또는 N 상태로 설정한다. 상기 설정된 상태가 상기 제1 종성상태, 제2 종성상태 또는 복자음 종성상태이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20)에 상기 표시된 종성자음을 상기 설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제1 본자음, 제2 본자음 또는 복자음으로 변환하여 표시한다(예를 들어 '앉'). 반면에, 상기 설정된 상태가 N 상태이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20)에 표시된 글자(예를 들어 '안') 옆에 상기 설정된 N 상태에 대응되는 자음을 더하여 '종성을 포함하는 음절+초성'으로 표시한다(예를 들어 '안ㅇ'). 제어부(150)는 상기 복자음 종성상태 또는 상기 N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오토마타에 따라 입력 가능한 키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도 7에 도시된 오토마타에 따라 제1 종성상태, 제2 종성상태 또는 복자음 종성상태로 설정하고, 설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글자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When the controller 150 receives the key data that can be input according to the automata shown in FIG. 7 in the first or second main sound final state, the first 150 state, the second final state, and the consonant sound according to the automata shown in FIG. Set to the final state (eg '들어' final state) or N state. If the set state is the first final state, the second final state, or the double consonant final state, the controller 150 displays the first main consonant and the second main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t state of the displayed final consonant on the display unit 120. Or convert it into a consonant and display it (for example, sit). On the other hand, if the set state is the N state, the controller 150 adds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t N state by adding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t N state next to a letter (eg, 'i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First consonant' (for example 'no'). When the controller 150 receives the key data that can be input according to the automata shown in FIG. 7 in the double consonant final state or the N state, the control unit 150 according to the automata shown in FIG. The character set corresponding to the set stat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상기 제1 본자음, 제2 본자음 또는 복자음 종성 상태 또는 상기 N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오토마타에 따라 입력 가능한 키 데이터 이외의 본자음 키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새로운 본자음 초성상태로 설정하고, 표시부(120)에 '음절+초성' (예를 들어 '안ㅊ')로 표시한다.When the first main consonant, the second main consonant or the double consonant consonant state or the main consonant key data other than the key data that can be input according to the automata shown in FIG. 7 in the N state is input,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a new consonant initial consonant. Set to the state, and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20 as 'syllable + initial' (for example 'no').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절차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미리 정해진 복수의 자음키, 모음키 및 문자변환키와 상기 키들이 삽입될 틀을 준비한다(S800). 그리고, 키패드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에 복수의 자음키를 배열하고(S810), 상기 키패드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 복수의 모음키를 배열한다(S820). 또한, 상기 키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에 문자변환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문자변환키를 배열하고(S830) 절차를 종료한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first,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consonant keys, a vowel key, a character conversion key, and a frame into which the keys are inserted are prepared (S800). Then,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e arranged in a first reg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keypad (S810), and a plurality of vowel keys are arranged in a second region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keypad (S820). In addition, a plurality of character conversion keys assigned with a character conversion function are arranged in a third area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reas on the keypad (S830), and the procedure is termin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중심으로 설명했으나, 4행 3열의 12개의 키로 구성된 키패드를 구비한 모든 장치, 예를 들어 유무선 전화기 또는 리모콘 등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can be used for all devices having a keypad composed of 12 keys of 4 rows and 3 columns,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telephone or a remote controller.

이러한 본원 발명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Such a method an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for clarity,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 키패드에 있어서 복수의 자음키, 모음키 및 문자변환키를 적절하게 배열하여, 자음/모음 조합이 용이하고, 문자 입력시 사용자가 누르게 되는 키들 간의 동선이 최소화되고 키입력이 최소화되어 키패드 배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신속하고 편안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키패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vowel keys and character conversion keys in the small keypad is appropriately arranged, consonant / vowel combination is easy, and the copper wire between the keys that the user presses when entering the characters is minimized Minimizing keystrokes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keypad that allows users who are unfamiliar with the keypad layout to enter text quickly and comfortably.

Claims (16)

키패드로서,As a keypad, 상기 키패드의 제1 영역에 배열되는 복수의 자음키,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ranged in the first area of the keypad, 상기 키패드의 제2 영역에 배열되는 복수의 모음키, 및A plurality of vowel keys arranged in a second area of the keypad, and 상기 키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에 배열되는 문자변환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문자변환키A plurality of character conversion keys assigned with a character conversion function arranged in a third area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reas of the keypad; 를 포함하는 키패드.Keypa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는 키패드.And the third area includes an area that is not included anywhere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키패드의 왼쪽에 위치하고,The first area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keypad,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키패드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키패드.And the second area i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keypa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자음키에는 본자음이 할당되는 키패드.A keypad to which the main consonants are assign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음키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복수의 본자음이 할당되고, 상기 자음키를 연속하여 누름으로써 해당 자음키에 할당된 본자음들이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바뀌면서 표시장치에 표시되도록 입력하는 기능이 할당되는 자음키를 포함하는 키패드.And a consonant key to which a plurality of main consonants are assigned, and a function of inputting the main consonants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while being changed in a predetermined order by pressing the consonant keys consecutively.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복수의 자음키는 자음 'ㄱ' 및 'ㄴ'이 할당된 자음키, 자음 'ㄷ' 및 'ㄹ'이 할당된 자음키, 자음 'ㅁ' 및 'ㅂ'이 할당된 자음키, 자음 'ㅅ' 및 'ㅈ'이 할된 자음키, 그리고 자음 'ㅇ'이 할당된 자음키를 포함하고,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include a consonant key to which consonants' a 'and' b 'are assigned, a consonant key to which consonants' c' and 'd' are assigned, a consonant key to which consonants' ㅁ 'and' ㅂ 'are assigned, a consonant' ㅅ 'and' ㅈ ', and a consonant key assigned to the consonant' ㅇ ', 상기 자음 'ㅇ'이 할당된 자음키에는 띄어쓰기 입력 기능이 더 할당되는 키패드.A keypad to which a spacing input function is further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 to which the consonant 'ㅇ' is assig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변환키들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aracter conversion keys 상기 자음키에 의해 입력된 본자음을 상기 입력된 본자음에 대응되는 된자음으로 변환하는 기능이 할당된 된자음 변환키,A consonant conversion key assigned with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main consonant inputted by the consonant key into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main consonant, 상기 자음키에 의해 입력된 본자음이 홑자음인 경우, 상기 홑자음을 상기 입력된 홑자음에 대응되는 쌍자음으로 변환하는 기능이 할당된 쌍자음 변환키If the main consonant inputted by the consonant key is a single consonant, a double consonant conversion key assigned with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single consonant into a twin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ngle consonant 를 포함하는 키패드.Keypa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모음키에는 기본모음이 할당되는 키패드.Keypad is assigned to each vowel key.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기본모음이 할당되는 모음키들에는 상기 기본모음이 할당되는 모음키들을 필기순으로 연속적으로 입력하여 복모음을 표시하는 기능이 할당된 키패드.And a vowel key to which the basic vowel is assigned is assigned a function of displaying a double vowel by continuously inputting the vowel keys to which the basic vowel is assigned.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며,The third region has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region, 상기 기본모음이 할당되는 모음키들 중 모음 'ㅣ'가 할당된 모음키는 상기 중첩되는 영역에 배열되는 키패드.A vowel key to which a vowel 'ㅣ' is assigned among the vowel keys to which the basic vowel is assigned is arranged in the overlapping are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음키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lurality of vowel keys 복수의 기본모음이 할당되고, 상기 모음키를 연속하여 누름으로써 해당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모음들이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바뀌면서 표시장치에 표시되도록 입력하는 기능이 할당되는 모음키를 포함하는 키패드.A keypad comprising: a vowel key assigned to a plurality of basic vowels and assigned with a function of inputting the basic vowels assigned to the vowel key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 a predetermined order by continuously pressing the vowel keys.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복수의 기본모음이 할당되는 모음키들은 모음 'ㅏ' 및 'ㅑ'가 할당된 모음키, 모음 'ㅓ' 및 'ㅕ'가 할당된 모음키, 모음 'ㅗ' 및 'ㅛ'가 할당된 모음키, 모음 'ㅜ' 및 'ㅠ'가 할당된 모음키, 그리고 모음 'ㅣ' 및 'ㅡ'가 할당된 모음키를 포함하는 키패드.The vowel keys to which the plurality of basic vowels are assigned include a vowel key to which vowels 'ㅏ' and 'ㅑ' are assigned, a vowel key to which vowels 'ㅓ' and 'ㅕ' are assigned, and a vowel 'ㅗ' and 'ㅛ' A keypad comprising a vowel key, a vowel key to which the vowels 'TT' and 'ㅠ' are assigned, and a vowel key to which the vowels 'ㅣ' and 'ㅡ' are assigned.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키패드를 포함하는 입력부, 및An input unit including a keypad of any one of claims 1 to 12, and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키 데이터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문자를 조합하여 표시하는 제어부Control unit for displaying a combination of characters in a predetermined manner according to the key data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7항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으로서,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keypad of claim 7, 상기 자음키에 의해 입력된 본자음을 표시하는 제1 단계, 및A first step of displaying the main consonants inputted by the consonant keys, and 상기 된자음 변환키와 상기 쌍자음 변환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입력된 변환키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된 본자음을 변환하여 표시하는 제2 단계A second step of converting and displaying the displayed main consonants corresponding to a conversion key selected and input by the user among the consonant conversion key and the consonant conversion key; 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a.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복수의 모음키에는 기본모음이 각각 할당되고,Basic collections are assigned to the plurality of vowel keys, 상기 기본모음이 할당되는 모음키들에는 상기 모음키를 연속하여 누름으로써 해당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모음들이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바뀌면서 표시장치에 표시되도록 입력하는 기능이 할당되고,The vowel keys to which the basic vowels are allocated are assigned a function of inputting the vowel keys consecutively by pressing the vowel keys so that the basic vowels assigned to the vowel keys are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order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제1 모음이 할당된 제1 모음키에 의해 입력된 기본모음을 표시하는 제3 단계,A third step of displaying a basic vowel inputted by the first vowel key to which the first vowel is assigned; 제2 모음이 할당된 제2 모음키를 입력받는 제4 단계,A fourth step of receiving a second vowel key to which the second vowel is assigned; 상기 제1 및 제2 모음을 입력된 순서대로 조합하면 복모음이 되는 경우, 상기 표시된 제1 모음에 상기 제2 모음을 추가하여 조합된 복모음을 표시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vowels in the input order to form a double vowel, and adding the second vowel to the displayed first vowel to display the combined vowel. 키패드 제조 방법으로서,As a keypad manufacturing method, 상기 키패드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자음키를 배열하는 단계,Arranging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in a first area of the keypad; 상기 키패드의 제2 영역에 복수의 모음키를 배열하는 단계 및Arranging a plurality of vowel keys in a second area of the keypad; and 상기 키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에 문자변환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문자변환키를 배열하는 단계Arranging a plurality of character conversion keys assigned with a character conversion function in a third area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reas of the keypad; 를 포함하는 키패드 제조 방법.Keypad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060102157A 2006-10-20 2006-10-20 Keypad, fabrication mehtod thereof and character input method therefor KR200800357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157A KR20080035746A (en) 2006-10-20 2006-10-20 Keypad, fabrication mehtod thereof and character input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157A KR20080035746A (en) 2006-10-20 2006-10-20 Keypad, fabrication mehtod thereof and character input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746A true KR20080035746A (en) 2008-04-24

Family

ID=3957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157A KR20080035746A (en) 2006-10-20 2006-10-20 Keypad, fabrication mehtod thereof and character input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574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625B1 (en) * 2009-04-24 2011-06-03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let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625B1 (en) * 2009-04-24 2011-06-03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let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653B1 (en) The cellular phone where the Korean alphabet input is possible
KR10032132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100336493B1 (en)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KR101216840B1 (en) Keyboard layout and input system for japanese
KR20080035746A (en) Keypad, fabrication mehtod thereof and character input method therefor
KR19990006320A (en) Text input system using telephone
KR20030000712A (en) The method of arrangement English letter key pad in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mobile phone and English letter key pad in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mobile phone
KR100683338B1 (en)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 a mobile station
KR100765032B1 (en) Character input method of electrics and electronics apparatus
KR100470698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using keypad of terminal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100271375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with restricted keys, method and telephone terminal using same
KR100662549B1 (en)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
KR20020044105A (en) Method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KR100486866B1 (en) Method of inputting a hangeul of mobile terminal and keyboard used for it
KR100616225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s in handset and method thereof
KR100637745B1 (en) Korean literature key pad
KR20080064258A (en) Hangul input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digital terminal
KR200426237Y1 (en) Character input device in a handheld terminal
KR100422379B1 (en) Hangul input device for info-communications apparatus
JP2001075708A (en) Key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KR20020022973A (en) Method for Hangul input in a mobile station
CN100538603C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characters input method
KR200378650Y1 (en)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hangul
KR20040091353A (en) Method for inputting a hangeu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